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533B1 -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 - Google Patents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533B1
KR101000533B1 KR1020080041766A KR20080041766A KR101000533B1 KR 101000533 B1 KR101000533 B1 KR 101000533B1 KR 1020080041766 A KR1020080041766 A KR 1020080041766A KR 20080041766 A KR20080041766 A KR 20080041766A KR 101000533 B1 KR101000533 B1 KR 101000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ipe
spacer
corrugated
fixing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6075A (ko
Inventor
강영우
임충남
Original Assignee
임충남
강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충남, 강영우 filed Critical 임충남
Priority to KR1020080041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533B1/ko
Publication of KR20090116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0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alig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송·배전용 케이블을 인입하기 위하여 지중에 포설하는 2개이상의 파형관을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에 관한 것으로, 파형관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고, 그 설치 갯수에 있어서도 기존에 비해서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송·배전용 케이블을 인입하기 위하여 지중에 포설하는 2개이상의 파형관을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고정하는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파형관 골부위에 밀착되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원형의 하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좌,우측에 형성된 결착부; 및 상기 결착부 사이에 연결되어서 양쪽 파형관을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킬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된 간격유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형관, 간격재, 송배전용 케이블.

Description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Spacer for fixing Corrugated Pipe}
본 발명은 송·배전용 케이블을 인입하기 위하여 지중에 포설하는 2개이상의 파형관을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에 관한 것이다.
송·배전용 케이블을 인입하기 위하여 지중에 포설하는 2개이상의 파형관을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고정하기 위하여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를 사용하고 있다.
도 9는 종래의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 9를 참조하여 종래의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에 대하여 살펴본다.
종래의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는 중앙에 파형관을 수용해서 지지하도록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된 관통공(101)과, 상기 관통공(101)의 좌ㆍ우측을 각각 둘러싸는 일정한 폭의 좌ㆍ우측 벽체(102,103)와, 상기 좌ㆍ우측 벽체(102,103)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관통공(101)의 상부를 일체적으로 덮는 상부 벽체(104)와, 상기 좌ㆍ우측 벽체(102,103) 및 상기 상부 벽체(104)의 깊이방향 중앙에 일정 두께로 수직 으로 형성되어 전후를 구획하는 구획판(105)과, 상기 구획판(105)의 전후면에 특정간격을 두고 상기 구획판(105)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뻗어서 보강하는 다수의 가로 및 세로방향 보강 돌출판(106,107)과, 상기 우측 벽체(103)의 외측면에 전체 깊이방향으로 돌출해서 형성된 길다란 제1 원형 돌기(108)와, 상기 우측 벽체(103)의 외측면에 돌출해서 형성된 길다란 제1 원형 돌기(108)가 삽입되도록 상기 좌측 벽체(102)의 외측면에 전체 깊이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되며, 원형형상으로 형성된 사이드 원형관통공(109)과, 상기 좌측 및 우측 벽체(102,103)의 상부면 중앙에 전체 깊이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되며 원형형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상부 원형관통공(110,111)과, 상기 좌측 및 우측 벽체(102,103)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원형관통공(110,111) 내에 삽입되도록 상기 좌측 및 우측 벽체(102,103)의 상부면 중앙에 전체 깊이방향으로 돌출해서 형성된 제1 및 제2 하부 원형돌기(112,113)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는 파형관의 포설시에 파형관과 인접하는 다른 파형관 사이의 좌우 이격 표준은 10cm를 이격시키고, 간격재의 간격은 3m 마다 설치하여야 하고, 파형관을 1단 포설한 후에, 간격재의 좌측 벽체(102)에 형성된 사이드 원형 관통공(109) 내에 다른 간격재의 우측 벽체(103)에 형성된 제1 원형돌기(108)를 앞쪽 또는 뒤쪽에서 밀어넣어서 다수개의 간격재를 가로방향으로 결합하여 상기 파형관의 외주면에 파형관의 관통공(101) 내에 위치시켜서 1단의 간격재에 의해 포설된 파형관을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간격재에 의해 고정된 파형관의 상부에 10cm까지 모래를 메우고 다지기한 후에 아래에 위치한 간격재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상부 원형 관통공(110,111)의 앞쪽 방향 또는 뒤쪽방향에서 다른 간격재의 좌측 및 우측 벽체(101,102)의 하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하부 원형돌기(112,113)를 밀어넣어서 2단 간격재로 결합해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단으로 포설된 파형관을 위치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이 1단 간격재의 상부에 2단간격재를 결합시키는 방법은 모래를 되메우기한 후 다질 때에 1단 간격재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원형 관통공(110,111) 내에 모래가 채워져서 1단 간격재 상에 2단 간격재를 조립할려면 상기 1단 간격재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원형 관통공(110,111) 내에 채워진 모래를 작업자의 손이나, 또는 도구를 사용하여 제거한 후에 망치 등의 공구나 손 또는 발로 쳐서 조립해야 하는 작업상의 불편이 따랐다.
