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099B1 -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 - Google Patents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099B1
KR101430099B1 KR1020097008862A KR20097008862A KR101430099B1 KR 101430099 B1 KR101430099 B1 KR 101430099B1 KR 1020097008862 A KR1020097008862 A KR 1020097008862A KR 20097008862 A KR20097008862 A KR 20097008862A KR 101430099 B1 KR101430099 B1 KR 101430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metal
filter
casting
heat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8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8866A (ko
Inventor
시게아키 타카시나
토쿠오 츠우라
토모아키 카와바타
다이스케 바라다
Original Assignee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8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08Features with respect to supply of molten metal, e.g. ingates, circular gates, skim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08Features with respect to supply of molten metal, e.g. ingates, circular gates, skim gates
    • B22C9/086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3/00Mechanical cleaning, e.g. skimming of molten metals
    • B22D43/001Retaining slag during pouring molten metal
    • B22D43/004Retaining slag during pouring molten metal by using filte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Mold Materials And Cor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섬유, 무기 섬유 및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필터유지구(filter holder), 그리고 내열성 필터를 포함해서 구성되는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을 주형(鑄型)의 탕도에 설치한다.
용탕, 이물제거, 필터유지구, 주물, 주형

Description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 {PART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 FROM MELT}
본 발명은, 주물의 제조에 있어서, 용탕 중에 혼입하는 슬래그, 그 밖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부품, 상기 부품을 이용한 주형(鑄型), 상기 주형을 이용한 주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물의 제조에 있어서, 용탕 중에 슬래그 등의 이물이 혼입하여 최종적으로 제품까지 도달해버리면 주조 결함을 야기한다. 이물의 혼입 원인은, 용해 원료나 용탕의 산화, 주형 재료의 탈락·혼입 등 다양하며, 혼입 자체를 피하는 것은 사실상 매우 곤란하다. 그래서 실제 작업에서는, 혼입을 극력 감소시키는 것에 더해, 주조 방안 등으로 제품부로의 혼입을 피하는 연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하나로서, 세라믹 등의 내화 재료로 만들어진 필터를 탕구·탕도·게이트(gate) 등의 소위 탕도계에 배치하여 용탕에 혼입된 이물을 제거하는 방법은 확실성이 높기 때문에 자주 이용되고 있다.
단, 필터는 탕(湯) 통과 저항의 제약으로 그다지 개구크기를 작게 할 수 없다. 따라서 슬래그 등의 비교적 큰 이물제거에는 유효하지만, 주형모래 등 작은 이물의 제거는 곤란하다. 그래서, 특히 이물혼입에 의한 결함에 약한 제품을 제조할 때에는, 탕도계에 내화성 재료로 만든 탕도관을 이용해서 주형 유래의 모래의 혼입을 피하고, 또한 용탕 유래로 혼입하는 슬래그 등은 필터에서 제거하는 주조 방안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주형 조형시에 탕도관과 필터를 배치하는 것은, 미경화 상태로 불안정한 모래 위에서 행하기 때문에 위치 결정 등이 어렵고, 필터를 파손시키거나 탕도관내에 모래가 혼입하는 등, 새로운 결함 원인을 발생시킬 가능성마저 있다.
이들의 개선책으로서, 필터 배치부를 미리 일체 성형으로 준비하는 주형 탕 통로에 의한 것(일본 실용신안등록공고 공보 JP-Y2-30117), 내화성 슬리브를 이용해서 탕구와 필터를 일체화한 주형(JP-A1-224139), 탕도 접속과 필터 유지의 구조를 가지는 소성 내화 재료를 사용한 용탕 필터유지구(일본 실용신안등록출원공개 공보 JP-U5-9736) 등이 제안되어 있다. 또, 유기 섬유, 무기 섬유 및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주물제조용 주형 또는 구조체(JP-A2004-181472)가 제안되어 있지만, 필터유지구에 관한 기재나 과제의 개시는 없다.
본 발명은, 유기 섬유, 무기 섬유 및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필터유지구(filter holder), 그리고 내열성 필터를 포함해서 구성되는,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을 포함해서 구성되는, 주물제조용 주형, 상기 주물제조용 주형을 이용하는 주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 섬유, 무기 섬유 및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주물제조용 필터유지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종래 기술에는 이하와 같은 과제가 있다. JP-Y2-30117에서는, 탕 통로에 설치한 확장실 내에 필터를 일체로 설치한다는 구조에 관한 기재가 있지만, 주형 조형에 있어서의 작업성 등 실시시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방법·효과에 대해서는 기재가 없다. 또, 탕로(도)관에 내침식 및 내화성의 알루미나 재질, 뮬라이트 재질의 재료를 사용하므로, 틀 해체 후는 탕도관 자체가 재이용 불가능한 폐기물이 되므로 처리하는 수고나 비용이 늘어난다.
JP-A1-224139는, 탕도를 배제하고 필터 일체의 탕구만으로 주조하는 기술로서, 탕도를 이용하지 않는 것에 의한 용탕 수율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탕구만으로 주조할 수 있는 제품은 일반적으로 소형·경량의 것에 한정되어, JP-A1-224139의 실시예에서도 연성(ductile) 주철로 주입(鑄入) 중량 23.15kg이 최대였다. 즉 적용 범위는 한정적이며, 자유도가 낮다.
또 JP-U5-9736은, 실리카·알루미나 재질 샤모트(chamotte)와 같은 소성 내화 재료를 사용하여 탕도 접속과 용탕 필터 유지의 구조를 부여한 것이지만, 주형 조형의 작업성 향상에는 효과가 있기는 하나, 역시 틀 해체 후에 유지구 자체가 재이용 불가능한 폐기물이 되기 때문에 처리하는 수고나 비용이 늘어난다. 또한, 상기 유지구와 상기 필터 모두, 원료를 성형후에 소성한 것이기 때문에 변형이 발생하기 쉽고, 또 가요성(flexibility)도 부족하기 때문에 양쪽을 조립했을 때에 필터에 대하여 상정외의 변형이 가해질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주형 조형시의 외력이나 주탕(注湯) 시의 열변형에 의해 필터가 파손되는 경우가 있어, 도리어 주조 결함을 발생시킬 우려가 생긴다.
