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669B1 - 광물성 모직물을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물성 모직물을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669B1
KR101432669B1 KR1020097005067A KR20097005067A KR101432669B1 KR 101432669 B1 KR101432669 B1 KR 101432669B1 KR 1020097005067 A KR1020097005067 A KR 1020097005067A KR 20097005067 A KR20097005067 A KR 20097005067A KR 101432669 B1 KR101432669 B1 KR 101432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eral wool
content
wool fabric
fabric according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2349A (ko
Inventor
엠마누엘 레꽁트
야닉 레프레르
Original Assignee
쌩-고벵 이조베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89587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3266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이조베르 filed Critical 쌩-고벵 이조베르
Publication of KR20090052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2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6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3/00Fibre or filame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3/00Fibre or filament compositions
    • C03C13/06Mineral fibres, e.g. slag wool, mineral wool, rock woo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3/00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C2213/02Biodegradable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78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e.g. an oxide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 C03C3/08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 C03C3/087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containing calcium oxide, e.g. common sheet or container g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제는, 붕소 산화물이 거의 없으며, 하기에 한정된 범위 내의 중량%로 표시된, 다음의 성분을 포함하는 화학적 조성을 구비하는 유리질 섬유인, 광물성 모직물이다:60 내지 75의 SiO2;0 내지 4의 Al2O3;17 내지 22의 Na2O;5 내지 15의 CaO;0 내지 2의 Fe2O3;0 내지 3의 P2O5.

Description

광물성 모직물을 위한 조성물 {COMPOSITIONS FOR MINERAL WOOLS}
본 발명은 생리학적 매질 내에서 높은 분해속도를 구비한 광물성 모직물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열 및/또는 음파의 차단을 위한, 또는 수경 경작(soilless cultivation)에 필요한 기질을 위한 유리질 모직물을 형성할 수 있는 신규 유리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광물성 모직물(유리솜 또는 암면)은, 일반적으로 유기 또는 무기 재료를 보강하기 위한 연속적 섬유(예를 들면, 시멘트)로부터 구별되는 불연속적인 섬유의 엉킴 특성이 있다. 차단 특성의 원천인 이러한 특유의 구조는, 내부 원심 분리 프로세스{고속으로 회전하며, 구멍으로 관통되는 원심분리기("스피너")를 사용}, 또는 외부 원심 분리 프로세스{고속으로 회전하며, 용융된 유리가 돌출된 외부 표면에 고체 로터(rotor)를 사용}, 또는 고온의 기체나 플레임(flame)에 의하여 가늘게 하는 프로세스와 같은, 다양한 섬유화 프로세스에 의해 얻어진다.
직경 및/또는 길이 면에서 특정 기하학적 특징이 관찰될 때, 광물성 모직물은 흡입에 의해 신체로, 특히 폐로, 때때로는 여러 가지로 폐포(pulmonary alveoli)로 도입되어질 수 있다. 신체 내에서 가능한 섬유의 축적과 관련된 임의의 발병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섬유가 낮은 "생체내지속성(biopersistence)"을 갖는 것, 즉, 섬유가 쉽고 빠르게 신체에서 제거될 수 있는 것의 확인에 대한 요구가 있어왔다. 섬유의 화학적 조성은, 생리적 매질내의 섬유의 분해 속도에서 중대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신체로부터 신속하게 제거되기 위한 이러한 능력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파라미터이다. 따라서 생리적 매질 내에서 높은 분해 속도를 갖는 광물성 섬유{"생체 내 용해될 수 있는(biosoluble)"광물성 섬유}는, 종래 기술에서 형성되고 기술되어왔다.
그러나 주된 어려운 점은, 상업상 실행가능성과 특히, 섬유화 되기에 양호한 경향 및 최종 제품의 양호한 작업 특성도 또한 유지하면서, 생리적 매질 내에서 섬유의 분해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상업상 실행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중에는, 첫째로 점도 및 실투(devitrification)특성이 있다(액체화 온도 및 결정화 속도). 가장 중요한 사용 특성은 기계적 강도{주로, 영률(Young's modulus) 또는 탄성률 및 인성(tenacity)}, 내고온성 및 내습성 또는 내가수분해성이다. 내가수분해성은 특히 중대하고 다루기 어려운데, 왜냐하면 내가수분해성(hydrolytic resistance)과 생체내용해성(biosolubility)의 두 특성은, 두 특성 모두 주-수용성 매질내에서 분해되는 능력과 관련되므로, 많은 점에서 모순적이기 때문이다.
