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578B1 - 칸막이 화장실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칸막이 화장실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578B1
KR101433578B1 KR1020140018167A KR20140018167A KR101433578B1 KR 101433578 B1 KR101433578 B1 KR 101433578B1 KR 1020140018167 A KR1020140018167 A KR 1020140018167A KR 20140018167 A KR20140018167 A KR 20140018167A KR 101433578 B1 KR101433578 B1 KR 101433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nel
door
toile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40018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5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6Public W.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다수개의 변기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 및 상기 변기 사이를 구획하는 칸막이와, 칸막이로 구분된 각각의 변기로 출입하도록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칸막이 화장실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 및 도어는 전처리 공정으로 모서리 라운딩 가공장치에 의해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이 되되,
상기 모서리라운딩 가공장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피가공물인 판넬을 올려놓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에 올려진 판넬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판넬의 변을 가공하는 변가공부와; 상기 변가공부에 의해 변이 가공된 판넬의 모서리를 라운딩 가공하는 모깍기부;
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서리라운딩 가공장치에 의해 피가공물인 판넬은 작업대에 판넬을 올려놓는 a단계; 작업대에 안착된 판넬이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면서 변가공부에서 이송부의 이송방향을 따라 판넬의 변을 가공하는 b단계; 변이 가공된 판넬의 모서리를 모깍기부에서 라운딩 가공하는 c단계;
를 거쳐서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 및 도어로 제작되며,
상기 모서리라운딩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된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 및 도어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변기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공간의 외부를 상기 전면플레이트와와 측면플레이트를 직립시켜 각각의 모서리를 라운드지게 형성된 코너곡면연결구에 의해 서로 결속하는 1단계; 상기 전면플레이트와와 측면플레이트의 결속에 의해 생긴 공간을 칸막이로 상기 변기 사이를 구획하는 2단계; 상기 전면플레이트에 도어를 설치하는 3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칸막이 화장실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은 각이 져 있는 모서리 부분을 라운딩 가공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의 코너부분을 큰 곡률반경을 가진 연결구로 라운드지게 마감 처리하여 가구의 미적감각을 고양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홀더를 이용하여 연결구를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의 코너부분에 고정시킴으로서 간편한 조립과 더불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시켜 높은 작업성을 구현할 수 있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칸막이 화장실 제작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toilet with partition}
본 발명은 내부에 다수개의 변기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 및 상기 변기 사이를 구획하는 칸막이와, 칸막이로 구분된 각각의 변기로 출입하도록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칸막이 화장실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칸막이 화장실에서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 및 도어의 모서리는 라운드 가공이 되어 있으며,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곡면연결구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칸막이 화장실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 화장실의 구조는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로 결합하여 내부와 외부로 구획하고, 다시 여러 사람이 이용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칸막이로 구획한 후,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변기를 설치하고 변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310429호에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에 있어서, 상기 문틀 및 문짝은 발포수지로 압출 성형되되, 상기 문틀은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문틀로 이루어지며, 상기 문짝은 제1문틀과 제2문틀 사이에 여닫이식으로 구비되고; 상기 문짝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제1문틀에 경첩으로 연결되되 상기 문짝의 일측단부에는 제1돌출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문틀에는 상기 문짝의 제1돌출턱에 대응되는 제2돌출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문짝의 타측단부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문틀에는 상기 문짝의 걸림턱에 대응되는 지지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문짝과 제1 및 제2문틀은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이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93214호에 다수의 판재로 연결된 조립식 화장실 칸막이에 있어서, 측벽에 고정하는 고정부에 다수의 횡지지바를 일정 높이로 지지설치하고, 상기 각 횡지지바에는 코너연결부 및 수직연결부로 종지지바를 연결하여 지지수단 이루고, 상기 지지수단의 하부에는 하단에 각 받침대에 의해 일정 높이로 조립되는 측면지지판과, 전면지지판을 'ㄱ'자형 연결부재로 상호 지지 연결하고, 상기 전면지지판에 경첩으로 도어판을 연결하여 칸막이수단을 이루어서, 상기 지지수단의 횡지지바와 종지지바의 저면에 형성된 'ㄷ'자형의 조립홈으로 상기 칸막이수단의 측면지지판과 전면지지판의 상단 조립부를 삽입되게 조립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화장실 칸막이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에 소개된 문짝이나 프레임은 모두 모서리 부분이 각져 있어서, 부딪히거나 하는 경우 심각한 부상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칸막이 화장실의 틀을 이루는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의 결합시 곡면지게 하고, 또한 도어의 모서리 부분도 곡면지게 라운딩 가공하여 안전성 및 미적으로도 우수한 칸막이 화장실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내부에 다수개의 변기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 및 상기 변기 사이를 구획하는 칸막이와, 칸막이로 구분된 각각의 변기로 출입하도록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칸막이 화장실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 및 도어는 전처리 공정으로 모서리 라운딩 가공장치에 의해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이 되되,
상기 모서리라운딩 가공장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피가공물인 판넬을 올려놓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에 올려진 판넬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판넬의 변을 가공하는 변가공부와; 상기 변가공부에 의해 변이 가공된 판넬의 모서리를 라운딩 가공하는 모깍기부;
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서리라운딩 가공장치에 의해 피가공물인 판넬은 작업대에 판넬을 올려놓는 a단계; 작업대에 안착된 판넬이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면서 변가공부에서 이송부의 이송방향을 따라 판넬의 변을 가공하는 b단계; 변이 가공된 판넬의 모서리를 모깍기부에서 라운딩 가공하는 c단계;
를 거쳐서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 및 도어로 제작되며,
상기 모서리라운딩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된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 및 도어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변기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공간의 외부를 상기 전면플레이트와와 측면플레이트를 직립시켜 각각의 모서리를 라운드지게 형성된 코너곡면연결구에 의해 서로 결속하는 1단계; 상기 전면플레이트와와 측면플레이트의 결속에 의해 생긴 공간을 칸막이로 상기 변기 사이를 구획하는 2단계; 상기 전면플레이트에 도어를 설치하는 3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은 각이 져 있는 모서리 부분을 라운딩 가공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의 코너부분을 큰 곡률반경을 가진 연결구로 라운드지게 마감 처리하여 가구의 미적감각을 고양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홀더를 이용하여 연결구를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의 코너부분에 고정시킴으로서 간편한 조립과 더불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시켜 높은 작업성을 구현할 수 있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정면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평면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상부측 모서리 부분의 상세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하부측 모서리 부분의 상세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도어 모서리 부분의 상세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코너 연결부분의 제1실시 예의 코너연결구를 통한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의 체결관계를 나타낸 개요도.
