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726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726B1
KR100743726B1 KR1020060067001A KR20060067001A KR100743726B1 KR 100743726 B1 KR100743726 B1 KR 100743726B1 KR 1020060067001 A KR1020060067001 A KR 1020060067001A KR 20060067001 A KR20060067001 A KR 20060067001A KR 100743726 B1 KR100743726 B1 KR 100743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cooling
tube
food was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근식
Original Assignee
전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근식 filed Critical 전근식
Priority to KR1020060067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37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2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helical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F26B23/002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recovered from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교적 대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단시간내에 수분이 미포함된 분말형태로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05-21855호에 개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바디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장치 외부와 연통되는 구멍이 마련되어 이곳에 그 일측단이 장착되는 환기배출관과, 상기 환기배출관 타단에 이 환기배출관과 연통토록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다수의 냉각튜브가 수직배치된 제1 응축기와, 상기 제1 응축기 하단에 연통토록 설치되며 상기 제1 응축기를 거치면서 응축된 응축수가 수집될 수 있게 내부에 밀폐된 공간이 제공되는 응축수 수집탱크와, 상기 응축수 수집탱크와 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 응축기 및 응축수 수집탱크를 거친 수증기를 재차 냉각토록 밀폐된 공간이 제공되는 사각의 방열박스 내부에 상기 관과 연결되는 파형의 튜브가 배치된 구성의 제2 응축기 및, 상기 제2 응축기의 튜브 배출단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튜브를 통해 유입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악취제거를 위해 그 내부에 촉매필터를 갖는 탈취장치를 포함한다.
음식물 쓰레기, 응축기, 탈취장치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따른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종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적용된 제1 응축기 및 응축수 수집탱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제2 응축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따른 탈취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 설명>
42...환기 배출관 60...제1 응축기
64...순환관(리턴관) 66...블로워
70...응축수 수집탱크 80...제2 응축기
90...탈취장치 92...케이싱
94...히터 96...촉매필터
본 발명은 비교적 대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단시간내에 수분이 미포함된 분말형태로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장치 내부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스크류를 이용해 잘게 분쇄하는 동시에 고온처리하여 건조화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오·폐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동시에 최종산물의 사료화, 퇴비화 등 자원화가 가능하도록 하며,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와 악취를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따른 비용부담 및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즉,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경비가 소비되며 특히 음식물 쓰레기를 직매립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배출되는 다량의 오염물질이 주변의 토양과 하천을 오염시켜 환경을 파괴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정부는 음식물쓰레기 직매립에 따른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폐기물 관리법 시행규칙을 개정하여 2005년 1월 1일부터 음식물쓰레기 직매립을 금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들이 다각도로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연구결과에 대한 일례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분쇄시킴과 동시에 탈수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 및 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한 기술이 다양하게 제공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이용하면,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제거되므로 수분으로 인한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 발생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으면서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알려진 일반적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대부분이 장치내에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동시에 단순히 분쇄날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 입경으로 잘게 분쇄토록 한 것이어서,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분쇄 성능이 미흡하며, 음식물의 분쇄 및 압착시 발생되는 오수를 여과없이 그대로 배출시킴에 따라 하천 오염문제를 그대로 방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폐기물의 재활용 측면에서 위와 같이 탈수와 분쇄과정을 거친 음식물 쓰레기는 별도의 자연건조 또는 인공건조 등의 건조과정을 통해 사료화, 퇴비화를 꾀하고 있으나, 종래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 및 파쇄/분쇄와 건조가 일괄적으로 처리되지 못하는 장치의 기능적 한계점으로 인하여 다수의 공정을 거쳐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건조 시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단시간내에 보다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곤란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21855호에서는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라는 제목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와 건조기능을 동시에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동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공개특허05-21855호는 종래 이원화된 공정을 일원화하여 단시간내에 보다 많은 양의 음식물 쓰 레기를 처리할 수 있고, 아울러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오·폐수를 제거하는 동시에 처리된 최종산물의 사료화, 퇴비화등 자원화가 즉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개특허는 도 1a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받침대(20)의 상부 양측에 측판(22)이 마련되고, 측판(22) 사이에는 중앙 돌출부를 기준으로 한 쌍의 반원형 요홈이 요입형성된 바디 플레이트(30)가 배치된다. 바디 플레이트(30) 하부에는 반원형의 열매체판(31)이 이격설치되어 그 사이에 열매체가 저장될 수 있는 열매체 충진공간이 제공되며, 열매체판(31) 일측에는 봉형태의 히터(60)가 설치되어 상기 열매체 충진공간에 그 타단부가 위치하고 있다.
