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790B1 - 하천취입보를 이용한 하천의 정화장치 구조 - Google Patents

하천취입보를 이용한 하천의 정화장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790B1
KR101435790B1 KR1020140016060A KR20140016060A KR101435790B1 KR 101435790 B1 KR101435790 B1 KR 101435790B1 KR 1020140016060 A KR1020140016060 A KR 1020140016060A KR 20140016060 A KR20140016060 A KR 20140016060A KR 101435790 B1 KR101435790 B1 KR 101435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frame
fitting
river
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창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창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창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016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취입보를 이용한 하천의 정화장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을 오염시키는 부유물 및 기름 등을 효율적이면서 신속히 처리할 수 있는 한편,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다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하천취입보를 이용한 하천의 정화장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대를 매개로 취입보에 설치되는 망구조물이 하천의 수위변화에 따라 승강되거나, 평상시 기름유출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이를 직립시켜 부유물을 걸러낼 수 있는 걸름기능을 수행하면서 하천을 정화시킬 수 있고, 기름이 유출되면, 망구조물을 수면 위에 안착시키고, 그 상면에 흡착포를 조적함으로서, 유력에 의한 흡착포의 유실없이 기름제거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하천취입보를 이용한 하천의 정화장치 구조{DISPOSAL FACILITIES STRUCTURE USED BY A DIKE IN THESTREAM}
본 발명은 하천취입보를 이용한 하천의 정화장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을 오염시키는 부유물 및 기름 등을 효율적이면서 신속히 처리할 수 있는 한편,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다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하천취입보를 이용한 하천의 정화장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을 오염시키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이들 중에서도 특히 오물투척 또는 기름유출에 의한 수질오염이 통상적이라 할 수 있다.
이때, 하천으로 투척된 오물들 중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것은 하천바닥으로 가라앉고, 비중이 작은 것은 수면에 부유하며 하천의 유향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특히, 수면을 부유하는 오물은 외관상 좋지도 않을 뿐더러 하천과 함께 이동하면서 자연환경을 훼손시키는 주범이다. 따라서 수면을 표류하는 부유물들을 효과적으로 제거시켜야 한다.
한편, 수질오염의 절반이상이 기름유출 탓이라는 보고(한겨레신문 ; 2000년 12월 13일)가 있으며, 환경부는 1997년 이후 한강과 낙동강 등 전국의 주요 수계에서 발생한 오염사고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기름유출에 의한 사고가 매년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렇듯 환경오염의 또다른 주범인 기름유출은 그 관리를 엄격히 하여 사고를 미연해 방지하는 것이 최우선이겠지만, 일단 유출된 기름은 하천으로부터 신속히 제거시켜야 할 것이다.
유출된 기름을 제거하는 종래 방식은 먼저, 기름의 확산방지를 위해 오일펜스를 설치하고 기름의 흡수효율이 높은 흡착포를 오일펜스 안쪽에 배치하여 다량의 기름을 우선적으로 제거한 후, 기화제를 뿌려 잔존하는 미량의 기름을 모두 기화시 키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상기 제거방식이 실행되기 전에 이미 유출된 기름은 널리 퍼진 후가 일반적이었다.
또한, 일정한 유속으로 흐르는 하천에서 상기 흡착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흡착포가 떠내려가지 않도록 상기 오일펜스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이또한 작업시간의 증가요인이라 할 수 있었다.