그리고, 1단 간격재의 우측 벽체에 형성된 제1 원형 돌기를 인접하는 또 다른 1단 간격재의 좌측 벽체에 형성된 사이드 원형관통공에 삽입시켜 고정해야 했기 때문에, 간격재를 설치하는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부 벽체(104)가 일정폭을 가지면서 평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2단이상의 파형관을 포설하여 모래 또는 석분으로 되메우기 및 다짐 작업을 할 때, 파형관에 결합되어 있는 간격재 주변을 견고하게 다질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즉, 진동컴팩트 장비를 이용하여 다짐 작업을 하는데 상부 벽체(104)가 지장을 주기 때문에, 간격재 주변의 되메움재가 느슨한 상태로 다짐이 불량하게 되어, 노면의 복구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간격재 주변의 되메움 모래가 견고하게 다져지지 않은 부분으로 이동하여 공극을 메워서 다져짐에 따라 간격재 사이의 파형관이 전체적으로 침하하게 되는데, 이때 하단부에 설치된 간격재의 상부 벽체(104)가 침하되는 상단에 포설된 파형관의 하부를 구속하여 부등침하가 발생되어 파형관이 물결 형상으로 굴곡지게 되어, 케이블을 인입할 때 파형관의 굴곡진 부위로 인한 케이블의 측압 증대 등으로 인입작업이 곤란하게 되어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케이블의 손상 위험이 있다.
또한, 파형관은 나선형으로 산과 골이 형성된 것인데, 종래의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는 사각판체 형태로 이루어져, 관통공(101)의 내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파형관의 외주면에 관통공의 내측면이 밀착되지 않고 들떠 있는 부분이 생겨서 그 결합상태가 불안정하고 견고하지 못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종래의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는 1개당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포설하는 파형관 1개당 1개를 필요로 하고, 적어도 2개이상 연결된 간격재를 3M정도의 설치간격을 두고서 연속적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간격재를 필요로 하여 그에 따른 비용으로 인한 시공단가도 높아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파형관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고, 그 설치 갯수에 있어서도 기존에 비해서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모래 되메우기 작업을 할 때, 다짐두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다짐작업을 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다짐 작업이 가능한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운반이 용이하고, 편한 자세로 파형관에 결합할 수 있는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파형관의 골부위에 밀착되어 그 고정상태가 매우 견고한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파형관을 적층시켜 포설하는 경우, 상,하부에 위치한 파형관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상호간을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적층용 간격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배전용 케이블을 인입하기 위하여 지중에 포설하는 2개이상의 파형관을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고정하는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파형관 골부위에 밀착되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원형의 하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좌,우측에 형성된 결착부; 및 상기 결착부 사이에 연결되어서 양쪽 파형관을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킬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된 간격유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간격유지부의 상부에서 연결되어 일정높이로 세워진 다짐두께 확인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형관을 적층시켜 포설하는 경우, 상,하부에 위치한 파형관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상호간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적층용 간격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적층용 간격재는 일정높이를 가지며, 상기 간격유지부에 끼울 수 있도록 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의 상부에 일정높이를 가지는 적층용 간격재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적층용 간격재의 상단부에는, 또 다른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의 간격유지부에 끼울 수 있도록 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짐두께 확인봉의 상단부에는,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과 아울러, 파형관에 결합할 때 잡고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에는 상기 적층용 간격재의 끼움부가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형관의 골부위에 밀착되는 부위인, 상기 결착부의 내측면은 파형관의 골부위에 맞도록 원호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파형관의 골부위에 맞게 결착부가 양편에 형성되어 간격유지부에 의해 연결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제작단가가 저렴하여 판매단가도 낮출 수 있다.
