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845B1 - 조립식 트랜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트랜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845B1
KR101437845B1 KR1020130056195A KR20130056195A KR101437845B1 KR 101437845 B1 KR101437845 B1 KR 101437845B1 KR 1020130056195 A KR1020130056195 A KR 1020130056195A KR 20130056195 A KR20130056195 A KR 20130056195A KR 101437845 B1 KR101437845 B1 KR 101437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ver
assembled
assembly plate
tr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수
Original Assignee
최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수 filed Critical 최종수
Priority to KR1020130056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트랜치에 관한 것으로, 바닥조립판재, 좌측조립판재, 우측조립판재 및 커버조립판재로 구성되는 트랜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조립판재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바닥조립판재의 심부를 향해 돌출된 상태로 매립되는 앵커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앵커부와는 일체로 형성된 채 상기 바닥조립판재의 양단에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한 좌,우측 조립판재의 하단부분이 끼워지도록 조립되게 하는 판재삽입부가 각각 형성되어 되어 있는 좌,우측 판재지지부재와;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 각각의 상단에는 좌,우측 조립판재 각각의 심부를 향해 돌출된 상태로 매립되는 앵커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앵커부와는 일체로 형성된 채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 각각의 상단에서 노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조립판재를 지지하는 커버지지부 및 상기한 커버지지부에 지지되는 상기 커버조립판재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상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좌,우측 커버지지부재를 상기 바닥조립판재 및 좌,우측 조립판재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조립식 트랜치{Fabricated trench}
본 발명은 조립식 트랜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랜치를 구성하는 바닥조립판재와. 좌,우측 조립판재 및 커버조립판재 각각을 조립식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트랜치를 구축하되, 상기 바닥조립판재의 양단에는 좌,우측 조립판재를 연결하고,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는 커버조립판재로 연결하여 상기한 바닥조립판재와 좌,우측 조립판재 및 커버조립판재들이 서로 결합된 구조로 조립되도록 하여 트랜치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트랜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의 주방 바닥이나 지상 및 지하 주차장 등에는 세척수나 빗물 등을 배수하기 위한 트랜치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트랜치는 시멘트몰탈을 이용하여 구축하거나, 또는 금속판재 및 인조대리석판재 등을 이용하여 구축하고 있다.
시멘트몰탈을 이용하여 트랜치를 구축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트랜치를 형성시키기 위해 땅을 일정깊이를 갖는 트랜치 설치용 굴착로를 굴착한 다음, 상기한 굴착로에 트랜치를 형성시키기 위한 형틀을 설치해 놓고 시멘트몰탈을 타설하는 방법으로 트랜치를 구축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한 굴착로에 트랜치를 형성시키기 위한 형틀을 설치하는 작업이 힘들고 까다로울 뿐 아니라 시멘트몰탈을 타설작업한 후 시멘트몰탈이 경화되면 형틀을 제거하여야 하기 때문에 트랜치를 구축하는데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며, 이로 인해 트랜치를 구축하는데 소요되는 구축공기가 길어지고 또 구축비용이 비싸지게 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또한 인조대리석판재를 이용하여 트랜치를 구축할 때에도 역시, 트랜치를 구측하기 위해 땅을 일정깊이로 굴착하여 트랜치 설치용 굴착로를 형성한 다음, 상기한 굴착로에 트랜치의 좌,우 측벽을 구성하는 좌,우측 판재 각각을 설계에 맞추어 설정된 높이 및 간격으로 고정시켜 주는 작업이 매우 힘들고 까다로울 뿐 아니라 좌,우측 판재 사이에 바닥판재를 설정된 경사각도로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트랜치의 구축공기가 길어지게 되고 구축비용이 비싸지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 기술들은 트랜치 구축공사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시멘트몰탈이 타설된 형틀은 시멘트몰탈이 양생되는 동안에는 절대 움직이지 못하도록 조심해야 하는데, 이는 작업자의 부주의로 형틀에 충격을 가하게 되어 형틀이 움직이게 될 경우에는 트랜치가 설계대로 구축되지 않게 되는 단점이 발생되어 재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인조대리석판재를 이용하여 트랜치를 구축하게 될 경우에도 설계에 맞추어 설치되는 좌,우측 판재가 설정된 높이로 고정되어 있어야 하지만 만일, 좌,우측 판재 사이로 바닥판재를 삽입 설치할 때 작업자의 실수로 바닥판재가 좌,우측 판재에 세게 부딪치게 될 경우에도 트랜치가 설계대로 시공되지 않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인조대리석판재를 소재로 하여 트랜치를 조립식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트랜치의 구축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각 부위별 조립판재를 조립구조에 맞추어 조립식으로 연결하게 되면 상기한 각 부위별 조립판재들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조립되도록 하므로써 트랜치를 구성하는 각 부위별 조립판재의 조립작업 후 트랜치의 상부 커버조립판재 부분만 노출되도록 트랜치를 매설하게 될 때 트랜치의 조립구조가 변형되지 않고 조립당시의 조립구조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매립 