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543B1 - 핵자기 공명 분광 기술을 이용한 참기름의 감식 방법 - Google Patents

핵자기 공명 분광 기술을 이용한 참기름의 감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543B1
KR101432543B1 KR1020130044424A KR20130044424A KR101432543B1 KR 101432543 B1 KR101432543 B1 KR 101432543B1 KR 1020130044424 A KR1020130044424 A KR 1020130044424A KR 20130044424 A KR20130044424 A KR 20130044424A KR 101432543 B1 KR101432543 B1 KR 101432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ame oil
peak
ppm
sampl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봉
남윤식
노권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44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4/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nuclear magnetic resonance,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or other spin effects
    • G01N24/08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nuclear magnetic resonance,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or other spin effects by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 G01N24/082Measurement of solid, liquid or gas cont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01N33/03Edible oils or edible fa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기름의 감식 방법은 기준물질, 희석액, 및 감별대상 오일을 혼합하여 감별용 시료를 준비하는 단계(1); 핵자기공명 분광법을 이용하여 상기 감별용 시료의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단계(2); 상기 감별용 시료의 스펙트럼으로부터 검색키로 사용하는 시료의 피크 데이터 및 그 강도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3); 마커(marker)에 해당하는 참기름의 피크가 상기 검색키로 사용되는 시료의 피크 데이터에 포함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4); 그리고 상기 검색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감별대상 오일이 참기름을 포함하는지 여부의 감식결과를 출력하는 단계(5);를 포함한다. 상기 감식 방법을 이용하면, 시료에 참기름에 첨가되었는지 여부 및 그 함량을 정량할 수 있고, 신속하고 간편하며 정확하게 감별대상 시료가 참기름인지 여부를 감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핵자기 공명 분광 기술을 이용한 참기름의 감식 방법{METHOD TO IDENTIFY SESAME OIL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본 발명은 핵자기 공명 분광기(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NMR)를 이용한 분석기술의 응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참기름을 제외한 기타 식용유와 참기름을 감식하거나, 참기름에 기타 식용유가 혼합된 혼합유에 참기름이 얼만큼 포함되어 있는지를 감식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식용유라 함은 유지를 함유한 식물 또는 동물로부터 얻은 원유나 이를 원료로 하여 제조/가공한 식용이 가능한 오일류를 말하는 것으로, 콩기름, 옥수수기름, 들기름, 참기름 등이 식용유에 해당한다.
식용유의 분석 시험 방법으로는, 산가 측정, 요오드가 측정, 조지방 정량법, 타르색소 분석, 리놀렌산 분석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산가 및 요오드가 측정은 식용유간 규격 범위가 중첩되어 있고, 참기름과 식용유 사이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아, 식용유들을 서로 혼합한 혼합유가 참기름인지, 어떠한 종류의 식용유인지 판별하기 매우 어렵다.
참기름은 참깨에서 추출하여 얻어진 식용유로서, 참기름에는 세사민(sesamin), 세사몰린(sesamolin), 세사몰(sesamol) 등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고소한 맛과 향이 뛰어나고, 다량의 불포화 지방산과 항산화 물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가장 선호하는 식품 첨가물이다. 참기름은 고유의 향과 맛으로 인해 한국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식용유로서 비빔밥을 포함한 각종 음식의 첨가물로 이용되며, 빵, 크래커(Crackers), 케익(Cakes)등 상업적인 제품들에도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참기름은 다른 식용유에 비해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값싼 기타 식용유를 첨가하여 만든 가짜 참기름 만들어 판매하는 사건이 매년 되풀이 되고 있다. 일반 시중에서 통상 국내산 진짜 참기름의 가격은 가짜 참기름에 비해 4-5배 정도로 비싸고, 육안으로나 향으로는 혼합유와 진짜 참기름을 구별하는 것이 어렵다.
