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331B1 - 화재 대피용 워터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 - Google Patents

화재 대피용 워터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331B1
KR102347331B1 KR1020210088994A KR20210088994A KR102347331B1 KR 102347331 B1 KR102347331 B1 KR 102347331B1 KR 1020210088994 A KR1020210088994 A KR 1020210088994A KR 20210088994 A KR20210088994 A KR 20210088994A KR 102347331 B1 KR102347331 B1 KR 102347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sk
pack
packaging
wrapp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은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은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은탑
Priority to KR1020210088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9/00Cartridges with absorbing substances for respirator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72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med by arranging one flexible container within ano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터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는 착용자 안면에 접하는 내측 커버와, 내측 커버의 일면을 덮도록 결합하는 외측 커버, 그리고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고 물을 수용하는 워터팩을 포함하고, 외력에 의해 워터팩이 파손되면 워터팩에 수용된 물이 흘러나와 내측 커버 또는 외측 커버를 적신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는 워터 마스크와, 워터 마스크를 수용하여 포장하는 포장지와 워터 마스크의 워터팩을 파손시키기 위한 파손 수단을 구비하는 포장팩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별도의 물 없이도 내장된 워터팩을 터뜨려 젖은 상태의 마스크를 착용 가능하도록 하여, 화재 대피시 입과 코를 가릴 천과 천을 적실 물을 찾고, 천에 물을 적시기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키며, 두 손이 자유로운 상태로 대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대피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워터 마스크를 포장하는 포장팩에 워터 마스크의 워터팩을 파손시키기 위한 파손 핀이 구비되어, 워터 마스크가 포장팩에 포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단순한 가압 조작만으로 워터 마스크의 워터팩이 터져 워터 마스크가 젖도록 함으로써, 혼란스러운 화재 상황 속에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워터팩을 터뜨려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재 대피용 워터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wet mask for fire evacuation and packaging kit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워터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물 없이도 내장된 워터팩을 터뜨려 젖은 상태의 마스크를 착용 가능하도록 하여, 화재 대피시 입과 코를 가릴 천과 천을 적실 물을 찾고, 천에 물을 적시기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키며, 두 손이 자유로운 상태로 대피 가능하도록 하는 워터 마스크와, 이를 포함하는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에 관한 것이다.
화재 발생 시 발생하는 대부분의 인명 피해는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독가스에 의한 것으로, 조사에 의하면 화재 사망자의 약 80%가 화재로 인한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사로 조사되었다.
일반적으로 화재 발생 시에는 여러가지 유독성 가스가 동시에 발생하고, 화재 현장의 사람들은 발생한 여러 유독성 가스에 의해 1차 질식 쇼크 상태가 초래되며, 이로 인하여 위험지역을 탈출하는 대피능력의 상실로 인하여 일산화탄소 가스와 같은 환원성 가스에 의해 몸속의 산소를 빼앗겨 2차로 산소 결핍 현상에 의한 질식상태에 이르게 된다.
화재지점으로부터 안전한 위치까지의 대피 거리를 시간적으로 계산했을 때 통계적으로 5분에 불과하다. 하지만, 유독성 가스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유독성 가스를 3분 이상 들이마시면 심정지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대피자가 무사히 대피하기 위해서는 유독성 가스를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물에 젖은 천 등은 유독성 가스를 어느 정도 차단할 수 있어, 화제 대피 시에는 물에 젖은 천으로 코와 입을 막고 대피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실재 화재 발생 시, 물에 적실 천을 찾거나 또는 천을 적실 물을 찾기는 쉽지 않으며, 물에 적실 천을 찾거나 또는 천을 적실 물을 찾고 천을 물에 적시기까지의 시간 소요로 인하여 탈출하기까지의 골든타임을 놓쳐 오히려 더욱 위험해질 수 있다.
