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988B1 - 비상 대피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비상 대피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988B1
KR101431988B1 KR1020130116563A KR20130116563A KR101431988B1 KR 101431988 B1 KR101431988 B1 KR 101431988B1 KR 1020130116563 A KR1020130116563 A KR 1020130116563A KR 20130116563 A KR20130116563 A KR 20130116563A KR 101431988 B1 KR101431988 B1 KR 101431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oule
filter
mask
housing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6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2760A (ko
Inventor
고영준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40042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3Means for influenc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breath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용 마스크는, 사용자의 얼굴 전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호흡기에 대응하는 곳에 위치하고,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필터부와, 일정량의 물을 수용하는 앰플과, 상기 앰플을 수용하고 상기 필터부의 전면에 결합되는 앰플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앰플을 가압시 앰플하우징에 형성된 돌기가 앰플을 뚫어 앰플에 수용된 물이 필터부에 흡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상 대피용 마스크{GAS MASK FOR EMERGENCY}
본 발명은 비상 대피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철 등의 밀폐된 공간에서 화재 등이 발생하여 화재로 인해 발생한 유독 가스로부터 사람들을 신속하게 보호하여 안전하게 밀폐된 공간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돕는 비상 대피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공공장소, 특히 지하철 역 안에서 화재발생 직후 사람이 숨쉬기 위한 마스크와 보관함의 이용과 접근이 어렵다. 현재 지하철 역 안에 배치되어 있는 마스크와 보관함을 살펴보면 이용단계가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착용 후 신속히 대피하는 상황에 적절하지 않다. 화재상황 직후 발생 근원으로부터 연기가 확산되기 때문에 사람들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시간동안 탈출을 시도해야한다. 연기의 농도가 한순간에 짙어지는 것이 아니라 시간에 따라 차츰 진해지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시야확보가 불가능해 지기 전까지 사람들은 호흡을 확보하고 적절한 행동을 취해야 한다. 이 때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피난자가 화재로 인한 유독 가스에 노출되어 질식사 하거나, 질식으로 인한 위험에 노출되게 된다. 종래 지하철 역내에서 발생한 피해자의 대부분은 이러한 유독 가스 질식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다.
지하철 역내에는 화재시 피난자가 사용할 수 있는 방연 마스크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역내에 비치되어 있는 방연 마스크의 경우에는 유독 가스로부터 피난자를 보호하는 기능은 갖추고 있으나, 그 사용방법이 복잡하고 피난자에게 신속하게 분배하기 힘든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방연마스크의 구입비용이 비싸고 부피가 커 방연마스크를 역내에 비치하기 위해서는 많은 공간과 비용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역내 화재가 발생한 경우 피난자가 유독 가스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면서 역내를 탈출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위급 시 손수건 등의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에 물을 적셔 호흡기를 가리는 것만으로도 충부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므로, 피난자에게 신속하게 분배될 수 있고, 많은 피난자에게 공급될 수 있는 방연 마스크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마스크의 전면에 물을 수용하고 있는 앰플이 구비되고, 앰플을 터트려 필터에 수분을 공급하여 유독 가스로부터 피난자의 호흡기를 보호함과 동시에 다수의 피난자에게 신속하게 분배될 수 있는 비상 대피용 마스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용 마스크는, 사용자의 얼굴 전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호흡기에 대응하는 곳에 위치하고,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필터부와, 일정량의 물을 수용하는 앰플과, 상기 앰플을 수용하고 상기 필터부의 전면에 결합되는 앰플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앰플을 가압시 앰플하우징에 형성된 돌기가 앰플을 뚫어 앰플에 수용된 물이 필터부에 흡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필터부는 불순물의 유입을 막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방필터부와 후방필터부 및 상기 전방필터부와 후방필터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앰플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흡수하도록 흡습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중앙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앰플하우징은, 앰플을 수용하고 필터부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방하우징부와, 필터부의 후면에 결합되어 전방하우징부와 앰플을 필터부에 고정시키는 후방하우징부로 구성되되,
