KR20140127901A - 단자의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단자의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901A
KR20140127901A KR1020147026629A KR20147026629A KR20140127901A KR 20140127901 A KR20140127901 A KR 20140127901A KR 1020147026629 A KR1020147026629 A KR 1020147026629A KR 20147026629 A KR20147026629 A KR 20147026629A KR 20140127901 A KR20140127901 A KR 20140127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le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female terminal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6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사이토
타카시 무로
히로시 코바야시
마사오 나가노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7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6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a screw r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단자 수용실 내에 삽입된 암형 단자(female terminal)가 수형 단자(male terminal)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단자의 접속구조에서, 상기 암형 단자는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형 단자가 삽입되어 형성된 관형부(tubular part)와, 상기 관형부의 측벽으로부터 연속되는 판 형상 체결편(plate shaped engaging piece)으로서 상기 체결편은 상기 수형 단자가 삽입되는 경로에 위치하도록 되접히는, 상기 체결편, 및 상기 체결편의 되접힘부의 외측면 상에 형성된 노치(notch)를 포함한다. 상기 수형 단자에는 상기 체결편을 수용할 수 있는 컷-아웃부(cut-out part)가 제공되고, 상기 암형 단자의 뽑아내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잠그기 위한 설정 위치에 상기 암형 단자가 삽입될 때 상기 체결편이 상기 컷-아웃부 내에 수용된다.

Description

단자의 접속구조 {CONNECTING STRUCTURE OF TERMINAL}
본 발명은 단자의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조인트 커넥터(joint connector)의 방수 구조로서, 예를 들어, PTL 1(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도 9는 특허문헌 1의 조인트 커넥터의 방수 구조를 나타낸다. 하우징(71)의 관형체(tubular body, 73) 내측에는, 접속된 전선(75)을 갖는 암형 단자(female terminal, 77)가 삽입되는 단자 수용실(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79)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 수용실(79) 내에, 수형 단자(male terminal, 81)가 수용된다. 상기 수형 단자(81)는 상기 단자 수용실(79)의 후측 내의 기저부(base part, 83)에 고정된 하나의 종단측과, 상기 단자 수용실(79)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른 종단측을 가진다. 상기 수형 단자(81)의 상기 다른 종단 근방의 위치에서, 잠금구(lock hole, 85)가 상기 수형 단자(81)를 관통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암형 단자(77)에서, 상기 수형 단자(81)가 삽입될 수 있는 관형부(tubular part, 87)가, 금속판을 굴곡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암형 단자(77)의 종단부 내에 형성된다. 상기 관형부(87) 내에,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탄성 접촉편(resilient contact piece, 89)이 전단 모서리를 내측으로 되접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탄성 접촉편(89)은 규정된 접촉 압력 하에서 상기 관형부(89) 내에 삽입된 상기 수형 단자(81)와 접촉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접촉편(89)은 융기한 중앙부를 갖는 완만한 산-형상의 구성과, 상기 잠금구(85)에 체결(engage)될 수 있는 상기 탄성 접촉편(89)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protruding part, 91)를 가진다. 상기 돌출부(91)는 상기 탄성 접촉편(89)의 상기 상부를 상방으로 잘라 형성된다.
상기 관형부(87)의 후부에서, 압착부(crimping part, 93)는 상기 전선(75)을 뒤덮도록 상기 전선(75)을 압착하여 형성된다. 상기 압착부(93)에서, 상기 전선(75)의 커버로부터 노출된 심선들(core wires)이 압착된다. 상기 전선(75)의 상기 커버부의 종단 근방에서는, 고무 플러그(rubber plug, 95)가 부착된다. 상기 고무 플러그(95)의 외주면은 상기 단자 수용실(79)의 내주면에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허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자 수용실(79)에 물이 진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상기 하우징(71)의 상기 단자 수용실(79) 내에 상기 암형 단자(77)가 삽입될 때, 상기 수형 단자(81)는 상기 탄성 접촉편(89)을 굴곡시켜 상기 관형부(87)에 감합된다. 그 후, 상기 암형 단자(77)가 상기 단자 수용실(79)의 설정 위치에 삽입될 때, 상기 암형 단자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잠금구(85)가 상기 돌출부(91)에 체결된다. 상기 하우징(71)에서, 상기 암형 단자(77)와 상기 수형 단자(81)가 단락된다.
