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810B1 - 화재 대피 마스크 - Google Patents

화재 대피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810B1
KR102407810B1 KR1020190177303A KR20190177303A KR102407810B1 KR 102407810 B1 KR102407810 B1 KR 102407810B1 KR 1020190177303 A KR1020190177303 A KR 1020190177303A KR 20190177303 A KR20190177303 A KR 20190177303A KR 102407810 B1 KR102407810 B1 KR 102407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
absorbent member
mask
liquid
liqui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4850A (ko
Inventor
남기훈
Original Assignee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7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810B1/ko
Publication of KR20210084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41D13/1169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using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9/00Cartridges with absorbing substances for respiratory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3Means for influenc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breathing g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대피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가 접철된 상태에서 내부 수용공간에 액체 저장팩을 배치하고, 피부 접착면에 접착부재를 장착함으로써, 고정끈을 이용하여 마스크를 착용할 필요가 없이 단순히 접착 방식으로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어 화재 대피 상황에서 신속하게 착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착용 방식이 간편하여 어린 아이들도 쉽게 착용할 수 있으며, 특히, 마스크를 부착하기 이전 인출 제거 필름을 인출 제거하는 과정에서 액체가 배출되어 마스크의 흡수 부재에 흡수되므로, 별도의 젖은 수건 등을 준비하지 않더라도 액체에 젖은 흡수 부재가 안면 부위를 차단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유독 가스 등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안전성이 더욱 강화된 화재 대피 마스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재 대피 마스크{GAS MASK FOR USING IN ESCAPING FROM FIRE}
본 발명은 화재 대피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가 접철된 상태에서 내부 수용공간에 액체 저장팩을 배치하고, 피부 접착면에 접착부재를 장착함으로써, 고정끈을 이용하여 마스크를 착용할 필요가 없이 단순히 접착 방식으로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어 화재 대피 상황에서 신속하게 착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착용 방식이 간편하여 어린 아이들도 쉽게 착용할 수 있으며, 특히, 마스크를 부착하기 이전 인출 제거 필름을 인출 제거하는 과정에서 액체가 배출되어 마스크의 흡수 부재에 흡수되므로, 별도의 젖은 수건 등을 준비하지 않더라도 액체에 젖은 흡수 부재가 안면 부위를 차단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유독 가스 등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안전성이 더욱 강화된 화재 대피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사회는 산업 발달로 인한 도시화에 따라 지하와 지상에 부족한 주거공간과 업무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대형화된 건축구조물 등을 건축하고 이에 거주자들을 원활하게 수송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통시설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도심에는 고층빌딩과 아파트 등이 건설되어 하루에도 많은 유동인구와 거주자들이 생활하고, 지하에는 수많은 유동인구를 수송할 수 있도록 지하철이 건설되어 운행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지하나 지상에 있는 건축구조물이나 지하철 등은 많은 거주자와 유동인구가 협소한 공간에서 매우 복잡한 구조물과 교통시설에 수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므로 그 활용과 안전에 각별한 주의와 관리가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런데 지하 또는 지상의 건축구조물 내부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건축자재에서 발생하는 메케한 유독가스로 인해 시야확보가 쉽지 않음은 물론 지하나 지상에 건축된 건축구조물 자체가 깊고 높게 건축되어 비상구를 통하여 대피하기 쉽지 않고, 유독가스가 실내에 순식간에 가득 채워지면 대피자들은 호흡 곤란을 느껴 신속하게 대피하지 못하여 질식사한다. 최근 통계에 의하면 화재발생시 가장 큰 인명손실 중 90%이상이 질식사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
따라서, 이러한 화재 발생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는 것이 코와 입을 차단할 수 있는 마스크이다.
일반적인 마스크는 귀걸이 끈 또는 머리 등에 고정하는 고정 끈이 구비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끈의 길이를 조절하여 마스크가 안면 부위에 밀착되도록 착용해야 했다.