90년대 이후 참기름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브랜드를 앞세워 유지시장에 진출하는 대기업들이 늘어났고, 공장에서 제조 및 포장되어 유통되는 참기름의 양도 늘어나고 있다. 한편, 참기름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기호를 악용하여, 값싼 기타 식용유와 참기름에 섞어서 100% 참기름으로 속여 판매하는 가짜 참기름이 유통되는 사건이 발생하고 있고, 관련기관의 적발 건수와 금액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가짜 참기름의 유통이 증가하는 이유는, 가짜 참기름의 제조가 쉽고 원가가 적게 들며, 특히 옥수수기름과 콩기름을 섞어서 가짜 참기름 제조 시하면, 진짜 참기름과 맛과 향을 구별하기가 쉽지가 않기 때문이다.
종래의 참기름 진위 판별을 위하여 사용된 방법으로는, 지방산 중 리놀렌산 함량을 측정하는 방법과 세사민 측정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근적외선을 이용한 분석방법이 적용된 예도 있으나, 분석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고 재현성이 높지 않으며, 혼합된 기타 식용유들의 함량을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워서 활용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한편, 참기름의 성분 규격에는, 리놀렌산(linolenic acid) 및 에루스산(Erucic acid) 규격이 고시되어 있는데, 리놀렌산 0.5% 이상과 에루스산 1% 이상 검출시 참기름에 이종의 유지가 혼합되었다고 추정하며, 에루스산의 검출시 채종유(Canola oil)가 혼합되었다고 추정한다.
위에서 언급한 종래의 참기름 진위 판별 방법들은, 실험적으로 유지를 가수 분해하고 유도체를 만든 후 분석 장비를 이용하여 지방산의 함량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분석하거나, 다양한 화학약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실험 중 다량의 폐액이 발생하는 단점과 함께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숙련자에 의한 분석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은 참기름의 원산지 구별은 가능하나 참기름 진위 판별은 불가능하고 장비가 고가인 단점이 있다.
즉, 현재까지 시도된 참기름 진위 판별을 위한 분석 방법으로는, 사용 방법이 복잡하고, 분석에 시간과 능력이 많이 소요되며, 기타 식용유가 얼마나 함유 되어 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참기름의 감식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핵자기 공명 분광기(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NMR)를 응용하여, 가짜 참기름과 진짜 참기름을 구별해내고, 혼합유에 포함되어 있는 참기름의 양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참기름의 감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존의 참기름 순도에 관한 분석법은 유지의 성질인 지방산과 글리세린의 결합으로 이의 가수분해를 통해 성분분석을 하거나, 근적외선의 흡광도를 이용한 분석법 등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로는 참기름에 첨가된 기타 식용유를 정확히 감식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핵자기 공명 분광법(NMR Spectroscopy)을 이용하여 참기름과 참기름 이외의 기타 식용유를 구별하고, 참기름에 기타 식용유가 첨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참기름의 함량을 정량 분석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상기 참기름의 감식 방법을 이용하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가짜 참기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식해 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기름의 감식 방법은 기준물질, 희석액, 및 감별대상 오일을 혼합하여 감별용 시료를 준비하는 단계(1); 핵자기공명 분광법을 이용하여 상기 감별용 시료의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단계(2); 상기 감별용 시료의 스펙트럼으로부터 검색키로 사용하는 시료의 피크 데이터(chemical shift) 및 그 강도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3); 마커(marker)에 해당하는 참기름의 피크가 상기 검색키로 사용되는 시료의 피크 데이터에 포함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4); 그리고 상기 검색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감별대상 오일이 참기름을 포함하는지 여부의 감식결과를 출력하는 단계(5);를 포함한다.
상기 참기름의 마커는 핵자기공명 분광법에 의하여 측정된 참기름의 스펙트럼으로부터 선택된 참기름의 고유피크 데이터 및 그 강도 데이터인 것이다.
상기 기준물질은 메틸수소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테트라 메틸실란일 수 있다.