유리질 모직물 조성은 통상적으로, 약 4 내지 6% 함유량의 붕소 산화물을 포함한다. 이것은 붕소 산화물이 광물성 모직물의 다수의 특성에 유리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특히, 붕소 산화물은 아주 상당히 섬유의 생체내용해성을 증가시켜, 고온 점도 및 액체화 온도의 감소 작용을 통해 유리질의 용융 특성 및 섬유화 특성을 향 상시키고, 섬유 열전도의 방열성 성분 감소를 통한 광물성 모직물의 열 차단 특성도 또한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붕소 산화물은 특히, 높은 휘발성과 비용이 높다는 사실로 인한 결점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섬유화될 유리질이 연료-점화된 노(fuel-fired furnace)에서 용융될 때, 붕소 비산회(boron fly ash)가 존재하여, 연도 기체(flue gas)의 오염 제어를 위한 설비를 설치해야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내화성 세라믹 부품의 적층으로 구성된 열회복기 또는 축열기가 장착된 노(furnace) 내에서, 붕소 비산회는 이러한 세라믹 부품을 부식시켜서, 더욱 빈번한 교체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도 기체의 오염 제어를 위한 설비에 대한 요구가 없으며, 열 회복기 또는 축열기의 사용 기간의 감소에 대한 발생 없이, 연료-점화 노에서 용융될 수 있는 신규 유리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조성물은 생리학적 매질내 높은 분해 속도와 충분한 내가수분해성 및, 양호한 섬유화될 능력도 또한 구비한 광물성 모직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주제는, 붕소 산화물이 거의 없으며, 하기에 한정된 범위 내의 중량%로 표시된, 다음의 성분을 포함하는 화학적 조성을 구비하는 유리질 섬유인, 광물성 모직물이다:
SiO2 60 내지 75
Al2O3 0 내지 4
Na2O 17 내지 22
CaO 5 내지 15
Fe2O3 0 내지 2
P2O5 0 내지 3.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붕소 산화물이 거의 없다"는 표현은, 상기 조성물이 불순물로서 소량의 붕소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것은, 특히 섬유질 찌꺼기와 같은 특정한 원료에 의하여 도입된 불순물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물성 모직물의 조성은, 0.5% 미만, 바람직하게는 0.3% 미만의 붕소 산화물을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광물성 모직물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분석 기술로서 검출될 수 있는 양의 붕소 산화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다.
실리카(SiO2)는 유리질 그물망 형성자(network former) 산화물이며, 열 및 화학적 모두의 안정성에 주된 역할을 한다. 상기 한정된 범위의 문맥에서, 60% 미만의 실리카는 과도하게 낮은 점도, 섬유화 단계 동안 과도하게 높은 실투 능력(즉, 결정화 능력), 및 감소된 내가수분해성을 초래한다. 반면에 75%를 초과하는 과도하게 높은 함유량은, 과도하게 높은 점도 및 결과적으로, 유리질의 용융 및 섬유화 단계에서의 어려움을 초래한다. 이러한 산화물이 생체내용해성에 대해 불리하다고 판명되었기 때문에 실리카 함유량은 또한 제한된다. 그러므로 실리카의 함유량은 유리하게 62% 이상, 또는 63% 및 심지어 64% 이상, 및/또는 68% 이하, 또는 67% 및 심지어 66% 또는 65% 이하이다.
알루미나(Al2O3)는 본 발명의 문맥 내에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물망 형성자 요소로서, 이 산화물은 열적 안정성 및 기계적 강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알루미나의 내가수분해성에 대한 유익한 영향과, 유리질의 점도 및 생체내용해성에 대한 악영향을 고려한다면, 그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또는 2.5% 또는 심지어 2% 또는 1.5% 이하, 및/또는 0.5% 이상이다.
실리카와 알루미나의 합(SiO2+Al2O3)의 함유량은 양호한 내가수분해성, 낮은 점도 및 높은 생체내용해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유리하게 제한된다. 그러므로, 상기 합(SiO2+Al2O3)은 바람직하게 70% 이하, 또는 69% 및 심지어 68% 또는 67%, 또는 66% 이하이다.