JP11-329569 A
차량에 장착되는 조인트 커넥터(joint connector)에서,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이 해체되고 재활용될 때, 전선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단자 접속구조에서, 상기 암형 단자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잠금구에 의해 상기 수형 단자에 체결되므로, 상기 전선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뽑혀 나올때, 상기 암형 단자가 때때로 상기 수형 단자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상기 단자 수용실에 남는다. 이 경우에, 회수 비율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때 단자의 회수 비율을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선에 접속된 암형 단자(female terminal)가 삽입되는 단자 수용실이 형성된 수지(resin)로 구성된 하우징, 및 상기 단자 수용실에 고정된 판-형상 수형 단자(plate shaped male terminal)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수용실에 삽입된 상기 암형 단자를 상기 수형 단자에 접속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암형 단자는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형 단자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관형부(tubular part), 판 형상 체결편(plate shaped engaging piece)이 상기 수형 단자가 삽입되는 경로에 위치하도록 상기 관형부의 측벽으로부터 연속되고 되접히는 상기 체결편, 상기 체결편의 되접힌 부분의 외측면 상에 형성된 노치(notch)를 포함하고, 상기 수형 단자에는 상기 체결편을 수용할 수 있는 컷-아웃부(cut-out part)가 제공되고, 상기 암형 단자의 뽑아내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잠그기 위한 설정 위치에 상기 암형 단자가 삽입될 때 상기 체결편이 상기 컷-아웃부에 수용되는 단자의 접속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상기 암형 단자가 상기 단자 수용실 내에 삽입될 때, 상기 암형 단자의 상기 관형부의 상기 체결편을 굴곡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수형 단자가 상기 관형부 내에 삽입된다. 이후, 상기 암형 단자가 상기 단자 수용실의 상기 설정 위치에 삽입될 때, 상기 암형 단자의 상기 체결편은 상기 수형 단자의 상기 컷-아웃부 내에 수용되고, 그 결과, 상기 수형 단자가 상기 암형 단자에 체결된다. 그에 따라, 뽑아내는 방향으로의 상기 암형 단자의 이동이 잠겨진다.
이후, 상기 뽑아내는 방향으로의 상기 암형 단자의 이동이 잠겨진 상태 하에서, 상기 암형 단자에 접속된 상기 전선이 당겨질 때, 상기 체결편이 상기 수형 단자의 상기 컷-아웃부 내에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암형 단자가 상기 단자 수용실로부터 상기 뽑아내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편의 종단부는 되접힌 부분을 중심으로 둘레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되접힌 부분에 형성된 상기 노치의 컷홈(cut groove)이 점진적으로 좁아진다. 그 후, 상기 체결편의 종단부가 상기 컷-아웃부를 압축할 때, 상기 되접힌 부분이 상기 컷-아웃부로부터 반력(reaction force)을 수신한다. 그 결과, 상기 되접힌 부분을 파단(break)하도록 상기 노치 내에 균열이 형성된다. 상기 되접힌 부분이 이러한 방식으로 파단될 때, 상기 체결편과 상기 컷-아웃부의 체결 상태가 해제되므로, 상기 암형 단자가 상기 단자 수용실로부터 용이하게 뽑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자의 회수 비율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아웃부에는 상기 체결편의 종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갈고리 형상의 오목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상기 암형 단자에 상기 단자 수용실로부터 상기 암형 단자를 뽑아내기 위한 힘이 작용할 때, 상기 체결편의 종단이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므로, 상기 체결편이 상기 컷-아웃부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편이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는 상태 하에서 상기 암형 단자가 상기 뽑아내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응력이 상기 되접힌 부분에 집중되기가 쉽다. 그에 따라, 상기 접힌 부분이 보다 확실하게 파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을 피부착 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지지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접속될 수 있고, 상기 지지 부재를 피부착 부재에 고정하는 볼트 부착구(bolt attaching hole)가 상기 지지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볼트 부착구는 상기 수형 단자의 축에 대해 상기 수형 단자의 상기 컷-아웃부에 대립되는 측으로 이동된 위치에 제공된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상기 단자 수용실로부터 뽑아내진 상기 암형 단자에, 상기 볼트 부착구를 기점(cardinal point)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뽑아내는 방향으로의 힘이 적용된다. 