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699B1 -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조성물 및 녹화방법 - Google Patents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조성물 및 녹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699B1
KR101429699B1 KR1020140028377A KR20140028377A KR101429699B1 KR 101429699 B1 KR101429699 B1 KR 101429699B1 KR 1020140028377 A KR1020140028377 A KR 1020140028377A KR 20140028377 A KR20140028377 A KR 20140028377A KR 101429699 B1 KR101429699 B1 KR 101429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composition
greening
waste
top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준
어양준
강희경
김원태
박봉주
조용현
Original Assignee
(주)장원조경
강희경
김원태
박봉주
조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장원조경, 강희경, 김원태, 박봉주, 조용현 filed Critical (주)장원조경
Priority to KR1020140028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2Other organic fertilisers from peat, brown coal, and similar vegetable deposits
    • C05F11/04Horticultural earth from pea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8~14㎜ 정도의 입도로 파쇄된 임목폐기물이 비탈면으로 돌출되어 있어 녹화 조성물의 부착성이 뛰어나고 부숙화되지 않은 임목폐기물과 부숙화된 임목폐기물을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을 시공 초기부터 비탈면이 안정화된 이후까지 장기간동안 골고루 공급할 수 있는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조성물은 임목폐기물 파쇄칩, 표토, 부숙화된 임목폐기물, 제지화이버를 포함하는 식생기반재료를 물과 혼합하여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조성물 및 녹화방법{Composite and method using wood waste biomass and top-soil for growing vegetation on a sloped surface}
본 발명은 비탈면 녹화 조성물 및 녹화방법의 개선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토양이나 암반이 노출된 비탈면을 녹화하는 데 사용되는 비탈면 녹화 조성물 및 녹화방법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각종 토목공사나 도로공사 또는 자연재해 발생 등을 원인으로 하여 도로가나 둑에 비탈면이 생기고, 토양이나 암반이 노출된다. 이런 비탈면은 주변 경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붕괴 또는 낙석의 위험을 안고 있다. 이러한 비탈면은 우수의 침투, 토사 유실, 동상, 풍화 등을 방지하기 위해 녹화공법을 적용하여 녹화를 하여주어야 한다. 비탈면 녹화는 토질, 암반 상태와 구배, 용수 발생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비탈면에 부착된 녹화 조성물이 비탈면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비탈면 녹화공법에는 크게 토사 비탈면 녹화공법과 암비탈면 녹화공법이 있다.
기존에 알려진 토사 비탈면 녹화공법에는 시드 스프레이공법, 시드 스프레이공법을 이용하면서 비탈 안정화보조재로 코이어 네트(coir net)나 볏짚거적을 사용하는 공법이 있고 그 외에 S공법으로 알려진 것이다.
시드 스프레이공법은 안식각 이내의 양질의 토사지역에 적용되는 공법으로 비탈면에 시공된 비탈면 녹화조성물에 침식세굴이 쉽게 이루어져 식생피복이 곤란하고 종자유실이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시드 스프레이공법을 이용하면서 비탈 안정화보조재로 코이어 네트(coir net)나 볏짚거적을 사용하는 공법 역시 안식각 이내 경사의 양질의 토사지역에 적용되는 공법으로 비탈면 녹화조성물에 대한 침식억제력이 미흡하여 지표면의 침식과 세굴로 전면 식생피복이 곤란하고 종자유실이 심하고 효과에 비해 시공단가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그 외에 S공법은 자생종자를 사용하며 표토 재활용이라는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은 있으나 시공단가가 비싸고 식물의 생육에 필수적인 영양분의 공급이 장기간 지속되지 못하여 식물의 성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탈면의 절개표면이 암반 또는 척박한 토질일 경우 식물의 생장 및 재발생에 필요한 토양생태계를 유지해줄 수 있는 유효미생물이 인공토양 내에서 충분한 밀도로 서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암비탈 녹화공법으로는 생태복원을 위한 산림표토의 복원을 위한 S공법, 인공토양을 이용하여 조기 녹화를 하기 위한 R공법, 배양토를 이용하여 조기녹화를 하기 위한 A공법 등이 알려져 있다.
