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457B1 - 우레탄 배관 지지대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우레탄 배관 지지대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457B1
KR101435457B1 KR1020120066264A KR20120066264A KR101435457B1 KR 101435457 B1 KR101435457 B1 KR 101435457B1 KR 1020120066264 A KR1020120066264 A KR 1020120066264A KR 20120066264 A KR20120066264 A KR 20120066264A KR 101435457 B1 KR101435457 B1 KR 101435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prese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2759A (ko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김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현 filed Critical 김정현
Priority to KR1020120066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457B1/ko
Publication of KR20130142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55Sha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8Applications used for pip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 대비 경화제 5 내지 10 중량부로 구성되는 제1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폴리올 100 중량부 대비 가교제 5 내지 10 중량부, 쇄연장제 3 내지 5 중량부, 발포억제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구성되는 제2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제1조성물과 상기 제2조성물을 수압펌프 내에서 가열하여 반응시키는 반응단계, 상기 반응물을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상판과 하판으로 사출하는 사출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배관 지지대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우레탄 배관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철제로 구성된 배관 지지대에 비해 충격 완화 효과가 개선되고 외부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이 부가되어 배관 내부의 전류 또는 유체의 흐름에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우레탄 배관 지지대와 그 제조방법.{A pipe supportor made of high-density urethan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e thereof.}
본 발명은 우레탄 배관 지지대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 대비 경화제 5 내지 10 중량부로 구성되는 제1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폴리올 100 중량부 대비 가교제 5 내지 10 중량부, 쇄연장제 3 내지 5 중량부, 발포억제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구성되는 제2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제1조성물과 상기 제2조성물을 수압펌프 내에서 가열하여 반응시키는 반응단계, 상기 반응물을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상판과 하판으로 사출하는 사출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배관 지지대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우레탄 배관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케이블이나 유체공급을 위한 파이프(이하 '배관'이라 한다.)를 바닥 또는 천정에 설치한다. 이 경우 원기둥 형상의 배관을 바닥면이나 천정면에 직접 설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어, 다양한 형태의 배관 지지대가 제시되고 있다.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는 형태로는 철제 구조로 이루어진 두 개의 프레임을 구비하고, 그 프레임을 나사와 볼트로 결합하며, 두 개의 프레임 내부에 각각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여 그 절곡부 내부에 배관이 관통하도록 하여 배관이 지지 되도록 하는 형태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관 지지대는 그 주성분이 철제로 이루어져 있어 배관에 대한 충격을 충분히 완화시키지 못하여 배관이 깨지거나 눌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지진이나 소음 등으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배관 내부의 전류나 유체의 흐름에 불안정을 초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주성분을 개선하여 충격 완화 효과를 향상시키고, 외부 진동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여 배관 내부의 전류나 유체의 흐름에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 대비 경화제 5 내지 10 중량부로 구성되는 제1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폴리올 100 중량부 대비 가교제 5 내지 10 중량부, 쇄연장제 3 내지 5 중량부, 발포억제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구성되는 제2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제1조성물과 상기 제2조성물을 수압펌프 내에서 가열하여 반응시키는 반응단계, 상기 반응물을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상판과 하판으로 사출하는 사출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경화제는 4,4'-메틸렌-비스-2-클로로아닐린이고, 상기 가교제는 3급 아미노알콜이며, 상기 쇄연장제는 디메틸아미노프로필 아민과 카본산의 혼합물이고, 상기 발포억제제는 수산화 바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본 발명을 활용하면, 종래 철제로 된 배관 지지대에 비하여 충격 완화 효과가 개선되어 외부 자극에 의해 배관이 깨지거나 눌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외부 진동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여 배관 내부의 전류나 유체의 흐름에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상판과 하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배관을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레탄 배관 지지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인 우레탄 배관 지지대 제조방법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 대비 경화제 5 내지 10 중량부로 구성되는 제1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폴리올 100 중량부 대비 가교제 5 내지 10 중량부, 쇄연장제 3 내지 5 중량부, 발포억제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구성되는 제2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제1조성물과 상기 제2조성물을 수압펌프 내에서 가열하여 반응시키는 반응단계, 상기 반응물을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상판과 하판으로 사출하는 사출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인 우레탄 배관 지지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선,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에 경화제를 첨가하여 제1조성물을 혼합하는데, 상기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란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 화학 물질로써, 크게 MDI 모노머와 MDI 폴리머로 구분된다. 상기 MDI 모노머는 2,2’-MDI, 2,4’-MDI, 4,4’-MDI 세 가지 이성질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MDI 폴리머는 MDI 모노머와 더 높은 분자량의 다핵체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질을 말한다.
