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351B1 - 식생재 기반재 및 사면녹화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식생재 기반재 및 사면녹화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351B1
KR100671351B1 KR1020040067866A KR20040067866A KR100671351B1 KR 100671351 B1 KR100671351 B1 KR 100671351B1 KR 1020040067866 A KR1020040067866 A KR 1020040067866A KR 20040067866 A KR20040067866 A KR 20040067866A KR 100671351 B1 KR100671351 B1 KR 100671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volume
mixed
rock
s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9885A (ko
Inventor
최두영
Original Assignee
최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두영 filed Critical 최두영
Priority to KR1020040067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351B1/ko
Publication of KR20040079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9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3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반재 100용적%에 대하여 제지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함수율이 높은 제지슬러지 30~35용적%와, 화강토(황토마사) 20~25용적%와, 하수나 오니슬러지 케이크 15~20용적%와, 톱밥 또는 토탄분말 10~15용적%와, 우분, 인분, 왕겨를 혼합하여 숙성시킨 고농축유기물과 퍼라이트 각각 6용적%, 제지분말 또는 경량콘크리트 결속재인 ALC 혼합분쇄물 3용적%를 혼합하여 발효시켜 기반재를 미리 조성하여, 이를 현장에서 미량의 초목종자를 혼합하면서 고압분사기로 분사하여 암반면에 부착한 다음, 이 상부에 초목종자를 혼합한 배양토로 되는 인공토양의 식생재를 살포하여, 사면의 암반 절개면이나 지표면을 재래토양과 같은 분위기를 조성하여 주변 토양과 동화되는 환경친화적인 식생재 기반대를 미리 조성하고, 사면에 먼저 조성된 기반재 상부에 초목종자와 배양토가 혼합된 인공토양으로 되는 식생재를 덧살포하여 초목을 식생케 하는 환경친화적인 식생재 기반재 및 사면녹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생대, 초목종자, 암반 절개지, 성토사면, 녹화시공

Description

식생재 기반재 및 사면녹화시공방법{A base for artificial seed growing soil for slope and therefor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제지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함수율이 높은 제지슬러지와, 화강암이 분쇄된 황토마사와, 하수나 오니슬러지 케이크와, 톱밥 또는 토탄분말과, 우분, 인분, 왕겨를 혼합하여 숙성시킨 고농축유기물과, 펄라이트, 제지 또는 경량콘크리트 결속재인 ALC 혼합분쇄물 혼합, 조성하여 발효시키고, 도로공사, 호안공사, 지반조성공사 등 각종 토목공사시에 발생하는 암반 절재지나 마사토 성토면 또는 암반과 마사토가 혼재하는 급경사를 이루는 사면에 살포 시공하여 사면의 암반 절개면이나 지표면을 재래토양과 같은 분위기를 조성하여 주변 토양과 동화되는 환경친화적인 식생재 기반대를 미리 조성하고, 사면에 먼저 조성된 기반재 상부에 초목종자와 배양토가 혼합된 인공토양으로 되는 식생재를 덧살포하여 초목을 식생케 하는 환경친화적인 식생재 기반재 및 사면녹화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공사시 절토, 성토로 조성되는 토사면이나 폭파 등에 의한 암절개와 같은 암반 절개사면은 대개가 급경사를 이루고 있어 붕괴의 위험이 매우 높고 주변경관과의 환경을 고려하여 사면에 각종 초목을 식재하여 녹화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면의 경우 그 대부분이 지반여건이나 토양의 형태상 초목이 자생하기에는 상당히 불리한 여건을 지니고 있어 조기에 자생적으로 초지가 조성되거나 수목이 지반에 견고히 활착, 번식하여 주변과 같이 푸른 숲으로 가꾸어질 기대는 현실적으로 기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사면 중 절토나 성토에 의한 토사면의 경우에는 초목종자가 혼합된 인공토양으로 되는 식생재를 그대로 살포하여 취부하거나, 크랙이 심하게 발생하고 접착이 불안정한 작업조건을 지니는 암반 절개지와 같은 경우에는 암반 절개면에 망을 치고 앵커를 박아 식생재의 유실에 대비한 다음 망 위에서 초목종자를 혼합한 인공토양으로 되는 식생재를 5~15cm두께로 취부하는 방법으로 인공녹화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인공토양을 조성함에 있어서는 장시간 부숙하여 발효시킨 볏짚을 주원료로 사용하여 조성하는 방법과, 또는 황토 등을 고열의 소성로로 구워내고 이를 미분쇄하여 주로 사용하는 방법 및 고령토와 같은 벤토나이트 등을 사용하여 조성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안된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식생재 조성물의 경우, 황토, 고령토 등을 주원료로 하여 분쇄한 인공토양을 조성하는 작업, 또는 볏짚 등을 장기간의 발효시켜 부숙시키는 작업등의 일련의 복잡한 작업공정과 과정을 거치게 되고, 또한 황토, 고령토 등을 주원료의 수급에 소요되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어 대량 생산에 한계가 있고, 또한 분쇄, 발효 부식 등의 처리과정에 복잡한 설비가 요구되어 생산비가 더욱 상승하는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이에 따라 시공비가 상승하여 시공에 많은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었다.