한편, 소하천의 경우, 수자원을 농업용수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다수의 취입보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소하천이 위치한 곳은 대부분이 외곽지역이므로, 공장이나 목장 또는 농장이 입주해 있고, 주민들이 상기 소하천을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오염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라 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346699호(2004.03.23.) "하천취입보를 이용한 하천의 정화장치 구조"가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등록실용신안 기술의 경우 부유물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이를 수거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346699호(2004.03.23.) "하천취입보를 이용한 하천의 정화장치 구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지지대를 매개로 취입보에 설치되는 망구조물이 하천의 수위변화에 따라 승강되거나, 평상시 기름유출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이를 직립시켜 부유물을 걸러낼 수 있는 걸름기능을 수행하면서 하천을 정화시킬 수 있는 하천취입보를 이용한 하천의 정화장치 구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취입보와; 상단에 끼움부가 형성된 소정길이의 관형상으로, 하천의 상류쪽인 상기 취입보의 일면에 일정간격으로 입설되며, 둘레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라인이 형성된 다수의 지지대와; 망과, 이 망의 둘레부를 고정시켜 평평한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는 틀과, 일단이 상기 가이드라인을 따라 수직이동 및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틀의 하부 양단에 단단히 고정되어서 상기 틀이 지지대의 가이드라인을 따라 수직이동 및 회전이동되도록 하는 연결부와, 상기 틀의 상부 양단에 단단히 고정되며 상기 틀이 회전에 의해 직립될 경우 그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끼움부와 맞물려 고정되는 고정부와, 하천의 수위변화에 따라 상기 망 및 틀이 가이드라인을 따라 승강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230)로 구성된 망구조물과; 상기 망구조물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서, 망구조물이 수면 위로 수평하게 안착되면 상기 망의 상면을 덮도록 된 흡착포; 로 이루어져서 상기 망구조물을 직립 또는 수면 위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된 하천취입보를 이용한 하천의 정화장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 및 지지바와 간섭되지 않게 한 쌍의 지지바 사이의 공간인 취입보 상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윈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윈치와는 앞뒤로 간격을 두고 각각 한 쌍의 지지포스트가 상기 취입보의 상면에 수직하게 더 설치되고; 상기 지지포스트의 상단에는 각각 안내도르레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윈치에 감겨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안내도르레를 경유하여 상기 망구조물을 구성하는 틀에 결속된 구동와이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망구조물은 틀과, 망을 포함하는 망체로 분리하되, 상기 망체가 상기 틀로부터 취출될 수 있도록 상기 틀의 일측변에는 끼움공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공과 대향되는 변 상에는 삽입공을 형성하며, 상기 망체를 구성하는 망은 망프레임에 그물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망프레임의 선단면에는 상기 끼움공에 끼워 조립되는 끼움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끼움돌기의 대향측면에는 상기 틀의 상하 두께 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손잡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취입보를 이용한 하천의 정화장치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대를 매개로 취입보에 설치되는 망구조물이 하천의 수위변화에 따라 승강되거나, 평상시 기름유출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이를 직립시켜 부유물을 걸러낼 수 있는 걸름기능을 수행하면서 하천을 정화시킬 수 있고, 기름이 유출되면, 망구조물을 수면 위에 안착시키고, 그 상면에 흡착포를 조적함으로서, 유력에 의한 흡착포의 유실없이 기름제거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가 적용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가 적용된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 실용신안 제0346699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346699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 실용신안 제0346699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정 구성 일부를 개선한 추가 실시예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 실용신안 제0346699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취입보(10)와, 취입보(10)에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대(100, 100')와, 이 지지대(100, 100')의 양단에 각각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망구조물(200)로 구성된다.
상기 취입보(10)은, 소하천에서 수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거대한 댐을 대시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하천을 따라 다수개가 건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취입보(10)는 일정 높이로 축조되어 하천수를 저수하게 되고, 그 이상은 취입보(10)의 상면을 타고 흘러 넘어가도록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에 건설되어 있는 취입보(10)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취입보(10)의 건설이 요망되는 곳에 신축하면서 본 발명의 구조를 적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100, 100')는 소정길이를 갖는 관형상으로, 상기 취입보(10)에서 하천의 상류쪽 일면에 입설되며,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지지대(100, 100')는 상기 망구조물(200)과 연결되는 지지바(110)와, 이 지지바(110)를 취입보(10)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12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수단(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볼팅방식으로 취입보(10)와 단단히 고정되어 상기 지지바(110)를 지지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지지바(110)의 상단에는 끼움부(112)가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지지바(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라인(113)이 구비된다.
