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402B1 - 족장 피스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족장 피스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402B1
KR101428402B1 KR1020130083433A KR20130083433A KR101428402B1 KR 101428402 B1 KR101428402 B1 KR 101428402B1 KR 1020130083433 A KR1020130083433 A KR 1020130083433A KR 20130083433 A KR20130083433 A KR 20130083433A KR 101428402 B1 KR101428402 B1 KR 101428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guide
unit
coupled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규
Original Assignee
황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용규 filed Critical 황용규
Priority to KR1020130083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20Portable devices or machines; Hand-driven devices o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007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movable milling machines, e.g. on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70/00Details of milling machines, milling processes or mill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2270/08Clamping mechanisms or provision for cl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족장 피스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족장 피스를 삽입 결합시켜 고정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의 길이방향 양단에 장착 결합되어 족장 피스가 용접된 표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블록 형태로 구비되며,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부와 결합되어 Y축 방향으로 이송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와, 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와,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모터부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족장 피스를 절단 및 제거하는 절삭부와, 가이드부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몸체부를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Y축 이송부와, 몸체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절삭부를 X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X축 조정부와, 몸체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절삭부를 Z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Z축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족장 피스 제거 장치{SCAFFOLDING PIECE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선박 건조 시에 족장(또는 비계)을 고정시키는데 설치하는 족장 피스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족장 피스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선박 건조 과정에서는 높은 곳에서 하는 작업이 많기 때문에, 이러한 작업을 하기 위해 족장(또는 비계)을 세우고 작업용 발판을 설치하며, 작업용 발판의 설치를 위해 선박의 표면에 작업용 발판을 지지하는 족장 피스를 용접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족장 피스는 작업을 할 때에는 매유 유용하지만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다시 제거해야만 하는데, 안정상의 이유로 작업용 발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설치되고, 이에 따라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통상적으로 족장 피스는 공기압 그라인더, 전기 그라인더 등에 절삭용 커터를 장착하여 절단한 후, 이러한 그라인더에 브러쉬를 장착하여 후처리를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소음과 진동, 작업시 가해지는 반발력을 지지하기 위해 손목과 허리 등에 무리한 하중을 받게 되어 산업 재해의 원인으로 작용하며, 작업 공정에 많은 위험이 내포되어 있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작업용 발판의 설치를 위해 선박의 표면에 작업용 발판을 지지하는 족장 피스를 쉽게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족장 피스 제거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0-0120947호(족장용 받침대 제거를 위한 휴대용 커팅장치)
본 발명은, 족장 피스에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가이드부에 길이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상태로 몸체부가 구비되며, 가이드부의 안내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몸체부의 상부에 구비된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절삭부에 전달하고, 전달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된 커터를 회전시켜 용접 부위를 절삭함으로써, 선박 선체에 고정 결합된 족장 피스를 쉽게 절단 및 제거할 수 있는 족장 피스 제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부와 가이드부에 결합된 X축 조정부 및 Z축 조정부와 Y축 이송부를 통해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조정하여 족장 피스 장치를 정밀하게 조정함으로써, 선박 선체에 고정 결합된 족장 피스를 쉽게 절단 및 제거할 수 있는 족장 피스 제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족장 피스를 삽입 결합시켜 고정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방향 양단에 장착 결합되어 상기 족장 피스가 용접된 표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블록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어 Y축 방향으로 이송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족장 피스를 절단 및 제거하는 절삭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를 상기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Y축 이송부와,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절삭부를 X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X축 조정부와,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절삭부를 Z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Z축 조정부를 포함하는 족장 피스 제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족장 피스에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가이드부에 길이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상태로 몸체부가 구비되며, 가이드부의 안내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몸체부의 상부에 구비된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절삭부에 전달하고, 전달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된 커터를 회전시켜 용접 부위를 절삭함으로써, 선박 선체에 고정 결합된 족장 피스를 쉽게 절단 및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부와 가이드부에 결합된 X축 조정부 및 Z축 조정부와 Y축 송부를 통해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조정하여 족장 피스 장치를 정밀하게 조정함으로써, 선박 선체에 고정 결합된 족장 피스를 쉽게 절단 및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 피스를 예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 피스 제거 장치의 외부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j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 피스 제거 장치의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 피스 제거 장치의 Y축 이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 피스 제거 장치의 X축 조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6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 피스 제거 장치의 Z축 조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 피스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 피스 제거 장치의 외부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a 내지 도 3j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 피스 제거 장치의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 피스 제거 장치의 Y축 이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 피스 제거 장치의 X축 조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a 내지 6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 피스 제거 장치의 Z축 조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 피스(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구(12)를 갖는 사각형 플레이트(11) 형태로 선박의 표면(S)에 용접(welding)될 수 있다. 여기에서, WA는 용접 부분(Welding Area)을 의미한다.
