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104B1 -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와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와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104B1
KR102594104B1 KR1020230019043A KR20230019043A KR102594104B1 KR 102594104 B1 KR102594104 B1 KR 102594104B1 KR 1020230019043 A KR1020230019043 A KR 1020230019043A KR 20230019043 A KR20230019043 A KR 20230019043A KR 102594104 B1 KR102594104 B1 KR 102594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mask body
mask
silicone
pa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9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복
Original Assignee
김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복 filed Critical 김재복
Priority to KR1020230019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60Healthcare; Welfa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Zo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호용품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는 인체에 무해한 얼굴 밀착형 실리콘 흡착재질이 흡착부로 형성되어 얼굴과 머리 그리고 목 부위 까지 복면형으로 밀폐시키고 실리콘 투명 투시창으로 시야를 확보하며 정화부와 배기부를 통하여 호흡하며 마스크 본체를 펼치면 경고등이 작동하며 휴대폰과 자동 페어링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는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공공장소에 대량 비치할 수가 있게 되고 호주머니나 차량에 상시 휴대하다 화생방 테러 발생이나 화재등 재난상황 발생시 일반 마스크처럼 신속하게 착용하여 골든 타임을 놓치지 않고 안전지대로 탈출을 하면서 구조센터에 자동으로 구조신호를 보내며 통화를 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재난으로 인한 사회적 경비를 절감시킴은 물론 인명 피해를 최소화 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와 그 제조 방법{smart-functional portable Silicone Gas mas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화생방 테러 발생 또는 화재 대피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용 방독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와 착용을 용이하게 하여 화생방 테러나 화재 발생으로 비상사태가 발생한 경우 현장의 유독 가스 및 매연으로 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고 시야를 확보하게 함은 물론 필요 요구되는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며 골든 타임을 놓치지 않고 탈출하거나 대응, 대비하여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고안된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독면은 화생방 테러 발생 또는 화재발생 시 유독가스 및 연기로부터 사람을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현재까지 다양한 형태의 방독면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방독면은 부피와 무게가 커서 휴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두건형 방독면은 부피가 커서 휴대하기 어렵고, 착용시 여러단계를 거쳐야 하며 시야가 좁고 비닐 투시창이 열에 약하며 정화부를 별도로 호흡기와 밀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착용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신속성의 문제점를 내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운 안면형 실리콘 포켓용 방독면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포켓용 방독면은 버스,지하철과 같은 대중 교통수단과 백화점, 호텔, 극장 등의 공간에 대량 비치할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하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포켓용 방독면은 부피가 작아 간편 휴대가 가능하고 위험 상황에서 신속하게 착용은 가능하나 얼굴크기나 형태에 따라서 완전 밀폐를 담보하기 어려워 여러 크기의 사이즈로 구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포켓용 방독면은 안면 투시창이 외부로 볼록한 형태를 갖추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낮은 경도로 성형되어 착용시 투시창이 안구에 달라 붙어 눈을 뜰 수가 없음은 물론 정화통 부분이 늘어나 처지는 불안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방독면들은 화재 발생시 탈출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한 사람의 위치를 먼거리 밖에서는 확인할 수가 없고 위험에 처한 사람이 자신의 위치를 알리면서 대피한다는 것도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화생방 테러가 발생하거나 화재가 발생할 경우 부피가 축소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수량을 비치할 수 있고, 상시 일반 마스크처럼 간편 휴대가 가능하고 착용이 손쉬우면서도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어 구조센터나 연계된 네트워크 망에 필요 요구되는 현장의 정보와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음성 통화 기능도 구비하여 탈출과 구조 및 대응, 대비를 용이하게 하는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가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공개번호 10-2022-0154589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방독면들이 갖는 문제점 및 제반 상황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화생방 테러나 화재 발생시 긴급 재난상황에 적합하도록 휴대와 착용이 간편하고 밀폐성, 안전성을 담보함은 물론, 착용하는 순간 구조센터나 네트워크 망에 위험을 알리는 구조신호와 정보를 수집,전송하고 실시간으로 통화를 하면서 신속하게 안전지대로 대피하여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고안된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는 인체에 무해하고 부드러우며 탄성력과 신축성이 뛰어나고 난연성과 내열성이 탁월한 얼굴밀착형 실리콘을 방독면 마스크 본체의 재질로 하고, 실리콘 마스크 본체와 일체형으로 성형 사출되는 실리콘 투명 투시창이 안구 주변에 볼록하게 형성되어 시야를 확보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얼굴과 머리전체를 완전히 감싸고 목 부분까지 감싸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안구 주변과 호흡기 주변만이 시야확보와 호흡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3차원 얼굴 곡면 전체를 밀착시켜 외부로 부터 유독가스등 이물질을 완전 차단시키도록 실리콘이 일체형으로 성형 사출되는 마스크 본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코와 입주변의 호흡기 부분에는 사용자가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볼록한 형태의 호흡부가 코와 입주변에서 형성되며 양쪽 측면 또는 일측에 정화부와 배기부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단 양측에 마그네틱 자력으로 전원을 ON/OFF시키는 마그네틱스위치 SOS 페어링 시스템이 만들어져 휴대용 단말기와 자동 페어링시키는 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페어링되는 무선 연결 장치는 일례로 블루투스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스위치 페어링 시스템에는 조명장치등, 유해가스 감지센서와 카메라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로 연결시키는 모듈이 탑재되고 필요 요구되어 미리 설정되는 정보와 위치정보를 포함한 음성 또는 영상 정보를 전송하거나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된 어플리케이션이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음성정보를 송신하거나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배기통이 있는 마스크 본체의 호흡부 내측에 마이크가 구성되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귀 부분 내측에 스피커가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마이크와 스피커는 유선으로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 페어링 시스템과 연결되어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상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의 마그네틱스위치 SOS 페어링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기다리는 대기모드 상태에서 신호가 감지되면 즉시 휴대용 단말기와 자동 페어링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어 화생방 테러나 화재 발생등 긴급 재난발생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를 펼치는 순간 휴대용 단말기와 자동 연결이 되어 필요 요구되어 미리 설정되는 정보와 위치정보를 포함한 음성 또는 영상 정보를 전송하거나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자가 미리 설정된 네트워크망에 위치 정보와 현장상황을 알리면서 안전지대로 대피하거나 대응 또는 대비를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가 머리를 포함하여 얼굴 전체를 밀착시키고 투명 투시창과 호흡부까지 일체형으로 성형 사출되어 부피를 축소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밀폐성과 내열성이 우수하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방독 마스크 본체의 구성이 단순화되어 제작비가 저렴하고, 조작 사용이 간단함으로써 실용적 가치가 높고, 화생방 테러 발생 또는 화재 발생시 유독 가스 및 연기로부터 인명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신속하게 대응, 대비태세를 갖출 수 있게 된다.