도 8은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코너 연결부분의 제1실시 예의 코너연결구를 통한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의 체결 후의 평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코너 연결부분의 제2실시 예의 코너연결구를 통한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의 체결관계를 나타낸 개요도.
도 10은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코너 연결부분의 제2실시 예의 코너연결구를 통한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의 체결 후의 평면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코너 연결부분의 제2실시 예의 코너연결구를 통한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의 체결관계를 나타낸 개요도.
도 12는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코너 연결부분의 제2실시 예의 코너연결구를 통한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의 체결 후의 평면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상부 몰딩에서 전면 몰딩 및 측면 몰딩의 코너부분에 설치되는 곡면 연결구의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
도 14는 모서리 라운딩 가공장치의 우측 사시도.
도 15는 모서리 라운딩 가공장치의 좌측 사시도.
도 16은 모서리 라운딩 가공장치의 이송부의 확대사진.
도 17은 모서리 라운딩 가공장치의 변가공부의 1차커팅부 사진.
도 18은 모서리 라운딩 가공장치의 변가공부의 2차커팅부 사진.
도 19는 도 14에서 모깍기부의 확대도면.
도 20은 도 19의 배면 사시도.
도 21은 모서리 라운딩 가공장치의의 모깍기부의 저면 사시도.
도 22는 모서리 라운딩 가공장치의 변가공부의 3차커팅부 사진.
도 23은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점등시스템을 나타낸 개요도.
도 24는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도어의 사용 상태도.
도 25는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 도어의 잠금장치의 상태도.
도 26은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 도어의 A부분 확대상세도.
도 27은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 도어의 잠금쇠구조를 나타낸 개요도.
도 28은 본 발명 화장실 도어의 일부분 상세도.
본 발명 내부에 다수개의 변기(700)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전면플레이트(1)와 측면플레이트(2) 및 상기 변기(700) 사이를 구획하는 칸막이(5)와, 칸막이(5)로 구분된 각각의 변기(700)로 출입하도록 도어(610)가 설치되어 있는 칸막이 화장실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1)와 측면플레이트(2) 및 도어(610)는 전처리 공정으로 모서리 라운딩 가공장치(500)에 의해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이 되되,
상기 모서리라운딩 가공장치(500)는 지지프레임(510)과; 상기 지지프레임(510)의 상부에 설치되며, 피가공물인 판넬을 올려놓는 작업대(520)와; 상기 작업대(520)에 올려진 판넬을 이송시키는 이송부(530)와; 상기 이송부(530)의 측면에 설치되어 이송부(530)에 의해 이송되는 판넬의 변을 가공하는 변가공부(540)와; 상기 변가공부(540)에 의해 변이 가공된 판넬의 모서리를 라운딩 가공하는 모깍기부(550);
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서리라운딩 가공장치(500)에 의해 피가공물인 판넬은 작업대(520)에 판넬을 올려놓는 a단계; 작업대(520)에 안착된 판넬이 이송부(530)에 의해 이송되면서 변가공부(540)에서 이송부(530)의 이송방향을 따라 판넬의 변을 가공하는 b단계; 변이 가공된 판넬의 모서리를 모깍기부(550)에서 라운딩 가공하는 c단계;
를 거쳐서 전면플레이트(1)와 측면플레이트(2) 및 도어(610)로 제작되며,
상기 모서리라운딩 가공장치(500)에 의해 가공된 전면플레이트(1)와 측면플레이트(2) 및 도어(610)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변기(700)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공간의 외부를 상기 전면플레이트와(1)와 측면플레이트(2)를 직립시켜 각각의 모서리를 라운드지게 형성된 코너곡면연결구(100)에 의해 서로 결속하는 1단계; 상기 전면플레이트와(1)와 측면플레이트(2)의 결속에 의해 생긴 공간을 칸막이(5)로 상기 변기(700) 사이를 구획하는 2단계; 상기 전면플레이트(1)에 도어(610)를 설치하는 3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530)는 작업대(52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531)와; 상기 컨베이어(531)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롤러(133);로 구성되되, 상기 다수개의 롤러(533)와 컨베이어(531) 사이에 판넬이 끼워지고, 상기 컨베이어(531)가 구동함에 따라 판넬이 이송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작업대(520)의 상부측에는 이송부플레이트(532)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플레이트(532)의 하부끝단부에는 다수개의 롤러(533)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이송부플레이트(532)의 길이방향으로 웜(535)이 설치되며, 웜(535)의 외주면과 접촉되게 웜기어(536)가 설치되어 이송부플레이트(532)가 승하강 함으로써 롤러(533)와 컨베이어(531)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모깍기부(550)는 지지프레임 상부에 판넬의 진행방향으로 설치되는 전후방 가이드레일(551)과;
상기 전후방가이드레일(551)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후방가이드레일(551)을 따라 이동하는 전방레일플레이트(552) 및 후방레일플레이트(555)와;
상기 전·후방레일플레이트(552,555)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며 판넬의 모서리를 가공하는 전방커팅부(554) 및 후방커팅부(557);
로 구성되되,
상기 전·후방커팅부(554,557)는 베이스플레이트(5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의 상부에 결합되는 ‘
Figure 112014055202227-pat00038
’자형 플레이트(51)와, 상기 ‘
Figure 112014055202227-pat00039
’자형 플레이트(51)의 중앙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52)와, 상기 고정플레이트(52)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받침판(54)과, 상기 모터받침판(54)의 상면에 고정되는 절삭모터(57)와, 상기 절삭모터(57)의 하부끝단부에 결합되어 모서리를 라운딩가공하는 절삭날(58)과, 상기 모터받침판(54)과 링크연결되어 모터받침판(54) 및 절삭모터(57)를 회동시키는 에어실린더(5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 제작방법은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정면 개요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평면 개요도이다.