계속해서, 상기 열매체판(31) 하부에는 일측에 공기유입구(40)를 갖는 냉각판(32)이 이격설치되어 이들사이에 단열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 플레이트(30)의 일측에 구멍이 마련되어 이곳에 환기배출관(42)이 장착되는 동시에 환기배출관(42) 끝단에는 탈취제를 포함한 필터수단(43)이 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바디 플레이트(30)에 형성된 한 쌍의 요입홈에는 두개의 왼스크류(53)와 오른 스크류(54)가 대향 배치되며, 측판 일측 하부에는 상기 스크류(53)(54)를 체인전동(또는 벨트전동)을 통해 구동시키는 모터(52)를 포함한 구동수단(50)이 마련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70은 분쇄 및 고온건조 처리된 음식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음식물배출구를 가리킨다.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투입구(24)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투 입 후 장치를 가동시키면, 장치내부에 구비된 한 쌍의 스크류(53)(54)에 의해서 음식물 쓰레기가 장치의 내부공간을 순환하는 동시에 잘게 분쇄된다. 아울러 바디 플레이트(30) 바닥면으로부터는 히터(60) 및 공간에 충진된 열매체로부터 발생된 고온의 열이 전가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킨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장치 내부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스크류를 통해 잘게 분쇄되는 동시에 히터 및 열매체를 통해 고온건조된다. 이에 따라서 종래 이원화된 공정을 일원화하여 단시간내에 보다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다. 아울러 장치를 통해 처리된 최종 부산물은 장치를 통해 충분히 건조되어 수분이 제거된 상태이므로 가축사료 및 퇴비로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몇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상기 환기배출관(42)을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에는 재사용이 가능하리 만큼의 충분한 열원을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상기 환기배출관(42)을 통해 외부에 그대로 방출된다. 이는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매우 비경제적인 동시에 장치의 전체적인 열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되며 또한 배출가스가 주변온도를 상승시켜 온난화를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음식물 쓰레기 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포함한 악취의 필터링 성능이 떨어져 장치 가동중에 악취가 심하게 발생되어 주변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공개특허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과정 중 발생된 악취를 포함한 수증기가 단순히 환기배출관(42)과 탈취제(43)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으로 수증기와 악취가 탈취제에 동시에 걸러지므로 탈취제는 항상 수분을 머금고 있으며, 그로 인해서 악취의 탈취성능이 저하되어 최종 배출가스에서 악취가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셋째, 상기 공개특허에는 장치를 통해 건조가공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제거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이 환기배출관(42)을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에 의해 탈취제가 어느 정도 수분을 머금은 상태가 되면 수증기 배출효율이 떨어져 수증기가 장치내에서 계속적으로 순환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최종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최종산물에까지 수분이 그대로 남아있게 되어 별도의 재건조과정을 거쳐야만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단이 바디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환기배출관 타단에 응축기 및 이 응축기와 연계된 응축수 수집탱크를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응축기는 