더욱이, 토양의 대부분이 강마사토나 암반으로 조성된 경우, 또는 강마사토와 암반이 혼재하여 사면을 구성하는 사면이 주를 이루는 경우에는 식생재를 부착시키기가 매우 어려워 암반 절개면에 망을 치고 앵커를 박아 식생재의 유실에 대한 우려에 대비한 다음, 망 위에 종자를 혼합한 인공토양으로 되는 식생재를 취부하는 방법으로 인공녹화작업을 수행하고 있어, 암반절개지의 녹화작업이 복잡하고, 까다로워 공기가 길어지고 공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암반 절개지에 망이나 앵커 등의 보조 결속수단을 쓰지 않고, 암벽 경사면에 식생재를 현장에서 직접 살포하여 사면 녹화하는 식생재와 이의 시공법이 본인의 국내 특허 제396067호로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식물의 종자를 혼합한 인공토양으로 되는 식생재를 암반 절개면에 간단한 살포작업으로 녹화한다는 시공상의 이점과 황토 등으로 조성되는 기존 인공토양을 사용하는 경우보다는 시공비나 공기가 단축된다는 이점은 있으나, 암반 절개면에 살포되는 초목종자를 혼합한 식생재의 살포두께를 적어도 3~11cm이상으로 살포하여 식생대를 조성하여야만 됨으로써, 초목종자의 유실이나 낭비가 초래되는 단점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초목종자를 포함하는 인공토양으로 되는 식생재만을 5~15cm 두께로 살포하는 모든 종래의 경우에 있어서는 식생재의 표면으로부터 4~5cm이상의 깊이에 존재하는 초목종자는 효율적으로 발아, 육성되지 못하고 식생재 내부에서 퇴사하거나 고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초목종자의 발아, 육성할 수 있는 표면으로부터 4~5cm 깊이를 제외한 나머지 최대 10cm이하의 부분에 혼재된 초목종자는 그대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이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으로 인하여 시공비가 많이 요구되는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식생재 조성물이 지니는 제반 문제점과 식생재를 암반 절개면에 살포 시공하는 공법의 불리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도로공사, 호안공사, 지반조성공사 등 각종 토목공사시에 발생하는 암반 절재지나 마사토 성토면 또는 암벽과 마사토가 혼재하는 급경사를 이루는 사면에 먼저 고압으로 살포 시공하여 사면의 암벽절개면 등에 부착시켜 지표면을 재래토양과 같은 분위기를 조성하여 주변 토양과 동화되는 환경친화적인 식생재의 기반재를 충분한 두께로 미리 먼저 조성한 후, 기반대 상부에 초목종자와 배양토가 혼합된 인공토양의 식생재를 얇게 살포하여 초목을 식생케 하여 줌으로써 암반 절개지 등의 인공녹화를 재래토양 분위기와 동화된 환경친화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식생재 기반대와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종자를 혼합한 인공토양으로 되는 식생재를 살포하기 이전에 식생재와 상호 친화력이나 접착력이 우수한 기반재를 암반 절개면상에 충분한 두께인 3~10cm정도로 미리 살포하여 암반 절개면 등에 견실하게 접착되게 먼저 조성한 다음, 초목종자를 혼합한 인공토양으로 되는 식생재를 살포하여 녹화 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서 초목종자를 혼합하는 인공토양으로 되는 식생재를 0.5~3cm정도로 얇은 상태로 