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174B1 - 활성탄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활성탄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174B1
KR101435174B1 KR1020130061656A KR20130061656A KR101435174B1 KR 101435174 B1 KR101435174 B1 KR 101435174B1 KR 1020130061656 A KR1020130061656 A KR 1020130061656A KR 20130061656 A KR20130061656 A KR 20130061656A KR 101435174 B1 KR101435174 B1 KR 101435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ated carbon
bucket
conveyor belt
active carbon
circulation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현기
김상빈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1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rollers which are moved, e.g. over a supporting surface, by the traction element to effect conveyance of loads or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6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concave surfaces, e.g.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48Controlling attitudes of load-carriers during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부는 하강하고, 타단부는 상승하도록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순환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활성탄을 공급하는 활성탄 공급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순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결합되고, 상기 활성탄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활성탄이 수용되어 이송되는 버킷부; 및 상기 일단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버킷부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활성탄이 상기 버킷부로부터 낙하하여 저장되는 활성탄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활성탄 이송장치{APPARATUS FOR CONVEYING ACTIVE CARBON}
본 발명은 활성탄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흡착탑 하부에는 활성탄을 이송하기 위하여 버킷을 구비한 이송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이송설비에는 버켓이 복수개 결합되어 있어, 상부에서 배출되는 활성탄을 복수개의 버킷에 담아 작업자가 원하는 장소로 버킷을 연속적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이송설비 하부에는 흡착탑으로부터 버킷으로 활성탄 공급시 활성탄이 버킷 외부로 낙하하거나, 활성탄이 버킷에 수용되어 이송 중 버킷 외부로 낙하 할 수도 있다.
이송설비 하부에 낙하한 활성탄의 낙탄을 모집하여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이제시되고 있다.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999-0010302호(1999.03.15 공개, 활성탄의 이송장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활성탄 이송시 발생하는 낙탄을 재수거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활성탄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단부는 하강하고, 타단부는 상승하도록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순환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활성탄을 공급하는 활성탄 공급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순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결합되고, 상기 활성탄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활성탄이 수용되어 이송되는 버킷부; 및 상기 일단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버킷부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활성탄이 상기 버킷부로부터 낙하하여 저장되는 활성탄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버킷부는, 바닥부; 상기 순환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전방부; 상기 순환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후방부; 및 상기 전방부 및 상기 바닥부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방부 외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버킷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부는 상기 전방부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활성탄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활성탄 이송시 벨트 컨베이어 하부로 낙하하는 활성탄을 재수거시, 재수거의 효율을 높이고, 재수거된 활성탄을 재사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성탄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성탄 이송장치의 버킷부 및 스토퍼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활성탄 이송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성탄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성탄 이송장치의 버킷부 및 스토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성탄 이송장치는 컨베이어 벨트(300), 활성탄 공급부(100), 버킷부(200), 및 활성탄 저장부(S)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벨트(300)는 일방향으로 순환하는 것으로, 도 1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즉, 도면상에서 컨베이어 벨트(300)의 좌측 일단부는 하강하고, 우측 타단부는 상승하며 회전하게 된다.
활성탄 공급부(100)는 컨베이어 벨트(300)의 상부에 배치되어, 활성탄(A)을 공급하게 되고, 활성탄 저장부(S)에는 컨베이어 벨트(300)의 일단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컨베이어 벨트(300)의 회전으로 인하여 이송된 활성탄(A)이 낙하하여 저장되게 된다.
버킷부(200)는 컨베이어 벨트(300)의 상부에 복수개 결합되어, 활성탄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받은 활성탄(A)을 수용하며 이송시킨다.
컨베이어 벨트(300)에 결합된 버킷부(200)는 컨베이어 벨트(300) 상부에서 활성탄 공급부(100)로부터 활성탄(A)을 공급받아 수용한 상태로 컨베이어 벨트(30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되고, 활성탄(A)이 수용된 버킷부(200)가 컨베이어 벨트(300)의 일단부에 이르게되면, 버킷부(200) 내의 활성탄(A)이 버킷부(200)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게 된다.
이렇게 낙하된 활성탄(A)은 활성탄 저장부(S)에 저장되게 된다.
활성탄(A)이 버킷부(200)를 떠나 활성탄 저장부(S)로 이동하게 되면, 버킷부(200) 내부는 비워지게 되고, 컨베이어 벨트(300)의 하부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컨베이어 벨트(300)의 하부에는 활성탄(A)이 낙하하여 축적될 수 있다.