특히, 비상상황시 어두운 공간에서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를 펼치면 발광이 되어 시야를 확보하여 탈출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필요한 정보의 전송이나 통신을 할 수 있어 위험을 신속하게 알리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는 인체에 무해한 얼굴 밀착형 흡착 재질로 착용감과 밀폐 효과를 탁월하게 할 수 있으며 항균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3차원 얼굴 곡면을 따라 안면에 밀착되는 마스크본체 위로 안경을 착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렇게 불편감이 없이 얼굴에 밀착되어 눈과 호흡기를 포함한 얼굴과 머리 전체를 감싸고 방진. 방호, 방독 효과를 탁월하게 하는 본 발명은 화생방 테러나 화재 발생 시는 물론 조준 사격에도 용이하며 화학공장, 분진이 있는 작업장, 농약살포, 도장공사등 산업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의 좌,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의 좌,우측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 정화통의 조립 구조와 탈, 부착 방법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의 접힘상태의 좌,우측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의 마그네틱 스위치 페어링 시스템이 작동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설정된 네트워크망에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의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의 또 다른 착용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마스크(100)는 머리부터 얼굴전체와 목부분까지 덮어 씌우는 복면형 마스크 본체(101)로 구성된다.
상기 복면형 마스크 본체(101)에서 밴트홀을 형성하여 넓은 테두리 형태로 외부로 돌출되는 정화부 홀더(111), 배기부 홀더(112) 그리고 콧등에 대응하여 볼록한 형태의 공간이 형성되는 호흡부(110), 안구를 보호하는 볼록한 형태의 투명 투시창(104), 상기 투시창과 호흡부의 변형을 방지하고 고정시키는 호흡부 중심 접힘축(103), 투시창 중심 접힘축(103a)과 버팀대(103b,103c) 그리고 안경테 귀걸이를 안착시키는 안경 걸침 턱(107), 마그네틱스위치 SOS 페어링 시스템 홀더(121)와 자석 홀더(122) 그리고 이어폰 스피커 홀더를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성형 사출되는 복면형 실리콘 마스크본체(101)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스크 본체(101)는 일례로 인체에 무해한 얼굴 밀착형 실리콘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폐 차단효과가 있는 탄성과 신축성이 있는 재질의 융복합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101)에는 음료를 마실 수 있는 빨대가 삽입될 수 있는 음료 주입구(300)가 마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본체(101)에는 항균제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101)는 머리를 포함하여 사람의 얼굴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는 얼굴 형상 형태를 이루며 부드러운 신축성으로 압박감과 이질감이 없이 외부로 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시키고 완전 밀착되도록 구성되고, 목부분은 프리한 형태로 목부분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목 보호대(2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스크 본체(101)는 착용시 압박감이 없도록 부드러운 신축성과 고인장성을 갖도록 하여 투시창과 정화통 홀더, 배기통 홀더, 자석홀더 그리고 SOS 페어링 키트 홀더를 포함하여 마스크 본체(101)가 일체형으로 성형 사출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100)의 좌,우측면도(101-1,101-2)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코에 대응되는 부위가 돌출되고, 사용자의 턱에 대응되는 부위가 만곡된 아크 형태를 이루며 3차원 곡면의 얼굴 윤곽을 따라 뒷 머리 부분까지 압착되어 착용을 하고 목 부분까지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코에 대응되는 부위가 돌출된 곡면을 따라 공간이 형성되고 여기에 정화통 홀더(111)와 배기통 홀더(112)가 마련되어 호흡부(1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호흡부(110)는 정화통 홀더(111)와 배기통 홀더(112)를 포함하여 단단한 경도로 성형 사출되도록 하여 정화통(111a)과 배기통(112a)이 정확히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볼록한 형태로 돌출되는 투명 투시창(104)도 단단한 경도로 성형 사출하여 마스크 본체(101) 착용시 늘어나 안구에 달라 붙지 않도록 구성 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호흡부(110)와 투시창(104)은 부드러운 신축성과 탄성력이 유지되도록 얇게 구성되는 마스크 본체(101) 보다 두껍게 설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물론, 마스크 본체(101)의 형태는 자유롭게 늘어나 얼굴과 머리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밀착되어야 하며 상기 호흡부(110)와 투시창(104)만이 호흡과 시야확보를 위한 공간으로 형성하게 하여 마스크본체(101) 일체가 실리콘으로 성형 