즉, 상기 암형 단자는 상기 단자 수용실의 상기 축에 대해 상기 볼트 부착구에 대립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뽑혀진다(도 7(b)의 화살표 E). 이에 따라, 상기 체결편이 상기 되접힌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둘레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되접힌 부분이 더욱 확실하게 파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때의 단자의 회수 비율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자의 접속구조에서의 수형 단자(male terminal)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단자의 접속구조에서 하우징의 리어 커버(rear cover)가 열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단자의 접속구조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리어 커버가 닫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의 선 A-A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에서 보여지는 단면도이다.
도 5의 (a)(이하 도 5(a)) 및 5의 (b)(이하 도 5(b))는 암형 단자(female terminal)가 단자 수용실에 삽입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단자의 접속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7의 (a)(이하 도 7 (a)) 및 7의 (b)(이하 도 7(b))는 상기 암형 단자가 상기 단자 수용실로부터 뽑혀질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들이다.
도 8은 되접힌 부분(folding back part)에 형성된 노치(notch)의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 9는 종래의 단자의 접속구조의 단면도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단자의 접속구조의 실시예가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방수 커넥터와 같은 상기 단자의 접속구조가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전선(3)이 본 실시예의 암형 단자(female terminal, 1)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상기 암형 단자(1)는 압착부(crimping part, 5), 탄성 설편(resilient tongue piece, 7), 및 관형부(tubular part, 9)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얇은 금속판에 펀칭 작업(punching work)을 적용하여 획득된 단자 편에 필요한 굴곡 작업(bending work)을 적용하여 형성된다.
상기 압착부(5)는 한 쌍의 압착편들(crimping pieces, 11)에 의해 심선들(core wires)을 뒤덮기 위해 상기 전선(3)의 커버로부터 노출된 상기 심선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압착하도록 상기 전선(3)을 압착 접속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압착부(5)를 기저부로서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관형부(9)는 상대측 단자(수형 단자)가 상기 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공간(13)을 형성하도록 대략 사각형의 관형 형상으로 굴곡된다. 상기 관형부(9)에서, 상기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바닥면의 양 종단측은 측벽들(15)을 형성하도록 제각기 상기 바닥면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굴곡된다. 상기 한 쌍의 측벽들(15)의 굽어진 종단 측들은 서로 겹치도록 대략 직각으로 굴곡된다. 그에 따라, 상면(17)이 형성된다. 도 1에서의 화살표 A는 상기 수형 단자의 삽입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탄성 설편(7)은 상기 관형부(9)의 한 면(상기 바닥면)의 상기 수형 단자의 삽입측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공간(13)으로 되접힌다. 따라서, 상기 탄성 설편(7)은, 상기 관형부(9)의 상기 한 면에 대립되는 방향(상기 상면(17) 측)을 향하여 상기 공간(13) 내로 삽입된 상기 수형 단자를 압축하여 상기 수형 단자를 그들 사이에 개재하기 위하여 상기 되접힌 부분의 굽힘부를 지지점으로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착부(5)에 압착된 상기 전선(3)에서, 밀봉 부재로서의 환형 패킹(annular packing, 19)이 종단(상기 압착부(5) 측) 근방의 피복된 부분의 외주면에 부착된다. 상기 패킹(19)은, 상기 암형 단자(1)가 아래 기재되는 하우징의 단자 수용실 내에 삽입될 때, 상기 암형 단자(1)가 전체 둘레에 걸쳐 상기 단자 수용실의 주입부(inlet part)의 내벽면에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허용한다.