상기 제1조성물 혼합시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 대비 경화제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제에는 상온에서 경화시키기 위한 상온경화제와 가열에 의하여 경화시키는 가열경화제가 있는데, 같은 수지라도 사용하는 경화제의 종류·양에 따라 제품의 물성이 달라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에 적합한 경화제로는 4,4'-메틸렌-비스-2-클로로아닐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4,4'-메틸렌-비스-2-클로로아닐린은 가열경화제로써 상기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10 중량부 혼합하였을 때, 적절한 정도의 경화반응을 유도한다.
다음 단계로는 폴리올에 가교제, 쇄연장제, 발포억제제를 첨가하여 제2조성물을 혼합하여 만드는데, 상기 폴리올은 다가 알코올, 즉 2개 이상의 수산기(-OH)를 가진 지방족 화합물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올에 가교제로는 3급 아미노알콜, 쇄연장제로는 디메틸아미노프로 아민과 카본산의 혼합물, 발포억제제로는 수산화바륨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조성비는 폴리올 100 중량부 대비 상기 3급 아미노 아민 5 내지 10 중량부, 디메틸아미노프로 아민과 카본산의 혼합물 3 내지 5 중량부, 수산화바륨 0.5 내지 1.5 중량부로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쇄연장제로서 디메틸아미노프로 아민과 카본산의 혼합비는 디메틸아미노프로 아민과 카본산을 중량비로 10:1 내지 7:1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발포억제제로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바륨, 수산화칼슘, 수산화 마그네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 알루민산 마그네슘 등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수산화 바륨을 첨가하였을 때 우레탄 배관 지지대 내부의 기포 크기가 20 내지 40 미크론으로 미세하여 본 발명에 특히 바람직하다.
다음 단계는 상기 제1조성물과 상기 제2조성물을 수압펌프 내에서 가열하여 반응시키는 반응단계이다. 수압펌프로는 플런저 펌프가 적합하고, 수압펌프 내 압력은 1000 내지 5000 psi, 온도는 200 내지 250 ℃ 에서 혼합 반응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혼합 반응 후, 상기 혼합 반응물을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상판과 하판으로 사출한다. 상기 혼합 반응물은 반응 후 즉시 사출단계로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상판과 하판은 그 내부에 절곡부를 가지고 있어 배관이 상기 절곡부를 관통하도록 하고, 그 하판의 하면은 평평하여 평평한 바닥면이나 천정면에 용이하게 부착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절곡부의 크기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배관의 지름에 적합하도록 그 크기를 조절하여 사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상판
20: 하판
30: 배관

Claims (3)

  1.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 대비 경화제 5 내지 10 중량부로 구성되는 제1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폴리올 100 중량부 대비 가교제 5 내지 10 중량부, 쇄연장제 3 내지 5 중량부, 발포억제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구성되는 제2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제1조성물과 상기 제2조성물을 수압펌프 내에서 가열하여 반응시키는 반응단계;
    상기 반응물을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상판과 하판으로 사출하는 사출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배관 지지대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4,4'-메틸렌-비스-2-클로로아닐린이고, 상기 가교제는 3급 아미노알콜이며, 상기 쇄연장제는 디메틸아미노프로필 아민과 카본산의 혼합물이고, 상기 발포억제제는 수산화 바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배관 지지대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우레탄 배관 지지대.
