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0477A -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0477A
KR20090130477A KR1020080056140A KR20080056140A KR20090130477A KR 20090130477 A KR20090130477 A KR 20090130477A KR 1020080056140 A KR1020080056140 A KR 1020080056140A KR 20080056140 A KR20080056140 A KR 20080056140A KR 20090130477 A KR20090130477 A KR 20090130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pipe
distribution
power transmission
underground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우
권희문
Original Assignee
권희문
김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희문, 김대우 filed Critical 권희문
Priority to KR1020080056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0477A/ko
Publication of KR20090130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2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parts deformable to grip the cable or cables; 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 배전 지중관이 프레임 부재 내에 설치되므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들 상호 간에 간격이 유지되며 잠금 부재에 의해 잠겨지므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이 쉽게 본래의 위치로부터 일탈 되지 않으며, 프레임 부재가 파괴 유도 부위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이 지중 환경의 영향을 받아 충격을 받게 될 경우 먼저 파괴되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의 손상을 막아 주게 되고, 지상에서 육안으로 프레임 부재나 송전 배전 지중관의 손상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송전 및 배전을 위한 복수 개의 송전 배전 지중관(1000)이 설치되는 프레임 부재인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에 설치된 송전 배전 지중관(1000)이 원래의 위치에서 일탈 되지 않도록 해주는 판 부재인 잠금판(200),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의 상단부로부터 지면(5000)으로 연결되는 부재이며,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000)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상 노출 표시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전,배전.

Description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Fixing device of underground pipe for transmission of electricity and distribution of electricity}
본 발명은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송전 및 배전을 위한 케이블 또는 전선이 통과하는 지중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종래 기술로는 지중관에 관한 기술이 있다.
송전 및 배전을 위해 전주 이외에 지중관이 사용될 수도 있는데,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 지중에 매설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송전 배전 지중관이 프레임 부재 내에 설치되므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들 상호 간에 간격이 유지되며, 잠금 부재에 의해 잠겨지므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이 쉽게 본래의 위치로부터 일탈 되지 않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려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 부재가 파괴 유도 부위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이 지중 환경의 영향을 받아 충격을 받게 될 경우 먼저 파괴되면서 상 기 송전 배전 지중관의 손상을 막아 주게 되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려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상에서 육안으로 프레임 부재나 송전 배전 지중관의 손상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려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송전 및 배전을 위한 복수 개의 송전 배전 지중관(1000)이 설치되는 프레임 부재인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에 설치된 송전 배전 지중관(1000)이 원래의 위치에서 일탈 되지 않도록 해주는 판 부재인 잠금판(200),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의 상단부로부터 지면(5000)으로 연결되는 부재이며,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000)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상 노출 표시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으로 송전 배전 지중관이 프레임 부재 내에 설치되므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들 상호 간에 간격이 유지되며, 잠금 부재에 의해 잠겨지므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이 쉽게 본래의 위치로부터 일탈 되지 않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프레임 부재가 파괴 유도 부위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이 지중 환경의 영향을 받아 충격을 받게 될 경우 먼저 파괴되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의 손상을 막아 주게 되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지상에서 육안으로 프레임 부재나 송전 배전 지중관의 손상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 잠금판(200), 지상 노출 표시부(500)를 포함한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송전 및 배선용 지중관 고정 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송전 및 배전을 위한 복수 개의 송전 배전 지중관(1000)이 설치되는 프레임 부재인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에 설치된 송전 배전 지중관(1000)이 원래의 위치에서 일탈 되지 않도록 해주는 판 부재인 잠금판(200),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의 상단부로부터 지면(5000)으로 연결되는 부재이며,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000)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상 노출 표시부(50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 송전 및 배선용 지중관 고정 장치의 구성요소인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의 사시도이다.