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548B1 - 차량용 에어클리너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548B1
KR101428548B1 KR1020130013279A KR20130013279A KR101428548B1 KR 101428548 B1 KR101428548 B1 KR 101428548B1 KR 1020130013279 A KR1020130013279 A KR 1020130013279A KR 20130013279 A KR20130013279 A KR 20130013279A KR 101428548 B1 KR101428548 B1 KR 101428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filter
filter
air cleaner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강익
Original Assignee
마루와벅스프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와벅스프리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루와벅스프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3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5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08Manufacturing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41Materials or structure of filter elements, e.g. fo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흡입구가 마련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흡입구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걸러주는 에어필터; 및 상기 바디의 개방된 일측 및 상기 에어필터를 덮도록 구성되며, 상기 에어필터를 통해 걸러진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구가 마련된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필터를 주변환경에 따라 수분을 수용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섬유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바디와 상기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습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클리너 {AIR CLEA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섬유로 구성된 에어필터를 내장함으로써 에어클리너 내부의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함은 물론, 상기 에어필터로 차단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을 초과하는 경우라도 엔진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연료와 공기가 혼합하여 연소하면서 동력을 발생시킨다. 즉, 차량은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가 각종 연료 공급장치를 통과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혼합되어 엔진의 실린더로 분사됨과 동시에 엔진이 흡입, 압축, 폭발, 배기 행정을 반복하면서 작동하게 됨으로써 동력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이 엔진을 운전하는 데에는 일정량의 공기가 필수적이며, 이러한 공기의 공급은 차량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것인데, 주로 차량 외부의 공기가 에어클리너로 유입되며 에어클리너에 연결된 에어 인테이크 호스를 통해 흡기 매니폴드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에어클리너로 유입되는 공기는 에어클리너 내부에 구비된 에어필터를 통과하면서 포함되어 있던 먼지 또는 불순물 등이 여과된 이후에 흡기 매니폴드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흡기 매니폴드로 이동하게 된 공기가 전술한 바와 같이 연료와 혼합되어 엔진에 분사되고 엔진에서 폭발 행정이 진행되는 과정에 있어서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먼지 또는 불순물로 인해 엔진이 고장나거나 연소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에어클리너는 차량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또는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종래의 차량용 에어클리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여기서,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클리너를 주요 구성요소별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대한 주요 구성요소를 조립하여 A-A 방향대로 절단하였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종래의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에어클리너는 일측에 공기흡입구(11)가 형성된 바디(10)와, 바디(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공기배출구(31)가 형성된 커버(30)와, 바디부(10)와 커버(20) 사이에 개재되는 프레임(21) 내에 마련되어 공기흡입구(11)로 유입된 공기가 공기배출구(31)로 배출되기 전에 통과하면서 먼지 또는 불순물이 걸러지는 에어필터(20)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의하면, 폭우나 눈보라가 심한 환경에서 운전을 하게 되는 경우, 차량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먼지 또는 불순물에도 수분 함유량이 매우 높게 되어, 먼지 또는 불순물을 거르더라도 수분을 거르지 못하여 수분을 과포함한 공기 또는 수분이 뭉쳐진 물방울 자체가 흡기 매니폴드를 거쳐 엔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분을 과포함한 공기 또는 수분이 뭉쳐진 물방울 자체가 엔진으로 유입하게 되면, 먼지 또는 불순물과 마찬가지로 이 역시 엔진이 고장나거나 연소효율이 낮아지는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문제점을 기술적 과제로 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에어클리너 내부의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한편, 상기 에어필터로 차단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을 초과하는 경우라도 엔진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일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흡입구가 마련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흡입구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걸러주는 에어필터; 및 상기 바디의 개방된 일측 및 상기 에어필터를 덮도록 구성되며, 상기 에어필터를 통해 걸러진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구가 마련된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필터를 주변환경에 따라 수분을 수용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섬유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바디와 상기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습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필터를 구성하는 섬유는 복수의 미세한 구멍을 포함하는 다공질 입자를 갖는 다수의 실리카겔이 함유된 부직포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멍은 용적이 0.5[ml/g] 내지 3.0[ml/g]이고, 표면적이 200[m2/g] 내지 1000[m2/g]이며, 직경이 1[nm] 내지 20[n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필터는 상단측이 개방된 상기 바디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워지면서 결합되되, 기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져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디는 상기 에어필터에서 수용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이 초과됨으로써 형성되는 물방울을 일시적으로 수용하였다가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필터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하단측의 