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036B1 - 소재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소재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036B1
KR101435036B1 KR1020120108221A KR20120108221A KR101435036B1 KR 101435036 B1 KR101435036 B1 KR 101435036B1 KR 1020120108221 A KR1020120108221 A KR 1020120108221A KR 20120108221 A KR20120108221 A KR 20120108221A KR 101435036 B1 KR101435036 B1 KR 101435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auxiliary
transfer
wor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1179A (ko
Inventor
유승철
성희동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8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036B1/ko
Publication of KR20140041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6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ension or co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4Lifting or lowering work for conveying purposes, e.g. tilting tables arranged immediately in front of or behind the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Conveyors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Abstract

소재 이송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소재 이송장치는, 가열로에서 소재를 추출하는 추출부재, 추출부재에 의하여 추출된 소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 및 추출부재에 위치하며, 소재가 이송부재에 의하여 이송되는 것을 보조하는 보조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재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MATERIAL}
본 발명은 소재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열로에서 추출되어 이송부재에 안착된 소재가 이송부재에 의하여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하는 소재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 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압연공정이 개시되기 전에는 소재를 가열로에 공급하여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후에 압연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6828호(2012.05.11 공개, 발명의 명칭: 압연기용 가열로)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추출기의 구조를 변경하여 소재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이송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는: 가열로에서 소재를 추출하는 추출부재; 상기 추출부재에 의하여 추출된 소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 및 상기 추출부재에 위치하며, 상기 소재가 상기 이송부재에 의하여 이송되는 것을 보조하는 보조이송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부재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부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소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보조이송부재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소재가 안착되고, 상기 이송부재가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소재의 하측에 힘을 가하여 상기 소재의 이송을 보조하는 보조이송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발생된 동력을 상기 보조이송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보조이송부는, 상기 지지부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서 보조이송부는, 상기 소재가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롤러; 및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양단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이송부재는, 상기 소재에 의하여 상기 보조이송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는, 추출부재의 지지부에 보조이송부재가 마련되어 소재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재의 이동을 위하여 이송부재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부재 및 보조이송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이송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가 보조이송부재에 안착된 상태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가 보조이송부재에 안착된 상태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가 이송부재에 안착된 상태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가 이송부재에 안착된 상태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가 이송부재와 보조이송부재에 의하여 힘을 전달받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1)는, 추출부재(10), 이송부재(20) 및 보조이송부재(30)를 포함한다.
추출부재(10)는 가열로(3)의 출구(5) 측에 위치하여 가열로(3)에서 가열된 소재(S)를 가열로(3) 밖으로 추출하여 이송부재(20)에 안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추출부재(10)는 본체부(11), 이동부(13) 및 지지부(15)를 포함한다.
이동부(13)는 본체부(11)의 일측에 볼팅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며, 유압실린더 등을 포함하여 본체부(11)를 이동시킨다.