상기 감별용 시료의 스펙트럼 및 참기름의 스펙트럼에 나타나는 피크는, 상기 기준물질의 메틸수소에 대한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 δ)을 0 ppm으로 하여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상기 희석액은 클로로포름 용액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감별용 시료의 스펙트럼 및 참기름의 스펙트럼은 감별대상 오일 및 참기름을 각각 0.1 내지 5 중량%로 희석된 것으로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준물질인 테트라 메틸실란의 메틸수소에 대한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 δ)을 0 ppm으로 하였을 때에, 상기 검색키로 사용하는 시료의 피크 데이터 및 그 강도 데이터는, 상기 감별용 시료의 스펙트럼에서 5.8 내지 7.0 ppm 사이에 존재하는 피크 데이터 및 이의 강도 데이터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준물질인 테트라 메틸실란의 메틸수소에 대한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 δ)을 0 ppm으로 하였을 때에, 상기 참기름의 마커는 참기름의 고유 피크인 5.94 ppm, 6.78 ppm, 및 6.84 ppm 에서의 피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계(4)의 검색은 상기 참기름의 마커인 피크 데이터와 상기 검색키로 사용되는 시료의 피크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의 동등성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참기름의 감식방법은 상기 단계(4)와 단계(5) 사이에 단계(4-1)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계(4-1)은 상기 검색키로 사용하는 시료의 피크 강도(peak intensity)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참기름의 마커인 피크 강도와 미리 정해진 상관관계를 평가하여 참기름의 함량을 검색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상기 단계(5)에서 상기 감식결과는 상기 참기름의 함량에 대한 검색결과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계(4-1)에서 적용하는 상기 참기름의 마커는, 상기 기준물질로 메틸수소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테트라 메틸실란을 사용하고, 기준물질의 메틸수소에 대한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 δ)을 0 ppm으로 나타내었을 때에, 6.84 ppm 피크에서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참기름의 함량에 대한 검색결과는 6.84 ppm 피크에서의 상관관계인 y= 0.202x + 2.749 의 조건에서 상기 시료의 6.84 ppm 피크에서의 강도 데이터를 상기 상관관계의 y에 적용한 결과를 x 중량%로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계(4-1)에서 적용하는 상기 참기름의 마커는, 상기 기준물질로 메틸수소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테트라 메틸실란을 사용하고, 기준물질의 메틸수소에 대한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 δ)을 0 ppm으로 나타내었을 때에, 6.78 ppm 피크에서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참기름의 함량에 대한 검색결과는 6.78 ppm 피크에서의 상관관계인 y= 0.259x + 1.124 의 조건에서 상기 시료의 6.78 ppm 피크에서의 강도 데이터를 상기 상관관계의 y에 적용한 결과를 x 중량%로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계(4-1)에서 적용하는 상기 참기름의 마커는, 상기 기준물질로 메틸수소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테트라 메틸실란을 사용하고, 기준물질의 메틸수소에 대한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 δ)을 0 ppm으로 나타내었을 때에, 5.94 ppm 피크에서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참기름의 함량에 대한 검색결과는 5.94 ppm 피크에서의 상관관계인 y= 0.352x + 6.251 의 조건에서 상기 시료의 5.94 ppm 피크에서의 강도 데이터를 상기 상관관계의 y에 적용한 결과를 x 중량%로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참기름의 감식방법은 감별대상 오일이 참기름인지 여부 및 참기름이 얼만큼 포함되어 있는 지를 감식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이용하면 감별대상 오일이 참기름인지 여부뿐만 아니라 혼합유의 경우에 참기름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까지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식할 수 있어서, 가짜 참기름을 쉽고 정확하게 감식해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여러 가지 식용유들, 즉 참기름, 콩기름, 옥수수유에 대한 핵자기 공명 분광기(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진짜 참기름으로 국내 유명 회사에서 제조된 100% 참기름으로 성분을 표시한 제품들을 NMR 분광기로 측정한 스펙트럼이다.