살포하여 나머지 7~10cm의 도포층을 초목종자가 미량 혼합된 기반재로 하여 견고하게 부착시켜 녹화함으로써 초목종자의 불필요한 낭비나 유실없이 시공비가 저감시켜 경제적으로 사면에 인공녹화를 시행할 수 있는 기반재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반재의 조성을 초목종자를 혼합한 인공토양으로 되는 식생재와 물성을 거의 같은 상태로 조성하여 상호 친화력이나 접착력이 우수한 기반재를 제공함으로써 식생재에 식재된 초목종자의 발아 및 생육과 번식을 원활하게 하여 사면녹화를 빠르고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기반재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반재 100용적%에 대하여 제지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함수율이 높은 제지슬러지 30~35용적%와, 화강토(황토마사) 20~25용적%와, 하수나 오니슬러지 케이크 15~20용적%와, 톱밥 또는 토탄분말 10~15용적%와, 우분, 인분, 왕겨를 혼합하여 숙성시킨 고농축유기물과 퍼라이트 각각 6용적%, 제지분말 또는 경량콘크리트 결속재인 ALC 혼합분쇄물 3용적%를 혼합하여 발효시켜 기반재를 미리 조성하여, 이를 현장에서 미량의 초목종자를 혼합하면서 고압분사기로 분사하여 암반면에 부착한 다음, 이 상부에 초목종자를 혼합한 배양토로 되는 인공토양의 식생재를 살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를 기반재의 구체적인 조성과 하기에 제시되는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더욱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절개된 사면이 풍화암 지반, 리핑암 지반 및 발파암 지반 등의 암반과, 일반 강마사토로 되는 절개지나 인위적 성토지반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하여 인공 녹화할 수 있다.
(조성 예)
본 발명은 초목종자와 배양토 등의 인공토양으로 되는 식생재를 부착하기 위한 기반재로서, 본 발명의 조성되는 기반재는 <표 1>과 같이 전체 조성되는 100용적%에 대하여, 함수율이 높은 크림상의 제지슬러지 30~35용적%와, 화강토 분말(황토마사) 20~25용적%와, 하수나 오니슬러지 케이크 15~20용적%와, 톱밥 또는 토탄분말 10~15용적%, 우분, 인분, 왕겨를 혼합하여 숙성시킨 고농축유기물과 무기물인 퍼라이트 분말 각각 6용적%에 제지분말 또는 경량콘크리트 결속재인 ALC 분쇄물 중 어느 한가지로 조성물 3용적%를 혼합, 교반하여 장시간 발효시켜 습윤한 분말상의 기반재를 조성한다.
<표 1> 기반재 조성예
조성물 조성비(용적%) 특성
제지슬러지(선별) 30~35%
화강토분말(황토마사) 20~25%
오니, 하수슬러지케익 15~20%
톱밥 또는 토탄 10~15%
우분 또는 인분,왕겨가 숙성된 고농축유기물 6%
퍼라이트 6%
제지분말 또는 ALC분쇄물 3%
합 계 100%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본 발명의 기반재는 제지슬러지, 선별한 파지를 파세한 제지분말, 오니 및 하수슬러지, 우분 또는 인분, 왕겨가 혼합 숙성된 고농축유기물성분과 톱밥과 같은 목분은 서로 혼합하여 원활하게 충분히 숙성, 발효되어 보습효과가 뛰어나고 응집력과 결속력이 강하며 또한 슬러지케이크, 고농축 유기물, 제지분말인 지설 등에 의하여 영양이 풍부하고 식물종자에 지속적인 영양을 공급하여 초기 발아를 촉진하고 성장을 촉진하는 유기질성분이 풍부한 기반재를 조성하게 되는 것이다.