S공법은 다양한 사용이 가능하여 식물이 쇠퇴하지 않아 영구적인 식생조성을 할 수 있고, 자연천이 유도가 가능하고 토양 고결화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균열이 없고 매끈한 급경사(1:0.2 이하) 경암지역에 적용하기가 곤란하고, 자연 표토재료 공급에 한계가 있고, 시공 단가가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R공법은 다년간 시공실적이 많고, 급경사지 시공이 가능하고, 균열과 굴곡이 없는 발파암 시공, 조기 녹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비탈면에 시공된 녹화조성물이 고결화 되어 종자사용에 제한이 따르고 토양이 고결화 됨에 따라 식물 쇠퇴가 빠르고, 주변산림과 부조화된 경관을 형성하며 천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리고 A공법은 암 절리가 많은 곳은 락볼트로 0.3-1.5m까지 안정화를 할 수 있고, 동결 및 세굴이 방지된다는 장점은 있으나, 미생물고갈로 인한 추가 주입, 토양 두께가 얇아 건조피해 우려가 있고, 시공속도가 느리고, 앵커시공에 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천이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착성이 뛰어나고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을 장기간동안 골고루 공급할 수 있는 비탈면 녹화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녹화공법들이 가지고 있던 많은 문제점을 해결함과 아울러 사용 재료의 친환경성과 재활용성을 높이고, 비탈면의 장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유지 관리도 편리한 비탈면 녹화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탈면의 절개표면이 암반 또는 척박한 토질일 경우에도 식물의 생장 및 재발생에 필요한 토양생태계를 유지해줄 수 있는 비탈면 녹화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을 장기간동안 골고루 공급할 수 있고, 친환경성과 재활용성이 높고, 비탈면의 장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유지 관리도 편리하고, 비탈면이 척박한 토질일 경우에도 식물의 생장 및 재발생에 필요한 토양생태계를 유지해줄 수 있는 비탈면 녹화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조성물은 비탈면 녹화에 사용하기 위한 비탈면 녹화 조성물에 있어서, 임목폐기물 파쇄칩, 표토, 부숙화된 임목폐기물, 제지화이버를 포함하는 식생기반재료를 물과 혼합하여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임목폐기물 파쇄칩, 상기 표토, 상기 부숙화된 임목폐기물, 상기 제지화이버 및 상기 물의 부피비는 20~40:5~15:20~40:10~2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Bacillus 속 미생물 제제, Psevdomonas 속 미생물 제제, Trichoderma 속 미생물 제제, Rhizobium 속 미생물 제제 및 Aspergillus 속 미생물 제제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가 상기 물 부피의 0.001~0.0001 부피만큼 더 투입되어 혼합된 것이 좋다.
Bacillus 속 미생물 제제로는 Bacillus macerans, Bacillus megaterium 및 Bacillus subtilis가 사용되고, Psevdomonas 속 미생물 제제로는 Pseudomonas citronellolis, Pseudomonas stutzeri 및 Pseudomonas putida가 사용되고, Trichoderma 속 미생물 제제로는 Trichoderma harzianum가, Rhizobium 속 미생물 제제로는 Azotobacter Rhizobium이, 그리고 Aspergillus 속 미생물 제제로는 Aspergillus oryzae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Bacillus 속의 Bacillus macerans, Bacillus megaterium 및 Bacillus subtilis는 3종류 모두를 혼합해서 또는 3종류 중 하나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Psevdomonas 속의 Pseudomonas citronellolis, Pseudomonas stutzeri 및 Pseudomonas putid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식생기반재료에 펄라이트, 고분자화합물, 코코피트, 유기질퇴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물 부피의 0.02~0.08 부피만큼 각각 더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임목폐기물 파쇄칩의 입도는 8~14㎜이고, 상기 부숙화 임목폐기물의 입도는 2㎜ 이하인 것이 좋다.