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은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의 몸체로 형성되며, 두께를 가진 반원형판 또는 반타원형 판인 프레임 몸체부(101), 상기 프레임 몸체부(101)의 원호 부위가 움푹 파여져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000)이 통과 하는 복수 개의 오목한 부위로 형성되는 지중관 통과 오목부(102), 상기 지중관 통과 오목부(102)의 내부 측면인 양측의 오목부 내부 측면(107)의 표면에 상기 프레임 몸체부(101)의 두께 폭만큼 형성되는 홈이며, 상기 지중관 통과 오목부(102)에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000)이 자리 잡은 후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000)이 일탈 되지 않도록 상기 잠금판(20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홈인 잠금판 고정홈부(105), 상기 프레임 몸체부(101)의 전면부인 프레임 몸체부 전면부(112)에 위치하는 원형 홈이며, 상기 잠금판 고정홈부(105) 부근에 위치하는 원형 홈이고, 상기 홈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판(200)을 양쪽에서 고정시켜 주는 볼트(2000)가 체결되는 원형 홈인 잠금판 고정 암나사부(106), 상기 프레임 몸체부 전면부(112)의 표면에 기다란 홈 부위로 형성되되 지중관 통과 오목부(102) 사이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000)과 상기 프레임 몸체부(101)가 지중 환경의 영향을 받아 충격을 받게 될 경우 상기 기다란 홈 부위가 먼저 파괴되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000)의 손상을 막아주는, 상기 기다란 홈 부위인 파괴 유도선 홈부(150), 상기 프레임 몸체부(101)의 원호부 표면인 프레임 몸체부 원호부(115)의 중앙 부위로 상기 지중관 통과 오목부(102)가 없는 부위에 위치하는 원형 홈이며, 상기 홈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상 노출 표시부(500)의 중앙 봉형 부재의 하단부가 결합 되는 홈인 표시부 연결봉 결합 암나사부(121), 상기 표시부 연결봉 결합 암나사부(121)의 양측 부위로 상기 지중관 통과 오목부(102)가 없는 부위에 위치하는 두 개의 원형 홈이며, 상기 홈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상 노출 표시부(500)의 좌우 양측의 소형 봉형 부재의 하단부가 결합 되는 홈인 연결선 고정 암나사부(122), 상기 프레임 몸체부(101)의 하단 직선부 표면인 프레임 몸체부 하단 직선부(117)로 부터 하향 돌출된 복수 개의 다리 부재이며, 상기 프레임 몸체부(101)를 지중에 안정되게 고정시켜 주는, 프레임 다리부(170), 상기 프레임 몸체부(101)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이며, 상기 프레임 몸체부 하단 직선부(117) 근처를 관통하는 관통구이고, 복수 개의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을 연결시켜 주는 봉형 부재인 지중 연결봉(700)이 관통하는 관통구인 연결용 관통구(18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은 폐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000)은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 내에 설치되므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000)들 상호 간에 간격이 유지되며, 잠급 부재인 상기 잠금판(200)에 의해 잠겨지므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000)은 쉽게 본래의 위치로 부터 일탈 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이 프레임 부재 내에 설치되므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들 상호 간에 간격이 유지되며, 잠금 부재에 의해 잠겨지므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이 쉽게 본래의 위치로부터 일탈 되지 않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내용과 같이, 파괴 유도 부위인 상기 파괴 유도선 홈부(150)는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000)과 프레임 부재인 상기 프레임 몸체부(101)가 지중 환경의 영향을 받아 충격을 받게 될 경우 먼저 파괴되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000)의 손상을 막아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부재가 파괴 유도 부위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이 지중 환경의 영향을 받아 충격을 받게 될 경우 먼저 파괴되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의 손상을 막아 주게 되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 송전 및 배선용 지중관 고정 장치의 구성요소인 잠금판(200)의 사시도이다.
상기 잠금판(200)은 상기 잠금판 고정홈부(105)에 삽입되는 판형 부재인 오목부 내 삽입부(201), 상기 오목부 내 삽입부(201)로 부터 연장되되 좌우로 넓게 형성되면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프레임 몸체부 전면부(112)의 상기 잠금판 고정 암나사부(106)가 덮여지는, 연장된 판형 부재인 볼트 고정판부(202), 상기 볼트 고정판부(202)의 좌우 양단부를 관통하는 관통구이며, 상기 잠금판 고정 암나사부(106)와 함께 볼트(2000)에 의해 체결결합되는 볼트 삽입구멍(20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판(200)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 송전 및 배선용 지중관 고정 장치의 구성요소인 지상 노출 표시부(500)의 사시도이다.