전방하우징부에는 앰플을 수용하는 앰플수용부가 형성되고, 앰플수용부의 전면에는 앰플을 가압시 앰플을 뚫을 수 있도록 끝이 뾰족한 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용 마스크는 앰플을 가압하여 터트려 앰플 내부에 수용된 물이 필터부에 흡수되도록 한 다음 코와 입을 가리도록 얼굴의 전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데, 그 사용방법이 매우 간단하여 위급한 상황에서 다수의 피난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용 마스크는 그 부피가 작고 제작 단가가 낮아 다수의 피난자가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수량을 충분히 확보하는데, 비용적인 측면과 공간적인 측면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용 마스크의 일실시예에 대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용 마스크의 일실시예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용 마스크의 몸체부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용 마스크의 전방하우징부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용 마스크의 후방하우징부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용 마스크의 앰플을 나타내는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용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말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용 마스크(1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용 마스크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용 마스크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용 마스크는, 사용자의 얼굴 전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호흡기에 대응하는 곳에 위치하고,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필터부(200)와, 일정량의 물을 수용하는 앰플(300)과, 상기 앰플(300)을 수용하고 상기 필터부(200)의 전면에 결합되는 앰플하우징(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앰플(300)을 가압시 앰플하우징(400)에 형성된 돌기가 앰플(300)을 뚫어 앰플(300)에 수용된 물이 필터부(200)에 흡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100)에 관한 도면이다.
몸체부(100)는 필터부(200)가 위치하는 중앙부에 사람의 호흡기를 충분히 감쌀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가지도록 홀(101)이 형성된다. 필터부(200)는 몸체부(100)의 중앙부에 고정결합되는데, 두 겹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00)의 사이에 필터부(200)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몸체부(100)의 재질은 부드럽고 유연한 합성수지재가 채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00)는 사람의 호흡기 주변의 얼굴 곡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구부러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이며, 인체에 무해한 재질 중에서 채택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EVA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소재를 채택한다. EVA 소재는, polyethylene과 poly vinylacetate의 공중합으로 만든 고분자 화합물에 대한 통칭으로 비교적 환경친화적인 고분자 물질로 평가되는 물질로, 열 가소성이고 가방뿐 아니라 신발창, 포장재 등에도 널리 쓰이고 있는 소재이다.
이 때, 몸체부(100)의 소재 두께에 제한은 없으나, 2mm 내외인 것이 견고성와 유연성을 동시에 충족하는 바람직한 두께이다.
몸체부(100) 후면, 즉 사람의 얼굴과 접촉하는 면에는 마스크가 얼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접착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접착물질은 단시간 사용 시 인체에 무해한 물질 중에서 채택할 수 있다. 접착물질이 도포된 몸체부(100)의 후면에는 착탈이 가능한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마스크를 보관시에는 필름이 부착된 상태로 보관되며, 사용시 필름을 탈락시킨 상태에서 얼굴에 마스크를 부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200)는 전방필터부(210), 후방필터부(220) 및 중앙필터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방필터부(210)와 후방필터부(220)는 통기성이 뛰어나고 강도가 뛰어나며 내열성이 우수한 PP(Polypropylene) 소재의 부직포를 사용한다. 폴리프로필렌 소재는 PE와 더불어 석유화학제품을 대표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인장강도와 충격강도, 표면강도가 우수하고, 내열·내약품성이 좋아 포대용백, 필름, 섬유, 자동차와 전기·전자부품, 콘테이너, 일용품 등의 원료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부직포는 여러 분야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로 사용되고 있다.
전방필터부(210)와 후방필터부(220)는 자체적으로 필터의 역할을 하면서, 중앙필터부(23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앰플하우징(400)을 지지하는 지지체로서의 역할도 있다.