또한, 천을 물에 적시는데 시간 소요가 적었다 하였다 하더라도, 젖은 천으로 코와 입을 막기 위해서 한 손이 자유롭지 못한 상태가 되어 신속한 대피에 장애요소가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55913호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별도의 물 없이도 내장된 워터팩을 터뜨려 젖은 상태의 마스크를 착용 가능하도록 하여, 화재 대피시 입과 코를 가릴 천과 천을 적실 물을 찾고, 천에 물을 적시기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키며, 두 손이 자유로운 상태로 대피 가능하도록 하는 워터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워터 마스크를 포장하는 포장팩에 워터 마스크의 워터팩을 파손시키기 위한 파손 핀이 구비되어, 워터 마스크가 포장팩에 포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단순한 가압 조작만으로 워터 마스크의 워터팩이 터져 워터 마스크가 젖도록 하는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파손 핀이 상측 포장지 또는 하측 포장지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판이 구비되어, 워터팩을 터뜨리기 위한 사용자의 포장팩 가압 조작 시 사용자의 손을 파손 핀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는, 착용자 안면에 접하는 내측 커버와, 내측 커버의 일면을 덮도록 결합하는 외측 커버, 그리고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고 물을 수용하는 워터팩을 포함하고, 외력에 의해 워터팩이 파손되면 워터팩에 수용된 물이 흘러나와 내측 커버 또는 외측 커버를 적신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는 상술한 워터 마스크와, 워터 마스크를 수용하여 포장하는 포장지와 워터 마스크의 워터팩을 파손시키기 위한 파손 수단을 구비하는 포장팩을 포함한다.
이때, 포장지는 수용된 워터 마스크의 상측을 덮는 상측 포장지와, 하측을 덮는 하측 포장지를 포함하고, 파손 수단은 상측 포장지의 내측 또는 하측 포장지의 내측에서, 수용된 워터 마스크를 향해 돌출 배치되는 파손 핀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측 포장지와 하측 포장지가 상호 간에 접근하도록 가압하면, 파손 핀이 워터 마스크의 워터팩을 파손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포장지는 충진 가스가 주입된 후 밀봉되어 워터 마스크를 포장하고, 포장팩은 밀봉된 상태에서 충진 가스에 의해 파손 핀이 워터 마스크와 이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포장지를 가압할 때 파손 핀이 상측 포장지 또는 하측 포장지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측 포장지 또는 하측 포장지의 적어도 일부 면적에는 보호판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포장팩은 수용된 워터 마스크로부터 파손 핀을 가로막도록 워터 마스크와 파손 핀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판을 더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측 포장지와 하측 포장지가 상호 간에 접근하도록 가압하면, 파손 핀은 차단판을 관통하여 워터 마스크의 워터팩을 파손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포장팩은 차단판이 파손 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차단판에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물 없이도 내장된 워터팩을 터뜨려 젖은 상태의 마스크를 착용 가능하도록 하여, 화재 대피시 입과 코를 가릴 천과 천을 적실 물을 찾고, 천에 물을 적시기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키며, 두 손이 자유로운 상태로 대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대피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워터 마스크를 포장하는 포장팩에 워터 마스크의 워터팩을 파손시키기 위한 파손 핀이 구비되어, 워터 마스크가 포장팩에 포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단순한 가압 조작만으로 워터 마스크의 워터팩이 터져 워터 마스크가 젖도록 함으로써, 혼란스러운 화재 상황 속에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워터팩을 터뜨려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손 핀이 상측 포장지 또는 하측 포장지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판이 구비되어, 워터팩을 터뜨리기 위한 사용자의 포장팩 가압 조작 시 사용자의 손을 파손 핀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별도의 힘 조절 없이도 안전하게 워터팩을 터뜨려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의 분해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에서 워터팩에 물이 수용된 모습과 워터팩에 수용된 물이 흘러나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의 내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에서 외력에 의해 포장팩이 가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의 내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에서 외력에 의해 포장팩이 가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와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에서 포장팩에 외력이 가해졌다가 가해진 외력이 해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는 워터 마스크(10)와, 워터 마스크(10)를 수용하여 포장하는 포장팩(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10)는 별도의 물 없이도 내장된 물을 이용해 젖은 상태의 마스크를 착용 가능하도록 하여, 화재 대피시 입과 코를 가릴 천과 천을 적실 물을 찾고, 천에 물을 적시기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키며, 두 손이 자유로운 상태로 대피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팩(15)이 내장될 수 있다. 워터팩(15)에는 순수한 물인 정제수가 수용될 수 있으며, 워터팩(15)은 비교적 파손되기 쉬운 비닐류 또는 우레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화재 발생 시 사용자는 날카로운 핀 등의 수단을 이용하거나 손으로 가압하여 워터팩(15)을 파손시킬 수 있으며, 워터팩(15)이 파손되면 파손된 워터팩(15)으로부터 수용된 정제수가 흘러나와 워터 마스크가 적셔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물이 없이도 적셔진 천(워터 마스크)를 구비할 수 있어 적셔진 천을 준비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는 얼굴에 착용 가능한 마스크 형태이기에 적셔진 워터 마스크로 코와 입을 가린 상태에서 두 손이 자유로울 수 있어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포장팩(30)은 워터 마스크(10)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워터 마스크(10)를 수용하여 포장하는 것으로, 수용된 워터 마스크(1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질소 등의 충진 가스가 주입될 수 있다.