도 2의 B는 모서리 부분의 라운드 가공이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칸막이 화장실은 내부에 다수개의 변기(700)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전면플레이트(1)와 측면플레이트(2) 및 상기 변기(700) 사이를 구획하는 칸막이(5)와, 칸막이(5)로 구분된 각각의 변기(700)로 출입하도록 도어(610)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칸막이 화장실에서 전면플레이트(1)와 측면플레이트(1) 및 도어의 모서리는 라운드 가공이 되어 있으며, 전면플레이트(1)와 측면플레이트(2)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곡면연결구(100)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 4는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상부측 모서리 부분의 상세 개요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하부측 모서리 부분의 상세 개요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도어 모서리 부분의 상세 개요도이다.
즉, 도 4는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상부측 모서리 부분의 몰딩 연결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칸막이 화장실은 각진 부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어(610)의 모서리 부분을 후술할 라운드 가공장치(500)를 통해 라운드 가공하거나, 전면플레이트(1)와 측면플레이트(2)를 라운드지게 형성된 곡면연결구(100)를 통해 서로 체결하였다.
상기 곡면연결구(100)는 후술한 바와 같이 3가지 타입의 실시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코너 연결부분의 제1실시 예의 코너연결구를 통한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의 체결관계를 나타낸 개요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코너 연결부분의 제1실시 예의 코너연결구를 통한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의 체결 후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첫 번째 실시 예로서, 도 7 내지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코너 곡면연결구(100)는 전면플레이트(1)와, 상기 전면플레이트(1)의 일단에 수직으로 직교하게 연결 구성되는 측면플레이트(2)의 코너 부분에 설치되며 전면플레이트(1)와 측면플레이트(2)의 코너 부분을 라운드지게 마감 처리하는 수단으로서, 크게 곡면프레임(10)과 홀더(20)로 나뉘어져 구성된다.
상기 곡면플레이트(10)는 가구의 코너 곡면연결구(100)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전면 및 측면플레이트(1, 2)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그 전면부(12)는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하고, 그 후면부(14)는 오목하게 라운드지게 형성한다.
상기한 곡면플레이트(10)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또는 수지 재질로 성형하거나 혹은 강도를 고려하여 금속 재질로 성형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재질을 접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곡면프레임(10)의 양단부에는 끼움돌기(16)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16)는 후술하는 홀더(20)의 제1홈(24)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며 곡면프레임(10)을 홀더(20)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홀더(20)는 곡면프레임(10)을 전면플레이트(1)와 측면플레이트(2)의 코너 부분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동일한 구조로 하여 복수개를 배치시켜, 하나의 홀더(20)는 곡면프레임(10)과 전면플레이트(1)의 고정에 사용토록 하고, 다른 하나의 홀더(20)는 곡면플레이트(10)와 측면플레이트(2)의 고정에 사용토록 한다.
하나의 홀더 구조를 대표하여 기술하면, 상기 홀더(20)는 곡면프레임(10)과, 전면플레이트(1) 그리고 측면플레이트(2)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그 단면이 대략적으로 ‘H’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한다.
즉, 상기 홀더(20)는 중앙에 형성된 격판(22)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제 1, 2홈(24, 26)이 각각 함몰 형성된다.
