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439B1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439B1
KR101430439B1 KR1020070002952A KR20070002952A KR101430439B1 KR 101430439 B1 KR101430439 B1 KR 101430439B1 KR 1020070002952 A KR1020070002952 A KR 1020070002952A KR 20070002952 A KR20070002952 A KR 20070002952A KR 101430439 B1 KR101430439 B1 KR 101430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u
rlc
control information
control
ent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5823A (ko
Inventor
천성덕
이영대
박성준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2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439B1/ko
Priority to ES08704643T priority patent/ES2404168T3/es
Priority to CN200880002114.2A priority patent/CN101627611B/zh
Priority to US12/448,822 priority patent/US8300583B2/en
Priority to JP2009542661A priority patent/JP5069754B2/ja
Priority to EP08704643A priority patent/EP2105006B1/en
Priority to PCT/KR2008/000103 priority patent/WO2008084959A2/en
Priority to TW097101057A priority patent/TWI434563B/zh
Publication of KR20080065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85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in response to a specific request, e.g. to a poll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48Time-out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AM RLC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 측 AM RLC가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수신 측 AM RLC는 자신이 전송해야 하는 제어 정보의 내용에 따라, 상기의 논리 채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여, 송신 측에서 빠르게 재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여 데이터 전송속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RLC, RLC PDU, 제어 정보, 논리 채널, UMTS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데이터 전송 순서에 따라 오류가 발생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UMTS의 망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UMTS에서 사용하는 무선 프로토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DCH와 E-DCH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5는 E-DCH를 지원하는데 필요한 RNC에 위치한 MAC-es의 구조이다.
도 6은 E-DCH를 지원하는데 필요한 Node-b에 위치한 MAC-e의 구조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가 하향 방향으로 사용자에게 빠른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여러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첫 번째로, 물리계층에서 실제로 지원할 수 있는 전송속도가 높아야 한다. 두 번째로, 사용자데이터 중에서 일부 단말에 성공적으로 전송하지 못한 데이터가 있을 경우, 상기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의 재전송이 빨리 이루어져야 한다.
첫 번째 조건을 지원하는 것은, 물리 계층에서 수행해야 할 작업이다. 두 번째 조건을 지원하는 것은 상위 프로토콜 계층인 RLC 또는 MAC에서 이루어진다. 두 번째 조건을 달성하기 위해서 두 개의 기능이 필요한데, 첫 번째는 수신 측이 어떤 데이터를 제대로 받지 못했다는 것을 빠르게 판정하는 기능이고, 두 번째 기능은 수신 측이 어떤 데이터를 제대로 받지 못했다는 정보를 최대한 빨리 송신 측에 전달하는 기능이다.
일례로 E-DCH와 HSDPA에서의 HARQ 기능을 사용하면, 송신 측에서 먼저 송신을 시작한 데이터블록보다, 송신 측에서 나중에 송신을 시작한 데이터블록이 먼저 수신 측에 성공적으로 도착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순서에 따른 오류없이 HARQ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신 측에서는 항상 재정렬(Re-ordering)기능을 사용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송신 측에서 의도했던 순서와 뒤바뀌어서 데이터 블록들이 수신 측에 도착하기 때문이다.
도 1은 데이터 전송 순서에 따라 오류가 발생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면이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리셋(Reset) 과정(재설정 과정)을 생각해보자. 우선 송신 측 RLC(TX RLC)에서 송신시에 사용하는 HFN값은 Y이고 동시에 수신 측 RLC(RX RLC)에서 사용하는 HFN값은 x라고 가정한다.
먼저 TX RLC에서 PDU 1은 HFN=Y로 해서 암호화(ciphering)가 이루어진 후, 하위 단으로 전송된다(S10). 상기 PDU 1이 수신 측에 수신되기 이전에 RX RLC에서는 내부적인 상황에 의해서, 재설정 과정이 시작되고, 상기 재설정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Reset PDU를 전송한다(S11). 상기 RX RLC에서 전송된 Reset PDU가 TX RLC에 수신되고(S11), TX RLC에서는 상기 수신한 Reset PDU를 처리해서 상기 Reset PDU에 대한 응답으로 Reset Ack PDU를 전송한다(S12). 이때 상기 Reset Ack PDU에 포함된 HFNI는 z로 설정되어 전송된다. 하위 단에서 HARQ 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먼저 전송된 PDU 1보다 후에 전송된 Reset Ack PDU가 먼저 RX RLC에 수신된다(S12, S13).
하위 단에서 위와 같이 전송된 RLC PDU의 수신 순서가 뒤바뀐다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RX RLC는 상기 Reset Ack PDU를 수신하자마자 자신이 수신하는 방향의 HFN을 z로 설정한다. 따라서, 이 이후에 수신되는 RLC PDU는 HFN값을 z로 설정하여 복호화(de-ciphering)를 수행한다. 상기 과정에서 PDU 1은 Reset Ack PDU 이후에 RX RLC에 도착한다(S13). 따라서, Rx RLC는 HFN값을 z로 설정하여 상기 PDU 1을 복호화하려고 한다. 그러나 실제 TX RLC에서는 HFN값이 Y로 설정하여 PDU 1을 암호화하였기 때문에, RX RLC에서는 PDU 1을 제대로 복호화할 수 없다. 즉, 상 기의 예에서는 하나의 채널 내에서는, RLC PDU의 전송 순서가 바뀌어서는 안 된다.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신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의 빠른 전송이 필요하다. 즉, RLC 수신 측이 자신이 수신하지 못한 RLC PDU를 빠르게 판별해 내고 즉시 상태 정보를 하위 단으로 보내더라도, 송수신 양측의 하위 단에서 데이터 전송 지연이 발생하거나, 재정렬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상태 정보가 빨리 전송될 수 없다. 즉, 사용자 데이터의 수신 측 RLC와 송신 측 RLC 사이에 상기 상태 정보가 빠르게 송수신 될 수 없고, 따라서 데이터 전송 속도의 향상을 이룰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성능의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RLC 계층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일 방법으로 RLC가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RLC는 자신이 전송해야 하는 제어 정보의 내용에 따라, 상기의 논리 채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한 측에서 빠르게 재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데이터와 관련된 제어 정보와 같이 데이터가 수신되는 순서와 상기 제어 정보의 복호가 관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 정보를 복호화하는 타이밍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하여 상기 타이밍에 복호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두 가지 방법은 별도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함께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제어 정보 전송 방법은 적어도 둘 이상의 논리 채널을 구비하는 RLC 계층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논리 채널 중에서 제어 정보의 종류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을 통해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의 종류에 따라 해당 타이밍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서, 제어 정보 전송 방법은 적어도 둘 이상의 논리 채널을 구비하는 RLC 계층에 있어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의 수신 방향과 관련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전송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정보를 각각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제1 제어 정보 및 제2 제어 정보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논리 채널에 포함되는 제1 채널 및 제2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제어 정보 전송 방법은 제어 정보를 처리하는 타이밍에 대한 제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타이밍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처리가 완료되는 타이밍에 대한 제2 시간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상기 제 어 정보를 수신한 RLC 계층에서는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타이밍에 상기 제어 정보를 처리하되, 상기 제어 정보의 처리 시간과 관련된 타이머를 상기 제2 시간정보에 따라 동작시켜 상기 타이머가 종료되기 전 및 종료 시점 중 하나에 상기 제어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정보 중 수신 방향과 관련된 제어 정보는 재정렬 수행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정렬 수행 여부에 대한 정보가 재정렬을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재정렬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구성 및 다른 특징들과 관련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이 통신 시스템의 하나로 유럽식 IMT-2000 시스템인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 수행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UMTS의 망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UMTS 시스템은 크게 단말(User Equipment; UE)과 UTMS 무선접속망(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TRAN) 및 핵심망(Core Network; CN)으로 이루어진다. UTRAN은 한 개 이상의 무선망부시스템(Radio Network Sub-systems; RNS)으 로 구성되며, 각 RNS는 하나의 무선망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와 이 RNC에 의해서 관리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Node B)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Node B에는 하나 이상의 셀(Cell)이 존재한다.
도 3은 UMTS에서 사용하는 무선 프로토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무선 프로토콜 계층들은 단말과 UTRAN에 쌍(pair)으로 존재하며, 무선 구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한다. 각각의 무선 프로토콜 계층들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 1계층인 PHY 계층은 다양한 무선전송기술을 이용해 데이터를 무선 구간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PHY 계층은 무선 구간의 신뢰성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PHY 계층은 상위 계층인 MAC 계층과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전송채널은 크게 채널의 공유 여부에 따라 전용(Dedicated) 전송채널과 공용(Common) 전송채널로 나뉜다.