하지만, 화재 대피 중인 사용자가 일일이 끈 길이를 조절하여 마스크를 착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마스크의 착용 중에 양손이 자유롭지 못하여 화재 대피 중 발생 가능한 각종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게다가, 대부분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경우 쉽게 포장 보관이 가능한 건식 마스크 형태로 제공되어 있었기에, 화재 중 발생되는 분진, 먼지, 유독 가스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특히, 일반적인 마스크는 어린이들이 착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화재 발생시 선생님들이 어린이들을 일일이 착용시켜 주어야 하며, 이에 따라 화재 대피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569139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크가 접철된 상태에서 내부 수용공간에 액체 저장팩을 배치하고, 피부 접착면에 접착부재를 장착함으로써, 고정끈을 이용하여 마스크를 착용할 필요가 없이 단순히 접착 방식으로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어 화재 대피 상황에서 신속하게 착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착용 방식이 간편하여 어린 아이들도 쉽게 착용할 수 있으며, 특히, 마스크를 부착하기 이전 인출 제거 필름을 인출 제거하는 과정에서 액체가 배출되어 마스크의 흡수 부재에 흡수되므로, 별도의 젖은 수건 등을 준비하지 않더라도 액체에 젖은 흡수 부재가 안면 부위를 차단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유독 가스 등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안전성이 더욱 강화된 화재 대피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출 제거 필름의 인출 동작만으로 액체 저장팩이 용이하게 밀봉 해제됨과 동시에 액체 저장팩으로부터 배출되는 액체가 흡수 부재에 모두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액체의 외부 유출이 발생하지 않아 액체 흡수량이 증가하여 유독 가스 차단 기능이 향상되며, 인출 제거 필름의 인출 동작만으로 액체가 배출되므로,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는 화재 대피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체의 입과 코를 포함하는 안면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내측에 오목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액체를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흡수 부재; 상기 흡수 부재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외부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 부재; 상기 흡수 부재의 내측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안면 부위에 접착될 수 있는 접착 부재; 상기 접착 부재의 접착면에 부착되며 사용자에 의해 인출 제거되는 인출 제거 필름; 및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수 부재의 수용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인출 제거 필름의 인출 동작에 따라 밀봉 해제되어 액체가 외부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액체 저장팩을 포함하고, 상기 흡수 부재, 필터 부재, 접착 부재 및 인출 제거 필름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 공간이 외부 차단되도록 중심부를 기준으로 접철된 형태로 제작되며,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인출 제거 필름이 인출됨에 따라 상기 액체 저장팩의 액체가 배출되어 상기 흡수 부재에 흡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 마스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접착 부재 및 인출 제거 필름은 상기 흡수 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출 제거 필름은 상기 흡수 부재와 함께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흡수 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인출 손잡이부가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 대피 마스크는, 상기 인출 제거 필름의 인출 동작에 따라 상기 액체 저장팩이 밀봉 해제되어 액체가 외부 배출되도록 상기 인출 제거 필름과 상기 액체 저장팩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연결 부재의 일단은 상기 인출 제거 필름의 인출 손잡이부 또는 인출 손잡이부와 인접한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부재는, 상기 흡수 부재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정전기를 통해 이물질을 흡착하는 정전기 부직포; 상기 정전기 부직포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미세 입자를 필터링하는 분진 필터; 상기 분진 필터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활성탄 성분이 함유되는 활성탄 부직포; 및 상기 활성탄 부직포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순수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크가 접철된 상태에서 내부 수용공간에 액체 저장팩을 배치하고, 피부 접착면에 접착부재를 장착함으로써, 고정끈을 이용하여 마스크를 착용할 필요가 없이 단순히 접착 방식으로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어 화재 대피 상황에서 신속하게 착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착용 방식이 간편하여 어린 아이들도 쉽게 착용할 수 있으며, 특히, 마스크를 부착하기 이전 인출 제거 필름을 인출 제거하는 과정에서 액체가 배출되어 마스크의 흡수 부재에 흡수되므로, 별도의 젖은 수건 등을 준비하지 않더라도 액체에 젖은 흡수 부재가 안면 부위를 차단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유독 가스 등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안전성이 