본 발명은, 사용후의 폐기 처리 문제가 저감되며, 필터의 파손을 방지하고, 대형·중량의 주물 제조에 적용 가능하며, 강도 특성도 우수하며, 양질인 주물을 제조할 수 있는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유기 섬유, 무기 섬유 및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필터유지구와 내열성 필터로 이루어지는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을, 탕도계에 배치함으로써, 관련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찾아내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발휘된다.
1. 본 발명에 사용하는 필터유지구는 세라믹제에 비해 경량이면서, 조형시에 있어서의 상온 강도, 주입시에 있어서의 열간 강도 및 형상유지성을 필요 충분히 가진다. 따라서, 그것을 사용한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도, 내열성 필터와 일체 구조인 것에 더해 경량이기 때문에, 조형시의 작업성이 좋고, 소정의 위치에 탕도를 배치할 수 있으며, 또 본 발명에 사용하는 필터유지구는 내열성 필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조형시에 탕도계로 주물모래가 혼입하는 일도 일어나기 어렵다. 그 결과, 필터 본래의 목적인 슬래그 등의 제거 성능을 유감없이 발휘할 수 있다.
2. 본 발명에 사용하는 필터유지구는 주입시의 열에 의해 유기 섬유가 연소하기 때문에, 상기 구조체의 중량이 감소함과 함께, 밀도도 저하한다. 그 때문에, 틀 해체시에 잔존하는 상기 구조체 중량은 주입전에 비교해서 감소하고, 또 밀도가 저하함으로써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후처리가 간편하고 폐기 물량을 저감할 수 있다.
3.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필터유지구에, 또한 탕도관과 끼워 맞춰 접속할 수 있는 구조를 더함으로써, 상기 1의 효과를 더욱 향상할 수 있다.
4. 상기 1~3의 효과에 의해, 슬래그나 주물모래에 기인한 주조 결함이 적고 모래가 들어옴에 따른 가공 트러블(선단 공구의 부족 등) 등이 적은 주물을 저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필터유지구가 되는 구조체는, 유기 섬유, 무기 섬유 및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다.
유기 섬유, 무기 섬유 및 열경화성 수지의 배합비는, 필터유지구로서의 기능과 본 발명의 효과를 발현하는 관점에서, 이들 3개의 합계 100중량부 중, 유기 섬유가 1~50중량부, 무기 섬유가 1~40중량부, 열경화성 수지가 2~5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유기 섬유가 20~50중량부, 무기 섬유가 10~40중량부, 열경화성 수지가 20~50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유기 섬유가 30~50중량부, 무기 섬유가 10~30중량부, 열경화성 수지가 20~40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체는 내열성 및 경제성의 관점에서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경우에 있어서의 유기 섬유, 무기 섬유, 무기 입자 및 열경화성 수지의 배합비는, 이들 4개의 합계 100중량부 중, 유기 섬유가 1~50중량부, 나아가 2~40중량부, 특히 4~3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무기 섬유가 1~40중량부, 나아가 2~30중량부, 특히 4~2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무기 입자가 10~95중량부, 나아가 20~90중량부, 특히 30~85중량부가 바람직하고, 열경화성 수지가 2~50중량부, 나아가 4~40중량부, 특히 6~3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섬유의 배합비는, 하한은 상기 구조체의 성형성이나 상온 강도의 관점에서, 상한은 주입시에 있어서의 상기 구조체로의 가스 발생량 증가에 수반하는 주물 표면 결함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범위가 결정된다.
또, 상기 무기 섬유의 배합비는, 하한은 상기 구조체의 주입시에 있어서의 형상유지성의 관점에서, 상한은 상기 구조체의 성형성이나 주입후에 있어서의 구조체 제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범위가 결정된다.
또한, 상기 무기 입자의 배합비는, 상기 구조체의 주입시에 있어서의 내열성의 관점에서, 상한은 구조체의 성형성이나 주입시에 있어서의 형상유지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범위가 결정된다.
또한, 상기 열경화성 수지의 배합비는, 하한은 상기 구조체의 상온 강도 및 주입시에 있어서의 형상유지성이나 표면평활성 등의 관점에서, 상한은 주입시에 있어서의 상기 구조체로부터의 가스 발생량 증가에 수반하는 주물 표면 결함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범위가 결정된다.
상기 유기 섬유는, 주로 상기 구조체에 있어서 주조에 사용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그 골격을 이루어 상온시의 강도 유지에 기여하는 동시에, 상기 구조체의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이다.
상기 유기 섬유로서는, 종이섬유, 피브릴화한(fibrillate) 합성 섬유, 재생 섬유(예를 들면, 레이온 섬유) 등의 섬유를 들 수 있다. 유기 섬유는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중에서도, 특히, 초조(抄造)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성형할 수 있는 점 외에, 탈수후와 건조후에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는 점에서 종이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이섬유로서는, 목재 펄프, 코튼 펄프, 린터 펄프, 대나무나 짚, 기타 비목재 펄프를 들 수 있다. 종이섬유는, 이들의 버진 펄프 혹은 폐지 펄프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종이섬유는 입수의 용이성, 환경보호, 제조비용의 저감 등의 점에서, 특히 폐지 펄프가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섬유는, 상기 구조체의 성형성, 표면평활성, 내충격성을 고려하면, 평균 섬유길이가 0.3~2.0mm, 특히 0.5~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섬유는, 주로 주조에 사용되었을 때에는 용융 금속의 열에 의해서도 연소하지 않고 그 형상을 유지하는 성분이다.
