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664B1 - 실란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 Google Patents

실란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664B1
KR101434664B1 KR1020120135273A KR20120135273A KR101434664B1 KR 101434664 B1 KR101434664 B1 KR 101434664B1 KR 1020120135273 A KR1020120135273 A KR 1020120135273A KR 20120135273 A KR20120135273 A KR 20120135273A KR 101434664 B1 KR101434664 B1 KR 101434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ealant
sealant composition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7698A (ko
Inventor
홍지선
송동현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5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664B1/ko
Publication of KR20140067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3/1006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nature of one of its constitu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란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실란트 조성물은 부틸고무 100 중량부, 폴리이소부틸렌 100 내지 400 중량부, 그리고 아라미드 섬유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실란트 조성물은 타이어 주행시 발생한 펑크를 자가 봉합하여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점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란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COMPOSITION FOR SEALANT AND TIRE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실란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가 주행 중 못이나 기타 사고로 인해 펑크가 났을 경우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가 봉합 실란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 주행 중의 펑크나 공기 빠짐 현상은 주행 중 큰 사고로 이어지기 쉽다. 반면, 자가봉합이 가능한 실란트 타이어를 사용한다면 운전자의 안정성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메이저 자동차 제조 업체들은 상기 실란트 타이어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또한, 상기 실란트 타이어를 대량 생산하기 위해서는 실란트 조성물의 가공성을 확보해야 한다. 상기 실란트 조성물의 가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실란트 조성물의 점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상기 실란트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지면 상기 실란트 조성물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점도가 높아지면 가공성에 불리하므로 점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방법이 양산에 중요한 변수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39280호(공개일: 2004.05.10)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41368호(공개일: 2010.04.22)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 주행시 발생한 펑크를 자가 봉합하여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점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실란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실란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란트 조성물은 부틸고무 100 중량부, 폴리이소부틸렌 100 내지 400 중량부, 그리고 아라미드 섬유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황 또는 금속 과산화물(peroxide)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상기 아라미드 섬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의 황으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아라미드 60 내지 20 중량%, 반응안정제 20 내지 40 중량%, 가공조제 10 내지 30 중량% 및 반응촉진제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란트 조성물은 카본블랙 0 내지 10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부틸렌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g/mo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상기 실란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실란트층을 포함한다.
상기 실란트층은 상기 타이어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란트층의 두께는 1 내지 5mm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란트 조성물은 부틸고무 100 중량부, 폴리이소부틸렌 100 내지 400 중량부, 그리고 아라미드 섬유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실란트 조성물의 경우 일정 이상의 점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실란트 조성물 내의 화학적 결합 및 물리적 결합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고무 조성물의 경우 온도에 따라 점도 변화가 크다. 종래와 같이 실란트 조성물에 천연 섬유(fiber)를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천연 섬유가 고무와의 결합을 유지하는 작용을 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아미드 결합(-CONH)이 벤젠 고리와 같은 방향족 고리와 결합하여 폴리아마이드를 형성하고 있어, 인장강도, 강인성, 내열성, 고강성 및 고탄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500℃ 이하에서는 열적으로 안정하기 때문에 가공시나 타이어 주행시에도 안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실란트 조성물은 상기 아라미드 섬유를 포함하여 상기 실란트 조성물의 온도에 대한 점도 의존성을 낮출 수 있으며, 상기 실란트 조성물 내의 물리 화학적 결합 이외에 상기 아라미드와 상기 실란트 조성물 사이의 물리 화학결합을 유도하여 안정적으로 점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황 또는 금속 과산화물(peroxide)로 표면 처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아라미드 섬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의 황으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표면 처리된 아라미드 섬유는 상기 실란트 조성물에 포함된 고무 성분과 가교 결합시 물리 결합 이외에 화학 결합을 이루게 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점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아라미드 60 내지 20 중량%, 반응안정제 20 내지 40 중량%, 가공조제 10 내지 30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안정제는 구체적으로 크레졸계 반응안정제로 예를들어 4,6-비스[(옥틸티오)]-o-크레졸(4,6-bis[(octylthio)]-o-cresol) 또는 4,6-비스[(옥틸티오)메틸]-o-크레졸(4,6-bis[(octylthio)metyl]-o-cresol) 등일 수 있고, 상기 반응안정제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 가공이나 보관 중에 물성 변화가 있을 수 있고,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아라미드 섬유와 고무 사이의 결합을 방해할 수 있다. 상기 가공조제는 왁스 성분으로 구체적으로 파라핀 왁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가공조제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아라미드 섬유의 분산을 저해할 수 있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아라미드 섬유와 고무 사이의 결합을 방해할 수 있다.