이제, 상기 하우징의 구조가 아래 설명될 것이다. 도 2에 나타나는 것처럼, 본 실시예의 상기 하우징(21)은 합성 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되고, 상기 도면에 나타나지 않는 피부착 부재에 상기 하우징(21)을 부착하기 위한 지지 부재(23)가 삽입 성형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하우징(21)에는, 한 쌍의 리어 커버들(25)이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부착된다. 도 2는 상기 리어 커버들(25) 중 하나가 열리고 다른 것들은 생략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상기 한 쌍의 리어 커버들(25)이 회동하여 닫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하우징(21)은, 원통형 형상으로 구성된 복수의 관형체들(27)이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관형체(27) 내측에는, 상기 암형 단자(1)가 삽입되는 상기 단자 수용실(29)이 형성된다. 상기 암형 단자(1)의 삽입 방향으로의 내부 측은 기저부(31)에 의해 닫히고, 주입구는 열려진 원통형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 부재(23)는 상기 축 방향으로 상기 관형체(27)의 상기 기저부(31) 측을 향하여 연장된 상기 하우징(21)의 바닥부(도 2의 하부)로부터 노출되고, 그 후, 상기 하우징(21)의 평면 방향으로의 투영 영역(도 2의 상부로부터 보여지는 투영 영역)으로부터 외측에 연장하도록 대략 직각으로 방향을 변경하고, 크랭크(crank)의 형상으로 대략 직각으로 방향을 더 변경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23)에서, 볼트 부착구(bolt attaching hole, 35)는, 상기 방향이 상기 하우징(21)의 상기 투영 영역 외측의 대략 직각으로 변경되는 각도부(angular part, 33)에서 상기 지지 부재(23)를 상기 피부착 부재에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1)에서, 상기 한 쌍의 리어 커버들(25)은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상기 관형체(27)의 상기 개구 근방의 외주벽에 부착된다. 도 3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리어 커버(25)에서, 각각의 상기 관형체들(27)의 상기 단자 수용실(29)로부터 도출된 상기 전선(3)을 수용하도록 반원형 아크 형상으로 형성된 전선 삽입홈(electric wire insert groove, 37)이 제공된다. 상기 한 쌍의 리어 커버들(25)이 제각기 회동하여 닫힐 때, 상기 전선들(3)은 그들의 전선 삽입홈들(37) 내에 하나씩 제각기 수용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1)에서, 상기 리어 커버들(25) 내에 형성된 체결구들(engaging holes, 39)에 맞물리는 체결 돌기들(engaging protrusions, 41)이 제공된다.
이제, 상기 하우징(21)의 상기 단자 수용실(29)의 구조가 아래 설명될 것이다. 도 4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단자 수용실(29)에서, 기저 종단측(도 4의 우측 상부)이 삽입 성형에 의해 상기 기저부(31)에 매립되고 상기 단자 수용실(29)에 동축으로 연장되는 수형 단자(43)가 수용된다. 상기 수형 단자(43)는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수형 단자의 종단측(도 4의 좌측 하부)은 상기 단자 수용실(29)의 길이 방향(축 방향)으로 거의 중심 위치에 배치된다. 폭 방향(횡단 방향)으로의 상기 수형 단자(43)의 치수는 상기 단자 수용실(29)의 내경의 치수보다 작게 설정된다.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수형 단자의 양측 모서리들은 상기 단자 수용실(29)의 내측벽들로부터 남겨진 설정 공간들로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수형 단자(43)의 상기 치수는 상기 암형 단자(1)의 상기 관형부(9)의 상기 공간(13)에 수용되기 위한 크기로 설정된다.