설치할 수 있게 하는 트랜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바닥조립판재, 좌측조립판재, 우측조립판재 및 커버조립판재로 구성되는 트랜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조립판재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바닥조립판재의 심부를 향해 돌출된 상태로 매립되는 앵커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앵커부와는 일체로 형성된 채 상기 바닥조립판재의 양단에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한 좌,우측 조립판재의 하단부분이 끼워지도록 조립되게 하는 판재삽입부가 각각 형성되어 되어 있는 좌,우측 판재지지부재와;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 각각의 상단에는 좌,우측 조립판재 각각의 심부를 향해 돌출된 상태로 매립되는 앵커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앵커부와는 일체로 형성된 채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 각각의 상단에서 노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조립판재를 지지하는 커버지지부 및 상기한 커버지지부에 지지되는 상기 커버조립판재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상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좌,우측 커버지지부재;
를 상기 바닥조립판재 및 좌,우측 조립판재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커버지지부재의 커버지지부에는 커버조립판재의 양단 저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끼움돌부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좌,우측 조립판재의 심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커버지지부재의 커버지지부에는 커버조립판재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장홈이나 장공들 중 상기 커버조립판재의 길이방향 양단 끝부분에 위치하는 장홈이나 장공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조립판재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되는 좌,우측 판재지지부재는 바닥조립판재의 양단에 매립되는 상태로 밀착 형성되는 매립돌부와, 상기한 매립돌부와 평행하도록 돌출되는 노출돌부가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의 두께와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의 상단에 형성되는 좌,우측 커버지지부재 각각의 돌출부 상단에는 트랜치의 높이와 수평을 이루도록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재의 상면을 수평상으로 눌러주는 누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의 상단에 형성되는 좌,우측 커버지지부재 각각의 돌출부 상,하단에는 트랜치의 높이와 수평을 이루도록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재의 상,하면을 붙잡아 주는 상,하측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트랜치를 구축함에 있어 먼저, 트랜치의 배수로 바닥을 시멘트몰탈 등으로 타설하여 상기한 배수로 바닥을 구축한 다음, 트랜치를 구성하는 바닥조립판재를 시멘트몰탈 등으로 구축된 배수로 바닥 위에 설치하고, 이어서 상기 바닥조립판재의 양단에 돌출 형성된 좌,우측 판재지지부재 각각에 좌,우측 조립판재의 하단을 삽입 조립하며,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의 상단에 형성된 좌,우측 커버지지부재에 커버조립판재의 양단을 연결 조립하게 되면 상기한 바닥조립판재와 좌,우측 조립판재 및 커버조립판재 각각은 서로간에 결합된 상태로 연결 조립되므로써 트랜치의 좌,우 양측으로 흙을 채워주거나 시멘트몰탈 등을 타설하게 되더라도 트랜치는 변형되지 않고 조립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이와 같은 효과에 의하여 트랜치의 구축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트랜치의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트랜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트랜치 설치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트랜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트랜치 설치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트랜치 설치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트랜치 설치상태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트랜치의 커버조립판재를 그레이팅부재로 구성하는 여러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치상태 단면도
본 발명에 의한 주립식 트랜치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트랜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트랜치(1)는 바닥조립판재(2)와, 좌,우측 조립판재(3)(4) 및 커버조립판재(5)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조립판재(2)는 천연대리석 등을 작은 크기로 파쇄한 쇄석과 시멘트를 적당 비율로 혼합한 시멘트몰탈로 제조되는 인조대리석이나 시멘트몰탈 또는 콘크리트몰탈 등으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바닥조립판재(2)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좌,우측 판재지지부재(6a)(6b)가 일체로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좌,우측 판재지지부재(6a)(6b)는 바닥조립판재(2)의 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구조로 매립되어 좌,우측 판재지지부재(6a)(6b)의 강도를 증강시켜 주는 앵커부(61)와, 바닥조립판재(2)의 길이방향 양단 각각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판재삽입부(62)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판재삽입부(62)에는 바닥조립판재(2)의 양단에 매립되는 상태로 밀착되어 있는 매립돌부(63)와 상기한 매립돌부와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노출돌부(64)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매립돌부(63)와 노출돌부(64)의 이격 간격은 좌,우측 조립판재(3)(4)의 두께와 같다.