제 2계층에는 MAC, RLC, PDCP, 및 BMC 계층이 포함된다. MAC 계층은 다양한 논리채널(Logical Channel)과 다양한 전송채널을 매핑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여러 논리채널을 하나의 전송채널에 매핑하는 논리채널 다중화(Multiplexing)의 기능도 수행한다. MAC 계층은 상위계층인 RLC 계층과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 연결되어 있으며, 논리채널은 크게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제어평면(Control Plane)의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채널(Control Channel)과 사용자평면(User Plane)의 정보를 전송하는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로 나뉜다. MAC 계층은 세부적으로 관리하는 전송채널의 종류에 따라 MAC-b 부계층(Sublayer), MAC-d 부계층, MAC-c/sh 부계층, MAC-hs 부계층, 및 MAC-e 부계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MAC-b 부계층 은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의 방송을 담당하는 전송채널인 BCH(Broadcast Channel)의 관리를 담당한다. MAC-d 부계층은 특정 단말에 대한 전용전송채널인 DCH(Dedicated Channel)의 관리를 담당한다. MAC-c/sh 부계층은 다른 단말들과 공유되는 FACH(Forward Access Channel)나 DSCH (Downlink Shared Channel) 등의 공용전송채널을 관리한다. 또한, 하향 및 상향으로 고속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MAC-hs 부계층은 고속 하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송채널인 HS-DSCH (High Speed Downlink Shared Channel)를 관리하며, MAC-e 부계층은 고속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송채널인 E-DCH (Enhanced Dedicated Channel)를 관리한다.
RLC 계층은 각 무선베어러 (Radio Bearer; RB)의 QoS에 대한 보장과 이에 따른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한다. RLC는 RB 고유의 QoS를 보장하기 위해 RB 마다 한 개 또는 두 개의 독립된 RLC 개체(Entity)를 두고 있으며, 다양한 QoS를 지원하기 위해 투명모드 (Transparent Mode: TM), 무응답모드 (Unacknowledged Mode, UM) 및 응답모드 (Acknowledged Mode, AM)의 세 가지 모드의 RLC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RLC의 각 모드에 대한 설명은 이하 RLC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에서 제공한다. RLC는 하위계층이 무선 구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하도록 데이터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도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상위계층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할 및 연결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PDCP 계층은 RLC 계층의 상위에 위치하며,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가 상대적으로 대역폭이 작은 무선 구간에서 효율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PDCP 계층은 헤더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 을 수행하는데, 이는 데이터의 헤더(Header) 부분에서 반드시 필요한 정보만을 전송하도록 하여, 무선 구간의 전송효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PDCP 계층은 헤더압축이 기본 기능이기 때문에 PS 도메인에만 존재하며, 각 PS 서비스에 대해 효과적인 헤더압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RB 당 한 개의 PDCP 엔티티(entity)가 존재한다.
그 외에도 제 2계층에는 BMC (Broadcast/Multicast Control) 계층이 RLC 계층의 상위에 존재하여, 셀 방송 메시지(Cell Broadcast Message)를 스케쥴링하고, 특정 셀에 위치한 단말들에게 방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3계층의 가장 하부에 위치한 RRC (Radio Resource Control, 무선자원제어)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되며, RB들의 설정, 재설정 및 해제와 관련되어 제 1 및 제 2계층의 파라미터들을 제어하고, 또한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이때, RB는 단말과 UTRAN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무선 프로토콜의 제1 및 제 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논리적 경로를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RB가 설정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무선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되어 있는 RLC계층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RLC 계층의 기본 기능은 각 RB의 QoS에 대한 보장과 이에 따른 데이터의 전송이다. RB 서비스는 무선 프로토콜의 제2계층이 상위에 제공하는 서비스이기 때문 에 제2계층 전체가 QoS에 영향을 주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RLC의 영향이 크다. RLC는 RB 고유의 QoS를 보장하기 위해 RB 마다 독립된 RLC 엔티티(Entity)를 두고 있으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QoS를 지원하기 위해 투명모드(Transparent Mode; 이하 TM이라 약칭함), 무응답모드(Unacknowledged Mode; 이하 UM이라 약칭함) 및 응답모드(Acknowledged Mode; 이하 AM이라 약칭함)의 세 가지 RLC 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RLC의 세가지 모드는 각각이 지원하는 QoS가 다르기 때문에 동작 방법에 차이가 있으며, 그 세부적인 기능 역시 차이가 있다. 따라서, RLC는 그 동작 모드에 따라 살펴볼 필요가 있다.
TM RLC는 RLC PDU를 구성함에 있어 상위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인 RLC SDU에 아무런 오버헤드를 붙이지 않는 모드이다. 즉, RLC가 SDU를 투명(Transparent)하게 통과시키므로 TM RLC라고 하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사용자 평면과 제어 평면에서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 평면에서는 RLC 내에서의 데이터 처리 시간이 짧기 때문에 주로 회선 서비스 영역(Circuit Service domain; 이하 CS 도메인으로 약칭함)의 음성이나 스트리밍 같은 실시간 회선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며, 제어 평면에서는 RLC 내에서의 오버헤드가 없기 때문에 상향(Uplink)의 경우 불특정 단말로부터의 RRC 메시지에 대한 전송을, 하향(Downlink)의 경우 셀 내의 모든 단말에게 방송되는 RRC 메시지에 대한 전송을 담당한다.
투명모드와는 달리 RLC에서 오버헤드가 추가되는 모드를 비투명모드(Non-transparent mode)라고 하며, 여기에는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수신 확인 응답이 없는 모드(UM)와 응답이 있는 모드(AM) 두 종류가 있다. UM RLC는 각 PDU마다 일련번 호(Sequence Number; 이하 SN이라 약칭함)를 포함한 PDU 헤더를 붙여 보냄으로써, 수신 측으로 하여금 어떤 PDU가 전송 중 소실되었는가를 알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기능으로 인해 UM RLC는 주로 사용자 평면에서는 방송/멀티캐스트 데이터의 전송이나 패킷 서비스 영역(Packet Service domain; 이하 PS 도메인으로 약칭함)의 음성(예:VoIP)이나 스트리밍 같은 실시간 패킷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며, 제어 평면에서는 셀 내의 특정 단말 또는 특정 단말 그룹에게 전송하는 RRC 메시지 중 수신확인 응답이 필요 없는 RRC 메시지의 전송을 담당한다.
비투명모드 중 하나인 AM RLC는 UM RLC와 마찬가지로 PDU 구성 시에 SN를 포함한 PDU 헤더를 붙여 PDU를 구성하지만, UM RLC와는 달리 송신측이 송신한 PDU에 대해 수신 측이 응답(Acknowledgement)을 하는 큰 차이가 있다. AM RLC에서 수신 측이 응답을 하는 이유는 자신이 수신하지 못한 PDU에 대해 송신 측이 재전송(Retransmission)을 하도록 요구하기 위해서이며, 이러한 재전송 기능이 AM RLC의 가장 큰 특징이다. 결국 AM RLC는 재전송을 통해 오류가 없는(error-free)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으로 인해 AM RLC는 주로 사용자 평면에서는 PS 도메이늬 TCP/IP 같은 비 실시간 패킷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며, 제어 평면에서는 셀 내의 특정 단말에게 전송하는 RRC 메시지 중 수신확인 응답이 반드시 필요한 RRC 메시지의 전송을 담당한다.
방향성 면에서 비교하면, TM과 UM RLC는 단방향(uni-directional) 통신에 사용되는데 반해, AM RLC는 수신측으로부터의 피드백(feedback)이 있기 때문에 양방향(bi-directional) 통신에 사용된다. 이러한 양방향 통신은 주로 점대점(point- to-point) 통신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AM RLC는 전용 논리채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적인 면에서도 차이가 있는데, TM과 UM RLC는 하나의 RLC 개체가 송신 또는 수신의 한가지 구조로 되어있지만, AM RLC는 하나의 RLC 개체 안에 송신과 수신 측이 모두 존재한다.
