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721B1 - 고령자 및 환자용 다기능 전동 침대 - Google Patents

고령자 및 환자용 다기능 전동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721B1
KR101427721B1 KR1020140047377A KR20140047377A KR101427721B1 KR 101427721 B1 KR101427721 B1 KR 101427721B1 KR 1020140047377 A KR1020140047377 A KR 1020140047377A KR 20140047377 A KR20140047377 A KR 20140047377A KR 101427721 B1 KR101427721 B1 KR 101427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column
frame
user
plate
r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연호
Original Assignee
(주)한림의료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림의료기 filed Critical (주)한림의료기
Priority to KR1020140047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8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longitudinal axis, e.g. for ro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61G7/1007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mounted on or in combination with a toi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령자나 환자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간병인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기능 전동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다기능 전동 침대는, 하면에 바퀴(11)가 설치되어 이동성을 제공하는 하부 프레임(10),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프레임(20),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20)을 지지하고,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리프트 칼럼(30), 상면에 매트리스(23)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20)에 결합되어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40) 및 상기 지지 프레임(4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변기부(60)를 포함하되, 상기 리프트 칼럼(30)은,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방 리프트 칼럼(31) 및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방 리프트 칼럼(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40)은, 상기 지지 프레임(40)의 전면을 이루고, 후방의 제 1 측면이 상기 지지 프레임(4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등받이판(41), 일측이 상기 제 1 측면과 연결되는 연결판(42), 상기 연결판(42)의 타측과 연결된 전방의 제 2 측면이 상기 지지 프레임(4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착석판(43), 전방 측면이 상기 착석판(43)의 후방 측면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다리판(44) 및 상기 다리판(44)의 후방 측면에 설치된 발판 패널(45)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변기부(60)는, 상기 환자로부터 배설되는 대변이 유입되는 배변부(61), 상기 환자로부터 배설되는 소변이 유입되는 배뇨부(62), 상기 배변부(61) 및 상기 배뇨부(62)와 연결된 호스(63), 상기 호스(63)와 연결되어 상기 환자의 배설물을 수용하는 오물탱크(64) 및 상기 환자의 배설 후 세척을 위한 온수를 공급하는 세척노즐을 더 포함하고,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등받이판(41), 상기 착석판(43) 및 상기 다리판(44) 중 적어도 하나를 회동시킬 수 있고, 상기 회동에 의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환자의 자세 변환이 유도되며, 상기 전방 리프트 칼럼(31) 및 상기 후방 리프트 칼럼(32)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환자에 대한 승강 또는 전후방 틸팅이 가능하고, 상기 연결판(42) 및 상기 착석판(43)에는 변기 구멍(6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변기 구멍(46)은 상기 배변부(61) 및 상기 배뇨부(62)의 개방된 입구와 정렬되며, 상기 발판 패널(45)은 후방으로의 연장 및 전방으로의 단축이 가능하도록 상기 다리판(44)의 후방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령자 및 환자용 다기능 전동 침대{MULTIFUNCTIONAL ELECTRIC BED FOR THE AGED AND FOR MEDICAL}
본 발명은 고령자 및 환자용 다기능 전동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령자나 환자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간병인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기능 전동 침대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그 형태 및 높이 등이 고정되어 있는 고정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형 침대라 하더라도 병원 등에 사용하는 침대는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머리, 다리, 허리 등 신체의 일부분을 상하로 경사지게 하는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고령자에게 사용되는 침대는 사용자의 등받이부가 상향으로 각도 조절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그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사용자의 다리부에 위치하는 매트리스는 수동조작 또는 전기적인 구동력에 의해 상향으로 각도 조절되게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는 매트리스의 일측을 상승시켜 TV를 시청하거나 독서 및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매트리스의 각도 조절구조는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한 나사축의 승강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며, 사용자 스스로 구동모터의 작동시간을 제어하여 목적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환자용 침대의 하부 일측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동모터에 의한 각도 조절은 물론 수동 조작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근자에 들어서는 사용자 스스로 각도 조절을 할 수 없는 수동조작에 의한 불편함으로 대부분 자동 각도조절구조를 갖는 침대를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 병원의 입원실이나 진료실에서 흔히 사용되어 온 환자용 침대는 사용자가 스스로 자세를 변환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사용자 본인은 물론 사용자를 간병하는 간병인이나 보호자에게도 불편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환자용 침대는 일반인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침대를 간단하게 변형한 것에 불과하여 거동이 자유롭지 못한 환자나 고령자에게 최적화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움직임이 불편한 사용자의 이동량을 줄이면서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침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1-003648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186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령자나 환자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간병인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기능 전동 침대 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령자나 환자가 눕는 지지 프레임을 복수의 판으로 구성하여 환자가 자세 변화를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는 다기능 전동 침대 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와 하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리프트 칼럼을 이용하여 전후방 및 측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줄이면서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는 다기능 전동 침대 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기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배설물을 용이하게 처리함으로써 위생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고 간병인이나 보호자의 편의를 제고할 수 있는 다기능 전동 침대 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병실의 환경을 고려하여 링거 거치부의 상면에 윈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된 링을 부착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링거 걸이대를 구비하는 다기능 전동 침대 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다기능 전동 침대는, 하면에 바퀴(11)가 설치되어 이동성을 제공하는 하부 프레임(10),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프레임(20),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20)을 지지하고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리프트 칼럼(30), 상면에 매트리스(23)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20)에 