순환관을 통해 다시 바디 플레이트와 연통토록 함으로써,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수증기를 응축시켜 오수와 순수열원을 포함하는 수증기로 분리시키며, 분리된 오수는 응축수 수집탱크를 통해 별도로 수집하는 동시에 순수열원을 포함한 수증기는 순환관을 통해 다시 장치내부로 재순환시키고, 그 결과 열원의 리싸이클이 가능하여 열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응축기 일측에 또 다른 응축기를 두고 이 응축기 일측 에는 히터와 필터를 포함한 탈취장치를 배치하여, 배출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열원을 보다 확실히 제거하여 배출가스의 온도를 현저히 저하시켜 온난화를 예방하는 동시에 수분에 의한 필터의 성능저하를 최소화하여 탈취성능을 보다 향상시키며, 그 결과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악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응축기 및 탈취장치의 마련으로 인하여 장치 가동중 발생되는 수증기를 보다 원활히 순환시켜 장치를 통해 분쇄 및 건조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율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05-21855호에 개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바디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장치 외부와 연통되는 구멍이 마련되어 이곳에 그 일측단이 장착되는 환기배출관과, 상기 환기배출관 타단에 이 환기배출관과 연통토록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다수의 냉각튜브가 수직배치된 제1 응축기와, 상기 제1 응축기 하단에 연통토록 설치되며 상기 제1 응축기를 거치면서 응축된 응축수가 수집될 수 있게 내부에 밀폐된 공간이 제공되는 응축수 수집탱크와, 상기 응축수 수집탱크와 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 응축기 및 응축수 수집탱크를 거친 수증기를 재차 냉각토록 밀폐된 공간이 제공되는 사각의 방열박스 내부에 상기 관과 연결되는 파형의 튜브가 배치된 구성의 제2 응축기 및, 상기 제2 응축기의 튜브 배출단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튜브를 통해 유 입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악취제거를 위해 그 내부에 촉매필터를 갖는 탈취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서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도시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 동일한 도면참조부호 및 명칭을 사용하기로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평평한 받침대(20)의 상부 양측에 측판(22)이 마련되고, 측판(22) 사이에는 중앙 돌출부를 기준으로 내측에 한 쌍의 반원형 요홈(도면상 미도시)이 요입형성된 바디 플레이트(3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 플레이트(30)에 형성된 한 쌍의 요홈에는 두개의 왼스크류(53)와 오른 스크류(54)가 평행 배치되며, 상기 측판 일측 하부에는 상기 스크류(53)(54)를 체인전동(또는 벨트전동)을 통해 구동시키는 모터(52)를 갖춘 구동수단(50)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구성은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05-21855호와 동일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장치 외부와 연통되는 구멍이 마련되고 이곳에는 환기배출관(42) 일측단이 장착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과정 중 발생된 이물질 을 포함하는 수증기를 장치 외부로 배출시킨다. 동시에, 상기 환기배출관(42) 타단에는 이 환기배출관(42)과 연통토록 제1 응축기(60)가 마련되어 환기배출관(42)을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수증기를 응축시켜 가스와 이물질을 포함하는 오수로 분리시킨다.
또한, 상기 제1 응축기(60) 하단에는 내부에 밀폐된 공간이 제공되는 응축수 수집탱크(70)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응축기(60)와 연통됨에 따라 상기 제1 응축기(60)를 거치면서 응축된 응축수를 저장하며, 상기 응축수 수집탱크(70) 일측에는 제2 응축기(80)가 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 응축기(60) 및 응축수 수집탱크(70)를 거친 수증기를 재차 냉각시킨다.