AM RLC가 복잡한 이유는 재전송 기능에 기인한다. 재전송 관리를 위해 AM RLC는 송수신 버퍼 외에 재전송 버퍼를 구비하고 있으며, 흐름 제어를 위해서 송수신 윈도우를 사용하고, 송신 측이 피어(peer) RLC 개체의 수신 측에 상태 정보를 요구하는 폴링(Polling), 수신 측이 피어 RLC 개체의 송신 측으로 자신의 데이터 수신 상태를 보고하는 상태 정보 보고(Status Report), 상태 정보를 실어 나르기 위한 상태 PDU(Status PDU), 데이터 전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 PDU 내에 상태 PDU를 삽입하는 피기백(Piggyback) 기능 등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 AM RLC 엔티티가 동작과정에서 중대한 오류를 발견한 경우 상대편 AM RLC 엔티티로 모든 동작 및 파라미터의 재설정을 요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Reset PDU와 이런 Reset PDU의 응답에 쓰이는 Reset Ack PDU도 있다. 또한, 이들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AM RLC에는 여러 가지 프로토콜 파라미터, 상태 변수 및 타이머도 구비될 수 있다. 이런 상태 정보 보고 또는 상태 PDU, Reset PDU등, AM RLC에서 데이터 전송의 제어를 위해서 사용되는 PDU들을 Control PDU라고 칭할 수 있고,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쓰이는 PDU들을 Data PDU라고 칭할 수 있다.
AM RLC에서 사용하는 RLC PDU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으며, 첫 번째는 Data PDU이고 나머지 하나는 Control PDU이다. 상기 Control PDU에는 Status PDU, Piggybacked Status PDU, Reset PDU, Reset Ack PDU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AM RLC엔티티에서 사용되는 RLC PDU의 구조에 대해서 상술한다. 표 1은 상기 Data PDU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7002601527-pat00001
표 1에서 나타나듯 Data PDU는 D/C, sequence number, P, HE, Length Indicator, E, Data 및 PAD 등에 대한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C 필드는 해당 AM RLC PDU가 Data PDU인지 혹은 Control PDU인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sequence number 필드는 각각의 RLC PDU의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P는 폴링 지시자 (polling bit)이며 수신 측이 status PDU를 보낼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HE 필드는 헤더가 종료되는 부분에 구성되어 다음 필드에 포함된 정보가 길이 지시자인지 데이터인지를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Length Indicator 필드는 상기 Data PDU의 Data 부분 내에 서로 다른 SDU의 경계면이 존재하는 경우 각 SDU 간의 경계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E 필드는 다음 필드에 포함된 정보가 길이 지시자인지 아닌지를 알려준다. 상기 Data 필드는 전송하고자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PAD 필드는 패딩(Padding) 영역으로 RLC PDU에서 사용되지 않는 영역임을 의미한다.
상기 Data PDU는 AM RLC 엔티티가 사용자 데이터, 피기백킹 방식으로 데이터와 함께 전송되는 상태 정보(piggybacked status 정보), 및 폴링 지시자(Polling bit)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사용자 데이터 부분은 8bit 단위로 즉, 8bit의 정수 배로 구성되며, 상기 Data PDU의 헤더는 2O octets 크기의 일련번호(Sequence Numb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Data PDU의 헤더는 길이 지시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control PDU의 구조의 일례들을 설명한다. 상기 control PDU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tatus PDU, Piggybacked Status PDU, Reset PDU, Reset Ack PDU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 2는 상기 Status PDU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7002601527-pat00002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Status PDU는 D/C, PDU Type, SUFIk 및 PAD 등에 대한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C 필드는 표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RLC PDU가 Data PDU인지 혹은 Control PDU인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PDU Type 필드는 Control PDU의 종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즉, 상기 PDU Type 필드를 통해서 해당 PDU가 Reset PDU인지 Status PDU인지 등을 알려줄 수 있다.
상기 SUFIk(SUper Field)필드는 사용자 데이터 등을 수신한 측에서 어떤 RLC PDU가 도착하였고 또한, 어떤 RLC PDU가 도착하지 않았는지 등의 정보를 알리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SUFI는 종류, 길이, 값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Status PDU는 서로 다른 종류의 SUFI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tatus PDU의 길이(크기)는 가변적이되, 상기 Status PDU가 전송되는 논리채널의 가장 큰 RLC PDU의 크기로 제한된다. 상기 SUFI 필드는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는 측에서 어떤 RLC SDU를 삭제하여 더 이상 전송하지 않을 것임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기도 한다.
상기 Data PDU에 사용자 데이터를 채우고 난 뒤에도, 제어정보를 포함할 만큼 충분한 공간이 남아 있을 경우 Piggybacked Status PDU를 이용할 수 있다. 즉, Data PDU에 사용자 데이터를 채우고 남는 부분에 제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제어정보 부분을 Piggybacked Status PDU라 칭할 수 있다.
표 3은 상기 Piggybacked Status PDU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7002601527-pat00003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Piggybacked Status PDU의 구조는 Status PDU의 구조와 비슷하나 D/C 필드가 R2 (Reserved Bit) 필드로 대체되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Piggybacked Status PDU는 Data PDU에 포함되어 전송되므로 별도의 D/C 필드가 포함되지 않아도 무방하기 때문에 R2 (Reserved Bit) 필드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R2 필드는 별도의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소정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PDU type 필드는 표 1 및 표 2와 마찬가지로 Control PDU의 종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Piggybacked Status PDU는 Data PDU와 함께 전송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특정 값으로 고정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해당 RLC PDU가 상기 Piggybacked Status PDU인 경우에는 PDU type 필드에 포함되는 값을 '000'으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표 4는 Reset/Reset ACK PDU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02601527-pat00004
표 4에 나타나듯, 상기 Reset/Reset ACK PDU는 D/C, PDU Type, RSN, R1, HFNI 및 PAD 등에 대한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C, PDU Type 및 PAD 필드에 대한 설명은 위 표 1 내지 표 3에 대한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다.
상기 RSN 필드는 재설정 과정과 관련된 일련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RSN 필드에 포함되는 일련 번호는 1bit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Reset ACK PDU는 수신한 Reset PDU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되며 수신한 Reset PDU에 포함된 RSN 값과 동일한 RSN 값을 포함하여 전송함으로써 어느 Reset PDU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된 Reset ACK PDU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RSN 값은 각각의 Reset PDU와 Reset ACK PDU를 매칭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어, 송신 측이 RSN 값이 1로 설정된 Reset PDU를 전송했다면, 송신 측은 RSN이 1로 설정된 Reset ACK PDU만을 자신이 원하는 Reset ACK PDU로 인식하게 된다. 즉 RSN값이 1이 아닌 다른 값으로 설정된 Reset ACK PDU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Reset ACK PDU는 잘못된 것으로 생각하고 폐기하거나 무시할 수 있다. 그리고, 매 번의 재설정과정을 시작할 때마다 상기 RSN 필드의 값은 하나씩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R1(Reserved bit) 필드는 상기 Reset PDU/Reset Ack PDU에서 사용되며 특정 값으로 고정되어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R1 필드 값은 '000'으로 고정되어 코딩 또는 전송될 수 있다.
상기 HFNI 필드는 해당 RLC PDU에 포함된 일부 값들을 암호화하여 전송할 때 상기 암호화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송신 측은 HFNI 필드 값을 송신 측에서 사용하는 HFN 값의 최대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HFN 값은 암호화에 사용되는 값인데 송신 측은 RLC PDU를 전송할 때마다, RLC PDU에서 SN 값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HFN 값을 이용하여 암호화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측은 상기 송신 측에서 사용한 HFN 값과 동일한 HFN 값을 이용하여 수신된 RLC PDU를 해독할 수 있다. 만약 수신 측과 송신 측이 동일한 HFN 값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복호 과정에 문제가 생겨 지속적으로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재설정 과정에서는 송신 측과 수신 측이 서로 HFN 값을 교환하여 수신 측과 송신 측이 동일한 HFN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송신 측과 수신 측은 HFN 값을 상기 Reset PDU/Reset ACK PDU에 포함된 HFNI 필드를 통해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RLC 엔티티에서의 재설정 과정(Reset Procedure)을 설명한다. 상기 재설정 과정은 Reset PDU가 전송되면서 시작될 수 있다. 상기 재설정 과정은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 측 및 수신 측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시작될 수 있지만, 이하 수신 측에서 시작하는 경우를 일례로서 설명한다.