따라서 상기한 매립돌부(63)와 노출돌부(64) 사이에는 좌,우측 조립판재(3)(4) 각각의 하단부분이 꼭맞는 상태로 삽입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3)(4) 역시 상기 바닥조립판재(2)와 마찬가지로 인조대리석이나 시멘트몰탈 또는 콘크리트몰탈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3)(4) 각각의 상단에는 좌,우측 커버지지부재(7a)(7b)가 각각 일체로 부착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좌,우측 커버지지부재(7a)(7b) 각각은 좌,우측 조립판재(3)(4)의 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구조로 매립되어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3)(4)의 강도를 증강시켜 주는 앵커부(71)와,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3)(4)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커버지지부(72)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커버지지부(72)에는 끼움홈(73)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끼움돌기(74)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좌,우측 커버지지부재(7a)(7b)는 여러 실시예가 있는데,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좌,우측 지지부재(7a)(7b)의 일측에 끼움돌기(74)와 같이 상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조립판재(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75)가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좌,우측 지지부재(7a)(7b)의 일측에 상기 커버조립판재(5)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부(75)의 상단에서 외측을 향해 수평상으로 돌출되어 지면이나 콘크리트 바닥면 등에 설치되는 바닥재(8)의 상면을 눌러주는 누름부(76)가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 커버조립판재(5)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부(75)의 상,하부에서 외측을 향해 수평상으로 돌출되어 지면이나 콘크리트 바닥면 등에 설치되는 바닥재(8)의 상,하면을 파지하는 상태로 붙잡아주는 상,하측 파지부(77)(78)가 형성되는 실시예 등이 있다.
상기 커버조립판재(5)도 여러 실시예가 있으며,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두께가 0.5∼2mm 정도이고 길이방향 양측에 하향으로 돌출되는 끼움돌부(5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양측 끼움돌부(51) 사이에는 복수의 배수공(52)이 형성되어 있는 스테인레스스틸 재질의 평판금속판재(5a)로 구성된 실시예가 있으며, 도 3 내지 도 6의 도시와 같이 두께가 0.5∼2mm 정도인 스테인레스스틸판재를 상,하 지그재그상으로 연속해서 절곡 가공하여 일정간격으로 상,하면 각각에 다수의 상,하부 장홈(53)(54)이 형성된 절곡금속판재(5b)로 구성된 실시예가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조립판재(5)는 도 7 및 도 8의 도시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상,하부가 개구된 다수의 장공(56)이 형성되어 있는 그레이팅부재(5c)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조립판재(5)의 실시예 중 상,하 지그재그상으로 절곡 가공된 절곡금속판재(5b)의 경우 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상방을 향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상부 장홈(53) 각각의 바닥에는 다수의 배수공(55)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커버조립판재(5)가 그레이팅부재(5c)로 적용될 경우에는 좌,우측 조립판재(3)(4)의 각 상단에 형성된 좌,우측 커버지지부재(7a)(7b)의 구조에 알맞게 제작된 것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도 7의 도시와 같이 좌,우측 커버지지부재(7a)(7b)의 각 커버지지부(72)에 끼움홈(73)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그레이팅부재(5c)의 저부 양측에 강선(57)이 용접된 것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한 강선(57)은 끼움홈(73)의 폭과 같은 치수의 직경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또한 도 8의 도시와 같이 좌,우측 커버지지부재(7a)(7b)의 각 커버지지부(73)에 끼움돌기(74)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그레이팅부재(5c)의 양측에 형성되는 장공(56) 속으로 상기한 끼움돌기(74)가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제작된 그레이팅부재(5c)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트랜치(1)는 바닥조립판재(2)와, 좌,우측 조립판재(3)(4) 및 커버조립판재(5)를 조립식으로 연결시켜서 구성하게 되므로 조립구조가 간단하며, 