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107B1 -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107B1
KR101431107B1 KR1020080005610A KR20080005610A KR101431107B1 KR 101431107 B1 KR101431107 B1 KR 101431107B1 KR 1020080005610 A KR1020080005610 A KR 1020080005610A KR 20080005610 A KR20080005610 A KR 20080005610A KR 101431107 B1 KR101431107 B1 KR 101431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ayer
light
emitting element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9993A (ko
Inventor
히데카즈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9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66Electrodes made of transparent conductive layers, e.g. TCO, ITO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1Electrodes
    • H10K30/82Transparent electrodes, e.g. indium tin oxide [ITO]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2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3Aluminum [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8Nickel [N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8Platinum [P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9Gold [Au]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26Top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색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제조가 용이하며, 톱 이미션 방식의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표시 장치에서는, 발광 소자(12)의 발광 기능층(20)의 발광층에서 발한 빛 중 특정의 색의 빛이 간섭에 의해 강해져 대향 전극층(22)으로부터 출사하도록, 반사층(14)과 대향 전극층(22)의 거리가 설정되어 있다. 발광 소자(12)에는, 청색의 빛이 강해지는 발광 소자(12B)와, 적색의 빛이 강해지는 발광 소자(12R)가 적어도 있다. 청색의 빛이 강해지는 발광 소자(12B)와, 적색의 빛이 강해지는 발광 소자(12R)에서는, 반사층(14)측의 화소 전극층(18(18B, 18R))이 공통이며, 반사층(14)과 발광 소자(12)의 사이의 절연성 투명층(16)도 공통이다.
색 순도, 톱 이미션, 표시 장치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빛의 공진(resonance) 작용을 이용하여, 단층의 발광층으로부터 복수색의 발광을 취출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의 기술에서는, 간단한 구조로 컬러 표시 장치가 실현 가능하다. 그러나, 다른 발광색의 화소마다 투명 전극의 막두께를 바꿀 필요가 있어, 예를 들면 에칭과 같은 제조 공정이 늘어나, 제조 비용의 상승을 피할 수 없다.
특허 문헌 2는, 공진기 구조를 이용한 데다가, 공진 광로 길이를 발광 소자의 각 색의 중심 파장의 최소 공배수에 맞추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 기술에서는, 공진기 구조의 효과인, 빛의 색 순도 및 취출 효율의 향상을 달성하고자 한다. 또한, 이 기술에서는, 공진기 구조를 구성하는 복수의 층을, 어느 색의 발광 소자라도 공통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을 간이화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 제279788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111398호
그러나,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구조는, 보톰(bottom) 이미션 방식이 전제이다. 보톰 이미션 방식에서는, 기판을 통하여 빛을 방출하기 때문에, 방출되는 빛의 휘도가 저하하기 쉽상이다. 또한, 기판과 발광 소자의 사이에는,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 또는 배선이 배치되기 때문에, 톱(top) 이미션 방식보다도 보톰 이미션 방식에서는, 큰 개구율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이 구조는, 발광층과 기판의 사이에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반(半)투명 반(半)반사막이 배치되고, 음극층과 반투명 반반사막의 사이의 빛의 왕복에 의해, 빛의 색 순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소망의 투명 특성 및 소망의 반사 특성을 일관되게 얻을 수 있도록, 반투명 반반사막을 제조하는 것은 곤란하며, 빛의 색 순도의 향상 특성을 반투명 반반사막에만 의존하는 것으로는, 실제의 제품에서는 특성의 불안정화를 초래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색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제조가 용이하며, 톱 이미션 방식의 구조를 갖는 발광 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발광 소자와, 상기 기판과 상기 발광 소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 소자에서 발한 빛을 반사하는 반사층을 구비하고, 상기 발광 소자의 각각은, 상기 반사층에 접하는 투 명층과, 그 상면에 배치된 발광층과, 상기 발광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반사층의 반대측에 있는 투명성을 갖는 전극층을 갖고, 상기 발광 소자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발광층에서 발한 빛 중 특정의 색의 빛이 간섭에 의해 강해져 상기 투명성을 갖는 전극층으로부터 출사하도록, 상기 반사층과 상기 투명성을 갖는 전극층의 거리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발광층에서 발한 빛 중 청색과 적색의 빛이 동시에 강해져 상기 투명성을 갖는 전극층으로부터 출사하는 제1 과 제2 발광 소자를 적어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투명성을 갖는 전극층」은, 입사하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 전극층, 또는, 입사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켜, 입사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시키는 반투명 반반사 전극층을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투과율이 60% 이상의 투명한 것과, 투과율이 60% 미만의 반투명 반반사성을 갖는 것의 양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톱 이미션 방식의 구조를 갖기 때문에, 큰 개구율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다. 발광 소자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발광층에서 발한 빛 중 특정의 색의 빛이 간섭에 의해 강해져 상기 투명성을 갖는 전극층으로부터 출사한다. 이 중, 제1 과 제2 발광 소자에 대해서는, 발광층에서 발한 빛 중, 청색과 적색에 상당하는 파장의 빛이 동시에 강해져, 청색과 적색의 순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제1 과 제2 발광 소자에서는 투명층을 공통으로 할 수 있어, 이들의 발광 소자에 대하여 투명층의 제조가 용이하다.
상기 제1 발광 소자에 형성된 투명성을 갖는 전극층의 빛 취출측에는 청색의 빛만 투과하는 컬러 필터를 배치하고, 상기 제2 발광 소자에 형성된 투명성을 갖는 전극층의 빛 취출측에는 적색의 빛만 투과하는 컬러 필터를 배치하면 바람직하다. 상기한 대로, 제1 과 제2 발광 소자에 대해서는, 청색과 적색에 상당하는 파장의 빛이 동시에 강해지지만, 컬러 필터를 배치함으로써, 청색과 적색 중 어느 한 쪽의 빛을 투과시켜, 색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발광층에서 발한 빛 중 녹색의 빛이 강해져 상기 투명성을 갖는 전극층으로부터 출사하는 제3 발광 소자를 추가로 갖고 있고, 상기 제3 발광 소자에 형성된 반사층과 투명성을 갖는 전극층의 거리가, 녹색의 빛을 서로 강하게 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3 발광 소자에 대해서는, 발광층에서 발한 빛 중, 녹색에 상당하는 파장의 빛이 강해져, 녹색의 순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제3 발광 소자에 형성되는 상기 투명층의 두께가,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에 형성되는 상기 투명층의 두께와 동일하면 바람직하다. 제1 발광 소자와, 제2 발광 소자와, 제3 발광 소자에서 투명층의 두께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투명층의 제조가 용이하다.
상기 제3 발광 소자에 형성된 투명성을 갖는 전극층의 빛 취출측에는 녹색의 빛만 투과하는 컬러 필터를 배치하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컬러 필터를 배치함으로써, 녹색의 빛을 투과시켜, 색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투명층이 투명 전극과 절연성 투명층으로 이루어지고, 광공진 길이가 투명 전극의 두께로 조정되면 바람직하다. 즉, 제1 발광 소자와, 제2 발광 소자와, 제3 발광 소자에서 절연성 투명층의 두께를 공통으로 하고, 제1 및 제2 발광 소자의 투명 전극의 두께와, 제3 발광 소자의 투명 전극의 두께를 다르게 하면, 제1 및 제2 발광 소자의 광공진 길이를 제3 발광 소자의 광공진 길이와 다르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절연성 투명층의 두께를 어느 발광 소자에서도 공통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층의 제조가 용이하다.
상기 투명층이 투명 전극과 절연성 투명층으로 이루어지고, 광공진 길이가 절연성 투명층의 두께로 조정되어도 바람직하다. 즉, 제1 발광 소자와, 제2 발광 소자와, 제3 발광 소자에서 투명 전극의 두께를 공통으로 하고, 제1 및 제2 발광 소자의 절연성 투명층의 두께와, 제3 발광 소자의 절연성 투명층의 두께를 다르게 하면, 제1 및 제2 발광 소자의 광공진 길이를 제3 발광 소자의 광공진 길이와 다르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투명 전극의 두께를 어느 발광 소자에서도 공통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투명 전극의 제조가 용이하다.
제1 발광 소자와 제2 발광 소자에 형성되는 투명 전극의 두께가 동일하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제1 발광 소자와 제2 발광 소자에 대하여 투명 전극을 동일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및 제3 발광 소자에 형성되는 투명층 내, 절연성 투명층이 공통으로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절연성 투명층의 두께를 어느 발광 소자에서도 공통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층의 제조가 용이하다.