수신 측은 송신 측으로 Reset PDU를 전송한다. 상기 재전송 과정은 부정확한 Sequence Number(Erroneous Sequence Number)를 포함한 Status PDU가 수신되거나, 또는 특정 PDU가 일정 횟수만큼 전송에 실패한 경우 등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신 측이 전송한 Reset PDU를 수신한 송신 측은 RLC PDU 와 Status PDU의 전송을 중지한다. 그리고, 수신되는 RLC PDU, STATUS PDU 및 PIGGYBACKED Status PUD 등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되는 RLC PDU, STATUS PDU 및 PIGGYBACKED Status PUD 등을 무시한다.
재설정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송신 측 내부에 적어도 2개의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R(RST)를 재설정과정이 수행될 때마다 1씩 증가되는 값으로 설정하여 사용한다. 또한. MaxRST를 재설정 과정에서 Reset PDU를 전송할 수 있는 최대값으로 설정하여 사용한다. 즉, Reset PDU전송이 MaxRST값을 넘게 되는 경우는 바로 재설정 과정을 종료하고 상위 단에 해결이 불가능한 에러가 발생했음을 알린다.
상기 VR(RST) 및 MaxRST 값을 이용하여 재설정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이어 설명한다. 상기 송신 측은 상기 Reset PDU를 수신하고 VR(RST)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킨다. 그리고 값이 변경된 상기 VR(RST)의 값을 상기 MaxRST 값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상기 VR(RST)의 값이 MaxRST보다 큰 경우에는 상위 계층인 RRC 계층으로 이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VR(RST)값이 MaxRST보다 작은 경우에는 Reset ACK PDU를 수신 측으로 전송한다.
상기 Reset PDU를 수신한 수신 측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수신 측은 가장 마지막으로 수행했던 재설정 과정에서 사용되었던 RSN 값과 지금 수신된 Reset PDU에 포함된 RSN 값이 같은지 비교한다. 비교 결과 상기 RSN값이 서로 같은 경우, 수신 측은 지난번에 전송하였던 Reset ACK PDU과 동일한 값으로 다시 Reset ACK PDU를 전송한다. 그리고, 현재 수신된 Reset PDU가 해당 RLC 엔티티가 연결(ESTABLISHED)되거나 재연결(RE-ESTABLISHED)된 이후에 수신된 첫 번째 Reset PDU이거나, 가장 최근에 마지막으로 수신된 Reset PDU의 RSN값과 비교 결과 그 값이 다른 경우에는, 새로이 Reset ACK PDU를 구성해서 전송한다.
그리고, 환경변수들을 초기화하고 구동중인 타이머(Timer)들을 중지한다. 수신되어 있는 RLC PDU들을 폐기하고, 해당 재설정 과정 이전에 송신된 RLC SDU들을 폐기한다. 또한, 수신 측 방향 및 송신 측 방향의 HFN 값을 재설정한다. 예를 들어, 기존의 HFN 값보다 1만큼 증가시킨 값을 상기 HFNI 필드를 통해서 Reset ACK PDU를 전송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HFNI 필드에는 자신이 송신하는 방향에서 사용된 가장 큰 값의 HFN 값을 상기 HFNI 필드에 채워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신 측은 Reset PDU를 전송한 후, Reset ACK PDU의 수신을 대기하다가, Reset ACK PDU가 수신되면, 다음의 동작들을 수행한다. 먼저 상기 Reset ACK PDU에 포함된 RSN 값이 자신이 전송했던 Reset PDU에 포함된 RSN 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RSN 값이 같을 경우 다음의 과정들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Reset ACK PDU를 폐기한다.
수신된 상기 Reset ACK PDU의 HFNI 필드에 포함된 HFN 값으로 자신의 수신 측 방향의 HFN을 재설정한다. 환경변수들을 초기화하고 구동 중인 타이머들을 중지한다. 그리고, 수신되어 있는 RLC PDU들 및 재설정 이전에 송신된 RLC SDU들을 폐기한다.
수신 측 방향의 재설정된 상기 HFN 값에 따라 송신측 방향의 HFN을 재설정한다. 즉, 위 예에 따르면, 1만큼 증가시킨다. 이런 재설정 과정의 수행 후 송신 측과 수신 측은 동일한 HFN을 가지게 되고, 동일한 HFN 값을 통해서 암호화와 해독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에 대해 설명한다.
현재 3GPP에서는 UMTS망을 진화시켜 고속의 전송속도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 중 대표적인 시스템으로 상기 HSDPA를 들 수 있다. HSDPA를 위해서 많은 새로운 기법들이 도입되고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바로 HARQ 이다.
HARQ 방법은 RLC 계층에서 수행하는 패킷의 재전송방법과는 다른 개념의 재전송방법이다. 이는 물리계층과 연계되어 사용되고 재전송된 데이터를 이전에 수신한 데이터와 결합하여 보다 높은 복구율을 보장한다. 즉, 전송에 실패한 패킷을 폐기시키지 않고 저장하고 있으면서, 재전송된 패킷과 디코딩 이전단계에서 결합하여 패킷을 복구하는 방법이다. HARQ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Node B의 MAC-hs 부계층에는 HARQ 블록이 존재한다. 상기 HARQ 블록에는 지원하는 단말의 HARQ 동작을 관장하는 HARQ 엔티티들이 존재하며, 각 상기 HARQ 엔티티는 각 단말에 대하여 하나씩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HARQ 엔티티 내부에는 여러 개의 HARQ 프로세스(Process)들이 존재하는데, 각 HARQ 프로세스는 HARQ 의 동작에 따른 제어를 담당하고 특정 데이터의 전송을 위하여 사용된다. 각 HARQ 프로세스는 여러 개의 데이터가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으나, 하나의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전송시간간격)에 하나씩만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에 성공하면, 비어있는 프로세스가 되어 다른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될 수 있으나, 전송이 실패하면 해당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거나 폐기될 때까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
상기 Node-B의 MAC-hs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Node-B는 RNC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들을 재구성하여 MAC-hs PDU들을 생성하고, 이 MAC-hs들을 각 HARQ 프로세스에 할당한다. 여기서 각 HARQ 프로세스에서 전송한 MAC-hs PDU들은 한번에 성공적으로 단말에 전달될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먼저 만들어진 MAC-hs PDU 1은 A라는 HARQ 프로세스에 할당되고 그 이후에 만들어진 MAC-hs PDU 2는 B라는 HARQ 프로세스에 할당된 경우를 가정해 보자. 각 HARQ 프로세스는 동시에는 전송을 수행하지는 않지만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만약 A라는 HARQ 프로세스는 전송에 계속 실패하고 B라는 HARQ 프로세스는 A라는 HARQ 프로세스보다 먼저 성공적으로 전송에 성공하여, 먼저 만들어진 MAC-hs PDU 1보다 후에 만들어진, 즉 나중에 Node-B에 도착한 데이터를 포함한 MAC-hs PDU B가 단말에 먼저 도착하여 처리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이는, 한 HARQ 프로세스에 따라서 Node-B에서 생성된 순서대로 MAC-hs PDU가 단말에 전달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결국 이는 MAC-hs PDU에 포함된 RLC PDU들도 순서대로 RLC에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는 DCH와 E-DCH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DCH와 E-DCH는 모두 하나의 단말이 전용으로 사용하는 전송채널이다. 특히, E-DCH는 단말이 UTRAN으로 상향 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DCH에 비해 고속으로 상향 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도록 하기 위해 E-DCH는 HARQ (Hybrid ARQ)와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Node B Controlled Scheduling 등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E-DCH를 위해, Node B는 단말에게 단말의 E-DCH 전송을 제어하는 하향 제어정보를 전송한다. 하향 제어정보는 HARQ를 위한 응답정보(ACK/NACK)와 AMC를 위한 채널상태 정보(Channel Quality Information), Node B Controlled Scheduling을 위한 E-DCH전송속도 할당정보, E-DCH 전송시작시간 및 전송시간구간 할당정보 등을 포함한다. 한편, 단말은 Node B에게 상향 제어정보를 전송한다. 상향 제어정보는 Node B Controlled Scheduling을 위한 E-DCH 전송속도 요청정보(Rate Request Information), 단말버퍼상태 정보(UE Buffer Status Information), 단말전력상태 정보(UE Power Status Information) 등을 포함한다. E-DCH를 위한 상향 제어정보와 하향 제어정보는 E-DPCCH(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와 같은 물리 제어채널(Physical Control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E-DCH를 위해 MAC-d와 MAC-e 사이에는 MAC-d flow가 정의된다. 이때, 전용논리채널은 MAC-d flow에 매핑되고, MAC-d flow는 전송채널 E-DCH에 매핑되며, 전송채널 E-DCH는 다시 물리채널 E-DPDCH(Enhanced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에 매핑(Mapping)된다. 반면, 전용논리채널은 바로 전송채널 DCH에 매핑될 수도 있다. 이때, 전송채널 DCH는 물리채널 DPDCH(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에 매핑된다.