결합되어 사용자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40) 및 상기 지지 프레임(4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변기부(60)를 포함하되, 상기 리프트 칼럼(30)은,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방 리프트 칼럼(31) 및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방 리프트 칼럼(3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40)은, 상기 지지 프레임(40)의 전면을 이루고 후방의 제 1 측면이 상기 지지 프레임(4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등받이판(41), 일측이 상기 제 1 측면과 연결되는 연결판(42), 상기 연결판(42)의 타측과 연결된 전방의 제 2 측면이 상기 지지 프레임(4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착석판(43), 전방 측면이 상기 착석판(43)의 후방 측면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다리판(44) 및 상기 다리판(44)의 후방 측면에 설치된 발판 패널(45)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변기부(6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배설되는 대변이 유입되는 배변부(61), 상기 사용자로부터 배설되는 소변이 유입되는 배뇨부(62), 상기 배변부(61) 및 상기 배뇨부(62)와 연결된 호스(63), 상기 호스(63)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배설물을 수용하는 오물탱크(64) 및 상기 사용자의 배설 후 세척을 위한 온수를 공급하는 세척노즐을 더 포함하고,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등받이판(41), 상기 착석판(43) 및 상기 다리판(44) 중 적어도 하나를 회동시킬 수 있고, 상기 회동에 의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사용자의 자세 변환이 유도되며, 상기 전방 리프트 칼럼(31) 및 상기 후방 리프트 칼럼(32)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 대한 승강 또는 전후방 틸팅(tilting)이 가능하고, 상기 연결판(42) 및 상기 착석판(43)에는 변기 구멍(6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변기 구멍(46)은 상기 배변부(61) 및 상기 배뇨부(62)의 개방된 입구와 정렬되며, 상기 발판 패널(45)은 후방으로의 연장 및 전방으로의 단축이 가능하도록 상기 다리판(44)의 후방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리프트 칼럼(32)은,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후방 리프트 칼럼(33),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후방 리프트 칼럼(34), 상기 제 1 후방 리프트 칼럼(33)과 상기 상부 프레임(20)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회전부재 및 상기 제 2 후방 리프트 칼럼(34)과 상기 상부 프레임(20) 사이에 개재되는 제 2 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후방 리프트 칼럼(33) 및 상기 제 2 후방 리프트 칼럼(34)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 조절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회전부재 및 상기 제 2 회전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 및 상기 제 2 회전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측방향 틸팅(tilting)이 가능하다.
또한, 전방 리프트 칼럼(31) 및 후방 리프트 칼럼(32)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부 프레임(20) 하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방 리프트 칼럼(31) 및 상기 후방 리프트 칼럼(32)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 조절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전후방 틸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변기부(6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기 설정된 배변자세로 변환되도록 상기 등받이판(41), 상기 착석판(43) 및 상기 다리판(44)이 회동하고, 상기 배변자세에서는 상기 등받이판(41)이 상기 제 1 측면을 중심으로 90도 이상 회동하고, 상기 등받이판(41)과 상기 착석판(43) 사이의 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범위 내가 된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23)에 연결된 압력 컨트롤 유닛(25)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압력 컨트롤 유닛(25)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매트리스(23)에 가하는 힘에 대응하여 상기 매트리스(23)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어셀(24) 각각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2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링거 걸이대(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링거 걸이대(50)는, 상기 상부 프레임(2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지주대(51), 상기 지주대(51)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결합되고 각각의 단부에는 링거액이 수용된 링거용기의 거치를 지원하기 위한 링거 고리(52)가 형성된 복수의 링거 거치부(53) 및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보호단(5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단(54)은 상기 복수의 링거 거치부(53)의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복수의 링거 거치부(53)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을 차단하고, 상기 보호단(54)에 의한 차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링거 거치부(53) 중 적어도 일부에 소정의 객체가 걸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령자나 환자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간병인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기능 전동 침대 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령자나 환자가 눕는 지지 프레임을 복수의 판으로 구성하여 환자가 자세 변화를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는 다기능 전동 침대 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와 하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리프트 칼럼을 이용하여 전후방 및 측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줄이면서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는 다기능 전동 침대 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기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배설물을 용이하게 처리함으로써 위생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고 간병인이나 보호자의 편의를 제고할 수 있는 다기능 전동 침대 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병실의 환경을 고려하여 링거 거치부의 상면에 윈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된 링을 부착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링거 걸이대를 구비하는 다기능 전동 침대 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의 일 실시례와 관련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를 이용한 승강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를 이용한 전후방 틸팅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를 이용한 측방향 틸팅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를 이용한 발판 패널의 연장 및 단축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를 이용한 자세 변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를 이용한 배변자세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자세 변환을 이용하여 배변자세를 구현하기 위한 회동 범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에 적용될 수 있는 변기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에 적용될 수 있는 매트리스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에 적용될 수 있는 링거 걸이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를 이용한 전후방 틸팅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를 이용한 측방향 틸팅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다기능 전동 침대의 기본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기능 전동 침대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의 일 실시례와 관련된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를 이용한 승강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는 하부 프레임(10), 상부 프레임(20), 리프트 칼럼(30), 지지 프레임(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 상기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다기능 전동 침대가 구현될 수도 있다.