또한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3)(4)는 그 하단이 바닥조립판재(2)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좌,우측 판재지지부재(6a)(6b)에 붙잡힌 상태로 조립되며, 또 상기 커버조립판재(5)는 좌,우측 조립판재(3)(4)의 각 상단에 형성된 좌,우측 커버지지부재(7a)(7b)에 붙잡힌 상태가 되도록 조립되므로, 결국 상기 바닥조립판재(2)와 좌,우측 조립판재(3)(4) 및 커버조립판재(5) 각각은 서로서로 붙잡아 주는 상태로 연결 결합되어 견고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트랜치(1)를 조립하는 각 실시예에 대하여 성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트랜치(1)가 설치되는 지면이나 구조물 바닥에 시멘트몰탈이나 콘크리트몰탈 등으로 트랜치(1)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기초바닥면(G)을 구축한 다음, 상기한 기초바닥면(G) 위에 바닥조립판재(2)를 밀착시키는 상태로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바닥조립판재(2)의 길이방향 양단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좌,우측 판재지지부재(6a)(6b) 각각에 형성된 판재삽입부(62)에 좌,우측 조립판재(3)(4) 각각의 하단부분을 삽입시키는 방법으로 조립하는데,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3)(4)의 하단부분은 판재삽입부(62)를 형성하는 매립돌부(63)와 노출돌부(64) 사이로 꼭맞게 끼이는 상태로 삽입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바닥조립판재(2)의 길이방향 양측에 고정 형성되어 있는 좌,우측 판재지지부재(6a)(6b)에 수직상으로 삽입 조립되는 좌,우측 조립판재(3)(4) 각각은 상기한 좌,우측 판재지지부재(6a)(6b) 각각에 형성된 판재삽입부(62)에 붙잡힌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조립된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3)(4)의 각 상단에 형성된 좌,우측 커버지지부재(7a)(7b)의 커버지지부(72)에 커버조립판재(5)인 평판금속판재(5a)를 얹어놓는 상태로 조립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평판금속판재(5a)의 길이방향 양단이 좌,우측 커버지지부재(7a)(7b) 각각에 형성된 양측 돌출부(75) 사이에 끼이도록 하면서 평판금속판재(5a)의 저부 양측에 하향으로 돌출된 양측 끼움돌부(51)가 좌,우측 커버지지부재(7a)(7b)의 커버지지부(72) 각각에 형성된 양측 끼움홈(73)에 억지끼움되도록 조립하게 되면 상기 평판금속판재(5a)는 좌,우측 커버지지부재(7a)(7b)에 결합되는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의 트랜치(1)는 바닥조립판재(2) 양측의 좌,우측 판재지지부재(6a)(6b)에는 좌,우측 조립판재(3)(4) 각각의 하단부분이 붙잡힌 상태로 연결 조립되고,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3)(4)의 상단에 고정 부착된 좌,우측 커버지지부재(7a)(7b) 각각의 끼움홈(73)에는 커버조립판재(5)인 평판금속판재(5a)의 저부 양측에 형성된 끼움돌부(51)가 억지끼움되는 상태로 연결 조립되므로써, 결국 상기 바닥조립판재(2)와 좌,우측 조립판재(3)(4) 및 커버조립판재(5)인 평판금속판재(5a)는 서로서로 붙잡아주는 상태로 연결 조립되므로 각 조립판재는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로 조립된 트랜치(1)의 좌,우측 조립판재(3)(4)의 외측에 흙이나 시멘트몰탈 등을 채워줄 때 트랜치(1)의 조립상태가 변형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되며, 또한 상기 평만금속판재(5a)의 상면에 테이프(미도시) 등으로 다수의 배수공(52)을 밀봉시킨 다음 좌,우측 조립판재(3)(4)의 외측에 흙이나 시멘트몰탈을 채워주는 작업하게 되면 흙이나 시멘트몰탈 등이 트랜치(1)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게 되므로, 트랜치(1)의 좌,우 양측에 흙이나 시멘트몰탈 등을 채워주는 작업을 신속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어 트랜치(1)의 구축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트랜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트랜치(1)는 바닥조립판재(2)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된 좌,우측 판재지지부재(6a)(6b)에 좌,우측 조립판재(3)(4)를 삽입 조립하는 것은 전술한 실시예(도 1 및 도 2 참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3)(4) 각각의 상단에 고정 형성되는 좌,우측 커버지지부재(6a)(6b)에는 전술한 실시예(도 1 및 도 2 참조)와 마찬가지로 좌,우측 조립판재(3)(4)의 강도를 증강시키는 앵커부(71)와 커버지지부(72)가 형성되어 있는데, 싱기한 커버지지부(72)에는 상향으로 돌출하는 끼움돌기(7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커버지지부(72)에 안착되도록 조립되는 커버조립판재(5)는 상,하 지그재그상으로 절곡 가공된 절곡금속판재(5b)가 사용되는데, 상기한 절곡금속판재(5b)는 그 저부 양단에 형성되는 양측 하부 장홈(54) 속으로 좌,우측 커버지지부재(7a)(7b)의 커버지지부(72)에 돌출된 끼움돌기(74)가 억지끼움되도록 제작된 것이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조립판재(2)의 