나아가, 상기 제2 응축기(80) 상측의 튜브 배출단 측에는 그 내부에 촉매필터 및 히터를 갖는 탈취장치(90)가 연결되어 상기 제2 응축기(80)의 튜브를 통해 유입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을 각부 구성별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제1 응축기 및 응축수 수집탱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응축기(60)는 그 상측 개구단이 환기배출관(42) 타측단과 연결되어 상기 환기배출관(42)을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수증기를 응축시켜 가스와 이물질을 포함하는 오수로 분리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응축기(60)는 도 3에서와 같이 그 내부에 다수의 냉각튜브(62)가 수직방향으로 이격배치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는 밀폐된 공간이 제공되는 상기 응축수 수집탱크(70)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환기배출관(42)을 통해 유입된 고온의 수증기는 제1 응축기(60)에 내설된 각각의 냉각튜브(62)를 경유하면서 공랭 또는 수냉에 의해 냉각되어 1차로 응축된다. 이에 따라, 배출 수증기에 포함된 수분(음식물 쓰레기 건조과정 중 발생된 이물질을 포함한 오수)이 분리되는 한편, 분리된 수분은 제1 응축기(60) 하방의 응축수 수집탱크(70)로 집수되어 이곳에 저장된다. 응축수 수집탱크(70) 일측에는 배출밸브(72)가 구비되어 있어서 응축수가 어느 정도 담수되면 이를 개방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응축기(60)는 전술한 바디 플레이트(30) 일측과 순환관(64)을 통해 연결되어 제1 응축기를 거치기전 고온의 열원을 다시 장치내부로 순환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응축기(60) 상부와 전술한 바디 플레이트(30) 일측은 순환관(64)을 통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순환배출관(42)을 거쳐 제1 응축기(60)로 유입되는 고온의 일부 열원은 장치내부로 순환되어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1 응축기(60) 일측에는 이 제1 응축기(60) 내부의 냉각튜브(62)를 경유하는 고온 수증기에 포함된 열을 강제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수단이 구비되어 제1 응축기(60)를 경유하는 고온의 수증기를 강제 냉각시켜 응축시킬 수 있다. 방열수단으로는 공냉식 또는 수냉식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열수단이 공냉식인 경우에는 도 2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응축기 일측에 블로워(66)가 배치되어 송풍관(67)을 통해 제1 응축기(60) 내부로 강한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방열수단을 수냉식으로 적용 할 경우에는 도면상에는 미도시되었으나 냉각수 탱크와, 이 냉각수 탱크에 저장된 냉각수를 강제 송출시키기 위한 순환펌프 및, 상기 제1 응축기 상,하부에 냉각수 유·출입관을 포함한 순환관을 설치하여, 상기 제1 응축기 내부에 냉각수를 강제 순환시킴으로써 냉각튜브를 경유하는 수증기를 수냉식으로 강제 응축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한 제2 응축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응축기(80)는 상기한 응축수 수집탱크(70) 일측에서 이 응축수 수집탱크(70)와 관(72)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 응축기(60) 및 응축수 수집탱크(70)를 거친 수증기를 재차 냉각시킨다. 구체적으로, 제2 응축기(80)는 밀폐된 공간이 제공되는 사각의 방열박스(82) 내부에 상기 관에 그 일측이 연결되는 튜브(84)가 파형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방열박스(82) 및 튜브(84)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이 사용되며, 파형으로 절곡되는 튜브(84) 사이사이에는 이 튜브(84)를 수직으로 가로지르면서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확보토록 하여 방열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다수의 방열편(86)이 개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제1 응축기(60) 및 응축수 수집탱크(70)를 거치면서 수분이 제거된 수증기는 제2 응축기(80)를 거치면서 재차 냉각되며, 제2 응축기(80)를 빠져나온 배출가스는 제2 응축기(80) 상측의 튜브 배출단과 연결되는 탈취장치(90)를 거친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탈취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단면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탈취장치(90)는 상기 제2 응축기(80) 상측에 배치되면서 튜브 배출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응축기(80)의 튜브(84)를 거쳐 유입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90)는, 일측에는 상기 제2 응축기(80) 튜브(84)의 배출단부와 연결되는 유입구(92a)가 구비되고 다른 일측에는 배출구(92b)가 구비된 중공관체 형상의 케이싱(92)과, 상기 케이싱(92)의 일측 외벽을 통해 케이싱(92) 내부로 이 케이싱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배치되는 히터(94) 및, 상기 케이싱(92) 내벽과 상기 히터 (94)외주연 사이에 나선 코일형태로 장설되는 촉매필터(9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탈취장치(90)에 따르면, 유입구(92a)를 통해 유입된 배출가스가 케이싱(92) 내부의 촉매필터(96)를 경유하면서 악취가 제거된 채 배출구(92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케이싱(92) 내부에 장설되는 히터(94)의 고온가열에 의한 항균작용에 의해서 배출가스에 포함된 유해균이 제거된다. 아울러, 유입된 배출가스는 상기 촉매필터(96)에 의해 나선 코일형태로 그 흐름이 유도되는 동시에 이 촉매필터(96)와 촉매반응을 일으켜 유해가스 및 그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흡착/제거된다. 