하부 프레임(10)은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의 밑면을 이루는 구성이다. 하부 프레임(10)의 하면에는 바퀴(11)가 설치되어 있으며, 바퀴(11)의 회동에 의하여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바퀴(11)는 고정레버(12)에 의하여 회동되지 않도록 조작될 수 있으며, 다기능 전동 침대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레버(12)를 조작하여 바퀴(11)의 회동을 막을 수 있다.
하부 프레임(10)의 상면에는 리프트 칼럼(30)이 설치되어 있다. 리프트 칼럼(30)은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2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부 프레임(20)을 일정 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 리프트 칼럼(30)은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와 상기 다기능 전동 침대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프트 칼럼(30)은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리프트 칼럼(30)의 높이 조절에 따라 상부 프레임(20)이 지지되는 높이가 변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지 프레임(40)에 누워있는 사용자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20)은 리프트 칼럼(30)에 의하여 지지되며, 소정의 높이에 위치된다. 상부 프레임(20)은 환자나 고령자의 지지를 위한 지지 프레임(40)이 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프레임(20)의 전방에는 헤드 보드(22)가 설치되고, 상부 프레임(20)의 양 측면에는 사이드 레일(21)이 구비된다. 사이드 레일(21)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다. 사이드 레일(21)이 상승하였을 때는 지지 프레임(40) 상면에 누워있는 사용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이드 레일(21)이 하강하였을 때는 환자나 고령자가 쉽게 침대에 오르내릴 수 있게 한다.
지지 프레임(40)은 상부 프레임(20)에 결합되어 환자를 지지하며, 지지 프레임(40)의 상면에는 매트리스(23)가 배치된다. 지지 프레임(40)은 등받이판(41), 연결판(42), 착석판(43), 다리판(44), 발판 패널(45)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판(41), 착석판(43), 다리판(44)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지지 프레임(40)에 의하여 지지되는 환자의 자세 변환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는 무선 통신부, 센싱부, 출력부, 메모리 및 배터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기능 전동 침대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다기능 전동 침대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OMA-BCAST,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다기능 전동 침대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의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의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센싱부는 다기능 전동 침대의 이용 상태, 다기능 전동 침대의 변기부(60) 사용 유무 등과 같이 다기능 전동 침대의 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기능 전동 침대의 오물탱크(64)에 수용된 배설물의 양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다기능 전동 침대에 사용자가 누웠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압력 컨트롤 유닛(2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
출력부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 모듈, 알람부, 햅틱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다기능 전동 침대에 설치되어 다기능 전동 침대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다기능 전동 침대가 사용 중인 경우 그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 등의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정보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2D 및 3D 표시 모드를 지원한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사용 여부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는 다기능 전동 침대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다기능 전동 침대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다기능 전동 침대의 사용 상태, 변기부(60)의 사용, 오물탱크(64)의 수용량 알림 등이 있다. 알람부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나 음성 출력 모듈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음성 출력 모듈은 알람부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은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다기능 전동 침대의 기본 동작>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기능 전동 침대의 기본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를 이용한 전후방 틸팅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를 이용한 전후방 틸팅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상부 프레임(20)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리프트 칼럼(30)은 전방 리프트 칼럼(31)과 후방 리프트 칼럼(32)으로 구성된다. 전방 리프트 칼럼(31)은 하부 프레임(10) 상면 중 전면부에 설치되어 상부 프레임(20)의 전면 부분을 지지하며, 후방 리프트 칼럼(32)은 하부 프레임(10) 상면 중 후면부에 설치되어 상부 프레임(20)의 후면 부분을 지지한다.