이제,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조들이 아래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암형 단자(1)와 상기 수형 단자(43)는 각각 상기 특징적인 구조들을 가진다.
도 1에 나타나는 것처럼, 본 실시예의 상기 암형 단자(1)에서, 상기 관형부(9)의 상기 측벽(15)을 잘라내는 것에 의해 형성된 판 형상 지지편부(45)는 판 형상 체결편(47)을 형성하도록 상기 공간(13) 측으로 되접힌다. 상기 판 형상 지지부(45)는 상기 측벽(15)으로부터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형 단자(43)의 상기 삽입 방향(화살표 A)으로 상기 종단측의 기저 종단(49)에 접속된 상기 한 쌍의 측벽들(15)의 상기 하나의 측벽(15)은 상기 직사각형 지지편부(45)를 형성하도록 잘려진다. 그 후, 상기 지지편부(45)의 종단측(상기 기저 종단(49)의 대립되는 측)은, 상기 수형 단자(43)가 상기 체결편(47)을 형성하도록 삽입되는 상기 공간(13)의 경로에 위치된다. 상기 체결편(47)과 상기 지지편부(45) 사이에 위치한 되접힘부(51)의 외측면 상에, V 형상 구간의 홈을 갖는 노치(53)가 판의 폭 방향 위에 형성된다. 상기 노치(53)의 상기 홈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V 형상을 갖지만, U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나는 것처럼, 본 실시예의 상기 수형 단자(43)에서, 상기 체결편(47)을 수용할 수 있는 컷-아웃부(55)가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의 측 모서리에 형성된다. 상기 컷-아웃부(55)는, 상기 수형 단자(43)가 평면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 상기 수형 단자(43)의 축 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하는 바닥면을 가진다. 원활한 경사면은 상기 바닥면의 한 측에 접속되도록 형성되고, 직각면은 상기 바닥면의 다른 측에 대략 직각으로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직각면에서, 갈고리 형상 오목부(57)는 상기 체결편(47)의 되접힌 종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형 단자(43)의 상기 삽입 방향으로의 상기 종단부에서, 테이퍼면(tapered surface, 59)이 평면 방향과 두께 방향으로 제각기 형성된다.
이제,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상기 접속 구조의 동작이 아래 설명될 것이다.
우선, 도 5(a)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암형 단자(1)가 화살표 B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으로 상기 단자 수용실(29) 내에 삽입될 때, 상기 수형 단자(43)는 상기 암형 단자(1)의 상기 관형부(9)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체결편(47)은 상기 관형부(9) 내의 상기 수형 단자(43)의 삽입 경로에 배치되므로, 상기 수형 단자(43)는 먼저 상기 테이퍼면(59)을 따라 상기 공간(13) 외측으로 상기 체결편(47)을 누른다. 계속해서, 상기 수형 단자(43)는 상기 체결편(47)에 접속된 상기 되접힘부(51) 또는 상기 지지편부(45)를 상기 공간(13) 외측으로 굴곡시킴으로써 진입한다. 그 후, 상기 암형 단자(1)가 상기 단자 수용실(29)의 설정 위치에 삽입될 때, 도 5(b)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암형 단자(1)에서, 상기 체결편(47)의 상기 종단부가 탄성 변형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수형 단자(43)의 상기 컷-아웃부(55) 내에 수용되고, 그 결과, 상기 수형 단자(43)가 상기 암형 단자(1)에 체결된다. 그에 따라, 상기 암형 단자(1)의 뽑아내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잠겨진다. 또한, 상기 수형 단자(43)는 상기 체결편(47)을 통하여 상기 암형 단자(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나, 상기 수형 단자(43)와 상기 암형 단자(1)의 상기 전기적 접속은 기본적으로는 상기 관형부(9) 내에서 상기 탄성 설편(7)을 통해 상기 상면(17)에 상기 수형 단자(43)를 압축시킴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단자 수용실(29)에 삽입된 상기 암형 단자(1)가 상기 수형 단자(43)에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 상기 패킹(19)이 부착되는 상기 전선(3)이 상기 단자 수용실(29)에 삽입되므로, 상기 패킹(19)의 외주면은 전체 둘레에 걸쳐 상기 단자 수용실(29)의 상기 주입측의 상기 내주면에 밀접하게 접촉한다. 