둘째, 결착부가 어느 정도 탄성력을 가져서 파형관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셋째, 파형관 2개당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 1개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형관을 3개이상 나란하게 배치하여 포설하는 경우, 파형관 상호간을 번갈아가면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에 비해서 1/2 ~ 1/3 정도로 적은 양을 사용할 수 있고, 그에 따른 구입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를 설치하는 작업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넷째, 모래 되메우기 작업을 할 때, 다짐두께 확인봉에 의해서 다짐두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상기 다짐두께 확인봉은 그 굵기가 매우 얇기 때문에 다짐작업을 하는데 전혀 지장을 주지 않으므로,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가 위치한 상부의 다짐을 견고하게 할 수 있어 부등침하가 발생될 우려가 없고, 이에 따라 파형관에 송·배전용 케이블 인입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다섯째, 다짐두께 확인봉의 상단부에 형성된 손잡이를 사용하여 파형관에 결합하기 위하여 운반을 하는데 편리하고, 작업에 편한 자세로 파형관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여섯째, 파형관의 골부위에 밀착되도록 결착부의 내측면이 형성되어 그 고정상태가 매우 견고하다.
일곱째, 파형관을 적층시켜 포설하는 경우, 적층용 간격재를 이용하여 상,하부에 위치한 파형관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상호간을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 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를 파형관에 결합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도 2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파형관에 결합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송·배전용 케이블(2)을 인입하기 위하여 지중에 포설하는 2개이상의 파형관(1)을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서 매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각각의 파형관(1) 골부위(1a)에 밀착되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원형의 하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좌,우측에 형성된 결착부(11)(12)와, 상기 결착부(11)(12) 사이에 연결되어서 양쪽 파형관(1)을 일정간격(D)으로 이격시킬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된 간격유지부(13)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형관(1)의 골부위(1a)에 밀착되는 부위에 해당하는 상기 결착부(11)(12)의 내측면은 파형관(1)의 골부위(1a)에 맞도록 원호 단면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착부(11)(12)는 원형봉과 같은 형태로, 즉 그 절단면이 원형단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10)는 합성수지재, 금속재, 고무재 등을 원료로 하여 금형제작에 의해 성형할 수 있는데, 파형관(1)의 골부위(1a)에 맞게 'U'형 단면 또는 속이 빈 원형을 갖도록 함으로써, 제작시에 소요되는 원료를 절약할 수 있다.
상기 결착부(11)(12)가 이루고 있는 원형의 내경은 파형관(1)의 골부위(1a)외경에 맞게 형성된 것이고, 결착부(11)(12)의 개방된 하부의 폭은 파형관(1)의 골부위(1a) 외경보다는 조금 작게 이루어진 것인데, 이는 결착부(11)(12)를 파형관(1)의 골부위(1a)에 결합할 때, 결착부(11)(12)의 하부가 벌어졌다가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파형관(1)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간격유지부(13)는 결착부(11)(12)와 동일한 두께로 연결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면서 상기 간격유지부(13)의 상부에 다짐두께 확인봉(14)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다짐두께 확인봉(14)은 간격유지부(13)의 상부에서 연결되어 일정높이로 세워지는데, 그 높이는 파형관(1)의 상부에 모래로 되메우기 작업을 할 때, 다짐두께(H)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다짐두께 확인봉(14)의 상단부에는 'T'자 형태로 손잡이(15)를 형성하여, 이 부위에 손가락을 걸어서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10)를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파형관(1)에 결합할 때 손잡이(15)를 잡고서 서있는 편한 자세로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10)의 설치방법 및 작용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지반을 일정 깊이로 파내고, 그 바닥면에 다수개의 파형관(1)을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포설한다.