도 2a 내지 도 2g와, 도 3a 내지 도 3h와, 도 4a 내지 도 4h와, 도 5a 내지 도 5e와, 도 6a 내지 6g와,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 피스 제거 장치는 가이드부(110), 지지부(120), 몸체부(130), 손잡이부(140), 모터부(150), 절삭부(160), Y축 이송부(170), X축 조정부(180), Z축 조정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10)는 족장 피스(10)를 삽입 결합시켜 고정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가이드 몸체(111), 가이드편(112), 고정판(113), 탄성판(1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몸체(111)는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블록 형태로 구비되며, 하부에 족장 피스(10)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편(112)은 가이드 몸체(111)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의 길이방향 양단에 구비되고, 족장 피스(10)가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각각의 가이드편(112)의 하단 내측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판(113)은 족장 피스(10)가 삽입홈에 삽입될 경우 족장 피스(10)의 상단 일측면을 지지하도록 가이드 몸체(111)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각 체결구(12)에 대응하는 부분에 길이방향으로 외측으로 향하도록 2개가 구비되며, 이러한 고정판(113)은 가이드 몸체(111)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탄성판(114)은 고정판(113)에 대응하여 족장 피스(10)가 삽입홈에 삽입될 경우 족장 피스(10)의 상단 타측면을 지지하도록 가이드 몸체(111)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각 체결구(12)에 대응하는 부분에 고정판(113)과 대응하는 위치 및 크기로 길이방향으로 외측으로 향하도록 2개가 구비되며, 이러한 탄성판(114)은 각각 외측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내측단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족장 피스(10)가 삽입홈에 삽입될 경우 고정판(113)에 일측면이 지지되고, 고정판(113)이 구비된 위치에 대응하는 타측면에 구비된 탄성판(114)을 통해 안정적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며, 탄성판(114)의 내측단은 내부쪽에 원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족장 피스(10)의 각 체결구(12)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i 및 도 3j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판(113)의 양단에 고정구(113a)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고정구(113a)는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113b)을 통해 열려 있는 상태에서 족장 피스(10)가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원하는 위치까지 삽입될 경우 하부 절곡된 부분을 통해 고정시킴으로써, 삽입된 족장 피스(10)가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잇다.
지지부(120)는 가이드부(110)의 길이방향 양단에 장착 결합되어 족장 피스(10)가 용접된 표면에 지지되는 것으로, 지지 몸체(121), 원통 지지구(122), 고정구(123), 탄성체(124), 지지캡(12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몸체(121)는 가이드부(110)에 구비된 가이드 몸체(111)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수평블록과 수직블록이 연장 형성된 ┴자 형태로 양단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며, 각 수직 블록의 내측면에 가이드 몸체(111)가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원통 지지구(122)는 지지 몸체(121)의 수평 블록에서 하부 양단에 내부가 빈 중공부를 갖는 원통 형태로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원통 지지구(122)는 족장 피스(10)가 용접된 표면에 지지될 수 있다.
고정구(123)는 지지 몸체(121)의 수평 블록에서 하부 양단에 구비된 원통 지지구(122)를 지지 몸체(121)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볼트, 나사 등을 포함하여 지지 몸체(121)의 수평 블록에서 상부 양단에 구비되고, 지지 몸체(121)의 수평 블록에서 양단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며, 수평 블록의 하부 양단에 구비된 원통 지지구(122)의 상부를 관통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탄성체(124)는 스프링 등을 포함하여 원통 지지구(122)의 중공부에 삽입 결합되고, 원통 지지구(122)의 하부로 지지캡(125)이 결합되어 후술하는 절삭부(160)의 하부에 구비된 커터(161)를 족장 피스(10)가 용접된 표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것으로, 용접된 표면에 커터(161)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세한 거리를 표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커터(161)의 동작 시 절삭부(160)의 커터(161)를 보호할 수 있다.