상기 전방 리프트 칼럼(31)과 후방 리프트 칼럼(32)는 모두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는 전후방 틸팅(tilting)(Trendelenburg)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3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방 리프트 칼럼(31)의 높이를 상승시키고 후방 리프트 칼럼(32)의 높이를 하강시키는 경우, 환자의 상체가 위를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반대로, 도 3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방 리프트 칼럼(31)의 높이를 하강시키고 후방 리프트 칼럼(32)의 높이를 상승시키는 경우, 환자의 상체가 아래를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가 전후방 틸팅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도 12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방 리프트 칼럼(31)과 후방 리프트 칼럼(32) 사이의 길이 C는 동일한데 전방 리프트 칼럼(31)과 후방 리프트 칼럼(32) 높이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이를 보정해주어야 한다. 즉, 전방 리프트 칼럼(31)과 후방 리프트 칼럼(32) 높이가 서로 달라지면 도 12a에서 A와 B 사이의 거리도 증가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후방 리프트 칼럼(32)의 상부에 도 1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슬라이더를 장착할 수 있으며, 슬라이더는 상부 프레임(20)의 하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후방 리프트 칼럼(32)의 높이가 변화하는 경우, 슬라이딩되면서 상부 프레임(20)과 결합되는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은 후방 리프트 칼럼(32)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를 이용하여 전후방 틸팅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슬라이더는 전방 리프트 칼럼(31)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를 이용한 측방향 틸팅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를 이용한 측방향 틸팅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전방 리프트 칼럼(31) 및 후방 리프트 칼럼(32)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가 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후방 리프트 칼럼(32)은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후방 리프트 칼럼(33)과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후방 리프트 칼럼(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도 4a 및 도 4b와 달리 전방 리프트 칼럼(31)이 복수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후방 리프트 칼럼(33)과 상부 프레임(20) 사이에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제 1 회전부재가 설치되고, 제 2 후방 리프트 칼럼(34)과 상부 프레임(20) 사이에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제 2 회전부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것과 같은 측방향 틸팅(tilting)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 1 후방 리프트 칼럼(33)과 제 2 후방 리프트 칼럼(34)은 개별적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후방 리프트 칼럼(33)과 제 2 후방 리프트 칼럼(34)의 높이 차이를 이용하여 침대의 측방향 기울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가 측방향 틸팅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제 1 후방 리프트 칼럼(33)과 제 2 후방 리프트 칼럼(34) 사이의 칼럼 길이는 동일하므로, 도 13a에 도시한 AB의 길이가 도 13b에 도시한 A'B'의 길이도 동일하게 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제 1 후방 리프트 칼럼(33)이나 제 2 후방 리프트 칼럼(34)이 승강할 때, 제 1 회전부재나 제 2 회전부재가 일정 각도로 회전하면서 도 13a의 AD와 BC가 함께 기울어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렇게 설계하는 경우,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AB의 길이가 A'B'의 길이와 동일하게 되므로, 측방향 틸팅의 제공이 가능하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를 이용한 발판 패널의 연장 및 단축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의 지지 프레임(20)의 후방에는 발판 패널(4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판 패널(45)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후방으로의 연장되거나 전방으로의 단축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렇게 발판 패널(45)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다리판(4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환자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를 이용한 자세 변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지지 프레임(40)의 전면 부분에는 등받이판(41)이 배치되어 있으며, 등받이판(41)은 환자의 등, 허리 부분을 받쳐줄 수 있다. 등받이판(41)의 전방 측면은 상부 프레임 전방의 헤드 보드(22)에 접하여 있으며, 등받이판(41)의 후방 측면은 지지 프레임(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등받이판(41)은 상기 후방 측면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어 환자의 상체를 일정 각도로 세우거나 눕힐 수 있다.
등받이판(41)은 후방 측면에는 연결판(42)이 결합되어 있으며, 연결판(42)의 후방에는 착석판(43)이 결합되어 있다.
착석판(43)은 환자의 둔부를 받쳐줄 수 있는 위치에 결합되어 있으며, 착석판(43)의 전방 측면은 지지 프레임(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착석판(43)은 상기 전방 측면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어 환자의 둔부를 일정 각도로 세우거나 눕힐 수 있다.