도 3은 참기름의 전형적인 NMR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3의 참기름의 주성분 피크들을 제외하고 부성분의 작은 피크들을 확대하여 작은 피크들에 대하여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 순서에 따라 번호를 표시하며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내 유명 브랜드인 진짜 100% 참기름 과 국내 유명 식품회사 제품인 100% 콩기름을 정해진 비율에 따라 혼합 제조하여 이를 NMR 분광기로 측정한 그래프(좌측)과, 4번, 5번, 6번 피크들에 대한 피크 강도(Peak Intensity)를 측정하여 참기름의 함량에 따른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우측)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핵자기 공명 분광기(NMR)를 이용한 분석법은 자기장 속에 놓인 원자핵이 특정 주파수의 전자기파와 공명할 때 나타나는 현상을 이용하여 분자 내에서 화학 구조적으로 그리고, 자기 환경적으로 서로 다른 수소의 종류와 수소 개수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분석 방법이다. 따라서, 상기 핵자기 공명 분광기를 이용한 분석을 시행하면, 시료 내의 수소가 존재하는 주변의 구조적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알려져 있지 않은 분자의 성분 및 구조를 규명하는데 충분한 정보를 줄 수도 있는 분석 방법이다.
한편, 참기름은 참깨로 제조되는데, 참깨는 오일 함량이 45~55% 정도이고, 이는 주로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구성되어 있다. 지방산은 올레산 48.1%, 팔미트산 9.7%, 스테아르산 4.6%, 리놀레산이 36.8%, 알라긴산 0.4%를 함유하고 있으며, 화이트스테로, 세자민, 세자몰, 세자모린 등도 함유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휘발성 유기성분으로 부탄, 펜탄, 프로판 다양한 성분들도 포함되어서 참기름은 지방산, 글리세롤 및 기타 성분들에 포함된 복합체라 할 수 있다. 100% 참깨로 제조된 참기름과 콩기름, 옥수수유, 들기름, 포도씨유, 올리브유 등 다른 식용유와 참기름을 혼합한 혼합유는, 맛과 향, 그리고 색깔까지 유사하여 서로 구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핵자기 공명 분광기(NMR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참기름 고유의 부성분 피크들에 대한 특징적인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δ, ppm)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한 정량 곡선을 작성하여 참기름의 진위 감식 및 기타 식용유들과의 혼합 정도를 알아낼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핵자기 공명 분광기를 이용한 참기름의 감별 및 함량 측정 기술은 간단하고 신속하며 정확하여 기타 식용유를 첨가한 가짜 참기름을 감식하는데 우수한 정확도를 가지므로, 참기름의 감별 및 함량 측정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여러 가지 식용유들, 즉 참기름, 콩기름 및 옥수수유에 대한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의 A는 백설표 100% 참기름에 대한 NMR 스펙트럼이고, B는 해표 100% 콩기름에 해당하는 스펙트럼이며, C는 해표 100% 옥수수유의 스펙트럼이다. 아래의 스펙트럼은 위의 스펙트럼을 y축으로 12.5배로 확대한 것이다. 상기 도 1의 NMR 측정은 기준 물질로 테트라 메틸실란(TMS, 0.05%)이 포함된 크로로포름(CDCl3)용액에 참기름을 포함한 식용유들을 1%로 희석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횟수 4회, 라인브로딩(LB)을 1 Hz로 하였다. NMR 분광기는 독일, 브루커(Bruker)사의 400 MHz 핵자기 공명 분광기(이하 동일한 장비를 사용함)를 사용하였다. 상기 도 1에 나타나 있는 NMR 스펙트럼상에서 TMS의 메틸 수소 피크의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 δ)을 0 ppm으로 정하여 나타내었다.