KR1020120066264A 2012-06-20 2012-06-20 우레탄 배관 지지대와 그 제조방법. KR101435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264A KR101435457B1 (ko) 2012-06-20 2012-06-20 우레탄 배관 지지대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264A KR101435457B1 (ko) 2012-06-20 2012-06-20 우레탄 배관 지지대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759A KR20130142759A (ko) 2013-12-30
KR101435457B1 true KR101435457B1 (ko) 2014-08-28

Family

ID=49986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264A KR101435457B1 (ko) 2012-06-20 2012-06-20 우레탄 배관 지지대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4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96814B1 (en) 2013-06-27 2019-05-21 Amazon Technologies, Inc. Automated and periodic updating of item images data store
US10366306B1 (en) * 2013-09-19 2019-07-30 Amazon Technologies, Inc. Item identification among item variatio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703B1 (ko) 1996-04-18 1999-05-15 김평기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70103482A (ko) * 2005-02-11 2007-10-23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알.엘 무용매 폴리우레탄 수성 분산액 및 그로부터 형태화된 물품
KR100817817B1 (ko) 2007-08-24 2008-03-31 강남화성 (주) 고내구성 및 고강도를 갖는 탄성체제조용 폴리우레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용 폴리우레탄지지부재의 제조방법
KR20080071085A (ko) * 2007-01-29 2008-08-01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아민으로 경화된 폴리우레탄 및 그의 제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703B1 (ko) 1996-04-18 1999-05-15 김평기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70103482A (ko) * 2005-02-11 2007-10-23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알.엘 무용매 폴리우레탄 수성 분산액 및 그로부터 형태화된 물품
KR20080071085A (ko) * 2007-01-29 2008-08-01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아민으로 경화된 폴리우레탄 및 그의 제조
KR100817817B1 (ko) 2007-08-24 2008-03-31 강남화성 (주) 고내구성 및 고강도를 갖는 탄성체제조용 폴리우레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용 폴리우레탄지지부재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96814B1 (en) 2013-06-27 2019-05-21 Amazon Technologies, Inc. Automated and periodic updating of item images data store
US11042787B1 (en) 2013-06-27 2021-06-22 Amazon Technologies, Inc. Automated and periodic updating of item images data store
US10366306B1 (en) * 2013-09-19 2019-07-30 Amazon Technologies, Inc. Item identification among item variations
US10769488B1 (en) 2013-09-19 2020-09-08 Amazon Technologies, Inc. Item variation management
US11568632B1 (en) 2013-09-19 2023-01-31 Amazon Technologies, Inc. Item identification among a variant of i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759A (ko)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3394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lignin based polyurethane products
ES2963303T3 (es) Mezclas de depuradoras de aldehídos para espumas de poliuretano
US9718937B2 (en) Inherent flame retardant rigid polyurethane foam
CN101035826A (zh) 生产硬聚氨酯泡沫材料的方法
KR101493177B1 (ko) 폴리올, 폴리올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연질 폴리우레탄 폼
AR062921A1 (es) Espumas viscoelasticas que tienen flujo de aire alto
CN102159613A (zh) 芳族聚酯、包含其的多元醇共混物以及由该共混物得到的产品
MX341758B (es) Espuma de poliuretano flexible y metodo para producir la misma.
RU2597931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жестких полиуретановых пенопластов
BR112018069585B1 (pt) Processo para formar uma espuma de poliuretano semirrígida
JP7053051B2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ポリオール組成物、及び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CN101845218A (zh) 一种聚酯型聚氨酯微孔鞋底材料及其制备方法
US20150299376A1 (en) Resin premix composition, rigid polyurethane foaming composition and rigid polyurethane foam
KR101435457B1 (ko) 우레탄 배관 지지대와 그 제조방법.
KR101901538B1 (ko) 경질 폴리우레탄폼용 폴리올 조성물 및 경질 폴리우레탄폼의 제조 방법
JP2020514461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物品及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物品を形成する方法
CN108192065A (zh) 聚氨酯硬质泡沫塑料及其制备方法
KR20150057300A (ko) 이중 보온관의 제조방법 및 이중 보온관용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CN103467700A (zh) 一种大块硬泡聚氨酯及其连续生产方法
KR101634309B1 (ko) 저밀도 경질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JP2020535254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
KR101645117B1 (ko) 경질 우레탄 폼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42875B1 (ko) 닫힌 셀의 팽창 퍼라이트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폼, 이의 발포기 및 그 제조방법
JP5435991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6903899B2 (ja) 硬質イソシアヌレートフォーム組成物および硬質イソシアヌレートフォー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