사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귀부분에는 귀걸이 안경걸림턱(107)이 안경테두리 귀걸이 모양과 대응되는 돌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마스크 본체(101)는 접힘상태로 성형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중심부에는 정화통 홀더(111)와 배기통 홀더(112)를 지지하는 호흡부 중심 접힘축(103), 그리고 투시창(104)을 지지하는 투시창 중심 접힘축(103a)이 마스크 본체(101)가 접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평상시 일자 형태로 자연스럽게 접혀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스크 본체(101)의 크기는 접혀있을 때의 크기와 늘어나는 탄성도 신축성을 계산하여 내구성과 신축성 그리고 인장력을 갖도록 구성되는데 일례로 약 20%~30% 정도의 부드러운 경도로 고 인장력이 있는 실리콘으로 성형 사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마스크 본체(101)중에서 투명 투시창(104)은 돌출된 테두리(104a)부분을 포함하여 숨을 들이 마쉴때 눈에 달라 붙지 않도록 경도를 70%이상으로 경도를 높게 성형 사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흡부(110)와 정화통 홀더(111) 배기통 홀더(112) 부분은 정화통 (111a)과 배기통(112a)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마스크 본체(101) 두께보다 일정 값 이상 두껍게 설계되거나 경도를 70% 이상으로 강하게 성형 사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성형 사출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100)는 펼치면 마그네틱스위치 SOS 페어링 시스템(120)이 작동하고 경도가 낮게 성형 사출된 실리콘의 탄성력과 부드러운 신축성으로 얼굴과 머리 전체를 부드럽게 압착시키며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두껍게 실리콘이 형성된 투시창 부분(104,104a,104b,104c)과 호흡부 부분(111,112,102,102a)을 지지하는 중심 접힘축(103,103a)에 정화통과 배기통의 버팀대(103b,103c)가 고정이 되어 투시창(104)과 호흡부(110)에는 늘어나거나 변형되지 않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101)는 얼굴과 머리 전체를 포함하여 목 보호대(21 0)까지 구성하거나 얼굴만 가릴 수 있도록 형성되어 귀걸이 밴드형(601) 또는 끈으로 머리 뒤에서 당기는 밸트형(701)으로 구성될 수 도 있다.
따라서, 연령이나 인종등에 따른 얼굴 크기에 관계없이 손쉽게 신속 정확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100)의 좌,우측 면(201,202) 내부 구조를 도시하였는데,
도시한 바와 같이, 호흡시 투명 투시창(104)에 발생하는 김서림 방지와 투시창이 안구에 접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안구 보호벽(104b,104c)이 3차원 얼굴 곡면을 따라 내측에 돌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안구 보호벽(104b,104c)은 흡입시 투시창이 빨려 들어오며 안구와 닿지 않도록 충분한 높이가 결정되어야 하는데 마스크 본체가 접어져서 성형 사출되기 위해서는 상기 안구 보호벽(104b,104c)어느 한쪽이 크거나 작게 성형 사출도록 금형을 제작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본체(101)가 부드러운 신축성과 탄성력으로 자유롭게 늘어나더라도 상기 투시창(104)과 안구 보호벽(104b,104c)은 변형이 되지 않도록 금형설계시 두껍게 되어야 하며, 단단한 경도의 실리콘 재질로 성형사출 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안구 보호벽(104b,104c)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실리콘 방독면이 접어지게 성형 사출되고 접혀 있는 상태에서 좌,우측 마스크본체의 투시창 부분이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중요한 내용이므로 도 5에서 도시한 단면도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투시창(104)은 투명재질의 실리콘을 재질로 하고 금형에 광택 효과를 주어 투시효과가 나타나도록 구성되어 마스크 본체(101)와 일체형으로 성형 사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스크 본체(101)에는 호흡을 원활하게 하도록 볼록한 형태의 호흡부(110)를 마련하여 코와 입주변의 호흡기 부분과 정화통 홀더(111)와 배기통 홀더12)가 연계되도록 구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호흡부(110)는 마스크 본체(101) 착용시 당겨지면 3차원 얼굴 곡면을 따라 밀착되면서 볼록한 형태로 만들어져 자연스럽게 코와 입 주변에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정화통 홀더(111)와 정화통(111a), 그리고 배기통 홀더(112)와 배기통(112a) 호흡시 얼굴면에 달라붙지 않고 호흡부 공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반달 모양의 정화통 지지대(102)와 배기통 지지대(102a)가 콧등 부분에서 입술 가장자리로 이어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흡부(110)의 정화통 홀더와 배기통 홀더가 마스크본체(101) 착용시 호흡부를 벗어나지 않도록 콧등 부위 중심축을 따라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태의 두툼한 접힘 축 호흡부 중심 접힘축(103)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명 투시창(104)이 마스크 착용시 안구 주변에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투시창 중심 접힘축(103a)도 구성이 된다.
