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270B1 - 무단변속기 - Google Patents

무단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270B1
KR101429270B1 KR1020130011770A KR20130011770A KR101429270B1 KR 101429270 B1 KR101429270 B1 KR 101429270B1 KR 1020130011770 A KR1020130011770 A KR 1020130011770A KR 20130011770 A KR20130011770 A KR 20130011770A KR 101429270 B1 KR101429270 B1 KR 101429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haft
groove portion
roller
fixed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각하
이병민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1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 F16H9/1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 F16H9/1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using only one pulley built-up out of adjustable conical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95Measures for reducing number of parts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단변속기에 관한 것으로, 외주면에 스토퍼홈부가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설치홈부가 가공되는 고정축과 고정축에 연결되고 고정축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고정쉬브부와, 고정축을 감싸는 이동쉬브부와, 고정축에 장착되고 유압에 의해 이동쉬브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고정판과 이동쉬브부 사이에 배치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는 벨트부 및 고정축과 이동쉬브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토크를 전달하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롤러부는 설치홈부에 안착되되 스토퍼홈부의 길이보다는 길고, 설치홈부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되어 롤러부의 조립성이 개선된다.

Description

무단변속기{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본 발명은 무단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쉬브와 이동쉬브 사이에 배치되는 롤러의 조립성을 개선하는 무단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단변속기는 주어진 변속범위 내에서 연속적인 변속이 가능한 변속장치이다.
무단변속기의 입력축에서 동력이 들어오면 구동부의 유압챔버에 유압이 가해져, 이동쉬브가 벨트를 고정쉬브에 밀착시킨다.
이때, 벨트의 양쪽면에서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동력이 종동부로 전달된다.
이동쉬브가 고정쉬브 사이에는 롤러가 배치되고, 롤러는 마찰력을 토크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78195호(2000.10.17 등록, 발명의 명칭 : 무단변속기)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무단변속기는 롤러를 축방향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스냅링 형태의 리테이너가 장착되거나 플레이트 형태의 고정용 부품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스냅링 타입은 그루브 가공을 필요로 하고, 플레이트 타입은 플레이트 좌면 가공을 필요로 하므로, 고정용 부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공작업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롤러는 고정치수가 아닌 타부품 공차에 의한 선택부품으로써, 잦은 분해 및 조립이 필요한데, 고정용 부품에 롤러를 끼우는 조립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정용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롤러를 장착하여 가공작업을 삭제하고 조립성을 개선하는 무단변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무단변속기는 외주면에 스토퍼홈부가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설치홈부가 가공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축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고정쉬브부; 상기 고정축을 감싸는 이동쉬브부; 상기 고정축에 장착되고, 유압에 의해 상기 이동쉬브부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고정판과 상기 이동쉬브부 사이에 배치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는 벨트부; 및 상기 고정축과 상기 이동쉬브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토크를 전달하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설치홈부에 안착되되, 상기 스토퍼홈부의 길이보다는 길고, 상기 설치홈부의 길이보다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쉬브부는 상기 고정축을 감싸며 내측에 이동홈부가 형성되는 이동관; 상기 이동관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관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과 마주보는 이동판; 및 상기 이동판의 단부에서 구부러져 상기 가압부를 감싸는 연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관의 내측에는 축방향으로 가이드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롤러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축은 상기 스토퍼홈부를 경계로 우고정축과 좌고정축으로 구분되고, 상기 좌고정축의 외경은 상기 우고정축의 외경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부는 상기 스토퍼홈부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단변속기는 롤러부가 고정용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설치됨으로써, 고정용 부품 사용을 위한 가공작업이 생략되고 롤러부 조립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단변속기는 롤러부가 스토퍼홈부에 걸려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롤러부와 인접 부품간의 간섭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단변속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유압에 의해 이동쉬브부가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단변속기에서 고정쉬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단변속기에서 이동쉬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단변속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단변속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유압에 의해 이동쉬브부가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단변속기에서 고정쉬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단변속기에서 이동쉬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단변속기(1)에는 고정쉬브부(10), 이동쉬브부(20), 가압부(30), 벨트부(40) 및 롤러부(50)가 구비된다.