상기 지상 노출 표시부(500)는 지상에 노출되는 원통형 부재이며, 내부에는 감지봉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면은 투명한 부재로 내부가 들여다보이는 감지봉 보호 용기(590),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의 상단부인 표시부 연결봉 결합 암나사부(121)와 결합되는 수직 봉형 부재이며, 상기 수직 봉형 부재의 상단부에 상기 감지봉 보호 용기(590)와 결합되는, 상기 수직 봉형 부재인 표시부 연결봉(510), 상기 연결선 고정 암나사부(122)와 결합되는 봉형 부재이며, 상기 감지봉 보호 용기(590)의 상기 감지봉 부재와 연결선인 표시부 연결선(550)에 의해 결합되는, 상기 봉형 부재인 연결선 고정부(57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상 노출 표시부(500)는 상기 감지봉 보호 용기(590)의 상부면인 윗 덮개이되 투명한 부재인 투명부(551), 가로지르는 벽 부위이며, 감지봉 부재가 고정되는 벽 부위인 감지봉 설치벽부(511), 상기 감지봉 설치벽부(511)에 고정되는 감지봉 부재인 좌우 양측의 두 개의 감지봉(512), 상기 감지봉(512)의 단부의 고리형 부위이며, 상기 표시부 연결선(550)이 결합되는 감지봉 고리부(515), 상기 연결용 관통구(180)의 바닥면으로 상기 표시부 연결선(550)이 관통하여 지나가는 부위이며, 막 부재인 용기 하부 막부(560), 상기 표시부 연결봉(510)의 하단부이며, 수나사산이 있어 상기 표시부 연결봉 결합 암나사부(121)와 결합하는 부위인 표시부 연결봉 수나사부(517), 상기 연결선 고정부(570)의 상단부의 고리형 부위이며, 상기 표시부 연결선(550)이 결합되는 연결선 고정부 고리부(571), 상기 연결선 고정부(570)의 하단부이며, 수나사산이 있어 상기 연결선 고정 암나사부(122)와 결합하는 부위인 연결선 고정부 수나사부(57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연결봉(510)은 폐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선 고정부(570)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부(551) 안으로 상기 감지봉(512), 상기 감지봉 고리부(515), 상기 표시부 연결선(550), 상기 용기 하부 막부(560)가 들여다보이게 되는데,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000)과 상기 프레임 몸체부(101)가 손상되거나 제 위치를 일탈한 경우에는 상기 감지봉(512), 상기 감지봉 고리부(515)가 휘거나 상기 표시부 연결선(550)이 끊어져서 늘어지거나 상기 용기 하부 막부(560)이 찢어지게 되므로, 지상에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000)과 상기 프레임 몸체부(101)의 손상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상에서 육안으로 프레임 부재나 송전 배전 지중관의 손상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송전 및 배선용 지중관 고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송전 및 배선용 지중관 고정 장치의 구성요소인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송전 및 배선용 지중관 고정 장치의 구성요소인 잠금판(20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송전 및 배선용 지중관 고정 장치의 구성요소인 지상 노출 표시부(500)의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중관 고정 프레임 101 : 프레임 몸체부
102 : 지중관 통과 오목부 105 : 잠금판 고정홈부
106 : 잠금판 고정 암나사부 107 : 오목부 내부 측면
112 : 프레임 몸체부 전면부 115 : 프레임 몸체부 원호부
117 : 프레임 몸체부 하단 직선부 121 : 표시부 연결봉 결합 암나사부
122 : 연결선 고정 암나사부 150 : 파괴 유도선 홈부
170 : 프레임 다리부 180 : 연결용 관통구
200 : 잠금판 201 : 오목부 내 삽입부
202 : 볼트 고정판부 203 : 볼트 삽입구멍
500 : 지상 노출 표시부 510 : 표시부 연결봉
511 : 감지봉 설치벽부 512 : 감지봉
515 : 감지봉 고리부 517 : 표시부 연결봉 수나사부
550 : 표시부 연결선 551 : 투명부
560 : 용기 하부 막부 570 : 연결선 고정부
571 : 연결선 고정부 고리부 572 : 연결선 고정부 수나사부
590 : 감지봉 보호 용기 700 : 지중 연결봉
1000 : 송전 배전 지중관 2000 : 볼트
5000 : 지면

Claims (4)

  1. 송전 및 배전을 위한 복수 개의 송전 배전 지중관(1000)이 설치되는 프레임 부재인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에 설치된 송전 배전 지중관(1000)이 원래의 위치에서 일탈 되지 않도록 해주는 판 부재인 잠금판(200);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의 상단부로부터 지면(5000)으로 연결되는 부재이며,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000)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상 노출 표시부(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은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의 몸체로 형성되며, 두께를 가진 반원형판 또는 반타원형 판인 프레임 몸체부(101);