상기 홀더(20)의 제1홈(22)에는 전술한 곡면프레임(10)의 끼움돌기(16)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게 되고, 상기 홀더(20)의 제2홈(26)에는 전면 혹은 측면플레이트(1, 2)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게 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홀더(20)를 전면플레이트(1)와 측면플레이트(2)의 단부에 각각 조립한 다음, 상기 각 홀더(20)의 제1홈(24)에 곡면프레임(10)의 양단에 형성된 끼움돌기(16)를 각각 끼워넣음으로써 전면플레이트(1)와 측면플레이트(2)의 코너 부분에 곡면프레임(10)을 고정시켜 라운드지게 마감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코너 연결부분의 제2실시 예의 코너연결구를 통한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의 체결관계를 나타낸 개요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코너 연결부분의 제2실시 예의 코너연결구를 통한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의 체결 후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곡면연결구(200)의 두 번째 실시 예로서, 도 9와 도 10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가구의 코너 곡면 연결구(200)는 전술한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즉, 곡면프레임(210)과 복수개의 홀더(220)로 구성되되, 상기 곡면프레임(210)의 형상을 전면부(212)는 볼록하게 라운드지도록 돌출 형성하는 반면, 곡면프레임(210)의 후면부(214)는 직선으로 평탄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곡면프레임(210)의 형상은 전술한 제 1실시 예의 곡면프레임(10)에 비해 두께를 넓혀 곡면프레임(1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코너 연결부분의 제2실시 예의 코너연결구를 통한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의 체결관계를 나타낸 개요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코너 연결부분의 제2실시 예의 코너연결구를 통한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의 체결 후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곡면연결구(300)는 전술한 제 1실시 예와 같이 양단으로 끼움돌기(316)가 형성된 곡면프레임(310)을 구성하되, 별도의 홀더를 사용하지 않고, 전면플레트(1) 및 측면플레이트(2)의 일단에 상기 곡면프레임(310)의 끼움돌기(316,318)가 각각 끼워지기 위한 끼움홈(324, 326)을 각각 함몰 형성하여, 홀더의 사용 없이 전면플레이트(1)와 측면플레이트(2)의 코너 부분에 곡면프레임(31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곡면플레이트(310)의 일측단에는 측면플레이트(2)의 끼움홈(326)에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끼움돌기(316)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316)와 곡면플레이트(310)의 사이에는 반원모양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316a)이 형성되는데, 이 안착홈(316a)에는 상기 측면플레이트(2)의 돌기(326a)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곡면플레이트(310)의 타측단에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끼움돌기(316)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전면플레이트(1)의 끼움홈(324)에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끼움돌기(318)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끼움돌기(318)와 곡면플레이트(310)의 사이에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의 돌기(324a)가 결합되는 반원모양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318a)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코너 곡면 연결구(300)를 상기 전면플레이트(1)와 측면플레이트(2)의 코너 부분에 고정할 때는, 상기 곡면프레임(310)의 끼움돌기(316, 318)를 측면플레이트(2)와 전면플레이트(1)의 끼움홈(326, 324)에 억지끼움식으로 각각 삽입하고 상기 측면플레이트(2)와 전면플레이트(1)의 돌기(326a, 324a)가 상기 곡면플레이트(310)의 안착홈(316a, 318a)에 각각 밀착되도록 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상부 몰딩에서 전면 몰딩 및 측면 몰딩의 코너부분에 설치되는 곡면 연결구의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1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몰딩 연결용 곡면 연결구(400)는 양단은 개방시킨 상태에서 내부에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전면(412)은 볼록하게 라운드지고, 후면(414)은 오목하게 라운드지도록 구성한 곡면프레임(410)으로 구성하고, 상기 개방된 곡면프레임(410)의 양단으로 전면몰딩(3) 및 측면몰딩(4)을 각각 끼워넣어 전면몰딩(3)과 측면몰딩(4)의 코너 부분을 라운드지게 마감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판넬로 이루어진 도어(610)와 전면플레이트(1) 및 측면플레이트(2) 등의 모서리 부분은 각이 져 있기 때문에 부딪혀 다치기 쉽기 때문에 후술할 모서리 라운딩 가공장치(500)에 의해 가공되어 진다.
도 14는 모서리 라운딩 가공장치의 우측 사시도, 도 15는 모서리 라운딩 가공장치의 좌측 사시도, 도 16은 모서리 라운딩 가공장치의 이송부의 확대사진, 도 17은 모서리 라운딩 가공장치의 변가공부의 1차커팅부 사진, 도 18은 모서리 라운딩 가공장치의 변가공부의 2차커팅부 사진, 도 19는 도 14에서 모깍기부의 확대도면, 도 20은 도 19의 배면 사시도, 도 21은 모서리 라운딩 가공장치의의 모깍기부의 저면 사시도, 도 22는 모서리 라운딩 가공장치의 변가공부의 3차커팅부 사진이다.
본 발명의 모서리 라운딩 가공장치(500)는 지지프레임(510)과, 상기 지지프레임(510)의 상부에 설치되며, 피가공물인 판넬을 올려놓는 작업대(520)와, 상기 작업대(520)에 올려진 판넬을 이송시키는 이송부(530)와, 상기 이송부(530)에 의해 이송되는 판넬의 변을 가공하는 변가공부(540)와, 상기 판넬의 모서리를 가공하는 모깍기부(550)와, 가공된 판넬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닦아내는 클리닝부(560)로 구성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530)는 다수개의 롤러(533)와, 상기 롤러(533)의 하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531)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롤러(533)와 컨베이어(531) 사이에 판넬이 끼워지고, 상기 컨베이어(531)가 구동함에 따라 판넬이 이송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531)는 작업대(520)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520)의 상부측에는 다수개의 롤러(533)가 설치되되, 상기 다수개의 롤러(533)는 이송부플레이트(532)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520)의 상부측에는 이송부플레이트(532)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플레이트(532)의 하부끝단부에 다수개의 롤러(533)가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부플레이트(532)는 승하강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부플레이트(532)가 승하강됨에 따라 롤러(533)와 컨베이어(531)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다양한 두께의 판넬을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플레이트(532)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중심축이 설치되며, 상기 중심축의 외주면에는 웜(535)이 고정설치된다.
또한, 상기 웜(535)의 외주면과 접촉되게 웜기어(536)가 설치되며, 상기 웜기어(536)는 고정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웜(535)과 일체로 결합된 손잡이를 좌,우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웜(535)은 웜기어(536)에 맞물려서 승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웜(535)이 승하강함에 따라 웜에 고정된 이송부플레이트(532)가 승하강하게 되므로, 롤러(533)와 컨베이어(531)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다양한 두께의 판넬을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롤러(533)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롤러(533)와 컨베이어(531) 사이에 끼워진 판넬이 컨베이어(531)가 구동함에 따라 이송되어질 때 상기 판넬과 접촉되면서 그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롤러(533)의 외주면과 컨베이어(531)의 상부면에는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탄성부재가 덧대어져, 판넬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한편, 작업대(520)에 올려진 판넬은 이송부(530)에 의해 변가공부(540)로 이송되며, 상기 변가공부(540)는 판넬의 변을 가공하는 것으로, 상기 변가공부(540)는 판넬의 한 변이 단턱지게 형성되도록 가공시키는 1차 커팅부(541)와, 상기 1차 커팅부(541)에 의해 가공된 판넬의 한 변을 2차로 가공시키는 2차 커팅부(544)와, 2차 커팅부(544)에 의해 가공된 판넬의 상부측 변을 라운딩가공하는 3차 커팅부(547)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커팅부(541)는 1차 커팅날(542)과, 상기 1차 커팅날(542)을 회전시키는 1차 구동모터(54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1차 커팅날(542)은 판넬의 한 변의 상부면과 수직으로 접촉되게 설치되어 이송되어지는 판넬의 변을 가공하게 되는 것으로, 1차 커팅부(541)를 통과한 판넬의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4055202227-pat00040
’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1차 커팅날(542)은 판넬의 상부면에 판넬의 길이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판넬의 한 변에 단턱이 형성되게 한다.