삭제
또한, 화강토분말, 토탄 및 퍼라이트 등의 조성물에 의하여 발효 숙성된 기반재 분말의 입자 형성이 양호하여 포장, 취급이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파쇄한 ALC분쇄물, 톱밥과 같은 목분 또는 토탄분말 성분에 의하여 기반재 살포시 조성물 상호간의 연결고리가 형성되어 더욱 견고히 결속시켜 기반재가 암반 절개면 등의 사면을 타고 흘러내림 현상을 억제하여 살포, 부착된 기반재가 부분적으로 붕괴하거나 몰리는 현상이 배제되어 기반재의 살포상태나 부착상태가 안정된 형상을 유지하게 되며, 화강토분말, ALC분쇄물과 토탄분, 톱밥, 목분은 살포된 기반재 내부에 미세한 크랙, 즉 공기통로를 형성시켜 시공 후 기반재 내부의 통기성이 양호하여져 파종된 초목종자의 뿌리에 산소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식물의 착근을 빠른 시간 안에 확실하고 견고하게 이루어 지게 하여 초목종자의 생육과 번식을 원활하게 하여 녹화속도를 빠르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 예).
이와 같은 특성을 지니는 본 발명의 식생대 기반재는 시공공정은, 먼저 녹화작업 현장에서 녹화되기 위한 암반 절개지나 강마사토 절개지 및 성토지의 사면에 녹화에 요구되는 초목종자의 전체량 100%에 대하여 대체로 20~30% 정도의 양을 기반재에 우선 투입하여 혼합한 다음, 이를 고압 분사기로 분사하여 사면에 3~10cm 정도의 두께의 기반재를 부착한다.
이와 같이 시공된 기반재 상부에 녹화에 필요한 초목종자 100% 중 나머지 분량을 70~80%를 혼합한 식생재를 0.5~3cm두께로 살포, 시공하여 사면의 녹화작업을 종료하였다.
이때, 초목종자를 포함하는 식생재는 시중의 기존 식생재를 이용하여도 좋으나, 본 발명에 실시한 식생재는 본인에 의하여 선특허된 특허 제396067호의 식생재를 사용하였다.
즉, 상기한 본인에 의하여 선특허된 특허 제396067호의 식생재는 전체 조성되는 식생재 조성물 100용적%에 대하여, 크림상으로 함수율을 갖는 슬러지케이크 15~25용적%, 선별한 파지를 파세한 지설분말 30~40용적%, 연탄가루를 파쇄하고 이를 선별망에 의하여 일정 매쉬로 선별한 연소재 4~6용적%, 오니슬러지와 같은 고농축유기물 4~6용적%, 파쇄한 화이바 그라스 성분인 ALC분쇄물 8~12용적%, 톱밥과 같은 목분 또는 토탄분말 20~30용적%를 서서히 교반하여 혼합하고 이를 대기중의 상온에서 90일간 발효, 숙성시킨 다음 분말로 농축한 유기질 식생재 분말이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식생재 기반재와 본인의 선특허 식생재를 사용하여 풍화암, 연암, 리핑암과 같이 비교적 부드러운 연약암반 지반 및 발파암과 같은 암반지반과 같이 거친 토양의 경사 지반이나 절개면에 먼저 살포하여 경사면이나 절개면 표면에 3~10cm 정도의 두께로 기반재를 부착시킨 후, 이 상부에 0.5~3cm두께로 식생재를 도포하여 초목종자를 식생하여 사면녹화작업을 시행하였다.
(시공 예1)
즉, 사면이 풍화암, 연암, 리핑암과 같은 연약한 암반 사면이나 강마사토로된 절토사면이나 성토사면 9㎡ 넓이에 상기와 같이 조성한 습윤상태의 본 발명의 식생재 기반재 분말 0.6㎥에 초목종자 씨앗 162g을 혼합하고, 무수상태에서 사면에 고압으로 분사하여 두께 5cm로 정도로 접착시켜 기반재를 먼저 시공하고, 초목종자 씨앗380g과 물 0.48㎥ 및 식생재 0.72㎥에 수용성접착제 적당량을 믹서기에 투입 혼합하고 크레인과 공기압축기를 사용하여 기반재층에 두께 1cm로 살포 시공하여 전체 식생대의 두께를 6cm로 하여 녹화작업을 시행하였다.