더욱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출 제거 필름의 인출 동작만으로 액체 저장팩이 용이하게 밀봉 해제됨과 동시에 액체 저장팩으로부터 배출되는 액체가 흡수 부재에 모두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액체의 외부 유출이 발생하지 않아 액체 흡수량이 증가하여 유독 가스 차단 기능이 향상되며, 인출 제거 필름의 인출 동작만으로 액체가 배출되므로,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 마스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 마스크의 착용 전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 마스크의 액체 저장팩 밀봉 해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 마스크를 안면 부위에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 마스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 마스크의 착용 전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 마스크의 액체 저장팩 밀봉 해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 마스크를 안면 부위에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 마스크는 화재 대피시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고 물과 같은 액체가 흡수된 상태로 착용할 수 있어 유독 가스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 흡수 부재(100)와, 필터 부재(200)와, 접착 부재(300)와, 인출 제거 필름(400)과, 액체 저장팩(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흡수 부재(100)는 인체의 입과 코를 포함하는 안면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내측에 오목한 수용 공간(110)이 형성되며 액체를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흡수 부재(100)는 액체 흡수력이 뛰어난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데, 예를 들면, 모카 솜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 부재(200)는 흡수 부재(100)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외부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형성되는데, 다수개의 필터층이 적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수 부재(100)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정전기를 통해 이물질을 흡착하는 정전기 부직포(210)와, 정전기 부직포(210)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미세 입자를 필터링하는 분진 필터(220)와, 분진 필터(220)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활성탄 성분이 함유되는 활성탄 부직포(230)와, 활성탄 부직포(230)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순수 부직포(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전기 부직포(210)는 정전기를 통해 이물질을 흡착하므로, 이물질 흡착력이 강화되고, 분진 필터(22)는 미세먼지 입자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KF94필터가 적용될 수 있다. 활성탄 부직포(230)는 활성탄 성분의 함유로 인해 탈취 효과가 있어 화재 발생시 냄새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접착 부재(300)는 흡수 부재(100)가 안면 부위에 접착되도록 흡수 부재(100)의 내측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배치되며, 양면 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일면이 흡수 부재(100)에 접착되고 타면이 외부 노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접착 부재(300)의 노출된 타면에는 인출 제거 필름(400)이 부착된다.
인출 제거 필름(400)은 접착 부재(300)의 피부 접착면에 부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인출 제거되도록 형성된다.
액체 저장팩(500)은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도록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어 흡수 부재(100)의 수용 공간(110)에 배치되며, 인출 제거 필름(400)의 인출 동작에 따라 밀봉 해제되어 액체가 외부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액체 저장팩(500)에 저장되는 액체는 단순히 물일 수도 있고, 화재 대피 상황에서 마음을 안정시킬 수 있는 안정 물질 등 하나 이상의 기능성 물질이 포함된 용액일 수 있다.
이때, 흡수 부재(100), 필터 부재(200), 접착 부재(300) 및 인출 제거 필름(400)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 공간(110)이 외부 차단되도록 중심부를 기준으로 접철된 형태로 제작되며, 접철된 상태에서 인출 제거 필름(400)이 인출됨에 따라 액체 저장팩(500)의 액체가 배출되어 흡수 부재(100)에 흡수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 마스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으로 접철된 형태로 제작 유통되며, 접철 상태가 유지되도록 외측면을 감쌀 수 있는 별도의 고정 밴드(미도시) 등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접철 상태에서 내부 수용 공간(110)은 외부 차단된 상태로 유지되며, 외부 차단된 수용 공간(110)에는 액체 저장팩(500)이 존재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출 제거 필름(400)을 인출 제거하기 위해 인출 제거 필름(400)을 잡아당기면, 이에 연동하여 액체 저장팩(500)이 밀봉 해제되어 액체(S)가 외부 배출된다. 외부 배출되는 액체(S)는 수용 공간(11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흡수 부재(100)에 모두 흡수된다. 즉, 액체 저장팩(500)이 외부 차단된 수용 공간에 위치하므로, 액체 저장팩(500)이 밀봉 해제되어 액체(S)가 배출되면, 배출되는 액체(S)는 외부 유출 없이 흡수 부재(100)에 모두 흡수된다.