위 프로토콜 계층 구조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 4에 나타난 상기 MAC-d 부계층은 특정 단말에 대한 전용전송채널인 DCH(Dedicated Channel)의 관리를 담당하고, 상기 MAC-e 부계층은 고속의 데이터를 상향으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송채널인 E-DCH(Enhanced Dedicated Channel)를 담당한다.
도 5는 MAC-es 부계층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MAC-es 부계층은 RNC에 위치하여 상기 E-DCH를 지원하는데 사용되는 계층이다. MAC-es는 MAC-e로부터 전달되어온 MAC-es PDU의 재정렬을 수행한다. 특히 하나이상의 Node-b가 E-DCH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 각각의 Node-b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된 MAC-e PDU는 MAC-es PDU로 분해되고, 이것이 최종적으로 MAC-es에서 재정렬되며, MAC-es는 MAC-es PDU를 MAC-d PDU 또는 RLC PDU로 분해하여 상위단으로 전송한다.
도 6은 MAC-e 부계층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MAC-e는 E-DCH를 지원하는데 필요한 Node-b에 위치한 MAC-e는 실제적으로 E-DCH와 관련하여 무선계층의 제어를 관리하며, 실제적으로 MAC-e PDU의 전송을 제어하며 scheduling 과 HARQ 를 담당한다. 그리고 성공적으로 수신된 MAC-e PDU는 MAC-es PDU들로 쪼개어져 MAC-es로 전달된다.
이하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 RLC 엔티티가 최대한 빠르게 제어 정보 예를 들어, 상태 정보를 송신 측으로 전송하고, 송신 측에서는 RLC PDU의 재전송을 최대한 빠르게 시작하도록 하여, 데이터 전송속도를 높이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RX RLC 엔티티가 데이터 송신 측으로 빠르게 제어 정보 예를 들어, 상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일 방법으로, 하나의 RLC 엔티티에 다수 개의 논리 채널이 설정될 것을 제안한다. 이 경우, 상기 RX RLC 엔티티가 RLC PDU를 전송할 수 있는 채널이 복수 개이므로, 상기 RLC 엔티티는 자신이 전송하려는 RLC PDU의 특성과 내용에 따라서, 상기 다수 개의 논리 채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RLC PDU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RLC PDU는 송신 측으로 상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RLC PDU일 수 있다. 즉, RLC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측은, 자신과 연결된 다수 개의 논리 채널 중, 상태 정보를 가장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논리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논리 채널을 통해서 상기 상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RNC 엔티티는 위에서 설명한 AM RNC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TX RNC에서 소정의 RNC PDU들을 전송한다(S70). 상기 RNC PDU들을 수신한 RX RNC는 상기 수신된 RNC PDU들을 확인한다(S71). 확인 결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RLC PDU들이 있거나, 또는 자신의 버퍼에 도착하지 않은 RLC PDU들을 발견한 경우, 제어 정보를 구성한다(S72). 그리고 상기 구성된 제어 정보를 상기 설정된 다수 개의 논리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한다(S73, S74). 상기 제어 정보는 상태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상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RLC PDU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 정보를 수신한 TX RNC는 상기 제어 정보를 처리하여 해당 RNC PDU들을 재전송한다(S76).
위와 같이 다수의 채널을 구비함으로써, 제어 정보의 전송속도를 높이고 각 제어 정보의 종류에 따라 유연하게 채널을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정보를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와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로 나누고, 각각의 제어 정보를 서로 다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할 것을 제안한다. 즉,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와,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는 하나의 메시지에 같이 포함되어 전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RLC 엔티티는 하나의 RLC PDU에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와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함께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각각의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와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는 각각 구성되고 서로 동일한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AM RLC 엔티티에서 사용하는 제어정보를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와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상기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는 AM RLC 엔티티가 어떤 RLC PDU 또는 RLC SDU를 수신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제어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는 AM RLC 엔티티가 자신이 어떤 RLC PDU 또는 RLC SDU를 상대 측 RLC 엔티티로 전송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제어정보를 의미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는, AM RLC 엔티티의 수신 측이 구성하는 메시지로, 상기 AM RLC 엔티티의 수신 측이 어떤 AM RLC PDU를 성공적으로 수신했고, 어떤 AM RLC PDU를 성공하지 못했는지를 알려주는 정보이다. 즉, 수신 측 RLC 엔티티가 송신 측으로부터 RLC PDU를 수신한 후, 어떤 RLC PDU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고, 어떤 RLC PDU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음을 알려줄 경우, 상기 정보는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는, AM RLC 엔티티의 송신 측이 구성하는 메시지로, 상기 AM RLC 엔티티의 송신 측이 어떤 AM RLC SDU를 폐기했다던지, 또는 어떤 AM RLC SDU를 더 이상 보내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정보이다.
위에서 설명한 재설정 과정과 관련된 제어정보는 송신 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Reset PDU 또는 Reset Ack PDU는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MRW(move receiving window) 과정과 관련된 제어정보도 송신 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RW 과정은 송신 측에서 어떤 RLC SDU를 폐기하여 더 이상 전송하지 않을 때, 이를 수신 측에 알리기 위해서 사용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의 결과로 송신 윈도우(transmission window)의 조정이 발생하기도 한다. 즉, 송신 측은 일부 RLC SDU를 삭제하기로 결정하여, 더 이상 수신 측으로 전송하지 않을 경우, MRW SUFI를 이용하여 수신 측에게 알리고, 수신 측은 상기 MRW SUFI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MRW SUFI의 내용에 따라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송신 측에 MRW ACK SUFI를 전송하여 MRW 과정이 성공적으로 끝났음을 알린다. 즉, 상기 MRW SUFI 또는 MRW Ack SUFI는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도 7a에서와 마찬가지로 TX RNC에서 RNC PDU들을 RX RNC로 전송하고(S70), 상기 RX RNC에서 수신된 상기 RNC PDU들 중에서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하거나 수신되지 않는 RNC PDU들이 있는 경우(S71), 제어 정보를 구성한다(S72).
상기 제어 정보는 위 구분 방법에 따르면,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이므로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에 해당할 것이다. 상기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TX RNC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RX RNC에는 다수 개의 채널이 설정되어 있고, 바람직하게 그 중 일부는 상기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 전용으로 설정된다. 즉,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은 제어 정보의 전송에만 사용된다. 이 경우, 상기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논리 채널들은 실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에만 사용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 데이터와 제어 정보 모두의 전송에 사용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정보만 전송하도록 설정된 논리 채널은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의 전송에만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가, 자신보다 이전에 전송된 데이터 블록보다 먼저 상대 엔티티에 도착하면,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데이터 수신 및 복호화 과정에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수신방향 제어 정보는, 상기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RLC 엔티티에서 송신하려고 하는 사용자 데이터와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수신방향 제어 정보는, 상기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전송한 RLC 엔티티에서 송신한 사용자 데이터보다 먼저 상대 RLC 엔티티에 도착하여도,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에 아무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도착 순서에 크게 관련되지 않은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의 경우에는 별도의 전용 채널을 설정하여 송수신 및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 전용으로 설정하는 방법의 예들을 설명한다. 이하 상기 AM RLC 엔티티(RX RNC)에는 2 개의 채널이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3 개 이상의 채널이 설정된 경우에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법으로 적용가능함은 자명하다.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 전용으로 설정하는 일 방법으로 위에서 가정한 대로 AM RLC 엔티티(RX RNC)는 두 개의 논리 채널과 접속되고, 상기 두 개의 논리 채널 중에서 제1 논리채널은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의 전송에만 사용하고, 제2 논리채널은 수신방향과 관련 없는 제어정보와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에만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AM RLC 엔티티(RX RNC)는 상대 측 AM RLC 엔티티(TX RNC)로부터 RLC PDU들을 수신하고, 만약 자신이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RLC PDU들이 있거나, 또는 자신의 버퍼에 도착하지 않은 RLC PDU들을 발견한 경우, 수신 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구성한다(S70~S72). 그리고 상기 구성된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의 전송에만 사용하도록 설정된 첫 번째 논리채널로 전송한다(S77). 상기 제어 정보는 상태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상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RLC PDU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정보를 수신한 AM RLC 엔티티(TX RNC)는 상기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즉시 처리한다(S78). 즉, 상기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가 어떤 RLC PDU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음을 알려 지시할 경우, 상기 RLC PDU를 재전송한다(S79). 즉,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한 TX RNC에서는 상기 제어 정보를 처리하여 필요한 경우 RNC PDU들을 재전송한다.