식용유 시료의 NMR 스펙트럼에서 0.87 ppm 부근의 피크 그룹, 1.30 ppm에서의 피크그룹, 1.60 ppm에서 피크그룹, 2.04 ppm에서 피크그룹, 2.30 ppm에서 피크그룹, 2.76 ppm에서 피크그룹, 4.15 ppm, 4.28 ppm에서 피크그룹, 5.34 ppm에서 피크 그룹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주요 피크들의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 및 피크강도는 모든 식용유들에게서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진짜 참기름으로 국내 유명 회사에서 제조된 100% 참기름으로 성분을 표시한 제품들을 NMR 분광기로 측정한 스펙트럼이다. 상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TMS와 크로로포름(CDCl3)의 피크 사이에 참기름 주성분의 분자 내 프로톤(proton)에 의하여 측정되는 특유한 고유피크들을 확인할 수 있는데, 각 참기름 시료의 제조회사, 상표, 원산지에 상관없이 주요 고유피크들은 완전히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참기름 특유의 고유 피크 외의 피크들은 상기 도 1의 기타의 식용유인 콩키름, 옥수수기름의 피크와 δ 값들이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도 3은 전형적인 참기름의 NMR 스펙트럼의 형태를 나타냈는데, TMS의 δ 값은 0, HOD(hydroxide deuterium)의 값은 1.5 그리로 CDCl3의 값은 7.24 ppm의 값을 보여 주고 있다.
도 4는 상기 도 3의 참기름의 주성분 피크들을 제외하고 부성분의 작은 피크들을 확대하여 작은 피크들에 대하여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 순서에 따라 번호를 표시하며 나타낸 그래프이다. 다른 참기름과 일치성과 다른 식용유와의 차별성을 확인하기 위해 부피크들의 순번을 정해 표시하였으며, 1번 피크 위치 7.52 ppm, 2 번 피크 위치 6.99 ppm, 3번 피크 위치 6.84 ppm, 4번 피크 위치 6.78 ppm, 5번 피크 위치 5.94 ppm, 그리고 8번 피크 위치 0.14 ppm 등으로 번호를 표시했다.
참기름에 포함된 아주 작은 피크들의 성분들은 전형적인 참기름에서 나타나는 소수의 성분에 의한 피크일 수 있고, 제조 과정상에서 함입된 불순물에 의한 피크일 수 있다. 따라서, 참기름의 부성분들의 피크를 그림에서와 같이 1에서 9번까지 순번을 정하여 참기름과 기타의 식용유를 비교하여 참기름에만 반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고유의 피크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순번 3번, 4번, 5번에 해당하는 피크는 참기름의 종류에 상관없이 참기름에 대해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참기름의 고유피크이며, 그 외 순번들은 참기름과 기타의 식용유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피크로 확인되었다. 이런 아주 작은 피크들이 참기름 내의 어떤 성분들로부터 유래하는지 아직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았으나, 참기름 고유의 향과 색소를 나타내는 성분에 의한 것이라고 추측된다.
따라서, 상기 3번, 4번, 5번의 피크를 참기름의 마커(marker)로 이용하면, 핵자기 공명 분광기에 의하여 측정한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를 분석하여 시료가 참기름인지 여부를 구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내 유명 브랜드인 진짜 100% 참기름 과 국내 유명 식품회사 제품인 100% 콩기름을 정해진 비율에 따라 혼합 제조하여 이를 NMR 분광기로 측정한 그래프(좌측)과, 4번, 5번, 6번 피크들에 대한 피크 강도(Peak Intensity)를 측정하여 참기름의 함량에 따른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우측)이다. 도 5에서, 세사미 100 (도 5의 A)은 100% 국내 유명 메이커의 참기름을, 세사미 50 (도 5의 B)은 참기름 50%와 콩기름 50%을 혼합한 혼합유를, 세사미 0 (도5C)은 참기름이 포함되지 않은 콩기름을 시료로 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도 5의 A, 도 5의 B, 도 5의 C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스펙트럼 측정 결과에 나타난 3번, 4번, 5번에 해당하는 피크가 참기름의 혼합 비율이 작아질수록 피크의 크기와 피크 강도(Peak Intensity)가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위의 해당 피크 3번, 4번, 5번 피크들에 대한 피크 강도 (Peak Intensity)를 측정하여 농도에 따른 상관관계를 구하여 시료 내의 참기름의 함량을 측정에 활용하였다.
