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167B1 -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167B1
KR100659167B1 KR1020060093362A KR20060093362A KR100659167B1 KR 100659167 B1 KR100659167 B1 KR 100659167B1 KR 1020060093362 A KR1020060093362 A KR 1020060093362A KR 20060093362 A KR20060093362 A KR 20060093362A KR 100659167 B1 KR100659167 B1 KR 100659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pipe
distribution
frame
underground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범
Original Assignee
(주)부한전력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한전력기술단 filed Critical (주)부한전력기술단
Priority to KR1020060093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63Installation, e.g. suspension, of conduit channel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 배전 지중관이 프레임 부재 내에 설치되므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들 상호 간에 간격이 유지되며 잠금 부재에 의해 잠겨지므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이 쉽게 본래의 위치로부터 일탈되지 않으며, 상기 프레임 부재의 연결부재는 파괴 유도 부위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이 지중 환경의 영향을 받아 충격을 받게 될 경우 먼저 파괴되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의 손상을 막아주게 되고, 상기 프레임 부재의 연결부재의 파괴 유도 부위가 파괴되더라도 상기 프레임 부재가 상호 간에 과도하게 멀리 떨어지지 않도록 해주며, 지상에서 육안으로 상기 프레임 부재이나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의 손상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송전 및 배전을 위한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을 고정시켜 주는 복수 개의 프레임 부재로 형성되는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을 상하 좌우로 연결해 주는 연결 부재로 형성되며, 연결 부재 중간에 파괴 유도선 부위가 형성되어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이 지중 환경의 영향을 받아 충격을 받게 될 경우 상기 파괴 유도선 부위가 먼저 파괴됨으로써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의 손상을 막아주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연결부(200), 상기 프레임 연결부(200)의 상단부로부터 지면(1200)으로 연결되는 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이나 상기 프레임 연결부(200)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상 노출 표시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전, 배전.

Description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Fixing device of underground pipe for transmission of electricity and distribution of electricity}
도 1은 본 발명 송전 및 배선용 지중관 고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송전 및 배선용 지중관 고정 장치의 구성요소인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송전 및 배선용 지중관 고정 장치의 구성요소인 프레임 연결부(200)의 정면도로, 파괴 유도선 홈부(210)를 따라 상기 프레임 연결부(200)가 파괴된 경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송전 및 배선용 지중관 고정 장치의 구성요소인 지상 노출 표시부(500)의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중관 고정 프레임 101 : 프레임 몸체부
102 : 지중관 통과 오목부 105 : 지중관 몸체부 다리부
120 : 잠금봉 121 : 잠금부 관통부
200 : 프레임 연결부 201 : 프레임 연결부 몸체부
210 : 파괴 유도선 홈부 220 : 탄성체 보호 주름관부 250 : 탄성체부 500 : 지상 노출 표시부 510 : 표시부 연결봉 512 : 표시 원반부 550 : 원반부 보호 용기 551 : 투명부 555 : 용기 다리부 1100 : 송전 배전 지중관 1200 : 지면
본 발명은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송전 및 배전을 위한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을 고정시켜 주는 복수 개의 프레임 부재로 형성되는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을 상하 좌우로 연결해 주는 연결 부재로 형성되며, 연결 부재 중간에 파괴 유도선 부위가 형성되어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이 지중 환경의 영향을 받아 충격을 받게 될 경우 상기 파괴 유도선 부위가 먼저 파괴됨으로써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의 손상을 막아주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연결부(200), 상기 프레임 연결부(200)의 상단부로부터 지면(1200)으로 연결되는 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이나 상기 프레임 연결부(200)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상 노출 표시부(50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은 송전 배전 지중관이 프레임 부재 내에 설치되므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들 상호 간에 간격이 유지되며 잠금 부재에 의해 잠겨지므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이 쉽게 본래의 위치로부터 일탈되지 않으며, 상기 프레임 부재의 연결부재 는 파괴 유도 부위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이 지중 환경의 영향을 받아 충격을 받게 될 경우 먼저 파괴되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의 손상을 막아주게 되고, 상기 프레임 부재의 연결부재의 파괴 유도 부위가 파괴되더라도 상기 프레임 부재가 상호 간에 과도하게 멀리 떨어지지 않도록 해주며, 지상에서 육안으로 상기 프레임 부재이나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의 손상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전 및 배전은 지상의 가공선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지중을 통과하는 지중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중관은 토양속에 묻히게 되므로 적정한 간격의 유지가 어렵고, 갑작스런 지중 환경의 변화로 손상될 수도 있다.
