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649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649B1
KR101432649B1 KR1020140000636A KR20140000636A KR101432649B1 KR 101432649 B1 KR101432649 B1 KR 101432649B1 KR 1020140000636 A KR1020140000636 A KR 1020140000636A KR 20140000636 A KR20140000636 A KR 20140000636A KR 101432649 B1 KR101432649 B1 KR 101432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illed water
water
food waste
discharg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엽
류민
Original Assignee
인덕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덕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덕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0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22Controlling the drying process in dependence on liquid cont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주방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분쇄, 탈수 및 건조 과정을 동시에 거쳐 최종 파쇄 건조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후처리가 용이하며,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탈수 및 건조 과정에서 통상 나타나는 악취 발생을 방지하여 위생적이고 쾌적한 주변환경을 제공하고, 탈수 및 건조 과정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정화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과정에서 배출되는 오염수에 의한 하천 오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콤팩트하여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탈수 및 건조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킨 자연 친화적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부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투입구(11)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수용 공간부(13)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13)의 정면 일측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되는 저장챔버(10); 상기 저장챔버(10)의 수용 공간부(13)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부(20); 상기 가열부(20)에 의한 가열로 인해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증기를 냉각 응결시킨 후, 얻어진 증류수를 집수하는 수분 집수부(30); 상기 수분 집수부(30)에서 집수된 증류수을 모아 정화시킨 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 배출부(40); 상기 저장챔버(10)의 수용 공간부(13)에 구비되어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기(50); 및 상기 분쇄기(5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The 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주방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분쇄, 탈수 및 건조 과정을 동시에 거쳐 최종 파쇄 건조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후처리가 용이하며,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탈수 및 건조 과정에서 통상 나타나는 악취 발생을 방지하여 위생적이고 쾌적한 주변환경을 제공하고, 탈수 및 건조 과정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정화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과정에서 배출되는 오염수에 의한 하천 오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콤팩트하여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탈수 및 건조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킨 자연 친화적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그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며, 대형 구내식당이나 대형 음식점에서는 잔반의 양이 많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대용량의 음식물 쓰레기는 전문 수거업체에서 이를 별도로 수거하여 처리하고 있으나, 수거된 대부분의 음식물 쓰레기는 처리상의 곤란함과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거의 그냥 매립되고 있는 실정으로, 최근 들어서는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형을 살펴보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처리하는 방식과, 음식물 쓰레기를 1차 분쇄하여 하수에 혼합 방류하는 방식 및, 상기 분쇄 방식과 건조 방식을 복합적으로 적용하는 복합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고, 여기에 부가하여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에 일정한 미생물을 가한 후, 발효 건조시켜 재활용하는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유형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들 중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처리하는 방식은 단순히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것으로 수분에 제거 따른 부피는 줄어 들 수 있으나 여전히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 자체 부피로 인해 매립이나 방류 등의 2차 처리에 어려움이 있으며, 단순히 분쇄하는 방식은 음식물 쓰레기 자체 부피를 줄일 수는 있으나 수분에 따른 악취나 이송에 어려움이 있어 일반적으로 상기 두 방식을 혼합한 복합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일반적인 