몸체부(130)는 가이드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부(110)와 결합되어 Y축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으로, 평면으로 보면 ㄷ자 형태이고 측면으로 보면 사각형 형태의 블록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제 1 몸체부(131), 두 개의 제 2 몸체부(13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몸체부(131)는 도 4h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 조정부(180)와 Z축 조정부(190)가 구비되는 몸체로서, 상부로는 X축 조정노브(182)와 X축 조정노브(192)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형태의 블록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형태의 블록에서 중앙 상부 방향으로 손잡이 몸체(141)가 연장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부로는 가이드부(11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측 방향으로 개구된 가이드 삽입홈(131b)이 형성되며, X축 고정레버(181)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도록 양측이"┙","┕"형태의 블록으로 형성되고, 양측 블록의 상부가 서로 사각형 블록으로 연결되면서 상부에 형성되는 "┕┙"블록의 하부와 서로 연결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양측 블록의 상부를 서로 연결되는 사각형 블록에는 Y축 이송부(170)의 이송스크류(171)와 Y축으로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131a)이 수평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 2 몸체부(132)는 도 6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부(150)와 절삭부(160)가 구비되는 몸체로서, 2개의 사각형 형태의 블록으로 형성되되, 각각의 일단 상부로는 모터부(150)가 구비되고, 각각의 일단 하부로는 모터부(150)와 연결된 절삭부(160)가 구비되며, 각각의 타단면에는 Z축 고정레버(191)가 구비되고, 각각의 타단부에는 제 1 몸체부(131)의 타단 양측에 노출된 외부 하우징(185)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 형성된 결합홀(132a)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몸체부(130)의 일단 양 가지 부분으로는 후술하는 모터부(150)와 절삭부(160)가 구비되고, 타단 부분으로는 X축 조정부(180)와 Z축 조정부(190)가 구비될 수 있고, 가이드부(110)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Y축 이송부(170)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손잡이부(140)는 몸체부(1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손잡이 몸체(141), 구동 스위치(14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몸체(141)는 몸체부(130) 상부의 타단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수직 연장된 후 수평으로 꺽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쉽게 수평으로 꺽인 부분을 잡고 작업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 몸체(141)는 제 1 몸체부(131)의 상부 중앙 부분에 상부 방향으로 연장 구비될 수 있다.
구동 스위치(142)는 손잡이 몸체(141)의 수평 부분(예를 들면, 수평 부분의 하부 등)에 구비되어 후술하는 모터부(15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 스위치(142)는 모터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모터부(150)는 몸체부(130)의 상부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모터 케이스의 내부에 구동 모터가 내장된 형태로 구비되며, 몸체부(130)의 일단 양 가지에 상부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부(150)는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51), 복수의 기어(152, 153), 벨트(154), 풀리(155), 텐션 조절구(156) 등을 통해 절삭부(160)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터부(150)의 구성은 종래에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설계 변경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절삭부(160)는 몸체부(130)의 하부에 결합되어 모터부(150)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족장 피스를 절단 및 제거하는 것으로, 커터(161), 비산방지커버(162), 풀리(163), 커터 샤프트(16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터(161)는 모터부(150)가 구비된 몸체부(130)의 하부에 구비되어 모터부(150)의 구동축에 기어 방식으로 연결된 커터 샤프트(164)를 통해 고정 결합되며, 모터부(150)의 구동에 따른 구동력을 통해 회전하여 족장 피스(10)를 절단 및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커터(161)는 족장 피스(10)의 하단 양측면에 위치하도록 양측으로 두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비산방지커버(162)는 커터(161)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각각 구비되어 커터(161)의 회전에 따라 족장 피스(10)가 절단되는 중 커팅된 금속 물질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모터부(150)의 구동력은 풀리(163)와 커터 샤프트(164)를 통해 커터(16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모터부(15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을 절삭부(160)의 커터(161)에 전달하는 내부 구성은 종래에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설계 변경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Y축 이송부(170)는 가이드부(1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몸체부(130)를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송 스크류(171), 이송축 블록(172), 축연결로드(173), 이송 핸들(174), 이송기어(175), Y축 가이드구(17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스크류(171)는 일단이 지지부(120)의 일단 상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부(120)의 타단 상부를 관통하여 삽입 결합되며, 몸체부(13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회전에 따라 몸체부(130)가 길이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축 블록(172)은 지지부(120)의 타단 상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이송 스크류(171)의 타단과 고정 결합된다.