바닥면 일부가 함몰되어 있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바디는 상기 에어필터가 상단측이 개방된 상기 바디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워질 때 상기 에어필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측벽을 따라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의하면, 주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섬유로 구성된 에어필터를 내장함으로써 에어클리너 내부의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함은 물론, 상기 에어필터로 차단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을 초과하는 경우라도 엔진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클리너를 주요 구성요소별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대한 주요 구성요소를 조립하여 A-A 방향대로 절단하였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일 실시예를 주요 구성요소별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일 실시예에 대한 주요 구성요소를 조립하여 A-A 방향대로 절단하였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일 실시예는 바디(body; 100)와, 에어필터(air filter; 200)와, 커버(cover; 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일 실시예를 주요 구성요소별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일 실시예에 대한 주요 구성요소를 조립하여 A-A 방향대로 절단하였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바디(100)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흡입구(110)가 마련되는 구성요소로, 후술할 에어필터(200) 및 커버(300)가 결합되도록 상단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바디(100)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때 내측면에 받는 압력이 상당할 수 있으므로, 내측면에 보강 프레임을 구비한 일체의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은 당연하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에어필터(200)에서 수용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이 초과됨으로써 형성되는 물방울을 일시적으로 수용하였다가 배출할 수 있도록, 에어필터(200)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하단측 바닥면 일부(120)가 함몰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에어필터(200)가 상단측에 위에서 아래로 끼워질 때 에어필터(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측벽을 따라 지지부(130)가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즉, 종래의 차량용 에어클리너와 같이 별도의 지지부(130) 없이 에어필터(200)의 프레임(210)이 바디(100)의 상단측에 끼워지는 경우에는 에어필터(200)가 견고히 고정되지 않아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흔들림은 소음과 진동을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에어필터(200)가 기울어져 바디(100)에 결합되는 만큼, 단순히 프레임(210)만을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210)에 장착된 필터부에 해당하는 부직포(220)도 함께 지지하는 것이 더욱 안정적이라고 할 것이다.
한편, 에어필터(200)는 바디(100)의 개방된 상단측에 결합되어 공기흡입구(110)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걸러주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에어필터(200)는 종래의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에어필터(20)와 유사하게 프레임과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종래의 차량용 에어클리너와 달리 필터부를 주변환경에 따라 수분을 수용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섬유로 구성하여, 바디(100)와 커버(30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즉 에어클리너 내부 공간의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차량용 에어클리너를 구성하는 에어필터(20)는 단순히 먼지 또는 불순물을 거르는 역할만 하였다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에어필터(200)는 내부 공간의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역할도 추가적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주변환경에 따라 수분을 수용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섬유는 인공 합성 섬유에 대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섬유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주변환경에 따라 수분을 수용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섬유의 일례로, 복수의 미세한 구멍을 포함하는 다공질 입자를 갖는 다수의 실리카겔이 함유된 부직포(220)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부직포(220)는 제습 효과가 뛰어난 실리카겔을 이용하는데, 이러한 실리카겔은 흙 또는 모래 등에 포함된 이산화규소를 양 1600도로 가열하여 실리카(Si + O2)를 겔 상태로 바꿔 미세한 구멍이 많은 다공질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실리카겔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구멍의 용적을 0.5[ml/g] 내지 3.0[ml/g]로 하고, 표면적을 200[m2/g] 내지 1000[m2/g]로 하며, 직경을 1[nm] 내지 20[nm]로 하는 것이 유리하며, 그 유형도 A형보다 B형이 습도 조절을 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즉, 구멍의 용적, 표면적, 직경을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분을 최대한으로 많이 흡수 방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수치적인 내용에 더욱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며, 다습시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A형 실리카겔보다는 다습시 수분을 배출하였다가 건조시 다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B형 실리카겔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실리카겔이 갖는 구멍에 대한 조건 및 A형 실리카겔인지 B형 실리카겔인지는 여부는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유리한 경우를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일 뿐,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에어필터(200)는 종래의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에어필터(20)와 같이 바디(100)의 하단측 바닥면과 평행하게 바디(100)에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필터(200)에서 수용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이 초과되어 물방울이 형성되는 경우에 바디(100)의 함몰된 하단측 바닥면 일부(120)로 물방울이 일시적으로 수용되기 용이하도록, 기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져 바디(100)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기설정된 각도는 에어필터(200)를 구성하는 부직포(220)의 크기, 형상 등 다양한 조건들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각도로서, 에어필터(200)에서 수용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이 초과되면서 발생되는 물방울이 부직포(220)에서 바디(100)의 함몰된 하단측 바닥면 일부(120)로 이동하기에 적절한 각도이기만 하면 이에 대한 제한은 없다고 할 것이다.