여기서, 상기 중심 접힘축(103,103a)과 연계되어 정화통 홀더(111)와 배기통 홀더(112)를 고정시키는 버팀대(103b,103c)가 구성되어 착용시 정화통과 배기통이 호흡부에서 고정되는 역할을 담당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시야 확보와 호흡을 위한 공간이 형성 된 투명 투시창(104)과 호흡부(110) 그리고 뒷 머리를 포함한 얼굴 전체가 3차원 얼굴곡면을 따라 밀착이 되도록 구성되고 실리콘 재질로 내구성과 고인장력을 유지하면서 부드러운 신축성과 탄성력으로 자유롭게 늘어나 압착되어 착용하도록 마스크 본체(101)가 일체형으로 성형 사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턱 부분의 얼굴 윤곽을 따라 이어지는 목 보호대(210)는 뒷목 부분까지 자연스럽게 보호되도록 프리한 형태로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투명 투시창(104) 부분과 호흡부(110)의 상기 기술한 내용들을 적용하여 얼굴과 머리 전체 그리고 목 부분까지 덮지 않고 얼굴과 머리만을 감싸는 스파이더맨 복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투시창 부분과 호흡부의 상기 기술한 내용들을 적용하여 얼굴만을 감싸는 형태로 귀걸이 밴드(601)를 이용하거나 머리 뒷 쪽에서 당겨지게 하는 밸트 형태(701), 또는 벨크로 형태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정화통 홀더(111)와 배기통 홀더(112)에는 정화통 베이스(111a)와 배기통(112a)이 내측에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정화통 베이스(111a)와 배기통(112a)은 정화통 홀더(111)와 배기통 홀더(112)의 탄력과 신축성에 의해 끼워 놓고 압축되어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홀더의 내측 구경보다 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화통 홀더(111)와 배기통 홀더(111,112)에는 정화통과 배기통이 마스크 본체(101) 착용시 늘어 나더라도 확실한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설계되고 성형 사출되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정화통 홀더(111)와 배기통 홀더(112)는 정화통,배기통(111a. 112a)을 탈,부착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정화통과 배기통의 탈 부착에 대한 설명은 도 4에서 자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정화통 홀더(111)의 정화통(111a) 내부에는 사용 용도에 따른 매연과 유독가스 차단을 위한 성능 기준의 필터 성분이 요구되는데 여기서 일례로 가스흡착제, 활성탄, 헤파 필터, 전처리 필터, 후처리 필터 등을 포함하여 다중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화통 홀더(111)와 정화통(111a)의 크기와 필터의 구성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통(112a)에는 숨을 뿜어 낼때 비말을 차단하는 필터가 내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화통(111a)은 필터링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배기통(112a)은 공기를 배출만 가능하도록 하는 일방향 밸브(one way valve)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정화통과 배기통(111a,112a)의 재질은 다양한 난연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SOS 페어링 키트(121a)는 마스크본체(101) 내측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SOS 페어링 키트 홀더(121)의 내측에서 인서트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자석(122a)이 마스크 본체(101) 외측에서 끼워 넣도록 하는 자석홀더(122)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틱스위치 SOS 페어링 키트(121a)의 전원 공급용 건전지는 일례로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CRT 3V 동전형 건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한 마그네틱 자력에 의해 ON/OFF되는 SOS 페어링 시스템(120)은 일반적으로 보편화된 기술로 유사한 방법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에 응용 적용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SOS 페어링 시스템(120)은 휴대용 단말기(500)와 자동 페어링 되도록 구성되는데, 일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블루투스 이어폰 기술을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마스크에 응용하고자 한다.
상기, SOS 페어링 시스템(120)의 SOS 페어링 키트(121a)에는 블루투스 모듈(121b), 영상장치(121c),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센서(121e), 조명장치(121d) 작동을 포함한 마그네틱 전원 스위치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메인보드에 연계되는 이어폰 케이블(125), 스피커와 마이크(123,124)로 구성이 되는데,
상기한 마그네틱 자력에 의해 ON/OFF 되는 SOS 페어링 시스템(120)은 상기한 복합적인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거나, 사용 용도에 따라 필요한 기능만을 갖는 장치, 즉 일례로 조명장치와 유해가스 감지센서를 포함하거나 특정 주파수만을 송출하게 하거나 이어폰과 영상카메라를 포함하도록 하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페어링 키트(121a)에는 블루투스 모듈(121b)과 유선(125)으로 연결되는 이어폰 스피커를 고정하는 스피커 홀더(123)가 귀 부분에 마련되어 스피커(123a)가 안착되고 마이크(124)가 호흡부까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되어, 상기 마스크본체(101)가 접혀 있으면 마그네틱스위치 SOS 페어링 키트(121a)와 자석(122a)이 맞닿게 되어 전원공급이 차단(OFF)되고 상기 마스크본체(101)를 펼치는 즉시 전원 공급이 시작되어 작동(ON)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SOS 페어링 키트(121a)의 기능은 휴대용 단말기와 페어링되어 작동되도록 휴대용 단말기에 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121b)과 휴대용 단말기(500)와의 페어링 기술은 이미 보편화된 기술이므로 이 기술들을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마스크(100)에 응용하기로 하는 것이므로 기술적인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100)의 정화통의 조립 구조와 탈, 부착 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그림 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화통 홀더(111) 내측을 통해 정화통 베이스(111a)가 정화통홀더(111)에 압축되어 고정이 되고,상기 정화통베이스(111a)에 정화통(111b)이 인서트 되도록 인서트 홈(111d)과 인서트 바(111c)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여기서, 상기 인서트 홈(111d)과 인서트 바(111c)는 일측 또는 양측에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정화통 베이스(111a)는 마스크 본체(101)의 실리콘 정화통 홀더(111)의 압착력에 의해 밀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화통 홀더(111)는 상기 정화통 베이스(111a)가 끼워지며 압착되도록 정화통 홀더와 정화통 베이스의 지름이 결정되는데, 정화통 홀더(111)와 정화통 베이스(111a)는 어느 한쪽이 크거나 작게 구성되어야 한다.