상기 반사층 및 상기 투명성을 갖는 전극층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기층이, 제1, 제2 및 제3 발광 소자에 걸쳐 공통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제2 및 제3 발광 소자의 각각에 대하여, 특정의 색의 빛이 간섭에 의해 강해지기 때문에, 이 러한 공통의 유기층의 발광을 이용하는 경우라도, 청색, 적색, 녹색의 화소를 갖는 표시 장치로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사층 및 상기 투명성을 갖는 전극층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기층이, 제1 발광 소자에서는 청색의 발광 재료를 포함하고, 제2 발광 소자에서는 적색의 발광 재료를 포함하고, 제3 발광 소자에서는 녹색의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제1 , 제2 및 제3 발광 소자의 각각에 대하여, 특정의 색의 빛이 간섭에 의해 강해지기 때문에, 각 발광 소자에 대하여 청색, 적색, 녹색의 어느 하나의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는, 예를 들면, 화소 표시 장치로서, 상기의 어느 하나의 표시 장치를 구비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단, 도면에 있어서는, 각 부분의 치수의 비율은 실제의 것과는 적절히 다르다.
<제1 실시 형태>
도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풀(full) 컬러형의 톱 이미션 방식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유리 또는 수지 등으로 형성된 평판인 기판(10)과, 이 기판(10)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발광 소자(12R, 12G, 12B) 를 구비한다(도면에서는, 발광 소자(12R, 12G, 12B)를 하나씩만 나타낸다). 첨자 R, G, B는, 각각 빨강, 초록, 파랑을 나타내고, 발광층에서 발하는 빛 중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하기까지 강해지는 색의 성분에 대응한다. 발광 소자(12)는, 유기 EL 소자 즉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소자이다.
기판(10)과 발광 소자(12)의 사이에는, 발광 소자(12)에서 발한 빛을 반사하는 반사층(14)이 배치되어 있다. 반사층(14)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 니켈, 금, 백금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기판(10)에는,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 또는 배선이 배치된다.
반사층(14)의 위에는, 절연성 투명층(투명층)(16)이 배치되어 있다. 절연성 투명층(16)은, 예를 들면 질화규소, 산화규소, 산질화규소, ZnO2, 또는 Al2O3 등의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재료는, 가스 투과율이 낮은 무기 재료이기 때문에, 절연성 투명층(16)은, 상기의 박막 트랜지스터, 반사층(14), 또는 배선을 산화 등의 열화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층(패시베이션(passivation)층)으로서 기능한다.
발광 소자(12)의 각각은, 제1 전극층인 투명한 화소 전극층(투명층의 일부인 투명 전극)(18), 발광 기능층(20) 및, 제2 전극층인 투명성을 갖는 대향 전극층(투명성을 갖는 전극층)(22)을 갖는다. 도면에서는 화소 전극층을 나타내는 부호(18)에, 이 화소 전극층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12R, 12G, 12B)에 따라 첨자 R, G, B를 붙인다. 화소 전극층(18)은, 이 실시 형태에서는 양극으로, 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 Indium Zinc Oxide, 또는 Indium Germanium Oxide와 같은 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투명 재료는, 예를 들면 이온 플레이팅과 같은 제막법(製膜法)에 의해 절연성 투명층(16)상에 형성할 수 있다.
발광 기능층(20)은, 예를 들면,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유기 재료의 층이다. 단, 발광 기능층(20)이 이들의 층을 모두 가질 필요는 없고, 적어도 발광층을 갖고 있으면 된다. 그 외, 정공 또는 전자가 발광층으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공 블록층 또는 전자 블록층을 발광 기능층(20)이 갖고 있어도 좋다. 발광 기능층(20)을 구성하는 층은, 예를 들면 증착과 같은 제막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대향 전극층(22)은,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음극으로, 도시하지 않지만 두 개의 층을 갖는다. 제1 층은 워크 함수(work function)가 낮은 재료, 예를 들면 칼슘으로부터 극히 얇은 두께로 형성되고, 제2 층은, 앞서 제시한 ITO와 같은 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보조 음극으로서 형성되지만, 화소 주변부에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이 높은 금속으로 보조 음극을 형성할 경우에는 제2층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제1 층은 발광 기능층(20)에 접하고 있고, 제2층은 제1층을 사이에 두고 발광 기능층(20)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이들의 제1층 및 제2층은, 모두 예를 들면 증착과 같은 퇴적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제1층을 칼슘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칼슘 박막(제1층)에 이어 제2층을 형성함으로써, 제2층이 포함하는 산소에 의해 칼슘이 산화되어, 대향 전극층(22)은, 투과율 90% 이상의 투명하고 또한 전자 주입성이 우수한 음극이 된다. 제2층으로서 반사율이 높은 금속, 예를 들면 은, 또는 마그네슘과 은의 합금 등을 반투명성을 갖는 범위로 제막해도 좋다.
발광 소자(12)는, 절연성 재료로 형성된 뱅크(bank) 즉, 격벽(24)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격벽(24)은, 예를 들면 이산화규소와 같은 무기 재료나, 폴리아크릴 수지나 폴리이미드 수지와 같은 유기 고분자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격벽(24)은, 발광 소자(12)의 화소 전극층(18)의 바깥 테두리를 덮도록, 절연성 투명층(16)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화소 전극층(18)은 발광 소자(12)마다 형성된 개별 전극이지만, 발광 기능층(20)은 복수의 발광 소자(12)에 공통이다. 발광 기능층(20)은, 격벽(24)을 덮음과 아울러, 복수의 발광 소자(12)의 화소 전극층(18) 중 격벽(24)으로 덮여져 있지 않은 중앙 영역(화소 개구)에 접하고 있다. 또한, 대향 전극층(22)은 복수의 발광 소자(12)에 공통인 공통 전극이다. 대향 전극층(22)은, 이와 같은 발광 기능층(20)을 덮는다.
대향 전극층(22)을 덮도록, 투명한 보호층(패시베이션층)(26)이 배치되어 있다. 보호층(26)은, 예를 들면 질화규소 또는 산질화규소 등의 가스 투과율이 낮은 투명한 무기 재료로, 예를 들면 두께 200nm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재료는, 가스 투과율이 낮은 무기 재료이기 때문에, 보호층(26)은, 발광 기능층(20)의 발광층 또는 그 외의 층을 산화 등의 열화로부터 보호한다.
상기의 구조에는, 투명한 접착제(28)에 의해 필터 패널(30)이 접합되어 있다. 필터 패널(30)은, 예를 들면 유리 또는 수지 등의 투명 재료로 형성된 평판 형상의 기판과, 이 기판상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32)와, 이 기판상에 형성된 복 수의 컬러 필터(34)를 갖는다. 컬러 필터(34)는, 각각 발광 소자(12)에 겹쳐져 있고, 특정의 파장 영역의 빛의 대부분을 투과하고,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의 대부분을 흡수한다. 도면에서는 컬러 필터를 나타내는 부호(34)에, 이 컬러 필터가 투과하는 파장 영역에 따라 첨자 R, G, B를 붙인다. 예를 들면, 컬러 필터(34R)는, 빨간 파장 영역(620nm 부근)의 빛의 대부분을 투과하고,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의 대부분을 흡수한다. 이와 같이 발광 소자에 컬러 필터(34)를 겹침으로써, 콘트라스트 및 색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12)에 공통되는 발광 기능층(20)의 발광층은 백색광을 발한다. 발광층에서 발한 빛 중 일부는, 대향 전극층(22) 및 보호층(26)을 투과한다. 한편, 발광층에서 발한 빛 중 다른 일부는, 절연성 투명층(16)을 투과하여 반사층(14)에서 반사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 소자의 각각에 대하여, 발광층에서 발한 백색광 중 특정의 색의 빛이 간섭에 의해 강해져 대향 전극층(22)으로부터 출사하도록, 반사층(14)과 대향 전극층(22)의 거리가 설정되어 있다. 즉, 발광 소자(12B)에 대해서는, 발광층에서 발한 빛 중, 청색에 상당하는 파장의 빛이 강해져, 청색의 순도가 향상된다. 발광 소자(12G)에 대해서는, 발광층에서 발한 빛 중, 녹색에 상당하는 파장의 빛이 강해지고, 다른 파장의 빛이 약해져, 녹색의 순도가 향상된다. 또한, 발광 소자(12R)에 대해서는, 발광층에서 발한 빛 중, 적색에 상당하는 파장의 빛이 강해져, 적색의 순도가 향상된다.