상기 무기 섬유로서는, 탄소 섬유, 암면(rock wool) 등의 인조광물 섬유, 세라믹 섬유, 천연광물 섬유를 들 수 있다. 무기 섬유는,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중에서도 탄소 섬유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열경화성 수지의 탄화에 수반하는 수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점에서 고온에서도 고강도를 가지는 피치계나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계 탄소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PAN계의 탄소 섬유가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섬유는, 상기 구조체를 초조해서 탈수할 경우의 탈수성, 상기 구조체의 성형성, 균일성의 관점에서 평균 섬유길이가 0.2~10mm, 특히 0.5~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입자는 상기 구조체의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이다.
상기 무기 입자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뮬라이트, 마그네시아, 지르코니아, 운모, 흑연, 흑요석 등의 내화도 8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1700℃의 무기 입자를 들 수 있다. 연화시의 점도가 높고, 용융 금속의 열에 의해 연화되어 치밀한 내화막을 형성하는 관점에서 흑요석, 뮬라이트가루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의 무기 입자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무기 입자는, 입자지름이 200㎛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주조할 용융 금속의 주입 온도에 대하여 ±300℃, 특히 ±200℃의 내화도를 가지는 무기 입자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무기 입자의 내화도는 제거콘(Seger cone)을 사용한 측정 방법(JIS R2204)으로 측정된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페놀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푸란계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는, 상기 구조체의 상온시에 있어서의 강도, 및 열간시에 있어서의 강도 즉 주입시의 형상유지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이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로는, 특히, 가연 가스의 발생이 적고, 연소 억제 효과가 있으며, 열분해(탄화) 후에 있어서의 잔탄률이 25% 이상으로 높고, 주조시에 탄소 피막을 형성하기 위해서 양호한 주조 표면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페놀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잔탄률은 시차열분석에 의해 환원 분위기하(질소분위기하)에서 1000℃로 가열후의 잔류 중량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수지로서는, 레졸페놀 수지, 노볼락페놀 수지, 요소(尿素), 멜라민, 에폭시 등으로 변성한 변성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레졸페놀 수지 또는 그 변성 수지이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도 있고, 나아가서는 아크릴계 수지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등과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의 첨가 형태로서는, 상기 유기 섬유, 상기 무기 섬유 또는 상기 무기 입자에 코팅하거나, 분말화 또는 유화(乳化)해서 원료 슬러리중에 첨가하거나 하여, 초조후 건조 성형했을 때에 상기 유기 섬유, 상기 무기 섬유 및 상기 무기 입자를 결합시키는 것, 성형체의 초조후에 함침시켜, 건조 또는 경화시킴으로써 구조체 등의 강도를 높이고, 주입시에 용융 금속의 열에 의해 탄화시켜서 강도를 유지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어느 쪽이든, 주입시의 용융 금속으로부터 가해지는 열에 의해 탄화해서 탄소 피막을 형성하고, 상기 구조체의 강도 유지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면 첨가하는 형태는 어느 것이라도 좋다.
상기 노볼락 페놀 수지를 사용했을 경우에 필요해지는 경화제는 물에 녹기 쉽기 때문에, 습식 초조에 의한 경우에는 특히 성형체의 탈수후에 도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제로는 헥사메틸렌테트라민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상기 구조체에는, 상기 유기 섬유, 상기 무기 섬유, 상기 무기 입자 및 상기 열경화성 수지에 더해, 필요에 따라,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폴리아미드아민에피크롤히드린 수지 등의 지력(紙力) 강화제, 폴리아크릴아미드계 등의 응집제, 착색제 등의 다른 성분을 적당한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상기 구조체의 두께는 그 이용되는 부분에 따라서 적당히 설정할 수 있는데, 적어도 용융 금속과 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두께가 0.2~5mm, 특히 0.4~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나치게 얇으면 내열성 골재를 충전해서 주형을 조형할 때에 필요한 강도가 불충분해지고, 지나치게 두꺼우면 주입시에 가스 발생량이 증가해서 주물의 표면 결함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것 외에, 성형시간이 길어져, 제조비가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단, 상기 구조체의 두께란, 오로지 상기 구조체에 기계적 강도를 부여하기 위한 보강 리브나 내열성 골재와의 결합 강도를 부여하기 위한 구조(요철, 돌기 등) 등을 제외한 부위를 가리킨다.
본 실시형태의 상기 구조체는, 물을 분산매로 한 원료 슬러리를 사용한 초조공정을 거쳐 제조했을 때에는, 주입시의 가스 발생량을 극력 억제하는 점에서, 주입에 사용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함수율(중량 함수율)이 10% 이하, 특히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상기 구조체는, 경량성에 의한 조형 작업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조형에 사용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그 비중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상기 구조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일례로서 습식 초조법에 의한 성형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습식 초조법은, 상기 유기 섬유, 상기 무기 섬유, 상기 무기 입자 및 상기 열경화성 수지를 상기 소정 배합비로 포함하는 원료 슬러리를 조제하고, 상기 원료 슬러리를 사용한 습식 초조법에 의해 소정 형상의 섬유적층체를 초조하고, 탈수, 건조해서 상기 구조체를 제조한다.
상기 원료 슬러리의 분산매로서는, 물, 백수(白水) 외, 에탄올, 메탄올 등의 용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초조·탈수의 안정성, 품질의 안정성, 비용, 취급의 용이함 등의 점에서 특히 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료 슬러리에 있어서의 상기 분산매에 대한 상기 각 섬유 및 무기 입자의 합계 비율은 0.1~10중량%, 특히 0.5~6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 슬러리 중의 상기 섬유 및 입자의 합계 비율이 지나치게 많으면 두께 불균일이 생기기 쉬워진다. 반대로, 지나치게 적으면 국소적인 얇은 부(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원료 슬러리에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지력 강화제, 상기 응집제, 방부제 등의 첨가제를 적당한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섬유적층체의 초조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구조체의 형상에 대략 대응한 형상을 가지는 초조몰드에, 몰드 배면에 연통하는 다수의 연통 구멍을 형성해 두는 동시에, 몰드의 초조면에 그물코(mesh)를 가지는 네트로 피복해 둔다. 그리고, 초조시에는, 초조면을 위로 향하게 하여, 상기 원료 슬러리를 흘려 넣어 퇴적시키는 방법이라도 좋고, 초조몰드를 상기 원료 슬러리에 침지하여, 초조몰드 배면으로부터 흡인해서 퇴적시켜도 된다.