축연결로드(173)는 이송축 블록(172)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이러한 축연결로드(173)의 끝단에 외측 수직방향으로 이송 핸들(174)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 핸들(174)을 이용하여 축연결로드(173)를 회전시킬 경우 이와 고정 연결된 이송축 블록(172)이 회전되고, 이송축 블록(172)과 고정 결합된 이송 스크류(171)가 회전될 수 있으며, 이송 스크류(171)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몸체부(130)가 길이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기어(175)는 이송 핸들(174)의 회전에 따라 몸체부(130)가 길이방향으로 이송될 때 빠른 속도로 이송되면 족장 피스 제거 장치 전체에 손상 발생 위험이 있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이송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이송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Y축 가이드구(176)는 제 1 몸체부(131)의 가이드 삽입홈(131b)의 상부 내측면에 고정되고, 가이드 몸체(111)의 상부 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몸체부(130)가 길이방향으로 견고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은 몸체부(130)와 몸체부(130)의 타단에 구비된 X축 조정부(180) 및 Z축 조정부(190) 등이 길이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도 6f에 도시한 바와 같은 몸체부(130)와 몸체부(130)의 일단에 구비되는 두 개의 모터부(150) 및 절삭부(160)도 함께 이송될 수 있다.
X축 조정부(180)는 몸체부(130)의 측면에 구비되어 절삭부(160)를 X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으로, X축 고정레버(181), X축 이송노브(182), X축 웜기어(183), 내부 하우징(184), 고정홈(185), X축 가이드구(18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X축 고정레버(181)는 X축으로 이송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으로, 제 1 몸체부(131)가 가이드부(110) 및 Y축 이송부(170)에 결합된 상태에서 모터부(150) 및 절삭부(160)가 결합된 제 2 몸체부(132)를 X축으로 조정하고자 할 경우 잠금을 해제할 수 있고, X축으로의 조정이 완료되면 다시 고정시킬 수 있다.
X축 이송노브(182)는 제 1 몸체부(131)의 타단면에 구비되어 X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으로, X축 고정레버(181)가 잠금 해제된 후 회전시키면 내부에 고정 결합된 X축 웜기어(183)가 회전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84)은 X축 웜기어(183)와 맞물려 수직 결합되는 것으로, X축 웜기어(183)가 회전될 경우 이에 대응하여 X축 웜기어(183)에 접촉된 접촉기어를 통해 회전되며, 이에 따라 내부 하우징(184)에 결합된 제 2 몸체부(132)가 X축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에 따라 가이드부(110)의 하부로 결합된 족장 피스(10)까지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내부 하우징(184)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나사 키넛(194)이 결합 고정되는 고정홈(185)이 형성될 수 있다.
X축 가이드구(186)는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가이드 몸체(111)의 양측면에서 수직으로 연장 구비되고, 두 개의 제 2 몸체부(132) 각각에 길이방향 측면에 근접하여 구비되며, X측 이송노브(182)의 조정을 통해 조정되는 두 개의 제 2 몸체부(132)를 X축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Z축 조정부(190)는 몸체부(130)의 측면에 구비되어 절삭부(160)를 Z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으로, Z축 고정레버(191), Z축 이송노브(192), TR 나사(193), 나사 키넛(194), Z축 가이드구(19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Z축 고정레버(191)는 Z축으로 이송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으로, 제 1 몸체부(131)가 가이드부(110) 및 Y축 이송부(170)에 결합된 상태에서 모터부(150) 및 절삭부(160)가 결합된 제 2 몸체부(132)를 Z축으로 조정하고자 할 경우 잠금을 해제할 수 있고, Z축으로의 조정이 완료되면 다시 고정시킬 수 있다.
Z축 이송노브(192)는 제 1 몸체부(131)의 타단 상부면에 구비되어 Z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으로, Z축 고정레버(191)가 잠금 해제된 후 회전시키면 내부 하우징(184)의 내부에 구비된 TR 나사(193)를 회전시킬 수 있다.