만약, 송전 배전 지중관이 프레임 부재 내에 설치되므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들 상호 간에 간격이 유지되며, 잠금 부재에 의해 잠겨지므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이 쉽게 본래의 위치로부터 일탈되지 않는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상기 프레임 부재의 연결부재는 파괴 유도 부위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이 지중 환경의 영향을 받아 충격을 받게 될 경우 먼저 파괴되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의 손상을 막아주게 된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상기 프레임 부재의 연결부재의 파괴 유도 부위가 파괴되더라도 상기 프레임 부재가 상호 간에 과도하게 멀리 떨어지지 않도록 형성되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지상에서 육안으로 상기 프레임 부재이나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의 손 상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송전 배전 지중관이 프레임 부재 내에 설치되므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들 상호 간에 간격이 유지되며, 잠금 부재에 의해 잠겨지므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이 쉽게 본래의 위치로부터 일탈되지 않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프레임 부재의 연결부재는 파괴 유도 부위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이 지중 환경의 영향을 받아 충격을 받게 될 경우 먼저 파괴되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의 손상을 막아주게 되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프레임 부재의 연결부재의 파괴 유도 부위가 파괴되더라도 상기 프레임 부재가 상호 간에 과도하게 멀리 떨어지지 않도록 해주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상에서 육안으로 상기 프레임 부재이나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의 손상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 프레임 연결부(200), 지상 노출 표시 부(500)를 포함한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송전 및 배선용 지중관 고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에서는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이 3개씩 두 줄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의 수량은 필요에 따라 사용처에 알맞게 제작된다.
본 발명은 송전 및 배전을 위한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을 고정시켜 주는 복수 개의 프레임 부재로 형성되는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을 상하 좌우로 연결해 주는 연결 부재로 형성되며, 연결 부재 중간에 파괴 유도선 부위가 형성되어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이 지중 환경의 영향을 받아 충격을 받게 될 경우 상기 파괴 유도선 부위가 먼저 파괴됨으로써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의 손상을 막아주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연결부(200), 상기 프레임 연결부(200)의 상단부로부터 지면(1200)으로 연결되는 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이나 상기 프레임 연결부(200)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상 노출 표시부(50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 송전 및 배선용 지중관 고정 장치의 구성요소인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의 사시도이다.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은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의 몸체로 형성되는 프레임 몸체부(101)의 중앙 부위가 움푹 파여져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이 통과하는 오목한 부위로 형성되는 지중관 통과 오목부(102), 상기 지중 관 통과 오목부(102)를 사이에 두고 있는 상기 프레임 몸체부(101) 부위로 양쪽으로 길게 뻗어 있는 두 개의 지중관 몸체부 다리부(105)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이 상기 지중관 통과 오목부(102)를 일탈하지 않도록 봉형 부재를 삽입 관통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잠금부 관통부(121), 상기 잠금부 관통부(121)를 관통하는 봉형 부재로 형성되는 잠금봉(1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은 폐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봉(120)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은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 내에 설치되므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들 상호 간에 간격이 유지되며, 상기 잠금봉(120)에 의해 잠겨지므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는 쉽게 본래의 위치로부터 일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송전 배전 지중관이 프레임 부재 내에 설치되므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들 상호 간에 간격이 유지되며, 잠금 부재에 의해 잠겨지므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이 쉽게 본래의 위치로부터 일탈되지 않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 송전 및 배선용 지중관 고정 장치의 구성요소인 프레임 연결부(200)의 정면도로, 파괴 유도선 홈부(210)를 따라 상기 프레임 연결부(200)가 파괴된 경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상기 프레임 연결부(200)는 상기 프레임 연결부(200)의 몸체로 형성되는 프 레임 연결부 몸체부(201)의 측면의 기다란 홈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이 지중 환경의 영향을 받아 충격을 받게 될 경우 상기 기다란 홈 부위가 먼저 파괴되면서 상기 프레임 연결부(200)가 둘로 분리되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의 손상을 막아주도록 형성되는 상기 기다란 홈 부위인 파괴 유도선 홈부(210), 상기 프레임 연결부 몸체부(201)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탄성체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의 양단부는 두 개의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에 상하 또는 좌우로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는 신장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다가 상기 파괴 유도선 홈부(210)가 파괴된 경우 두 개의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이 과도하게 멀리 떨어지지 않도록 해주도록 형성되는, 상기 탄성체인 탄성체부(250), 상기 탄성체부(250)를 보호해 주는 주름관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파괴 유도선 홈부(210)가 파괴된 경우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기 주름관 부재인 탄성체 보호 주름관부(2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연결부(200)는 폐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파괴 유도선 홈부(210)는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이 지중 환경의 영향을 받아 충격을 받게 될 경우 먼저 파괴되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의 손상을 막아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부재의 연결부재는 파괴 유도 부위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이 지중 환경의 영향을 받아 충격을 받게 될 경우 먼저 파괴되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의 손상을 막아주게 되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탄성체부(250)는 용수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부(250)는 신장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파괴 유도선 홈부(210)가 파괴된 경우 상기 탄성체부(250)는 상호 간에 벌어진 두 개의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의 간격을 좁혀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부재의 연결부재의 파괴 유도 부위가 파괴되더라도 상기 프레임 부재가 상호 간에 과도하게 멀리 떨어지지 않도록 해주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 송전 및 배선용 지중관 고정 장치의 구성요소인 지상 노출 표시부(500)의 사시도이다.