이렇게, 정화통 베이스(111a)가 정화통 홀더에 고정이 되면, 정화통(111b)을 탈,부착할 수 있게 되는데,
그림 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통(111b)이 인서트 될때 인서트 바(111c)가 인서트 홈(111d)에 쉽게 끼워 질 수 있도록 가이드 홈(111e)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화통(111b)을 정화통 베이스(111a)에 밀어 넣으면 가이드 홈(111e)에 정화통(111b) 하단이 걸리게 되고 이때 밀어 누르는 힘을 주면서 정화통을 돌리면 인서트 바(111c)가 인서트 홈(111d)에 맞춰지면서 정화통이 정화통 베이스(111a)의 하단까지 끼워지게 구성이 되는데,
이때, 정화통의 가이드 바(111f)가 가이드 홈(111e)에 맞닿게 되어 밀폐가 되고 정화통을 우측으로 돌리면 정화통(111b)이 정화통 베이스(111a)에 완전 밀폐고정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홈(111e)은 인서트 바(111c)가 걸쳐질 수 있는 두께의 홈으로 형성되는데, 정화통(111b)의 상단 가이드 바(111f)와 맞춰져 조립이 완성되도록 구성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화통(111b)과 정화통 베이스(111a) 그리고 가이드 홈(111e)과 가이드 바(111f)는 유격이 없이 밀착이 되고 일정한 힘을 주어야 움직이는 정도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렇게 장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100)의 정화통(111b)은 인서트되었던 반대 방향으로 돌려 탈착시키고 교체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이 되면, 정화통을 손쉽게 교체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정화통 베이스(111a)가 없이 정화통(111b)이 정화통홀더(111)에 직접 압착되어 탑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그림 B 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마스크(100)의 배기통(112a)의 조립과 배기통이 배기부 홀더(112)에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였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통(112a)은 흡입시는 차단이 되고 배기시에만 공기를 배출하게 하는 일방향 밸브시스템으로 배기통(112a) 중앙에 실리콘 밸브(11 2b)가 구성되는데 이것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기통(112b)은 일체형으로 성형 사출되는 마스크 본체(101)의 일측면, 즉 다시 말해서 정화통의 반대 방향에 배기통 홀더(112)가 구성이 되는데,
상기 배기통(112a)을 배기통 홀더(112)의 내측에 끼워넣으면 실리콘의 압착력에 의해 밀폐 고정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101)의 접힘 상태의 좌,우측면도(201,202) 내부 단면을 도시하였는데,
그림 A - A는 호흡부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일방향 배기밸브가 내장된 배기통(112a)이 배기통 홀더(112) 전체가 압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이 된다.
또한, 정화통 홀더(112)의 하단 정화통 베이스 고정 홈(112-1)에 정화통 베이스(111a)의 걸침 턱(112-2)이 끼워져 고정되고 정화통 홀더(111)의 압착력으로 정화통베이스(111a) 또는 정화통(111)이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화통 홀더(111)와 배기통 홀더(112)는 호흡부 지지프레임(103)에 연계되어 두툼한 두께로 형성되어 마스크본체(101) 착용시 변형되거나 늘어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림 B - B는 투시창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그림 B -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본체(101) 중심축에 두툼하게 만들어진 투시창 고정 지지프레임(103a)에 볼록한 렌즈 형태의 투시창(104)이 연결이 되도록 구성이 된다.
여기서, 상기 투시창(104)이 볼록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외부로 돌출된 투시창 지지벽(104a)이 형성이 되는데,
이때, 상기 투시창 지지벽(104a)은 흡입시 투시창이 안구에 달라붙지 않도록 변형이 되지않는 강도를 유지하도록 두께와 높이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시창 지지벽(104a) 만으로는 호흡시 빨려 들어가는 투시창이 안구와 접촉되는 것을 피하기 어려우므로 상기 마스크 본체(101)가 접어져 있을때 마스크 본체 내측에서 좌,우측 양면이 서로 겹쳐지며 고정이 되도록 안구 보호벽(104b,104c)이 구성이 되어야 한다.
상기 안구 보호벽(104b,104c)은 투시창 고정 지지프레임(103a)의 콧등 부분에서 부터 양측 눈 가장자리 부분까지 투시창 테두리를 따라 구성이 되며,
호흡시 투시창에 김서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3차원 얼굴 곡면에 밀착이 되는 형태로 구성이 됨은 물론, 투시창(104)이 안구에 접촉되지 않게 충분한 공간이 유지 되도록 안구 보호벽(104b,104c)의 높이와 두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구 보호벽(104b,104c)의 크기는 어느 한쪽이 크거나 작게하여 엇갈리게 하지 않으면 맞물려 성형되는 금형의 특성상 안구 보호벽(104b,104c)의 기능을 할 수 있는 높이가 형성되는 금형 자체를 제작할 수 없기 때문에 금형 설계시 부터 계산되어야 한다.
이렇게 구성이 되어야, 높이가 있는 안구 보호벽(104b,104c)과 투시창 지지벽(104a)에 의해 마스크 본체(101) 착용시 또는 호흡시에도 투시창이 변형이 되지 않고 시야를 확보하는데 충분한 공간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양측 귀 상단 부분에는 안경테 귀걸이 걸림턱(107)이 형성되어 안경테의 귀걸이가 걸쳐지고 안경 코 받침이 돌출 된 투시창(104) 아랫부분에 자연스럽게 걸쳐지며 안경을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림 C-C 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 스위치 SOS 페어링 시스템의 자석(122a)과 SOS 페어링 키트(121a)가 장착되는 자석 홀더(122a)와 SOS 페어링 키트 홀더(122) 부분을 도시하였는데,
도시된 바와같이 자석 홀더(122)는 자석(122a)이 밖에서 인서트 되어 고정이 되도록 구성이 되며,
SOS 페어링 키트 홀더(121)는 SOS 페어링 키트(121a)가 마스크 본체(101) 내측에서 인서트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을 하게 되면, 마스크 본체가 접혀 있다가 펼쳐 질때 자석이 빠져 나오지 않게 됨은 물론, 키트(121a)가 마스크 본체(101) 내부에서 보호를 받게 된다.
