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348Y1 - 비상용 호흡기 - Google Patents

비상용 호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348Y1
KR200389348Y1 KR20-2005-0007652U KR20050007652U KR200389348Y1 KR 200389348 Y1 KR200389348 Y1 KR 200389348Y1 KR 20050007652 U KR20050007652 U KR 20050007652U KR 200389348 Y1 KR200389348 Y1 KR 2003893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layer
filter
vinyl
outside
breath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철
Original Assignee
구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철 filed Critical 구본철
Priority to KR20-2005-0007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3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3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6Mouthpieces; Nose-cl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 발생 장소를 탈출하는데 필요한 일정시간 동안 유독가스를 마시지 않도록 하는 비상용 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내부 물질은 빠지지 않으면서 외부 공기는 통과할 수 있는 부직포 등의 외피 내부에 입으로 물고 호흡할 수 있는 호흡관을 설치하되 호흡관의 외측에 필터층을 설치하여 외피를 통과한 유독가스가 필터층에서 필터링된 후 호흡관을 통하여 호흡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외피의 내부에는 공간을 확보하는 스프링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외피는 비닐로 진공포장하여 부피가 줄어들게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진공포장에 의해 최소의 부피를 갖도록 하여 휴대가 용이하게 하고, 진공포장을 개봉하면 스프링에 의해 외피가 불어나면서 충분한 필터링 공간을 확보하여 유독가스를 걸러준 후 호흡관을 통하여 깨끗한 공기를 호흡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비상용 호흡기{Emergency respiratory device}
본 고안은 화재 발생 장소를 탈출하는데 필요한 일정시간 동안 유독가스를 마시지 않도록 하는 비상용 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화재 발생장소에서 발생하는 인명 피해는 대부분 유독가스에 중독되어 질식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내장재가 화학재로 이루어진 경우 더욱 심각한 유독성 가스를 내뿜게 되고, 이를 마실경우 순간적으로 정신을 잃어 회복할 수 없는 경우게 처하고 만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독가스의 발생시 유독가스를 마시지 않고 빠른 시간에 현장을 벗어나야 하는 것으로, 화재 발생시 유독가스를 마시지 않기 위해서는 방독면을 착용하여야 하나 방독면은 언제나 사용할 수 있도록 적재적소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 방독면을 활용하여 화재 발생 장소를 벗어날 수는 없으며, 또한 유독가스는 눈에 침투할 경우 눈물이 나고 아파서 시야를 가리게 되므로 화재 발생 장소를 쉽게 탈출 할 수 없는 것이었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유독가스를 마시지 않고 시야를 확보하면서도 빠르게 화재발생 장소를 탈출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호흡기를 각자 휴대하여 비상시 빠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나, 기존의 휴대용 호흡기는 부피가 커서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사고를 대비하여 휴대하고 다니기에는 너무 불편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휴대가 간편하도록 하여 언제든지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 장소를 탈출할 수 있는 시간동안 유독가스를 마시지 않도록 하는 한편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비상용 호흡기를 제공하므로서, 불의의 화재 발생시 인명피해를 줄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내부 물질은 빠지지 않으면서 외부 공기는 통과할 수 있는 부직포 등의 외피 내부에 입으로 물고 호흡할 수 있는 호흡관을 설치하되 호흡관의 외측에 필터층을 설치하여 외피를 통과한 유독가스가 필터층에서 필터링된 후 호흡관을 통하여 호흡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외피의 내부에는 공간을 확보하는 스프링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외피는 비닐로 진공포장하여 부피가 줄어들게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진공포장에 의해 최소의 부피를 갖도록 하여 휴대가 용이하게 하고, 진공포장을 개봉하면 스프링에 의해 외피가 불어나면서 충분한 필터링 공간을 확보하여 유독가스를 걸러준 후 호흡관을 통하여 깨끗한 공기를 호흡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지역을 벗어날 수 있는 시간동안 유독가스를 마시지 않도록 하는 한편 휴대가 용이하여 