배치한 파형관(1)의 상부에서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10)의 결착부(11)(12)를 각각의 파형관(1)의 골부위(1a)에 결합한다. 그러면 결착부(11)(12) 사이에 연결된 간격유지부(13)에 의해 파형관(1)이 일정한 간격(D)으로 이격되고, 결착부(11)(12)가 각각 파형관(1)의 골부위(1a)에 밀착되므로 고정상태가 매우 견고하게 되면서 파형관(1)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모래 되메우기 및 다짐 작업을 하는데, 되메우기 및 다짐 작업후, 파형관(1)이 완전히 묻히면서 상하단 파형관간의 규정된 상하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정한 상부두께를 확보해야 하며, 되메우기를 한 후에는 진동다짐 또는 물다짐을 시행하여 견고하게 다진다. 이때, 본 발명에 구성된 다짐두께 확인봉(14)을 이용하여 알맞은 다짐두께(H)가 되었는지 즉시 알아볼 수 있다.
즉, 모래를 다지는 작업을 하면서 다짐두께 확인봉(14)의 상단부가 노출되지 않으면 적정한 다짐두께(H)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다짐두께 확인봉(14)의 상단부에 손잡이(15)를 형성한 경우에는 손잡이(15)의 상단부가 노출되지 않는 것을 보고 판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 후에는, 다져진 모래면에 상기와 같은 방법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필요한 단수, 다시 말해서 아래 위 2단이상으로 파형관(1)을 포설할 수도 있다.
도 5는 파형관을 2개이상 배치하는 경우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파형관(1) 3개를 나란하게 포설하는 경우, 도면에서 좌측에 위치한 파형관(1)과 가운데에 위치한 파형관(1)에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10)를 결합하여 상기한 파형관(1) 사이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고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결합한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10)의 위치에서 일정거리를 두고 떨어진 위치에서 또 다른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10)을 가운데와 우측에 위치한 파형관(1)에 결합하여 이들 파형관(1)도 마찬가지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10)는 파형관(1)을 3개이상 나란하게 배치하여 포설하는 경우, 파형관(1) 상호간을 번갈아가면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에 비해서 적은 양을 사용할 수 있고, 그에 따른 구입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를 설치하는 작업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10)는 횡렬을 이루어 설치된 파형관(1) 3개를 한꺼번에 고정할 수 있도록 결착부(11)(12) 를 3개 형성하고, 이들 사이에 간격유지부(13)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포설하는 파형관(1)의 횡렬 갯수에 따라 결착부와 간격유지부를 가지도록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하나의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를 이용하여 3개이상의 파형관(1)들을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서, 도 6은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구성에 적층용 간격재(20)를 더 포함한 것이다.