알칼리 금속 산화물, 특히 나트륨 산화물(Na2O)은, 유리질 그물망을 변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즉 그물망 형성자 요소 사이에 만들어진 특정 공유 결합을 깨뜨리는 것에 의하여, 유리질 조직 내로 삽입된다. 알루미나와 같이, 나트륨 산화물은 본 발명 내에서 많은 효과를 갖는다. 나트륨 산화물은 점도 감소제로서 역할하며, 따라서 섬유화 요소의 수명을 극렬하게 단축시키는, 과도하게 높은 섬유화 온도의 형성을 촉진하도록, 유리질의 점도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나트륨 산화물의 함유량은 17%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유리하게 17.5% 이상, 또는 18% 또는 18.5% 및 심지어 19% 이상이어야 한다. 그러나 나트륨 산화물은 내가수분해성에 부정적인 효과를 가지므로, 그 함유량은 22%이하, 바람직하게는 21% 이하 및 심지어 20% 이하로 되야 한다. 그렇지만, 수득된 유리질은 알칼리 금속 산화물, 특히 나트륨 산화물의 높은 함유량에 대하여 특히 놀랍고 기대하지 않은, 적합한 내가수분해성을 갖는다. 칼륨 산화물 또한 대부분 불순물의 형태로, 일반적으로 2중량% 이하, 또는 1중량%의 함유량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물성 모직물의 조성에 도입될 수 있다.
알칼리 토류 금속 산화물, 주로 CaO 또는 MgO 또한 유리질 그물망의 변형제로서 작용한다. 알칼리 토류 금속 산화물의 존재는 생체내용해성 및 내가수분해성 특성에 유리하다(나트륨 산화물과 비교하면, 내가수분해성에 유리). 칼슘 산화물(CaO)은 고온에서 유리질의 점도를 유리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하므로, 용융을 향상 시키지만, 많은 함유량은 내실투성의 감소를 초래한다. 따라서 CaO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 6% 이상, 또는 7% 및 심지어 8% 또는 8.5% 이상, 및/또는 13% 이하, 또는 12% 또는 심지어 11% 이하이다. 마그네슘 산화물(MgO)이 첨가될 수 있으며, 그 함유량은 1% 이상, 또는 심지어 2% 이상이다. 그 유리질의 실투에 대한 악영향을 고려하면, MgO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 5% 이하, 또는 4% 및 심지어 3% 이하이다.
CaO의 함유량에 대한 Na2O 함유량의 비율로 정의된 비율 R(R=Na2O/CaO)은 바람직하게 2 이상, 또는 2.1 및 심지어 2.2 이상이다. 왜냐하면 본 발명자가, 규회석 보다는 데비트라이트(devitrite)의 결정화를 선호하거나 선호하지 않은 것에 의해, 이러한 비율이 액화 온도에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2 이상인 비율 R은, 액화 온도가 낮은, 특히 1000℃ 미만, 심지어 950℃ 미만에서 유리질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유리질들은 낮은 온도에서 섬유화될 수 있어서, 섬유화 요소(fiberizing member)의 노화 및 에너지 비용을 제한한다.
철 산화물(Fe2O3)은, 유리질의 착색, 유리질의 실투화 능력 및 섬유의 생체내용해성에 대한 역효과로 인하여, 3% 이하, 바람직하게는 2% 및 심지어 1% 이하의 함유량으로 제한된다. 철 산화물은 바람직하게는 오직 불순물의 형태로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0.5% 이하, 또는 심지어 0.2% 이하의 함유량으로 존재한다.