상기 초조몰드의 네트에 소정 두께의 섬유적층체가 형성되면, 필요에 따라서 섬유적층체에 공기를 통과시키는 등 하여 섬유적층체를 소정의 함수율로 탈수한다.
다음에 상기 섬유적층체를 건조 성형한다. 이 건조 성형 공정에서는 목적으로 하는 상기 구조체 형상이 얻어지는 것이라면 어떤 방법을 이용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목적으로 하는 상기 구조체 형상에 맞춰서 제작된 내외(內外) 1세트의 가열된 건조몰드에 상기 섬유적층체를 끼워 넣어 건조 성형을 행한다. 상기 건조몰드의 가열 온도(금형 온도)는, 하한은 건조 시간, 상한은 눌어붙음에 따른 표면성 저하의 관점에서 180~250℃가 바람직하고, 특히 200~240℃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섬유적층체의 상태로, 목적으로 하는 상기 구조체 형상이 얻어지면, 그대로 열풍건조기 등으로 건조시켜도 된다. 이 경우의 분위기 온도는, 하한은 건조 시간, 상한은 유기 섬유의 열분해의 관점에서 160~240℃가 바람직하고, 특히 180~220℃가 바람직하다.
얻어진 상기 구조체에는, 필요에 따라서 바인더를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함침시키고, 가열해서 열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바인더로서는, 콜로이달실리카, 에틸실리케이트, 물유리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구조체에는 열처리를 행하여,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를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형상유지성을 가지는 구조체가 얻어진다. 이러한 열처리는 상기 건조 성형 공정과 겸용으로 행해도, 별도로 열풍건조기 등으로 행해도 된다.
상기 설명은, 습식 초조시에 목적으로 하는 상기 구조체의 형상으로 건조 성형하는 방법을 설명했지만, 습식 초조시에 섬유적층체를 시트 형상으로 초조하고, 습윤 상태의 시트 형상 섬유적층체를 목적으로 하는 상기 구조체 형상에 맞춰서 제작된 내외 1세트의 가열된 건조 몰드에 끼워 넣어 건조 성형을 행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상기 시트 형상으로 초조된 섬유적층체를, 시트 형상 그대로 건조시키고, 건조시킨 섬유적층체를, 적당히 절단·절곡·접착을 행하여, 목적으로 하는 상기 구조체의 형상을 얻어도 된다. 상기 접착은, 접착제, 점착테이프, 핀·압정 등의 금구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에 의한 방법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이다.
본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내열성 필터는, 망 형상, 둥근 구멍 형상(소위 연근 타입), 허니컴(honeycomb) 형상, 폼 형상 등 임의의 형상을 이용할 수 있다. 그들 중에서도, 소실 모형 주조법에 사용하는 경우는 내열성 필터를 통과하는 용탕량이나 용탕 유량이 크므로, 강도를 부여하기 쉬운 둥근 구멍 형상, 허니컴 형상 등이 바람직하다. 또 목형 주조법에 사용하는 경우는, 여과 효율의 관점에서 폼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 내열성 필터는 세라믹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재질에 관해서는, 실리카, 마그네시아, 알루미나, 뮬라이트, 지르코니아, 탄화 규소, 코디어라이트의 단일 혹은 복합의 각종 세라믹을 주물제품 재질이나 주입 온도에 적당히 맞추어 사용할 수 있다. 그들 중에서도, 내열성의 관점에서, 실리카, 알루미나, 뮬라이트, 지르코니아, 탄화 규소의 단일 혹은 복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주강(鑄鋼) 등 주입 온도가 높은 재질로는 지르코니아, 탄화 규소를 주성분으로 한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형상에 대해서는, 정방형·장방형을 포함한 사각형, 타원·장원(長圓)을 포함한 원형 등,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터유지구용 구조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조체를 사용한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을 조립전의 상태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구조체를 사용한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을 조립후의 상태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용탕 유입부·유출부의 단면적과 내열성 필터 접촉부의 유효단면적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분할 구조의 구조체의 접합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분할 구조의 구조체의 접합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분할 구조의 구조체의 고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분할 구조의 구조체의 고정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분할 구조의 구조체의 고정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분할 구조의 구조체의 고정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1의 주형 방안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비교예 1에서 사용한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비교예 2의 주형 방안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주입전의 내열성 필터의 상태 사진이다.
도 15는 비교예 4에 있어서의 주입후의 내열성 필터의 상태 사진이다.
도 중의 부호를 이하에 설명한다.