상기 비탈면의 단위 ㎡ 당 부착되는 상기 비탈면 녹화 조성물의 양에 20 ~ 30g의 식물 종자가 더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방법은 비탈면의 녹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의 토질과 경사도를 파악하는 현장 조사단계; 상기 조사된 토질과 경사도의 상기 비탈면에서 흘러내리지 않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비탈면 녹화 조성물을 만드는 비탈면 녹화 조성물 제조단계; 및 상기 비탈면 녹화 조성물을 상기 비탈면에 부착하는 비탈면 녹화 조성물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비탈면 녹화 조성물 부착단계에 상기 비탈면에 부착되는 상기 비탈면 녹화 조성물의 두께는 0.5 ~ 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탈면이 암반이거나 경사도가 20도 이상이고 토질이 자갈 또는 굵은 모래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비탈면 녹화 조성물을 상기 비탈면에 부착하기 전에 상기 비탈면에 철망을 까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탈면 녹화 조성물이 부착된 상기 비탈면에 천연섬유망을 덮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탈면 녹화 조성물에 종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인 경우, 상기 비탈면 녹화 조성물이 부착된 상기 비탈면에 종자를 뿌려주는 종자산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8~14㎜ 정도의 입도로 파쇄된 임목폐기물이 비탈면으로 돌출되어 있어 녹화 조성물의 부착성이 뛰어나고 부숙화되지 않은 임목폐기물과 부숙화된 임목폐기물을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을 시공 초기부터 비탈면이 안정화된 이후까지 장기간동안 골고루 공급할 수 있어 비탈면의 장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유지 관리도 편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임목폐기물, 표토, 제지화이버를 주재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성과 재활용성이 높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탈면의 절개표면이 암반 또는 척박한 토질일 경우에도 식물의 생장 및 재발생에 필요한 토양생태계를 장기간 유지해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때에 따라 Bacillus 속 미생물 제제, Psevdomonas 속 미생물 제제, Trichoderma 속 미생물 제제, Rhizobium 속 미생물 제제 및 Aspergillus 속 미생물 제재를 포함된 복합 미생물 제재가 토양에 포함되어 있어 중금속 불활성화로 인한 토양 개량과 입단화 촉진의 효과, 항생물질 분비로 인한 병충해 방지효과, 난분해성 화학물질 분해, 인용해 작용으로 양분흡수 촉진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에 따른 작업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의 시공순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에 따른 작업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의 시공순서를 나타낸 사진이다.
먼저, 도 1과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녹화공법을 적용하기 위한 비탈면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한다. 이 현장조사에서 비탈면의 토질과 경사도는 반드시 조사한다. 바람직하게, 비탈면의 경도, 면적, 비탈면 주변의 식생에 대해서도 함께 조사한다(S1).
비탈면이 암반이거나 경사도가 20도 이상이고 토질이 자갈 또는 굵은 모래로 이루어진 경우 비탈면에 기초철망을 설치한다(S2).
그런 다음, 현장조사에서 조사된 비탈면의 경사도와 토질을 참고하여, 바람직하게 비탈면의 경도와 주변식생 등을 함께 참고하여 조사된 토질과 경사도의 비탈면에서 흘러내리지는 않을 정도의 점성을 가지도록 표 1의 재료군 2 ~ 5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녹화 조성물을 만든다(S3).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조성물의 제조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재료군 2 ~ 5를 이용해 만든 비탈면 녹화 조성물은 사용하기에 적합하였지만, 재료군 1과 6으로 만든 조성물은 유동성이 너무 크거나 물의 양이 너무 적어 점성이 떨어져서 조성물이 뭉쳐지지 않아서 비탈면에 설치하기가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어 본 발명에서 제외하였다.
아래 표 1의 재료군을 혼합하여 비탈면 녹화 조성물로 만드는 과정은 바람직하게, 큰 통에 물 5000ℓ를 담아두고 여기에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재료군의 식생기반재료들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과정으로 만든다.
재료군 1과 6으로 만든 것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이유로 비탈면 녹화 조성물로 부적합하였고, 재료군 2 ~ 6으로 만든 것은 비탈면 부착성(20도, 45도, 60도)이 나쁘지 않았고, 10일간 숙성 후의 미생물제재의 활성도도 양호하였다.
표 1의 재료군 2 ~ 6의 각 재료들의 부피비율을 종합적으로 산정해본 결과 상기 임목폐기물 파쇄칩, 상기 표토, 상기 부숙화된 임목폐기물, 상기 제지화이버 및 상기 물의 부피비는 20~40:5~15:20~40:10~20:100이 적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조 예 1> 표 1은 기초재료 6가지를 혼합한 재료군 1-6에 대한 것이다.
구분 재료군 1 재료군 2 재료군 3 재료군 4 재료군 5 재료군 6
임목폐기물
파쇄칩(ℓ)
500 1000 1250 1500 2000 2500
부숙화 임목폐기물(ℓ) 500 1000 1250 1500 2000 2500
표토(ℓ) 200 250 400 600 750 1050
제지화이버(ℓ) 250 500 650 800 1000 1200
미생물제재(ℓ) 0.04 0.05 0.5 2 5 10
물(ℓ) 5000 5000 5000 5000 5000 5000
부착성
미생물제재
활성도
1 2 3 3 3 2
본 발명자의 연구결과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녹화 조성물의 재료 중 임목폐기물 파쇄칩은 부숙화하지 않은 생칩으로 입도는 8~14㎜의 것이 표토, 부숙화 임목폐기물, 제지화이버와 혼합된 상태에서 일부분이 하부로 돌출되어 비탈면에 박힘으로써 표토, 부숙화 임목폐기물, 제지화이버를 비탈면에 잘 고정하여 주는 것을 확인하였고, 입도가 10~12㎜인 것이 가장 뛰어난 성능을 나타내었다.