평상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비상용 호흡기에 관한 것으로, 유독가스를 필터링하여 호흡이 가능하게 걸러주는 필터층(20)과, 상기 필터층(20)의 내부에 설치되고 필터층(20)을 통과한 공기를 입으로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호흡관(10)과, 상기 필터층(20)의 내부에 설치되고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5)과, 상기 필터층(20)을 진공 포장하여 압착시키는 비닐(30)로 구성되며, 비닐(30)의 일측에 시야 확보용 안경(40)을 함께 포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코에 삽입시킬 수 있는 코마개(50)를 구비하되 상기 코마개(50)의 내부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코마개(50)를 통하여 호흡이 배출만 되고 호흡이 되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의 필터층(20)은 외측에 부직포(21)가 위치하고, 그 내측으로 미세먼지 제거용 필터(22), 일산화 탄소를 이산화탄소로 변화시키는 필터(23), 활성탄소 필터(24), 수분제거용 필터(25)가 순차적으로 위치하며, 수분제거용 필터(25)의 내측으로 호흡관(10)이 위치하되 호흡관(10)의 입으로 무는 부분은 필터층(2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필터층(20)의 내부에 위치하는 호흡관(10)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통공(11)을 형성한다.
본 고안의 필터층(20) 내부에는 만곡된 판스프링(35)을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하여 필터층(20)을 전체적으로 부풀릴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필터층(20)은 비닐(30)을 이용하여 진공포장하므로서 필터층(20)의 부피를 최소화시키면서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때 판스프링(35)은 펼쳐진 상태가 되고 필터층(20)의 내부 공기가 빠져 나간 상태가 되어 필터층(20)은 적은 부피로 압착되고, 진공포장된 비닐(30)을 개봉시키면 공기가 필터층(20)의 내부로 들어가는 동시에 판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필터층(20)이 부풀어지게 된다.
본 고안의 비닐(30)에는 안경(40)을 같이 진공포장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안경(40)은 안경테(41)의 내측에 접착제(42)를 도포하되 안경(40)이 서로 마주보는 쪽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하여 보관시 안경테(41)의 접착제(42) 부위가 서로 접착되는 형태로 접어준 후 비닐(30)에 진공포장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코마개(50)를 같이 포장할 수 있는 것으로, 코구멍에 끼울 수 있는 구조의 코마개(50)를 구비하되 상기 코마개(50)를 통하여 호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코마개(50)에는 배출변(51)을 설치하여 호흡이 배출만 되고 흡입은 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서 먼저 비상 호흡을 위한 필터층(20)에 대하여 살펴본다.
통공(11)이 형성된 호흡관(10)의 외측에 수분제거용 필터(25)를 설치하되 외부공기가 필터(25)를 통하여 호흡관(10)의 통공(11)을 거쳐 호흡관(10)의 내부로 유입될 때 필터가 유입되어 호흡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호흡관(10)의 외측을 감싸도록 한다.
상기 필터(25)의 외측에는 활성탄소 필터(24)를 설치하여 유독가스를 걸러주도록 하고, 활성탄소 필터(24)의 외측에는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변화시키는 필터(23)를 설치한 후 그 외측으로 미세먼지 제거용 필터(22)를 설치하고, 그 외측에는 부직포(21)를 이용하여 감싸 주도록 하되 만곡된 사각체 형상을 갖도록 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필터층(20)의 내부에는 만곡된 형태의 판스프링(35)을 설치하되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하여 판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해 필터층(20)이 부풀어 오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필터층(20)은 비닐(30)에 넣고 진공포장하여 필터층(20)을 압착시킴으로서 부피를 줄이도록 하고, 이때 판스프링(35)은 비닐(30)의 진공포장에 의해 펼쳐진 상태로 포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안경(40)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안경테(41)의 내측에 접착제(42)를 도포한 후 안경테(41)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어준 후 접착제(42)끼리 접착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안경(40)은 비닐(30)의 내측에 넣고 진공 포장이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필터층(20)과 안경(40)을 동시에 휴대할 수 있도록 하거나, 안경(40)은 빼고 필터층(20)만 진공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진공 포장된 비닐(30)의 내부에 필터층(20)과 안경(40)이 위치하게 되고, 비닐(30)은 진공포장이 된 상태이므로 필터층(20)은 납작하게 압착된 상태로 놓이게 된다.