결과적으로, 배출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가 최대한 흡착/제거되어 최종배출되는 배출가스로 인한 악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05-21855호에 개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가동중에 발생된 수증기 중 일부는 재순환되어 기기의 열효율을 일층 향상시키는 동시에 일부 수증기는 두번의 응축과정을 거치면 서 액상으로 전환되어 별도로 수집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외부에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온도를 최대한으로 낮출 수 있어서 장치 주변의 온도상승을 방지하며, 나아가서는 온난화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배치되는 탈취장치를 통해 상기 두번의 응축과정을 거친 가스형태의 배출가스에 포함된 악취를 촉매반을 통해 흡착시켜 제거한다. 이로써, 이를 통해 최종배출되는 배출가스의 악취농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서 악취로 인한 주변공기 오염 및 불쾌함을 최소화시켜 쾌적한 실내 또는 실외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하면,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수증기를 응축시켜 오수와 순수열원을 포함하는 수증기로 분리시키고, 분리된 오수는 응축수 수집탱크를 통해 별도로 수집하는 동시에 순수열원을 포함한 수증기는 순환관을 통해 다시 장치내부로 재순환시킨다. 그 결과 열원의 리싸이클이 가능하여 장치의 전체적인 성능 및 열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응축기 일측에 또 다른 응축기가 배치되고 이 응축기 일측에는 히터와 필터를 포함한 탈취장치가 배치됨으로써, 배출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열원을 보다 확실히 제거하여 배출가스의 온도를 현저히 저하시켜 온난화를 예방하는 동시에 수분에 의한 필터의 성능저하를 최소화하여 탈취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에 따라,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악취발생을 최소화하여 대기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하여, 응축기 및 탈취장치의 마련으로 인하여 장치 가동중 발생되는 수증기를 보다 원활히 순환시켜 장치를 통해 분쇄 및 건조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율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어서 최종처리된 미분형태의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 및 사료화가 즉시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평평한 받침대의 상부 양측에 측판이 마련되고, 측판 사이에는 중앙 돌출부를 기준으로 한 쌍의 반원형 요홈이 요입형성된 바디 플레이트가 배치되며, 상기 바디 플레이트 하부에는 반원형의 열매체판이 이격설치되어 그 사이에 열매체가 저장될 수 있는 열매체 충진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열매체판 일측에는 봉형태의 히터가 설치되어 상기 열매체 충진공간에 히터 타단부가 위치하는 한편, 상기 열매체판 하부에는 일측에 공기유입구를 갖는 냉각판이 이격설치되어 열매체판과 냉각판 사이에 단열 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 형성된 한 쌍의 요홈에는 두개의 왼스크류와 오른 스크류가 평행 배치되고, 상기 측판 일측 하부에는 상기 스크류를 체인전동(또는 벨트전동)을 통해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이 마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장치 외부와 연통되는 구멍이 마련되어 이곳에 그 일측단이 장착되는 환기배출관;
    상기 환기배출관 타단에 이 환기배출관과 연통토록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다수의 냉각튜브가 수직배치된 제1 응축기;
    상기 제1 응축기 하단에 연통토록 설치되며, 상기 제1 응축기를 거치면서 응축된 응축수가 수집될 수 있게 내부에 밀폐된 공간이 제공되는 응축수 수집탱크;
    상기 응축수 수집탱크와 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 응축기 및 응축수 수집탱크를 거친 수증기를 재차 냉각토록 밀폐된 공간이 제공되는 사각의 방열박스 내부에 상기 관과 연결되는 파형의 튜브가 배치된 구성의 제2 응축기; 및
    상기 제2 응축기의 튜브 배출단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튜브를 통해 유입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악취제거를 위해 그 내부에 촉매필터를 갖는 탈취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배출관을 거쳐 제1 응축기로 유입되는 고온의 열원을 갖는 수증기를 순환시켜 재사용토록 상기 제1 응축기 상부와 바디 플레이트 일측은 순환관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 1 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축기 일측에는 이 제1 응축기 내부의 냉각튜브를 경유하는 고온 수증기에 포함된 열을 강제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수단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수단은 공냉식으로 제1 응축기 내부의 냉각튜브에 외기를 공급하여 수증기의 응축시간을 단축시키는 블로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수단은
    냉각수 탱크와 이 냉각수 탱크에 저장된 냉각수를 강제 송출시키기 위한 순환펌프 및, 상기 제1 응축기 상,하부에 설치되는 냉각수 유·출입관을 포함한 순환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응축기 내부에 냉각수를 강제 순환시켜 냉각튜브를 경유하는 수증기를 수냉식으로 강제 응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장치는
    일측에는 상기 제2 응축기 튜브의 배출단부와 연결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다른 일측에는 배출구가 구비된 중공관체 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일측 외벽을 통해 케이싱 내부에 이 케이싱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배치되는 히터; 및
    상기 케이싱 내벽과 상기 히터 외주연 사이에 나선 코일형태로 장설되는 촉매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060067001A 2006-07-18 2006-07-1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43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001A KR100743726B1 (ko) 2006-07-18 2006-07-1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001A KR100743726B1 (ko) 2006-07-18 2006-07-1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3726B1 true KR100743726B1 (ko) 2007-07-30