액체 저장팩(500)의 액체(S)가 흡수 부재(100)에 흡수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를 펼치고, 인출 제거 필름(400)을 모두 제거한 이후, 접착 부재(300)를 통해 마스크를 안면 부위에 접착 방식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고정끈을 귀에 걸어 마스크를 착용하는 구조가 아니라 단순히 접착 방식으로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어 화재 대피 상황에서 신속하게 착용이 가능하고, 착용 방식이 간편하여 어린 아이들도 쉽게 착용할 수 있으며, 특히, 마스크를 부착하기 이전 인출 제거 필름(400)을 인출 제거하는 과정에서 액체가 배출되어 흡수 부재(100)에 흡수되므로, 별도의 젖은 수건등을 준비하지 않더라도 액체(S)가 흡수된 흡수 부재(100)가 안면 부위를 차단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유독 가스 등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접착 부재(300)는 안면 부위에 대한 접착 용이성 및 접착력 강화를 위해 흡수 부재(10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인출 제거 필름(400) 또한 접착 부재(300)의 형상에 대응하여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인출 제거 필름(400)은 흡수 부재(100)와 함께 반으로 접철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인출 동작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흡수 부재(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인출 손잡이부(410)가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출 제거 필름(400)의 인출 동작에 따라 액체 저장팩(500)이 밀봉 해제되어 액체가 외부 배출되도록 인출 제거 필름(400)과 액체 저장팩(500)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6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 부재(6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한 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 부재(600)의 일단이 인출 제거 필름(400)의 인출 손잡이부(410) 또는 인출 손잡이부(410)와 인접한 위치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출 제거 필름(400)을 제거하기 위해 잡아당기면, 연결 부재(600)에 의해 액체 저장팩(500)에 외력이 가해지고, 이러한 외력에 의해 액체 저장팩(500)이 일부분이 절개되며, 내부의 액체가 해당 절개 부분을 통해 외부 배출될 수 있다. 액체 저장팩(500)에는 인출 제거 필름(400)의 인출 동작에 따른 외력이 작용할 때, 용이하게 절개되도록 일측에 절개 라인(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흡수 부재
110: 수용 공간
200: 필터 부재
300: 접착 부재
400: 인출 제거 필름
410: 인출 손잡이부
500: 액체 저장팩
600: 연결 부재

Claims (4)

  1. 인체의 입과 코를 포함하는 안면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내측에 오목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액체를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흡수 부재;
    상기 흡수 부재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외부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 부재;
    상기 흡수 부재의 내측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안면 부위에 접착될 수 있는 접착 부재;
    상기 접착 부재의 접착면에 부착되며 사용자에 의해 인출 제거되는 인출 제거 필름;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수 부재의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액체 저장팩; 및
    상기 인출 제거 필름의 인출 동작에 따라 상기 액체 저장팩이 밀봉 해제되어 액체가 외부 배출되도록 상기 인출 제거 필름과 상기 액체 저장팩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 부재, 필터 부재, 접착 부재 및 인출 제거 필름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 공간이 외부 차단되도록 중심부를 기준으로 접철된 형태로 제작되며,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인출 제거 필름이 인출되면 연결된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액체 저장팩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액체 저장팩이 절개되고, 상기 액체 저장팩이 절개됨에 따라 액체가 배출되어 상기 흡수 부재에 흡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 및 인출 제거 필름은 상기 흡수 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출 제거 필름은 상기 흡수 부재와 함께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흡수 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인출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 마스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일단은 상기 인출 제거 필름의 인출 손잡이부 또는 인출 손잡이부와 인접한 위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 마스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는
    상기 흡수 부재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정전기를 통해 이물질을 흡착하는 정전기 부직포;
    상기 정전기 부직포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미세 입자를 필터링하는 분진 필터;
    상기 분진 필터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활성탄 성분이 함유되는 활성탄 부직포; 및
    상기 활성탄 부직포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순수 부직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 마스크.