따라서 주머니에 쉽게 넣을 수 있는 크기로 압착이 이루어지고, 외측이 비닐(30)로 쌓여져 있어 오랫동안 휴대하고 다니더라도 오염이 되지 않는다.
이때 비닐(30)의 일측에는 절개홈(31)을 형성시켜 절개홈(31)을 양쪽으로 벌릴 경우 쉽게 비닐(30)을 개봉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같이 필터층(20)과 안경(40)이 수납된 비닐(30)을 휴대하고 다니다가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비닐(30)을 개봉시킨 후 호흡관(10)을 입에 물고 안경(40)을 눈에 붙여 시야와 호흡이 확보되게 하여 화재 발생 장소를 빠른 시간에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비닐(30)의 절개홈(31)을 양쪽으로 찢어 비닐(30)을 개봉시키면 필터층(20)과 안경(40)을 비닐(30)에서 꺼낼 수 있으며, 필터층(20)은 비닐(10)이 개봉될 경우 외부 공기가 필터층(20)의 내부로 유입되는 한편 판스프링(35)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어느정도 부풀어 오르게 되고, 이 상태에서 호흡관(10)을 입에 물고 호흡을 하되 들이 마시는 숨은 호흡관(10)을 통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하고, 내쉬는 숨은 코를 통하여 대기 중으로 내쉬도록 한다.
호흡관(10)을 통하여 호흡을 하게 되면 외부 공기는 부직포(21)을 통하여 필터(22)(23)(24)(2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미세먼지의 제거와 유독가스의 제거및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바꾸어주어 호흡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여기서 코에 코마개(50)를 끼울 경우 호흡이 배출될 때는 배출변(51)이 개방되어 호흡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들이마시는 경우는 배출변(51)에 의해 들이 마시지 못하게 하므로서 코를 통하여 호흡의 배출만 이루어지게 된다.
이같이 호흡관(10)을 통하여 호흡이 이루어질 때 장기간 호흡을 보장하기는 어려우나 일정시간 즉 화재 현장을 탈출할 수 있는 5분 정도의 시간은 충분히 호흡이 가능하고, 특히 유독가스를 직접 마시지 않아 정신을 잃지 않게 되므로 충분한 대피가 가능하다.
그리고 안경(40)의 안경테(41)을 벌린 후 눈에 안경(40)을 대고 눌러 주면 접착제(42)가 안면에 접착되어 안경(40)이 얼굴에 붙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화재 발생 초기에 탈출에 필요한 시간동안 유독가스를 마시지 않도록 하는 한편 휴대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평상시 휴대하고 다니다가 위급한 화재 발생시 질식사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두 모금 이상 마시면 정신을 잃게 되는 유독가스를 직접 마시지 않고 필터층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마실 수 있어 정신을 차린 상태로 위험지역을 벗어날 수 있으며, 안경을 이용하여 눈이 쓰라리지 않을 상태로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보다 빠르고 안전하게 화재 지역을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평상시 납작하게 진공포장된 상태로 휴대될 수 있도록 하여, 간편한 휴대가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예측지 못한 장소의 예측치 못한 화재 발생시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필터층이 진공 포장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필터층이 펼쳐진 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필터층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안경의 접착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 안경의 접착제 도포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도 9은 본 고안의 비닐 개봉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판 스프링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코마개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코마개를 통하여 호흡이 배출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코마개에 구비된 배출변이 막힌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호흡관 11 : 통공
20 : 필터층 21 : 부직포
22-25 : 필터 30 : 비닐
35 : 판스프링 40 : 안경
41 : 안경테 42 : 접착제
50 : 코마개

Claims (3)

  1. 내부로 공기가 통하고 일측으로 통공(11)이 형성되며 입에 물을 수 있는 호흡관(10)의 통공(11) 외측에 부직포(21)로 쌓여진 필터층(20)을 납작한 형태로 일정부피가 되게 형성하는 한편 필터층(20)의 내부에는 만곡된 판스프링(35)을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며, 상기 필터층(20)은 비닐(30)로 진공포장하되 비닐(30)의 일측에는 안경테(41)에 접착제(42)가 도포되어 접쳐진 채로 접착제(42)끼리 접착된 안경(40)을 넣고 진공포장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호흡기.