부숙화 임목폐기물은 녹화 조성물 전체에 균일하게 잘 분포될 수 있도록 2㎜ 이하인 것만 사용하였다.
즉, 비탈면 녹화 조성물의 재료 중 본 발명에 따른 임목폐기물 파쇄칩은 시공 초기에는 표토가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녹화 조성물을 비탈면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잘 고정될 수 있도록 해주고, 비탈면이 안정이 되고 난 후에는 서서히 부숙화되면서 장기간에 걸쳐 비탈면에 서식하는 식물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시공 초기에는 부숙화 임목폐기물이 비탈면 식생에 필요한 영양분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녹화 조성물은 비탈면 녹화 시공 초기부터 시작하여 생칩으로 된 임목폐기물 파쇄칩이 부숙화하여 영양을 공급할 때까지 장기간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영양공급을 할 수 있다.
표토는 현장주변에서 채취한 것에서 체로 쳐서 돌, 낙엽,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표토는 주변의 식생과 잘 조화를 이룰 수 있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표토에는 유기물 성분과 현장의 여건에 적합한 매토종자(Soil Buried Seedbank)가 포함되어 있어 유용성이 크고, 훌륭한 기반재료의 역할을 한다.
특히, 매토종자는 훼손지의 주변식생을 복원할 수 있는 귀중한 유전자원이다. 이 매토종자는 종자가 묻혀있던 주변환경과 같은 조건에서 조성된 토양, 즉 표토를 사용해야 발아율이 높아진다. 이러한 표토를 비탈면 녹화용으로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천연재료들(임목폐기물 등)을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표토는 유기질 성분 위주로 되어있기 때문에 종자에서 식물 뿌리가 발아하여 활착하기 위해서는 임목폐기물 등의 여타의 식재 기반재료도 함께 사용하여야 한다.
표토의 유기물은 이로운 미생물과 곤충들의 먹이자원이면서 서식공간으로 기능한다. 토양의 노출로 표토와 유기물이 유실될 경우 해충과 질병발생을 막을 수 있는 토양의 자연적인 능력이 급격하게 감소하며, 유해물질과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완충시킬 수 있는 능력 또한 감소한다. 따라서 비탈면에 표토를 안정한 구조로 부착되게 하는 것은 강우 시에 침투량을 늘리고 유출수량을 줄이며, 토양침식과 유출을 막고 결과적으로 수계에 비점오염 영향을 줄이고 식물의 생육기반을 유지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
표토, 임목폐기물 파쇄칩, 부속화 임목폐기물은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녹화조성물의 기본 재료를 구성하는 녹화기반재료이다.
제지화이버는 임목폐기물 파쇄칩, 부속화 임목폐기물, 표토 간의 연결성을 좋게 하여 침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미생물제재로는 바실러스(Bacillus) 속 미생물 제제(식물생장 촉진, 식물병원균의 길항, 유기물 분해 촉진), 수다머너스(Pseudomonas) 속 미생물 제제(유용권근 미생물, 식물병원균의 길항), 트리코데르마(Trichoderma) 속 미생물 제제(식물생장 촉진, 식물병원균의 길항), 리조비움(Rhizobium) 속 미생물 제제(질소고정) 및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속 미생물 제제(토양 내 난용성 인산을 유리 인산으로 분해, 난용성 인산염이 축적되는 염류로 인한 작물재배 장애를 해소, 주성분 재료에 포함되는 염류를 분해)를 혼합하여 복합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미생물 제재는 중금속 불활성화를 통해 토양을 개량하고 토양 입단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의 미생물 제재는 항생물질을 분비하여 병충해를 방지하는 역할, 난분해성 화학물질 분해, 인용해 작용으로 양분흡수를 촉진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와 같은 미생물 제제는 물 부피의 0.0001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미생물 활성도가 떨어지고,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미생물 활성도가 좋아졌으나 0.001을 초과하는 경우 더 투입되어도 효과가 많이 향상되지 않았다.