이 결과 식생대에 투입된 초목종자 380g과 기반대에 투입된 종자의 대부분인 150g등 투입량 대부분이 9~10일 후 발아되어 암반 사면 9㎡ 전면이 고르게 녹화되었다.
(시공 예 2)
본 시공예(2)는 단단한 암석지반을 발파 등의 방법으로 사면을 형성한 발파암사면에 시공한 예를 보인 것으로, 발파암 9㎡ 넓이에 부착성 등을 고려하여 비교적 많은 양의 기반재 0.8㎥에 초목종자 150g을 혼합하고, 무수상태에서 사면에 고압으로 분사하여 두께 10cm로 정도로 접착시켜 기반재를 먼저 시공한 후, 식생재 분말 0.99㎥에 물 0.66㎥, 수용성접착제 적당량과 식물종자 300g을 믹서기에 투입 혼합하고 크레인과 공기압축기를 사용하여 두께 0.5~3cm로 살포 시공하여 전체 식생대의 두께를 10.5~13cm로 하여 녹화작업을 시행하였다.
이 결과 이 결과 식생대에 투입된 초목종자 모두와 기반대에 투입된 종자 중 40g정도가 9~10일 후 발아되어 암반 사면 9㎡ 전면이 고르게 녹화되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초목종자가 혼합된 식생대만으로 사면에 녹화작업을 시행한 경우, 초목종자 650~700g정도를 투입하여 250~300g 정도만이 발아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은 투입되는 초목종자의 투입량을 50%이상 크게 절감하면서도 사면 녹화의 효과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상기한 실시 예 및 시공 예 1,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면의 지반 조건과 환경에 따라 본 발명의 식생재와 종자의 양을 가감하고 살포두께를 조정하여 현장으로 이동시 혼합하고 살포한 결과 본 발명의 식생재 기반재 중 지설로 되는 제지분말의 셀로로우즈성분과 톱밥이 슬러지케이크과 여타 고농축 유기물인 오니슬러지 화이바, ALC분쇄물 등의 결속을 증대시켜 성상이 양호하고 살포 후 서로 붕괴하여 분리되거나 사면으로부터 분리되어 탈락하는 현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있었으며, 또한, 고농축 유기물인 오니슬러지의 미생물이 톱밥과 지설 등과 작용하여 고농축 유기물인 오니슬러지와 톱밥이 발효되면서 종자 주변에 고열을 발생시켜 종자의 발아 및 생육에 필요한 온도를 유지하고, 톱밥 등의 발효에 의하여 별도의 화학비료나 퇴비 등을 시비하지 않아도 식물종자의 발육이 촉진되며, 또한 화이바와 같은 ALC 분쇄물이 식생재 내부에 공극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살포된 식물종자에 공기를 충분히 공급하게 되고 톱밥과 같은 목분, 토탄, 지설 및 제지슬러지케이크 등에 의하여 보습의 효과가 뛰어나 별도의 물을 추가로 공급하지 않더라도 식물종자의 발아촉진 및 착근에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살포 후 본 발명에 투입된 초목종자는 상기와 같은 조건과 작용에 의하여 살포 후 4~5일 경과 후부터 초기 발아가 시작되고, 지반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살포 후 7~8일 경과 후 모든 종자의 발아가 완성되고, 이후 2주 후 경사면 약 9㎡ 전면이 모두 녹화되는 결과를 얻었다.