한편, 커버(300)는 에어필터(200)를 통해 걸러진 공기가 흡기 매니폴드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구(310)가 마련된 구성요소로, 전술한 바디(100)와 함께 에어필터(200)가 공기를 거를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커버(300)는 에어필터(200)에 의해 외부에서 유입될 때보다 공기의 압력이 크지 않기에 내측면에 보강 프레임까지는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지만, 내부가 비어있다는 점에서 충격에 약할 수 있는바, 바디(100)와 같이 일체의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역시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주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미세한 구멍을 포함하는 다공질 입자를 갖는 다수의 실리카겔이 함유된 부직포로 에어필터(200)를 구성함으로써, 바디(100)와 커버(300)에 의해 형성된 에어클리너 내부의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에어필터(200)로 차단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이 초과되어 물방울이 생긴다고 하더라도 바디(100)의 함몰된 하단측 바닥면 일부(120)로 물방울이 일시적으로 수용될 수 있어 엔진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이 과정에서 에어필터(200)가 바디(100)에 제대로 결합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1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에어필터(200)와 바디(100)가 제대로 결합되지 않을 경우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도 막을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바디 11 : 공기흡입구
20 : 에어필터 21 : 프레임
22 : 필터부 30 : 커버
31 : 공기배출구
100 : 바디 110 : 공기흡입구
120 : 함몰된 바닥면 일부 130 : 지지부
200 : 에어필터 210 : 프레임
220 : 부직포 300 : 커버
310 : 공기배출구

Claims (6)

  1. 일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흡입구가 마련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흡입구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걸러주는 에어필터; 및 상기 바디의 개방된 일측 및 상기 에어필터를 덮도록 구성되며, 상기 에어필터를 통해 걸러진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구가 마련된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필터를 주변환경에 따라 수분을 수용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섬유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바디와 상기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바디는,
    상기 에어필터에서 수용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이 초과됨으로써 형성되는 물방울을 일시적으로 수용하였다가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필터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하단측의 바닥면 일부가 함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필터를 구성하는 섬유는,
    복수의 미세한 구멍을 포함하는 다공질 입자를 갖는 다수의 실리카겔이 함유된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용적이 0.5[ml/g] 내지 3.0[ml/g]이고, 표면적이 200[m2/g] 내지 1000[m2/g]이며, 직경이 1[nm] 내지 20[nm]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필터는,
    상단측이 개방된 상기 바디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워지면서 결합되되, 기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에어필터가 상단측이 개방된 상기 바디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워질 때 상기 에어필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측벽을 따라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KR1020130013279A 2013-02-06 2013-02-06 차량용 에어클리너 KR101428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279A KR101428548B1 (ko) 2013-02-06 2013-02-06 차량용 에어클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279A KR101428548B1 (ko) 2013-02-06 2013-02-06 차량용 에어클리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8548B1 true KR101428548B1 (ko) 2014-08-11

Family

ID=51750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279A KR101428548B1 (ko) 2013-02-06 2013-02-06 차량용 에어클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5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951B1 (ko) * 2016-09-05 2018-07-16 대지금속 주식회사 차량의 공조 장치용 필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4656A (ja) * 1994-05-31 1995-12-12 Suzuki Motor Corp 自動二輪車のエアクリーナ
KR19980038568U (ko) * 1996-12-19 1998-09-15 양재신 자동차용 공기여과 엘리먼트
KR200150799Y1 (ko) 1994-12-31 1999-07-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응축수받이
KR20060081632A (ko) * 2005-01-10 2006-07-13 김종호 기능성 부직포 제조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4656A (ja) * 1994-05-31 1995-12-12 Suzuki Motor Corp 自動二輪車のエアクリーナ
KR200150799Y1 (ko) 1994-12-31 1999-07-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응축수받이
KR19980038568U (ko) * 1996-12-19 1998-09-15 양재신 자동차용 공기여과 엘리먼트
KR20060081632A (ko) * 2005-01-10 2006-07-13 김종호 기능성 부직포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951B1 (ko) * 2016-09-05 2018-07-16 대지금속 주식회사 차량의 공조 장치용 필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39422B (zh) 空气过滤元件和空气过滤器
US20200248659A1 (en) Air cleaner for vehicle
US8801840B2 (en) Evaporated fuel treating device
CN103452712B (zh) 一种汽车发动机空气滤清器
KR101428548B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KR102621907B1 (ko) 빌트인 밸브 적용 에어 클리너 및 흡기시스템
KR20010047717A (ko) 엔진의 에어 프리클리너
JP2008025396A (ja) エアクリーナ
KR20100090734A (ko) 내연기관 엔진의 공기여과장치
CN212701025U (zh) 碳罐用高效过滤器
GB2437090A (en) Double-shell air pump
CN108518291A (zh) 一种进气系统
KR101611359B1 (ko) 레조네이터 일체형 에어클리너
KR101567883B1 (ko) 차량용 공기 청정기
KR101119710B1 (ko) 캐니스터용 먼지제거필터 및 이를 구비한 캐니스터
KR200468893Y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구조
KR20090094567A (ko) 캐니스터 일체형 에어필터
KR101663177B1 (ko) 탄화수소 포집장치
KR20120048272A (ko) 병렬 구조의 필터를 구비한 에어클리너
KR200248299Y1 (ko) 2중 쐐기형 스월윙 에어크리너
KR102059406B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CN218901369U (zh) 一种电子元器件的智能仓储除湿设备
CN204141732U (zh) 一种空气净化器
KR101245884B1 (ko) 스트레이너를 포함하는 차량용 lp 가스 필터
CN213433495U (zh) 展柜净化调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