때에 따라, 표토와 부숙화 임목폐기물 자체에 미생물제제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유효미생물이 많이 있는 경우, 미생물제제는 생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조 예 2> 표 1의 기초재료에 펄라이트를 추가하여 혼합한 예
구분 재료군 1 재료군 2 재료군 3 재료군 4 재료군 5 재료군 6
임목폐기물
파쇄칩(ℓ)
500 1000 1250 1500 2000 2500
부숙화 임목폐기물(ℓ) 500 1000 1250 1500 2000 2500
표토(ℓ) 200 250 400 600 750 1050
제지화이버(ℓ) 250 500 650 800 1000 1200
미생물제재(ℓ) 0.04 0.05 0.5 2 5 10
물(ℓ) 5000 5000 5000 5000 5000 5000
펄라이트(ℓ) 50 100 200 300 450 500
부착성
미생물제재
활성도
1 2 3 3 3 2
보비력과 보수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펄라이트를 추가하여 비탈면 녹화 조성물을 만들고, 표 1에서와 동일하게 테스트해본 결과 펄라이트의 추가량이 미미하여 부착성과 미생물 제제 활성도에 제조 예 1에서와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 외에 기반보조재로서 흡수성과 식생의 영양공급을 위해 고흡수성 폴리머 등의 고분자화합물, 코코피트, 유기질비료 등의 유기양생재를 펄라이트 정도의 양으로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더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식물 종자는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녹화 조성물을 만들 때 추가하여 식생기반재료와 함께 혼합하거나 비탈면에 시공 후에 산포할 수 있다. 녹화 조성물과 혼합 시 종자의 양은 비탈면의 단위 ㎡ 당 부착되는 상기 비탈면 녹화 조성물의 양에 20 ~ 30g의 식물 종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종자 배합비의 일례를 나타내면 표 3과 같다.
단위: g/㎡
복원목표 종자배합 종자량(종자배합비율)
초본,
관목 혼합형
관목류, 아교목류 병꽃나무, 붉나무, 큰낭아초, 참싸리, 자귀나무, 붉나무, 싸리, 땅비싸리, 개쉬땅나무 7.5
초본, 야생화 비수리, 억새, 띠, 차풀,
자주개나리, 벌노랑이, 안고초쑥, 쑥부쟁이, 산국, 구절초
15
외래초종
(양잔디류)
Tall fescue
Kentucky bluegrass
Perennial ryegrass
Creeping red fescue 등
2.5
합계 25(30:60:10)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녹화 조성물을 만든 후에는 품질 테스트를 하고 하자가 없으면 이를 비탈면에 0.5 ~ 5㎜의 두께로 부착한다(S4).
종자를 비탈면 녹화 조성물에 섞지 않은 경우, 비탈면에 시공된 비탈면 녹화 조성물 위에 종자를 뿌려준다(S5).
끝으로, 경사면이 풍화암으로 되어 있거나 토사 비산의 우려가 있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녹화 조성물이 부착된 비탈면 위에 천연섬유망을 덮어 준다(S6).
시공 후에는 초기 발아 상태와 토양경도, 식생 상태 등을 모니터링 하면서 관리한다(S7).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녹화공법과 기존 토사 비탈면 녹화공법 및 암비탈면 녹화공법의 재료와 장단점을 비교하여 순서대로 표로 각각 나타내면 아래 표 4 및 5와 같다.
Figure 112014023515252-pat00001
Figure 112014023515252-pat00002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토사 비탈면 녹화공법 및 암비탈면 녹화공법으로는 얻을 수 없는 많은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비탈면 녹화 조성물을 만들고, 비탈면을 녹화하는 데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Claims (11)

  1. 임목폐기물 파쇄칩, 표토, 부숙화된 임목폐기물, 제지화이버를 포함하는 식생기반재료를 물과 혼합하고 미생물 제제를 투입하여 만든 비탈면 녹화에 사용하기 위한 비탈면 녹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임목폐기물 파쇄칩, 상기 표토, 상기 부숙화된 임목폐기물, 상기 제지화이버 및 상기 물의 부피비는 20~40:5~15:20~40:10~20:100이고,
    상기 임목폐기물 파쇄칩의 입도는 8~14㎜이고, 상기 부숙화 임목폐기물의 입도는 2㎜ 이하이고,
    상기 미생물 제제는 Bacillus 속 미생물 제제, Psevdomonas 속 미생물 제제, Trichoderma 속 미생물 제제, Rhizobium 속 미생물 제제 및 Aspergillus 속 미생물 제제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미생물 제제는 상기 물 부피의 0.001~0.0001 부피만큼 투입되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식생기반재료에 펄라이트, 고분자화합물, 코코피트, 유기질퇴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물 부피의 0.02~0.08 부피만큼 각각 더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비탈면의 단위 ㎡ 당 부착되는 상기 비탈면 녹화 조성물의 양에 20 ~ 30g의 식물 종자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조성물.