Family

ID=38499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001A KR100743726B1 (ko) 2006-07-18 2006-07-1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37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816B1 (ko) * 2011-04-14 2013-02-06 영진환경산업(주)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20210045641A (ko) 2019-10-17 2021-04-27 주식회사 아이비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에너지 순환형 악취제거 시스템
KR102333065B1 (ko) 2021-02-23 2021-12-02 (주)휴렉 음식물 처리기
KR102333063B1 (ko) 2021-02-23 2021-12-02 (주)휴렉 음식물 처리기
KR102333064B1 (ko) 2021-02-23 2021-12-02 (주)휴렉 음식물 처리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717A (ko) * 2000-05-08 2001-11-16 한필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020031371A (ko) * 2002-04-11 2002-05-01 박중철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KR200282510Y1 (ko) * 2002-04-24 2002-07-22 박중철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KR200349559Y1 (ko) * 2004-02-19 2004-05-04 이명열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0365528Y1 (ko) * 2004-08-09 2004-10-25 주식회사 월드코아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제습장치
KR20060000841A (ko) * 2004-06-29 2006-01-06 주식회사 월드코아 배기가스 전량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와 이를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717A (ko) * 2000-05-08 2001-11-16 한필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020031371A (ko) * 2002-04-11 2002-05-01 박중철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KR200282510Y1 (ko) * 2002-04-24 2002-07-22 박중철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KR200349559Y1 (ko) * 2004-02-19 2004-05-04 이명열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060000841A (ko) * 2004-06-29 2006-01-06 주식회사 월드코아 배기가스 전량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와 이를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KR200365528Y1 (ko) * 2004-08-09 2004-10-25 주식회사 월드코아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제습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816B1 (ko) * 2011-04-14 2013-02-06 영진환경산업(주)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20210045641A (ko) 2019-10-17 2021-04-27 주식회사 아이비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에너지 순환형 악취제거 시스템
KR102333065B1 (ko) 2021-02-23 2021-12-02 (주)휴렉 음식물 처리기
KR102333063B1 (ko) 2021-02-23 2021-12-02 (주)휴렉 음식물 처리기
KR102333064B1 (ko) 2021-02-23 2021-12-02 (주)휴렉 음식물 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006B1 (ko) Iot 기술에 기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4372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9172569A (ja) 生ごみ処理装置及び生ごみ処理方法
KR101238305B1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기
KR2007006494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284232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장치
KR20150098455A (ko) 공기순환식 다기능 건조장치
KR201301071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29961A (ko)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030025957A (ko) 음식물찌꺼기 자동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2004032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10143264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08308B1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기
KR20100060733A (ko) 폐기물 건조 재생 시스템
KR101968679B1 (ko)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KR101176369B1 (ko) 슬러지 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
CN201292302Y (zh) 一种污泥处理冷凝处理系统
KR100341727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 및 퇴비 재생처리장치
KR20040044270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23659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176373B1 (ko) 탈취 냉각탑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 장치
KR101227593B1 (ko) 파쇄건조기
KR2010010681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및 장치
CN220092499U (zh) 一种陆用餐厨垃圾除臭装置
KR10096798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