3번 피크에 대한 농도 변화에 따른 피크강도의 상관관계는 y = 0.202x + 2.749(r2 = 0.8320)이었으며, 4번 피크의 상관관계는 y = 0.259x + 1.124(r2 = 0.8879)이다. 또한 5번 피크의 상관관계는 y = 0.352x + 6.251(r2 = 0.9645)로 분석되었다. 즉, 시료에 포함되는 참기름의 농도와 상기 3번 내지 5번의 피크 강도는 각각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으며, 특히 5번 피크가 참기름의 함량(농도)와 피크강도와의 상관관계는 아주 밀접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료의 핵자기 공명 분광기의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마커로 활용되는 참기름의 고유피크를 포함하는지 여부 및 각각 피크의 피크 강도를 측정하고, 이를 상기 상관관계에 대입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면, 시료가 참기름인지 여부 및 참기름의 함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기준물질, 희석액, 및 감별대상 오일을 혼합하여 감별용 시료를 준비하는 단계(1);
    핵자기공명 분광법을 이용하여 상기 감별용 시료의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단계(2);
    상기 감별용 시료의 스펙트럼으로부터 검색키로 사용하는 시료의 피크 데이터 및 그 강도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3);
    마커(marker)에 해당하는 참기름의 피크가 상기 검색키로 사용되는 시료의 피크 데이터에 포함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4); 그리고
    상기 검색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감별대상 오일이 참기름을 포함하는지 여부의 감식결과를 출력하는 단계(5);를 포함하고,
    상기 참기름의 마커는 핵자기공명 분광법에 의하여 측정된 참기름의 스펙트럼으로부터 선택된 참기름의 고유피크 데이터 및 그 강도 데이터인 것이며,
    상기 기준물질은 메틸수소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테트라 메틸실란이고,
    상기 감별용 시료의 스펙트럼 및 참기름의 스펙트럼에 나타나는 피크는, 상기 기준물질의 메틸수소에 대한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 δ)을 0 ppm으로 하여 나타낸 것인, 참기름의 감식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액은 클로로포름 용액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감별용 시료의 스펙트럼 및 참기름의 스펙트럼은 감별대상 오일 및 참기름을 각각 0.1 내지 5 중량%로 희석된 것으로 측정된 것인, 참기름의 감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물질인 테트라 메틸실란의 메틸수소에 대한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 δ)을 0 ppm으로 하였을 때에, 상기 검색키로 사용하는 시료의 피크 데이터 및 그 강도 데이터는, 상기 감별용 시료의 스펙트럼에서 5.8 내지 7.0 ppm 사이에 존재하는 피크 데이터 및 이의 강도 데이터인 것인, 참기름의 감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물질인 테트라 메틸실란의 메틸수소에 대한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 δ)을 0 ppm으로 하였을 때에, 상기 참기름의 마커는 참기름의 고유 피크인 5.94 ppm, 6.78 ppm, 및 6.84 ppm 에서의 피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인, 참기름의 감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4)의 검색은 상기 참기름의 마커인 피크 데이터와 상기 검색키로 사용되는 시료의 피크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의 동등성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색하는 것인, 참기름의 감식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기름의 감식방법은 상기 단계(4)와 단계(5) 사이에 단계(4-1)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4-1)은 상기 검색키로 사용하는 시료의 피크 강도(peak intensity)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참기름의 마커인 피크 강도와 미리 정해진 상관관계를 평가하여 참기름의 함량을 검색하는 단계이며,
    상기 단계(5)에서 상기 감식결과는 상기 참기름의 함량에 대한 검색결과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참기름의 감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4-1)에서 적용하는 상기 참기름의 마커는, 상기 기준물질로 메틸수소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테트라 메틸실란을 사용하고, 기준물질의 메틸수소에 대한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 δ)을 0 ppm으로 나타내었을 때에, 6.84 ppm 피크에서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참기름의 함량에 대한 검색결과는 6.84 ppm 피크에서의 상관관계인 y= 0.202x + 2.749 의 조건에서 상기 시료의 6.84 ppm 피크에서의 강도 데이터를 상기 상관관계의 y에 적용한 결과를 x 중량%로 나타내는 것인, 참기름의 감식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4-1)에서 적용하는 상기 참기름의 마커는, 상기 기준물질로 메틸수소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테트라 