상기 끼움부(112)는 직립된 망구조물(200)을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한편, 상기 가이드라인(113)은 망구조물(200)이 고정되어서 하천의 수위에 따라 수동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평판형상의 망구조물(200)을 양단에서 지지하기 위해, 이웃하는 다른 지지대(100')의 가이드라인(113')과 상호 대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망구조물(200)이 상기 지지대(100, 100') 사이에 배치되면 가이드라인(113, 113')에 그 양단이 각각 맞물려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망구조물(200)은, 망(220)과, 이 망(220)이 평평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그 둘레부에 배치고정되는 틀(210)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라인(113, 113')과 각각 맞물려 고정되는 연결부(240)와, 망구조물(200)의 직립시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대(100, 100')의 상단에 형성된 끼움부(112)와 맞물려 고정되는 고정부(250) 및, 망구조물(200)이 하천의 수면 위로 수평하게 안착되면 수위변화에 따라 수동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2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240)은 지지바(110)에 형성된 가이드라인(113)과 맞물리는 구조를 이루되, 가이드라인(113)을 따라 수직이동이 가능해야 함은 물론, 회전이동도 가능하도록 되어야 한다.
이때, 수직이동은 망구조물(200)이 부력을 받아 위아래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회전이동은 망구조물(200)이 필요에 따라 상기 취입보(10)와 상호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부(240)에 슬라이딩블럭(241)이 구비되는데, 이 슬라이딩블럭(241)은 가이드라인(113)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바(110)의 내측으로 인입되면 재이탈이 용이하지 않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슬라이딩블럭(241)의 크기가 가이드라인(113)의 개구직경보다 크면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부(240)은 망구조물(200)의 하부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망구조물(200)의 양단부에 위치된 지지대(100, 100')의 결속을 위함이 그 첫째요인이고, 둘째는 망구조물(200)이 접히고 펴질 수 있도록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240)의 구조에 따라 망구조물(200)이 직립되었을 때는 망구조물(200)의 상부가 취입보(10)의 상방 즉, 하천의 수면(R) 상에 드러나도록 위치되어야 한다.
이는 상류쪽으로부터 떠내려오는 하천의 부유물들을 걸러내기 위함이며, 이로인해 상기 취입보(10)는 하천의 정화기능을 갖게 된다.
상기 고정부(250)는 망구조물(200)이 직립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대(100, 100')의 상단에 형성된 끼움부(112)와 상응되는 곳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끼움부(112)를 지지바(110)의 상단면에 개구된 구멍으로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부(250)에는 끼움부(112) 즉, 구멍으로 끼워넣을 수 있는 끼움블럭(251)이 구비된다.
이로 인해, 망구조물(200)을 상방으로 들어올리면서 상기 연결부(240)를 중심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끼움블럭(251)을 상기 끼움부(112)에 맞춰 삽입함으로서, 망구조물(200)의 직립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하나의 지지대(100)에 두개의 망구조물(200)을 고정시키는 것이 비용절감 차원에서 바람직할 것이므로, 상기 끼움부(112) 또한, 각각의 망구조물(2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끼움부(112)를 구획부(112a)로 구획하여 두곳의 끼움부(112)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부력체(230)는 망구조물(200)이 부력에 의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망구조물(200)의 상단에 배치 고정된다.
상기 흡착포(300)는 기름유출시 수면(R)에 놓여 기름을 흡수하는 소재로, 그 일단이 망구조물(200)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다가 기름제거를 위해 망구조물(200)이 수면(R) 위로 안착되면, 망(220)의 상면을 덮도록 된다.
일반적으로 일회사용된 흡착포(300)는 교체되어야 하므로, 망구조물(200)과는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흡착포(300)는 망구조물(200)의 틀(210)에 의해 그 둘레가 가로막히게 되므로, 하천의 유력으로 흡착포(300)가 유실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4와 같은 추가 실시예를 통해 부유물 발생시 이를 신속히 수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4의 (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는 취입보(10)의 물 저장측면 상에 설치된 체결수단(120) 및 지지바(110,110')와 간섭되지 않게 한 쌍의 지지바(110,110') 사이의 공간인 취입보(10) 상면에 서로 간격을 둔 한 쌍의 윈치(50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윈치(500)와 앞뒤로 간격을 두고 각각 한 쌍의 지지포스트(510)가 수직하게 입설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포스트(510)의 상단에는 각각 안내도르레(5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윈치(500)에는 구동와이어(530)가 권취되고, 상기 구동와이어(530)의 단부는 상기 안내도르레(520)를 경유하여 상기 망구조물(200)의 안쪽, 즉 망구조물(200)을 구성하는 틀(210)의 취입보(10)에 가까운 쪽 변 상에 결속된다.