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 및 시공 예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다소 살포하는 두께가 지반에 따라 상이하나 최악의 초목종자 파종 및 식재조건을 갖는 발파암의 사면이라 하더라도 기반재와 식생재를 두께를 3~13cm정도로 살포하여 녹화하되 암반 절재지나 마사토 성토면 또는 암벽과 마사토가 혼재하는 급경사를 이루는 사면에 먼저 고압으로 살포 시공하여 사면의 암벽절개면 등에 부착시켜 지표면을 재래토양과 같은 분위기를 조성하여 주변 토양과 동화되는 환경친화적인 식생재의 기반재를 충분한 두께로 미리 먼저 조성한 후, 기반대 상부에 초목종자와 배양토가 혼합된 인공토양의 식생재를 얇게 살포하여 초목을 식생하게 하여 줌으로써 암반 절개지 등의 인공녹화를 재래토양 분위기와 동화된 환경친화적으로 시행할 수 있으며, 초목종자를 혼합한 인공토양으로 되는 식생재를 살포하기 이전에 식생재와 상호 친화력이나 접착력이 우수한 기반재를 암반 절개면상에 충분한 두께인 3~10cm정도로 미리 살포하여 암반 절개면 등에 견실하게 접착되게 먼저 조성한 다음, 초목종자를 혼합한 인공토양으로 되는 식생재를 살포하여 녹화 시공할 수 있게 하여 줌으로써 초목종자를 혼합하는 인공토양으로 되는 식생재를 0.5~3cm정도로 얇은 상태로 살포하여 나머지 7~10cm의 도포층을 초목종자가 미량 혼합된 기반재로 하여 견고하게 부착시켜 녹화함으로써 초목종자의 불필요한 낭비나 유실없이 시공비를 저감시켜 경제적으로 사면에 인공녹화를 시행할 수 있는 기반재를 제공할 수 있어 녹화시공비를 크게 저감하여 초목종자의 불필요한 낭비나 유실없이 경제적으로 녹화작업을 시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생재 전에 기반재로 시공되는 기반재의 조성을 초목종자를 혼합한 인공토양으로 되는 식생재와 물성을 거의 같은 상태로 조성하여 상호 친화력이나 접착력이 우수한 기반재를 제공함으로써 식생재에 식재된 초목종자의 발아 및 생육과 번식을 원활하게 하여 사면녹화를 빠르고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4)

  1. 전체 조성되는 기반재 100용적%에 대하여, 함수율이 높은 크림상의 제지슬러지 30~35용적%와, 화강토 분말(황토마사) 20~25용적%와, 하수나 오니슬러지 케이크 15~20용적%와, 톱밥 또는 토탄분말 10~15용적%, 우분, 인분, 왕겨를 혼합하여 숙성시킨 고농축유기물과 무기물인 퍼라이트 분말 각각 6용적%에 제지분말 또는 경량콘크리트 결속재인 ALC 분쇄물 중 어느 한가지로 조성되는 조성물 3용적%를 혼합, 교반하여 장시간 발효시켜 습윤한 분말상으로 조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재 기반재.
  2. 암반 절개지나 강마사토의 절개지 및 성토지의 사면에 녹화에 요구되는 초목종자의 전체 투입량 100%에 대하여 20~30% 정도의 양을 기반재에 우선 투입하여 혼합한 다음, 이를 고압 분사기로 분사하여 사면에 3~10cm 정도의 두께의 기반재를 조성한 다음, 시공된 기반재 상부에 녹화에 필요한 초목종자 100%중 나머지 분량을 70~80%를 혼합한 식생재를 0.5~3cm 두께로 살포,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시공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암반 절개지나 강마사토의 절개지 및 성토지의 사면을 녹화함에 있어서, 기 반재를 사면에 3~10cm 정도의 두께로 미리 시행하고, 이 기반재 상부에 식생재를 0.5~3cm 두께로 살포, 시공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암반 절개지나 강마사토의 절개지 및 성토지의 사면에 녹화에 요구되는 초목종자의 전체량 100%에 대하여 대체로 20~30% 정도의 양을 기반재에 우선 투입하여 혼합하고, 시공된 기반재 상부의 식생재에는 녹화에 필요한 초목종자 100% 중 나머지 분량을 70~80%를 혼합한 식생재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재 기반재.