복합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경우에 사용되는 분쇄기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체 스크류(134)의 외측면에 상기 원뿔체 스크류(134)를 감싸는 다수개의 배출구멍(162)을 가지는 배출체(160)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체(160)의 외측에는 하우징(17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원뿔체 스크류(134)의 일측에 주스크류(132)가 설치되어 상기 원뿔체 스크류(134)와 함께 스크류 사이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하게 되며, 잘게 파쇄하기 위한 파쇄수단으로 절단칼날(140)과 다공판(150)이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잔반 등으로부터 분리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138)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70)은 상부에 수도꼭지 등으로부터 공급수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172)가 형성되고, 상기 원뿔체 스크류(134)의 끝단에 최종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174)가 형성되며,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176)이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두개의 드레인(138, 176)은 파이프 등의 배관을 통해 배출관(180)에 집수되어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통상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를 위한 분쇄장치로 주스크류(132), 원뿔체 스크류(134), 절단칼날(140) 및, 다공판(150) 등이 하나의 1축 선상에 배치됨에 따라 분쇄기의 설치공간이 길이방향으로 늘어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소형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잔반 등을 압착, 절단 및, 이송하는 과정 중에 수분을 분리하도록 구성되어 충분한 수분분리 및 건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배출관(180)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어 악취가 발생 되고, 배출수가 하천으로 유입시 하천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주방 음식물 쓰레기 등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분쇄, 탈수 및 건조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종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현저히 줄여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후처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탈수 및 건조 과정에서 통상 나타나는 악취 발생을 방지하여 위생적이고 쾌적한 주변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탈수 및 건조 과정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정화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과정에서 배출되는 오염수에 의한 하천 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콤팩트하게 구성하여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제작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탈수 및 건조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킨 자연 친화적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부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투입구(11)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수용 공간부(13)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13)의 정면 일측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되는 저장챔버(10); 상기 저장챔버(10)의 수용 공간부(13)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부(20); 상기 가열부(20)에 의한 가열로 인해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증기를 냉각 응결시킨 후, 얻어진 증류수를 집수하는 수분 집수부(30); 상기 수분 집수부(30)에서 집수된 증류수을 모아 정화시킨 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 배출부(40); 상기 저장챔버(10)의 수용 공간부(13)에 구비되어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기(50); 및 상기 분쇄기(5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저장챔버(10)는, 상기 수용 공간부(13)의 외측면에 오일저장 공간부(14)가 마련되는 이중 챔버로 형성되고, 상기 가열부(20)는, 연결된 배관을 통해 상기 오일저장 공간부(14) 내에 오일(15)을 투입시키는 오일 투입부(21); 상기 오일저장 공간부(14) 내에 저장된 오일(15)을 배출하는 오일 배출부(22); 상기 수용 공간부(13)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23); 상기 수용 공간부(13) 내의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측정센서(24); 및 상기 오일저장 공간부(14) 내의 오일(15)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히터(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분 집수부(30)는, 상기 저장챔버(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가 유입되는 수증기 유입구(32)가 마련되고, 상기 수증기 유입구(32)를 통해 유입된 수증기가 저장되는 수증기 수용 공간부(38)가 구비되며, 상기 수증기 수용 공간부(38)를 가로질러 다수의 동파이프(33)가 설치되며, 상부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동파이프(33)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 유입부(34)가 구비되고, 상부 타측에는 상기 다수의 동파이프(33)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부(35)가 마련되며, 상기 수증기 수용 공간부(38)의 하부 일측에는 냉각 집수된 증류수를 배출시키는 증류수 배출구(36)가 형성되는 냉각챔버(31); 및 외부 