깅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좌,우측 판재지지부재(6a)(6b)의 판재삽입부(62) 각각에는 하단부분이 삽입되는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3)(4)이 각각 수직상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3)(4)의 각 상단에 고정 부착된 좌,우측 커버지지부재(7a)(7b)에 형성된 커버지지부(72) 각각에는 안착 조립되는 절곡금속판재(5b)는 그 양단에 형성된 하부 장홈(54)에는 상기한 커버지지부(72)에 돌출된 끼움돌기(74)가 억지끼움되는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므로 결국 상기한 실시예의 트랜치(1) 역시 전술한 실시예(도 1,2 참조)와 마찬가지로 바닥조립판재(2)와 좌,우측 조립판재(3)(4) 및 커버조립판재(5)인 절곡금속판재(5b)는 서로간에 붙잡아주는 상태로 견고하게 연결 조립되는 것이어서, 트랜치(1)의 좌우 양측에 흙이나 시멘트몰탈 등을 채워줄 때 조립된 트랜치(1)가 변형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바닥조립판재(2)와, 좌,우측 조립판재(3)(4)의 조립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며,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3)(4) 각각의 상단에 형성된 좌,우측 커버조립부재(7a)(7b)의 커버지지부(72)에 끼움돌기(74)에 절곡금속판재(5b)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하부 장홈(54)이 억지끼움되도록 조립하는 구성 역시 전술한 실시예(도 1,2 및 3,4 참조)와 일치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좌,우측 커버지지부재(7a)(7b) 각각에 형성된 돌출부(75)의 상단에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누름부(76)가 트랜치(1)의 좌,우측 조립판재(3)(4) 외측에 채워지는 흙이나 시멘트몰탈 등의 상면에 평탄하게 설치되는 바닥재(8)의 상면을 눌러주는 상태로 설치된다는 점이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구성이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실시예 역시, 전술한 실시예(도 3,4 및 도 5 참조)와 마찬가지로 바닥조립판재(2)와 좌,우측 조립판재(3)(4) 및 커버조립판재(5)를 절곡금속판재(5b)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동일하지만,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3)(4) 각각의 상단에 고정 부착된 좌,우측 커버지지부재(7a)(7b)에 형성된 돌출부(75)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 파지부(77)(78)가 외측을 향해 수평상으로 돌출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상기한 상,하부 파지부(77)(78)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트랜치(1)의 양측에 흙이나 시멘트몰탈 등으로 채워놓고 수평하게 다져진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재(8)의 상,하면을 붙잡아주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커버조립판재(5)인 그레이팅부재(5c)가 적용되며, 또한 커버지지부(72)에 끼움홈(73)이 형성된 좌,우측 커버지지부재(7a)(7b)가 고정 부착되어 있는 좌,우측 조립판재(3)(4)가 적용된 구성으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그레이팅부재(5c)의 길이방향 양단에 근접하는 위치의 양쪽에 강선(57)이 각각 길이방향으로 용접되어 있으며, 상기한 양측 강선(57)은 그 직경이 커버지지부(72)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홈(73)의 폭과 같다. 따라서 상기한 그레이팅부재(5c)를 좌,우측 커버지지부재(7a)(7b)의 커버지지부(72)에 안착시킬 때에는 강선(57)이 끼움홈(73)에 억지끼움되는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며, 또한 그레이팅부제(5c)의 길이방향 양단은 양측 돌출부(75) 각각에 지지되는 상태로 조립되므로 상기한 그레이팅부재(5c)는 좌,우측 조립판재(3)(4)를 붙잡아주는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커버조립판재(5)인 그레이팅부재(5c)를 끼움돌기(74)가 형성된 좌,우측 커버지지부재(7a)(7b)에 조립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좌,우측 커버지지부재(7a)(7b)의 커버지지부(72)에 돌출되어 있는 끼움돌기(74)가 그레이팅부재(5c)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장공(56)에 억지끼움되는 상태로 삽입 조립되므로 상기한 그레이팅부재(5c)와 좌,우측 조립판재(3)(4)가 서로 붙잡아주는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며, 상기 좌,우측 판재지지부재(7a)(7b)에 형성된 돌출부(75)의 상,하부에서 외측을 향해 수평상으로 돌출된 상,하측 파지부(77)(78)는 바닥재(8)의 상,하면을 파지하는 상태로 붙잡아주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의 도시와 같이 바닥조립판재(2)의 길이방향 양단에 앵커부(61)가 매립된 상태 고정 부착되는 좌,우측 