메틸실란을 사용하고, 기준물질의 메틸수소에 대한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 δ)을 0 ppm으로 나타내었을 때에, 6.78 ppm 피크에서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참기름의 함량에 대한 검색결과는 6.78 ppm 피크에서의 상관관계인 y= 0.259x + 1.124 의 조건에서 상기 시료의 6.78 ppm 피크에서의 강도 데이터를 상기 상관관계의 y에 적용한 결과를 x 중량%로 나타내는 것인, 참기름의 감식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4-1)에서 적용하는 상기 참기름의 마커는, 상기 기준물질로 메틸수소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테트라 메틸실란을 사용하고, 기준물질의 메틸수소에 대한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 δ)을 0 ppm으로 나타내었을 때에, 5.94 ppm 피크에서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참기름의 함량에 대한 검색결과는 5.94 ppm 피크에서의 상관관계인 y= 0.352x + 6.251 의 조건에서 상기 시료의 5.94 ppm 피크에서의 강도 데이터를 상기 상관관계의 y에 적용한 결과를 x 중량%로 나타내는 것인, 참기름의 감식 방법.
KR1020130044424A 2013-04-22 2013-04-22 핵자기 공명 분광 기술을 이용한 참기름의 감식 방법 KR101432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424A KR101432543B1 (ko) 2013-04-22 2013-04-22 핵자기 공명 분광 기술을 이용한 참기름의 감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424A KR101432543B1 (ko) 2013-04-22 2013-04-22 핵자기 공명 분광 기술을 이용한 참기름의 감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2543B1 true KR101432543B1 (ko) 2014-08-25

Family

ID=51750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424A KR101432543B1 (ko) 2013-04-22 2013-04-22 핵자기 공명 분광 기술을 이용한 참기름의 감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54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8518A (zh) * 2014-09-24 2014-12-10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芝麻香油真伪鉴别和含量测定的方法
KR101694267B1 (ko) * 2015-10-16 2017-01-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핵자기공명 분광법을 이용한 스테로이드의 감식 및 정량방법
CN106546620A (zh) * 2016-11-04 2017-03-29 上海海洋大学 一种无损定量检测中华绒螯蟹中蟹油含量的方法
KR20180131275A (ko) 2017-05-31 2018-12-10 한국식품연구원 참기름 감식 방법 및 감식 장치
KR101933611B1 (ko) * 2017-06-19 2019-04-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살균제 및 소독제의 동시 검출방법
KR20190097651A (ko) * 2018-02-13 2019-08-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이온전지 전해액의 정량분석방법
CN111879806A (zh) * 2020-07-23 2020-11-03 中蓝晨光成都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核磁共振氢谱鉴别掺烷烃增塑剂有机硅产品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5010A (ja) 1999-02-17 2000-08-29 Mitsubishi Heavy Ind Ltd 核磁気共鳴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体成分検査装置
KR20100133717A (ko) * 2009-06-12 2010-12-2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Hsqc nmr을 이용한 대사물질 정량 분석 방법
KR101038179B1 (ko) 2009-12-29 2011-05-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참깨의 원산지 판별이 가능한 참기름 제조 시스템
KR101166784B1 (ko) 2009-07-15 2012-08-01 대한민국 참기름 진위 판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5010A (ja) 1999-02-17 2000-08-29 Mitsubishi Heavy Ind Ltd 核磁気共鳴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体成分検査装置
KR20100133717A (ko) * 2009-06-12 2010-12-2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Hsqc nmr을 이용한 대사물질 정량 분석 방법
KR101166784B1 (ko) 2009-07-15 2012-08-01 대한민국 참기름 진위 판별 장치
KR101038179B1 (ko) 2009-12-29 2011-05-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참깨의 원산지 판별이 가능한 참기름 제조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8518A (zh) * 2014-09-24 2014-12-10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芝麻香油真伪鉴别和含量测定的方法
KR101694267B1 (ko) * 2015-10-16 2017-01-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핵자기공명 분광법을 이용한 스테로이드의 감식 및 정량방법