    상기 프레임 몸체부(101)의 원호 부위가 움푹 파여져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000)이 통과하는 복수 개의 오목한 부위로 형성되는 지중관 통과 오목부(102);
    상기 지중관 통과 오목부(102)의 내부 측면인 양측의 오목부 내부 측면(107)의 표면에 상기 프레임 몸체부(101)의 두께 폭만큼 형성되는 홈이며, 상기 지중관 통과 오목부(102)에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000)이 자리 잡은 후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000)이 일탈 되지 않도록 상기 잠금판(20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홈인 잠금판 고정홈부(105);
    상기 프레임 몸체부(101)의 전면부인 프레임 몸체부 전면부(112)에 위치하는 원형 홈이며, 상기 잠금판 고정홈부(105) 부근에 위치하는 원형 홈이고, 상기 홈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판(200)을 양쪽에서 고정시켜 주는 볼트(2000)가 체결되는 원형 홈인 잠금판 고정 암나사부(106);
    상기 프레임 몸체부 전면부(112)의 표면에 기다란 홈 부위로 형성되되 지중관 통과 오목부(102) 사이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000)과 상기 프레임 몸체부(101)가 지중 환경의 영향을 받아 충격을 받게 될 경우 상기 기다란 홈 부위가 먼저 파괴되면서 상기 송전 배전 지중관(1000)의 손상을 막아주는, 상기 기다란 홈 부위인 파괴 유도선 홈부(150);
    상기 프레임 몸체부(101)의 원호부 표면인 프레임 몸체부 원호부(115)의 중앙 부위로 상기 지중관 통과 오목부(102)가 없는 부위에 위치하는 원형 홈이며, 상기 홈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상 노출 표시부(500)의 중앙 봉형 부재의 하단부가 결합 되는 홈인 표시부 연결봉 결합 암나사부(121);
    상기 표시부 연결봉 결합 암나사부(121)의 양측 부위로 상기 지중관 통과 오목부(102)가 없는 부위에 위치하는 두 개의 원형 홈이며, 상기 홈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상 노출 표시부(500)의 좌우 양측의 소형 봉형 부재의 하단부가 결합 되는 홈인 연결선 고정 암나사부(122);
    상기 프레임 몸체부(101)의 하단 직선부 표면인 프레임 몸체부 하단 직선부(117)로 부터 하향 돌출된 복수 개의 다리 부재이며, 상기 프레임 몸체부(101)를 지중에 안정되게 고정시켜 주는, 프레임 다리부(170);
    상기 프레임 몸체부(101)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이며, 상기 프레임 몸체부 하단 직선부(117) 근처를 관통하는 관통구이고, 복수 개의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을 연결시켜 주는 봉형 부재인 지중 연결봉(700)이 관통하는 관통구인 연결용 관통구(18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지중관 고정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판(200)은
    상기 잠금판 고정홈부(105)에 삽입되는 판형 부재인 오목부 내 삽입부(201);
    상기 오목부 내 삽입부(201)로 부터 연장되되 좌우로 넓게 형성되면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프레임 몸체부 전면부(112)의 상기 잠금판 고정 암나사부(106)가 덮여지는, 연장된 판형 부재인 볼트 고정판부(202);
    상기 볼트 고정판부(202)의 좌우 양단부를 관통하는 관통구이며, 상기 잠금판 고정 암나사부(106)와 함께 볼트(2000)에 의해 체결결합되는 볼트 삽입구멍(203);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잠금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노출 표시부(500)는
    지상에 노출되는 원통형 부재이며, 내부에는 감지봉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면은 투명한 부재로 내부가 들여다보이는 감지봉 보호 용기(590);
    상기 지중관 고정 프레임(100)의 상단부인 표시부 연결봉 결합 암나사부(121)와 결합되는 수직 봉형 부재이며, 상기 수직 봉형 부재의 상단부에 상기 감지봉 보호 용기(590)와 결합되는, 상기 수직 봉형 부재인 표시부 연결봉(510);
    상기 연결선 고정 암나사부(122)와 결합되는 봉형 부재이며, 상기 감지봉 보호 용기(590)의 상기 감지봉 부재와 연결선인 표시부 연결선(550)에 의해 결합되는, 상기 봉형 부재인 연결선 고정부(57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지상 노출 표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KR1020080056140A 2008-06-16 2008-06-16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KR20090130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140A KR20090130477A (ko) 2008-06-16 2008-06-16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140A KR20090130477A (ko) 2008-06-16 2008-06-16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477A true KR20090130477A (ko) 2009-12-24