이와 같이 하여 특정의 파장이 강해진 빛 성분을 갖는 빛이 발광 소자(12)에 겹친 컬러 필터(34)를 투과하여, 더욱 색 순도가 향상하여 컬러 필터(34)로부터 출 사한다.
도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 소자(12B)에 겹치는 절연성 투명층(16)의 재료 및 두께, 발광 소자(12G)에 겹치는 절연성 투명층(16)의 재료 및 두께, 및 발광 소자(12R)에 겹치는 절연성 투명층(16)의 재료 및 두께는 서로 동일하다. 화소 전극층(18R, 18G, 18B)은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단, 화소 전극층(18R, 18B)은 동일 두께를 갖지만, 화소 전극층(18G)은, 화소 전극층(18R, 18B)과 다른 두께를 갖는다. 구체적인 두께의 수치 및 재료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에서 서술한다.
절연성 투명층(16)의 재료 및 두께가 어느 발광 소자(12R, 12G, 12B)에 대해서도 공통이며, 화소 전극층(18R, 18B)의 재료 및 두께가 공통이기 때문에, 발광 소자(12R)에 대해서의 반사층(14)과 대향 전극층(22)의 사이의 광학적 거리는, 발광 소자(12B)에 대해서의 반사층(14)과 대향 전극층(22)의 사이의 광학적 거리와 거의 동일하다(단, 굴절률에는 파장 의존성이 있기 때문에, 청파장과 적파장에 대해서, 광학적 거리는 근소하게 다르다). 발광 소자(12R, 12B)에서의 발광 기능층(20)의 발광층에서 발한 백색광은 모두, 반사층(14)에서 반사한 적색 및 청색의 빛 성분에 의해 증가적인 간섭을 받아, 대향 전극층(22)으로부터 출사하기 때문에, 발광 소자(12R, 12B)에 대해서는, 적색과 청색의 파장의 빛이 강해진다. 따라서, 발광 소자(12R, 12B)의 양쪽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동일한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컬러 필터(34R 또는 34B)를 투과함으로써, 이들의 빛 중 적색 또는 청색의 빛의 순도가 향상되어 방출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발광 소자(12B)와 발광 소자(12R)에서는, 반사층(14)측의 화소 전극층(18R, 18B)이 공통이며, 반사층(14)과 발광 소자의 사이의 절연성 투명층(16)도 공통이다. 따라서, 이들의 발광 소자의 층의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절연성 투명층(16)의 재료 및 두께가 어느 발광 소자(12R, 12G, 12B)에 대해서도 공통이기 때문에, 절연성 투명층(16)의 제조가 용이하다.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
도2 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풀 컬러형의 톱 이미션 방식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 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고, 그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어느 발광 소자(12R, 12G, 12B)의 화소 전극층(18R,18B, 18G)이라도 동일 재료 및 동일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발광 소자(12R, 12G, 12B)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절연성 투명층(16)은,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단, 발광 소자(12R, 12B)에 겹친 절연성 투명층(16)은 동일 두께를 갖지만, 발광 소자(12G)에 겹친 절연성 투명층(16)은, 발광 소자(12R, 12B)에 겹친 절연성 투명층(16)과 다른 두께를 갖는다.
절연성 투명층(16)의 재료 및 두께가 발광 소자(12R, 12B)에 대하여 공통이며, 화소 전극층(18R, 18G, 18B)의 재료 및 두께가 공통이기 때문에, 발광 소자(12R)에 대해서의 반사층(14)과 대향 전극층(22)의 광학적 거리는, 발광 소자(12B)에 대해서의 반사층(14)과 대향 전극층(22)의 사이의 광학적 거리와 거의 동일하다(단, 굴절률에는 파장 의존성이 있기 때문에, 청파장과 적파장에 대해서 는, 광학적 거리가 근소하게 다르다). 발광 소자(12R, 12B)에서의 발광 기능층(20)의 발광층에서 발한 백색광은, 반사층(14)에서 반사한 적색 및 청색의 빛 성분에 의해 증가적인 간섭을 받아, 대향 전극층(22)으로부터 출사하기 때문에, 발광 소자(12R, 12B)에 대해서는, 적색과 청색의 파장의 빛이 강해진다. 따라서, 발광 소자(12R, 12B)의 양쪽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동일한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컬러 필터(34R 또는 34B)를 투과함으로써, 이들의 빛 중 적색 또는 청색의 빛의 순도가 향상되어 방출된다.
이 변형예에서도, 발광 소자(12B)와 발광 소자(12R)에서는, 반사층(14)측의 화소 전극층(18R, 18B)이 공통이며, 반사층(14)과 발광 소자의 사이의 절연성 투명층(16)도 공통이다. 따라서, 이들의 발광 소자의 층의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화소 전극층(18R, 18G, 18B)의 재료 및 두께가 공통이기 때문에, 이들의 제조가 용이하다.
<제1 실시 형태의 제1 실시예>
도1 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의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에 의해 광학 특성을 조사했다.
시뮬레이션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절연성 투명층(16)은, 질화규소에 의해 두께 50nm로 균일하게 형성한다. 발광 소자(12G)의 화소 전극층(18G)은, ITO에 의해 두께 60nm로 형성한다. 발광 소자(12R, 12B)의 화소 전극층(18R, ,18B)은, ITO에 의해 두께 130nm로 형성한다. 대향 전극층(22)은 투명하게 한다(이하, 대향 전극층(22)을 투명하게 한 것을 하프 미러(half mirror)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로 부른다).
다른 실시예로서, 대향 전극층(22)의 제2층을 마그네슘과 은의 합금으로 형성하여 반투명 반(半)반사막(하프 미러)으로 하고, 다른 조건을 상기와 동일하게 한 표시 장치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 대향 전극층(22)은 발광 기능층(20)의 발광층에서 발한 빛 중 일부를 발광층을 향하여 반사하고, 다른 일부를 투과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대향 전극층(22)의 투과율은 60% 미만이다(이하, 대향 전극층(22)을 반투명 반반사막으로 한 것을 하프 미러를 형성한 실시예로 부른다).
도3 은, 등(等)에너지 백색광(가시 파장대(波長帶)내에서 발광 강도의 파장 의존성이 없는 백색광, 즉 가시 파장대내의 각 파장의 강도가 동일한 가상적인 백색광)을 발광층이 발한다고 가정하고, 상기의 조건의 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와 하프 미러를 형성한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층(26)을 투과하고, 컬러 필터(34)를 투과하고 있지 않은 빛의 스펙트럼을 시뮬레이션으로 얻은 결과를 나타낸다. 도3 에 있어서, 곡선(Ga)은, 대향 전극층(22)을 투명으로 한(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12G)의 발광 및 반사층(14)에서의 반사로 얻어지는 빛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곡선(Gb)은, 대향 전극층(22)에 전술한 하프 미러를 형성한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12G)의 발광, 반사층(14)에서의 반사, 대향 전극층(22)에서의 반사로 얻어지는 빛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곡선(BRa)은, 대향 전극층(22)을 투명으로 한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12B 또는 12R)의 발광 및 반사층(14)에서의 반사로 얻어지는 빛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곡선(BRb)은, 대향 전극층(22)에 전술한 하프 미러를 형성한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12B 또는 12R)의 발 광, 반사층(14)에서의 반사, 대향 전극층(22)에서의 반사로 얻어지는 빛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3 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층(22)에 하프 미러를 형성한 경우도 형성하지 않은 경우도, 발광 소자(12G)에 대해서는 녹색의 파장의 빛의 순도가 향상되고, 발광 소자(12B, 12R)에 대해서는 청색 및 적색의 파장의 빛의 순도가 향상된다. 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하프 미러를 형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피크의 강도가 떨어지기는 하지만, 소망의 파장 영역의 빛이 충분히 그 외 파장 영역보다 높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실제의 발광층의 재료에 의해서는, 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도, 소망의 파장 영역의 빛의 취출 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동일한 시뮬레이션 조건에서, 도4 에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발광층을 이용하여, 보호층(26)을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 및 컬러 필터(34)를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을 시뮬레이션에 의해 조사했다. 도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발광층은, 청색과 오렌지색의 파장에 있어서 강도의 피크를 갖는 실재의 2피크의 백색 발광층이다.