이는 상기 윈치(500)로 구동와이어(530)를 감아 망구조물(200)을 들어 올릴 때 망구조물(200)을 지지바(110,110')에 연결하는 연결부(240)와 가장 가깝게 구동와이어(530)를 결속함으로써 상승력이 분산되거나 편중되어 망구조물(200)이 접히거나 기울어지면서 제대로 상승동작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망구조물(200)은 틀(210)과, 망(220)을 포함하는 망체(M)로 나누어지고, 상기 망체(M)는 상기 틀(2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틀(210)의 일측변에는 끼움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212)과 대향되는 변 상에는 삽입공(2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망체(M)는 상기 삽입공(214)을 관통하여 상기 끼움공(212)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도 4(a) 내지 도 4(c) 와 같은 망구조물(200)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망체(M)를 구성하는 망(220)은 망프레임(MF)에 그물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망프레임(MF)의 선단면에는 상기 끼움공(212)에 끼워 조립되는 끼움돌기(222)가 돌출되며, 상기 끼움돌기(222)의 대향측면에는 상기 틀(210)의 상하 두께 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손잡이(224)가 결합되어 상기 망체(M)가 삽입공(214)에 삽입되었을 때 더 이상 진입하지 못하고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긴급하게 부유물을 수거할 필요가 있을 때 윈치(500)를 구동시켜 망구조물(200)를 신속히 상승시킴으로써 부유물을 망구조물(200)로 건져 올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건져 올려진 부유물은 망체(M)를 틀(210)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쉽게 수거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부유물이 많아 망체(M)를 빼낼 때 삽입공(214) 부근의 틀(210)에 걸려 부유물의 일부가 레벨링되면서 낙하되거나 혹은 오버플로우되면서 낙하될 수 있으므로 망체(M)를 빼내는 작업시 받침수거판을 망구조물(200) 하부에 받친 상태에서 망체(M)를 취출하여 분리하면 더욱 더 효율적인 수거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100, 100' ; 지지대 110 ; 지지바
120 ; 체결수단 200 ; 망구조물
210 ; 틀 220 ; 망
230 ; 부력체 240 ; 연결부
250 ; 고정부 300 ; 흡착포

Claims (1)

  1. 취입보와; 상단에 끼움부가 형성된 소정길이의 관형상으로, 하천의 상류쪽인 상기 취입보의 일면에 일정간격으로 입설되며, 둘레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라인이 형성된 다수의 지지대와; 망과, 이 망의 둘레부를 고정시켜 평평한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는 틀과, 일단이 상기 가이드라인을 따라 수직이동 및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틀의 하부 양단에 단단히 고정되어서 상기 틀이 지지대의 가이드라인을 따라 수직이동 및 회전이동되도록 하는 연결부와, 상기 틀의 상부 양단에 단단히 고정되며 상기 틀이 회전에 의해 직립될 경우 그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끼움부와 맞물려 고정되는 고정부와, 하천의 수위변화에 따라 상기 망 및 틀이 가이드라인을 따라 승강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230)로 구성된 망구조물과; 상기 망구조물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서, 망구조물이 수면 위로 수평하게 안착되면 상기 망의 상면을 덮도록 된 흡착포; 로 이루어져서 상기 망구조물을 직립 또는 수면 위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된 하천취입보를 이용한 하천의 정화장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망구조물과 연결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를 상기 취입보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수단 및 지지바와 간섭되지 않게 한 쌍의 지지바 사이의 공간인 취입보 상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윈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윈치와는 앞뒤로 간격을 두고 각각 한 쌍의 지지포스트가 상기 취입보의 상면에 수직하게 더 설치되고;
    상기 지지포스트의 상단에는 각각 안내도르레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윈치에 감겨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안내도르레를 경유하여 상기 망구조물을 구성하는 틀에 결속된 구동와이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망구조물은 틀과, 망을 포함하는 망체로 분리하되, 상기 망체가 상기 틀로부터 취출될 수 있도록 상기 틀의 일측변에는 끼움공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공과 대향되는 변 상에는 삽입공을 형성하며, 상기 망체를 구성하는 망은 망프레임에 그물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망프레임의 선단면에는 상기 끼움공에 끼워 조립되는 끼움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끼움돌기의 대향측면에는 상기 틀의 상하 두께 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손잡이가 결합되되,
    상기 끼움부는 구획부에 의하여 두 곳의 끼움부로 구획되고,
    상기 구동와이어는 상기 망구조물을 구성하는 틀의 연결부 인접 부근에 결속하여 상승력이 분산되거나 편중되므로 상기 망구조물이 접히거나 기울어지면서 상승동작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취입보를 이용한 하천의 정화장치 구조.