공기를 연결된 배관을 통해 상기 냉각챔버(31)의 공기 유입부(34)로 공급하는 브로워(3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수분 배출부(40)는, 상기 증류수 배출구(36)로부터 유입되는 증류수의 슬러지를 제거한 후, 배출하는 라인필터(41); 상기 라인필터(41)를 통해 배출되는 증류수를 저장하는 증류수 모음통(42); 상기 증류수 모음통(42) 내에 저장되는 증류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43); 상기 증류수 모음통(42)에 저장된 증류수를 배출시키는 증류수 배출 펌프(44); 및 다수의 정화필터(45)가 구비되고, 상기 증류수 배출 펌프(44)를 통해 상기 증류수 모음통(42)으로부터 유입되는 증류수를 상기 다수의 정화필터(45)로 흐르게 하여 정화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증류수 정화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작동 온(On)/오프(Off)신호, 배출 온(On)/오프(Off)신호,소정의 기준 온도값 및, 소정의 기준 수분값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상기 작동 온(On)/오프(Off)신호, 배출 온(On)/오프(Off)신호, 소정의 기준 온도값 및, 소정의 기준 수분값을 입력받고, 상기 수분측정센서(24), 온도측정센서(23) 및, 수위측정센서(43)로부터 각각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구동모터(60), 히터(25), 브로워(37) 및, 증류수 배출 펌프(44)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주방 음식물 쓰레기 등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분쇄, 탈수 및 건조 처리할 수 있어 최종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후처리가 용이하며,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탈수 및 건조 과정에서 통상 나타나는 악취 발생을 방지하여 위생적이고 쾌적한 주변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탈수 및 건조 과정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정화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과정에서 흘러나오는 배출수에 의한 하천 오염을 예방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콤팩트하게 구성하여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탈수 및 건조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킨 자연 친화적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수분 집수부 및 수분 배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수분 집수부 및 수분 배출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도 5는 본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작동 제어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2a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하부 수용공간부에 저장되는 저장챔버(10)와, 상기 저장 챔버의 수용 공간부(13)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는 가열부(20)와, 상기 가열부(20)의 가열로 증발되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의 수증기를 냉각 응결시켜 집수하는 수분 집수부(30)와, 상기 수분 집수부(30)에 집수된 증류수를 모아 정화시켜 배출하는 수분 배출부(40)와, 상기 저장챔버(10)의 수용 공간부(13)에 구비되어 저장된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기(50) 및, 상기 분쇄기(5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장챔버(1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투입구(11)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투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수용 공간부(13)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13)의 정면 일측에는 분쇄 및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최종 배출되는 배출구(12)가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투입구(11) 및 배출구(12)에는 각각 열고 닫을 수 있으며, 닫은 후에는 완전 밀폐가 가능한 투입구 도어(도시되지는 않음) 및 배출구 도어(도시되지는 않음)를 구비하여 작동 중에는 상기 도어들을 닫아 상기 저장챔버(10)를 완전 밀폐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탈수 및, 건조 과정에서 분쇄물이나 악취가 상기 저장챔버(10)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저장챔버(10)의 수용 공간부(13)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분쇄기(50)를 회전시켜 분쇄함과 동시에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하기 위해 상기 수용 공간부(13)에 별도 열선을 두어 가열 할 수도 있으나, 열선의 작동 온/오프에 따른 온도변화가 심하고, 화재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도 2a,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 공간부(13)의 외측면에 접하게 이중챔버로 오일저장 공간부(14)를 마련하고, 연결된 배관을 통해 상기 오일저장 공간부(14) 내에 오일(15)일 투입시키는 오일 투입부(21)와, 상기 오일저장 공간부(14) 내에 저장된 오일(15)을 배출하는 오일 배출부(22)와, 상기 수용 공간부(13)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23)와, 상기 수용 공간부(13) 내의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측정센서(24) 및, 상기 오일저장 공간부(14) 내의 오일(15)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히터(25)를 포함하여 가열부(20)를 구성한다. 