인 산화물(P2O5)은 특히, 생체내용해성에 대한 이로운 효과로 인하여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 함유량은 유리하게 2%, 또는 심지어 1.5%로 제한된다. 그 비용 및, 유리질의 점도에 대한 악영향을 고려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리질은 바람직하게는, 원료로부터 비롯된 부득이한 미량을 제외하고는 인 산화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광물성 모직물의 조성은 바람직하게, "SiO2+2Al2O3-2P2O5"의 양이 68% 이하이도록 하며, 이러한 경우에 이 함유량은 몰%로 표시된다. 바람직하게 "SiO2+2Al2O3-2P2O5"는 66% 이하이다. 왜냐하면 상기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이 섬유의 생체내용해성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BaO(바륨 산화물), SrO(스트론튬 산화물)과 같은 알카리성-토류 금속 산화물 및/또는 Li2O(리튬 산화물)와 같은 알칼리 금속 산화물은 자발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섬유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스트론튬 산화물이, 섬유의 생체내용해성과 유리질의 내가수분해성 모두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SiO2, Na2O 및 CaO의 치환에 특히 유리하다고 증명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광물성 모직물의 조성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0.5%, 또는 1% 및 심지어 2% 또는 3%의 SrO를 포함하고, 비용 때문에 SrO의 함유량은 6% 이하, 심지어 5%이하로 바람직하게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물성 모직물의 섬유는 상술된 것 이외의 산화물을 또한 포함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그 무게 함유량은 3%, 또는 2% 및 심지어 1%를 초과하지 않는다. 이 산화물들 중에는, 이러한 유형의 산업에서 사용된(가장 보편적으로 TiO2, MnO 등) 자연적인 또는 인공적인 원료(예를 들면, 유리 부스러기(cullet)라고 알려진 재활용된 유리)에 의하여 주로 도입된 불순물이 있다. ZrO2와 같은 불순물도 또한 일반적으로 노(furnace)의 건설시에 사용되는 내화 물질로부터 발생된 화학적 요소의 유리질 내에서의 부분적 분해에 의하여 주로 도입된다. 어떤 트레이스(trace)도 또한 유리 정제에 사용된 화합물로부터 발생된다: 특히, 매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황산화물 SO3를 들 수 있다. 이들 다양한 산화물은, 그 낮은 함량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가 제기된 문제에 대응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특정한 기능적 역할을 어떠한 경우에도 수행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광물성 모직물은 내부적 원심분리 프로세스를 통해서 바람직하게 수득되는데, 그것은 즉 빠른 속도로 회전하며, 구멍으로 관통된 원심분리기(스피너)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프로세스에 관련된 응력(stress)을 고려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리질의 액화 온도는 유리질의 섬유화를 가능하게 하는 하한 온도 한계를 1150℃ 미만, 특히 1100℃ 미만, 또는 1050℃ 및 심지어 1000℃ 또는 950℃ 미만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더 높은 온도는, 섬유화 스피너 수명의 용납되지 않는 한계, 또는 심지어 상기 스피너의 구성 물질의 변형을 수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양질의 섬유를 얻고, 양호한 설치 공정과 형성 마진을 보장하기 위해서, 즉, 유리질의 점도가 1000 포아즈(poise)일 때의 온도와 액화 온도 사이의 차이는 바람직하게는 0 이상이며, 유리하게 10℃ 이상, 특히 25℃, 또는 50℃ 및 심지어 100℃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질 모직물은 50mg/g 이하, 특히 45mg/g 이하, 또는 40mg/g 및 심지어 35mg/g 또는 30mg/g 이하인 분해값(dissolution value) DGG(내가수분해성의 측정치)를 갖는다. 높은 Na2O 함유량을 고려한다면, 그러한 낮은 값을 갖는다는 것은 특히 놀랍다.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본 발명에 따른 광물성 모직물을 포함하는, 열 및/또는 음파 차단 제품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본 발명에 따른 광물성 모직물을 제조하는 프로세스이며, "내부적 원심 분리" 유형의 프로세스, 즉 빠른 속도로 회전하며, 구멍으로 관통된 원심분리기를 사용하는 것이며, 그로 인해 수득된 섬유는 개스 젯(gas jet)에 의하여 뽑아진다.
본 발명의 마지막 주제는 열 및/또는 음파 차단 물질 또는 수경 경작을 위한 기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광물성 모직물의 사용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물성 모직물을 통해서 나타나는 이점은,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그것을 제한하지 않는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더욱 이해될 것이다.
표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질의 조성물과 또한 그 특성을 대조한다. 비교예 C1은 공업적으로 사용되는 유리질 모직물 조성을 대표하는 붕소 산화물을 포함하는 유리질이다.
