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626B1 - 고점도 액 이송용 부스터펌프 - Google Patents

고점도 액 이송용 부스터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626B1
KR101434626B1 KR1020140002996A KR20140002996A KR101434626B1 KR 101434626 B1 KR101434626 B1 KR 101434626B1 KR 1020140002996 A KR1020140002996 A KR 1020140002996A KR 20140002996 A KR20140002996 A KR 20140002996A KR 101434626 B1 KR101434626 B1 KR 101434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filling
chamber
liquid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균
박동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행
김희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행, 김희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행
Priority to KR1020140002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626B1/ko
Priority to US14/650,872 priority patent/US20160097378A1/en
Priority to PCT/KR2014/008199 priority patent/WO2015105254A1/ko
Priority to CN201480021175.9A priority patent/CN105190036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1/00Equalisation of pulses, e.g. by use of air vessels; Counteracting cavitation
    • F04B11/0091Equalisation of pulses, e.g. by use of air vessels; Counteracting cavitation using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 e.g. throttles,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2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9/00Machines or 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17/00
    • F04B19/20Other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B19/22Other positive-displacement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4Pistons, piston-rods or piston-ro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4Pistons, piston-rods or piston-rod connections
    • F04B53/148Pistons, piston-rods or piston-rod connections the piston being provided with channels which are coacting with the cylinder and are used as a distribution member for another piston-cylinde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53/162Adaptations of cyl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점도 액 이송용 부스터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액 이송용 부스터펌프는, 일측에 액츄에이터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토출밸브가 형성되며 내부에 챔버가 형성된 바디;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전진 및 후진되어 압축력과 흡입력을 발생하는 플런저;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며, 플런저의 전진 및 후진작동에 연동되어 개폐되면서 바디의 내측으로 유체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충진 밸브;를 포함하고, 바디의 챔버의 내주면에 나선상으로 충진액 이송로가 형성되고, 상기 충진액 이송로의 출구는 상기 토출밸브에 근접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고점도 액 이송용 부스터펌프{Booster pump for high viscosity liquid transfer}
본 발명은 부스터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펌프의 맥동을 최소화하며 액압을 증가시켜 정량적으로 액을 이송하는 고점도 액 이송용 부스펌프에 관한 것이다.
고점도액을 정량적으로 토출건으로 공급하는 정량 펌프로서 기어펌프는 크기가 크고 무거워 보다 경량화하고 맥동이 없는 볼스크류에 의한 일종의 피스톤 방식의 2차 정량 펌프인 부스터 펌프가 많이 사용된다.
한국등록특허 10-1250985호(2013.03.29 등록)에 "부스터펌프"가 개시되어 있다.
유체가 공급되는 흡입관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관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유입되는 흡입헤더, 상기 흡입헤더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연결되는 배출헤더, 상기 흡입헤더와 상기 배출헤더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헤더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증대시켜 상기 배출헤더로 배출하는 펌프부를 포함하는 부스터 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는 상기 흡입헤더에서 상기 배출헤더로 유체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구동펌프, 상기 구동펌프와 상기 흡입헤더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흡입헤더에서 상기 구동펌프로 유입되는 유체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흡입게이트 밸브, 상기 구동펌프와 상기 배출헤더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펌프에서 상기 배출헤더로 배출되는 유체를 배출 또는 차단하는 배출게이트밸브, 상기 구동펌프와 상기 배출헤더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펌프에서 상기 배출헤더로 배출되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체크밸브와 상기 구동펌프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펌프에서 상기 체크밸브로 배출되는 유체의 초기압력을 감소시키는 차단판이 구비된 누수확인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헤더는 상기 배출관이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펌프의 작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유체의 충격이 상기 배출관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연하게 휘어지는 플랙시블조인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1 및 도 2는 종래 부스터 펌프를 도시한 것으로, 액츄에이터(10')에 의해 스크류(1')가 회전하면 스크류(1')에 결합하고 있는 너트부(2')가 상하 운동을 하게 되고, 너트부(2')와 결합하고 있는 플런저(3')가 동시에 상하운동을 하면서 챔버(120') 내부의 액을 충진하거나 토출하게 된다.