지지부(15)는 본체부(11)의 일측에 볼팅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된다. 지지부(15)는 본체부(11)와 함께 이동하며, 소재(S)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15)는 상측에 보조이송부(33)가 위치하며, 보조이송부(33)에 소재(S)가 안착되므로, 보조이송부(33)에 안착된 소재(S)를 간접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지지부(15)는 보조이송부(33) 및 소재(S)의 하중을 고려하여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송부재(20)는 추출부재(10)에 의하여 추출된 소재(S)를 이송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부재(20)는 이송프레임(21)과 이송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한다. 이송부재(20)는 일련의 이송롤러(23)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송롤러(23)에 안착된 소재(S)를 이송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부재 및 보조이송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보조이송부재(30)는 추출부재(10)에 위치하며, 소재(S)가 이송부재(20)에 의하여 이송되는 것을 보조한다. 보조이송부재(30)는 원통롤러, 컨베이어벨트 등을 포함하여, 이송부재(20)가 소재(S)를 이송시키는 것을 보조할 수 있는 기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이송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보조이송부재(30)는 구동부(31), 보조이송부(33) 및 동력전달부(37)를 포함한다.
구동부(31)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며 전기력을 회전력으로 전환하는 모터 등이 적용 가능하다. 구동부(31)는 추출부재(10)의 본체부(11) 또는 지지부(15)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보조이송부(33)에서 필요한 동력으로 전환한다.
보조이송부(33)는 소재(S)가 안착되고, 이송부재(20)가 소재(S)를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소재(S)의 하측에 힘을 가하여 소재(S)의 이송을 보조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이송부(33)는 추출부재(10)의 지지부(15)에 위치하며, 롤러(34) 및 회전축(35)을 포함한다. 보조이송부(33)는 소재(S)가 롤러(34)에 놓인 상태에서, 롤러(34)를 소재(S)의 이송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송부재(20)가 소재(S)를 이동시키는 것을 보조한다.
본 실시예에서 롤러(34)는 소재(S)가 안착되며 원통형상이다. 롤러(34)는 롤러(34)의 길이방향을 소재(S)의 진행방향에 수직으로 놓이도록 하여, 롤러(34)의 회전에 의하여 소재(S)가 직선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축(35)은 롤러(34)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일측은 지지부(15)에 결합되고, 타측은 동력전달부(37)에 연결된다.
회전축(35)이 지지부(15)에 결합되는 부위는 회전축(35)이 회전하면서 지지부(15)와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이기 위하여 베어링이 적용될 수 있다. 회전축(35)이 동력전달부(37)와 결합되는 부위는 외측에 종동기어부(36)가 끼움 결합되어 동력전달부(37)의 체인 또는 기어와 연결된다.
회전축(35)은 롤러(34)와 함께 회전하도록, 롤러(34)에 끼움 결합되거나 세레이션 결합된다.
동력전달부(37)는 구동부(31)에 의하여 발생된 동력을 보조이송부(33)에 전달한다. 동력전달부(37)는 체인 또는 기어 등으로 구성되어, 일측은 회전축(35)의 종동기어부(36)에 연결되고, 타측은 구동부(31)의 주동기어부(32)에 연결되어 구동부(31)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회전축(35)으로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이송부재(30)는 압력측정부(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측정부(39)는 회전축(35)의 양단 또는 일단의 하측에 위치하여 소재(S)의 하중에 의하여 보조이송부(33)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한다.
압력측정부(39)는 압력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압전 소자 등을 포함하는 전기, 전자 센서 또는 압력에 따라 형상이 변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1)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가 보조이송부재에 안착된 상태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가 보조이송부재에 안착된 상태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가열로(3)에서 가열된 소재(S)는 보조이송부재(30)에 안착된다. 보조이송부재(30)에 놓인 소재(S)는 이동부(13)에 의하여 본체부(11)와 함께 아래방향(도 4에서의 아래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가 이송부재에 안착된 상태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가 이송부재에 안착된 상태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소재(S)는 본체부(11)가 하향 이동하면서, 이송부재(20)의 상측에 놓이게 된다.
소재(S)의 단면 형상은 가열로(3) 내부의 온도 편차, 가열로(3)의 소재(S) 지지구조, 소재(S)의 무게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소재(S)의 전후(도 6에서의 좌우측) 단부가 하측으로 처질 수 있다.
소재(S)의 전후 단부가 처지게 되면 소재(S)와 이송부재(20)의 접촉점이 줄어들게 된다. 소재(S)의 하측에 위치한 이송롤러(23) 중 소재(S)와 접촉하지 못하는 이송롤러(23)는 소재(S)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없게 된다.
소재(S)와 접촉하고 있는 이송롤러(23)의 경우, 소재(S)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소재(S)와 접촉하지 못하는 이송롤러(23)에서 전달하지 못하는 회전력을 추가로 전달해야 한다.
이송롤러(23)가 소재(S)에 가하는 회전력이 일정 값이상 커지게 되면, 이송롤러(23)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송롤러(23)에 장착된 토크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송롤러(23)의 토크값을 지속적으로 체크한다.
토크 센서 등으로 측정한 이송롤러(23)의 토크 값이 이송롤러(23)의 정상적인 작동을 위하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이송롤러(23)의 구동을 정지하고, 본체부(11)를 상향 이동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가 이송부재와 보조이송부재에 의하여 힘을 전달받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체부(11)의 상향이동에 따라 보조이송부재(30)가 소재(S)의 하측에 닿게 되고, 압력측정부(39)에서 보조이송부(33)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여, 측정된 압력값이 일정범위 이내, 예를 들어 소재(S) 하중의 1/4에 해당하게 되면 본체부(11)의 상향이동을 멈추게 한다.
본체부(11)의 상향이동이 멈추면 이송롤러(23) 및 롤러(34)를 회전시켜 소재(S)를 이송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1)는, 추출부재(10)의 지지부(15)에 보조이송부재(30)를 마련되어 소재(S)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재(S)의 이동을 위하여 이송부재(20)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소재 이송장치 3: 가열로
5: 출구 10: 추출부재
11: 본체부 13: 이동부
15: 지지부 20: 이송부재
21: 이송프레임 23: 이송롤러
30: 보조이송부재 31: 구동부
32: 주동기어부 33: 보조이송부
34: 롤러 35: 회전축
36: 종동기어부 37: 동력전달부
39: 압력측정부 S: 소재