KR1020190177303A 2019-12-30 2019-12-30 화재 대피 마스크 KR102407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303A KR102407810B1 (ko) 2019-12-30 2019-12-30 화재 대피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303A KR102407810B1 (ko) 2019-12-30 2019-12-30 화재 대피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850A KR20210084850A (ko) 2021-07-08
KR102407810B1 true KR102407810B1 (ko) 2022-06-10

Family

ID=76893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303A KR102407810B1 (ko) 2019-12-30 2019-12-30 화재 대피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8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150B1 (ko) 2017-12-12 2018-07-06 김영구 주름 구조를 가지는 마스크 패키지
KR101995860B1 (ko) 2019-04-17 2019-07-04 (주)아이엘케이 접착식 원터치 습식 화재대피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146U (ja) * 1991-11-18 1993-06-15 和江 松野下 非常用マスク
KR20040083183A (ko) * 2003-03-21 2004-10-01 배성순 복합필터가 내장된 휴대용 마스크
KR101431988B1 (ko) * 2012-09-28 2014-08-2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 대피용 마스크
KR101569139B1 (ko) 2014-04-08 2015-11-17 벤텍스 주식회사 접착식 방진 마스크
KR102000336B1 (ko) * 2017-07-18 2019-07-15 에스지생활안전 주식회사 긴급 대피용 마스크 패키지 및 그의 사용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150B1 (ko) 2017-12-12 2018-07-06 김영구 주름 구조를 가지는 마스크 패키지
KR101995860B1 (ko) 2019-04-17 2019-07-04 (주)아이엘케이 접착식 원터치 습식 화재대피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850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988B1 (ko) 비상 대피용 마스크
KR101876150B1 (ko) 주름 구조를 가지는 마스크 패키지
KR102193221B1 (ko) 대피용 방연마스크
US4271834A (en) Disposable portable mask for emergency use
KR101995860B1 (ko) 접착식 원터치 습식 화재대피 마스크
KR102147524B1 (ko) 화재 대피용 방연 마스크
CN102987604B (zh) 溶合润湿型火灾疏散防毒防烟口罩
KR101738639B1 (ko) 골든타임 마스크 패키지
KR102407810B1 (ko) 화재 대피 마스크
KR102407035B1 (ko) 산소 발생기능을 구비한 생명구조타올
KR20210034377A (ko) 화재 방연 마스크
JP3159849U (ja) 濡れマスク
KR101531197B1 (ko) 매연 및 가스 발생 공간에서 비상 탈출용 산소 흡입장치
KR200482172Y1 (ko) 방호재패키지
CN106422095B (zh) 一种抗过载空气缓释的化学氧应急救援呼吸装置
JP2007098004A (ja) 超小型で救急時瞬時対応の酸素マスク兼防毒ガスマスク。
KR20020000744A (ko) 긴급대피용 간이마스크의 제조
KR100888639B1 (ko) 방독 방진 지갑
CN207575576U (zh) 一种多滤层的化学实验防毒面罩
KR102031764B1 (ko) 방연 마스크세트
KR20220033392A (ko) 재난대피시 유독가스 차단 및 불연기능을 구비한 건식/습식마스크
KR102305538B1 (ko) 긴급 대피용 마스크 케이스
KR102130647B1 (ko) 다목적 응급 두건
KR20170107353A (ko) 방호재 패키지
KR20200109465A (ko) 화재 대피용 습식 마스크 겸용 손수건 킷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