상기 지상 노출 표시부(500)는 지상에 노출되는 원통형 부재로 형성되며, 상부면은 투명한 부재로 형성되어 내부가 들여다보이도록 형성되는 원반부 보호 용기(550), 상기 프레임 연결부(200)의 상단부로부터 지면(1200)을 향한 수직 봉형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 봉형 부재의 상단부로 원반형으로 형성되는 표시 원반부(512)가 상기 원반부 보호 용기(550) 내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표시부 연결봉(51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연결봉(510)은 폐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상 노출 표시부(500)의 원반부 보호 용기(550)는 상기 원반부 보호 용기(550)의 상부면인 윗 덮개로 형성되되 투명한 부재로 형성되는 투명부(551), 상기 원반부 보호 용기(550)의 하부로 상기 원통형 부재의 원주 부분이 밑으로 연장되는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원반부 보호 용기(550)가 지중에 안정되게 고정되도 록 형성되는 용기 다리부(555)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부(551) 안으로 상기 표시 원반부(512)가 보이게 되는데,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이나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이 손상되거나 제 위치를 일탈한 경우에는 상기 표시 원반부(512)가 당초의 위치에 있지 않게 되므로, 지상에서 육안으로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이나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의 손상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상에서 육안으로 상기 프레임 부재이나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의 손상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으로 송전 배전 지중관이 프레임 부재 내에 설치되므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들 상호 간에 간격이 유지되며, 잠금 부재에 의해 잠겨지므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이 쉽게 본래의 위치로부터 일탈되지 않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상기 프레임 부재의 연결부재는 파괴 유도 부위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이 지중 환경의 영향을 받아 충격을 받게 될 경우 먼저 파괴되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의 손상을 막아주게 되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상기 프레임 부재의 연결부재의 파괴 유도 부위가 파괴되더라도 상기 프레임 부재가 상호 간에 과도하게 멀리 떨어지지 않도록 해주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지상에서 육안으로 상기 프레임 부재이나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의 손상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5)

  1. 송전 및 배전을 위한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을 고정시켜 주는 복수 개의 프레임 부재로 형성되는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을 상하 좌우로 연결해 주는 연결 부재로 형성되며, 연결 부재 중간에 파괴 유도선 부위가 형성되어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이 지중 환경의 영향을 받아 충격을 받게 될 경우 상기 파괴 유도선 부위가 먼저 파괴됨으로써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의 손상을 막아주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연결부(200);
    상기 프레임 연결부(200)의 상단부로부터 지면(1200)으로 연결되는 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이나 상기 프레임 연결부(200)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상 노출 표시부(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은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의 몸체로 형성되는 프레임 몸체부(101)의 중앙 부위가 움푹 파여져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이 통과하는 오목한 부위로 형성되는 지중관 통과 오목부(102);
    상기 지중관 통과 오목부(102)를 사이에 두고 있는 상기 프레임 몸체부(101) 부위로 양쪽으로 길게 뻗어 있는 두 개의 지중관 몸체부 다리부(105)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이 상기 지중관 통과 오목부(102)를 일탈하지 않도록 봉형 부재를 삽입 관통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잠금부 관통부(121);
    상기 잠금부 관통부(121)를 관통하는 봉형 부재로 형성되는 잠금봉(12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지중관 고정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연결부(200)는
    상기 프레임 연결부(200)의 몸체로 형성되는 프레임 연결부 몸체부(201)의 측면의 기다란 홈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이 지중 환경의 영향을 받아 충격을 받게 될 경우 상기 기다란 홈 부위가 먼저 파괴되면서 상기 프레임 연결부(200)가 둘로 분리되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100)의 손상을 막아주도록 형성되는 상기 기다란 홈 부위인 파괴 유도선 홈부(210);
    상기 프레임 연결부 몸체부(201)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탄성체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의 양단부는 두 개의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에 상하 또는 좌우로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는 신장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다가 상기 파괴 유도선 홈부(210)가 파괴된 경우 두 개의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이 과도하게 멀리 떨어지지 않도록 해주도록 형성되는, 상기 탄성체인 탄성체부(250);
    상기 탄성체부(250)를 보호해 주는 주름관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파괴 유도선 홈부(210)가 파괴된 경우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기 주름관 부재인 탄성체 보호 주름관부(22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프레임 연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노출 표시부(500)는
    지상에 노출되는 원통형 부재로 형성되며, 상부면은 투명한 부재로 형성되어 내부가 들여다보이도록 형성되는 원반부 보호 용기(550);
    상기 프레임 연결부(200)의 상단부로부터 지면(1200)을 향한 수직 봉형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 봉형 부재의 상단부로 원반형으로 형성되는 표시 원반부(512)가 상기 원반부 보호 용기(550) 내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표시부 연결봉(510);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지상 노출 표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노출 표시부(500)의 원반부 보호 용기(550)는
    상기 원반부 보호 용기(550)의 상부면인 윗 덮개로 형성되되 투명한 부재로 형성되는 투명부(551);
    상기 원반부 보호 용기(550)의 하부로 상기 원통형 부재의 원주 부분이 밑으로 연장되는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원반부 보호 용기(550)가 지중에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용기 다리부(555);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지상 노출 표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및 배전 용 지중관 고정 장치.