오일 투입부(21)를 통해 오일저장 공간부(14)에 채워진 오일(15)은 상기 히터(25)로 소정 온도로 가열된 후, 수분측정센서(24)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수용 공간부(13) 내의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값이 소정 값이 될 때까지 큰 온도변화 없이 소정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며, 지속적으로 수용 공간부(13) 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간접 가열함으로써, 열선 등에 의한 직접 가열의 경우 발생 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 가스와 상기 열선과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화재 및 폭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상기 수용 공간부(13) 내의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증발시켜 건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상기 오일저장 공간부(14) 내에 저장된 오일(15)은 오일 배출부(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수분 집수부(30)는 상기 가열부(20)에 의한 간접 가열로 인해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증기를 냉각 응결시킨 후, 얻어진 증류수를 수집하여 배출하는 것으로, 바림직하게는, 도 2a,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챔버(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가 상부로 상승하여 유입되는 수증기 유입구(32)가 마련되고 상기 수증기 유입구(32)를 통해 유입된 수증기가 저장되는 수증기 수용 공간부(38)가 구비되며 상기 수증기 수용 공간부(38)를 가로질러 다수의 동파이프(33)가 설치되며 상부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동파이프(33)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 유입부(34)가 구비되고 상부 타측에는 상기 다수의 동파이프(33)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부(35)가 마련되며 상기 수증기 수용 공간부(38)의 하부 일측에는 냉각 집수된 증류수를 배출시키는 증류수 배출구(36)가 형성되는 냉각챔버(31) 및, 외부 공기를 연결된 배관을 통해 상기 냉각챔버(31)의 공기 유입부(34)로 공급하는 브로워(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수분 집수부(30)는, 상기 저장챔버(10) 하부에 구비된 수용 공간부(13)로부터 가열 증발되어 올라오는 수증기를 냉각챔버(31) 내로 유입시키고, 상기 냉각챔버(31)로 유입된 수증기는, 열전도율인 높은 동파이프(33) 내부를 상기 브로워(37)의 작동으로 외부공기가 빠르게 통과하면서 급속 냉각된 상기 동파이프(33)와 접촉하여 냉각 응결된 후, 상기 냉각챔버(31) 하부면으로 강하하고, 응결 강하되어 집수된 증류수를 상기 증류수 배출구(36)를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수분 배출부(40)는 상기 수분 집수부(30)에서 집수 후, 배출된 증류수를 모아 정화시킨 후,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2b,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류수 배출구(36)로부터 유입되는 증류수의 슬러지를 제거한 후, 배출하는 라인필터(41)와, 상기 라인필터(41)를 통해 배출되는 증류수를 저장하는 증류수 모음통(42)과, 상기 증류수 모음통(42) 내에 저장되는 증류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43)와, 상기 증류수 모음통(42)에 저장된 증류수를 배출시키는 증류수 배출 펌프(44) 및, 다수의 정화필터(45)가 구비되고 상기 증류수 배출 펌프(44)를 통해 상기 증류수 모음통(42)으로부터 유입되는 증류수를 상기 다수의 정화필터(45)로 흐르게 하여 정화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증류수 정화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수분 배출부(40)는 상기 수분 집수부(30)로부터 유입된 증류수를 상기 라인필터(41)로 통과시켜 증류수에 잔존하는 슬러지를 제거하며 1차 정화시키게 되고, 상기 라인필터(41)를 통과한 증류수는 상기 증류수 모음통(42)에 모이게 된다. 상기 증류수 모음통(42)에 소정 량 모인 증류수는 상기 증류수 배출 펌프(44)를 통해 상기 다수의 정화필터(45)로 보내지며 다수의 정화필터(45)를 거치면서 2차 정화시킨 후, 최종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과정에서의 오염수 배출에 따른 악취 발생 및 하천수 오염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분쇄기(50)는 상기 저장챔버(10)의 수용 공간부(13)에 구비되어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가열부(20)에서 가열시킴과 동시에 분쇄, 탈수 및, 건조시키게 되며, 상기 구동모터(60)는 분쇄기(50)의 일 측단과 체인(61)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분쇄작동 중에는 상기 분쇄기(50)를 일 방향 회전시키고, 배출작동 중에는 상기 분쇄기(50)를 반대 방향회전시켜 분쇄, 탈수 및, 건조과정을 마친 최종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모아 상기 저장챔버(10)의 배출구(12)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작동 온/오프 신호, 배출 온/ 오프 신호, 소정의 기준 온도값 및, 소정의 기분 수분값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상기 작동 온/오프 신호, 배출 온/오프 신호, 소정의 기준 온도값 및 소정의 기준 수분값을 입력받고, 상기 수분측정센서(24), 온도측정센서(23) 및, 수위측정센서(43)로부터 각각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구동모터(60), 히터(25), 브로워(37) 및, 증류수 배출펌프(44)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로부터 작동 온 신호를 입력받는 콘트롤러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의 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구동모터(60)를 통해 분쇄기(50)를 회전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함과 동시에, 상기 온도측정센서(23)로부터 측정된 온도값과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기준 온도값을 비교하여 측정된 온도값이 상기 기준 온도값에 도달할 때까지 히터(25)를 가동시켜 상기 오일저장 공간부(14)에 저장된 오일(15)을 가열하게 된다. 