착석판(43)의 후방 측면에는 다리판(44)이 결합되어 있으며, 다리판(44)은 환자의 다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위치한다. 착석판(43)의 후방 측면과 다리판(44)의 전방 측면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착석판(43)과 다리판(44)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가 무릎을 구부리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다리판(44)의 후방 측면에는 발판 패널(4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등받이판(41), 착석판(43), 다리판(44)에는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장착된 각각의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등받이판(41), 착석판(43), 다리판(44)이 회동하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술한 등받이판(41), 착석판(43), 다리판(44)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자세 변환을 쉽게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의 기본 동작은 보호자나 간병인이 조작할 수도 있으나, 환자가 직접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리모콘과 같이 통신부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발판 패널(45)에 설치된 풋 스위치가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풋 스위치를 이용하는 경우 환자는 누운 상태에서 발을 이용하여 다기능 전동 침대를 조작할 수 있으며, 간병인이나 보호자의 수고를 덜어줄 수 있어 효율적이다.
<다기능 전동 침대의 실시례 >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다기능 전동 침대의 실시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를 이용한 배변자세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8은 본 발명의 자세 변환을 이용하여 배변자세를 구현하기 위한 회동 범위를 나타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에 적용될 수 있는 변기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에는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한 환자의 편의와 위생을 고려하여 지지 프레임(40)의 하부에 변기부(60)를 구비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변기부(60)는 배변부(61), 배뇨부(62), 호스(63), 오물탱크(64), 온수탱크(65), 세척노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환자의 둔부가 위치하는 연결판(42) 및 착석판(43)에는 변기 구멍(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변기 구멍(46)은 배변부(61) 및 배뇨부(62)의 개방된 입구와 정렬된다. 이에 따라, 배변부(61)와 배뇨부(62)에는 각각 환자로부터 배설되는 대변과 소변이 유입될 수 있다.
배변부(61)에는 세척노즐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세척노즐은 환자의 배설 후 세척을 위한 온수를 공급한다. 이러한 온수는 온수탱크(65)에 수용된 것을 끌어다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변부(61) 및 배뇨부(62)는 호스(63)에 의하여 오물탱크(64)와 연결되어 있다. 배변부(61) 및 배뇨부(62)로 유입된 환자의 배설물은 호스(63)를 따라 오물탱크(64)에 수용되게 되며, 오물탱크(64)는 탈부착 가능하여 내부에 수용된 배설물의 처리가 가능하다.
환자가 변기부(60), 특히 배변부(61)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7에 나타난 것과 같이 환자의 자세가 배변에 용이한 배변자세로 변환되도록 등받이판(41), 착석판(43), 다리판(44)이 회동하게 된다. 도 7과 같이 환자가 앉은 상태로 자세를 취하도록 지지 프레임(40)이 조절되므로, 환자가 보다 편한 자세에서 용변을 볼 수 있다.
원활한 배변을 위해서는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양발의 높이를 올려주어야 한다. 이렇게 되면 자연스럽게 몸이 앞으로 숙여지면서 복압이 적당히 증가하고, 항문과 직장각이 벌어지게 된다. 이러한 자세에서는 항문의 직장이 펴져 편안하고 용이한 배변활동이 가능하다. 또한, 항문 주변 조직 및 혈관압박을 감소시킬 수 있어 치질, 통증, 출혈, 탈장 증상 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대략적으로 최적의 배변자세가 되기 위해서는 도 8의 A+B의 각도가 약 40도 범위에서 조절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에 적용될 수 있는 매트리스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에는 환자의 편안하고 안락한 생활을 위한 압력 컨트롤 유닛(25)이 구현될 수 있다. 압력 컨트롤 유닛(25)은 매트리스와 연결되어 있으며, 매트리스(23)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어셀(24) 각각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환자가 매트리스(23) 위에 누워 매트리스(23)에 힘을 가하게 되면,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특히 머리나 등, 엉덩이, 발 부분이 매트리스(23)를 강하게 누르게 된다. 압력 컨트롤 유닛(25)은 이렇게 매트리스(23)의 에어셀(24)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할 수 있으며, 압력이 강하게 가해지는 에어셀(24)의 압력을 다른 에어셀(24)의 압력보다 감소시킴으로써 환자가 편안한 상태로 누울 수 있게 도울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침대에 적용될 수 있는 링거 걸이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링거 걸이대(50)는 지주대(51), 링거 거치부(53), 보호단(5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주대(51)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나 진료 및 치료에 이용되는 다수의 관이 관통될 수 있도록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부식이 잘 되지 않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주대(51)의 하부는 상부 프레임(20)에 형성된 관통공에 체결됨으로써 지주대(51)가 흔들림 없이 상부 프레임(20)에 고정된다.