Claims (6)

  1. 가열로에서 소재를 추출하는 추출부재;
    상기 추출부재에 의하여 추출된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 및
    상기 추출부재에 위치하며, 상기 소재가 상기 이송부재에 의하여 이송되는 것을 보조하는 보조이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이송부재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소재가 안착되고, 상기 이송부재가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소재의 하측에 힘을 가하여 상기 소재의 이송을 보조하는 보조이송부; 및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보조이송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발생된 동력을 상기 보조이송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재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부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소재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장치.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이송부는,
    상기 지지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이송부는,
    상기 소재가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롤러; 및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양단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회전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이송부재는,
    상기 소재에 의하여 상기 보조이송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장치.
KR1020120108221A 2012-09-27 2012-09-27 소재 이송장치 KR101435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221A KR101435036B1 (ko) 2012-09-27 2012-09-27 소재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221A KR101435036B1 (ko) 2012-09-27 2012-09-27 소재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179A KR20140041179A (ko) 2014-04-04
KR101435036B1 true KR101435036B1 (ko) 2014-08-27

Family

ID=5065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221A KR101435036B1 (ko) 2012-09-27 2012-09-27 소재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0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137A (ko) * 2003-04-04 2004-10-13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의 추출 슬라브 추락 방지장치
KR20080099434A (ko) * 2007-05-09 2008-11-13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의 소재 장입장치
KR20120020474A (ko) * 2010-08-30 2012-03-08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열로에서 추출된 슬라브의 온도 측정 장치
KR20120032973A (ko) * 2010-09-29 2012-04-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종료온도를 제어하는 슬라브 이송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137A (ko) * 2003-04-04 2004-10-13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의 추출 슬라브 추락 방지장치
KR20080099434A (ko) * 2007-05-09 2008-11-13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의 소재 장입장치
KR20120020474A (ko) * 2010-08-30 2012-03-08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열로에서 추출된 슬라브의 온도 측정 장치
KR20120032973A (ko) * 2010-09-29 2012-04-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종료온도를 제어하는 슬라브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179A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8635B2 (ja) 板材送り装置
CN102837139A (zh) 一种可调式圆筒结构焊接滚轮架
KR101435036B1 (ko) 소재 이송장치
CN205856492U (zh) 皮革压花打样机
CN108082987A (zh) 一种具有张力控制功能的纠偏型放卷装置
CN206367872U (zh) 一种翻转送料设备
JP2014050844A (ja) ブリケットマシン
KR20130120955A (ko) 소재 권취장치
CN207090431U (zh) 用于方瓶输送的扭力限制装置及其连续上料机构
JP6455513B2 (ja) ブリケットマシン
KR101611719B1 (ko)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절단기
CN101255649A (zh) 一种熨平机
JP5343337B2 (ja) 加熱炉への鋼材装入装置
KR20180048154A (ko) 코일 포장재 벤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벤딩방법
KR101424439B1 (ko) 슬라브 사이징 프레스 장치
KR20150076021A (ko) 소재 이송장치
CN207903373U (zh) 一种带式输送机的辊筒装置
CN102078958A (zh) 一种浇注机进包机构
CN201596770U (zh) 一种浇注机进包机构
KR101435055B1 (ko) 바 상향 조정장치 및 방법
KR101443095B1 (ko) 소재 상향 교정장치
CN107628424A (zh) 一种安全型进料装置
KR101523964B1 (ko) 소재 정렬장치
CN202321742U (zh) 蒸呢机包布纠偏装置
CN102408030A (zh) 蒸呢机包布纠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