  7. 비탈면의 녹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의 토질과 경사도를 파악하는 현장 조사단계;
    상기 현장 조사단계에서 조사된 토질과 경사도의 상기 비탈면에서 흘러내리지 않는 제1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비탈면 녹화 조성물을 만드는 비탈면 녹화 조성물 제조단계; 및
    상기 비탈면 녹화 조성물을 상기 비탈면에 부착하는 비탈면 녹화 조성물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비탈면 녹화 조성물 부착단계에 상기 비탈면에 부착되는 상기 비탈면 녹화 조성물의 두께는 0.5 ~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방법.
  9. 제7항에서, 상기 비탈면이 암반이거나 경사도가 20도 이상이고 토질이 자갈 또는 굵은 모래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비탈면 녹화 조성물을 상기 비탈면에 부착하기 전에 상기 비탈면에 철망을 까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방법.
  10. 제7항에서, 상기 비탈면 녹화 조성물이 부착된 상기 비탈면에 천연섬유망을 덮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방법.
  11. 제7항에서, 상기 비탈면 녹화 조성물이 종자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인 경우, 상기 비탈면 녹화 조성물이 부착된 상기 비탈면에 종자를 뿌려주는 종자산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방법.
KR1020140028377A 2014-03-11 2014-03-11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조성물 및 녹화방법 KR101429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377A KR101429699B1 (ko) 2014-03-11 2014-03-11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조성물 및 녹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377A KR101429699B1 (ko) 2014-03-11 2014-03-11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조성물 및 녹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9699B1 true KR101429699B1 (ko) 2014-08-12

Family

ID=5175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377A KR101429699B1 (ko) 2014-03-11 2014-03-11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조성물 및 녹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6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2486A (ko) * 2006-08-03 2008-02-12 주식회사 풍록원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
KR20080046075A (ko) * 2006-11-21 2008-05-26 (주)덕산조경 활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2486A (ko) * 2006-08-03 2008-02-12 주식회사 풍록원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
KR20080046075A (ko) * 2006-11-21 2008-05-26 (주)덕산조경 활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632B1 (ko) 친환경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19494B1 (ko) 비탈면보호 식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1232290B1 (ko) 경사 사면 녹화용 배양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98054B1 (ko) 비탈면 녹화용 식생 기반재 및 이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방법
KR100847087B1 (ko) 사면 녹화용 식생토 조성물
KR101654044B1 (ko) 녹화용 식생 조성물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KR101294244B1 (ko) 식물 섬유를 이용한 녹화재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녹화시공방법
CN108496747B (zh) 一种耐冲刷植生基材及其制备方法
KR20180075828A (ko) 무토지 및 척박한 환경에 조기녹화 및 자연식생 활착유도를 위한 식생토를 이용한 녹화공법
KR20080046075A (ko) 활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KR101186035B1 (ko)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공법
US20140165466A1 (en) Method of growing plants that conserves water
KR100355175B1 (ko) 경사지 녹화용 객토 조성물
KR100671351B1 (ko) 식생재 기반재 및 사면녹화시공방법
AU688078B2 (en) Pourable vegetation soil substrate,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the use thereof
KR101429699B1 (ko)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조성물 및 녹화방법
KR101203934B1 (ko) 사면 녹화재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38893B1 (ko) 유기질토 조성물을 이용한 사면 생태 복원공법
KR101239202B1 (ko) 어분을 이용한 법면식생 녹화재 조성물
KR100491497B1 (ko) 후리졸녹산토녹화공법
CZ371997A3 (cs) Minerální vegetační substrát, jeho použití a způsob kultivace a rekultivace půdy
KR101415965B1 (ko) 친환경 법면 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방법
KR100545001B1 (ko) 사면 녹화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는 녹화공법
KR100970189B1 (ko) 그린복합토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
KR102469214B1 (ko) 친환경 녹생토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