KR1020040067866A 2004-08-27 2004-08-27 식생재 기반재 및 사면녹화시공방법 KR100671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866A KR100671351B1 (ko) 2004-08-27 2004-08-27 식생재 기반재 및 사면녹화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866A KR100671351B1 (ko) 2004-08-27 2004-08-27 식생재 기반재 및 사면녹화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885A KR20040079885A (ko) 2004-09-16
KR100671351B1 true KR100671351B1 (ko) 2007-01-22

Family

ID=37364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866A KR100671351B1 (ko) 2004-08-27 2004-08-27 식생재 기반재 및 사면녹화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3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289B1 (ko) 2012-06-08 2012-11-06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친환경 토양결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습식, 반건식 법면녹화 시공방법
KR101393431B1 (ko) * 2013-09-04 2014-05-12 주식회사 농우 비탈면 녹화용 혼합토양
KR101412522B1 (ko) 2014-03-25 2014-07-01 (주) 대현이엔씨 사면 녹화용 식생재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511B1 (ko) * 2004-11-11 2006-08-09 주식회사 풍록원 박층의 사면녹화용 배양토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
KR100606863B1 (ko) * 2005-05-09 2006-07-31 (주)천수녹화조경 사면 녹화용 식생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
KR100735029B1 (ko) * 2005-12-22 2007-07-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녹화용 인공토양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13970A (ko) 2018-07-31 2020-02-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소재 식생자루 및 이를 이용한 사면 설치방법
KR101995968B1 (ko) * 2018-12-27 2019-07-03 전성미 사면의 식생조성을 위한 식생기반층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조성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2943A (ko) * 1995-12-27 1997-07-26 유진태 암절개지등의 식생기반재 조성물
KR19990048805A (ko) * 1997-12-10 1999-07-05 차동천 절개지 복원용 식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
KR20040055955A (ko) * 2002-12-23 2004-06-30 성우조경주식회사 사면녹화용 식생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2943A (ko) * 1995-12-27 1997-07-26 유진태 암절개지등의 식생기반재 조성물
KR19990048805A (ko) * 1997-12-10 1999-07-05 차동천 절개지 복원용 식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
KR20040055955A (ko) * 2002-12-23 2004-06-30 성우조경주식회사 사면녹화용 식생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10-1997-42943
공개특허 10-1999-48805
공개특허 10-2004-55955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289B1 (ko) 2012-06-08 2012-11-06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친환경 토양결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습식, 반건식 법면녹화 시공방법
KR101393431B1 (ko) * 2013-09-04 2014-05-12 주식회사 농우 비탈면 녹화용 혼합토양
KR101412522B1 (ko) 2014-03-25 2014-07-01 (주) 대현이엔씨 사면 녹화용 식생재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885A (ko) 200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47933B (zh) 一种喷播基质及采用该喷播基质进行盐碱地绿化的方法
CN102518139B (zh) 一种生态植被护坡的制作方法
KR102018687B1 (ko) 사면녹화용 조성물의 시공방법
CN105028011B (zh) 高原地区树木种植坑及树木种植方法
JP5185732B2 (ja) 緑化用基盤材、及び該緑化用基盤材を用いた緑化方法
CN104969749A (zh) 在生态混凝土边坡上快速种植狗牙根的方法
KR101412522B1 (ko) 사면 녹화용 식생재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
CN108547307A (zh) 基于人造壤土的边坡生态防护方法
KR100735686B1 (ko) 경사면 식재용 토양 조성물을 이용한 녹화공법
KR101505563B1 (ko) 우수한 토양 결합력을 가진 친환경 습식 녹화 공법용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 공법
CN107306757B (zh) 一种乔木移栽方法
KR100671351B1 (ko) 식생재 기반재 및 사면녹화시공방법
CN108496749A (zh) 一种适用于无土草坪的煤矸石混合培养基质及应用
CN104823675A (zh) 无栽培基质纯草皮的生产方法
KR100318811B1 (ko) 법면 녹화토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0757667B1 (ko) 암 절개면 녹화용 인공토양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1572110B1 (ko) 친환경 법면녹화용 식생토
KR101203934B1 (ko) 사면 녹화재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CN106605481A (zh) 一种蔬菜栽培中利用沼肥施肥的方法
CN107912088A (zh) 一种锁水控肥葡萄田间根系限制整地方法
CN105648999B (zh) 秸秆毯及其制造方法与应用
CN109220034A (zh) 一种用于坡改梯田种植水稻前土壤处理的新方法
CN213029146U (zh) 一种盐碱地植物的栽培结构
KR100396067B1 (ko) 사면녹화용 식생재
CN102792880A (zh) 培育草坪的无土基质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