KR1020140016060A 2014-02-12 2014-02-12 하천취입보를 이용한 하천의 정화장치 구조 KR101435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060A KR101435790B1 (ko) 2014-02-12 2014-02-12 하천취입보를 이용한 하천의 정화장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060A KR101435790B1 (ko) 2014-02-12 2014-02-12 하천취입보를 이용한 하천의 정화장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790B1 true KR101435790B1 (ko) 2014-08-29

Family

ID=51751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060A KR101435790B1 (ko) 2014-02-12 2014-02-12 하천취입보를 이용한 하천의 정화장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7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506B1 (ko) * 2017-07-21 2018-02-08 에코엔주식회사 취수장의 부유물 제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699Y1 (ko) * 2003-12-19 2004-04-08 유한회사 씨제이건설 하천취입보를 이용한 하천의 정화장치구조
JP2011069192A (ja) * 2010-12-01 2011-04-0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浮遊体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699Y1 (ko) * 2003-12-19 2004-04-08 유한회사 씨제이건설 하천취입보를 이용한 하천의 정화장치구조
JP2011069192A (ja) * 2010-12-01 2011-04-0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浮遊体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506B1 (ko) * 2017-07-21 2018-02-08 에코엔주식회사 취수장의 부유물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085B1 (ko) 교량의 교각에 설치되는 하천 부유물 수거장치
CN111287137A (zh) 城市内河污染治理系统
KR100532247B1 (ko) 수면 및 수중의 부유물 제거장치
KR101435790B1 (ko) 하천취입보를 이용한 하천의 정화장치 구조
KR100541071B1 (ko) 부양걸름체에 의한 부유물 제거장치
KR101051452B1 (ko) 친환경적인 하천 쓰레기 수거 장치
KR100576147B1 (ko) 하천 부유물 제거장치
KR101166338B1 (ko)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거방법
KR200377428Y1 (ko) 유출유 회수 네트
KR100973347B1 (ko)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
JP6521199B2 (ja) 浮桟橋式の網場
KR102457093B1 (ko) 해파리 차단장치
CN214423305U (zh) 一种生态河道护岸结构
KR200346699Y1 (ko) 하천취입보를 이용한 하천의 정화장치구조
KR20100133159A (ko)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
KR100711605B1 (ko) 저수지 부유물질 제거장치
KR101753901B1 (ko) 다지여과망을 이용한 여과부 및 이에 사용되는 천공배수파이프와 이를 이용한 여과시설
KR20130125989A (ko) 거품포집장치
CN210031735U (zh) 水表漂浮垃圾回收装置
KR101218770B1 (ko) 쓰레기 자동분리기능을 가진 스크린
CN206928266U (zh) 河流漂浮油污拦截收集系统
KR100989415B1 (ko) 우수 저류시설의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CN216663787U (zh) 一种道路桥梁排水口的防堵塞杂物拦截装置
CN210177476U (zh) 一种海岸漂浮垃圾的过滤装置
KR102175941B1 (ko) 포집망을 이용한 조류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