또한, 그림 D - D 에서는 마스크 본체(101)를 접혀진 상태로 정화통(111),배기통(112) 그리고 투시창(104)과 마그네틱 SOS 페어링 키트 홀더(121)와 자석 홀더(122) 부분의 단면을 수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정화통 지지대(102)와 배기통 지지대(102a)가 콧등에서 얼굴로 이어지는 3차원 곡면에 밀착되어 정화통 홀더(111)와 배기통 홀더(112)를 지지하며 호흡부(110)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화통 지지대(102)와 배기통 지지대(102a)는 호흡시에 변형이 되지 않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도록 두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구 보호벽(104b,104c)이 어느 한쪽이 크거나 작게 엇갈리게 형성되어 접어질때 투시창(104)이 흔들리지 않게 고정시키고, 상기 자석홀더(122)와 마그네틱 SOS 페어링 키트 홀더(121)가 맞물려 있게되어 전원 OFF 상태가 유지되어 SOS 페어링 키트(121a)에 있는 밧데리의 방전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100)의 마그네틱 자력에 의해 ON/OFF되는 마그네틱스위치 SOS 페어링 시스템(120)의 작동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마스크 본체(101) 상단에는 마그네틱스위치 SOS 페어링 시스템 홀더(121)와 자석 홀더(122)가 구비되고, 내측에 마그네틱스위치 SOS 페어링 키트(121a)와 자석(122a)이 마련되어 마그네틱 자력에 의해 ON/OFF되는 마그네틱스위치 SOS 페어링 시스템(12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OS 페어링 시스템(120)과 연동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이 휴대용 단말기(500)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림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01)가 접혀 있으면 자석(122a)과 SOS 페어링 키트(121a)가 붙어 있게 되어 전원이 OFF가 되고,
이때, 본 발명에 따른 SOS 페어링 시스템(120)의 휴대용 단말기(500)에서는 SOS 페어링 키트(121a)에서 발생되는 페어링 신호를 기다리는 대기모드 상태로 있게 된다.
또한, 그림 B 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스크 본체(101)를 열면 자석(122a)과 SOS 페어링 키트(121a)가 멀어지면서 전원이 ON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마스크 본체 상단의 조명장치(121d)이 자동 작동될 수 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SOS 페어링 키트(121a)에서 페어링 신호가 발생하면 대기 모드 상태에 있던 휴대용 단말기(500)와 자동 페어링 되도록 웹 어플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림 C 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SOS 페어링 시스템의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구조 신호나 위치, 유해가스 정보를 네트워크망이나 구조센터에 송출을 하고 음성 또는 영상통화를 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01)를 착용하기 위하여 펼치면 SOS 페어링 시스템 키트의 전원이 켜지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
휴대용 단말기(500)와 SOS 페어링 키트(121a)가 페어링 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휴대용 단말기(500)와 SOS 페어링 키트(121a)가 페어링이 되면, 유해가스 센서가 작동되고, 영상 카메라가 작동되어 수집된 정보와 위치정보를 연계 된 네트워크 망이나 미리 입력된 번호로 휴대용 단말기(500)에서 송출하는 단계로 이루어 지도록 구성이 된다.
그림 D 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500)와 SOS 페어링 키트(121a)가 페어링이 되면 휴대용 단말기(500)의 웹 어플에서는 영상카메라(121c)를 작동시켜 영상데이터를 켑쳐하거나 녹화하여 저장하고 유해가스 데이터를 수집하여 위치정보를 포함 한 SOS 문자를 연계된 네트워크 망이나 미리 설정된 구조센터나 전화번호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마스크(100)의 SOS 페어링 시스템은 블루투스 이어폰 기술을 응용하여 음성 또는 영상통화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스크 본체(101)를 열면 전원이 ON되면서 조명장치가 작동되는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로 자동 페어링 되면서 유해가스를 감지하고 내장된 카메라가 작동되어 영상이 휴대폰에 전달되도록 SOS 페어링 키트(121a)에 펌웨어가 내장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500)에는 SOS 페어링 키트(121a)에서 전달되는 영상데이터를 켑쳐하거나 녹화하여 저장하고, 수집된 유해가스 데이터와 영상데이터 그리고 휴대폰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구조문자와 실시간 영상데이터를 미리 입력된 구조센터에 전송하도록 프로그램 된 웹 어플리케이션이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웹 어플리케이션은 상시 SOS 페어링 시스템 키트(121a)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기다리는 대기모드 상태에서 신호가 감지되면 즉시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로 오토 페어링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OS 페어링은 미리 특정하여 입력된 페어링 신호가 감지되면 무조건 오토 페어링 되도록 프로그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OS 페어링 키트(121a)에서 전송되는 영상정보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동 켑쳐 또는 녹화되어 유해가스 정보와 휴대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동시에 구조센터로 전송되도록 프로그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구조센터에 보내지는 구조문자와 유해가스 정보, 영상정보는 정해진 일정시간 간격으로 연속되어 전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SOS 페어링시스템이 작동되어도 정해진 일정 시간이 결과 되면 구조신호를 보내도록 설정하거나, 일정 시간 동안 유해 정보가 수집되지 않으면 구조신호나 문자를 전송하지 않도록 설정하여 오작동으로 인한 혼선을 예방하도록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프로그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위험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구조센터나 네트워크 망에 정보를 전달함은 물론, 영상을 전송하면서 블루투스 이어폰을 통하여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되면, 대피자가 안전지대로 대피하면서 전송된 구조 문자와 유해가스 정보, 영상정보를 구조센터에서 실시간 파악하여 현장 상황을 보다 정확히 파악을 하고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100)을 펼치면 상기 마그네틱스위치 SOS 페어링 시스템(120)이 자동 작동되게 되고 화재등으로 정전이 발생하거나 어두운 공간에서 일반 마스크 처럼 신속하게 착용하여 호흡기를 보호하고 조명을 확보하여 대피와 구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스위치 SOS 페어링 키트(121a)의 조명장치는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재난대피용 경고 조명등, 시야를 밝히는 일반 조명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기능과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SOS 페어링 키트 홀더(121) 전면은 조명 밝기를 확보하기 위하여 투명 투시창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는 도 7에서 실시 예를 도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의 그림 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 본체(101) 중간 부분을 일반 마스크처럼 접을 수 있으며 일례로 얇은 알루미늄 비닐케이스에 밀봉하여 상시 주머니에 휴대하거나 차량 보관 또는 특정 장소에 대량으로 비치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시 휴대하거나 대량으로 보관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100)는,
그림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굴과 머리 전체를 포함하여 목 부분까지 복면처럼 뒤집어 쓰는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마스크(100)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마스크(100)를 착용하고 그 위에 안경을 착용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 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마스크(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귀걸이밴드형 방독마스크(601) 또는 뒷머리 벨트형 방독마스크(701)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실리콘으로 3차원 얼굴 곡면을 따라 얼굴 밀착형으로 마스크 본체가 얼굴에 달라 붙도록 부드러운 신축성으로 압착하여 밀폐를 시키며 외부로 부터 유입되는 독성가스나 매연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 2내지 도 5에서,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투시창(104)이 안구에 접촉되지 않도록 투시창 테두리 지지벽(104a)과 안구 보호벽(104b,104c)을 형성하여 착용시 변형이 되지 않도록 하고,
착용시 마스크 본체가 늘어 나더라도 정화통(111)과 배기통(112)을 압착 밀폐시키는 정화통 홀더(111a)와 배기통 홀더(112a)를 포함한 호흡부가 변형이 되지 않으면서도 얼굴에 밀착되도록 마스크 본체(101)를 구현하는 것이 기술의 핵심이ㄷ된다.