중앙필터부(230)는 앰플(300)을 가압하여 터뜨리면, 앰플(300)에서 새어 나오는 물을 흡수한다. 화재로 인해 매연이 발생하면, 젖은 손수건 등으로 호흡기를 감싸는 것으로도 일정시간 유해물질로부터 방어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유해가스는 수용성을 띠거나, 물에 젖은 필터를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앰플(300)을 터뜨려 중앙필터부(230)에 물을 적시면 유해가스에 대한 필터링 효과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중앙필터부(230)는 물을 잘 흡수하는 흡습성 또는 흡수성 소재로 제작된다. 흡수성이 뛰어난 면 등의 천연섬유을 사용할 수도 있고, 합성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흡수성이 뛰어난 합성섬유 소재인 나이렉스(또는 라이렉스(lylex) 소재를 채택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전방필터부(210)와 후방필터부(220)의 사이에는 멜트브라운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멜트브라운필터는 극세사를 이용한 필터로 입자가 큰 이물질 뿐만 아니라 미세입자 차단력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200)는 몸체부(100)에 평면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나, 코와 입이 위치하는 중앙부에서 일정거리 위치한 곳에 한 쌍의 접이부(201)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필터부(200)를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에 있는 부분을 접어, 마스크를 착용했을때 자연스럽게 입체적 형상을 가지도록 유도하여 코와 입이 위치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앰플(300)을 나타낸 도이다. 앰플(300)의 내부에는 일정량의 물이 수용되어 있다. 통상 앰플은 액체 등이 수용된 밀폐된 유리 용기를 의미하는 경우가 있으나, 여기서 앰플의 용어를 정의함에 있어 밀폐용기의 재질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합성수지재를 채택한다. 도 6에 도시된 앰플(300)의 제작에 사용된 소재는 우레탄 시트로 앰플(300)의 앞면과 뒷면을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제작할 수 있다.
앰플(300)의 내부에는 물이 수용되고 가장자리는 물이 새지 않도록 밀봉된다. 앰플(300)에는 고정날개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날개부(310)는 앰플(300)의 상하좌우에 바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제작되며, 관통홀(311)이 형성된다. 고정날개부(310)의 관통홀(311)에 고정테(430)의 고정돌기(431)가 관통하여 전방하우징(410)에 앰플(300)이 고정된다.
앰플(300)의 내부에는 일정 용량의 물이 수용되는데, 수용되는 물의 양은 50ml 내외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테스트 결과, 앰플(300)의 크기와 두께를 고려하여 부피를 크게 차지하지 않으면서, 중앙필터부(230)를 충분히 적실 수 있는 양으로 판단된다.
도 4는 전방하우징(410)에 관한 도면이며, 도 5는 후방하우징(420)에 관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방하우징(410)은 중앙부에 앰플(300)을 수용할 수 있는 앰플수용부(411)가 형성된다. 앰플수용부(411)의 바닥부에는 앰플(300)을 가압시 앰플(300)을 뚫어 구멍을 낼 수 있는 돌기(412)가 형성된다. 돌기는 앰플(300)을 가압시 앰플(300)의 여러 부분에 동시에 구멍을 낼 수 있도록 다수개가 형성되며, 형성되는 위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앰플수용부(411)의 바닥부에는 통수홀(413)이 다수개 형성되어, 앰플(300)에 구멍이 뚫려 물이 흘러 나오는 경우 중앙필터부(230)에 물이 흡수 될 수 있도록 한다.
전방하우징(410)에는 앰플수용부(411)에 앰플(300)을 고정시키는 고정테(430)가 결합될 수 있다. 앰플수용부(411)에 앰플(300)을 넣은 상태에서 고정테(430)의 고정돌기(431)가 앰플(300)의 고정날개부(310)를 관통하여 전방하우징(410)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면 앰플(300)이 전방하우징(410)의 앰플수용부(411)에 고정된다. 고정테(430)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고정테(430)를 채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정날개부(310)를 전방하우징(410)과 후방하우징(420)의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후방하우징(420)에 형성된 결합돌기(421)가 고정날개부(310)의 관통홀(311)을 통과하여 전방하우징(410)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면 앰플(300)이 고정된다.