그에 따라, 전선(3)과 상기 단자 수용실(29)의 내벽면 사이의 갭이 공기가 새지않게 밀봉되기 때문에, 상기 단자 수용실(29)의 단자 접속부에 물이 진입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후, 도 7(a)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암형 단자(1)의 뽑아내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억제되는 상태 하에서, 상기 암형 단자(1)에 접속된 상기 전선(3)이 화살표 C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으로 상기 단자 수용실(29)로부터 당겨질 때, 상기 암형 단자(1)에서, 상기 체결편(47)의 종단부가 상기 컷-아웃부(55)의 상기 오목부(57) 내에 수용되는 동안 상기 체결편(47)의 상기 종단부가 상기 뽑아내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에 따라, 상기 체결편(47)의 상기 종단부는 상기 되접힘부(51)를 중심으로서 둘레 방향(화살표 D)으로 이동, 즉, 상기 체결편이 회동하기 시작한다. 상기 체결편(47)의 상기 둘레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되접힘부(51)에 형성된 상기 노치(53)를 형성하는 두 개의 경사진 면들 사이의 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고, 최종적으로는, 상기 경사진 면들이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게 된다. 그 후, 도 7(b)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체결편(47)의 상기 종단부가 화살표 D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으로 상기 수형 단자(43)의 상기 컷-아웃부를 압축할 때, 상기 되접힘부(51)는 상기 수형 단자(43)로부터 반력을 수신한다. 그 결과, 상기 되접힘부(51)를 파단하도록 크랙(crack, 61)이 상기 노치(53) 내에 형성된다. 상기 되접힘부(51)가 이러한 방식으로 파단될 때, 상기 체결편(47)과 상기 컷-아웃부(55)의 체결된 상태가 해제되므로, 상기 암형 단자(1)는 상기 단자 수용실(29)로부터 쉽게 뽑아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암형 단자91)의 회수 비율(재활용 비율)이 개선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경제적이고, 환경적 측면에 공헌할 수 있다.
도 8에서, 상기 암형 단자(1)의 상기 되접힘부(51) 내에 형성된 상기 노치(53)가 확대하여 보여진다. 상기 노치(53)의 치수(잘린 깊이 L1, 잘린 폭 L)는, 상기 수형 단자(43)가 상기 암형 단자(1)의 상기 관형부(9) 내에 삽입될 때의 상기 체결편(47)의 탄성이 보장될 수 있고, 상기 암형 단자(1)가 상기 단자 수용실(29)로부터 뽑아내질 때 상기 체결편(47)의 상기 노치(53)를 형성하는 두 개의 경사진 면들이 서로 밀접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적합하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잘린 깊이 L1이 상기 되접힘부(51)의 두께 t의 절반 이내로 설정되고, 상기 잘린 폭 L2는, 상기 수형 단자(43)가 상기 관형부(9) 내에 삽입될 때 상기 관형부(9)의 상기 측벽(15)의 내측면과 상기 수형 단자(43)의 상기 측 모서리 사이의 공간보다 작은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리어 커버들(25)은 상기 하우징(21)에 부착되므로, 상기 전선들(3)은 상기 한 쌍의 리어 커버들(25)의 상기 전선 삽입홈들(37)에 제각기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21)의 상기 체결 돌기들(41)은 상기 리어 커버들(25)이 상기 하우징(21)에 체결되도록 상기 리어 커버들(25)의 상기 체결구들(39)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전선 삽입홈(37)의 내경의 치수는, 상기 피복된 전선(3)의 외경의 치수를 맞추도록 적합하게 설정된다(예를 들어, 랩(lap) 설정). 그에 따라, 상기 전선(3)을 좌우로 흔드는 외력을 상기 전선(3)이 수신할 때, 상기 단자 수용실(29)에 삽입된 상기 전선(3)에의 부하(상기 외력의 영향)가 감소될 수 있고, 상기 암형 단자(1)와 상기 수형 단자(43)의 접속 상태가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상기 하우징(21)은 상기 지지 부재(23)를 통하여 예를 들어 차량 측의 피부착 부재에 부착된다. 상기 지지 부재(23)는 상기 볼트 부착구(35) 내에 볼트를 삽입함으로써 피부착 부재에 고정된다. 