KR1020060093362A 2006-09-26 2006-09-26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KR100659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362A KR100659167B1 (ko) 2006-09-26 2006-09-26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362A KR100659167B1 (ko) 2006-09-26 2006-09-26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9167B1 true KR100659167B1 (ko) 2006-12-20

Family

ID=37814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362A KR100659167B1 (ko) 2006-09-26 2006-09-26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16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987B1 (ko) 2008-10-29 2009-03-10 (주)대진방재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
KR100998766B1 (ko) 2010-09-18 2010-12-07 (주)태양이엔지 배전 및 송전용 지중관 고정장치
KR101000533B1 (ko) * 2008-05-06 2010-12-14 임충남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
KR101570523B1 (ko) 2015-08-28 2015-11-19 김점주 송전 지중관 고정장치구조
KR101740467B1 (ko) * 2017-02-22 2017-05-26 주식회사 양일테크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보존장치
KR102244122B1 (ko) * 2020-11-12 2021-04-23 (주)미래이앤지 전선배선받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894A (ja) * 1991-07-26 1993-02-09 Taisei Corp 地下埋設管の免振構造
KR100415906B1 (ko) 2001-07-26 2004-01-24 한국전력공사 지중관용 간격유지장치
KR100628560B1 (ko) 2006-06-22 2006-09-27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공동주택용 벽관통 케이블안내파이프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894A (ja) * 1991-07-26 1993-02-09 Taisei Corp 地下埋設管の免振構造
KR100415906B1 (ko) 2001-07-26 2004-01-24 한국전력공사 지중관용 간격유지장치
KR100628560B1 (ko) 2006-06-22 2006-09-27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공동주택용 벽관통 케이블안내파이프 지지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533B1 (ko) * 2008-05-06 2010-12-14 임충남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
KR100887987B1 (ko) 2008-10-29 2009-03-10 (주)대진방재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
KR100998766B1 (ko) 2010-09-18 2010-12-07 (주)태양이엔지 배전 및 송전용 지중관 고정장치
KR101570523B1 (ko) 2015-08-28 2015-11-19 김점주 송전 지중관 고정장치구조
KR101740467B1 (ko) * 2017-02-22 2017-05-26 주식회사 양일테크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보존장치
KR102244122B1 (ko) * 2020-11-12 2021-04-23 (주)미래이앤지 전선배선받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167B1 (ko)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MX2015011726A (es) Barrera de proteccion vial para carreteras.
KR101570523B1 (ko) 송전 지중관 고정장치구조
KR20160011113A (ko) 지중매설관의 침하관측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264909B1 (ko) 배전 케이블 지중 설치장치
KR20090130477A (ko)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BR112021003230A2 (pt) disposição de sensor
KR200473856Y1 (ko) 대구경 공공관정 밀폐식 지하수 정호커버
US6321679B1 (en) Combination line marker and test station
KR100656175B1 (ko) 지중 케이블 보호시설구조
KR101326860B1 (ko) 송전, 변전, 배전용 케이블의 보호 구조물
KR101016056B1 (ko) 송전, 변전, 배전 지중 전력케이블 매설용 고압선 지지대
KR100592663B1 (ko)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100593172B1 (ko) 상수도관의 보호구조물
KR100853694B1 (ko) 지중선로 보호구
NO20074761L (no) Trafikksikringsanordning
KR100807825B1 (ko) 매설위치확인이 용이한 전선관
CN110219294A (zh) 适用软土区的土压力盒埋设装置
WO2018206832A1 (es) Sistema antirrobo para líneas de tendido eléctrico
KR101598972B1 (ko) 작업용 방사선차폐가벽
KR101568929B1 (ko)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US20150276961A1 (en) Terminal for detecting an optically invisible network, installation comprising such a detec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etecting an optically invisible network
ES2682082T3 (es) Procedimiento de detección de una canalización enterrada utilizando una boca para llave
KR200430631Y1 (ko) 매설표시기
KR19990020446U (ko) 지하매설물 깊이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