도5 는, 제1 실시 형태에서, 도4 에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발광층을 이용하여, 보호층(26)을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 및 컬러 필터(34)를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을 시뮬레이션에 의해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5 는, 대향 전극층(22)을 투명으로 하여, 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에서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5 에 있어서, 곡선(G1)은, 발광 소자(12G)의 발광 및 반사층(14)에서의 반 사로 얻어지는, 보호층(26)을 투과하고, 컬러 필터(34G)를 투과하고 있지 않은 빛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곡선(G2)은, 발광 소자(12G)의 발광 및 반사층(14)에서의 반사로 얻어지는, 보호층(26) 나아가서는 컬러 필터(34G)를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곡선(BR1)은, 발광 소자(12B 또는 12R)의 발광 및 반사층(14)에서의 반사로 얻어지는, 보호층(26)을 투과하고, 컬러 필터(34B 또는 34R)를 투과하고 있지 않은 빛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곡선(B2)은, 발광 소자(12B)의 발광 및 반사층(14)에서의 반사로 얻어지는, 보호층(26) 나아가서는 컬러 필터(34B)를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곡선(R2)은, 발광 소자(12R)의 발광 및 반사층(14)에서의 반사로 얻어지며, 보호층(26) 나아가서는 컬러 필터(34R)를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5 에 있어서 곡선(B2, G2, R2)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컬러 필터(34B, 34G, 34R)를 투과한 빛에 대해서는, 각각 청색, 녹색, 적색의 파장 영역의 빛이, 다른 파장 영역의 빛보다도 강해져 있다. 따라서, 청색, 녹색, 적색의 화소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이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2피크의 백색 발광층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래의 발광층에서의 발광 스펙트럼에서는, 550nm 부근의 파장에서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550nm에 가깝게, 원래의 강도가 높은 500nm 부근의 파장에서의 강도가 강해지도록, 화소 전극층(18G) 및 절연성 투명층(16)의 두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소 전극층(18G)을 ITO에 의해 두께 60nm로 형성한 것은, 이 때문이다.
이 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에 있어서, 통상의 보톰 이미션 구조의 백색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적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컬러 필터(34R)를 투과한 적색광의 휘도의 비율(취출 효율)은 0.152이며, 그 백색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녹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컬러 필터(34G)를 투과한 녹색광의 휘도의 비율은 0.292이며, 그 백색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청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컬러 필터(34B)를 투과한 청색광의 휘도의 비율은 0.046이었다. 이 실시예의 컬러 필터 투과 후의 빛의 NTSC비는 68%이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의 발광 소자의 20% 감쇠 수명(휘도가 초기의 휘도의 80%로 감쇠하기까지의 기간)은 2000시간이었다.
한편, 하프 미러를 형성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상의 보톰 이미션 구조의 백색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적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컬러 필터(34R)를 투과한 적색광의 휘도의 비율(취출 효율)은 0.146이며, 그 백색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녹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컬러 필터(34G)를 투과한 녹색광의 휘도의 비율은 0.37이며, 그 백색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청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컬러 필터(34B)를 투과한 청색광의 휘도의 비율은 0.043이었다. 이 실시예의 컬러 필터 투과 후의 빛의 NTSC비는 89%이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의 발광 소자의 20% 감쇠 수명은 2300시간이었다.
<제1 실시 형태의 제2 실시예>
도6 에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발광층을 이용하여, 보호층(26)을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 및 컬러 필터(34)를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을 시뮬레이션에 의해 조사했다. 도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발광층은, 청색과, 녹색과, 적색의 파장 에 있어서 강도의 피크를 갖는 실재의 3피크의 백색 발광층이다.
도7 은, 제1 실시 형태에서, 도6 에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발광층을 이용하여, 보호층(26)을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 및 컬러 필터(34)를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을 시뮬레이션에 의해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7 은, 대향 전극층(22)을 투명하게 하여, 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에서의 결과를 나타낸다.
시뮬레이션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절연성 투명층(16)은, 질화규소에 의해 두께 50nm로 균일하게 형성된다. 발광 소자(12G)의 화소 전극층(18G)은, ITO에 의해 두께 70nm로 형성한다. 발광 소자(12R, 12B)의 화소 전극층(18R, 18B)은, ITO에 의해 두께 130nm로 형성한다. 대향 전극층(22)은 투명하게 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이 실시예에서는, 화소 전극층(18G)의 두께만이 다르다.
도7 에 있어서, 곡선(G1, G2, BR1, B2, R2)의 의미는, 도5 와 동일하다. 도7 에 있어서 곡선(B2, G2, R2)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컬러 필터(34B, 34G, 34R)를 투과한 빛에 대해서는, 각각 청색, 녹색, 적색의 파장 영역의 빛이, 다른 파장 영역의 빛보다도 강해져 있다. 따라서, 청색, 녹색, 적색의 화소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이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상의 보톰 이미션 구조의 백색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적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컬러 필터(34R)를 투과한 적색광의 휘도의 비율(취출 효율)은 0.152이며, 그 백색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녹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컬러 필터(34G)를 투과한 녹색광의 휘도의 비율은 0.516이며, 그 백색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청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컬러 필터(34B)를 투 과한 청색광의 휘도의 비율은 0.052이었다. 이 실시예의 컬러 필터 투과 후의 빛의 NTSC비는 85%이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의 발광 소자의 20% 감쇠 수명은 2500시간이었다.
한편, 하프 미러를 형성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상의 보톰 이미션 구조의 백색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적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컬러 필터(34R)를 투과한 적색광의 휘도의 비율(취출 효율)은 0.121이며, 그 백색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녹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컬러 필터(34G)를 투과한 녹색광의 휘도의 비율은 0.69이며, 그 백색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청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컬러 필터(34B)를 투과한 청색광의 휘도의 비율은 0.049이었다. 이 실시예의 컬러 필터 투과 후의 빛의 NTSC비는 102%이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의 발광 소자의 20% 감쇠 수명은 2000시간이었다.
<제2 실시 형태>
도8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풀 컬러형의 톱 이미션 방식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8 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고, 그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 소자(12B)에 겹치는 절연성 투명층(16)의 재료 및 두께, 발광 소자(12G)에 겹치는 절연성 투명층(16)의 재료 및 두께, 그리고 발광 소자(12R)에 겹치는 절연성 투명층(16)의 재료 및 두께는 서로 동일하다. 화소 전극층(18R, 18G, 18B)은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소 전극 층(18R, 18G, 18B)은 동일 두께를 갖는다. 구체적인 두께의 수치 및 재료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에서 서술한다.
절연성 투명층(16)의 재료 및 두께가 어느 발광 소자(12R, 12G, 12B)에 대해서도 공통이며, 화소 전극층(18R, 18G, 18B)의 재료 및 두께가 공통이기 때문에, 반사층(14)과 대향 전극층(22)의 사이의 광학적 거리는, 어느 발광 소자(12R, 12G, 12B)에 대해서도, 거의 동일하다(단, 굴절률에는 파장 의존성이 있기 때문에, 청파장, 녹파장, 적파장에 대해서, 광학적 거리는 근소하게 다르다). 발광 소자(12R, 12G, 12B)에서의 발광 기능층(20)의 발광층에서 발한 백색광은 모두, 반사층(14)에서 반사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광성분에 의해 증가적인 간섭을 받아, 대향 전극층(22)으로부터 출사하기 때문에, 발광 소자(12R, 12G, 12B)의 모두에 대해서도,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파장의 빛이 강해진다. 따라서, 발광 소자(12R, 12G, 12B)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동일한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컬러 필터(34R, 34G 또는 34B)를 투과함으로써, 이들의 빛 중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빛의 순도가 향상되어 방출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발광 소자(12B)와, 발광 소자(12G)와, 발광 소자(12R)에서는, 반사층(14)측의 화소 전극층(18R, 18G, 18B)이 공통이며, 반사층(14)과 발광 소자의 사이의 절연성 투명층(16)도 공통이다. 따라서, 이들의 발광 소자의 층의 제조가 용이하다.
<제2 실시 형태의 제1 실시예>
도8 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의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에 대하여, 시뮬레 이션에 의해 광학 특성을 조사했다.
시뮬레이션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절연성 투명층(16)은, 질화규소에 의해 두께 570nm로 균일하게 형성한다. 화소 전극층(18R, 18G, 18B)은, ITO에 의해 두께 100nm로 형성한다. 대향 전극층(22)은 투명하게 한다(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
다른 실시예로서, 대향 전극층(22)의 제2층을 마그네슘과 은의 합금으로 형성하여 반투명 반반사막(하프 미러)으로 하고, 다른 조건을 상기와 동일하게 한 표시 장치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 대향 전극층(22)은 발광 기능층(20)의 발광층에서 발한 빛 중 일부를 발광층을 향하여 반사하고, 다른 일부를 투과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대향 전극층(22)의 투과율은 60% 미만이다(하프 미러를 형성한 실시예).