또한, 포장팩(30)에는 워터 마스크의 워터팩(15)을 쉽게 파손시킬 수 있는 파손 수단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워터 마스크(10)가 포장팩(30)에 포장된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는 유동인구가 많은 지하철 역사, 백화점, 공항 등에 비치하여 화재 발생에 대비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의 분해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에서 워터팩에 물이 수용된 모습과 워터팩에 수용된 물이 흘러나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워터 마스크(10)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워터 마스크(10)는 착용 시 착용자의 안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내측 커버(11)와, 내측 커버(11)의 일면을 덮도록 내측 커버(11)에 결합하는 외측 커버(13), 그리고 내측 커버(11)와 외측 커버(13)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고 물(정제수)을 수용하는 워터팩(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외측 커버(13)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워터 마스크(10)를 얼굴에 착용 가능하도록 귀에 걸리는 스트랩을 구비할 수 있으며, 스트랩은 외측 커버(13)가 아닌 내측 커버(11)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외측 커버(13)와 내측 커버(11)는 모두 워터팩(15)으로부터 흘러나온 물을 흡수하기 유리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천 또는 면과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착용자의 입과 코에 직접적으로 접하는 내측 커버(11)는 물을 흡수하기 유리한 재질로 제작되되, 내측 커버(11)의 외면을 덮는 외측 커버(13)는 내측 커버(11)에 흡수된 물의 증발을 막도록 방수 가능한 통기성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워터팩(15)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에는 물(w)을 수용한 상태로 내측 커버(11)와 외측 커버(13)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고, 사용자의 가압에 의한 외력 또는 핀과 같은 파손 수단에 의해 파손되면, 수용된 물(w)이 흘러나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커버(11) 또는 외측 커버(13)를 적실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의 내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에서 외력에 의해 포장팩이 가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의 포장팩(30)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팩(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 마스크(10)를 수용하여 포장하는 포장지(31)와, 수용된 워터 마스크의 워터팩(15)을 파손시키기 위한 파손 수단(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포장지(31)는 수용된 워터 마스크(10)의 상측을 덮는 상측 포장지(311)와, 하측을 덮는 하측 포장지(313)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주입된 질소 등의 충진 가스(g)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기밀 유지 가능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파손 수단(33)은 상측 포장지(311)의 내측(하면) 또는 하측 포장지(313)의 내측(상면)에서, 수용된 워터 마스크(10)를 향해 돌출 배치되는 파손 핀(33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포장지(311)와 하측 포장지(313)가 상호 간에 접근하도록 가압하면, 파손 핀(331)이 워터 마스크의 워터팩(15)을 파손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포장지(31)를 파손시켜 내부의 충진 가스가 외부로 새어 나오게 한 후 포장지(31)를 가압하여 파손 핀(331)을 통해 워터 팩(15)을 파손시키거나 또는 포장지(31)를 강하게 내리쳐 포징지(31)가 터짐과 동시에 파손 핀(331)이 워터 팩(15)을 파손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는 워터 마스크(10)가 포장팩(30)에 포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단순한 가압 조작만으로 워터 마스크의 워터팩(15)이 터져 워터 마스크(10)가 젖도록 함으로써, 혼란스러운 화재 상황 속에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워터팩(15)을 터뜨려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파손 핀(331)은 다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포장지(311)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측 포장지(311)와 하측 포장지(313)의 외측 면에는 상하측 구분 가능한 표시가 마킹되며, 관리자는 마킹된 표시를 통해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의 비치 시 상측 포장지(311)가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 상태에서, 포장지(31) 내에 수용된 워터 마스크는 하측 포장지에 안착하여 위치되고 충진 가스(g)에 의해 상측 포장지(311)와 하측 포장지(313) 간에 충분히 이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포장지(31)가 밀봉된 상태에서 파손 핀(331)은 워터 마스크(10)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워터 마스크의 워터팩(15)이 파손되지 않고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다.