전방하우징(410)은 필터부(200)의 전면에 설치되며 후방하우징(420)과 함께 필터부(200)에 고정된다. 후방하우징(420)은 필터부(200)의 후면에 위치하고, 전방하우징(410)의 방향으로 결합돌기(411)가 형성되어 필터부(200)를 관통하여 전방하우징(410)의 후면에 결합된다. 전방하우징(410)과 후방하우징(420)이 결합되면 필터부(200)에 고정된다.
앰플하우징(400)은 사람이 착용시 자연스러운 착용감을 가지도록 하우징 전체를 전방으로 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용 마스크는 지하철역 등의 화재 발생 위험이 있는 공간 내부에 수납함에 보관된다. 화재 등의 비상시 수납함을 개방하여 마스크를 제공한다. 마스크는 사용설명이 기재된 패키지에 수용되어 있으며, 패키지를 뜯어 사용설명에 따라 앰플(300)을 가압하면 물이 흘러나와 필터부(200)를 적신다. 몸체부(100)에 부착된 필름을 제거하고 호흡기를 가리도록 마스크를 얼굴에 부착한 다음 외부로 탈출하면 된다.
10 : 비상 대피용 마스크
100 : 몸체부
200 : 필터부
210 : 전방필터부
220 : 후방필터부
230 : 중앙필터부
300 : 앰플
400 : 앰플하우징
410 : 전방하우징
420 : 후방하우징
430 : 고정테

Claims (3)

  1. 유독 가스로부터 피난자의 호흡기를 보호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사용자의 얼굴 전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호흡기에 대응하는 곳에 위치하고,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필터부와,
    일정량의 물을 수용하는 앰플과,
    상기 앰플을 수용하고 상기 필터부의 전면에 결합되는 앰플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앰플을 가압시 앰플하우징에 형성된 돌기가 앰플을 뚫어 앰플에 수용된 물이 필터부에 흡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대피용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불순물의 유입을 막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방필터부와 후방필터부 및 상기 전방필터부와 후방필터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앰플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흡수하도록 흡습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중앙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대피용 마스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하우징은, 앰플을 수용하고 필터부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방하우징부와, 필터부의 후면에 결합되어 전방하우징부와 앰플을 필터부에 고정시키는 후방하우징부로 구성되되,
    전방하우징부에는 앰플을 수용하는 앰플수용부가 형성되고, 앰플수용부의 전면에는 앰플을 가압시 앰플을 뚫을 수 있도록 끝이 뾰족한 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대피용 마스크.
KR1020130116563A 2012-09-28 2013-09-30 비상 대피용 마스크 KR101431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8458 2012-09-28
KR1020120108458 2012-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760A KR20140042760A (ko) 2014-04-07
KR101431988B1 true KR101431988B1 (ko) 2014-08-20

Family

ID=50651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563A KR101431988B1 (ko) 2012-09-28 2013-09-30 비상 대피용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9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860B1 (ko) * 2019-04-17 2019-07-04 (주)아이엘케이 접착식 원터치 습식 화재대피 마스크
KR20190080731A (ko) * 2017-12-28 2019-07-08 와이지에프 주식회사 골든타임 마스크 어셈블리
KR102094097B1 (ko) * 2019-02-01 2020-03-27 정권 오존 및 미세먼지가 제거되는 에어 클린 마스크
KR20210034377A (ko) * 2019-09-20 2021-03-30 김회철 화재 방연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879Y1 (ko) * 2015-06-01 2017-11-02 우제정 호흡이 편한 위생 마스크