따라서, 귀걸이밴드형(601)이나 뒷머리벨트형(701)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당겨서 착용하는 것은 일반화 되어 있는 하나의 착용 방법에 불과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100)는 불특정 다수인이 출입하는 공공장소, 지하철, 대형쇼핑몰, 영화관, 도로교통의 터널 및 밀폐된 공사장등 특정장소의 작은 공간에 대량 보관할 수 있게 되며, 차량에 보관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상시 휴대하여 화생방 테러나 화재등 긴급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착용하여 유독가스, 매연등 이물질로 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고 시야를 확보하여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안전지대로 대피하거나 대응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피하면서도 휴대용 단말기와 자동 페어링되어 영상정보, 유해가스 정보 그리고 대피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 구조센터에 전송하게 하고, 음성,영상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를 용이하게 하고 인명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
101:마스크 본체, 101-1:마스크본체 외부 좌측면, 101-2:마스크본체 외부 우측면, 102:정화통 지지대, 102a:배기통 지지대, 103:호흡부 중심 접힘축, 103a:투시창 중심 접힘축, 103b:정화통 홀더 버팀대, 103c:배기통 홀더 버팀대, 104:투시창, 104a:투시창 테두리 지지벽, 104b,104c:안구 보호벽, 107:안경테두리 귀걸이 걸침턱, 110:호흡부, 111:정화통 홀더, 111-1:정화통베이스 고정 홈, 111-2:정화통베이스 고정 바, 111a:정화통 베이스, 111b:정화통, 111c:인서트 바 111d:인서트 홈, 111e:가이드 홈, 111f:가이드 바, 111g:정화통 켑, 112:배기통 홀더, 112a:배기통, 112b:실리콘 밸브, 120:SOS 페어링 시스템, 121:SOS 페어링 키트 홀더, 121a:SOS 페어링 키트, 121b: 블루투스 모듈, 121c:영상장치, 121d:조명장치, 121e:유해가스 감지센서, 122:자석홀더, 122a:자석, 123:스피커 홀더, 123a:스피커, 124:마이크, 125:이어폰 케이블, 125a:케이블 가이드바, 126:케이블 저장 릴 와이어, 201:마스크본체 내부 좌측면, 202:마스크본체 내부 우측면, 210:목 보호대, 500:휴대용 단말기, 601:귀걸이 밴드, 701:뒷머리 밸트

Claims (11)

  1. 투명 투시창(104)이 정면에 구비된 얼굴 밀착형 마스크 본체(101); 상기 마스크 본체(101)의 정면 중심에 접힘축으로 형성되어 호흡부(110)와 투시창(104)을 지지하는 중심 접힘축(103,103a)이 마련되고,
    상기 마스크 본체(101) 내부에서 상기 중심 접힘축(103,103a)에 연계되어 착용자의 호흡기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정화통 홀더(111)와 배기통 홀더(112),
    상기 정화통 홀더(111)와 배기통 홀더(112)를 지지하는 지지대(102,102a)와 정화통 홀더(111)와 배기통 홀더(112)를 고정시키는 버팀대(103b,103c)가 구성되 고,
    상기 투명 투시창(104)을 지지하는 중심축(103a)에 투명 투시창 테두리 지지벽(104a)이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마스크 본체(101) 내측에서 상기 투명 투시창이 안구에 접촉되지 않게 하고 호흡시 발생하는 김서림을 방지하도록 투시창에 대응되는 마스크 내측에 3차원 얼굴 곡면을 따라 안구 보호벽(104b,104c)이 구성되고,
    상기 안구 보호벽(104b,104c)의 어느 한쪽이 크거나 작게 엇갈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마스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101)는 얼굴 밀착형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3차원 얼굴 윤곽 곡면을 따라 얼굴과 머리 전체를 감싸는 복면형 마스크 본체(101)로 형성되거나, 목 보호대(210)까지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마스크 본체(101)가 일체형으로 성형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101)는 얼굴 밀착형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3차원 얼굴 윤곽 곡면을 따라 얼굴을 감싸는 안면형 마스크 본체(101)로 형성되어,
    귀걸이 밴드(601)가 형성되거나, 뒷머리 밸트(701)가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마스크 본체(101)가 일체형으로 성형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본체(101)와 일체형으로 성형 사출되는 마그네틱스위치 SOS 페어링 키트 홀더(121)와 자석 홀더(122)가 형성되며, 마그네틱 스위치 SOS 페어링 키트(121a)가 자석(122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 SOS 페어링 키트(121a)는 자석(122a)의 자성에 의해 상기 마스크 본체(101)를 접으면 꺼지고(OFF), 펼치면 켜지는(ON) SOS 페어링 시스템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SOS 페어링 시스템(120) 키트(121a)에는 블루투스 모듈(121b)이 탑재 되고, 조명장치(121d), 유해가스 감지센서(121e), 영상장치(121c)가 동시에 구성되거나 선택적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 SOS 페어링 시스템이 작동되면 휴대폰과 자동 페어링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 SOS 페어링 시스템(120) 키트(121a)에서 발생하는 무선 연결 신호가 휴대용 단말기(500)의 대기모드에서 감지되면 자동 페어링시키고 이때 전송되는 유해가스 정보, 영상정보를 휴대폰 위치정보와 함께 미리 설정된 구조센터에 구조신호를 전송하거나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웹 어플리케이션이 휴대용 단말기(50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101)가 접힘상태로 일체형으로 성형 사출되며 중심부에 중심 접힘축(103,103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통 홀더(111)에는 정화통 베이스(111a) 또는 정화통(111b)이,