고정쉬브부(10)에는 고정축(11), 고정판(12)이 구비된다(도 3 참조). 고정축(11)의 외주면에는 스토퍼홈부(111)가 형성되고, 고정축(11)의 축방향으로 설치홈부(112)가 가공된다.
고정판(12)은 고정축(11)에 연결된다. 이러한 고정판(12)은 고정축(11)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동쉬브부(20)는 고정축(11)을 감싸고, 가압부(30)는 고정축(11)에 장착된다. 이러한 가압부(30)는 유압에 의해 이동쉬브부(20)를 가압하고, 가압부(30)에 의해 가압된 이동쉬브부(20)는 고정판(12)으로 이동된다.
벨트부(40)는 고정판(12)과 이동쉬브부(2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벨트부(40)는 고정판(12) 및 이동쉬브부(20)와 밀착되어 마찰력을 제공한다.
롤러부(50)는 고정축(11)과 이동쉬브부(20) 사이에 배치되어 토크를 전달한다. 이러한 롤러부(50)는 고정축(11)에 일부가 삽입되고 이동쉬브부(20)에 나머지가 삽입되어 고정축(11)의 회전력을 이동쉬브부(20)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롤러부(50)는 핀과 같이 원통 형상을 한다.
한편, 고정축(11)은 스토퍼홈부(111)를 경계로 단면 직경이 상이하다. 예를 들어, 고정축(11)은 스토퍼홈부(111)를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우고정축(11a)과 좌측에 배치되는 좌고정축(11b)으로 구분된다(도 3 참조).
이때, 좌고정축(11b)의 외경은 우고정축(11a)의 외경보다 길어, 스토퍼홈부(111)를 경계로 단차가 형성된다.
설치홈부(112)는 가공 과정에서 스토퍼홈부(111)를 가로지르게 되어 좌고정축(11b)에는 경사가 형성되지만, 스토퍼홈부(111)와 설치홈부(112)의 단차 차이로 인해 롤러부(50)가 스토퍼홈부(111)에 걸린다.
따라서, 롤러부(50)가 설치홈부(112)에서 유동되더라도 스토퍼홈부(111)에 걸려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설치홈부(112)의 경사에 의해 롤러부(50)가 밀려 올라가 이동쉬브부(20)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한다.
롤러부(50)는 설치홈부(112)에 일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되, 스토퍼홈부(111)의 길이보다는 길게 형성된다. 또한 롤러부(50)는 설치홈부(112)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롤러부(50)가 스토퍼홈부(111)에 삽입되지 않도록 스토퍼홈부(111)보다 길게 형성되되, 고정축(11)과 이동쉬브부(20)에 면접촉되어 토크를 전달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길이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쉬브부(20)에는 이동관(21), 이동판(22) 및 연장판(23)이 구비된다(도 4 참조).
이동관(21)은 고정축(11)을 감싸도록 파이프(pipe) 형상을 하여, 고정축(11)이 이동관(21)의 중앙부를 관통한다. 이러한 이동관(21)의 내측에는 이동홈부(211)가 형성된다.
이동홈부(211)는 고정축(11)과의 간섭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이동쉬브부(20)가 이동될 때, 이동홈부(211)의 단부가 스토퍼홈부(111)의 선단부에 걸려 이동관(21)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동판(22)은 이동관(21)에 연결되고, 이동관(21)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판(12)과 마주본다. 이때, 이동판(22)과 고정판(12) 사이에 벨트부(40)가 위치된다. 한편, 연장판(23)은 이동판(22)의 단부에서 구부러져 가압부(30)를 감싼다.
이동관(21)의 내측에는 축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가이드홈부(212)가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홈부(212)와 설치홈부(112)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가이드홈부(212)와 설치홈부(1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롤러부(50)가 삽입되어 토크를 전달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단변속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쉬브부(10)의 고정축(11)은 이동쉬브부(20)의 이동관(21)에 삽입되고, 고정판(12)과 이동판(22) 사이에는 동력 전달을 위한 벨트부(40)가 배치된다(도 1 참조).
상기한 상태에서, 동력이 전달되어 고정축(11)이 회전되면, 가압부(30)에 유압이 공급되어 이동쉬브부(20)의 이동판(22)이 고정판(12)을 향해 이동된다(도 2 참조).
이때, 이동판(22)과 고정판(12) 사이에는 벨트부(40)가 위치되므로, 이동판(22)의 이동으로 인해, 이동판(22)은 벨트부(40)에 밀착되어 고정판(12)의 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벨트부(40)는 종동부로 동력을 전달한다.
고정축(11)은 외경의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되고, 이동관(21)은 스토퍼홈부(111)의 선단부에 걸려 이동이 제한된다.
한편, 고정축(11)과 이동관(21) 사이에는 롤러부(50)가 배치되며, 롤러부(50)는 고정축(11)과 이동관(21)에 걸림 고정되어 고정축(11)의 토크가 이동관(21)으로 전달됨으로써, 고정축(11)과 이동관(21)이 연동되어 회전된다.
이때, 롤러부(50)는 별도의 고정용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축(11)과 이동관(21) 사이에 삽입되므로, 고정용 부품 가공을 위한 작업이 생략된다.
롤러부(50)는 스토퍼홈부(111)에 걸려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롤러부(50)가 설치홈부(112)를 따라 이동되더라도 설치홈부(112)의 경사에 의해 밀려 올라가 이동관(21)에 끼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롤러부(50)는 스토퍼홈부(111)의 축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스토퍼홈부(111)에 일부가 삽입되더라도 나머지가 설치홈부(112)와 가이드홈부(212)에 위치되어 토크를 안정적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고정쉬브부 11 : 고정축
12 : 고정판 20 : 이동쉬브부
21 : 이동관 22 : 이동판
30 : 가압부 40 : 벨트부
50 : 롤러부 111 : 스토퍼홈부
112 : 설치홈부 211 : 이동홈부
212 : 가이드홈부