나사 키넛(194)은 내부 하우징(184)에 결합 고정되며, TR 나사(193)의 회전에 따라 Z축 방향(상하 방향)으로 이동(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몸체부(132)가 Z축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Z축 가이드구(195)는 모터부(150) 및 절삭부(160)가 구비된 제 2 몸체부(132)의 각 내측면에 근접하여 구비되는 플레이트 부분과 제 2 몸체부(132)의 길이방향 측면으로 노출되는 지점에서 외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ㄷ"자 형태의 구조물이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Z축 가이드구(195)는 Z축 이송노브(192)의 조정 시 제 2 몸체부(132)를 Z축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고, 절삭부(160)를 통해 족장 피스(10)를 절단할 경우 모터부(150) 및 절삭부(160)를 구비하는 제 2 몸체부(132)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족장 피스에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가이드부에 길이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상태로 몸체부가 구비되며, 가이드부의 안내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몸체부의 상부에 구비된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절삭부에 전달하고, 전달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된 커터를 회전시켜 용접 부위를 절삭함으로써, 선박 선체에 고정 결합된 족장 피스를 쉽게 절단 및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부와 가이드부에 결합된 X축 조정부 및 Z축 조정부와 Y축 이송부를 통해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조정하여 족장 피스 장치를 정밀하게 조정함으로써, 선박 선체에 고정 결합된 족장 피스를 쉽게 절단 및 제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10 : 가이드부 120 : 지지부
130 : 몸체부 140 : 손잡이부
150 : 모터부 160 : 절삭부
170 : Y축 이송부 180 : X축 조정부
190 : Z축 조정부

Claims (10)

  1. 족장 피스를 삽입 결합시켜 고정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방향 양단에 장착 결합되어 상기 족장 피스가 용접된 표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블록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어 Y축 방향으로 이송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족장 피스를 절단 및 제거하는 절삭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를 상기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Y축 이송부와,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절삭부를 X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X축 조정부와,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절삭부를 Z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Z축 조정부와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족장 피스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이 하부에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블록 형태로 구비되는 가이드 몸체와,
    상기 족장 피스가 삽입되도록 각 하단 내측이 각각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의 길이방향 양단에 구비되는 가이드편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족장 피스의 상단 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 몸체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대응하여 상기 족장 피스의 상단 타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 몸체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탄성판
    을 포함하는 족장 피스 제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고정판의 양단에 구비되며,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을 통해 열려 있는 상태에서 상기 족장 피스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원하는 위치까지 삽입될 경우 하부 절곡된 부분을 통해 상기 고정판을 고정시키는 고정구
    를 더 포함하는 족장 피스 제거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수평블록과 수직블록이 연장 형성된 ┴자 형태로 양단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몸체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 고정되는 지지 몸체와,
    내부가 빈 중공부를 갖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 블록의 하부 양단에 결합 고정되는 원통 지지구와,
    상기 원통 지지구를 상기 수평블록의 양단에 고정시키는 고정구와,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절삭부의 하부면이 상기 족장 피스가 용접된 표면에서 이격시키는 탄성체
    를 포함하는 족장 피스 제거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가이드부 및 Y축 이송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Z축 조정부가 구비되는 제 1 몸체부와,
    상기 제 1 몸체부에 결합되고, 일단에 상기 모터부 및 절삭부가 구비되며, 타단에 상기 X축 조정부가 구비되는 두 개의 제 2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몸체부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결합홈이 마련되어 도브테일 방식으로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장 피스 제거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수직 연장된 후 수평으로 꺽인 형태로 구비되는 손잡이 몸체와,
    상기 손잡이 몸체의 수평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부를 구동되는 구동 스위치
    를 포함하는 족장 피스 제거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부의 구동축에 기어 방식으로 연결된 커터축을 통해 고정 결합되며, 상기 구동력에 따라 회전하는 커터와,
    상기 족장 피스가 절단되는 중 커팅된 금속 물질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터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비산방지커버