KR102040139B1 (ko) * 2017-06-30 2019-11-06 이창선 습기배출밸브 포함 소리 마스크
KR101956253B1 (ko) * 2017-09-04 2019-03-12 이문준 습식용 마스크
KR102005077B1 (ko) * 2018-04-30 2019-07-29 (주)피노스토리 비상용 방독키트
EP3919140A1 (en) * 2019-01-30 2021-12-08 Pinostory Co., Ltd. Emergency escape kit
KR102087168B1 (ko) * 2019-05-07 2020-04-24 (주)피노스토리 비상용 방독키트
JP2022546450A (ja) * 2019-08-27 2022-11-04 ピノストーリ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多層濾過システム及びこれを含むフィルターユニット
KR102130647B1 (ko) * 2019-12-18 2020-07-07 김형준 다목적 응급 두건
KR102407810B1 (ko) * 2019-12-30 2022-06-10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대피 마스크
KR102347331B1 (ko) * 2021-07-07 2022-01-10 주식회사 은탑 화재 대피용 워터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5687A (ja) 2002-03-07 2003-11-18 Koofuku:Kk ぬれマスク
JP2005279226A (ja) 2004-03-30 2005-10-13 Yamamoto Masuo アルコール滅菌袋型ガーゼマスク
JP2007000378A (ja) 2005-06-23 2007-01-11 Kao Corp マス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5687A (ja) 2002-03-07 2003-11-18 Koofuku:Kk ぬれマスク
JP2005279226A (ja) 2004-03-30 2005-10-13 Yamamoto Masuo アルコール滅菌袋型ガーゼマスク
JP2007000378A (ja) 2005-06-23 2007-01-11 Kao Corp マスク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731A (ko) * 2017-12-28 2019-07-08 와이지에프 주식회사 골든타임 마스크 어셈블리
KR102136728B1 (ko) * 2017-12-28 2020-08-13 와이지에프 주식회사 골든타임 마스크 어셈블리
KR102094097B1 (ko) * 2019-02-01 2020-03-27 정권 오존 및 미세먼지가 제거되는 에어 클린 마스크
KR101995860B1 (ko) * 2019-04-17 2019-07-04 (주)아이엘케이 접착식 원터치 습식 화재대피 마스크
KR20210034377A (ko) * 2019-09-20 2021-03-30 김회철 화재 방연 마스크
KR102288583B1 (ko) 2019-09-20 2021-08-10 김회철 화재 방연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760A (ko) 201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988B1 (ko) 비상 대피용 마스크
CA2476426C (en) Smoke escape mask
BE1002341A5 (nl) Beschermende kleding.
KR101995860B1 (ko) 접착식 원터치 습식 화재대피 마스크
JP2011125596A (ja) マスク用フィルタ、マスク用フィルタ包装体及びフィルタ付きマスクの使用方法
KR102193221B1 (ko) 대피용 방연마스크
KR20200052599A (ko) 화재 대피용 방연 마스크
KR200482172Y1 (ko) 방호재패키지
FR2853497A1 (fr) Masque actif de protection contre la transmission d'elements pathogenes aux voies aeriennes respiratoires de l'utilisateur et provenant de celles-ci
KR20040049301A (ko) 긴급대피용 간이마스크의 제조
JP3162278U (ja) 包装袋
JP2706052B2 (ja) 芳香治療鼻マスク
KR102202805B1 (ko) 화재 대피용 습식 마스크 겸용 손수건 킷트
KR20170107353A (ko) 방호재 패키지
KR200328035Y1 (ko) 포켓용 방연 안면보호대
KR200486540Y1 (ko) 방호재 패키지
JP2001178836A (ja) 防煙マスク
BR102015030779B1 (pt) Máscara umedecida para proteção facial
JP2583769Y2 (ja) 眼の加湿構造
CN108430590A (zh) 用于防尘面罩的除湿器
KR102130647B1 (ko) 다목적 응급 두건
KR200389348Y1 (ko) 비상용 호흡기
RU2738184C1 (ru) Защитная маска с угольным фильтром
CN215873556U (zh) 防烟(毒)口罩
CN208031682U (zh) 一种消防急救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