1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
2 필터유지구용 구조체
3 내열성 필터
4 탕도관
5 용탕 유입부·유출부
6 용탕 유입부·유출부의 단면적
7 내열성 필터 접촉부의 유효단면적
8 접착제, 점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9 스테이플러, 압정, 나사, 실, 또는 금속 와이어
10 클립, 또는 점착테이프
11 허니컴(honeycomb) 내열성 필터
12 클립, 또는 점착테이프
13 주형(鑄型)
14 제품부
15 용탕(용융 금속)
16 라이저(riser)
17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
18 도제(陶製) 탕도관
19 탕구
20 탕도
21 게이트(gate)
22 내열성 필터
본 발명의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은, 통상은 용탕의 공급 경로인 탕도계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탕도계는 도기(陶器) 등의 내화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며,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은 이러한 탕도계에 끼워 맞춰 접속할 수 있는 용탕 유입부 및 용탕 유출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용탕 유입부·유출부(5)(도 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과하는 용탕이 전량 여과되는 구조이면 임의의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필터유지구용 구조체의 일례를 도 1에, 도 1의 형상의 상기 구조체를 이용한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의 일례를 도 2(조립전), 도 3(조립후)에 나타낸다. 용탕 유입부·유출부(5)의 단면형상은 사각형, 원형 등 임의여도 상관없지만, 주형 조형의 작업성이나 모래의 혼입을 피하기 위해서 탕도관(4)과의 끼워맞춤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내열성 필터(3)에 있어서는 탕 통과 저항이 상승하기 때문에, 그것을 피하는 관점에서, 도 4에 나타내는 용탕 유입부·유출부의 단면적(6)에 대하여 내열성 필터 접촉부의 유효단면적(7)이 상회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필터유지구용 구조체는, 내부에 내열성 필터를 삽입할 필요가 있어,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은 2개 이상의 상기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분할 구조이면, 상기 구조체의 성형이 용이해지고, 또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에의 조립도 용이해지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조체의 성형부품 종류가 적어져 경제성의 관점에서 2개로 이루어지는 분할 구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개가 동일 형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필터유지구용 구조체에 내열성 필터를 세트한 후, 상기 구조체를 접합하는 구조는 임의이지만, 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용탕 흐름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면으로 접합해도 되고, 도 5와 같이 병행하는 면으로 접합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도 6 과 같이 끼워맞춤구조로 해도 된다.
상기 접합 부분에 대해서는 취급상에 지장이 없으면 접착 등의 수단으로 고정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나, 어떠한 방법으로든 고정하는 것이 변형이나 내열성 필터의 탈락을 막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고정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의 접합 구조를 예로 하면, 도 7과 같이 접착제·점착제·양면 테이프(8) 등에 의해 접합면 자체를 결합시키는 것, 도 8과 같이 스테이플러·압정·나사·실·금속 와이어(9) 등에 의해 접합면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것, 도 9와 같이 외주를 클립·점착테이프(10) 등으로 유지해서 고정하는 것 등이 있다. 또한 내열성 필터가 둥근 구멍 형상이나 허니컴 필터 등(예를 들면, NGK-FILTER '허니세람(Honeyceram)')(11)과 같이 외주면에 용탕 여과부와의 연통 구멍이 없는 것이면, 용탕이 새지 않기 때문에, 도 10과 같이 내열성 필터 외주면을 상기 구조체로 덮지 않고, 클립·점착테이프(12)로 유지해서 고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은, 사용후의 폐기 처리의 문제가 저감되고, 강도 특성이 우수하고, 경량이며, 조형시의 작업성이 좋고, 내열성 필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그 결과, 슬래그나 주물모래에 기인한 주조 결함이 적은 양질의 주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효과로서, 특히 내열성 필터의 파손이 현격히 방지될 수 있는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본 발명에 사용하는 필터유지구는, 유기 섬유, 무기 섬유 및 열경화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적당한 탄성이나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사용하는 필터유지구가, 내열성 필터에 가해지는 주형 조형시의 외력이나 주형시의 열변형 등을 충분히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내열성 필터의 파손 방지라는 현저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주물제조용 주형은, 용탕의 공급 경로인 탕도계가 매설된 주물모래 내에, 상기 기재대로, 본 발명의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을 탕도계의 도중에 설치함으로써 얻어진다.
주물모래로는, 종래부터 이 종류의 주물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주물모래는 바인더로 경화시키지 않아도 되지만, 필요에 따라서 경화시켜도 된다.
탕도계에 사용되는 탕도관은 내화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도제(陶製)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물제조용 주형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의 설치 장소는, 난류(亂流)가 생성되기 쉬운 탕구로부터의 이물혼입을 제거하는 관점에서, 탕도 중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주물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상기의 주물제조용 주형의 주탕구에서 용융 금속을 부어 넣어, 주입을 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주입을 끝낸 후, 소정의 온도까지 냉각하고, 주조 틀을 해체해서 주물모래를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서 주물에 트리밍 처리 등의 후처리를 실시해서 주물 제조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을 이용하므로 슬래그 등의 제거나 주물모래의 혼입이 충분히 억제되는 결과, 양질인 주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열성 필터의 파손 방지라는 특유의 효과를 가진다. 종래, 내열성 필터와 도제의 필터유지구는, 양자의 틈새로부터 용탕이 상기 유지구 외부로 새어나가거나 또는 상기 필터를 우회해서 이물이 통과하거나 하지 않도록, 틈새없이 밀착 혹은 끼워 맞취져 있다. 그런데, 그와 같이 도제의 필터유지구에 고정된 내열성 필터는 구속되어버리기 때문에 주탕시에 생기는 열변형에 의해 내부응력이 상승한다. 결과적으로 이 내부 응력에 견딜 수 없게 된 경우에, 내열성 필터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주조에서는, 작업성 향상이나 탕회전불량(misrun) 저감을 위해, 주탕(注湯)시에 있어서의 탕도의 용탕 유량을 가능한 한 크게 하여 주입 속도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내열성 필터 파손의 과제는, 주탕시의 열변형이 커질 경우, 즉 내열성 필터를 통과하는 용탕량이나 용탕 유량이 큰 경우, 혹은 용탕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 등에 현저히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은, 내열성 필터의 파손 방지 효과가 뛰어나며, 용탕량이나 용탕 유량이 큰 경우, 혹은 용탕 온도가 높은 경우에도 그 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용탕량은 필터 1개당 300kg 이상(주물 중량 환산)이 바람직하고, 동 400k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동 5000kg 이하이다. 또, 같은 관점에서, 용탕 유량은 필터 1개당 10kg/sec 이상이 바람직하고, 동 15kg/sec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50kg/sec 이하이다. 또, 같은 관점에서, 용탕 온도는 1350℃ 이상이 바람직하고, 138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40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 지만, 1600℃ 이하이다. 한편, 용탕 온도는 주탕 개시 직전에 있어서 측정되는 온도이다.