도9 는, 등에너지 백색광을 발광층이 발한다고 가정하고, 상기의 조건의 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와 하프 미러를 형성한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층(26)을 투과하고, 컬러 필터(34)를 투과하고 있지 않은 빛의 스펙트럼을 시뮬레이션으로 얻은 결과를 나타낸다. 도9 에 있어서, 곡선(RGBa)은, 대향 전극층(22)을 투명하게 한(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12R, 12G 또는 12B)의 발광 및 반사층(14)에서의 반사로 얻어지는 빛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곡선(RGBb)은, 대향 전극층(22)에 전술한 하프 미러를 형성한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12R, 12G 또는 12B)의 발광, 반사층(14)에서의 반사, 대향 전극층(22)에서의 반사로 얻어지는 빛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9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층(22)에 하프 미러를 형성한 경우도 형성하지 않은 경우도, 어느 발광 소자에 대해서도,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파장의 빛의 순도가 향상된다. 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하프 미러를 형성한 경우에 비교하여, 피크의 강도가 떨어지기는 하지만, 각 피크 파장에 대해서의 반값폭은 넓기 때문에, 파워는 그다지 변하지 않는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제의 발광층의 재료에 의해서도, 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도, 소망의 파장 영역의 빛의 취출 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동일한 시뮬레이션 조건에서, 도4 에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2피크의 백색 발광층을 이용하여, 보호층(26)을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 및 컬러 필터(34)를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을 시뮬레이션에 의해 조사했다.
도10 은, 제2 실시 형태에서, 도4 에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2피크의 백색 발광층을 이용하여, 보호층(26)을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 및 컬러 필터(34)를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을 시뮬레이션에 의해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10 은, 대향 전극층(22)을 투명하게 하여, 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에서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10 에 있어서, 곡선(RGB1)은, 발광 소자(12R, 12G 또는 12B)의 발광 및 반사층(14)에서의 반사로 얻어지는, 보호층(26)을 투과하고, 컬러 필터(34)를 투과하고 있지 않은 빛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곡선(R2)은, 발광 소자(12R)의 발광 및 반사층(14)에서의 반사로 얻어지는, 보호층(26) 나아가서는 컬러 필터(34R)를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곡선(G2)은, 발광 소자(12G)의 발광 및 반사층(14) 에서의 반사로 얻어지는, 보호층(26) 나아가서는 컬러 필터(34G)를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곡선(B2)은, 발광 소자(12B)의 발광 및 반사층(14)에서의 반사로 얻어지는, 보호층(26) 나아가서는 컬러 필터(34B)를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10 에 있어서, 곡선(B2, G2, R2)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컬러 필터(34B, 34G, 34R)를 투과한 빛에 대해서는, 각각 청색, 녹색, 적색의 파장 영역의 빛이, 다른 파장 영역의 빛보다도 강해져 있다. 따라서, 청색, 녹색, 적색의 화소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이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합된 컬러 필터가 액정용의 투과 특성을 갖기 때문에, 각 화소에서 담당하는 발광색 이외의 파장의 빛이 컬러 필터를 투과해 버리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도 이 실시예의 컬러 필터 투과 후의 빛의 NTSC비는 80%를 달성했다.
이 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상의 보톰 이미션 구조의 백색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적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컬러 필터(34R)를 투과한 적색광의 휘도의 비율(취출 효율)은 0.134이며, 그 백색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녹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컬러 필터(34G)를 투과한 녹색광의 휘도의 비율은 0.157이며, 그 백색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청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컬러 필터(34B)를 투과한 청색광의 휘도의 비율은 0.075였다. 녹색광의 취출 효율은, 제1 실시 형태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당히 낮았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의 발광 소자의 20% 감쇠 수명은 1040 시간이었다.
한편, 하프 미러를 형성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상의 보톰 이미션 구조의 백색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적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컬러 필터(34R)를 투과한 적색광의 휘도의 비율(취출 효율)은 0.123이며, 그 백색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녹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컬러 필터(34G)를 투과한 녹색광의 휘도의 비율은 0.155이며, 그 백색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청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컬러 필터(34B)를 투과한 청색광의 휘도의 비율은 0.074이었다. 이 실시예의 컬러 필터 투과 후의 빛의 NTSC비는 80%이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의 발광 소자의 20% 감쇠 수명은 1000시간이었다. 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 쪽이 수명은 길다.
<제2 실시 형태의 제2 실시예>
도6 에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3피크의 백색 발광층을 이용하여, 보호층(26)을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 및 컬러 필터(34)를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을 시뮬레이션에 의해 조사했다.
도11 은, 제2 실시 형태에서, 도6 에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3피크의 백색 발광층을 이용하여, 보호층(26)을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 및 컬러 필터(34)를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을 시뮬레이션에 의해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11 은, 대향 전극층(22)을 투명하게 하여, 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에서의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시뮬레이션의 조건은, 제2 실시 형태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11 에 있어서, 곡선(RGB1, B2, G2, R2)의 의미는, 도10 과 동일하다. 도11 에 있어서 곡선(B2, G2, R2)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컬러 필터(34B, 34G, 34R)를 투과한 빛에 대해서는, 각각 청색, 녹색, 적색의 파장 영역의 빛이, 다른 파장 영역의 빛보다도 강해져 있다. 따라서, 청색, 녹색, 적색의 화소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이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상의 보톰 이미션 구조의 백색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적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컬러 필터(34R)를 투과한 적색광의 휘도의 비율(취출 효율)은 0.083이며, 그 백색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녹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컬러 필터(34G)를 투과한 녹색광의 휘도의 비율은 0.361이며, 그 백색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청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컬러 필터(34B)를 투과한 청색광의 휘도의 비율은 0.103이었다. 제2 실시 형태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초록과 파랑으로 상당히 효율이 좋아졌다. 이 실시예의 컬러 필터 투과 후의 빛의 NTSC비는 75%이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의 발광 소자의 20% 감쇠 수명은 1300시간이었다.
한편, 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상의 보톰 이미션 구조의 백색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적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컬러 필터(34R)를 투과한 적색광의 휘도의 비율(취출 효율)은 0.1이며, 그 백색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녹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컬러 필터(34G)를 투과한 녹색광의 휘도의 비율은 0.389이며, 그 백색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청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컬러 필터(34B)를 투과한 청색광의 휘도의 비율은 0.122이었다. 이 실시예의 컬러 필터 투과 후의 빛의 NTSC비는 80%이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의 발광 소자의 20% 감쇠 수명은 1600시간이었다.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컬러 필터를 연구하면, 더욱 표색(表色) 범위를 넓 힐 수 있다고 생각된다.
<제3 실시 형태>
도12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풀 컬러형의 톱 이미션 방식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2 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동일 부호가 사용되고 있고, 그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발광 소자(12)에 공통인 백색의 빛을 발하는 발광 기능층(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이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 소자(12)마다 독립한 발광 기능층(120)이 형성되어 있다. 각 발광 기능층(120)은, 격벽(24)에 형성된 개구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면의 발광 기능층(120)의 첨자 R, G, B는, 각각 빨강, 초록, 파랑을 나타내고, 발광 기능층(120)의 발광층에서 발한 빛의 색의 성분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발광 기능층(120R)의 발광층은, 적색의 빛을 발한다. 발광 기능층(120)은, 예를 들면,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유기 재료의 층이다. 단, 발광 기능층(120)이 이들의 층을 모두 가질 필요는 없고, 적어도 발광층을 갖고 있으면 된다. 그 외, 정공 또는 전자가 발광층으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공 블록층 또는 전자 블록층을 발광 기능층(120)이 갖고 있어도 된다.