지주대(51)는 상부 지주대와 하부 지주대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지주대는 하부 지주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 지주대는 하부 지주대와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 가능하다. 상부 지주대는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사용자는 상부 지주대를 승하강시킴으로써 링거 걸이대(50)를 적절한 높이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지주대가 갑작스럽게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락 방지 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추락 방지 장치는 상부 지주대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지주대의 하단부가 완만한 곡선으로 돌출된 마찰부 및 마찰부 내측에 장착된 탄성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링이 마찰부를 외측으로 밀착시킴으로써 상부 지주대의 하단부가 하부 지주대의 내측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추락 방지 장치를 이용하여 링거용기 등의 무게로 인하여 상부 지주대가 갑자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주대(51)의 상부에는 복수의 링거 거치부(53)가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있다. 복수의 링거 거치부(53) 각각은 지주대(51)와 수직이 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의 링거 거치부(53)는 서로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주대(51)의 상부에 설치되는 링거 거치부(53)는 4개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4개의 링거 거치부(53)는 서로 90도 간격을 이루게 된다.
링거 거치부(53)의 단부에는 링거용기가 거치될 수 있는 링거 고리(5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링거 고리(52)는 하부로 구부러진 "U"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U자 형의 링거 고리(52)는 병실에 있는 커튼 상부의 메시 소재에 링거 고리(52)가 쉽게 걸리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링거 고리(52)의 첨단은 링거 거치부(53)와 이격되도록 구부러져 있어야 한다. 링거 고리(52)의 첨단이 링거 거치부(53)에 맞닿도록 구부러져 있는 경우에는 링거 고리(52)에 링거용기의 거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링거 고리(52)의 구부러진 형상은 보호단(54)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거 고리(52)가 보호단(5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상부 지주대(51)가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링거 고리(52)의 돌출부분이 외부 물체에 부딪히거나 걸리게 되는 위험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링거 거치부(53)의 하부에는 고정부재(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지주대(51)에 연결되어 있으며, 링거 거치부(53)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링거용기와 연결되어 상기 링거액을 외부로 공급하는 주입관을 고정시킬 수 있다.
링거 거치부(53)가 4개인 경우, 고정부재도 4개가 상기 링거 거치부(53) 각각의 하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고정부재는 링거 걸이대(50)가 움직이거나 회전하는 경우에도 주입관이 엉키거나 빠지지 않도록 하여 안전한 사용을 보장해줄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링거 거치부(53)의 단부의 상면에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링으로 형성되는 보호단(54)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보호단(54)은 복수의 링거 거치부(53)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을 차단하게 되며, 이에 따라 링거 거치부(53)에 다른 물체, 특히 커튼의 메시 소재가 걸리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주대(51)에는 수납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수납부에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 수납공간에 필요한 물품이나 약 등을 넣고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는 지주대(51)를 따라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에 적당한 위치에 수납부를 이동시킨 후 수납부를 상기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수납부에는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설계된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를 잡고 힘을 인가함으로써 링거 걸이대(50)를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지주대(51)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수납공간에 넣어 둔 물건을 다른 공간으로 편리하게 이동시키며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링거 걸이대(50)에는 전원공급부(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링거 고리(52)에 전원에 의하여 동작되는 치료기구가 거치되는 경우 또는 수납부의 수납공간에 전원에 의하여 동작되는 치료기구가 수납되는 경우, 전원공급부는 상기 치료기구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링거 고리(52)에 거치된 치료기구 또는 수납공간에 수납된 치료기구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치료기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은 지주대(51)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정리가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례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례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례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하부 프레임
11: 바퀴
20: 상부 프레임
21: 사이드 레일
22: 헤드보드
23: 매트리스
30: 리프트 칼럼
31: 전방 리프트 칼럼
32: 후방 리프트 칼럼
33: 제 1 후방 리프트 칼럼
34: 제 2 후방 리프트 칼럼
40: 지지 프레임
41: 등받이판
42: 연결판
43: 착석판
44: 다리판
45: 발판 패널
50: 링거 걸이대
60: 변기부

Claims (6)

  1. 하면에 바퀴(11)가 설치되어 이동성을 제공하는 하부 프레임(10);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프레임(20);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20)을 지지하고,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리프트 칼럼(30);