내열성 필터를 통과하는 용탕량이 많을 경우는, 통상, 내열성 필터의 사이즈가 큰 것이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내열성 필터의 유효단면적은, 본 발명의 내열성 필터의 파손 방지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는 관점에서, 25㎠ 이상이 바람직하고, 25~400㎠가 바람직하고, 50~400㎠가 보다 바람직하고, 80~400㎠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내열성 필터의 유효단면적이란, 필터유지구에 유지된 상태로, 용탕의 진행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용탕을 접촉할 수 있는 최대의 단면 면적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내열성 필터를 통과하는 용탕량, 용탕 유량을 크게 또 용탕 온도를 높게 설정하는 주조법으로서는 소실 모형 주조법을 들 수 있다. 소실 모형 주조법은, 그을음이나 잔사 결함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서, 용탕 유량을 크게 하여 주입 속도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소실 모형의 열분해에 의해 일어나는 용탕 온도 저하 기인의 탕회전불량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서, 용탕 온도를 높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은, 본 발명의 내열성 필터의 파손 방지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는 관점에서, 소실 모형 주조에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에 대해서 서술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대해서 서술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서는 아니다.
[실시예 1]
<원료 슬러리의 조제>
하기 유기 섬유, 무기 섬유 및 무기 입자를 물에 분산시킨 약 1중량%의 슬러리를 조제한 후, 상기 슬러리에 하기 열경화성 수지분말 및 적량의 하기 응집제를 첨가하여 원료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또한, 유기 섬유/무기 섬유/무기 입자/열경화성 수지 분말 = 25/10/45/20(중량부)의 비율로 조제하였다.
유기 섬유: 신문 폐지(평균 섬유길이 1mm, 프리네스(CSF, 이하 동일) 150cc)
무기 섬유: PAN계 탄소 섬유(토레이(주)제 '토레이카 단섬유(Torayca chopped fiber)', 섬유길이 3mm, 수축률 0.1%)
무기 입자: 흑요석(킨세이마텍사제 '나이스 캐치' 평균 입자지름 30㎛)
열경화성 수지: 페놀 수지(에어·워터(주)제 '벨 펄(Bellpearl) S-890')
응집제: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응집제 (미쓰이사이텍사제 'A110')
<필터유지구용 구조체의 초조성형>
초조몰드로는 도 2에 나타내는 상기 구조체(2)에 대응하는 초조면을 가지는 몰드를 사용하였다. 당해 초조면에는 소정의 개구크기의 네트가 배치되어, 초조면에서 배면으로 연통 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연통 구멍은 흡인 펌프에 접속되어 있다. 우선 원료 슬러리를 넣은 탱크에, 초조몰드의 초조면을 아래로 해서 침지하고, 계속해서 흡인 펌프를 작동시켜, 소정의 섬유적층체를 상기 네트의 표면에 퇴적시 켰다. 또한 흡인 펌프를 작동시킨 상태로, 상기 초조몰드를 원료 슬러리 탱크의 액면으로부터 끌어올림으로써 에어를 통기시키고, 상기 섬유적층체를 탈수하였다. 뒤이어, 섬유적층체를 초조몰드로부터 꺼내어 220℃로 가열된 건조몰드로 옮겼다. 건조 성형몰드로는, 도 1에 나타내는 구조체에 대응하는 내외 1세트의 것을 사용하였다. 건조 성형 공정에서는, 상기 섬유적층체를 내외 1세트의 상기 건조 성형몰드에 끼워 넣고, 목적으로 하는 구조체의 형상을 전사시키면서 상기 섬유적층체를 건조하였다. 소정 시간(60초)의 가압 건조를 행한 후, 얻어진 성형체를 상기 건조형으로부터 꺼내어 냉각하고, 도 2에 상기 구조체(2)로 나타내는 형태로 두께 1.4mm의 구조체를 얻었다. 또 용탕 유입부·유출부(5)는 외부지름 ø53(mm)였다.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의 제조>
도 1의 상기 구조체를 2개 준비하고, 도 2에 나타내는 소정의 위치에 내열성 필터(포세코재팬리미티드제 'SEDEX 100×100×22-10P', 재질 주성분: 탄화 규소, 유효단면적: 64㎠)를 세트하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립하였다. 또한, 접합 부분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플러를 사용해서 고정하였다.
<주형의 조형>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안으로 주형을 조형하였다. 주형(13)은 플래터리 샌드(Flattery sand), 푸란 수지 및 경화제를 사용해서 제작하였다. 탕도계는 내부지름 ø30(mm)의 도제 탕도관(18)을 사용하고, 도중에 상기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17)을 설치하였다. 제품부(14)는 W×D×H=400×400×200(mm)이며, 주물 중량 환산으로 약 220(kg)에 상당한다.
<주물의 제조>
도 11의 주형에, 주물 재질 FC-300, 주입 온도 1380℃의 용융 금속(용탕)을 주입(注入)하고, 응고한 뒤, 주형을 부수고, 주물을 꺼냈다.
<결과>
제품의 결함유무와, 필터유지구용 구조체의 주입 전후의 중량을 측정하고,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의 필터유지구용 구조체를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의 도제(평균 두께 8mm)로 제작하고, 접합 부분은 천점착테이프로 고정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제품의 결함유무와 필터유지구용 구조체의 주입 전후의 중량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주형 방안을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탕도계에 탕도관을 사용하지 않고, 탕구(19) 및 게이트(21)의 단면형상을 ø30(mm), 탕도(20)의 단면형상을 27×27(mm)로 하고, 또한 내열성 필터를 탕도(20)에 직접 설치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제품의 결함유무를 표 1에 나타낸다.