유리질의 조성은 산화물의 중량%로서 표시된다. 원료, 정제제(refining agent) 또는 노(furnace)의 내화물질로부터 발생된, 게다가 일부는 분석되지 않는 부득이한 불순물들은, 그 총 함유량으로만 표시되어 왔다. 하기의 예에서 일반적으로 1% 또는 심지어 0.5% 미만의 함유량으로 존재하는 이러한 불순물들이, 본 발명의 문맥 내에서 어떠한 기능적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분명하게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질 조성의 이점을 기술하기 위해서, 표에서 하기의 기본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 "Tlog3"으로 나타내고, ℃로 표현된, 103 포아즈의 점도에 상응하며, 섬유화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
- "Tliq"로 나타내고, ℃로 표현된, 액화 온도;
- "DGG"로 나타낸 분해값 "DGG":
본 방법에 따르면, 360 내지 400㎛의 입자크기를 갖는 유리질 분말이 5시간동안의 환류하에서 가열된 물에 침지된다. 급속한 냉각후에, 상기 혼합물은 여과되며, 여과액에 함유되어 있는 고형물이 측정된다. 상기 분해값 "DGG"는, 처리된 유리질의 mg/10g으로 표현되는 분해된 물질의 양을 나타낸다;
- 용액에 대하여 NaHCO3(2.7g/l)를 첨가하여 조합된 Na/CO2(90/10) 혼합물의 다이렉트 버블링(direct bubbling)에 의하여 수행된 pH 7.4로 완충된 공전의 염류 용액에 7일 동안 둔, 10㎛의 직경을 갖는 섬유의 분해율을 대표하는, "kSiO2"로 나타내는, 중성 매질 내에서의 분해율("생체내용해성"). pH 완충액에 부가하여, 상기 염류 용액은 농도가 각각 6.6g/l와 0.15g/l인, 염화 나트륨과 구연산 나트륨을 포함하며, 에칭 용액량에 노출된 유리질의 표면적의 비율은 0.5cm-1이다. 이 분해율은 ng/㎠.h로 표시되며, 섬유 표면적 및 시간의 단위당 분해된 유리질의 양을 나타낸다.
[표1]
C1 1 2 3 4 5 6 7
SiO2(%) 65.0 64.6 65.7 67.7 66.0 65.7 64.0 65.7
Al2O3(%) 2.0 1.95 1.0 2.0 1.3 0.9 0.2 2.5
B2O3(%) 4.5
Fe2O3(%) 0.2 0.13 0.13 0.13 0.13 0.13
CaO(%) 8.0 10.8 10.8 8.4 9.6 7.95 9.15 7.95
MgO(%) 2.8 3.4 4.3 2.4 2.4 2.95 2.95 2.95
Na2O(%) 16.0 17.8 17.0 18.8 20.0 17.8 19.0 17.8
K2O(%) 0.8 0.3 0.3 0.3 0.3 0.3
P2O5(%) 1.0 1.0
SrO(%) 4.0 4.0 2.4
불순도(%) 0.7 0.45 0.2 0.3 0.3 0.3 0.3 0.3
Tlog3(℃) 1073 1089 1097 1099 1116
Tliq(℃) 890 1000 1000 960 960
DGG(mg/g) 27 28 29 28
kSiO2
(ng/㎠.h)
200 495 660 120 270 370 850 210
[표2]
8 9 10 11 12 13 14 15
SiO2 (%) 64.0 65.9 64.0 65.0 68.8 65.7 64.8 64.8
Al2O3 (%) 1.3 2.5 1.3 2.9 2.3 2.2 1.0 1.0
B2O3 (%)
Fe2O3 (%) 0.13 0.1 0.1 0.1
CaO (%) 9.15 8.8 10.0 8.8 8.5 10.4 10.7 13.9
MgO (%) 2.95 3.4 3.5 3.4 2.6 2.5 3.4 0.1
Na2O (%) 19.0 19.1 20.5 18.7 17.1 18.6 18.6 18.7
K2O (%) 0.3 0.3 0.3 0.3 0.7 0.6 0.3 0.3
P2O5 (%) 0.7 1.1 1.1
SrO (%) 2.9
불순도 (%) 0.3 0.1 0.3 0.2 0.1 0.1
Tlog3 (℃) 1103 1062 1107
Tliq (℃) 950 950 960 980 970 1030
DGG (mg/g) 33 33 29 33 34 32
kSiO2
(ng/㎠.h)
475 135 430 140 105 180 640
나타내어진 실시예는, 붕소 산화물이 없는 섬유를 구성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수분해성 및 생체내용해성에 대하여 양호한 성능을 구비하는, 광물성 모직물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물성 모직물의 내가수분해성은 특히,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함유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에 대하 여 놀라울 정도로 낮다. 붕소 산화물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생체내용해성 그 자체는 일반적으로 향상된다: 이 점 또한 놀라운데, 왜냐하면 생체내용해성의 큰 증가는, 일반적으로 내가수분해성의 감소에 의하여, 유사한 비율로 수반되어 일어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질의 경우에 그러지 않는데, 구성 성분 및 그 함유량의 특정한 선택이 내가수분해성에 상당하는 증가된 생체내용해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게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라믹 및 그 제조 프로세스를 위한 소성 지지체는 열 및/또는 음파의 차단을 위한, 또는 수경 경작에 필요한 기질을 위한 유리질 모직물에 이용가능하다.