여기서, 도 3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볼트 부착구(35)는 상기 모든 단자 수용실(46)의 축들, 즉, 상기 수형 단자들(43)의 축들에 대하여 상기 수형 단자(43)의 상기 컷-아웃부(55)의 대립되는 측으로 이동된 위치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자 수용실(29)로부터 뽑혀나온 상기 암형 단자(1)에는, 상기 뽑혀나오는 방향으로의 힘이 상기 볼트 부착구(35)를 기점으로서 설정함으로써 적용된다. 즉, 상기 암형 단자(1)는 상기 단자 수용실(29)의 축에 대하여 상기 볼트 부착구(35)에 대립되는 방향, 즉, 상기 되접힘부(51)가 상기 수형 단자(43)의 상기 컷-아웃부(55)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뽑혀 나온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편(47)은 상기 되접힘부(51)를 중심으로서 상기 둘레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되접힘부(51)를 더욱 효과적으로 파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볼트 부착구(35)가 상기 기재된 것처럼 상기 하우징(21)으로부터 규정된 방향으로 분리되도록 배치(오프셋)될 때, 상기 암형 단자(1)의 회수 비율(재활용 비율)이 확실하게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되었으나, 상기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단순 예시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설계 변경은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볼트 부착구(35)가 상기 지지 부재(23)의 각도부(33) 내에 제공되는 예시가 기재된다. 그러나, 상기 볼트 부착구(35)가 상기 모든 수형 단자들(43)의 축들에 대하여 상기 수형 단자(43)의 상기 컷-아웃부(55)에 대립되는 측으로 이동된 위치에 제공되는 한, 상기 볼트 부착구의 설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은 2012년 3월 23일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번호 2012-068167에 기초하고,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때 단자의 회수 비율이 개선될 수 있다.
1: 암형 단자
3: 전선
9: 관형부
15: 측벽
21: 하우징
23: 지지 부재
25: 리어 커버
29: 단자 수용실
31: 기저부
35: 볼트 부착구
43: 수형 단자
45: 지지편부
47: 체결편
49: 기저 종단
51: 되접힘부
53: 노치
55: 컷-아웃부
57: 오목부

Claims (3)

  1. 단자의 접속구조로서, 전선에 접속된 암형 단자(female terminal)가 삽입되는 단자 수용실이 형성된 수지(resin)로 구성된 하우징, 및 상기 단자 수용실에 고정된 판-형상 수형 단자(plate shaped male terminal)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수용실에 삽입된 상기 암형 단자를 상기 수형 단자에 접속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암형 단자는,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형 단자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관형부(tubular part);
    상기 관형부의 측벽으로부터 연속되는 판 형상 체결편(plate shaped engaging piece)으로서, 상기 체결편은 상기 수형 단자가 삽입되는 경로에 위치하도록 되접히는, 상기 체결편;
    상기 체결편의 되접힘부의 외측면 상에 형성된 노치(notch)를 포함하고,
    상기 수형 단자에는 상기 체결편을 수용할 수 있는 컷-아웃부(cut-out part)가 제공되고, 상기 암형 단자의 뽑아내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잠그기 위한 설정 위치에 상기 암형 단자가 삽입될 때 상기 체결편이 상기 컷-아웃부에 수용되는, 단자의 접속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부에는 상기 체결편의 종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갈고리 형상의 오목부가 제공되는, 단자의 접속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피부착 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지지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접속되고,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피부착 부재에 고정하는 볼트 부착구(bolt attaching hole)가 상기 지지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볼트 부착구는 상기 수형 단자의 축에 대해 상기 수형 단자의 상기 컷-아웃부에 대립되는 측으로 이동된 위치에 제공되는, 단자의 접속구조.