판재지지부재(6a)(6b)에 형성된 매립돌부(63)와 노출돌부(64)는 바닥판재(2)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구성한 수 있으며, 이 경우 좌,우측 판재지지부재(7a)(7b)의 판재삽입부(62)는 좌우측 조립판재(3)(4)의 각 하단부분을 더욱 견고하게 붙잡아주게 되므로 트랜치(1)의 조립구조가 더욱 견고해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시멘트몰탈이나 콘크리트몰탈 등으로 구축되는 기초바닥면(G)은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상태로 구축되는데, 이러한 기초바닥면(G)의 경시각도에 맞추어 좌,우측 조립판재(3)(4)의 하단부분을 경사지게 가공하여 조립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한 좌,우측 조립판재(3)(4)가 서로 맞대어지도록 조립되는 전,후면을 경사지게 가공하여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트랜치(1)는 기초바닥면(G)이 물의 배수가 잘되도록 경사지게 구축되어 있더라도 상기한 기초바닥면(G)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1 : 트랜치 2 : 바닥조립판재
3,4 : 좌,우측 조립판재 5 : 커버조립판재
5a : 평판금속판재 5b : 굴곡금속판재
5c : 그레이팅부재 51 : 끼움돌부
52,55 : 배수공 53,54 : 상,하부 장홈
56 : 장공 57 : 강선
61,71 : 앵커부 62 : 판재삽입부
63 : 매립돌부 64 : 노출돌부
72 : 커버지지부 73 : 끼움홈
74 : 끼움돌기 75 : 돌출부
76 : 누름부 77,78 : 상,하측 파지부
8 : 바닥재

Claims (6)

  1. 바닥조립판재, 좌측조립판재, 우측조립판재 및 커버조립판재로 구성되는 트랜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조립판재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바닥조립판재의 심부를 향해 돌출된 상태로 매립되는 앵커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앵커부와는 일체로 형성된 채 상기 바닥조립판재의 양단에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한 좌,우측 조립판재의 하단부분이 끼워지도록 조립되게 하는 판재삽입부가 각각 형성되어 되어 있는 좌,우측 판재지지부재와;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 각각의 상단에는 좌,우측 조립판재 각각의 심부를 향해 돌출된 상태로 매립되는 앵커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앵커부와는 일체로 형성된 채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 각각의 상단에서 노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조립판재를 지지하는 커버지지부 및 상기한 커버지지부에 지지되는 상기 커버조립판재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상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좌,우측 커버지지부재;
    를 상기 바닥조립판재 및 좌,우측 조립판재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트랜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커버지지부재의 커버지지부에는 커버조립판재인 평판금속판재의 양단 저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끼움돌부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좌,우측 조립판재의 심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트랜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커버지지부재의 커버지지부에는 커버조립판재인 절곡금속판재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하부 장홈이나 장공들 중 상기 절곡금속판재의 길이방향 양단 끝부분에 위치하는 하부 장홈이나 장공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트랜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조립판재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되는 좌,우측 판재지지부재에는 바닥조립판재의 양단에 매립되는 상태로 밀착 형성되는 매립돌부와, 상기한 매립돌부와 평행하도록 돌출되는 노출돌부가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의 두께와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트랜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의 상단에 형성되는 좌,우측 커버지지부재 각각의 돌출부 상단에는 트랜치의 높이와 수평을 이루도록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재의 상면을 수평상으로 눌러주는 누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트랜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조립판재의 상단에 형성되는 좌,우측 커버지지부재 각각의 돌출부 상,하단에는 트랜치의 높이와 수평을 이루도록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재의 상,하면을 붙잡아 주는 상,하측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트랜치.