발광층에서 발한 빛 중 일부는, 대향 전극층(22) 및 보호층(26)을 투과한다. 한편, 발광층에서 발한 빛 중 다른 일부는, 절연성 투명층(16)을 투과하여 반사층(14)에서 반사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 소자의 각각에 대하여, 발광층에 서 발한 색의 빛이 간섭에 의해 강해져 대향 전극층(22)으로부터 출사하도록, 반사층(14)과 대향 전극층(22)의 거리가 설정되어 있다. 즉, 발광 소자(12B)에 대해서는, 발광층에서 발한 청색에 상당하는 파장의 빛이 강해져, 청색의 순도가 향상된다. 발광 소자(12G)에 대해서는, 발광층에서 발한 녹색에 상당하는 파장의 빛이 강해지고, 다른 파장의 빛이 약해져, 녹색의 순도가 향상된다. 또한, 발광 소자(12R)에 대해서는, 발광층에서 발한 적색에 상당하는 파장의 빛이 강해져, 적색의 순도가 향상된다.
도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 소자(12B)에 겹치는 절연성 투명층(16)의 재료 및 두께, 발광 소자(12G)에 겹치는 절연성 투명층(16)의 재료 및 두께, 그리고 발광 소자(12R)에 겹치는 절연성 투명층(16)의 재료 및 두께는 서로 동일하다. 화소 전극층(18R, 18G, 18B)은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단, 화소 전극층(18R, 18B)은 동일 두께를 갖지만, 화소 전극층(18G)은, 화소 전극층(18R, 18B)과 다른 두께를 갖는다. 구체적인 두께의 수치 및 재료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에서 서술한다.
절연성 투명층(16)의 재료 및 두께가 어느 발광 소자(12R, 12G, 12B)에 대해서도 공통이며, 화소 전극층(18R, 18B)의 재료 및 두께가 공통이기 때문에, 발광 소자(12R)에 대해서의 반사층(14)과 대향 전극층(22)의 사이의 광학적 거리는, 발광 소자(12B)에 대해서의 반사층(14)과 대향 전극층(22)의 사이의 광학적 거리와 거의 동일하다(단, 굴절률에는 파장 의존성이 있기 때문에, 청파장과 적파장에 대해서, 광학적 거리는 근소하게 다르다). 발광 소자(12R, 12B)에서의 발광 기능 층(120R, 120B)의 발광층에서 발한 빛은 모두, 반사층(14)에서 반사한 적색 및 청색의 빛성분에 의해 증가적인 간섭을 받지만, 원래 발광 기능층(120R)은 적색의 빛을 발하고, 발광 기능층(120B)은 청색의 빛을 발하기 때문에, 발광 소자(12R)는 적색을 나타내고, 발광 소자(12B)는 청색을 나타낸다.
이 실시 형태에서, 발광 소자(12B)와 발광 소자(12R)에서는, 반사층(14)측의 화소 전극층(18R, 18B)이 공통이며, 반사층(14)과 발광 소자의 사이의 절연성 투명층(16)도 공통이다. 따라서, 이들의 발광 소자의 층의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절연성 투명층(16)의 재료 및 두께가 어느 발광 소자(12R, 12G, 12B)에 대해서도 공통이기 때문에, 절연성 투명층(16)의 제조가 용이하다.
변형예로서, 발광 소자(12R, 12G, 12B)의 화소 전극층(18R, 18B, 18G)도 동일 재료 및 동일 두께로 형성하고, 발광 소자(12R, 12B)에 겹친 절연성 투명층(16)은 동일한 재료 및 동일한 두께로 형성하고, 발광 소자(12G)에 겹친 절연성 투명층(16)을 발광 소자(12R, 12B)에 겹친 절연성 투명층(16)과 다른 두께로 형성해도 좋다. 이 변형예에서도, 발광 소자(12B)와 발광 소자(12R)에서는, 반사층(14)측의 화소 전극층(18R, 18B)이 공통이며, 반사층(14)과 발광 소자의 사이의 절연성 투명층(16)도 공통이다. 따라서, 이들의 발광 소자의 층의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화소 전극층(18R, 18G, 18B)의 재료 및 두께가 공통이기 때문에, 이들의 제조가 용이하다.
<제3 실시 형태의 실시예>
도12 에 나타내는 제3 실시 형태의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에 대하여, 시뮬레 이션에 의해 광학 특성을 조사했다.
시뮬레이션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절연성 투명층(16)은, 질화규소에 의해 두께 50nm로 균일하게 형성한다. 발광 소자(12G)의 화소 전극층(18G)은, ITO에 의해 두께 50nm로 형성한다. 발광 소자(12R, 12B)의 화소 전극층(18R, 18B)은, ITO에 의해 두께 130nm로 형성한다. 대향 전극층(22)은 투명으로 한다(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
도13 은, 제3 실시 형태에서, 보호층(26)을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을 시뮬레이션에 의해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13 은, 대향 전극층(22)을 투명으로 하여, 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에서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13 에 있어서, 곡선(R)은, 발광 소자(12R)의 발광 및 반사층(14)에서의 반사로 얻어지는, 보호층(26)을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곡선(G)은, 발광 소자(12G)의 발광 및 반사층(14)에서의 반사로 얻어지는, 보호층(26)을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곡선(B)은, 발광 소자(12B)의 발광 및 반사층(14)에서의 반사로 얻어지는, 보호층(26)을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13 에 있어서 곡선(R, G, B)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컬러 필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훌륭한 스펙트럼을 실현할 수 있었다. 이 실시예의 빛의 NTSC비는 70.53%이었다.
이 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에 있어서, 통상의 보톰 이미션 구조의 적색을 발하는 발광층을 갖는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휘도에 대한, 발광 소자(12R)의 발광 및 반사층(14)에서의 반사로 얻어지고 보호층(26)을 투과한 적색광의 휘도 의 비율(취출 효율)은 0.452이며, 통상의 보톰 이미션 구조의 녹색을 발하는 발광층을 갖는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휘도에 대한, 발광 소자(12G)의 발광 및 반사층(14)에서의 반사로 얻어지고 보호층(26)을 투과한 녹색광의 휘도의 비율은 1.096이며, 통상의 보톰 이미션 구조의 청색을 발하는 발광층을 갖는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휘도에 대한, 발광소자(12B)의 발광 및 반사층(14)에서의 반사로 얻어지고 보호층(26)을 투과한 청색광의 휘도의 비율은 0.32이었다. 컬러 필터를 이용하지 않는 만큼, 상당히 효율이 높아졌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의 발광 소자의 20% 감쇠 수명의 평균은 3654시간이었다.
한편, 대향 전극층(22)의 제2층을 마그네슘과 은의 합금으로 형성하여 반투명 반반사막(하프 미러)으로 하고, 다른 조건을 상기와 동일하게 한 실시예(하프 미러를 형성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상의 보톰 이미션 구조의 적색을 발하는 발광층을 갖는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휘도에 대한, 발광 소자(12R)의 발광 및 반사층(14)과 대향 전극층(22)에서의 반사로 얻어지고 보호층(26)을 투과한 적색광의 휘도의 비율(취출 효율)은 0.605이고, 통상의 보톰 이미션 구조의 녹색을 발하는 발광층을 갖는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휘도에 대한, 발광 소자(12G)의 발광 및 반사층(14)과 대향 전극층(22)에서의 반사로 얻어지고 보호층(26)을 투과한 녹색광의 휘도의 비율은 0.924이며, 통상의 보톰 이미션 구조의 청색을 발하는 발광층을 갖는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휘도에 대한, 발광 소자(12B)의 발광 및 반사층(14)과 대향 전극층(22)에서의 반사로 얻어지고 보호층(26)을 투과한 청색광의 휘도의 비율은 0.199이었다. 이 실시예에서의 빛의 NTSC비는 95%이었다. 또한, 이 실시예 에서의 발광 소자의 20% 감쇠 수명의 평균은 3386시간이었다.
<제4 실시 형태>
도14 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풀 컬러형의 톱 이미션 방식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4 에 있어서 제3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동일 부호가 사용되고 있고, 그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 소자(12B)에 겹치는 절연성 투명층(16)의 재료 및 두께, 발광 소자(12G)에 겹치는 절연성 투명층(16)의 재료 및 두께, 그리고 발광 소자(12R)에 겹치는 절연성 투명층(16)의 재료 및 두께는 서로 동일하다. 화소 전극층(18R, 18G, 18B)은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소 전극층(18R, 18G, 18B)은 동일 두께를 갖는다. 구체적인 두께의 수치 및 재료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에서 서술한다.