상기 적층용 간격재(20)는 파형관(1)을 적층시켜 2단이상으로 포설하는 경우, 상,하부에 위치한 파형관(1)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상호간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적층용 간격재(20)는 일정높이를 가지며,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10)의 간격유지부(13)에 끼울 수 있도록 위와 아래를 향해 'U'자 형태로 끼움부(21)(2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간격유지부(13)에 적층용 간격재(20)의 끼움부(21)(22)를 끼웠을 때, 그 고정상태가 변화되어 수직상태를 이루지 않고 기울어지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간격유지부(13)에는 적층용 간격재(20)의 끼움부(21)(22)가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끼움홈(16)을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끼움홈(16)이 형성된 부위의 간격유지부(13) 두께는, 상기 적층용 간격 재(20)에 형성된 끼움부(21)(22)의 열려진 부위에 비해서 어느 정도 두꺼운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상기 끼움부(21)(22)를 끼움홈(16)에 삽입할 때, 벌어지면서 결합되어 벌어짐에 의해 생겨진 복원력을 유지하고 있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끼움부(21)(22) 각각의 양측면은 끼움홈(16)에 의해 걸려져 있으므로 간격유지부(13)에 결합된 상태가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배치하는 파형관(1) 상호간을 제3 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10)를 결합하여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포설한 상태에서, 파형관(1)에 결합된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10)의 간격유지부(13)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홈(16)에, 적층용 간격재(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부(22)를 결합하고, 그 위에 배열된 파형관(1)에도 제3 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10)를 결합하면서 이것의 간격유지부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홈(16)에 적층용 간격재(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부(21)를 결합함으로써, 일정높이를 가지는 적층용 간격재(20)에 의해 상,하부에 위치한 파형관(1)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면서 상호간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층용 간격재(20)는 위에서 먼저 설명한 다짐두께 확인봉(14)의 기능도 할 수 있는데, 도 7에 나타나 있듯이, 상부에 위치한 파형관(1)에 결합된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10)의 간격유지부에 적층용 간격재(20)를 결합하여 모래 되메우기 작업을 할 때, 적층용 간격재(20)의 상단부가 노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여 알맞은 다짐두께(H)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적층용 간격재(20)는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10)와 분리형으로 도시하였으나,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10)와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10)의 간격유지부(13)에 적층용 간격재(20)의 하단부가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상단부에만 끼움부(2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적층용 간격재(20)가 일체로 형성된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10)의 경우에는 파형관(1)을 2단이상으로 포설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고, 파형관(1)을 1단으로 포설하는 경우에서는 다짐두께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로서, 앞에서 설명한 제3 실시예의 구성에서 적층용 간격재(20)의 상단부에 형성된 끼움부(21)를 'U'자 형태로 형성하지 않고 평판의 끼움판(23)을 형성한 것이고, 그에 따라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10)의 간격유지부(13)의 바닥면에도 상기 끼움판(23) 부위가 삽입될 수 있도록 끼움공(17)을 형성한 것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상기한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적층용 간격재(20)의 상단부에 'U'자 형태의 끼움부(21)를 통해 다짐 작업 후 모래가 끼게 되는 경우, 적층용 간격재(20)의 끼움부(21)를 간격유지부(13)에 연결하는 작업이 불편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제4 실시예에서는 적층용 간격재(20)의 상단부에 끼움판(23)을 형성하였고, 간격유지부(13)의 바닥면에 끼움공(17)을 형성하여 소켓과 같은 형태로, 끼움공(17)에 끼움판(23)을 끼움결합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파형관의 외경은 보통 230mm, 260mm 등이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는 결착부가 파형관에 결합시 변형없이 결합되거나, 벌어졌다 원상태로 회복될 수 있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파형관의 외경이 큰 것에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를 파형관에 결합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도 2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파형관에 결합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파형관을 2개이상 배치하는 경우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서, 도 6은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9는 종래의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간격재 11, 12 : 결착부
13 : 간격유지부 14 : 다짐두께 확인봉
15 : 손잡이 16 : 끼움홈
D : 간격 H : 다짐두께
20 : 적층용 간격재 21, 22 : 끼움부

Claims (7)