상기 과정에서, AM RLC 엔티티(RX RNC)는 상대 측 AM RLC 엔티티(TX RNC)로, 자신이 전송하는 사용자 데이터와 관련하여 전송해야 할 제어정보가 있는 경우, 송신 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 정보는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가 될 것이다. RX RNC는 상기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상기 설정된 두 개의 논리 채널 중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만을 전송하도록 설정되지 않은 채널 즉, 제2 논리채널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 전용으로 설정하는 다른 방법으로, 위에서 가정한 대로 AM RLC 엔티티(RX RNC)는 두 개의 논리 채널과 접속되고, 상기 두 개의 논리 채널 중에서 제1 논리채널은 수신방향과 관련 없는 제어정보와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AM RLC 엔티티(RX RNC)는 상대 측 AM RLC 엔티티(TX RNC)로부터 RLC PDU들을 수신하고, 만약 자신이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RLC PDU들이 있거나, 또는 자신의 버퍼에 도착하지 않은 RLC PDU들을 발견한 경우,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구성한다(S70~S72). 그리고, 구성된 상기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상기 설정된 두 개의 제1 및 제2 논리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한다. 상기 제어정보는 상태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RLC PDU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는 상기 제1 논리채널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S77).
상기 방법에서도, AM RLC 엔티티(RX RNC)가 상대 측 AM RLC 엔티티(TX RNC)에, 자신이 전송하는 사용자 데이터와 관련하여 전송해야 할 제어정보가 있는 경우,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구성한다. 그리고 구성된 상기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상기 설정된 두 개의 논리 채널 중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의 전송이 금지되지 않은 채널 즉 제2 논리채널을 통하여 전송한다.
상기 과정에서, RX RNC가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송신한 경우, 상기 제어정보를 수신한 AM RLC 엔티티(TX RNC)는 상기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즉시 처리한다(S78). 즉, 상기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가 어떤 RLC PDU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음을 알려 재전송을 지시할 경우, 해당 RLC PDU를 재전송한다(S79).
위와 같이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와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구분하여 전송함으로써 제어 정보의 특성에 따라 송수신 방법이나 처리 순서, 속도 등을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어 효율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전송할 때, 상기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언제 처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소정의 처리 시간 정보(제1 시간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송신 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수신한 RLC 엔티티가, 상기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언제 처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통해 위에서 설명한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는 상태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상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RLC PDU를 이용할 수 있다.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RLC 엔티티(TX RNC)는, 상기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전송할 때, 상기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가 처리되기에 바람직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S81). 상기 시간에 대한 정보는 별도로 전송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즉, 상기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구성할 때 상기 제어 정보가 처리될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하고(S80), 상기 처리 시간 정보가 포함된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상대 측 AM RNC 엔티티(RX RNC)로 전송한다(S81). 상기 제어정보를 수신한 RLC 엔티티(RX RNC)는, 수신된 상기 제어 정보에 처리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처리 시간 정보가 지시하는 시간에, 상기 제어 정보를 처리한다(S83).
상기 처리 시간 정보는 상기 TX RNC 엔티티에서 상기 제어 정보가 생성된 시간 정보, 상기 RLC 엔티티(RX RNC)에서 상기 제어 정보가 처리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 단말마다 설정된 시간기준이 되는 CFN(Connection Frame Number), 한 셀에서의 시간기준이 되는 SFN (System Frame Number), 상기 제어 정보가 전송되기 직전에 마지막으로 RLC 엔티티가 전송한 사용자 데이터, 즉 RLC PDU에 포함되는 일련번호 정보 및 상기 제어 정보가 전송된 후, RLC 엔티티가 전송하게 될 사용자 데이터, 즉 RLC PDU에 포함되는 일련번호 정보 중에서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처리 시간 정보가 상기 제어 정보가 생성된 시간 정보 또는 상기 제어 정보가 처리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RX RNC에서는 상기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처리 시간 정보가 지시하는 시간에 상기 제어 정보를 처리한다.
상기 처리 시간 정보가 상기 SFN 또는 상기 CFN일 경우, 해당 CFN 또는 SFN에 상응하는 시간에 상기 제어정보를 처리한다.
상기 처리 시간 정보가 RLC PDU에 포함되는 일련번호 정보이되 상기 RLC PDU의 일련번호 정보는 상기 제어 정보가 전송되기 직전에 마지막으로 RLC 엔티티가 전송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것인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한 RLC엔티티(RX RNC)는, 해당 RLC PDU가 처리된 후, 상기 제어 정보를 처리한다.
상기 시간정보가 RLC PDU에 포함되는 일련번호 정보이되 상기 제어 정보가 전송된 후, RLC 엔티티가 전송하게 될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것인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해당 RLC PDU를 처리하기 직전에, 상기 제어 정보를 처리한다.
그런데, 상기 시간정보가 RLC PDU의 일련번호일 경우, 상기 RLC PDU가 수신 측에 도착하지 않을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기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처리하는 시간정보가 상기 RLC PDU에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RLC PDU를 수신하지 못하면 제어 정보를 처리함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RLC 상태 정보를 처리해야 하는 RLC 엔티티는 이후에 상기 RLC PDU를 수신하여 상기 RLC PDU가 수신되어야, 처리 시간 정보에 맞추어 상기 RLC 상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RLC PDU가 도착하지 않는다면, 상기 RLC 엔티티는 결국 상기 RLC 상태 정보를 처리하지 못하여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정보 예를 들어, RLC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RLC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RLC 엔티티는, 상기 RLC 상태 정보가 언제까지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알려주는 정보를 전송한다. 이하 상기 제어 정보 등이 처리되기 위한 바람직한 처리 완료 시간을 지시하는 정보를 처리제한 시간 정보(제2 시간 정보)라고 칭한다.
상기 처리제한 시간 정보로 단말마다 설정된 시간기준이 되는 CFN(Connection Frame Number), 한 셀에서의 시간기준이 되는 SFN (System Frame Number) 및 타이머 값을 들 수 있다.
상기 처리제한 시간 정보가 CFN 및 SFN인 경우에는 해당 시간까지 상기 제어 정보가 처리 시간 정보에 따른 타이밍에 처리되지 않은 경우 상기 처리제한 시간 정보로 전송된 CFN 및 SFN에 해당하는 타이밍에 상기 제어 정보를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처리제한 시간 정보가 타이머 값인 경우,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한 RLC 엔티티는, 상기 처리제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제한 시간 내에 제어 정보 처리를 완료하기 위해서 타이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처리제한 시간 정보는 제어 정보 예를 들어, RLC 상태 정보가 언제까지 처리되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정보는 타이머 값이다. 이 경우, RLC 상태 정보의 수신 측(RX RNC)은, 상기 RLC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타이머 값을 이용하여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상기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 RLC 상태 정보와 함께 수신된 처리 시간 정보와 일치하는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타이머를 중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타이머가 완료되면, 상기 RLC 상태 정보를 처리한다.
도 8a에 나타나듯 타이머가 완료되기 이전에 상기 제어 정보가 처리 시간 정보에 따라 지정된 타이밍에 처리되는 경우(S83)에는 상기 타이머의 동작을 중지한다(S84). 예를 들어, 상기 RLC 상태 정보에 포함된 처리 시간 정보가 RLC PDU의 일련 번호인 경우에는 해당 RLC PDU를 수신한 경우, 상기 RLC PDU의 처리 전 또는 후에 상기 제어 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타이머의 동작을 중지한다.
그리고, 도 8b에 나타난 것과 상기 처리제한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타이머의 동작이 완료되고, 그때까지 상기 제어 정보가 처리되지 않고 남아 있는 경우에는 상기 처리 시간 정보와 관련 없이 상기 타이머의 동작이 완료되는 타이밍에 상기 제어 정보를 처리한다.