KR1020130056195A 2013-05-20 2013-05-20 조립식 트랜치 KR101437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195A KR101437845B1 (ko) 2013-05-20 2013-05-20 조립식 트랜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195A KR101437845B1 (ko) 2013-05-20 2013-05-20 조립식 트랜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845B1 true KR101437845B1 (ko) 2014-10-30

Family

ID=51995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195A KR101437845B1 (ko) 2013-05-20 2013-05-20 조립식 트랜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8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532Y1 (ko) * 1994-08-17 1997-06-05 주식회사 써니텍 지하주차장의 배수로 형틀(mold for trench of undergroun parking place)
KR200306432Y1 (ko) * 2002-10-17 2003-03-11 이해균 콘크리트 배수로
JP2007107234A (ja) * 2005-10-12 2007-04-26 Daiichi Kizai Kk 排水用側溝装置
KR101004319B1 (ko) * 2010-05-27 2010-12-27 최홍규 실내 바닥 배수용 트렌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532Y1 (ko) * 1994-08-17 1997-06-05 주식회사 써니텍 지하주차장의 배수로 형틀(mold for trench of undergroun parking place)
KR200306432Y1 (ko) * 2002-10-17 2003-03-11 이해균 콘크리트 배수로
JP2007107234A (ja) * 2005-10-12 2007-04-26 Daiichi Kizai Kk 排水用側溝装置
KR101004319B1 (ko) * 2010-05-27 2010-12-27 최홍규 실내 바닥 배수용 트렌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1229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화장실 벽체 조립 구조
KR101674827B1 (ko) 프리캐스트 벽 패널을 이용하는 수중 연속 구조물 및 이의 가설 공법
KR20110077334A (ko)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170103B1 (ko) 조립식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트렌치 구조
KR20130062566A (ko)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437845B1 (ko) 조립식 트랜치
KR20080025107A (ko) 개량형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48339B1 (ko) 비개착공법용 지중압입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650976B1 (ko) 건축물 기초말뚝 설치구조
KR200472767Y1 (ko) 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KR101212619B1 (ko) 중공박스형 기초구조
KR100789216B1 (ko) 네일건을 사용하여 시공되는 배수판결합구조 및 이를이용한 배수판시공방법
KR101366139B1 (ko) 배수판 조립체
KR101354969B1 (ko) 토사붕괴방지를 위한 토류판 설치방법
JP6196088B2 (ja) 一体式基礎型枠および基礎型枠連結構造
KR200431553Y1 (ko) 스폐이서가 구비된 배수판
JP7174587B2 (ja) 断熱基礎の施工方法
KR101247790B1 (ko) 지하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의 연결구조
EP3792405A1 (en) Facing element for a front wall of a stabilized soil structure, and stabilized soil structure built with such facing elements
ES2644688T3 (es) Conjunto para la colocación de hormigón, que incluye una guía de enrasado/junta de control
KR101325717B1 (ko) 배수판 조립체
KR101459690B1 (ko) 빌트인 프리캐스트 패널옹벽 어셈블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00533B1 (ko)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
KR20130142443A (ko)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버스정류장의 기초구조 및 그 시공방법
WO2005011077A1 (en) Protective strip for underground o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