  1. 송·배전용 케이블(2)을 인입하기 위하여 지중에 포설하는 2개이상의 파형관(1)을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고정하는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파형관(1) 골부위(1a)에 밀착되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원형의 하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좌,우측에 형성된 결착부(11)(12);
    상기 결착부(11)(12) 사이에 연결되어서 양쪽 파형관(1)을 일정간격(D)으로 이격시킬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된 간격유지부(13);
    상기 파형관(1)을 적층시켜 포설하는 경우, 상, 하부에 위치한 파형관(1)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상호간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적층용 간격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13)의 상부에서 연결되어 일정높이로 세워진 다짐두께 확인봉(1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용 간격재(20)는 일정높이를 가지며, 상기 간격유지부(13)에 끼울 수 있도록 끼움부(21)(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용 간격재(20)는 일정높이를 가지며, 상기 간격유지부(13)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적층용 간격재(20)의 상단부에는, 또 다른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10)의 간격유지부(13)에 끼울 수 있도록 끼움부(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짐두께 확인봉(14)의 상단부에는,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과 아울러, 파형관(1)에 결합할 때 잡고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13)에는 상기 적층용 간격재(20)의 끼움부(21)(22)가 밀착 되어 고정되도록 끼움홈(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관(1)의 골부위(1a)에 밀착되는 부위인, 상기 결착부(11)(12)의 내측면은 파형관(1)의 골부위(1a)에 맞도록 원호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
KR1020080041766A 2008-05-06 2008-05-06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 KR101000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766A KR101000533B1 (ko) 2008-05-06 2008-05-06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766A KR101000533B1 (ko) 2008-05-06 2008-05-06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075A KR20090116075A (ko) 2009-11-11
KR101000533B1 true KR101000533B1 (ko) 2010-12-14

Family

ID=41600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766A KR101000533B1 (ko) 2008-05-06 2008-05-06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5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081A (ko) 2017-01-16 2018-07-26 승리전력기술(주) 포설가이드를 갖는 이동식 원토선별포설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12548A (ja) * 2018-07-20 2020-01-23 株式会社ディスコ 治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58222U (ko) 1974-06-15 1975-12-27
JPS5110619U (ko) 1974-07-11 1976-01-26
KR100659167B1 (ko) * 2006-09-26 2006-12-20 (주)부한전력기술단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58222U (ko) 1974-06-15 1975-12-27
JPS5110619U (ko) 1974-07-11 1976-01-26
KR100659167B1 (ko) * 2006-09-26 2006-12-20 (주)부한전력기술단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081A (ko) 2017-01-16 2018-07-26 승리전력기술(주) 포설가이드를 갖는 이동식 원토선별포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075A (ko)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526B1 (ko) 뒷길이 보강재 결속형 토낭 연결재
KR200429651Y1 (ko)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
KR101873313B1 (ko) 기능별 전용 연결구를 이용하여 시공성과 시공 안정성을 증대한 조립식 지오셀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1000533B1 (ko)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
KR101649874B1 (ko) 조형석을 이용한 옹벽
KR200396209Y1 (ko)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옹벽블록
KR101295331B1 (ko) 토사백 연결구
KR20090060850A (ko) 식생 보강패널과 이를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019370B1 (ko) 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JP6224037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1567420B1 (ko) 공동주택용 지중배전관 간격 유지장치
KR100776778B1 (ko) 송·배전용 파형관의 보호 및 고정을 위한 간격재
JP2018117412A (ja) トラフ本体のトラフ支持杭への固定方法、トラフ線路の敷設方法、トラフ本体とトラフ支持杭との固定構造
JP3023664B2 (ja) 地中埋設用多条管
KR200396208Y1 (ko)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옹벽블록
KR20200077882A (ko) 상하수도관의 매립설치구조물
JP5344419B2 (ja) 擁壁用背面ブロック、擁壁の構築方法及び擁壁
JP2004084766A (ja) 地中埋設管体の埋設方法
CN214614089U (zh) 一种基坑施工用的支护装置
KR101328438B1 (ko) 담장용 블록의 기초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조 담장
KR100993140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70077335A (ko) 결합수단을 구비한 옹벽블록
KR101089661B1 (ko) 보강토 옹벽 블럭
KR101157475B1 (ko) 옹벽 블록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784779B1 (ko) 고정홈을 구비한 조립식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