CN106546620A (zh) * 2016-11-04 2017-03-29 上海海洋大学 一种无损定量检测中华绒螯蟹中蟹油含量的方法
KR20180131275A (ko) 2017-05-31 2018-12-10 한국식품연구원 참기름 감식 방법 및 감식 장치
KR101933611B1 (ko) * 2017-06-19 2019-04-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살균제 및 소독제의 동시 검출방법
KR20190097651A (ko) * 2018-02-13 2019-08-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이온전지 전해액의 정량분석방법
KR102362162B1 (ko) * 2018-02-13 2022-02-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이온전지 전해액의 정량분석방법
CN111879806A (zh) * 2020-07-23 2020-11-03 中蓝晨光成都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核磁共振氢谱鉴别掺烷烃增塑剂有机硅产品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543B1 (ko) 핵자기 공명 분광 기술을 이용한 참기름의 감식 방법
JP6942110B2 (ja) 近赤外分光計に基づく食用油の多元混入同定方法
Šmejkalová et al. High-power gradient diffusion NMR spectroscopy for the rapid assessment of extra-virgin olive oil adulteration
Popescu et al. Discrimination of vegetable oils using NMR spectroscopy and chemometrics
Guillén et al. Edible oils: discrimination by 1H nuclear magnetic resonance
CN101975788B (zh) 低场核磁共振鉴别食用油品质的方法
Cai et al. An expert system based on 1H NMR spectroscopy for quality evaluation and adulteration identification of edible oils
Almoselhy et al. 1H NMR spectral analysis as a new aspect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some edible oils
Casale et al. Characterisation of table olive cultivar by NIR spectroscopy
US20180052144A1 (en) Method And Technique For Verification Of Olive Oil Composition
Mannina et al. Olive oil as seen by NMR and chemometrics
Dais et al. 31P NMR spectroscopy in the quality control and authentication of extra‐virgin olive oil: A review of recent progress
McDowell et al. Low vs high field 1h Nmr spectroscopy for the detection of adulteration of cold pressed rapeseed oil with refined oils
Del Coco et al. Protected Designation of Origin extra virgin olive oils assessment by nuclear magnetic resonance and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Terra di Bari”, an Apulian (Southeast Italy) case study
Del Coco et al. NMR-metabolomic study on monocultivar and blend salento EVOOs including some from secular olive trees
Özdemir et al. Characterisation of the Turkish and Slovenian extra virgin olive oils by chemometric analysis of the presaturation 1H NMR spectra
CN102288565B (zh) 一种快速检测芝麻油掺伪的方法
CN104237370B (zh) 一种添加芝麻油香精的假冒芝麻油快速鉴别方法
Alonso-Salces et al. Stepwise strategy based on 1H-NMR fingerprinting in combination with chemometrics to determine the content of vegetable oils in olive oil mixtures
Hanganu et al. When detection of dairy food fraud fails: An alternative approach through prot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Monakhova et al. Identification of imitation cheese and imitation ice cream based on vegetable fat using NMR spectroscopy and chemometrics
Firdausi et al. Mapping various cooking oil using fluorescence polarization
Bao et al. A comparative evaluation of low-field and high-field NMR untargeted analysis: Authentication of virgin coconut oil adulterated with refined coconut oil as a case study
El Mouftari et al. Study of oleaster oil’s falsification by ATR-FTIR and chemometrics tools
Aurum et al. Coffee origin determination based on analytical and nondestructive approaches–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