상기 처리 시간 정보(제1 시간 정보) 또는 처리제한 시간 정보(제2 시간 정보)는 제어 정보마다 동일하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 정보 예를 들어, 상태 정보 각각은 포함하는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상태 정보마다 처리제한 시간, 즉 상기 상태 정보가 생성되고 전송된 후, 상대 측 RLC가 상기 상태 정보를 처리를 완료해야 하는 제한시간이 다를 수도 있다.
위와 같은 타이머 동작을 이용하는 등으로 처리제한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처리시간 정보에 처리되도록 설정된 경우 설정된 처리 시간 기준에 문제가 생겨 수신된 상기 제어 정보가 처리되지 않는 채 무작정 대기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의 실시 형태와 같이 처리 시간 정보를 바람직하게는 처리제한 시간 정보도 포함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어 정보의 수신 측에서는 상기 제어 정보 수신 순서가 송신 측에서 전송한 순서와 다르게 수신되는 경우에도 수신된 상기 제어 정보를 제대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RLC 엔티티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RLC 엔티티에 하나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제안한 RLC 엔티티가 둘 이상의 채널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RLC 엔티티에 하나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연결하여 사용하되, 상기 제어 정보 예를 들어, RLC 상태 정보의 송신 측이 상기 RLC 상태 정보와 함께, 처리 시간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처리 시간 정보를 포함한 RLC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쪽은, RLC PDU들이 상기 RLC 상태 정보의 송신 측에서 수신 측으로 전송되는 과정에서 순서가 바뀌더라도, 상기 처리 시간 정보를 통해서 상기 RLC PDU와 상태 정보를 제대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과정에서 RLC 엔티티가 하나의 논리 채널에만 연결되어도, 시간정보가 전송된다면, RLC 엔티티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위와 유사한 이유에서 RLC 상태 정보와 시간정보가 함께 전송되는 경우, RLC 상태 정보는 송신방향 상태 정보와 수신방향 상태 정보가 같은 메시지를 통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경우, 상기 제어 정보의 수신 측에서 상기 제어 정보를 처리함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정보 예를 들어, 상기 RLC 상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수신방향 상태 정보의 경우에는 수신되는 즉시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RLC 상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송신방향 상태 정보의 경우에는 상기 RLC 상태 정보와 함께 수신한 처리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에 처리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RLC 엔티티가 하나의 논리 채널과 연결된 경우, 하위 엔티티에서 재정렬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송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가 자신보다 먼저 전송되기 시작한 RLC PDU보다 먼저 RLC 엔티티에 도착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는 상대 측 RLC 엔티티에 그 순서에 구애받지 않고 빠르게 도착하여도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수신 제어정보의 경우에는 상기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하위엔티티의 재정렬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RLC 엔티티는 수신 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전송을 위해 하위엔티티에 전달할 경우, 상기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와 함께 재정렬 수행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의 일례로 상태 정보를 들 수 있으며,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RLC PDU를 이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RX RNC 엔티티에서 상기 재정렬 수행 여부에 대한 정보 즉, 재정렬 통과 지시자를 설정하여 RLC PDU를 구성하여(S90) 하위 엔티티 즉, RX MAC 엔티티로 전달한다(S91). 상기 재정렬 통과 지시자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RX MAC 엔티티는 상기 재정렬 통과 지시자와 함께 전달받은 RLC PDU를 포함하는 MAC PDU를 구성한다(S92) 그리고, 구성된 상기 MAC PDU를 상대 측 즉, TX MAC으로 전송한다(S93). 이때, 상기 MAC PDU에 상기 RLC PDU는 재정렬을 수행하지 않고 즉시 상위 단으로 전달할 것을 지시하는 지시자와 포함시켜 전송한다.
또한, 상기 MAC PDU를 수신한 엔티티는 상기 MAC PDU에 재정렬을 수행하지 않고 즉시 상위 단으로 전달할 것을 지시하는 지시자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S94, S95) 재정렬을 수행하여 상위 계층 즉, TX RNC로 전달한다(S95, S97). 그리고, 상기 MAC PDU에 재정렬을 수행하지 않고 즉시 상위 단으로 전달할 것을 지시하는 지시자가 포함된 경우에는(S96), 상기 지시자와 관련된 RLC PDU에 대해서는 재정렬을 수행하지 않고 즉시 상위 RLC 엔티티로 전달한다(S97). 상기 제어 정보 등을 수신한 상위 RLC 엔티티는 상기 제어 정보를 처리한다(S98).
상기 재정렬 통과 지시자는 재정렬을 수행하지 않을 것을 지시하는 경우에만 제어 정보에 포함하여 전송하여 재정렬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정보 비트를 할당하여 항상 포함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 비트를 할당받은 경우 '0'으로 설정하여 전송하는 경우에는 재정렬을 수행하도록 지시함을 의미하고, '1'로 설정하여 전송하는 경우에는 재정렬을 수행하지 않고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위의 실시 형태의 경우 바람직하게, 상기 MAC PDU에는 하나의 RLC PDU만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RLC PDU에는 수신방향과 관련된 제어정보만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다른 것들로 대치될 수 있고,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형태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동일한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 측 RLC 엔티티가 최대한 빠르게 제어 정보를 송신 측에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송신 측이 RLC PDU의 재전송을 최대한 빠르게 시작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 결과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PDU(Protocol Data Unit)을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위계층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데이터 PDU 및 하나 이상의 제어 PDU를 생성하는 응답모드(acknowledged mode)의 제1 프로토콜 엔터티(entity); 및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프로토콜 엔터티와 연결되어 있는 제2 프로토콜 엔터티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PDU 및 제1 제어 PDU는 상기 제1채널을 통해 전송되고, 제2 제어 PDU는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전송되고,
    상기 제1 제어 PDU는 Reset PDU, Reset ACK PDU 및 piggybacked status PDU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PDU는 응답정보(Acknowledgement Information)를 포함하는 status PDU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토콜 엔터티와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전송채널을 통해 하위 계층과 연결되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엔터티를 포함하는 제3 프로토콜 엔터티를 더 포함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 엔터티는 AM RLC(Acknowledge Mode Radio Link Control) 엔터티이고, 상기 제2 프로토콜 엔터티는 제1 MAC(Media Access Control) 엔터티이며, 상기 제3 프로토콜 엔터티는 제2 MAC 엔터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제1 논리채널에 해당하고, 제2 채널은 제2 논리채널에 해당하며, 상기 제1 논리채널 및 상기 제2 논리채널은 MAC 엔터티와 물리층 사이에 위치한 E-DCH(Enhanced-Dedicated Channel)와 매핑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PDU는 HFN(Hyper Frame Number)을 사용하여 암호화되고, 각각의 데이터 PDU는 대응하는 일련번호(Sequence Number)포함하되,
    상기 제1 제어 PDU는 HFNI(Hyper Frame Number Indicator)필드를 포함하는 Reset PDU, HFNI필드를 포함하는 Reset ACK PDU 및 piggybacked status PDU를 포함하고, 상기 HFNI필드는 상기 장치 및 네트워크 내에 HFN값을 동기화 하는 데 사용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계층은 RRC(Radio Resource Control)계층,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계층 및 BMC(Broadcast/Multicast Control)계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PDU는 제1 시간 정보 및 제2 시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간 정보는 상기 제1제어 PDU를 언제 처리해야 하는 지에 대한 처리시작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시간 정보는 상기 제1제어 PDU를 언제까지 처리 완료해야 하는지에 대한 처리 제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간 정보 및 제2시간 정보는 CFN(Connection Frame Number), SFN(System Frame Number), SN(Sequence Number) 및 타이머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PDU는 상기 제2 제어 PDU를 수신한 하위계층에서 상기 제2제어 PDU의 재정렬을 수행할지 여부를 가리키는 재정렬 통과 지시자를 포함하는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UE(User Equipme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장치 내에서 설정된 응답모드의 제1 프로토콜 엔터티(Entity)에서 PDU(Protocol Data Unit)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위 계층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데이터 PDU 및 하나 이상의 제어 PDU를 생성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데이터 PDU 중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제어 PDU를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통해 제2 프로토콜 엔터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PDU 및 제1 제어 PDU는 상기 제1채널을 통해 전송되고, 제2 제어 PDU는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전송되고,
    상기 제1 제어 PDU는 Reset PDU, Reset ACK PDU 및 piggybacked status PDU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PDU는 응답정보(Acknowledgement Information)를 포함하는 status PDU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3 프로토콜 엔터티는 상기 제2 프로토콜 엔터티와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전송채널을 통해 하위 계층과 연결되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엔터티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 엔터티는 AM RLC(Acknowledge Mode Radio Link Control) 엔터티이고, 상기 제2 프로토콜 엔터티는 제1 MAC(Media Access Control) 엔터티이며, 상기 제3 프로토콜 엔터티는 제2 MAC 엔터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은 제1 논리채널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채널은 제2 논리채널에 해당하며, MAC 엔터티와 물리층 사이에 위치한 E-DCH(Enhanced-Dedicated Channel)와 매핑되는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PDU는 HFN(Hyper Frame Number)을 사용하여 암호화되고, 각각의 데이터 PDU는 대응하는 일련번호(Sequence Number)포함하되,