부스터 펌프의 액 충진구와 토출구에는 제어장치로부터 지령에 따라 열고 닫을 수 있는 충진 밸브(4')와 토출 밸브(5')가 각기 구비되어 액츄에이터(10')에 의해 스크류(1')가 회전하고, 따라서 너트부(2')와 결합하고 있는 플런저(3')가 동시에 상승할때 충진구 측의 충진 밸브(4')가 열리면서 액이 챔버(120') 내부로 들어온다.
액이 채워지는 상사점에 이르면 제어장치에 의해 충진 밸브(4')는 닫히고 액츄에이터(10')는 역회전을 시작하면서 너트부(2')와 플런저(3')를 동시에 하강시키게 되는데 제어장치에 의해 토출 밸브(5')가 열리면서 충진된 내부의 액이 토출구(32')를 통하여 토출하게 된다.
토출이 끝나는 하사점에서 다시 제어장치에 의해 토출 밸브(5')는 닫히고 액츄에이터(10')는 역회전하여 플런저(3')를 상승시키게 되는데 마찬가지로 제어장치에 의해 동시에 충진 밸브(4')가 열리면 액이 충진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도 3은 종래 부스터펌프에서 상기의 점성액을 충진하고 토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며, 플런저(3') 끝단과 챔버(120') 최하단 구석은 항상 액이 접착되어 있거나 고여있게 되어 시간이 경과하면서 변성되어 굳어지게 되어 잔존액 고화물(X)이 남게되고, 이 잔존액 고화물(X)이 점차 크기가 커져 일부가 떨어져 나오게 되면서 토출구(32')를 막게 되는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차적으로 볼스크류에 의해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일종의 피스톤 또는 플런저에 의한 점성액의 충진이 선입된 점성액이 순서대로 토출부 측에 차례대로 적층되고 하강에 의해 압출될때 먼저 충진된 점성액이 먼저 토출되도록 하고 동시에 피스톤 또는 플런저 주변에 묻어 잔존하지 않도록 점성액 충진시 피스톤 또는 플런저의 끝단을 돌아가면 항상 새로운 점성액으로 충진하도록 액 충진로를 나선형으로 챔버 내부를 가공하고, 나선형 충진로에 침적되는 요인을 최소화하도록 매끄럽게 라운드 처리를 한 고점도 액 이송용 부스터펌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에 액츄에이터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토출밸브가 형성되며 내부에 챔버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전진 및 후진되어 압축력과 흡입력을 발생하는 플런저; 상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며, 플런저의 전진 및 후진작동에 연동되어 개폐되면서 상기 바디의 내측으로 유체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충진 밸브;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충진밸브는 토출밸브로부터 이격되어 바디의 일측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충진밸브에 연결된 흡입구에 통하며, 바디의 챔버의 내주면에 나선상으로 충진액 이송로가 형성되고, 상기 충진액 이송로의 출구는 상기 토출밸브에 근접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펌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의 끝단은 콘 형상으로 돌출된 선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의 선단부가 접촉되는 챔버의 저부에는 콘 형상으로 오목하게 시이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구와 챔버의 연결부위는 모따기 되어 만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입선출의 불완전으로 챔버 내부에 잔량이 발생하고 시간 경과에 따라 고화 또는 경화되는 침적물이 떨어져 나와 토출관로를 폐쇄하는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챔버 내부에 점성액의 충진과 토출을 선입선출 방식을 유지하되 점성액의 잔존이 없도록 구조 개선을 하여 고화물 또는 경화물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유지관리 상의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예측 불가한 생산 라인 정지와 같은 사고를 근원적으로 예방하여 생산성을 크게 높을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부스터 펌프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 부스터펌프의 액 충진과 토출을 설명하고, 잔량이 존재하는 부분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터펌프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상기 도 4에서 일부를 확대한 정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5에 대한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터펌프의 액 충진과 토출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터펌프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상기 도 4에서 일부를 확대한 정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5에 대한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터펌프의 액 충진과 토출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액 이송용 부스터펌프는, 일측에 액츄에이터(미도시)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토출밸브(400)가 형성되며 내부에 챔버(120)가 형성된 바디(100); 상기 바디(100)의 내부에 삽입되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전진 및 후진되어 압축력과 흡입력을 발생하는 플런저(200); 상기 바디(100)의 일측에 형성되며, 플런저(200)의 전진 및 후진작동에 연동되어 개폐되면서 상기 바디(100)의 내측으로 유체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충진 밸브(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충진 밸브(300)는 토출밸브(400)로부터 이격되어 바디(10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된 흡입구(130)에 장착된다. 상기 흡입구(130)와 챔버(120)의 연결부위는 모따기 되어 만곡부(140)가 형성된다.