한편, 파손 핀(331)을 통해 워터 마스크의 워터팩(15)을 파손시키도록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포장지(31)를 가압할 때, 파손 핀(331)이 상측 포장지(311) 또는 하측 포장지(313)를 관통하여 나온다면 사용자의 손이 파손 핀(331)에 의해 다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팩(30)에는 파손 핀(331)이 포장지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판(35)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판(35)은 파손 핀(331)이 상측 포장지(311)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측 보호판(351)과, 파손 핀(331)이 하측 포장지(313)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측 보호판(3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측 보호판(351)은 파손 핀(331)이 상측 포장지(311)를 관통하지 못하도록 상측 포장지(311) 내측에서 상측 포장지(311)와 적층 배치될 수 있으며, 하측 보호판(353)은 파손 핀(331)이 하측 포장지(313)를 관통하지 못하도록 하측 포장지(313) 내측에서 하측 포장지(313)와 적층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측 보호판(351)과 하측 보호판(353)은 파손 핀(331)이 쉽게 돌파하지 못하도록 고무, 철,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는 워터팩(15)을 터뜨리기 위한 사용자의 포장팩(30) 가압 조작 시 보호판(35)이 사용자의 손을 파손 핀(331)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별도의 힘 조절 없이도 안전하게 워터팩(15)을 터뜨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측 보호판(351)과 하측 보호판(353)의 재질은 파손 핀(331)의 두께와 재질 강도 등을 고려해 파손 핀(331)이 쉽게 관통하지 못하는 재질이 선택될 수 있으며, 상측 보호판(351)과 하측 보호판(353)은 서로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파손 핀(331)이 상측 포장지(311)의 내측면에서 하향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파손 핀(331)의 하측 끝단이 상대적으로 날카롭게 제조되어 하측 방향으로의 관통력이 높으므로, 하측 보호판(353)이 상측 보호판(351)보다 강성의 재질로 제작되고 상측 보호판(351)은 원가를 고려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 포장지(311)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가 배치된 경우 사용자가 상측 포장지(311)를 손으로 가압하여 사용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상측 보호판(351)이 하측 보호판(353)보다 강성의 재질로 제작되고 하측 보호판(353)은 원가를 고려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의 내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에서 외력에 의해 포장팩이 가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9의 (a)와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에서 포장팩에 외력이 가해졌다가 가해진 외력이 해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는 워터 마스크(10)의 포장 시 충진 가스를 주입하고, 파손 핀(331)이 배치된 상측 포장지(311)가 상향 배치되도록하여,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의 보관 시 파손 핀(331)을 워터 마스크의 워터팩(15)으로부터 이격 배치 시킴으로써, 의도치 않게 워터 마스크 워터팩(15)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를 이송하는 도중에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가 상하 방향으로 흔들리면, 워터 마스크(10)가 포장지(31) 내부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파손 핀(331)에 의해 워터 마스크의 워터팩(15)이 파손될 위험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이송 중의 워터팩(15)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의 포장팩(30')은 워터 마스크(10)로부터 파손 핀(331)을 가로막도록 배치되는 차단판(37)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에서 워터 마스크(1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10)의 구성 및 특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10)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에서 포장팩(30')은 포장지(31), 파손 수단(33), 보호판(35)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31), 파손 수단(33), 보호판(35)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31), 파손 수단(33), 보호판(35)의 구성 및 특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팩(30')의 포장지(31), 파손 수단(33), 보호판(35)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차단판(37)은 수용된 워터 마스크(10)로부터 파손 핀(331)을 가로막도록 워터 마스크(10)와 파손 핀(3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별도의 