활성탄 공급부(100)로부터 버킷부(200)로 활성탄(A)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낙하할 수 있고, 또는 버킷부(200)의 흔들림 등에 의하여 버킷부(200)에 수용되어 있던 활성탄(A)이 버킷부(200)를 벗어나 컨베이어 벨트(300) 하부의 바닥면(F)으로 낙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 벨트(300) 하부에 낙하된 활성탄(A)을 모아 다시 버킷부(200)로 쓸어담아 버려지는 활성탄(A)을 다시 회수할 수 있도록 버킷부(200)는 컨베이어 벨트(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버킷부(200)의 회전방향은 컨베이어 벨트(300)의 순환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버킷부(200)의 바닥의 모서리 중 일부만 컨베이어 벨트(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버킷부(200)의 바닥 나머지 부분은 컨베이어 벨트(300)에 결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버킷부(200)가 컨베이어 벨트(300) 상부에 위치할 때는 버킷부(200)의 바닥면(F)이 모두 컨베이버 벨트에 접하게 되나, 컨베이어 벨트(300)가 회전하여 버킷부(200)가 컨베이어 벨트(300)의 일단부 위치하게 되면, 버킷부(200)의 컨베이어 벨트(300)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버킷부(200)는 회전하게 되고, 버킷부(200) 내 활성탄(A)은 낙하하게 된다.
버킷부(200)가 일단부를 거쳐 컨베이어 벨트(300)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버킷부(200)는 컨베이어 벨트(300)의 순환방향을 따라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컨베이어 벨트(300) 하부에 낙하되어 축적되어 있는 활성탄(A)은 버킷부(200)에 의하여 도면상에서 오른쪽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렇게 이송된 활성탄(A)은 컨베이어 벨트(300)의 도면상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벽(W)으로 인하여 축적될 수 있고, 축적되어 있는 활성탄(A)은 다시 비어있는 버킷부(200) 내부로 일부가 유입되게 된다.
버킷부(200)를 회전하게 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300) 하부에 낙하된 활성탄(A)을 보다 효과적으로 한쪽으로 모으게 되고, 한쪽으로 모아져 축적된 활성탄(A)은 다시 버킷부(200)에 유입되어 회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활성탄 이송장치의 버킷부(200)는 컨베이어 벨트(300) 상부에서는 회전없이 위치하여 활성탄 공급부(100)로부터 활성탄(A)을 공급받아 활성탄 저장부(S)로 이송하고, 컨베이어 벨트(300) 하부에 위치할 때는, 컨베이어 벨트(300) 하부에 낙하된 활성탄(A)을 쓸어 컨베이어 벨트(300) 타단부에 축적시키고, 축적된 활성탄(A) 중 일부를 다시 담아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버킷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230), 전방부(240), 후방부(250) 및 회전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230)는 버킷부(200)의 바닥면(F)을 의미하고, 전방부(240)는 컨베이어 벨트(300)의 순환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부분이며, 후방부(250)는 컨베이어 벨트(300)의 순환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부분을 말한다.
버킷부(200)는 바닥부(230)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바닥부(230)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버킷부(200)의 바닥부(230)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전방부(240)는 원통의 중심으로부터 앞쪽에 형성된 부분을 의미하고, 후방부(250)는 원통의 중심으로부터 뒤쪽을 의미한다.
버킷부(200)의 바닥부(230)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전방부(240)는 사각형의 4 면중 전면으로부터 연장된 앞쪽의 면을 의미하고, 후방부(250)는 사각형의 4면중 후면으로부터 연장된 뒤쪽의 면을 의미하게 된다.
회전부(210)는 전방부(240) 및 바닥부(230) 사이에 형성되어 버킷부(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버킷부(200) 바닥부(230)가 원통형이면 회전부(210)는 바닥부(230)의 중심으로부터 가상의 순환방향선과 원주의 교차점에 형성될 것이고, 버킷부(200) 바닥부(230)가 사각형이면 사각형의 전면의 중점에 형성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탄 이송장치는 회전부(210)에 의하여 컨베이어 벨트(300)의 하부에 버킷부(200)가 위치하게 될 때, 버킷부(200)가 일정각도 회전하여 바닥면(F)에 낙하한 활성탄(A)을 쓸어다 컨베이어 벨트(300) 타단부의 바닥면(F)에 축적시킬 수 있다.
축적된 활성탄(A)은 버킷부(200)에 유입되어 재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활성탄 이송장치는 스토퍼(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400)는 전방부(240)의 외측 하부에 형성되어, 컨베이어 벨트(3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버킷부(200)가 회전시 회전을 제한하여, 버킷부(200) 후방부(250)가 바닥면(F)과 최대한 밀착되는 거리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버킷부(200)의 후방부(250)가 최대한 바닥면(F)과 근접한 거리에 있음으로해서, 바닥면(F)에 축적된 활성탄(A)을 최대한 많이 쓸어 컨베이어 벨트(300) 타단부의 바닥면(F)으로 옮길 수 있게 된다.
이때, 후방부(250)는 전방부(240)보다 높게, 즉 길이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바닥면(F)과의 거리를 최대한 좁힐 수 있게 된다.