충진 밸브(300)에는 외부에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유체는 주로 고점도 액이 공급된다.
바디(100)의 내부에는 챔버(120)가 수직되게 형성되고, 이 챔버(120)에 플런저(200)가 삽입된 상태로 플런저(200)의 상승 또는 하강작동에 의해 충진 밸브(300)를 통한 유체의 흡입 및 압축작동이 유발된다.
바디(100)의 상부 일측에는 흡입구(130)가 형성되며, 흡입구(130)에 통하는 이송로는 충진액 이송로(600)가 나선상으로 바디(100)의 내부에 형성되고, 충진액 이송로(600)의 하단 출구(620)는 시이트(170)에 근접되게 저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플런저(200)가 상승하기 시작하면 충진 밸브(300)와 흡입구(130)에 연결된 충진액 이송로(600)의 하단 출구(620)로부터 흡입력이 발생되므로 이에 연동되어 충진 밸브(300)가 열리면서 유체가 챔버(120) 내부로 유입된다.
여기서 충진액 이송로(600)의 상단, 즉 흡입구(130)와 연결된 부위로부터 하단 출구까지 차있던 액은 챔버(120) 내부로 인입되고, 새로 유입된 액이 충진액 이송로(600)에 충진된다.
플런저(200)가 하강하면 챔버(120)에 충진된 유체는 압축되면서 토출밸브(400) 및 노즐(430)을 통해 분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충진 밸브(300)에 연결된 흡입구(130)에 통하며, 바디(100)의 챔버(120)의 내주면에 나선상으로 충진액 이송로(600)가 형성되며, 상기 충진액 이송로(600)의 출구(620)는 상기 토출밸브(400)가 연결되는 토출구(180)에 근접되어 형성된다.
즉, 챔버(120)의 내주면을 나선상으로 1줄 또는 복수의 줄의 충진액 이송로(600)가 형성되고, 이 충진액 이송로(600)는 챔버(120)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파여져 형성되므로, 플런저(200)의 외주면이 지나가면서 플런저(200)가 상승하면서 원주 방향으로 개방되는 이송로로부터 액이 나와 적층이 되면서 충진되고, 아울러 플런저(200)이 하강하면서 챔버(120) 내의 액을 토출함과 동시에 충진액 이송로(600) 내의 유체도 가압하게 되어 유체가 나선상으로 된 충진액 이송로(600)를 통해 최종 출구로 토출되는 효과도 있어 토출밸브(400)에 근접된 저부에 고인 유체를 회전시키면서 토출밸브(400)로 토출하여 챔버(120)의 저부에 잔류물을 남기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플런저(200)의 끝단은 콘(CORN) 형상으로 돌출된 선단부(250)가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200)의 선단부(250)가 접촉되는 챔버(120)의 저부에는 콘 형상으로 오목하게 시이트(170)가 형성된다.
이렇게 플런저(200)의 선단부(250)가 뾰족하게 돌출 형성함으로써 고점도 액이 잔류될 부위의 표면적을 줄이고, 아울러 플런저(200)의 선단부가 밀착되는 챔버(120)의 저부도 콘 형상에 대응되는 시이트(170)가 형성되는데, 상기 시이트(170)의 중심부는 토출밸브(400)와 통하는 토출구(180)가 형성된다.
따라서 시이트(170)의 중심으로 집중되는 고점도 액이 토출통로(180)를 통해 토출되고, 아울러 시이트(170)는 오목하게 요입되어 있으므로 고점도 액이 중심으로 흘러가도록 하여 잔류될 소지를 예방할 수 있고 플런저(200)이 상승하며 액을 충진할 때 플런저(200)의 선단을 돌아가며 이송로(600)이 개방되면서 액을 충진하므로 항상 새로운 액이 상층부에 충진되어 액의 선입선출을 완전하게 이루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액 이송용 부스터펌프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작동순서는 (a)->(i)으로 진행된다.),
(a)는 플런저(200)가 최저점에 하강된 상태이며, 액이 완전히 토출된 상태이다.