    를 포함하는 족장 피스 제거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Y축 이송부는,
    일단이 상기 지지부의 일단 상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의 타단 상부를 관통하여 삽입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와,
    상기 지지부의 타단 상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기 이송 스크류의 타단과 고정 결합되는 이송축 블록와,
    상기 이송축 블록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끝단에 외측 수직방향으로 이송 핸들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연결로드
    를 포함하는 족장 피스 제거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X축 조정부는,
    상기 X축 방향으로의 조정을 잠금 해제하거나 고정시키는 X축 고정레버와,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부 및 절삭부를 상기 X축 방향으로의 이송을 조정하는 X축 이송노브와,
    상기 X축 이송노브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X축 이송노브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X축 웜기어와,
    상기 X축 웜기어와 맞물려 수직 결합되는 내부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 몸체의 양측면에서 수직으로 연장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측면에 근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X축 이송노브의 조정을 통해 조정되는 상기 몸체부를 상기 X축 방향으로 안내하는 X축 가이드구를 포함하며,
    상기 X축 이송노브의 회전에 따라 상기 X축 웜기어가 회전될 경우 이와 접촉된 접촉기어를 통해 상기 내부 하우징이 회전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에 결합된 상기 몸체부가 상기 X축 가이드구에 안내되어 상기 X축 방향으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장 피스 제거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Z축 조정부는,
    상기 Z축 방향으로의 조정을 잠금 해제하거나 고정시키는 Z축 고정레버와,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부 및 절삭부를 상기 Z축 방향으로의 이송을 조정하는 Z축 이송노브와,
    상기 Z축 이송노브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TR 나사와
    상기 TR 나사의 회전에 따라 상기 Z축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를 이송시키는 나사 키넛과,
    상기 모터부 및 절삭부가 구비된 상기 몸체부의 각 내측면에 근접하여 구비되는 플레이트 부분과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측면으로 노출되는 지점에서 외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ㄷ"자 형태의 구조물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Z축 조정부의 조정 시 상기 몸체부를 상기 Z축 방향으로 안내하고, 상기 족장 피스를 절단 시 상기 몸체부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Z축 가이드구
    를 포함하는 족장 피스 제거 장치.
KR1020130083433A 2013-07-16 2013-07-16 족장 피스 제거 장치 KR101428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433A KR101428402B1 (ko) 2013-07-16 2013-07-16 족장 피스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433A KR101428402B1 (ko) 2013-07-16 2013-07-16 족장 피스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8402B1 true KR101428402B1 (ko) 2014-09-23

Family

ID=51758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433A KR101428402B1 (ko) 2013-07-16 2013-07-16 족장 피스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4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438Y1 (ko) * 1984-11-13 1992-11-30 닛도우 고우기 가부시끼가이샤 면취기(面取機 : Chamfer Plane)
KR101017210B1 (ko) * 2010-05-19 2011-02-25 진송학 러그 절단장치
KR101254482B1 (ko) * 2012-04-13 2013-04-12 황용규 족장 피스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438Y1 (ko) * 1984-11-13 1992-11-30 닛도우 고우기 가부시끼가이샤 면취기(面取機 : Chamfer Plane)
KR101017210B1 (ko) * 2010-05-19 2011-02-25 진송학 러그 절단장치
KR101254482B1 (ko) * 2012-04-13 2013-04-12 황용규 족장 피스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949B1 (ko) 레이저 가공용 지지 레일의 슬래그 제거장치
KR20130137127A (ko) 피가공재 이송용 고정 장치
KR101428402B1 (ko) 족장 피스 제거 장치
KR101979440B1 (ko) 이동식 제재 장치
CN108044477B (zh) 一种可精确切割的折叠展开式切割机
KR101254482B1 (ko) 족장 피스 제거 장치
KR101216417B1 (ko) 철판절단기
EP3616867A1 (en) Tile saw
JP5530289B2 (ja) 板金加工装置におけるバックゲージ装置
KR101894099B1 (ko) 버 제거용 공구
KR200215532Y1 (ko) 배관설비용 대형 강관 절단기
KR102095487B1 (ko) 레이저 가공용 지지 플레이트의 슬래그 제거장치
JP4739939B2 (ja) 電柱切断機
KR101235026B1 (ko) 수평 벤딩기의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회전식 보조아대장치
KR101343751B1 (ko) 족장 피스 제거 장치
JP2000198083A (ja) コンベアチェ―ン用治具
KR100237768B1 (ko) 둥근 기계 대패용 안전 커버 장치
CN217617502U (zh) 桥梁工程用的钢筋加工设备
KR20120003424U (ko) 아치형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전동 공구
KR101301531B1 (ko) 공구거치장치
KR20190000631U (ko) 라쳇핸들 지그
KR102417032B1 (ko) 대형 밀링 팔레트 자동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밀링머신
CN211052717U (zh) 一种带锯床的辅助上料装置
EP3595848B1 (en) Apparatus for mounting a tool to a vice
KR200468880Y1 (ko) 용접기 커버 개폐용 치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