버킷부의 후방부의 단부(220)는 컨베이어 벨트의 타단부에서 버킷부 내로 활성탄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후방부의 단부(220)는 내측으로 절단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면(F)의 낙하된 활성탄(A)을 쓸어 옮기는 작용과 관계없는 전방부(240)는 바닥부(230)로부터 상방향으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활성탄 공급부(100)에서 버킷부(200)로 활성탄(A) 유입되는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A: 활성탄
F: 바닥면
S: 활성탄 저장부
W: 벽
100: 활성탄 공급부
200: 버킷부
210: 회전부
220: 후방부의 단부
230: 바닥부
240: 전방부
250: 후방부
300: 컨베이어 벨트
400: 스토퍼

Claims (5)

  1. 일단부는 하강하고, 타단부는 상승하도록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순환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활성탄을 공급하는 활성탄 공급부;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각각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순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결합되고, 상기 활성탄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활성탄을 수용하여 이송하는 버킷부;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일단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버킷부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활성탄이 상기 버킷부로부터 낙하하여 저장되는 활성탄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킷부는,
    바닥부;
    상기 순환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전방부;
    상기 순환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후방부; 및
    상기 전방부와 상기 바닥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결합되어, 상기 버킷부의 회전축이 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부는,
    상기 버킷부가 상기 일단부에서 상기 타단부까지 이동하는 동안,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낙하하여 바닥에 축적된 상기 활성탄이 상기 버킷부 내부로 수용되도록 상기 활성탄을 가이드하며,
    상기 후방부의 단부는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절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 이송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 외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버킷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활성탄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는 상기 전방부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 이송장치.
KR1020130061656A 2013-05-30 2013-05-30 활성탄 이송장치 KR101435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656A KR101435174B1 (ko) 2013-05-30 2013-05-30 활성탄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656A KR101435174B1 (ko) 2013-05-30 2013-05-30 활성탄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174B1 true KR101435174B1 (ko) 2014-09-01

Family

ID=51758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656A KR101435174B1 (ko) 2013-05-30 2013-05-30 활성탄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1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13195A (ja) * 2017-12-20 2019-07-11 株式会社熊谷組 爆薬装填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6748A (en) * 1987-10-05 1989-01-10 C-I-L Inc. Continuous bucket conveyor system
JPH078687B2 (ja) * 1987-04-27 1995-02-01 株式会社佐竹製作所 バケツト式エレベ−タ−
KR19990010302U (ko) * 1997-08-29 1999-03-15 이구택 활성탄의 이송장치
JP2003104321A (ja) * 2001-09-28 2003-04-09 Furukawa Mfg Co Ltd 投入機における消音方法及び装置
JP7008687B2 (ja) * 2017-03-29 2022-01-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制御装置及び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687B2 (ja) * 1987-04-27 1995-02-01 株式会社佐竹製作所 バケツト式エレベ−タ−
US4796748A (en) * 1987-10-05 1989-01-10 C-I-L Inc. Continuous bucket conveyor system
KR19990010302U (ko) * 1997-08-29 1999-03-15 이구택 활성탄의 이송장치
JP2003104321A (ja) * 2001-09-28 2003-04-09 Furukawa Mfg Co Ltd 投入機における消音方法及び装置
JP7008687B2 (ja) * 2017-03-29 2022-01-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制御装置及び制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13195A (ja) * 2017-12-20 2019-07-11 株式会社熊谷組 爆薬装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303B1 (ko) 마그네틱 칩 컨베이어 필터장치
CN109262363B (zh) 一种机械加工用冷却液去屑循环系统
CN1573825A (zh) 纸币进出款装置以及现金自动存取装置
CN1347360A (zh) 切削屑输送机和切削屑-分离/回收装置
US20150316322A1 (en) Device for turning, mixing and transporting partially dried material to be dried or dried material
KR101435174B1 (ko) 활성탄 이송장치
CN104275649A (zh) 喷丸硬化装置
CN1386083A (zh) 切屑运送器和切屑分离/回收设备
US201401664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ading a stockpile
KR20150047972A (ko) 해양부유물쓰레기 수거용 처리장치
RU265488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влечения руды из этажных обрушений и его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WO2013125097A1 (ja) ショット処理装置及びショット処理方法
JP2010030748A (ja) おが粉乾燥装置
CN210654837U (zh) 循环上料倾倒装置
KR100881454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CN213159580U (zh) 危废物固液分离装置
CN204689096U (zh) 上料机构及枪弹分解、销毁装置
US10794129B2 (en) Screen dump station system for disposing of spent drilling mud
KR200217181Y1 (ko) 바닷모래 선적용 컨베이어선
JP2009089685A (ja) ロータリマッサージの原料肉投入装置
JP6207856B2 (ja) ワーク搬送システム
JP2008308320A (ja) 錠剤用バケットリフターの錠剤投入装置
CN213778585U (zh) 一种配套转筒干燥设备的自动收料车
CN218595377U (zh) 一种输送机
CN216326894U (zh) 废屑排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