한편,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커팅부(544)는 1차 커팅부(541)에 의해 이미 가공된 판넬의 한 변을 2차로 가공시키는 것으로, 상기 2차 커팅부(544)는 2차 커팅날(545)과, 상기 2차 커팅날(545)을 회전시키는 2차 구동모터(54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2차 커팅날(545)은 1차 커팅부(541)에 의해 가공된 판넬의 한 변과 접촉되게 설치되어 판넬을 가공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2차 커팅날(545)의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4055202227-pat00041
’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4055202227-pat00042
’으로 가공된 판넬을 한번 더 다듬는 역할을 한다.
한편, 2차 커팅부(544)에 의해 가공된 판넬의 상부측 변은 3차 커팅부(547)에 의해 라운딩 가공되어 지는 것으로, 상기 3차 커팅부는 3차 커팅날(549)과, 상기 3차 커팅날(549)을 회전시키는 3차 구동모터(548)로 구성된다.
또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차 커팅날의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4055202227-pat00043
’형상으로 형성되어 판넬의 상부측 변을 가공하게 되는 것으로, 3차 커팅부(547)를 통과한 판넬의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4055202227-pat00044
’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변 가공부(540)에 의해 한 변에 단턱이 형성된 판넬의 양모서리는 모깍기부(550)에서 라운딩가공 되어진다.
상기 모깍기부(550)는 지지프레임(510) 상부에 판넬의 진행방향으로 설치되는 전후방가이드레일(551)과, 상기 전후방가이드레일(551)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후방가이드레일(551)을 따라 이동하는 전방레일플레이트(552) 및 후방레일플레이트(555)와, 상기 전·후방레일플레이트(552, 555)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며 판넬의 모서리를 가공하는 전방커팅부(554) 및 후방 커팅부(557)로 구성되되, 상기 전·후방 레일플레이트(552, 555)의 상면에는 각각 한 쌍의 좌우측레일(553)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전·후방커팅부(554, 557)는 좌우측레일(556)을 따라 좌우측으로 이동되어진다.
즉, 전후방가이드레일(551)은 판넬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좌우측레일(553)은 전후방가이드레일(551)과 교차되게 설치된다.
그러므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커팅부(554)는 전, 후방 및 좌, 우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 상기 전·후방커팅부(554, 557)는 동일한 구성으로 설치되며, 상기 전후방가이드레일(551)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이 전방커팅부(554)이고,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이 후방커팅부(557)이며 상기 전·후방컷팅부(554, 557)는 판넬의 양모서리에 일대일로 대 응하여 판넬의 모서리를 가공하게 된다.
즉, 판넬의 전방에 위치한 모서리는 전방커팅부(554)에 의해 가공되고, 판넬의 후방에 위치한 모서리는 후방커팅부(557)에 의해 동시에 가공되어 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후방 레일플레이트(552, 555) 및 전·후방커팅부(554, 557)는 에어실린더에 의해 직선왕복운동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전방커팅부(554)를 예로 들어 전·후방커팅부(554, 557)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0 및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커팅부(554)는 좌우측레일(556) 상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5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의 상부에 결합되는 ‘
Figure 112014055202227-pat00045
’자형 플레이트(51)와, 상기 ‘
Figure 112014055202227-pat00046
’자형 플레이트(51)의 중앙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52)와, 상기 고정플레이트(52)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받침판(54)과, 상기 모터받침판(54)의 상부에 설치되는 절삭모터(57)와, 상기 절삭모터(57)의 하부끝단부에 결합되어 모서리를 라운딩가공하는 절삭날(58)과, 상기 모터받침판(54)과 링크연결되어 모터받침판(54) 및 절삭모터(57)를 회동시키는 에어실린더(5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절삭날(58)은 절삭모터(57)의 하부 끝단부에 결합되되, 고정플레이트(52)의 하부측에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절삭날(58)은 모터받침판(54)과 고정플레이트(52)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절삭모터(57)는 모터받침판(54)의 상부에 고정되어 모터받침판(54)과 일체로 움직이되, 상기 모터받침판(54)은 일단이 에어실린더(56)에 결합된 링크플레이트(55)의 타단에 결합되어 에어실린더(56)의 직선왕복운동에 따라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도 20 및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플레이트(55)는 일단이 에어실린더(56)에 고정되고, 타단이 모터받침판(54)에 고정되되, 중앙부가 고정플레이트(52)에 힌지결합되어있는 것으로, 상기 에어실린더(56)가 직선왕복운동을 하면 모터받침판(54)은 일정각도 회동되며, 이에 따라 모터받침판(54)에 고정된 절삭모터(57) 및 절삭날(58)도 함께 일정각도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절삭날(58)은 고정플레이트(52)를 관통하여 고정플레이트(52)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절삭날(58)이 일정각도 회동되기 위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52)에는 수평단 면이 ‘
Figure 112014055202227-pat00047
’형상인 가이드홀(53)이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홀(53)은 모서리가 가공되어지는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절삭날(58)이 가이드홀(53)을 따라 회동하면서 모서리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후방커팅부(554, 557)는 판넬의 양 모서리를 동시에 가공하며, 상기 가이드홀(53)을 따라 전·후방커팅부(554, 557)의 절삭날(58)이 회동하는 동선 등에 따라서 각 구조의 배치도는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후방커팅부(557)에 형성된 가이드홀(53)은 ‘
Figure 112014055202227-pat00048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방커팅부(554)에 형성된 가이드홀(53)은 ‘
Figure 112014055202227-pat00049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모깍이부(550)에 의해 가공된 판넬은 크리닝부(560)로 이송되는 것으로, 상키 크리닝부(560)는 판넬의 겉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크리닝부(560)는 걸레구동모터(561)와, 걸레구동모터(561)에 의해 구동되는 걸레(562)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걸레(562)는 컨베이어의 상면과 접촉되게 설치되어 가공과정에서 발생되는 톱밥 등이 묻어 있는 판넬의 상부면을 닦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서리라운딩 가공장치(500)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목재 등으로 제작된 판넬의 모서리를 정확하게 라운딩 가공함으로써 생산성 및 품질의 향상은 물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도어(610)의 사용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점등되는 점등시스템(600)을 설치하였다.