Claims (4)

  1. 외주면에 스토퍼홈부가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설치홈부가 가공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축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고정쉬브부;
    상기 고정축을 감싸는 이동쉬브부;
    상기 고정축에 장착되고, 유압에 의해 상기 이동쉬브부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고정판과 상기 이동쉬브부 사이에 배치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는 벨트부; 및
    상기 고정축과 상기 이동쉬브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토크를 전달하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설치홈부에 안착되되, 상기 스토퍼홈부의 길이보다는 길고, 상기 설치홈부의 길이보다는 짧으며,
    상기 이동쉬브부는
    상기 고정축을 감싸며 내측에 이동홈부가 형성되는 이동관;
    상기 이동관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관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과 마주보는 이동판; 및
    상기 이동판의 단부에서 구부러져 상기 가압부를 감싸는 연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관의 내측에는 축방향으로 가이드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롤러부를 감싸며,
    상기 고정축은 상기 스토퍼홈부를 경계로 우고정축과 좌고정축으로 구분되고,
    상기 좌고정축의 외경은 상기 우고정축의 외경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부는 상기 스토퍼홈부를 가로지르고, 상기 설치홈부와 상기 스토퍼홈부의 단차 차이로 인해 상기 롤러부가 상기 스토퍼부에 걸리고,
    상기 이동홈부의 단부는 상기 스토퍼홈부의 선단부에 걸려 상기 이동관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스토퍼홈부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기.
KR1020130011770A 2013-02-01 2013-02-01 무단변속기 KR101429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770A KR101429270B1 (ko) 2013-02-01 2013-02-01 무단변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770A KR101429270B1 (ko) 2013-02-01 2013-02-01 무단변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9270B1 true KR101429270B1 (ko) 2014-08-08

Family

ID=51750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770A KR101429270B1 (ko) 2013-02-01 2013-02-01 무단변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2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2549A (ja) * 2004-11-02 2006-05-25 Daihatsu Motor Co Ltd 無段変速機
JP2011220432A (ja) 2010-04-08 2011-11-04 Honda Motor Co Ltd ベルト式無段変速機構の油路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2549A (ja) * 2004-11-02 2006-05-25 Daihatsu Motor Co Ltd 無段変速機
JP2011220432A (ja) 2010-04-08 2011-11-04 Honda Motor Co Ltd ベルト式無段変速機構の油路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84168A1 (en) Lubrication structure of driving force transmission apparatus
JP2013535628A (ja) デュアルクラッチ用のレリーズユニット
KR101429270B1 (ko) 무단변속기
JP6128030B2 (ja) 自動変速機
JP2006214484A (ja) 湿式多板クラッチ
KR20180058907A (ko) 클러치 구조
JP6066618B2 (ja) 駆動軸組立体
JP6782182B2 (ja) 湿式多板クラッチ
KR101785936B1 (ko) 자동변속기
JP5588256B2 (ja) クラッチ切断装置を組み込んだ引張り型摩擦クラッチ
KR20180036149A (ko) 클러치 베어링 구조
JP2009192005A (ja) 逆入力防止クラッチ
KR101913028B1 (ko) 클러치의 릴리즈 베어링
KR20120136984A (ko) 단방향 클러치
KR101338790B1 (ko) 자동 변속기용 실링 부재
KR101510968B1 (ko) 수동변속기용 동기장치
JP2015190539A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2006057804A (ja) 逆入力遮断装置
JP5800806B2 (ja) 特にクランクcvt伝動装置に用いられるフリーホイール
JP5803433B2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
KR101983715B1 (ko) 자동변속기용 리어커버
KR101914585B1 (ko) 변속장치
JP2005121093A (ja) 電磁ボールクラッチ
JP2017057872A (ja) 自動クラッチ装置
JP2015152081A (ja) 摩擦係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