제품의 결함 구조체의 중량(g)
주입전 주입후
실시예 1 없음 60 24
비교예 1 없음 720 714
비교예 2 모래 혼입 있음 - -
본 발명의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제품 결함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은, 주입후의 상기 구조체의 중량이 도제 구조체에 비교해서 대폭 경량으로, 폐기물 저감을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대해서, 제품부를 W×D×H=560×560×200(mm) (주물 중량 환산으로 약 440(kg)에 상당), 주입 온도를 1450℃로 한 것 외에는, 각각 동일하게 해서 테스트를 10회 행하고, 각 10점씩의 제품결함 및 주입후의 필터 파손의 비율을 표 2에 나타낸다.
한편, 주입후의 필터 파손은 육안에 의해 평가하였다.
제품 결함 비율(개) 필터 파손 비율(개)
실시예 2 0/10 0/10
비교예 3 2/10 2/10
실시예 2로부터 본 발명의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필터 파손이 전혀 없고 제품 결함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제의 필터유지구를 사용하는 비교예 3에서는, 10분의 2의 비율로 필터 파손을 일으켜, 제품결함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차이는, 특히 주물의 생산이 대량으로 될수록, 생산성, 품질안정성에 큰 차가 되어 나타나는 점에서, 본 발명의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은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비교예 4]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의 제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터유지구용 구조체(도 10의 형상의 것)를 2개 준비하고, 도 10에 나타내는 소정의 위치에 내열성 필터(둥근 구멍 형상, 외형: 사각형, 재질: 뮬라이트, 유효단면적: 121㎠)를 세트하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립하였다. 또한, 접합 부분은 종이제 점착테이프를 사용해서 고정하였다. 이것을 실시예 3으로 하였다.
또 비교예 4는,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의 필터유지구용 구조체를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의 도제(평균 두께 8mm)로 제작한 것 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였다.
<주형의 조형>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안으로 주형을 조형하였다. 모형 사이즈로서 W×D×H=800×800×400(mm)인 직방체 형상의 발포 배율 50배의 발포 폴리스티렌 모형을 제작하고, 하기 조성의 도형제(塗型劑)를 모형 표면에 건조 막두께로 약 1mm 도포하였다. 그 후,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열성 골재(플래터리 샌드+푸란 수지/경화제)를 충전해서 조형하고, 주형을 제조하였다. 탕도계는 내부지름 ø50(mm)의 도제 탕도관(18)을 사용하고, 도중에 상기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17)을 설치하였다. 제품부는 주물 중량 환산으로 약 1800(kg)에 상당한다.
* 도형제 조성
·실리카 28.9(질량%)
·흑연 13.0(질량%)
·계면활성제 2.0(질량%)
·벤토나이트 3.0(질량%)
·메틸셀룰로오스 6.0(질량%)
·물 잔여(합계 100질량%)
<주물의 제조>
도 11의 주형에, 주물 재질 FC-300, 주입 온도 1450℃의 용융 금속(용탕)을 주입(注入)하고, 응고한 뒤, 주형을 부수고, 주물을 꺼냈다.
<결과>
상기 방법을 따라서 주물 제조를 10회 행하고, 각 10점씩의 제품 결함 및 주입후의 필터 파손 비율을 평가하였다. 한편, 주입후의 필터 파손은 육안에 의해 평가하였다.
제품 결함 비율(개) 필터 파손 비율(개)
실시예 3 0/10 0/10
비교예 4 4/10 4/10
실시예 3으로부터, 본 발명의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필터 파손이 전혀 없고 제품 결함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제의 필터유지구를 사용하는 비교예 4에서는, 10분의 4의 비율로 필터 파손을 일으켜 제품결함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차이는, 특히 주물의 생산이 대량으로 될수록 생산성, 품질안정성에 큰 차가 되어 나타나는 점에서, 본 발명의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은 매우 뛰어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주입전의 내열성 필터의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 14에, 또, 비교예 4에서 주입후의 필터유지구와 내열성 필터의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 15에 나타낸다. 비교예 4에서는, 도 15와 같은 내열성 필터의 현저한 파손이 높은 비율로 생기고 있다. 실시예 3에서는 이러한 필터의 파손이 전혀 생기지 않는다.

Claims (12)

  1. 유기 섬유, 무기 섬유 및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필터유지구(filter holder), 그리고 내열성 필터를 포함해서 구성되는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으로서,
    상기 유기 섬유, 상기 무기 섬유 및 상기 열경화성 수지의 배합비가, 이들 3개의 합계 100중량부 중, 유기 섬유가 1~50중량부, 무기 섬유가 1~40중량부, 열경화성 수지가 2~50중량부이고,
    상기 내열성 필터의 유효단면적이 50~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을 포함해서 구성되는 주물제조용 주형을 사용하는 주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주물의 제조 방법의 용탕량은 상기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의 필터 1개당 300kg 이상 5000kg 이하(주물 중량 환산)이고,
    상기 주물의 제조 방법의 용탕 유량은 필터 1개당 10kg/sec 이상 150kg/sec 이하인, 주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필터가 세라믹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의 제조 방법.