도 23은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점등시스템을 나타낸 개요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의 도어의 사용 상태도이다.
화장실의 도어(610)는 일단이 전면플레이트(1)에 힌지(630)결합하여 회동하는 구조로서, 힌지결합되어 있지 않은 도어(610)의 타단과 상기 도어(610)의 타단과 인접하는 전면플레이트(1)에는 잠금장치(64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장실 또는 탈의실 등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유무에 따라 조명이 점등 또는 소등되는 도어(610)의 점등시스템(600)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어(610)의 잠금장치(640)가 LED조명(650)의 온/오프의 스위치역할을 하도록 하여 잠금장치(640)의 잠금 또는 해제에 따라 LED조명(650)이 점등 또는 소등됨으로써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알려주는 것이 특징이다.
즉, 화장실 또는 탈의실의 내부에서 사용자가 잠금장치(640)를 잠그게 되면 LED조명(650)이 점등되어 사용자가 내부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며 잠금장치(640)가 해제되면 사용자가 화장실이나 탈의실의 내부에 존재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5는 본 발명 화장실 도어의 잠금장치의 상태도이며, 도 26은 본 발명 화장실 도어의 A부분 확대상세도이며, 도 27은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 도어의 잠금쇠구조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5의 (a)는 잠금쇠(641)와 케이싱(642)이 체결되지 않아 LED조명(650)이 소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b)는 잠금쇠(641)와 케이싱(642)이 체결되어 LED조명(650)이 점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점등시스템(600)의 잠금장치(640)는 힌지결합된 도어(610)의 타단에 설치되어 잠금스위치(643)를 회전시키면 좌우로 직선운동하는 잠금쇠(641)와, 상기 잠금쇠(641)가 대응하는 위치의 전면플레이트(1)에 설치되어 잠금쇠(641)가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잠금 또는 해제가 되는 케이싱(64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잠금쇠(641)에는 전류가 통전하는 도전체(D)가 내설되어 있으며, 도어측과 전면플레이트에는 각각의 전선(660)과 연결된 접지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전선(660)에는 LED조명(650)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전면플레이트(1)와 힌지결합되어 있는 도어(610)측에는 힌지(630)의 내부에 도전체(도면 미도시)를 내설하고 각각의 양단부에 전선(660)이 접지되도록 함으로써 전류가 통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도 2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쇠(641)와 케이싱(642)이 서로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어측의 접지부와 전면플레이트의 접지부가 서로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전류가 통하지 않아 LED조명(150)이 소등되어 있는 상태가 되고, 도 25의 (b)에서처럼 잠금쇠(641)가 직선운동하여 케이싱(642)의 내부에 삽입되면 도어(610)측의 접지부와 전면플레이트(1) 측의 접지부가 서로 접촉하게 됨으로써 결국 전선(660)은 전류가 통하게 되어 전선(660)에 설치되어 있는 LED조명(650)은 점등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쇠(641)의 내부에 도전체(D)가 내설되어 있으며, 도전체는 ‘
Figure 112014015493225-pat00009
’형상으로서 잠금쇠(641)가 케이싱(642)에 삽입되면 도전체(D)의 양단부는 도어측과 전면플레이트측에 형성된 접지부에 동시에 접촉되어 전류가 통전할 수 있으며, 케이싱(642)으로부터 잠금쇠(641)가 이탈되면 잠금쇠(641)에 내설되어 있는 도전체(D)의 양단부는 접지부와 떨어지게 됨으로써 전류는 통전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LED조명(650)은 도어(61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LED조명(650)에 연계되어 화장실이나 탈의실의 조명등(도면 미도시)도 함께 점등 또는 소등하게 된다.
상기 LED조명(650)와 화장실이나 탈의실의 조명등(도면 미도시)의 연계 또는 전선의 연결은 관용의 수단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전선(660)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610)와 프레임(620)의 내부로 배선되어 있어서 외관상 보이지 않는다.
도 28은 본 발명 화장실 도어의 일부분 상세도이다.