KR1020147026629A 2012-03-23 2013-03-22 단자의 접속구조 KR201401279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68167A JP5912731B2 (ja) 2012-03-23 2012-03-23 端子の接続構造
JPJP-P-2012-068167 2012-03-23
PCT/JP2013/059430 WO2013141411A1 (en) 2012-03-23 2013-03-22 Connecting Structure of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901A true KR20140127901A (ko) 2014-11-04

Family

ID=48087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629A KR20140127901A (ko) 2012-03-23 2013-03-22 단자의 접속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14326B2 (ko)
JP (1) JP5912731B2 (ko)
KR (1) KR20140127901A (ko)
CN (1) CN104205509B (ko)
WO (1) WO20131414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9094A (ja) * 2014-02-25 2015-09-03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端子
JP6405235B2 (ja) * 2014-12-29 2018-10-17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雌型電気端子、及びコネクタ
JP7255456B2 (ja) * 2019-11-13 2023-04-1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23Y2 (ko) * 1985-02-27 1990-01-17
JPH0917487A (ja) * 1995-06-28 1997-01-17 Yazaki Corp ロック機構を有する雌端子
US6039615A (en) * 1996-03-15 2000-03-21 The Whitaker Corporation Female electrical terminal having overstress members
JPH11329569A (ja) * 1998-05-12 1999-11-30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における防水構造
US6945830B2 (en) * 2003-10-20 2005-09-2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system having opposing biasing beam and lance
US7497723B2 (en) * 2007-06-14 2009-03-03 Nordson Corporation High-voltage electrical connector with visual ind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05509B (zh) 2017-02-15
JP2013201002A (ja) 2013-10-03
US9614326B2 (en) 2017-04-04
WO2013141411A1 (en) 2013-09-26
US20140357110A1 (en) 2014-12-04
CN104205509A (zh) 2014-12-10
JP5912731B2 (ja)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4016B2 (en) Connector with covering wall
JP5704021B2 (ja) ゴム栓及び防水コネクタ
JP3691291B2 (ja) 防水コネクタ
JP5631017B2 (ja) コネクタ用のメス端子
JP5227599B2 (ja) コネクタ
US9022804B2 (en) Waterproof plug
JP4553953B2 (ja) 防水構造及び防水コネクタ
US20160315416A1 (en) Connector
US9225100B2 (en) Socket housing
US11217930B2 (en) Seal cover
CN109075495B (zh) 连接器
JP5729350B2 (ja) 防水コネクタ
JP3540156B2 (ja) 防水コネクタ及び該防水コネクタの組付方法
JP2018200765A (ja) コネクタ
EP3346557B1 (en) Waterproof structure for connector
KR20140127901A (ko) 단자의 접속구조
JPH11260458A (ja) 防水コネクタ及び該防水コネクタの組付方法
US9755352B2 (en) Waterproofing structure for connector
JP2000286006A (ja) 防水コネクタ
KR20140000327A (ko) 접속 단자
WO2017138335A1 (ja) 防水コネクタ
JP4564395B2 (ja) 接続端子用シール部材
WO2014111133A1 (en)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5557035B2 (ja) 防水コネクタ
KR20100000261U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