탄성체(3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탄성체(39)는 상측 보호판(351)과 차단판(37) 사이에서 상호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차단판(37)은 포장지(31)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평소 상태에서 파손 핀(33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워터 마스크(10)로부터 이격 배치되거나 워터 마스크(10)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를 이송하는 도중에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가 상하 방향으로 흔들려, 워터 마스크(10)가 포장지(31) 내부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도, 워터 마크스(10)가 차단판(37)에 가로막혀 파손 핀(331)에 의한 파손 위험이 저감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39)의 탄성 복원력 강도는 워터 마스크(10)의 자중에 비례하도록 제작하여, 차단판(37)이 워터 마스크(10)의 상향 이동을 충분히 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차단판(37)은 파손 핀(331)이 쉽게 관통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거나 또는 파손 핀(331)이 관통 가능하도록 파손 핀(331)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측 포장지(311)와 하측 포장지(313)가 상호 간에 접근하도록 가압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39)가 압축되고 차단판(37)이 상측 보호판(351)과 근접하게 이동되면서 파손 핀(331)은 차단판(37)을 관통하여 워터 마스크의 워터팩(15)을 파손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손 핀(331)이 워터 마스크의 워터팩(15)에 삽입 또는 관통 시, 워터팩(15)이 터지지 않고 그 형상을 유지한다면, 파손 핀(331)의 삽입 또는 관통에 의해 워터팩(15)에 형성된 홀이 파손 핀(331)에 의해 막혀 워터팩(15)으로부터 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팩(30')은 탄성체(39)의 탄성 복원력이 차단판(37)이 파손 핀(33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작용하여,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외력이 사라지면 탄성체(3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파손 핀(331)이 워터 마스크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외력이 사라지면 탄성체(3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파손 핀(331)이 워터팩(15)으로부터 이탈되며, 이로 인해 워터팩(15)에 형성된 홀에서 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워터 마스크
11: 내측 커버
13: 외측 커버
15: 워터팩
30: 포장팩
31: 포장지
311: 상측 포장지
313: 하측 포장지
33: 파손 수단
331: 파손 핀
35: 보호판
351: 상측 보호판
353: 하측 보호판
37: 차단판
39: 탄성체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착용자 안면에 접하는 내측 커버와, 상기 내측 커버의 일면을 덮도록 결합하는 외측 커버, 그리고 상기 내측 커버와 상기 외측 커버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고 물을 수용하는 워터팩을 구비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워터팩이 파손되면 상기 워터팩에 수용된 물이 흘러나와 상기 내측 커버 또는 상기 외측 커버를 적시는 워터 마스크; 및
    상기 워터 마스크를 수용하여 포장하는 포장지와 상기 워터 마스크의 워터팩을 파손시키기 위한 파손 수단을 구비하는 포장팩을 포함하며,
    상기 포장지는 수용된 상기 워터 마스크의 상측을 덮는 상측 포장지와, 하측을 덮는 하측 포장지를 포함하고,
    상기 파손 수단은 상기 상측 포장지의 내측 또는 상기 하측 포장지의 내측에서, 수용된 상기 워터 마스크를 향해 돌출 배치되는 파손 핀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상측 포장지와 상기 하측 포장지가 상호 간에 접근하도록 가압하면, 상기 파손 핀이 상기 워터 마스크의 워터팩을 파손 가능하고,
    상기 포장지는 충진 가스가 주입된 후 밀봉되어 상기 워터 마스크를 포장하며,
    상기 포장팩은 밀봉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 가스에 의해 상기 파손 핀이 상기 워터 마스크와 이격 가능하고,
    상기 포장팩은 수용된 상기 워터 마스크로부터 상기 파손 핀을 가로막도록 상기 워터 마스크와 상기 파손 핀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판을 더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상측 포장지와 상기 하측 포장지가 상호 간에 접근하도록 가압하면, 상기 파손 핀은 상기 차단판을 관통하여 상기 워터 마스크의 워터팩을 파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포장지를 가압할 때 상기 파손 핀이 상기 상측 포장지 또는 하측 포장지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측 포장지 또는 하측 포장지의 적어도 일부 면적에는 보호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
  6. 삭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팩은
    상기 차단판이 파손 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차단판에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