상기 실란트 조성물은 상기 아라미드 섬유와 함께 부틸고무 및 폴리이소부틸렌을 포함하여 직경 5mm 이하의 못 또는 돌기에 의해 발생되는 구멍을 자가 봉합할 수 있도록 하고, 강한 접착성 및 온도 안정성을 가져 타이어 주행시에도 그 특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부틸렌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g/mol일 수 있다. 인 상기 폴리이소부틸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g/mol 미만인 경우 실란트의 점도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고, 3000g/mol을 초과하는 경우 흐름성이 좋지 않아 구멍을 자가 봉합하는 실란트의 성능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부틸렌은 상기 부틸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4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부틸렌은 상기 실란트 조성물의 접착 및 완충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300 내지 4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실란트 조성물의 온도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200 내지 300 중량부로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상기 부틸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아라미드 섬유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그 첨가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무니 수준이 높아져 가공성에 불리할 수 있다.
상기 실란트 조성물은 그 발열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0 내지 100 중량부의 카본블랙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실란트 조성물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페놀계 레진 및 기타 접착 레진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상기 실란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실란트층을 포함한다. 상기 실란트층은 상기 타이어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타이어의 반단면도이다. 이하, 상기 타이어에 대하여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타이어는 트레드부(1), 사이드월부(2), 및 비드부(3)를 포함한다. 상기 좌우 한 쌍의 비드부(3, 3) 사이에는 카카스층(4)이 가설되고, 상기 카카스층(4)의 타이어 폭 방향 양 단부가 각각 비드 코어(5)의 주변에 타이어 내측에서 외측으로 감겨 올라간다. 상기 트레드부(1)에서 상기 카카스층(4)의 외측에는 벨트층(6)이 설치되고, 상기 카카스층(4)의 내측에는 이너라이너(7)가 배치된다.
상기 이너라이너(7)의 상기 트레드부(1)에 대응하는 위치의 내측에는 상기 실란트층(8)이 배치된다. 상기 실란트층(8)은 타이어 주행시 발생한 펑크를 자가 봉합하여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실란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점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실란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실란트층(8)을 형성하는 방법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모두 적용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란트층(8)의 두께는 1 내지 5mm일 수 있다. 상기 실란트층(5)의 두께가 1mm 미만인 경우 펑크 방지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5mm를 초과하면 타이어의 중량이 필요 없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란트 조성물은 타이어 주행시 발생한 펑크를 자가 봉합하여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점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반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타이어의 온도에 대한 무니점도의 의존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 제조예 : 고무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이용하여 실란트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235/45R17 규격 타이어의 이너라이너 내면에 도포한 후 170℃에서 가교시켜 실란트층을 형성함으로써,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타이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2
부틸고무 100 100 100 100
폴리이소부틸렌(Mw=2300) 300 300 300 300
카본블랙(N330) 40 40 40 40
산화아연/스테아린산 5 / 1 5 / 1 5 / 1 5 / 1
유황/가류촉진제 5 / 2 5 / 2 5 / 2 5 / 2
아라미드 섬유(1) - 5 10 15
(단위: 중량부)
(1) 아라미드 섬유: 아라미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의 황으로 표면 처리됨
[ 실험예 : 제조된 고무 조성물의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타이어에 대하여 물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타이어의 온도에 대한 무니점도의 의존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측정온도(℃)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무니
점도
105 23 23.2 23.7 24
115 17 17.5 18 18.3
125 13 15 15.2 15.7
135 10 12.4 13.1 13.8
145 8 10.2 11.9 12.6
유동성 130 100 98 97 96
상기 표 2에서 무니점도는 ML1+4값을 측정하였으며, 유동성(fluidity)은 온도 130℃에서 게이지 3mm, 압력 120kgf를 주었을 때의 값을 측정하였으며, 부피에 대한 값을 나타내었다.
상기 표 2 및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조한 타이어는 아라미드 섬유를 포함하는 실란트층을 포함함으로써 무니점도의 온도 의존성이 낮아졌는 바, 가공상의 온도 변화에 안정적인 값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다만, 무니점도 값이 높아짐에 따라 온도를 상승시켜 가공해야 한다.
아울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타이어에 대하여 15mm의 못으로 펑크를 낸 후, 주행시 35 시간 동안 내구 이상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트레드부
2: 사이드월부
3: 비드부
4: 카카스층
5: 비드 코어
6: 벨트층
7: 이너라이너
8: 실란트층