  2. 제1항에 있어서, 필터층(20)은 통공(11)이 형성된 호흡관(10)의 외측에 수분제거용 필터(25)를 설치하고, 그 외측으로 활성탄소 필터(24)를 설치하고, 그 외측으로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변화시키는 필터(23)를 설치하고, 그 외측으로 미세먼지 제거용 필터(22)를 설치하고, 그 외측에는 부직포(21)를 이용하여 감싸주되 내측으로 만곡된 판 스프링(35)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호흡기.
  3. 제1항에 있어서, 비닐(30)의 내부에는 코마개(50)를 넣어주되 상기 코마개(50)는 호흡이 배출만 되도록 내부에 배출변(51)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호흡기.
KR20-2005-0007652U 2005-03-21 2005-03-21 비상용 호흡기 KR2003893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652U KR200389348Y1 (ko) 2005-03-21 2005-03-21 비상용 호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652U KR200389348Y1 (ko) 2005-03-21 2005-03-21 비상용 호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348Y1 true KR200389348Y1 (ko) 2005-07-14

Family

ID=43690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652U KR200389348Y1 (ko) 2005-03-21 2005-03-21 비상용 호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34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663A (ko) 2015-08-04 2017-02-14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비상탈출용 콤팩트 가스 정화 장치
KR101859955B1 (ko) 2016-10-25 2018-05-21 주식회사 엠에스엘콤프레서 호흡용 공기 충전기의 공기정화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663A (ko) 2015-08-04 2017-02-14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비상탈출용 콤팩트 가스 정화 장치
KR101859955B1 (ko) 2016-10-25 2018-05-21 주식회사 엠에스엘콤프레서 호흡용 공기 충전기의 공기정화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69595C2 (ru) Способ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от вдыхания дыма при чрезвычайных ситуациях
US7152600B2 (en) Biohazard mask suitable for civilians
US5315987A (en) Filtering canister with deployable hood and mouthpiece
KR102173429B1 (ko) 산소 증강형 미세 먼지 제거 마스크
US20030075173A1 (en) Inhalation protection apparatuses
JPS63192463A (ja) 緊急用保護フード
DE60131996D1 (de) Atemschutzgerät mit integriertem filter, ausatemventil und umlenkelement
US20230356010A1 (en) Head encapsulation unit
KR102147524B1 (ko) 화재 대피용 방연 마스크
AU2009257188A1 (en) Clean air receiving module and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ve systems incorporating the module
KR20160148920A (ko) 안면 부착형 긴급 대피용 마스크
KR101294333B1 (ko) 구난호흡기
KR200389348Y1 (ko) 비상용 호흡기
JP4680598B2 (ja) 緊急脱出用マスク
KR200381616Y1 (ko) 일회용 방진 및 방독 마스크
KR101793207B1 (ko) 두건형 방독면의 파우치 구조
KR100452167B1 (ko) 개인휴대용 화재안전 방독가스 마스크
KR101607577B1 (ko) 방독면이 장착된 분사기
KR20050000637A (ko) 휴대용 방독 마스크
KR102594104B1 (ko)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와 그 제조 방법
KR102108209B1 (ko) 흡배기 구조를 가지는 마스크
KR102130647B1 (ko) 다목적 응급 두건
KR102600723B1 (ko)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
KR102097761B1 (ko) 다목적 응급 두건
KR200315229Y1 (ko) 구강(口腔)식 간이 방독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