KR1020210088994A 2021-07-07 2021-07-07 화재 대피용 워터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 KR102347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994A KR102347331B1 (ko) 2021-07-07 2021-07-07 화재 대피용 워터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994A KR102347331B1 (ko) 2021-07-07 2021-07-07 화재 대피용 워터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331B1 true KR102347331B1 (ko) 2022-01-10

Family

ID=79347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994A KR102347331B1 (ko) 2021-07-07 2021-07-07 화재 대피용 워터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33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0307A (en) * 1986-12-15 1988-12-13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Disposable surgical mask having a self-contained supply of anti-bacterial material
KR20040077087A (ko) * 2003-02-27 2004-09-04 이성문 마스크 속에 생수 및 기능성 물주머니를 삽입하는 제조방법
KR20040097997A (ko) * 2002-02-14 2004-11-18 더 파이어드릴 컴파니, 아이앤씨 방연 마스크
US20080223372A1 (en) * 2004-07-14 2008-09-18 Tsung-Yuan Ku Modified eye and mouth mask structure for escape from dense smoke of fire accident
JP3178657U (ja) * 2012-06-20 2012-09-27 バイオニックスジャパン株式会社 濡れマスク
KR20140042760A (ko) * 2012-09-28 2014-04-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 대피용 마스크
KR102005077B1 (ko) * 2018-04-30 2019-07-29 (주)피노스토리 비상용 방독키트
KR20210055913A (ko) 2019-11-08 2021-05-18 이동민 긴급 화재대피 산소마스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0307A (en) * 1986-12-15 1988-12-13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Disposable surgical mask having a self-contained supply of anti-bacterial material
KR20040097997A (ko) * 2002-02-14 2004-11-18 더 파이어드릴 컴파니, 아이앤씨 방연 마스크
KR20040077087A (ko) * 2003-02-27 2004-09-04 이성문 마스크 속에 생수 및 기능성 물주머니를 삽입하는 제조방법
US20080223372A1 (en) * 2004-07-14 2008-09-18 Tsung-Yuan Ku Modified eye and mouth mask structure for escape from dense smoke of fire accident
JP3178657U (ja) * 2012-06-20 2012-09-27 バイオニックスジャパン株式会社 濡れマスク
KR20140042760A (ko) * 2012-09-28 2014-04-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 대피용 마스크
KR102005077B1 (ko) * 2018-04-30 2019-07-29 (주)피노스토리 비상용 방독키트
KR20210055913A (ko) 2019-11-08 2021-05-18 이동민 긴급 화재대피 산소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032B1 (ko)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
KR102147524B1 (ko) 화재 대피용 방연 마스크
KR102347331B1 (ko) 화재 대피용 워터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워터 마스크 포장 키트
US11904190B2 (en) Life-saving towel with function of generating oxygen
US4669462A (en) Disposable emergency respirator
KR20190104364A (ko) 배송 보호 및 충돌 검출을 위한 포장 재료
KR100890907B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CN112041032A (zh) 应急用防毒套件
US3173162A (en) Life saving appliance with inflatable bag
JPH02242766A (ja) 安全装置を備えたガス密な容器
KR20190127600A (ko) 여과 마스크, 포장된 여과 마스크 및 찢을 수 있는 용기
KR100481669B1 (ko) 방독면을 구비한 배낭
KR200483699Y1 (ko) 휴대용 위치 추적 공기 호흡기
CN208465012U (zh) 一种易识别的荧光防护头罩
JPH0191872A (ja) 酸素発生形呼吸用保護具収納体
EP2925414B1 (en) Improved protective breathing apparatus inhalation duct
CN202143758U (zh) 一种消防安全逃生包
KR20220017665A (ko) 물 흡수형 마스크
KR102250848B1 (ko) 개인 비상용 산소호흡기
KR102465234B1 (ko) 산소 공급이 가능한 안전모
KR20230146799A (ko) 화재발생시 대피용 산소마스크
CN213307025U (zh) 松材线虫病防治疫木消杀袋
CN218635473U (zh) 一种应急包
KR102631751B1 (ko) 화재대피 마스크
KR102656818B1 (ko) 산소 공급이 가능한 안전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