  3. 삭제
  4. 제1항 있어서,
    소실 모형 주조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섬유가 탄소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의 제조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가 또한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의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지구가 용탕의 공급 경로에 끼워 맞춰 접속할 수 있는 용탕 유입부 및 용탕 유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의 제조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97008862A 2006-12-12 2007-12-12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 KR1014300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34512 2006-12-12
JP2006334512 2006-12-12
PCT/JP2007/074352 WO2008072772A1 (ja) 2006-12-12 2007-12-12 溶湯異物除去用部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866A KR20090088866A (ko) 2009-08-20
KR101430099B1 true KR101430099B1 (ko) 2014-08-13

Family

ID=3951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8862A KR101430099B1 (ko) 2006-12-12 2007-12-12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00096099A1 (ko)
EP (1) EP2119517B1 (ko)
JP (1) JP5007214B2 (ko)
KR (1) KR101430099B1 (ko)
CN (1) CN101557891A (ko)
WO (1) WO20080727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9813B2 (en) * 2011-05-20 2015-05-12 Asml Netherlands B.V. Filter for material supply apparatus of an extreme ultraviolet light source
CN104128599A (zh) * 2014-08-14 2014-11-05 济南圣泉倍进陶瓷过滤器有限公司 熔融金属过滤装置
CN104668546B (zh) * 2015-01-23 2017-11-17 安阳强基精密制造产业园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液滤渣器
JP6513106B2 (ja) * 2015-01-28 2019-05-15 ギガフォトン株式会社 ターゲット供給装置
US9481030B2 (en) 2015-01-30 2016-11-01 Michael Roberts Foundry cloth filter setter for vertical mold machines
US9968992B2 (en) 2015-01-30 2018-05-15 Michael Roberts System and method for using cloth filters in automated vertical molding
CN104889334B (zh) * 2015-06-23 2017-02-22 长兴县长安造型耐火材料厂 一种浇注用过滤结构
CN107116182A (zh) * 2016-12-30 2017-09-01 宁夏共享能源有限公司 铸造用浇注系统部件及其成型方法
CN108115095A (zh) * 2017-12-22 2018-06-05 天津万石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过滤网在消失模铸造中的使用方法
EP3546050A1 (de) * 2018-03-29 2019-10-02 Exentis Knowledge GmbH Giessfilter
EP3796989B1 (de) * 2018-03-29 2024-05-01 Exentis Knowledge GmbH Giessfilter
EP3546051A1 (de) * 2018-03-29 2019-10-02 Exentis Knowledge GmbH Giessfilter
CN108817323A (zh) * 2018-08-13 2018-11-16 辽宁福鞍重工股份有限公司特种精铸分公司 一种铸件浇注用过滤器及铸件浇注方法
CN110076293B (zh) * 2019-04-25 2024-02-27 河南广瑞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转向器壳体产生缩松及冲砂的浇注系统及其工艺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736U (ja) * 1991-07-25 1993-02-09 株式会社エヌコア 鋳造用溶湯フイルター保持具及び溶湯フイルター装置
JP2004195547A (ja) * 2002-03-13 2004-07-15 Kao Corp 鋳物製造用抄造部品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3917A (en) * 1974-01-02 1975-07-08 Alusuisse Molten metal filter
US4591383A (en) * 1982-09-30 1986-05-27 Corning Glass Works Apparatus and method of filtering molten metal using honeycomb structure of sintered alumina as filter element
JPH0230117Y2 (ko) 1986-06-17 1990-08-14
AU601315B2 (en) 1988-01-30 1990-09-06 Foseco International Limited Moulds for metal casting and sleeves containing filters for use therein
US5404930A (en) * 1994-01-06 1995-04-11 Pcc Airfoil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sting an airfoil
US6224818B1 (en) * 1999-09-30 2001-05-01 Ametek, Inc. System and method for purifying molten metal
US6908614B2 (en) 1999-10-12 2005-06-21 Chee-Keung Chung Anti-aging/menopause symptoms relief using ganoderma lucidum spores
JP4407962B2 (ja) * 2002-03-13 2010-02-03 花王株式会社 鋳物製造用抄造部品
JP4471629B2 (ja) * 2002-11-13 2010-06-02 花王株式会社 鋳物製造用部品の製造方法
JP3995649B2 (ja) * 2002-11-29 2007-10-24 花王株式会社 鋳物製造用の鋳型又は構造体
JP4219157B2 (ja) * 2002-11-29 2009-02-04 花王株式会社 鋳物製造用の鋳型及び構造体
US20040238152A1 (en) * 2003-05-27 2004-12-02 Edgardo Campomanes Modular gating system for foundries
WO2005120745A1 (ja) * 2004-06-10 2005-12-22 Kao Corporation 鋳物製造用構造体
AU2005304879B2 (en) * 2004-11-05 2010-02-04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medium and structure
JP4675276B2 (ja) * 2005-05-20 2011-04-20 花王株式会社 成形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736U (ja) * 1991-07-25 1993-02-09 株式会社エヌコア 鋳造用溶湯フイルター保持具及び溶湯フイルター装置
JP2004195547A (ja) * 2002-03-13 2004-07-15 Kao Corp 鋳物製造用抄造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38255A1 (en) 2012-06-07
US8656982B2 (en) 2014-02-25
KR20090088866A (ko) 2009-08-20
EP2119517B1 (en) 2018-11-28
JP5007214B2 (ja) 2012-08-22
US20100096099A1 (en) 2010-04-22
EP2119517A1 (en) 2009-11-18
WO2008072772A1 (ja) 2008-06-19
EP2119517A4 (en) 2012-08-08
JP2008168342A (ja) 2008-07-24
CN101557891A (zh) 200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0099B1 (ko) 용탕 이물제거용 부품
JP4002200B2 (ja) 鋳物製造用抄造部品
JP5680490B2 (ja) 鋳物製造用構造体
TWI608880B (zh) Method for producing structure for casting production, structure of casting mold, and the like
CN1942262B (zh) 铸件制造用结构体及其制造方法和应用
KR101036773B1 (ko) 주물 제조용 부품
JP2021070052A (ja) 鋳物製造用構造体
JP3995649B2 (ja) 鋳物製造用の鋳型又は構造体
JP4672289B2 (ja) 鋳物製造用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鋳物
JP4407962B2 (ja) 鋳物製造用抄造部品
JP4694347B2 (ja) 鋳物製造用鋳型の製造方法
JP4907326B2 (ja) 鋳物製造用構造体及び鋳物の製造方法
JP7245369B1 (ja) 鋳物製造用構造体
WO2023228762A1 (ja) 鋳物製造用構造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鋳物の製造方法
JP2007111738A (ja) 鋳物製造用鋳型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