상기 기준 온도값에 도달된 후에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기준 수분값과 상기 수분측정센서(24)로부터 측정된 수분값을 비교하여 측정된 수분값이 상기 기준 수분값에 도달할때 까지 상기 기준 온도값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쇄기(50)를 작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는 구동모터(60)를 회전시킨 후, 소정 시간 경과된 후에는 상기 브로워(37)를 작동시켜 상기 냉각챔버(31) 내 다수의 동 파이프로 외부공기를 공급하게 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13)에서 분쇄 교반과 동시에 가열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증발되어 상기 냉각챔버(31) 내로 유입된 수증기를 상기 다수의 동파이프(33)로 냉각 응결시키며, 상기 수증기를 냉각 응결시켜 얻어진 증류수는 상기 증류수 배출구(36)를 통해 라인필터(41)를 거치면서 슬러지가 제거되어 상기 증류수 모음통(42)에 모이게 된다. 상기 증류수 모음통(42)에 모여든 증류수 량이 소정 수위로 모이게 되면 상기 수위측정센서(43)는 이를 측정하여 상기 콘트롤러로 신호를 보내게 되며, 상기 수위측정센서(43)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은 콘트롤러는 상기 증류수 배출 펌프(44)를 가동시켜 상기 증류수 모음통(42)의 증류수를 상기 다수의 정화필터(45)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다수의 정화필터(45)는 상기 증류수 모음통(42)으로부터 배출된 증류수를 최종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용 공간부(13)의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탈수 및, 건조시키게 되며, 입력받은 기준 수분값에 측정 수분값이 도달되는 경우, 상기 콘트롤러는 사용자에게 알림음을 통해 알림과 동시에 분쇄, 탈수 및 건조과정을 멈추게 된다. 상기 알림음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탈수 및 건조과정이 끝난 것을 확인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에 배출 온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배출 온 신호를 전달받은 콘트롤러는 상기 구동모터(60)를 역회전시켜 분쇄 및 건조가 끝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수용 공간부(13)의 중앙부로 모아 배출시키게 된다.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과정까지 끝나게 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에 배출 오프 신호 및 작동 오프 신호를 입력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의 모든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여러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0 : 저장챔버 11 : 투입구
12 : 배출구 13 : 수용 공간부
14 : 오일저장 공간부 15 : 오일
20 : 가열부 21 : 오일 투입부
22 : 오일 배출부 23 : 온도측정센서
24 : 수분측정센서 25 : 히터
30 : 수분 집수부 31 : 냉각챔버
32 : 수증기 유입구 33 : 동파이프
34 : 공기 유입부 35 : 공기 배출부
36 : 증류수 배출구 37 : 브로워
38 : 수증기 수용 공간부
40 : 수분 배출부 41 : 라인필터
42 : 증류수 모음통 43 : 수위측정센서
44 : 증류수 배출펌프 45 : 정화필터
46 : 증류수 정화부
50 : 분쇄기 60 : 구동모터
61 : 체인

Claims (5)

  1. 상부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투입구(11)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수용 공간부(13)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13)의 정면 일측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되는 저장챔버(10);
    상기 저장챔버(10)의 수용 공간부(13)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부(20);
    상기 가열부(20)에 의한 가열로 인해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증기를 냉각 응결시킨 후, 얻어진 증류수를 집수하는 수분 집수부(30);
    상기 수분 집수부(30)에서 집수된 증류수을 모아 정화시킨 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 배출부(40);
    상기 저장챔버(10)의 수용 공간부(13)에 구비되어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기(50); 및
    상기 분쇄기(5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저장챔버(10)는,
    상기 수용 공간부(13)의 외측면에 오일저장 공간부(14)가 마련되는 이중 챔버로 형성되고,

    상기 가열부(20)는,
    연결된 배관을 통해 상기 오일저장 공간부(14) 내에 오일(15)을 투입시키는 오일 투입부(21);
    상기 오일저장 공간부(14) 내에 저장된 오일(15)을 배출하는 오일 배출부(22);
    상기 수용 공간부(13)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23);
    상기 수용 공간부(13) 내의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측정센서(24); 및
    상기 오일저장 공간부(14) 내의 오일(15)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히터(2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분 집수부(30)는,
    상기 저장챔버(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가 유입되는 수증기 유입구(32)가 마련되고, 상기 수증기 유입구(32)를 통해 유입된 수증기가 저장되는 수증기 수용 공간부(38)가 구비되며, 상기 수증기 수용 공간부(38)를 가로질러 다수의 동파이프(33)가 설치되며, 상부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동파이프(33)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 유입부(34)가 구비되고, 상부 타측에는 상기 다수의 동파이프(33)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부(35)가 마련되며, 상기 수증기 수용 공간부(38)의 하부 일측에는 냉각 집수된 증류수를 배출시키는 증류수 배출구(36)가 형성되는 냉각챔버(31); 및
    외부 공기를 연결된 배관을 통해 상기 냉각챔버(31)의 공기 유입부(34)로 공급하는 브로워(37);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분 배출부(40)는,
    상기 증류수 배출구(36)로부터 유입되는 증류수의 슬러지를 제거한 후, 배출하는 라인필터(41);
    상기 라인필터(41)를 통해 배출되는 증류수를 저장하는 증류수 모음통(42);
    상기 증류수 모음통(42) 내에 저장되는 증류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43);
    상기 증류수 모음통(42)에 저장된 증류수를 배출시키는 증류수 배출 펌프(44); 및