일반적으로 힌지결합하여 회동하는 도어(610)의 끝단부는 수직의 직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내부에 회동될 때, 화장실의 면적이 넓지 못하면 필히 변기(700)에 부딪힐 수밖에 없으며, 또한 도어(610)가 완전히 개방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출입은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
이에, 도어(610)가 화장실 내부로 회동될 때, 변기(700)에 부딪히는 면적만큼 도어(610)의 면적을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도어(110)가 변기(200)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도어(610)가 화장실 내부방향으로 완전한 개방이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도어(610)의 오목부(G)에 대응하도록 전면플레이트(1)에는 볼록부(C)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전면플레이트(1)에 형성된 볼록한 부분은 사생활 보호 및 화장실의 공간활용에서는 도움이 되지만 청소와 같이 화장실을 관리하기 위해 움직임이 많은 작업자가 드나들면서 부딪힐 우려가 있기에 이에,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플레이트(1)에 형성된 볼록부분을 회동할 수 있는 구조를 안출하였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플레이트(1)의 볼록한 부분을 볼록판(621)이라고 명할 때, 전면플레이트(1)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된 부분을 수직으로 절단하여 전면플레이트(1)과 볼록판(621) 간에는 화장실의 내부로 볼록판(621)이 회동할 수 있도록 경첩(622)을 설치하였다.
상기 경첩(622)은 한쪽 방향 즉, 볼록판(621)이 화장실 내부로만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록판(621)의 후면 즉, 화장실 측에는 볼록판(623)이 화장실 내부로 회동될 때 이를 제지하는 스토퍼(623)를 설치하였다.
상기 스토퍼(623)는 아파트의 출입문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처럼 볼록판(623)의 후면에 힌지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부로 회전시키면 스토퍼(623)의 하단은 지면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스토퍼(623)는 화장실 내부로 회동할 수 있으며, 힌지를 중심축으로 하여 하부로 회전시키면 스토퍼(623)의 하단은 지면에 접촉하여 볼록판(621)을 지지하기 때문에 볼록판(621)은 회동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스토퍼(623)의 하면에는 합성고무를 부착하여 스토퍼(623)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칸막이 화장실은 각이 져 있는 모서리 부분을 라운딩 가공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의 코너부분을 큰 곡률반경을 가진 연결구로 라운드지게 마감 처리하여 가구의 미적감각을 고양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홀더를 이용하여 연결구를 전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의 코너부분에 고정시킴으로서 간편한 조립과 더불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시켜 높은 작업성을 구현할 수 있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 전면플레이트 2: 측면플레이트 3: 전면프레임몰딩
4: 측면프레임몰딩 5: 칸막이
100: 코너곡면연결구
10: 곡면프레임 16: 끼움돌기 20: 홀더
22: 격판 24: 제 1홈 26: 제 2홈
200: 코너곡면연결구
210: 곡면프레임 212: 전면부 214: 후면부
220: 홀더
300: 코너곡면연결구
310: 곡면프레임 316, 318: 끼움돌기
316a, 318a: 안착홈
324, 326: 끼움홈 324a, 326a: 돌기
400: 상부몰딩 410: 곡면프레임몰딩
412: 전면부 414: 후면부
500: 모서리라운딩 가공장치
510: 지지프레임 520: 작업대
530: 이송부 531: 컨베이어
532: 이송부플레이트 533: 롤러
535: 웜 536: 웜기어
540: 변가공부 541: 1차 커팅부
542: 1차 커팅날 543: 1차 구동모터
544: 2차 커팅부 545: 2차 커팅날
546: 2차 구동모터 547: 3차 커팅부
548: 3차 구동모터 549: 3차 절삭날
550: 모깍기부 551: 전후방가이드레일
552: 전방레일플레이트 553: 좌우측레일
554: 전방커팅부 555: 후방레일플레이트
556: 좌우측레일 557: 후방커팅부
50: 베이스플레이트 51:‘
Figure 112014055202227-pat00050
’자형 플레이트
52: 고정플레이트 53: 가이드홀
54: 모터받침판 55: 링크플레이트
56: 에어실린더 57: 절삭모터
58: 절삭날 59: 가이드플레이트
560: 크리닝부
561: 걸레구동모터 562: 걸레
600: 점등시스템
610: 도어 630. 힌지 640. 잠금장치
650. LED 660. 전선
621. 볼록판 622. 경첩 623. 스토퍼
641. 잠금쇠 642. 케이싱 643. 잠금스위치
C. 볼록부 G. 오목부 h. 관통홀
700: 변기

Claims (3)

  1. 내부에 다수개의 변기(700)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전면플레이트(1)와 측면플레이트(2) 및 상기 변기(700) 사이를 구획하는 칸막이(5)와, 칸막이(5)로 구분된 각각의 변기(700)로 출입하도록 도어(610)가 설치되어 있는 칸막이 화장실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1)와 측면플레이트(2) 및 도어(610)는 전처리 공정으로 모서리 라운딩 가공장치(500)에 의해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이 되되,
    상기 모서리라운딩 가공장치(500)는 지지프레임(510)과; 상기 지지프레임(510)의 상부에 설치되며, 피가공물인 판넬을 올려놓는 작업대(520)와; 상기 작업대(520)에 올려진 판넬을 이송시키는 이송부(530)와; 상기 이송부(530)의 측면에 설치되어 이송부(530)에 의해 이송되는 판넬의 변을 가공하는 변가공부(540)와; 상기 변가공부(540)에 의해 변이 가공된 판넬의 모서리를 라운딩 가공하는 모깍기부(550);
    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서리라운딩 가공장치(500)에 의해 피가공물인 판넬은 작업대(520)에 판넬을 올려놓는 a단계; 작업대(520)에 안착된 판넬이 이송부(530)에 의해 이송되면서 변가공부(540)에서 이송부(530)의 이송방향을 따라 판넬의 변을 가공하는 b단계; 변이 가공된 판넬의 모서리를 모깍기부(550)에서 라운딩 가공하는 c단계;
    를 거쳐서 전면플레이트(1)와 측면플레이트(2) 및 도어(610)로 제작되며,