Claims (17)

  1. 광물성 모직물로서, 상기 광물성 모직물의 유리 섬유는, 붕소 산화물이 없으며, 하기에 한정된 범위 내의 중량%로 표시된, 다음의 성분을 포함하는 화학적 조성을 구비하는, 광물성 모직물:
    SiO2 60 내지 75
    Al2O3 0 내지 4
    Na2O 17 내지 22
    CaO 5 내지 15
    Fe2O3 0 내지 2
    P2O5 0 내지 3.
  2. 제 1항에 있어서, 그 섬유의 화학적 조성이 하기에 한정된 범위 내의 중량%로 표시된, 다음의 성분을 또한 포함하는, 광물성 모직물:
    MgO 0 내지 5
    SrO 0 내지 6.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SiO2)의 함유량이 62% 내지 68%인, 광물성 모직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Al2O3)의 함유량이 0.5% 내지 3% 인, 광물성 모직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및 알루미나 합계(SiO2+Al2O3)의 함유량이 70% 이하인, 광물성 모직물.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SiO2 + 2Al2O3 - 2P2O5"의 양은 함유량을 몰%로 표시할 때 68% 이하인, 광물성 모직물.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나트륨 산화물(Na2O)의 함유량이 17.5% 내지 22% 인, 광물성 모직물.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칼슘 산화물(CaO)의 함유량이 6% 내지 13% 인, 광물성 모직물.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Na2O/CaO의 비율이 2 이상인, 광물성 모직물.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마그네슘 산화물(MgO)의 함유량이 1% 내지 5% 인, 광물성 모직물.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철 산화물(Fe2O3)의 함유량이 0.5% 이하인, 광물성 모직물.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광물성 모직물은 열 차단 물질, 음파 차단 물질, 열 및 음파 차단 물질, 또는 수경 경작을 위한 기질 형태인, 광물성 모직물.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SiO2)의 함유량이 62% 내지 67% 인, 광물성 모직물.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Al2O3)의 함유량이 0.5% 내지 2.5% 인, 광물성 모직물.
  1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나트륨 산화물(Na2O)의 함유량이 18.5% 내지 21% 인, 광물성 모직물.
  1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칼슘 산화물(CaO)의 함유량이 8% 내지 12% 인, 광물성 모직물.
  1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마그네슘 산화물(MgO)의 함유량이 2% 내지 4% 인, 광물성 모직물.