    상기 제1 제어 PDU는 HFNI(Hyper Frame Number Indicator)필드를 포함하는 Reset PDU, HFNI필드를 포함하는 Reset ACK PDU 및 piggybacked status PDU를 포함하고, 상기 HFNI필드는 상기 장치 및 네트워크 내에 HFN값을 동기화 하는 데 사용하는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계층은 RRC(Radio Resource Control)계층,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계층 및 BMC(Broadcast/Multicast Control)계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PDU는 제1 시간 정보 및 제2 시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상기 제1제어 PDU를 언제 처리해야 하는 지에 대한 처리시작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간 정보는 상기 제1제어 PDU를 언제까지 처리 완료해야 하는지에 대한 처리 제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정보 및 제2 시간 정보는 CFN(Connection Frame Number), SFN(System Frame Number), SN(Sequence Number) 및 타이머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PDU는 상기 제2 제어 PDU를 수신한 하위계층에서 상기 제2 제어 PDU의 재정렬을 수행할지 여부를 가리키는 재정렬 통과 지시자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UE(User Equipme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70002952A 2007-01-10 2007-01-10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 KR101430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952A KR101430439B1 (ko) 2007-01-10 2007-01-10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
ES08704643T ES2404168T3 (es) 2007-01-10 2008-01-08 Procedimiento para transmitir información de control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es móviles
CN200880002114.2A CN101627611B (zh) 2007-01-10 2008-01-08 在移动通信系统中用于传输控制信息的方法
US12/448,822 US8300583B2 (en) 2007-01-10 2008-01-08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9542661A JP5069754B2 (ja) 2007-01-10 2008-01-08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情報伝送方法
EP08704643A EP2105006B1 (en) 2007-01-10 2008-01-08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CT/KR2008/000103 WO2008084959A2 (en) 2007-01-10 2008-01-08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W097101057A TWI434563B (zh) 2007-01-10 2008-01-10 在行動通訊系統中傳輸控制資訊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952A KR101430439B1 (ko) 2007-01-10 2007-01-10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823A KR20080065823A (ko) 2008-07-15
KR101430439B1 true KR101430439B1 (ko) 2014-08-18

Family

ID=3960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952A KR101430439B1 (ko) 2007-01-10 2007-01-10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00583B2 (ko)
EP (1) EP2105006B1 (ko)
JP (1) JP5069754B2 (ko)
KR (1) KR101430439B1 (ko)
CN (1) CN101627611B (ko)
ES (1) ES2404168T3 (ko)
TW (1) TWI434563B (ko)
WO (1) WO200808495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4634B2 (en) * 2007-03-15 2014-05-1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ordering data in an evolved high speed packet access system
JP2010093329A (ja) * 2008-10-03 2010-04-22 Sumitomo Electric Ind Ltd 通信制御装置
US8228851B2 (en) * 2008-11-03 2012-07-24 Htc Corporation Method for handling random access response reception and an E-UTRAN and user equipment thereof
CN102740402B (zh) * 2011-04-02 2015-12-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接入的方法和终端设备
CN105897385A (zh) * 2011-11-24 2016-08-24 华为技术有限公司 Rlc数据包传输的确认方法及rlc am实体发送方
US9585008B2 (en) 2013-04-19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signaling out-of-standard capabi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WO2016018060A1 (ko) * 2014-07-30 2016-02-04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플러딩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726625B2 (en) * 2015-01-28 2020-07-28 CCP hf.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the transmission and processing of data regarding a multi-user virtual environment
US10725297B2 (en) 2015-01-28 2020-07-28 CCP hf.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 virtual representation of a physical environment using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WO2018058468A1 (zh) * 2016-09-29 2018-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播业务的发送方法和设备
KR102232430B1 (ko) * 2018-01-04 2021-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장치,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591A (ko) * 2004-06-14 2005-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링크제어(rlc) 데이터처리방법
KR20050118594A (ko) * 2004-06-14 2005-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프로토콜 계층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서 전송데이터 유닛 처리 방법
WO2005125252A1 (en) 2004-06-15 2005-12-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cheduling mode dependent data transmissions
KR20060115498A (ko) * 2005-05-06 2006-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단에서 상태정보를 포함하는pdu를 송수신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001A (ja) * 2000-08-03 2002-02-15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移動無線端末及び通信制御装置
EP1289328A1 (en) * 2001-08-28 2003-03-05 Lucent Technologies Inc. A method of send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corresponding apparatus
EP1500220B1 (en) 2002-04-10 2008-01-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mmunication system using arq
ATE541375T1 (de) * 2003-11-12 2012-01-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atenpaketübertragung
KR100595645B1 (ko) * 2004-01-09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 전송방법
US7525908B2 (en) * 2004-09-24 2009-04-28 M-Stack Limited Data unit management in communications
WO2006118418A2 (en) * 2005-05-04 2006-11-0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ssion window upda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137327B1 (ko) * 2005-05-06 201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채널 스케쥴링을 위한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상향링크 채널 스케쥴링 방법
US8363605B2 (en) * 2006-08-22 2013-01-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grant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591A (ko) * 2004-06-14 2005-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링크제어(rlc) 데이터처리방법
KR20050118594A (ko) * 2004-06-14 2005-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프로토콜 계층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서 전송데이터 유닛 처리 방법
WO2005125252A1 (en) 2004-06-15 2005-12-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cheduling mode dependent data transmissions
KR20060115498A (ko) * 2005-05-06 2006-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단에서 상태정보를 포함하는pdu를 송수신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08269A1 (en) 2010-01-14
TW200836537A (en) 2008-09-01
EP2105006B1 (en) 2013-03-13
JP5069754B2 (ja) 2012-11-07
ES2404168T3 (es) 2013-05-24
JP2010514328A (ja) 2010-04-30
CN101627611B (zh) 2014-01-29
TWI434563B (zh) 2014-04-11
WO2008084959A2 (en) 2008-07-17
KR20080065823A (ko) 2008-07-15
US8300583B2 (en) 2012-10-30
CN101627611A (zh) 2010-01-13
EP2105006A2 (en) 2009-09-30
EP2105006A4 (en) 2010-11-03
WO2008084959A3 (en) 200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043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
JP4318733B2 (ja) 処理時間情報を含む制御プロトコルデータユニットの送受信方法
KR10093809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KR10108413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단에서의 상태 pdu송수신방법
KR100840733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처리하는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수신 장치
JP5281700B2 (ja) 無線装置とネットワーク間のデータユニットのシーケンスの送信のための無線通信方法
KR100547845B1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서빙 고속 공통 제어 채널 셋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방법
KR10132647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블록 전송 방법
US7646742B2 (en) Method of retransmission protocol reset synchronisation
KR101266207B1 (ko) Rlc 재설정을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1175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 데이터 생성 방법
EP2023556A2 (en) System and method for avoiding stall using timer for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JP6644912B2 (ja) 短レイテンシ高速再送信トリガ
KR101515042B1 (ko) 역방향 전송 자원 할당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00069125A (ko) 통신 시스템 및 그의 rrc 접속 방법
KR10108413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단에서 상태정보를 포함하는pdu를 송수신하는 방법
JP6899460B2 (ja) 短レイテンシ高速再送信トリガ
KR101617044B1 (ko) 피어 엔티티의 전송 상태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유닛 재전송 방법
KR20090116614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제어 데이터 처리 장치 및방법
KR101432101B1 (ko)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수신 패킷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80106385A (ko) 패킷 데이터 분할 재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