    다수의 정화필터(45)가 구비되고, 상기 증류수 배출 펌프(44)를 통해 상기 증류수 모음통(42)으로부터 유입되는 증류수를 상기 다수의 정화필터(45)로 흐르게 하여 정화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증류수 정화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작동 온(On)/오프(Off)신호, 배출 온(On)/오프(Off)신호,소정의 기준 온도값 및, 소정의 기준 수분값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상기 작동 온(On)/오프(Off)신호, 배출 온(On)/오프(Off)신호, 소정의 기준 온도값 및, 소정의 기준 수분값을 입력받고, 상기 수분측정센서(24), 온도측정센서(23) 및, 수위측정센서(43)로부터 각각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구동모터(60), 히터(25), 브로워(37) 및, 증류수 배출 펌프(44)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
KR1020140000636A 2014-01-03 2014-01-0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32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636A KR101432649B1 (ko) 2014-01-03 2014-01-0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636A KR101432649B1 (ko) 2014-01-03 2014-01-0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2649B1 true KR101432649B1 (ko) 2014-08-25

Family

ID=51750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636A KR101432649B1 (ko) 2014-01-03 2014-01-0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6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21768A (zh) * 2017-08-17 2017-11-07 广东工业大学 一种家用餐厨垃圾处理装置
KR101881162B1 (ko) * 2017-08-25 2018-08-1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천미가 쌀눈 선별용 건조장치
CN111069245A (zh) * 2019-12-26 2020-04-28 浙江华力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餐厨垃圾处理工艺
CN112676318A (zh) * 2021-01-04 2021-04-20 尹海 一种生活垃圾资源化利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207A (ko) * 2000-10-18 2001-04-06 김영숙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86957B1 (ko) * 2005-02-03 2007-02-27 이명열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138500B1 (ko) * 2008-02-14 2012-04-2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탈습장치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207A (ko) * 2000-10-18 2001-04-06 김영숙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86957B1 (ko) * 2005-02-03 2007-02-27 이명열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138500B1 (ko) * 2008-02-14 2012-04-2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탈습장치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21768A (zh) * 2017-08-17 2017-11-07 广东工业大学 一种家用餐厨垃圾处理装置
KR101881162B1 (ko) * 2017-08-25 2018-08-1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천미가 쌀눈 선별용 건조장치
CN111069245A (zh) * 2019-12-26 2020-04-28 浙江华力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餐厨垃圾处理工艺
CN112676318A (zh) * 2021-01-04 2021-04-20 尹海 一种生活垃圾资源化利用方法
CN112676318B (zh) * 2021-01-04 2022-04-19 尹海 一种生活垃圾资源化利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94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346594B1 (ko) 스크류 하우징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1471168B1 (ko) 건조기능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처리기
KR10143264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3109984U (ja) 生ゴミ処理器
CN104588391A (zh) 一种便捷式餐厨垃圾处理系统
KR100952474B1 (ko) 연속 가열 건조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5519758A (ja) 食品残渣の自動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23958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30039603A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장치
KR101291524B1 (ko)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30024351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41000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002018397A (ja) 含水ゴミ脱水乾燥装置
KR100927824B1 (ko) 하폐수열을 이용한 슬러지 저온 건조장치
KR20110065781A (ko) 2중 스크류 구조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8284483A (ja) 乾燥装置
KR101491133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
KR100432519B1 (ko) 화장실의 분뇨 처리장치
KR10074372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7253791A (zh) 智能环保厕所用的污物分离干燥装置
KR2015006489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2010009363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9980064513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4255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