KR1020097005067A 2006-09-13 2007-09-10 광물성 모직물을 위한 조성물 KR1014326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53717 2006-09-13
FR0653717A FR2905695B1 (fr) 2006-09-13 2006-09-13 Compositions pour laines minerales
PCT/FR2007/051901 WO2008031979A2 (fr) 2006-09-13 2007-09-10 Compositions pour laines minera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349A KR20090052349A (ko) 2009-05-25
KR101432669B1 true KR101432669B1 (ko) 2014-08-21

Family

ID=37895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067A KR101432669B1 (ko) 2006-09-13 2007-09-10 광물성 모직물을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8871662B2 (ko)
EP (1) EP2094616B1 (ko)
JP (1) JP5384346B2 (ko)
KR (1) KR101432669B1 (ko)
CN (1) CN101516797B (ko)
AU (1) AU2007296024B2 (ko)
BR (1) BRPI0716565B8 (ko)
CA (1) CA2662886C (ko)
CO (1) CO6160217A2 (ko)
DK (1) DK2094616T3 (ko)
EA (1) EA016242B1 (ko)
ES (1) ES2626113T3 (ko)
FR (1) FR2905695B1 (ko)
HU (1) HUE034364T2 (ko)
NO (1) NO20091354L (ko)
PL (1) PL2094616T3 (ko)
SI (1) SI2094616T1 (ko)
UA (1) UA98470C2 (ko)
WO (1) WO2008031979A2 (ko)
ZA (1) ZA2009012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1220B2 (en) * 2008-05-15 2011-04-26 Empire Resource Recovery, Llc White pozzolan manufactured from post-consumer waste glass, products incorporat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243749B1 (en) * 2009-04-23 2015-04-08 PURAC Biochem BV Resorbable and biocompatible fibre glass compositions and their uses
JP5006979B1 (ja) 2011-03-31 2012-08-22 ニチアス株式会社 生体溶解性無機繊維の製造方法
US8536079B2 (en) 2011-04-29 2013-09-17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Use of boron to reduc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unbonded loosefill insulation
KR20150027049A (ko) * 2012-06-29 2015-03-11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내열 무기섬유
CN102992634A (zh) * 2012-12-19 2013-03-27 江苏九鼎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耐高温的高硅氧纤维玻璃
US11214512B2 (en) 2017-12-19 2022-01-04 Owens Coming Intellectual Capital, LLC High performance fiberglass composition
FR3086284B1 (fr) * 2018-09-26 2022-07-22 Saint Gobain Isover Laine minerale
ES2893241T3 (es) * 2018-10-24 2022-02-08 Arctic Biomaterials Oy Composición de vidrio biodegradable, bioactivo y biocompatible
CN109608049A (zh) * 2019-01-21 2019-04-12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增强矿棉耐高温性能的添加剂及矿棉及其制备方法
WO2022010829A1 (en) * 2020-07-07 2022-01-13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Fiberglass delivery system to aid seed germination and nutrition in agricultural crop or plant growt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8038B2 (ja) * 1992-03-05 1999-03-10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テスト回路
KR100198907B1 (ko) 1990-06-01 1999-06-15 에스.르 바궤레스 생리학적 매질 중에서 분해될수있는 광물섬유
KR20010032156A (ko) * 1998-09-17 2001-04-16 추후보정 광물성 울 조성물
US20050079970A1 (en) 2002-01-23 2005-04-14 Keiji Otaki Glass composition to be used for manufacturing inorganic fib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lded product of inorganic fibe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8510A (en) * 1975-12-19 1977-11-18 Nitto Boseki Co Ltd Composite of glass
HU175454B (hu) 1977-07-25 1980-08-28 Chinoin Gyogyszer Es Vegyeszet Sposob poluchenija novykh predel'nykh i chastichno predel'nykh n-acil-pirrol-2,5-dionov
DE2911510A1 (de) * 1978-12-08 1980-06-19 Saint Gobain Verfahren, vorrichtung und glaeser zum herstellen von glasfasern und damit hergestellte glasfasern
US4396722A (en) * 1982-04-05 1983-08-02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Wool glass composition
US4756732A (en) * 1982-04-06 1988-07-12 Isover Saint-Gobain Glass fiberization method
FR2552075B1 (fr) * 1983-09-19 1986-08-14 Saint Gobain Isover Fibres de verre et composition convenant pour leur fabrication
DE3917045A1 (de) 1989-05-25 1990-11-29 Bayer Ag Toxikologisch unbedenkliche glasfasern
US5153151A (en) * 1991-05-06 1992-10-06 Corning Incorporated High index fluorine-free phosphate glasses