    배기통 홀더(112)에는 배기통(112a)이 내측의 공간으로 장착되며, 상기 정화통 홀더(111)와 배기통 홀더(112)는 정화통과 배기통의 지름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정화통 홀더(111)와 배기통 홀더(112)의 탄성력과 신축성에 의해 압착 고정되어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101)의 귀걸이 부분에 안경 테두리 귀걸이 형태의 안경 걸침턱(10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101)는 신축성 있는 낮은 경도로 고 인장력을 갖도록 구성되며, 투시창 부(103a,104,104a,104b,104c)와 호흡부(102,102a,103,103b,103c,110, 111,112)는 단단한 형태로 구성되어 마스크 본체(101)가 일체형으로 성형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
KR1020230019043A 2023-02-13 2023-02-13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와 그 제조 방법 KR102594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043A KR102594104B1 (ko) 2023-02-13 2023-02-13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와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043A KR102594104B1 (ko) 2023-02-13 2023-02-13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와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104B1 true KR102594104B1 (ko) 2023-10-26

Family

ID=88508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043A KR102594104B1 (ko) 2023-02-13 2023-02-13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와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10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859B1 (ko) * 2014-10-17 2015-04-21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KR20170119999A (ko) * 2016-04-20 2017-10-30 박정호 걸이끈과 마스크의 연결을 위한 결합체가 조립되는 마스크
KR200485160Y1 (ko) * 2016-06-20 2018-01-10 주식회사 서우에스피 일자관통홈을 갖는 물건의 잠금핀
KR20210108584A (ko) * 2020-02-26 2021-09-03 주식회사 이노 (Inno)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용 조립체
KR20220025377A (ko) * 2020-08-24 2022-03-03 와이지에프 주식회사 긴급재난시 마스크 착용자 위치 추적시스템
KR20220154589A (ko) 2021-05-13 2022-11-22 김재복 포켓용 실리콘 성형 방독면과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859B1 (ko) * 2014-10-17 2015-04-21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KR20170119999A (ko) * 2016-04-20 2017-10-30 박정호 걸이끈과 마스크의 연결을 위한 결합체가 조립되는 마스크
KR200485160Y1 (ko) * 2016-06-20 2018-01-10 주식회사 서우에스피 일자관통홈을 갖는 물건의 잠금핀
KR20210108584A (ko) * 2020-02-26 2021-09-03 주식회사 이노 (Inno)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용 조립체
KR20220025377A (ko) * 2020-08-24 2022-03-03 와이지에프 주식회사 긴급재난시 마스크 착용자 위치 추적시스템
KR20220154589A (ko) 2021-05-13 2022-11-22 김재복 포켓용 실리콘 성형 방독면과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2600B2 (en) Biohazard mask suitable for civilians
US5690095A (en) Emergency escape breathing apparatus
EP0876830A2 (en) Improved protective breathing mask
CN102958571A (zh) 一种用于papr的全面罩
US20050241642A1 (en) Breathing respirator
US20230356010A1 (en) Head encapsulation unit
US2365779A (en) Gas mask
US20230029404A1 (en) Balanced Device Providing Filtered Air for a User
KR20160148920A (ko) 안면 부착형 긴급 대피용 마스크
KR101298769B1 (ko) 건물 내 구명 호흡 장치
KR102594104B1 (ko)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와 그 제조 방법
KR20220154589A (ko) 포켓용 실리콘 성형 방독면과 그 제조 방법
KR200431561Y1 (ko) 산소호흡기용 후드
KR200381616Y1 (ko) 일회용 방진 및 방독 마스크
KR101777464B1 (ko) 휴대용 마스크
KR20160082190A (ko) 다기능 안전면체
CN213131657U (zh) 一种紧急逃生呼吸装置
KR100452167B1 (ko) 개인휴대용 화재안전 방독가스 마스크
CN115768298A (zh) 具有安全特征的个人空气过滤装置
WO2013154344A1 (ko) 의사소통이 용이한 밀폐 마스크
CN218389923U (zh) 一种安全通话头盔
KR200389348Y1 (ko) 비상용 호흡기
CN214074763U (zh) 一种平视显示全面罩及正压式消防空气呼吸器
CN212282593U (zh) 一种带有夜视功能的呼吸面罩
CN215427034U (zh) 一种消防系统用的应急逃生用的口鼻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