Claims (9)

  1. 부틸고무 100 중량부,
    폴리이소부틸렌 100 내지 400 중량부, 그리고
    아라미드 섬유 1 내지 10 중량부
    를 포함하는 실란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황, 금속산화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표면 처리된 것인 실란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상기 아라미드 섬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의 황으로 표면 처리된 것인 실란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아라미드 60 내지 20 중량%; 4,6-비스[(옥틸티오)]-o-크레졸 또는 4,6-비스[(옥틸티오)메틸]-o-크레졸인 반응안정제 20 내지 40 중량%; 파라핀 왁스 10 내지 30 중량%을 포함하는 것인 실란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트 조성물은 카본블랙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실란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부틸렌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g/mol인 것인 실란트 조성물.
  7. 제1항에 따른 실란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실란트층을 포함하는 타이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트층은 상기 타이어의 내면에 형성된 것인 타이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트층의 두께는 1 내지 5mm인 것인 타이어.
KR1020120135273A 2012-11-27 2012-11-27 실란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KR101434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273A KR101434664B1 (ko) 2012-11-27 2012-11-27 실란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273A KR101434664B1 (ko) 2012-11-27 2012-11-27 실란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698A KR20140067698A (ko) 2014-06-05
KR101434664B1 true KR101434664B1 (ko) 2014-08-28

Family

ID=51123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273A KR101434664B1 (ko) 2012-11-27 2012-11-27 실란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6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869B1 (ko) 2019-09-09 2020-10-2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용 실란트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557B1 (ko) * 2017-08-29 2019-03-2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메꿈성이 우수한 실란트층의 타이어 제조방법 및 그 타이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3212A (ja) 2004-03-17 2005-09-29 Goodyear Tire & Rubber Co:The ビルトイン着色化封止層をもつ空気タイヤ及びその製造法
KR100834806B1 (ko) 2007-02-15 2008-06-0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용 고무조성물
JP4285603B2 (ja) * 2003-04-24 2009-06-2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63354A (ko) * 2009-12-02 2011-06-10 더 굿이어 타이어 앤드 러버 캄파니 실리카 및 나머지량의 오가노퍼옥사이드 탈중합된 부틸 고무를 함유하는 타이어 밀봉제 및 이를 갖는 타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5603B2 (ja) * 2003-04-24 2009-06-2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63212A (ja) 2004-03-17 2005-09-29 Goodyear Tire & Rubber Co:The ビルトイン着色化封止層をもつ空気タイヤ及びその製造法
KR100834806B1 (ko) 2007-02-15 2008-06-0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용 고무조성물
KR20110063354A (ko) * 2009-12-02 2011-06-10 더 굿이어 타이어 앤드 러버 캄파니 실리카 및 나머지량의 오가노퍼옥사이드 탈중합된 부틸 고무를 함유하는 타이어 밀봉제 및 이를 갖는 타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869B1 (ko) 2019-09-09 2020-10-2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용 실란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698A (ko)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09800A1 (en) Rubber Blend
US10626253B2 (en) Tire rubber composition
JP2011157473A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US20130109799A1 (en) Rubber Blend
KR101311264B1 (ko) 접착성과 난슬립성이 우수한 등산화용 겉창의 제조방법
JP2009292310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US9878580B2 (en) Rubber composition for pneumatic tires for construction vehicles
EP3441239A1 (en) Pneumatic tire
KR101434664B1 (ko) 실란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JP5205128B2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5524548B2 (ja) 競技用タイヤのインナーライナー用ゴム組成物及び競技用タイヤ
JP5061016B2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08201841A (ja) 応急用空気入りタイヤ
JP2002105249A (ja) ビードフィラー用ゴム組成物
US8578983B2 (en) Tire with rubber component comprised of a composite of rubber and film of syndiotactic polybutadiene integral with its surface
US20190351717A1 (en) Pneumatic tire having dampening element adhered to air barrier layer
KR101801929B1 (ko) 마 섬유를 포함하는 실란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JP2008214458A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のサイドウォール補強層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ランフラットタイヤ
EP3632975B1 (en) Rubber composition and pneumatic tire
EP3388261B1 (en) Tire and method for producing tire
US10723176B2 (en) Rubber composition for sidewalls, and pneumatic tire using same
JP2012246413A (ja) タイヤビードインシュレーション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KR101432935B1 (ko) 런플랫타이어의 사이드월인서트 고무조성물
JP2007297005A (ja) タイヤのビードカバー用ゴム組成物および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EP3388260B1 (en) Tire and method for producing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