    상면에 매트리스(23)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20)에 결합되어 사용자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40); 및
    상기 지지 프레임(4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변기부(60);를 포함하되,
    상기 리프트 칼럼(30)은,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방 리프트 칼럼(31); 및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방 리프트 칼럼(3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40)은,
    상기 지지 프레임(40)의 전면을 이루고, 후방의 제 1 측면이 상기 지지 프레임(4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등받이판(41);
    일측이 상기 제 1 측면과 연결되는 연결판(42);
    상기 연결판(42)의 타측과 연결된 전방의 제 2 측면이 상기 지지 프레임(4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착석판(43);
    전방 측면이 상기 착석판(43)의 후방 측면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다리판(44); 및
    상기 다리판(44)의 후방 측면에 설치된 발판 패널(45);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변기부(6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배설되는 대변이 유입되는 배변부(61);
    상기 사용자로부터 배설되는 소변이 유입되는 배뇨부(62);
    상기 배변부(61) 및 상기 배뇨부(62)와 연결된 호스(63);
    상기 호스(63)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배설물을 수용하는 오물탱크(64); 및
    상기 사용자의 배설 후 세척을 위한 온수를 공급하는 세척노즐;을 더 포함하고,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등받이판(41), 상기 착석판(43) 및 상기 다리판(44) 중 적어도 하나를 회동시킬 수 있고, 상기 회동에 의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사용자의 자세 변환이 유도되며,
    상기 전방 리프트 칼럼(31) 및 상기 후방 리프트 칼럼(32)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 대한 승강 또는 전후방 틸팅(tilting)이 가능하고,
    상기 연결판(42) 및 상기 착석판(43)에는 변기 구멍(6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변기 구멍(46)은 상기 배변부(61) 및 상기 배뇨부(62)의 개방된 입구와 정렬되며,
    상기 발판 패널(45)은 후방으로의 연장 및 전방으로의 단축이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변기부(6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기 설정된 배변자세로 변환되도록 상기 등받이판(41), 상기 착석판(43) 및 상기 다리판(44)이 회동하고,
    상기 배변자세에서는 상기 등받이판(41)이 상기 제 1 측면을 중심으로 90도 이상 회동하고, 상기 등받이판(41)과 상기 착석판(43) 사이의 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범위 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동 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리프트 칼럼(32)은,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후방 리프트 칼럼(33);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후방 리프트 칼럼(34);
    상기 제 1 후방 리프트 칼럼(33)과 상기 상부 프레임(20)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회전부재; 및
    상기 제 2 후방 리프트 칼럼(34)과 상기 상부 프레임(20) 사이에 개재되는 제 2 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후방 리프트 칼럼(33) 및 상기 제 2 후방 리프트 칼럼(34)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 조절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회전부재 및 상기 제 2 회전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 및 상기 제 2 회전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측방향 틸팅(tilting)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동 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전방 리프트 칼럼(31) 및 후방 리프트 칼럼(32)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부 프레임(20) 하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방 리프트 칼럼(31) 및 상기 후방 리프트 칼럼(32)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 조절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전후방 틸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동 침대.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23)에 연결된 압력 컨트롤 유닛(25);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압력 컨트롤 유닛(25)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매트리스(23)에 가하는 힘에 대응하여 상기 매트리스(23)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어셀(24) 각각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동 침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2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링거 걸이대(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링거 걸이대(50)는,
    상기 상부 프레임(2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지주대(51);
    상기 지주대(51)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결합되고, 각각의 단부에는 링거액이 수용된 링거용기의 거치를 지원하기 위한 링거 고리(52)가 형성된 복수의 링거 거치부(53); 및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보호단(5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단(54)은 상기 복수의 링거 거치부(53)의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복수의 링거 거치부(53)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을 차단하고, 상기 보호단(54)에 의한 차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링거 거치부(53) 중 적어도 일부에 소정의 객체가 걸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동 침대.