(b)~(h)는 플런저(200)를 상승 작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상부의 흡입구(130) 및 그에 연결된 이송로의 출구까지 차있던 새로운 액이 챔버(120)의 저부로부터 점차적으로 충진되기 시작한다.
화살표는 액 충진 위치를 의미한다.
(i)는 (h)단계에서 완전히 충진된 후 플런저(200)가 하강하면서 액의 토출시 실시된다.
따라서 항상 새로운 액이 충진된 후 토출되는 선입선출 방식을 따르게 되므로 플런저(200)의 끝단에 점성액이 누적되어 점착되지 않도록 씻어주게 된다.
아울러 플런저(200)의 하단과 챔버(120)의 시이트(170)를 경사도를 갖는 콘 형상으로 가공함으로써 토출시 액의 잔류가 없이 신속하게 토출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바디 120 : 챔버
130 : 흡입구 140 : 만곡부
170 ; 시이트 180 : 토출구
200 ; 플런저 300 : 충진 밸브

Claims (3)

  1. 일측에 액츄에이터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토출밸브(400)가 형성되며 내부에 챔버(120)가 형성된 바디(100);
    상기 바디(100)의 내부에 삽입되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전진 및 후진되어 압축력과 흡입력을 발생하는 플런저(200);
    상기 바디(100)의 일측에 형성되며, 플런저(200)의 전진 및 후진작동에 연동되어 개폐되면서 상기 바디(100)의 내측으로 유체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충진 밸브(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충진 밸브(300)는
    토출밸브(400)로부터 이격되어 바디(10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된 흡입구(130)에 장착되며,
    상기 충진 밸브(300)에 연결된 흡입구(130)에 통하며, 바디(100)의 챔버(120)의 내주면에 나선상으로 충진액 이송로(600)가 형성되고,
    상기 충진액 이송로(600)의 출구(620)는 상기 토출밸브(400)가 연결되는 토출구(180)에 근접되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200)의 끝단은 콘 형상으로 돌출된 선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200)의 선단부가 접촉되는 챔버(120)의 저부에는 콘 형상으로 오목하게 시이트(17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펌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130)와 챔버(120)의 연결부위에는 만곡부(1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펌프.
KR1020140002996A 2014-01-09 2014-01-09 고점도 액 이송용 부스터펌프 KR101434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996A KR101434626B1 (ko) 2014-01-09 2014-01-09 고점도 액 이송용 부스터펌프
US14/650,872 US20160097378A1 (en) 2014-01-09 2014-09-02 High-viscosity liquid feeding booster pump
PCT/KR2014/008199 WO2015105254A1 (ko) 2014-01-09 2014-09-02 고점도 액 이송용 부스터펌프
CN201480021175.9A CN105190036B (zh) 2014-01-09 2014-09-02 用于输送高粘度液体的增压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996A KR101434626B1 (ko) 2014-01-09 2014-01-09 고점도 액 이송용 부스터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4626B1 true KR101434626B1 (ko) 2014-08-27

Family

ID=5175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996A KR101434626B1 (ko) 2014-01-09 2014-01-09 고점도 액 이송용 부스터펌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097378A1 (ko)
KR (1) KR101434626B1 (ko)
CN (1) CN105190036B (ko)
WO (1) WO201510525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533B1 (ko) * 2016-08-04 2017-03-24 김승호 단연조 또는 다연조 구조의 피스톤과 온/오프 정밀 개폐식 작동밸브를 갖는 모터 가압형 플런저 구조의 고점도, 고필러 수지용 정량 혼합 토출장치
CN106762512A (zh) * 2017-01-14 2017-05-31 东莞市聚瑞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新结构小型柱塞泵