    상기 모서리라운딩 가공장치(500)에 의해 가공된 전면플레이트(1)와 측면플레이트(2) 및 도어(610)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변기(700)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공간의 외부를 상기 전면플레이트와(1)와 측면플레이트(2)를 직립시켜 각각의 모서리를 라운드지게 형성된 코너곡면연결구(100)에 의해 서로 결속하는 1단계; 상기 전면플레이트와(1)와 측면플레이트(2)의 결속에 의해 생긴 공간을 칸막이(5)로 상기 변기(700) 사이를 구획하는 2단계; 상기 전면플레이트(1)에 도어(610)를 설치하는 3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칸막이 화장실 제작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530)는 작업대(52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531)와;
    상기 컨베이어(531)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롤러(533);
    로 구성되되,
    상기 다수개의 롤러(533)와 컨베이어(531) 사이에 판넬이 끼워지고, 상기 컨베이어(531)가 구동함에 따라 판넬이 이송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작업대(520)의 상부측에는 이송부플레이트(532)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플레이트(532)의 하부끝단부에는 다수개의 롤러(533)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이송부플레이트(532)의 길이방향으로 웜(535)이 설치되며, 웜(535)의 외주면과 접촉되게 웜기어(536)가 설치되어 이송부플레이트(532)가 승하강 함으로써 롤러(533)와 컨베이어(531)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화장실 제작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깍기부(550)는 지지프레임 상부에 판넬의 진행방향으로 설치되는 전후방 가이드레일(551)과;
    상기 전후방가이드레일(551)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후방가이드레일(551)을 따라 이동하는 전방레일플레이트(552) 및 후방레일플레이트(555)와;
    상기 전·후방레일플레이트(552,555)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며 판넬의 모서리를 가공하는 전방커팅부(554) 및 후방 커팅부(557);
    로 구성되되,
    상기 전·후방커팅부(554,557)는 베이스플레이트(5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의 상부에 결합되는 ‘
    Figure 112014055202227-pat00051
    ’자형 플레이트(51)와, 상기 ‘
    Figure 112014055202227-pat00052
    ’자형 플레이트(51)의 중앙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52)와, 상기 고정플레이트(52)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받침판(54)과, 상기 모터받침판(54)의 상면에 고정되는 절삭모터(57)와, 상기 절삭모터(57)의 하부끝단부에 결합되어 모서리를 라운딩가공하는 절삭날(58)과, 상기 모터받침판(54)과 링크연결되어 모터받침판(54) 및 절삭모터(57)를 회동시키는 에어실린더(5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화장실 제작방법.
KR1020140018167A 2014-02-18 2014-02-18 칸막이 화장실 제작방법 KR101433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167A KR101433578B1 (ko) 2014-02-18 2014-02-18 칸막이 화장실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167A KR101433578B1 (ko) 2014-02-18 2014-02-18 칸막이 화장실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578B1 true KR101433578B1 (ko) 2014-08-26

Family

ID=51751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167A KR101433578B1 (ko) 2014-02-18 2014-02-18 칸막이 화장실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5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572A (ko) * 1998-04-07 1999-11-05 이해규 모서리 가공장치
KR19990078537A (ko) * 1998-05-11 1999-11-05 박경 파형면취기
KR200271365Y1 (ko) 2001-12-19 2002-04-10 박성수 가구용 패널의 모서리 가공장치
KR100821991B1 (ko) 2006-07-10 2008-04-15 김진호 곡면 형성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572A (ko) * 1998-04-07 1999-11-05 이해규 모서리 가공장치
KR19990078537A (ko) * 1998-05-11 1999-11-05 박경 파형면취기
KR200271365Y1 (ko) 2001-12-19 2002-04-10 박성수 가구용 패널의 모서리 가공장치
KR100821991B1 (ko) 2006-07-10 2008-04-15 김진호 곡면 형성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95518B1 (en) Woodworking work table
US10293512B2 (en) Drawer, drawer constru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rawer
US5318005A (en) Apparatus for cutting plate-shaped workpieces and for edge processing thereof
US10066409B2 (en) Accessible portable restroom and floor system and structures for portable restrooms and similar enclosures
KR101433578B1 (ko) 칸막이 화장실 제작방법
KR101618471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마감재 조립체 및 그 설치방법
KR101452967B1 (ko) 내입형 수평조절구를 갖는 칸막이 시공용 베이스
CN216576234U (zh) 一种五金配件生产用焊接机构
CN212552669U (zh) 一种钢质防火门生产用切割打磨装置
KR101608802B1 (ko) 디버링 장치
CN210816985U (zh) 一种高精度异型结构汽车附件成型装置
EP0450347B1 (de) Tragrahmen für Whirlpool-Wannen
KR101499589B1 (ko) 프레임 도어를 위한 프레임 구조
CN112276138A (zh) 一种异型管多方位钻孔装置
CN110064850B (zh) 一种全自动开料机及其加工方法
CN109732826B (zh) 一种塑料件生产用去飞边装置
CN218135359U (zh) 一种组合式框架体的金属件的裁切工位
CN215619137U (zh) 一种瓷砖倒角机
KR101838651B1 (ko) 연속식 양면 커팅 프레스 장치
CN220973159U (zh) 一种汽车仪表右饰条注塑模具
CN214477349U (zh) 一种贴片二极管用压扁机
CN217594941U (zh) 一种便于翻转的塑钢门窗加工喷漆装置
CN108527602B (zh) 一种便于清洁的木屑托盘模具
CN211306633U (zh) 一种香杉木板用开槽装置
CN213702032U (zh) 一种五金件加工用切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