절연성 투명층(16)의 재료 및 두께가 어느 발광 소자(12R, 12G, 12B)에 대해서도 공통이며, 화소 전극층(18R, 18G, 18B)의 재료 및 두께가 공통이기 때문에, 반사층(14)과 대향 전극층(22)의 사이의 광학적 거리는, 어느 발광 소자(12R, 12G, 12B)에 대해서도, 거의 동일하다(단, 굴절률에는 파장 의존성이 있기 때문에, 청파장, 녹파장, 적파장에 대해서, 광학적 거리는 근소하게 다르다). 발광 소자(12R, 12G, 12B)에서의 발광 기능층(120)의 발광층에서 발한 빛은 모두, 반사층(14)에서 반사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 성분에 의해 증가적인 간섭을 받지만, 원래 발광 기능층(120R, 120G, 120B)이 다른 색의 빛을 발하기 때문에, 발광 소자(12R)는 적 색을 나타내고, 발광 소자(12G)는 녹색을 나타내고, 발광 소자(12B)는 청색을 나타낸다.
이 실시 형태에서, 발광 소자(12B)와, 발광 소자(12G)와, 발광 소자(12R)에서는, 반사층(14)측의 화소 전극층(18R, 18G, 18B)이 공통이며, 반사층(14)과 발광 소자의 사이의 절연성 투명층(16)도 공통이다. 따라서, 이들의 발광 소자의 층의 제조가 용이하다.
<제4 실시 형태의 실시예>
도14 에 나타내는 제4 실시 형태의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에 의해 광학 특성을 조사했다.
시뮬레이션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절연성 투명층(16)은, 질화규소에 의해 두께 580nm로 균일하게 형성한다. 화소 전극층(18R, 18G, 18B)은, ITO에 의해 두께 100nm로 형성한다. 대향 전극층(22)은 투명하게 한다(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
도15 는, 제4 실시 형태에서, 보호층(26)을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을 시뮬레이션에 의해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15 는, 대향 전극층(22)을 투명하게 하고, 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에서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15 에 있어서, 곡선(R, G, B)의 의미는, 도13 과 동일하다. 도15 에 있어서 곡선(R, G, B)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컬러 프린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청색, 녹색, 적색의 화소를 갖는 화소 표시 장치로서, 이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빛의 NTSC비는 68.9%이었다.
이 하프 미러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에 있어서, 통상의 보톰 이미션 구조의 적색을 발하는 발광층을 갖는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휘도에 대한, 발광 소자(12R)의 발광 및 반사층(14)에서의 반사로 얻어지고 보호층(26)을 투과한 적색광의 휘도의 비율(취출 효율)은 0.353이며, 통상의 보톰 이미션 구조의 녹색을 발하는 발광층을 갖는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휘도에 대한, 발광 소자(12G)의 발광 및 반사층(14)에서의 반사로 얻어지고 보호층(26)을 투과한 녹색광의 휘도의 비율은 0.727이며, 통상의 보톰 이미션 구조의 청색을 발하는 발광층을 갖는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휘도에 대한 발광 소자(12B)의 발광 및 반사층(14)에서의 반사로 얻어지고 보호층(26)을 투과한 청색광의 휘도의 비율은 0.61이었다. 컬러 필터를 이용하지 않는 만큼, 상당히 효율이 높아졌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의 발광 소자의 20% 감쇠 수명의 평균은 2100시간이었다.
한편, 대향 전극층(22)의 제2층을 마그네슘과 은의 합금으로 형성하여 반투명 반반사막(하프 미러)으로 하고, 다른 조건을 상기와 동일하게 한 실시예(하프 미러를 형성한 실시예)에 있어서, 통상의 보톰 이미션 구조의 적색을 발하는 발광층을 갖는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휘도에 대한, 발광 소자(12R)의 발광 및 반사층(14)과 대향 전극층(22)에서의 반사로 얻어지고 보호층(26)을 투과한 적색광의 휘도의 비율(취출 효율)은 0.267이며, 통상의 보톰 이미션 구조의 녹색을 발하는 발광층을 갖는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휘도에 대한, 발광 소자(12G)의 발광 및 반사층(14)과 대향 전극층(22)에서의 반사로 얻어지고 보호층(26)을 투과한 녹색광의 휘도의 비율은 0.785이며, 통상의 보톰 이미션 구조의 청색을 발하는 발광층을 갖 는 발광 소자가 발한 빛의 휘도에 대한, 발광 소자(12B)의 발광 및 반사층(14)과 대향 전극층(22)에서의 반사로 얻어지고 보호층(26)을 투과한 청색광의 휘도의 비율은 0.634이었다. 이 실시예에서의 빛의 NTSC비는 77.2%이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의 발광 소자의 20% 감쇠 수명의 평균은 2010시간이었다.
<요약>
도16 은, 이상의 실시예에서의 측정 결과의 요약을 나타낸다.
<그 외>
상기 실시 형태로서, 유기 EL 장치를 예시하여 설명하여 왔지만, 무기 EL 장치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전자 기기>
다음으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를 표시 장치로서 구비한 각종 전자 기기에 대하여, 도1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7(a) 는, 휴대 전화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7(a) 에 있어서, 부호(600)는 휴대 전화 본체를 나타내고, 부호(601)는 상기의 어느 하나의 표시 장치를 이용한 표시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17(b)는, 워드 프로세서, 퍼스널 컴퓨터 등의 휴대형 정보 처리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7(b)에 있어서, 부호(700)는 정보 처리 장치, 부호(701)는 키보드 등의 입력부, 부호(703)는 정보 처리 장치 본체, 부호(702)는 상기의 어느 하나의 표시 장치를 이용한 표시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17(c) 는,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7(c) 에 있어서, 부호(800)는 시계 본체를 나타내고, 부호(801)는 상기의 어느 하나의 표시 장치를 이용한 표시부를 나 타내고 있다.
도17(a)∼(c) 에 나타내는 각각의 전자 기기는, 상기의 어느 하나의 표시 장치를 표시부로서 구비한 것이기 때문에, 색 순도가 높은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가 적용되는 전자 기기로서는, 도17 에 나타낸 것 외에, 정보 휴대 단말(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스틸(still) 카메라, 텔레비젼, 비디오 카메라, 카 내비게이션 장치, 페이저, 전자 수첩, 전자 페이퍼, 전자 계산기, 워드 프로세서, 워크 스테이션, TV 전화, POS 단말, 비디오 플레이어, 터치 패널을 구비한 기기 등의 화상 표시 장치를 갖는 기기를 들 수 있다.
도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풀 컬러형의 톱 이미션 방식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 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풀 컬러형의 톱 이미션 방식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 은 등(等)에너지 백색광을 발광층이 발한다고 가정하고, 제1 실시 형태의 실시예에 있어서, 빛의 스펙트럼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4 는 실재의 2피크의 백색 발광층의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5 는 제1 실시 형태에서, 도4 에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발광층을 이용하여, 빛의 스펙트럼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6 은 실재의 3피크의 백색 발광층의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7 은 제1 실시 형태에서, 도6 에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발광층을 이용하여, 빛의 스펙트럼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8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풀 컬러형의 톱 이미션 방식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9 는 등에너지 백색광을 발광층이 발한다고 가정하고, 제2 실시 형태의 실시예에 있어서, 빛의 스펙트럼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0 은 제2 실시 형태에서, 도4 에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발광층을 이 용하여, 빛의 스펙트럼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1 은 제2 실시 형태에서, 도6 에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발광층을 이용하여, 빛의 스펙트럼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2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풀 컬러형의 톱 이미션 방식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3 은 제3 실시 형태에서, 빛의 스펙트럼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4 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풀 컬러형의 톱 이미션 방식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5 는 제4 실시 형태에서, 빛의 스펙트럼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6 은 실시 형태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측정 결과의 요약을 나타낸다.