KR1020140047377A 2014-04-21 2014-04-21 고령자 및 환자용 다기능 전동 침대 KR101427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377A KR101427721B1 (ko) 2014-04-21 2014-04-21 고령자 및 환자용 다기능 전동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377A KR101427721B1 (ko) 2014-04-21 2014-04-21 고령자 및 환자용 다기능 전동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7721B1 true KR101427721B1 (ko) 2014-08-13

Family

ID=51749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377A KR101427721B1 (ko) 2014-04-21 2014-04-21 고령자 및 환자용 다기능 전동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72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698B1 (ko) 2015-10-07 2016-01-28 (주)한림의료기 전동식 샤워 트롤리
KR101613044B1 (ko) 2015-10-15 2016-04-18 (주)한림의료기 압력센서 기반의 자세 변환 스마트 전동 침대
CN106074042A (zh) * 2016-07-28 2016-11-09 江苏若博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单核双轮驱动多功能电动病床
KR20160139090A (ko) 2015-05-26 2016-12-07 (주)한림의료기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
CN108392334A (zh) * 2018-03-13 2018-08-14 江西德泰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全向电动医疗床
CN110710915A (zh) * 2019-11-08 2020-01-21 合肥荣事达电子电器集团有限公司 一种老人用淋浴床
KR102128249B1 (ko) 2019-11-28 2020-06-30 (주)태양홀딩스 공기정화 및 사생활 보호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용 침대
KR20210060031A (ko) * 2019-11-18 2021-05-26 주식회사 알파로보틱스 의료용 침대
KR20220075152A (ko) 2020-11-28 2022-06-07 주식회사 도움메디칼 환자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 구조체
KR20230173369A (ko) 2022-06-17 2023-12-27 이현정 욕창 방지용 자세 교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539A (ko) * 1996-05-27 1997-12-10 가와모토데쯔쇼우 인체장착변기부 배변, 배뇨 자동처리 팬티
JP2001517491A (ja) * 1997-09-23 2001-10-09 ヒル−ロム,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収縮式足部を有する病院ベッド
JP2009225882A (ja) * 2008-03-19 2009-10-08 Senji Okuda 介護用ベッド装置
KR20110122539A (ko) * 2010-05-04 2011-11-10 박신택 용변처리가 간편한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539A (ko) * 1996-05-27 1997-12-10 가와모토데쯔쇼우 인체장착변기부 배변, 배뇨 자동처리 팬티
JP2001517491A (ja) * 1997-09-23 2001-10-09 ヒル−ロム,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収縮式足部を有する病院ベッド
JP2009225882A (ja) * 2008-03-19 2009-10-08 Senji Okuda 介護用ベッド装置
KR20110122539A (ko) * 2010-05-04 2011-11-10 박신택 용변처리가 간편한 침대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090A (ko) 2015-05-26 2016-12-07 (주)한림의료기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
KR101688731B1 (ko) * 2015-05-26 2016-12-23 (주)한림의료기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
KR101588698B1 (ko) 2015-10-07 2016-01-28 (주)한림의료기 전동식 샤워 트롤리
KR101613044B1 (ko) 2015-10-15 2016-04-18 (주)한림의료기 압력센서 기반의 자세 변환 스마트 전동 침대
WO2017065506A1 (ko) * 2015-10-15 2017-04-20 (주)한림의료기 압력센서 기반의 자세 변환 스마트 전동 침대
CN106074042A (zh) * 2016-07-28 2016-11-09 江苏若博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单核双轮驱动多功能电动病床
CN108392334A (zh) * 2018-03-13 2018-08-14 江西德泰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全向电动医疗床
CN110710915A (zh) * 2019-11-08 2020-01-21 合肥荣事达电子电器集团有限公司 一种老人用淋浴床
KR20210060031A (ko) * 2019-11-18 2021-05-26 주식회사 알파로보틱스 의료용 침대
KR102311865B1 (ko) * 2019-11-18 2021-10-13 주식회사 알파로보틱스 의료용 침대
KR102128249B1 (ko) 2019-11-28 2020-06-30 (주)태양홀딩스 공기정화 및 사생활 보호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용 침대
KR20220075152A (ko) 2020-11-28 2022-06-07 주식회사 도움메디칼 환자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 구조체
KR20230173369A (ko) 2022-06-17 2023-12-27 이현정 욕창 방지용 자세 교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721B1 (ko) 고령자 및 환자용 다기능 전동 침대
KR101688731B1 (ko)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
AU2006248558B2 (en) Multi-position support apparatus featuring a motorized foot support
US8683626B1 (en) Hospital bed with conveyor mattress
CN201710572U (zh) 多功能护理床
CN111481376A (zh) 一种多功能护理床
CN202526448U (zh) 卧床病人接便器及其与床垫的组合
CN201725207U (zh) 无线智能护理床控制器
CN201492603U (zh) 医用重患护理床
KR20190052370A (ko) 침대 및 욕조 기능을 갖는 휠체어
US20110179571A1 (en) Therapeutic medical toilet bed
KR101462378B1 (ko)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
US20170333272A1 (en) Bed System Having Removable Bed Pan
AU2021107374A4 (en) Automated Adjustable Seating System
CN215821468U (zh) 卧床患者用排便装置
JP2015192847A (ja) 移動式トイレ装置
JP2010253192A (ja) 統合介護システム
CN214343754U (zh) 一种乳腺癌化疗病人输液椅
KR101310611B1 (ko) 좌변기 시트 어셈블리
CN200991194Y (zh) 移动式坐便器
CN221556414U (zh) 一种带有提醒功能可调节病床
KR200345560Y1 (ko) 환자용 침대
KR200480945Y1 (ko)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
CN220158591U (zh) 一种护理床
CN214208719U (zh) 一种带有集便器的医用护理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