GB9111401D0 (en) * 1991-05-25 1991-07-17 Pilkington Insulation Ltd Glass composition and use
US5629089A (en) * 1993-11-05 1997-05-13 Owens-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Glass fiber insulation product
HRP950325A2 (en) 1994-06-19 1997-08-31 Saint Gobain Isover Mineral-fiber compositions
FI101129B (sv) * 1995-01-13 1998-04-30 Vivoxid Oy Nya bioaktiva glas och deras användning
US6294491B1 (en) * 1997-03-28 2001-09-25 Johns Manville International, Inc. Lightweight glass fiber insulation
US6399525B2 (en) * 1997-03-28 2002-06-04 Johns Manville International, Inc. Flame attenuated fiberglass
US5952254A (en) * 1997-06-17 1999-09-14 Isover Saint-Gobain Mineral wool composition
FR2764597A1 (fr) 1997-06-17 1998-12-18 Saint Gobain Isover Composition de laine minerale
US6030220A (en) * 1997-09-24 2000-02-29 Jeneric/Pentron Incorporated Heat treated fibers for reinforced dental restora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FR2778400A1 (fr) * 1998-05-06 1999-11-12 Saint Gobain Isover Composition de laine minerale
FR2781788B1 (fr) 1998-08-03 2001-08-10 Saint Gobain Isover Composition de laine minerale
US6277777B1 (en) 1999-08-03 2001-08-21 Johns Manville International, Inc. Boron-free glass composition and filtration media
FR2806402B1 (fr) * 2000-03-17 2002-10-25 Saint Gobain Isover Composition de laine minerale
JP2003267753A (ja) * 2000-10-11 2003-09-25 Paramount Glass Kogyo Kk 無機質繊維製造用硝子組成物及びその成型物
US7648929B2 (en) 2004-12-30 2010-01-19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Low boron glass composition for loose-fill fiberglass insulation
FR2883865B1 (fr) * 2005-04-01 2007-05-18 Saint Gobain Isover Sa Laine minerale, produit isolant et procede de fabric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907B1 (ko) 1990-06-01 1999-06-15 에스.르 바궤레스 생리학적 매질 중에서 분해될수있는 광물섬유
JP2868038B2 (ja) * 1992-03-05 1999-03-10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テスト回路
KR20010032156A (ko) * 1998-09-17 2001-04-16 추후보정 광물성 울 조성물
US20050079970A1 (en) 2002-01-23 2005-04-14 Keiji Otaki Glass composition to be used for manufacturing inorganic fib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lded product of inorganic fi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31979A3 (fr) 2008-05-08
FR2905695A1 (fr) 2008-03-14
US8871662B2 (en) 2014-10-28
US20090258776A1 (en) 2009-10-15
ES2626113T3 (es) 2017-07-24
EP2094616B1 (fr) 2017-03-01
BRPI0716565B8 (pt) 2018-05-22
PL2094616T3 (pl) 2017-08-31
EA200970269A1 (ru) 2009-06-30
AU2007296024B2 (en) 2013-05-02
WO2008031979A2 (fr) 2008-03-20
CA2662886C (fr) 2017-01-03
FR2905695B1 (fr) 2008-10-24
HUE034364T2 (en) 2018-02-28
BRPI0716565A2 (pt) 2013-11-05
CA2662886A1 (fr) 2008-03-20
CN101516797A (zh) 2009-08-26
CN101516797B (zh) 2011-01-26
AU2007296024A1 (en) 2008-03-20
UA98470C2 (ru) 2012-05-25
BRPI0716565B1 (pt) 2018-05-08
SI2094616T1 (sl) 2017-06-30
CO6160217A2 (es) 2010-05-20
WO2008031979A8 (fr) 2009-03-26
JP2010503602A (ja) 2010-02-04
JP5384346B2 (ja) 2014-01-08
NO20091354L (no) 2009-04-01
DK2094616T3 (en) 2017-06-06
KR20090052349A (ko) 2009-05-25
EP2094616A2 (fr) 2009-09-02
ZA200901214B (en) 2010-02-24
EA016242B1 (ru) 201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669B1 (ko) 광물성 모직물을 위한 조성물
US7704902B2 (en) Glass fibre compositions
JP5500568B2 (ja) ミネラルウール、絶縁製品及び製造方法
RU2254302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минеральной ваты
KR101299769B1 (ko) 내화물이 라이닝 처리된 용융기에서의 고성능 유리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따라 형성된 섬유
JP5021134B2 (ja) ミネラルウール組成物
KR101131155B1 (ko) 광물면 조성물
EP0946442B1 (en) Biosoluble, high temperature mineral wools
KR101223675B1 (ko) 염용해성 세라믹 섬유 조성물
KR20130112433A (ko) 유리 섬유 제조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생체용해성 유리 섬유
KR101477733B1 (ko) 생용해성 미네랄울 섬유 조성물 및 미네랄울 섬유
EP1648837A1 (en) High temperature resistant vitreous inorganic fiber
JP2003089547A (ja) 生理食塩水に可溶な無機繊維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