도17 은 본 발명의 표시 장치를 화상 표시 장치로서 구비한 각종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판
12(12R, 12G, 12B) : 발광 소자
14 : 반사층
16 : 절연성 투명층(투명층)
18(18R, 18G, 18B) : 화소 전극층(투명층의 일부인 투명 전극)
20 : 발광 기능층
22 : 대향 전극층(투명성을 갖는 전극층)
24 : 격벽
26 : 보호층
28 : 접착제
30 : 필터 패널
32 : 블랙 매트릭스
34(34R, 34G, 34B) : 컬러 필터
120(120R, 120G, 120B) : 발광 기능층

Claims (12)

  1. 기판과,
    상기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발광 소자와,
    상기 기판과 상기 발광 소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 소자에서 발한 빛을 반사하는 반사층을 구비하고,
    상기 발광 소자의 각각은, 상기 반사층에 접하는 투명층과, 그 상면에 배치된 발광층과, 상기 발광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반사층의 반대측에 있는 투명성을 갖는 전극층을 갖고,
    상기 발광 소자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발광층에서 발한 빛 중 특정의 색의 빛이 간섭에 의해 강해져 상기 투명성을 갖는 전극층으로부터 출사하도록, 상기 반사층과 상기 투명성을 갖는 전극층의 거리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발광층에서 발한 빛 중 청색과 적색의 빛이 동시에 강해져 상기 투명성을 갖는 전극층으로부터 출사하는 제1과 제2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층에서 발한 빛 중 녹색의 빛이 강해져 상기 투명성을 갖는 전극층으로부터 출사하는 제3 발광 소자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1과 제2 발광 소자의 투명층은,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고,
    상기 제3 발광 소자의 상기 투명층은, 상기 제1과 제2 발광 소자의 투명층과 상이한 두께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소자에 형성된 투명성을 갖는 전극층의 빛 취출측에는 청색의 빛만 투과하는 컬러 필터를 배치하고,
    상기 제2 발광 소자에 형성된 투명성을 갖는 전극층의 빛 취출측에는 적색의 빛만 투과하는 컬러 필터를 배치하고,
    상기 제3 발광 소자에 형성된 투명성을 갖는 전극층의 빛 취출측에는 녹색의 빛만 투과하는 컬러 필터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이 투명 전극과 절연성 투명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과 제2 발광 소자의 상기 투명 전극은,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고,
    상기 제3 발광 소자의 상기 투명 전극은, 상기 제1과 제2 발광 소자의 상기 투명 전극보다 얇은 두께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발광 소자의 상기 절연성 투명층의 두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이 투명 전극과 절연성 투명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과 제2 발광 소자의 상기 절연성 투명층은,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고,
    상기 제3 발광 소자의 상기 절연성 투명층은, 상기 제1과 제2 발광 소자의 상기 절연성 투명층보다 얇은 두께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발광 소자의 상기 투명 전극의 두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 및 상기 투명성을 갖는 전극층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기층이, 제1, 제2 및 제3 발광 소자에 걸쳐 공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 및 상기 투명성을 갖는 전극층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기층이, 제1 발광 소자에서는 청색의 발광 재료를 포함하고, 제2 발광 소자에서는 적색의 발광 재료를 포함하고, 제3 발광 소자에서는 녹색의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20080005610A 2007-02-28 2008-01-18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1431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48628 2007-02-28
JP2007048628A JP4899929B2 (ja) 2007-02-28 2007-02-28 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993A KR20080079993A (ko) 2008-09-02
KR101431107B1 true KR101431107B1 (ko) 2014-08-18

Family

ID=39715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610A KR101431107B1 (ko) 2007-02-28 2008-01-18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22620B2 (ko)
JP (1) JP4899929B2 (ko)
KR (1) KR101431107B1 (ko)
CN (1) CN1012570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546B1 (ko) 2007-11-05 2014-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99234B1 (ko) 2008-06-27 2015-03-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그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섀도우 마스크
KR101518740B1 (ko) * 2008-08-04 2015-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74130B1 (ko) * 2008-09-01 2015-1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2172990A1 (en) * 2008-10-03 2010-04-07 Thomson Licensing OLED or group of adjacent OLEDs with a light-extraction enhancement layer efficient over a large range of wavelengths
CN102047756B (zh) * 2008-11-27 2013-01-3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带滤光片有机el器件及其修理方法
JP5382849B2 (ja) * 2008-12-19 2014-01-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源装置
US8269212B2 (en) * 2009-04-29 2012-09-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OLED display with a common anod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KR101094298B1 (ko) 2009-08-18 2011-12-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321878B1 (ko) * 2009-09-25 2013-10-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WO2011039950A1 (ja) * 2009-09-29 2011-04-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発光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5683094B2 (ja) * 2009-11-17 2015-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多色表示装置
JP5607654B2 (ja) 2010-01-08 2014-10-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elパネル、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および有機el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241131B1 (ko) * 2010-08-03 2013-03-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WO2012070085A1 (ja) * 2010-11-24 2012-05-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elパネル、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および有機elパネルの製造方法
US8476622B2 (en) * 2011-01-05 2013-07-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JP2012199231A (ja) 2011-03-04 2012-10-1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
US8883531B2 (en) * 2012-08-28 2014-11-11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111643B2 (ja) * 2012-12-17 2017-04-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4132522A (ja) * 2013-01-04 2014-07-17 Japan Display Inc 有機el表示装置
KR102227480B1 (ko) 2014-09-12 2021-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90889B1 (ko) * 2016-02-29 2023-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7034584B2 (ja) 2016-10-21 2022-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撮像装置
US10554961B2 (en) * 2016-11-08 2020-02-04 Kevin Vora Three-dimensional volumetric display using photoluminescent materials
JP7112383B2 (ja) * 2017-02-17 2022-08-0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パネルの作製方法
US10529780B2 (en) 2017-02-28 2020-01-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102421576B1 (ko) * 2017-03-10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8133673A (zh) * 2017-12-26 2018-06-08 黄星群 一种用于大型电子显示器的led发光体
KR102597673B1 (ko) * 2018-05-16 2023-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09512B1 (ko) 2018-06-27 2023-12-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디스플레이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CN108987450B (zh) * 2018-07-27 2021-02-0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2021072282A (ja) * 2019-10-28 2021-05-06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デバイス、その製造方法、表示装置、光電変換装置、電子機器、照明装置および移動体
US11031577B1 (en) * 2019-11-26 2021-06-08 OLEDWorks LLC Multimodal microcavity OLED with multiple blue emitting layers
CN115171530A (zh) * 2022-06-30 2022-10-1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5232A1 (en) 2004-04-07 2005-10-13 Eastman Kodak Company Color OLED with added color gamut pixels
JP2007011063A (ja) 2005-06-30 2007-01-18 Sanyo Electric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20070009432A (ko) * 2005-07-15 2007-01-1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장치,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장치의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4527B2 (ja) * 1992-09-22 2002-04-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有機発光素子とその基板
JP2797883B2 (ja) 1993-03-18 1998-09-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多色発光素子とその基板
KR100875097B1 (ko) * 2002-09-18 2008-12-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광학 공진 효과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US6737800B1 (en) * 2003-02-18 2004-05-18 Eastman Kodak Company White-emitt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color filters and reflective layer for causing colored light constructive interference
KR100527187B1 (ko) * 2003-05-01 2005-11-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효율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5197009A (ja) * 2003-12-26 2005-07-21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0721554B1 (ko) * 2004-07-22 2007-05-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TW200642524A (en) * 2005-02-28 2006-12-01 Sanyo Electric Co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JP2006244712A (ja) 2005-02-28 2006-09-14 Sanyo Electric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JP4742639B2 (ja) * 2005-03-25 2011-08-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
JP4548253B2 (ja) * 2005-07-15 2010-09-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
US7816677B2 (en) * 2008-02-12 2010-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5232A1 (en) 2004-04-07 2005-10-13 Eastman Kodak Company Color OLED with added color gamut pixels
JP2007011063A (ja) 2005-06-30 2007-01-18 Sanyo Electric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20070009432A (ko) * 2005-07-15 2007-01-1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장치,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장치의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22620B2 (en) 2011-09-20
JP4899929B2 (ja) 2012-03-21
US20080203898A1 (en) 2008-08-28
CN101257037A (zh) 2008-09-03
JP2008210740A (ja) 2008-09-11
KR20080079993A (ko) 2008-09-02
CN101257037B (zh)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107B1 (ko)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JP5515237B2 (ja)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US8226256B2 (en) Display unit
US7508005B2 (en)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with slight color shifting
US9357612B2 (en) Display device
US10497758B2 (en) Display substrat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display panel
US7132791B2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TWI699022B (zh) 發光裝置、顯示設備以及照明設備
US7402939B2 (en) Organic EL display
JP4967423B2 (ja)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30095215A (ko)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전자 장치
CN110429200B (zh)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和有机发光显示装置
US8033675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EP1484632A1 (en) Planar luminescent illumination device including auxiliary electrode
TW201801565A (zh) 發光元件、發光裝置及電子機器
US7104665B2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JP2007234391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7418949B2 (ja) 表示装置、撮像装置
JP4286216B2 (ja) 発光表示装置
CN113299723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068642A (zh) 电光装置和电子设备
TWI747382B (zh) 發光裝置
KR102459216B1 (ko) 디스플레이 패널
CN117295364A (zh) 显示面板及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