Family

ID=41689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140A KR20090130477A (ko) 2008-06-16 2008-06-16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3047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137B1 (ko) * 2012-07-30 2013-01-09 (주)선엔지니어링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KR101219136B1 (ko) * 2012-07-30 2013-01-09 (주)선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전패널
KR101257032B1 (ko) * 2013-01-28 2013-04-23 (주)한빛기술단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구조물
KR101326860B1 (ko) * 2013-02-28 2013-11-12 주식회사 한국전설기술단 송전, 변전, 배전용 케이블의 보호 구조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137B1 (ko) * 2012-07-30 2013-01-09 (주)선엔지니어링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KR101219136B1 (ko) * 2012-07-30 2013-01-09 (주)선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전패널
KR101257032B1 (ko) * 2013-01-28 2013-04-23 (주)한빛기술단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구조물
KR101326860B1 (ko) * 2013-02-28 2013-11-12 주식회사 한국전설기술단 송전, 변전, 배전용 케이블의 보호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67584C (en) Foundation member with cable theft deterrent device
KR100684342B1 (ko) 전기 지중케이블 보호 구조물
KR20090130477A (ko)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KR101585222B1 (ko)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KR101326290B1 (ko) 송전, 변전, 배전용 케이블 지중 매설 표시장치
KR101157482B1 (ko) 관통슬리브
KR100659167B1 (ko) 송전 및 배전용 지중관 고정 장치.
US20140167763A1 (en) Tracer wire connector devices and methods for use
KR100882183B1 (ko) 전력 지중관 고정 장치.
KR100899498B1 (ko) 전선관용 매설 보호블럭
KR100552327B1 (ko) 토목공사용 지중 구조물의 위치를 측량하는 측점 표시봉의설치 구조
KR100770154B1 (ko)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ES2905406T3 (es) Terminal de detección de una red ópticamente invisible, instalación que comprende dicho terminal de detección, y procedimiento de detección de una red ópticamente invisible
KR102247853B1 (ko) M바(M-bar) 고정용 금속제 가요전선관 커넥터를 겸용한 기구설치 보강대
ES2682082T3 (es) Procedimiento de detección de una canalización enterrada utilizando una boca para llave
KR100865991B1 (ko) 비계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US10025004B2 (en) Terminal for detecting an optically invisible network, installation comprising such a detec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etecting an optically invisible network
JP2016173026A (ja) 土砂災害感知システム
KR101482238B1 (ko) 지중배전 이엘피 입상연결관
CN205066867U (zh) 一种水位自动记录仪的安装装置
KR200430631Y1 (ko) 매설표시기
KR102639261B1 (ko) 이상감지기능을 마련한 지중배전라인 접속형 지지장치
RU2794250C2 (ru)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заземляющих проводников круглого сечения на металлических конструкциях (варианты)
KR20110114251A (ko) 위치 탐사선 및 이를 고정하는 클램프를 구비한 지중 매설용 파이프
KR102092033B1 (ko) 지중 관로의 연직변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중 관로의 매립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