KR101867246B1 (ko) * 2017-12-28 2018-06-12 한현석 플런저 펌프
KR20220082953A (ko) 2020-12-10 2022-06-20 조시영 열 냉각 기능을 갖는 고점성액 정량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94311A1 (en) * 2017-04-18 2021-04-01 Hp Indigo B.V. High-viscosity fluid deliver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2361A (ja) * 2006-06-22 2008-01-10 Hitachi Ltd 高圧燃料ポンプ
JP2009228603A (ja) * 2008-03-24 2009-10-08 Mutual Corp 高粘性体取り出し装置および高粘性体取り出し方法
JP2013096405A (ja) * 2011-11-04 2013-05-20 Hyung Soo Han カム式流体吐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1127A (en) * 1989-07-12 1990-03-27 Cummins Engine Company, Inc. Fuel injec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2200706Y (zh) * 1994-01-11 1995-06-14 孙新民 一种往复柱塞泵的液力端装置
JP2000326376A (ja) * 1999-05-17 2000-11-28 Toshiba Mach Co Ltd プリプラ式射出装置
JP4032729B2 (ja) * 2001-12-19 2008-01-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流体塗布方法
CN201982941U (zh) * 2011-03-31 2011-09-21 北京中冶华润科技发展有限公司 柱塞泵的泵单元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2361A (ja) * 2006-06-22 2008-01-10 Hitachi Ltd 高圧燃料ポンプ
JP2009228603A (ja) * 2008-03-24 2009-10-08 Mutual Corp 高粘性体取り出し装置および高粘性体取り出し方法
JP2013096405A (ja) * 2011-11-04 2013-05-20 Hyung Soo Han カム式流体吐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533B1 (ko) * 2016-08-04 2017-03-24 김승호 단연조 또는 다연조 구조의 피스톤과 온/오프 정밀 개폐식 작동밸브를 갖는 모터 가압형 플런저 구조의 고점도, 고필러 수지용 정량 혼합 토출장치
CN106762512A (zh) * 2017-01-14 2017-05-31 东莞市聚瑞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新结构小型柱塞泵
KR101867246B1 (ko) * 2017-12-28 2018-06-12 한현석 플런저 펌프
KR20220082953A (ko) 2020-12-10 2022-06-20 조시영 열 냉각 기능을 갖는 고점성액 정량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90036A (zh) 2015-12-23
WO2015105254A9 (ko) 2015-09-17
CN105190036B (zh) 2017-03-08
WO2015105254A1 (ko) 2015-07-16
US20160097378A1 (en)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626B1 (ko) 고점도 액 이송용 부스터펌프
JP6339637B2 (ja) 個別量の高粘性液体の噴射
TWI530327B (zh) Quantitative discharge device and method for high viscosity material
CN105604926B (zh) 压电气动阀驱动型分配泵及用所述泵分配粘性液体的方法
JP4335216B2 (ja) 電子写真用粉体トナーの移送方法並びに移送装置、充填方法、充填装置
TW201736004A (zh) 含有固體粒子之液體材料之吐出裝置及吐出方法暨塗佈裝置
CN204938944U (zh) 套管回吸灌装头
JP2013517125A5 (ko)
TWI783948B (zh) 液體材料吐出裝置
JP2018083188A (ja) 建設車両清掃用空気噴射装置
CN101482560A (zh) 采用流道压力平衡结构的清洗头和残液吸头的酶标板洗板机
CN114412759A (zh) 一种高压液压隔膜往复泵
CN202398464U (zh) 一种改良的背负式手动高压喷雾器
CN107912049A (zh) 能够高压排出的送水装置
US20210394524A1 (en) Displacement pump
CN219388081U (zh) 一种组合式计量泵
JP6210843B2 (ja) 液体注入装置の注入ガン
JP6304491B2 (ja) 流体の供給装置
CN104121002B (zh) 一种分层采油控制器
CN207363832U (zh) 一种杂物输送泵
TWI636817B (zh) 氣泡分離機構與氣泡分離方法、及其應用於含有藥液供給之製程機台
KR101222370B1 (ko) 유체 토출장치
CN103967736B (zh) 四缸h形阀混凝土输送泵
KR200272412Y1 (ko) 자동 그리스 주입기
KR101333249B1 (ko) 잔량 방지를 위한 장류 주입용 노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