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945Y1 -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 - Google Patents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945Y1
KR200480945Y1 KR2020150007772U KR20150007772U KR200480945Y1 KR 200480945 Y1 KR200480945 Y1 KR 200480945Y1 KR 2020150007772 U KR2020150007772 U KR 2020150007772U KR 20150007772 U KR20150007772 U KR 20150007772U KR 200480945 Y1 KR200480945 Y1 KR 2004809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fastening
support
supporting
r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7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케이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케이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케이메디
Priority to KR2020150007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9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9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9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다수 개의 바퀴를 형성하여 이동하기 위한 이동부(100); 상기 이동부(100)의 상부에 장착 설치되어 지지부(200); 상기 지지부(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링거를 걸기 위한 링거 걸이부(300); 및 상기 지지부(200)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사용자가 앉기 위한 의자부(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Movable Linger Hanger Stand}
본 고안은 의료 기관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링거 걸이용 폴 스탠드(pole stand)와 의자를 결합하도록 구현한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병원에서는 일반적으로 링거액을 투여받고 있는 환자가 이동할 때 편리하도록 이동형 링거 걸이용 폴 스탠드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형 링거 걸이용 폴 스탠드는 환자가 링거액이 든 링거병 또는 링거팩과 함께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걸어놓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반면에 휠체어는, 신체장애자나 환자 및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의료 기구의 하나이다. 이러한 휠체어는, 인력에 의하여 바퀴를 구동시키는 수동 타입과 전동장치를 이용하여 바퀴를 구동시키는 전동 타입 등으로 구분된다.
휠체어는, 일반적으로 휠체어의 전체 뼈대를 구성하는 프레임이 구비되고 이 프레임의 양 측방에는 주 바퀴가 형성되며, 선단 양측에는 보조바퀴를 설치하여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6577호(2013.11.15.)는 휠체어 사용자가 휠체어에 안착한 상태로 식사 또는 독서와 같은 여가활동을 외부의 도움 없이도 독립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 휠체어 사용자들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장기간 휠체어 사용이 필요한 장애우나 고령자들의 생활의 편의를 제공하고자 하는 책상이 있는 휠체어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휠체어 양측에 형성된 수직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부재가 구비된 책상을 포함하고, 상기 책상을 상기 회전부재에 탈착 또는 장착하여 이루어진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책상이 회전부재의 조작과 함께 탈착 또는 장착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책상의 미사용 시에는 휠체어 일부에 접거나 수납하여 보관하므로 관리가 용이하며, 또한, 휠체어 사용자가 휠체어에 안착한 상태로 식사 또는 독서와 같은 여가활동을 외부의 도움 없이도 독립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 장기간 휠체어 사용이 필요한 장애우나 고령자들의 생활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98777호(2007.10.05.)는 의자의 높이조절 기능, 의자의 회전판의 회전기능, 의자의 이동판이 회전판과 등받이의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기능과 이동판의 상면에 부착된 회전체의 회전기능 등으로 인해 환자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침대와 휠체어 간에 환자를 용이하게 이동 시킬 수 있도록 하여 휠체어를 통해서 한 명의 간병인이 환자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환자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으므로 환자의 병세를 악화시키지 않으며, 또한 침대뿐만 아니라 자동차에 환자를 이송 시에도 적용할 수 있는 승하차가 용이한 휠체어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신체가 불편한 환자를 이동하기 위해 침대와 휠체어 간에 이동을 용이하기 위한 기능성 휠체어로서, 통상적인 휠체어의 기능을 가지되, 의자의 고정판의 하측에는 수직레일과 X형 링크가 좌우측에 형성되고 유압탱크, 유압펌프 및 유압실린더가 구비되어 발판의 작동으로 유압에 의해 상기의 의자의 고정판을 상승시키는 기능, 이 고정판의 상부에 각도조절이 되는 등받이가 연결된 회전판이 회전될 수 있는 기능, 상기의 회전판과 등받이의 상면에 각각 수평레일이 부착되고 회전판의 상면에 팔걸이가 부착되어 의자의 상승시 팔걸이도 같이 상승되는 기능 및 상기의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판의 이동기능과 이 이동판의 상부에 부착된 회전체가 회전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링거 걸이용 폴 스탠드는, 이동이 원활하지 않은 환자들이 주사 수액과 각종 치료용 팩 등을 부착하여 다니거나 밀어 이동하면서 넘어져 다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휠체어는, 일반 성인 환자를 위한 것들이 대부분이어서 영유아를 위한 것이 부족하였을 뿐만 아니라, 영유아의 신체 사이즈에 맞추어 그 앉는 부분을 조절하기 힘들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6577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98777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의료 기관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링거 걸이용 폴 스탠드(pole stand)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를 결합하도록 구현한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하부에 다수 개의 바퀴를 형성하여 이동하기 위한 이동부(100); 상기 이동부(100)의 상부에 장착 설치되어 지지부(200); 상기 지지부(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링거를 걸기 위한 링거 걸이부(300); 및 상기 지지부(200)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사용자가 앉기 위한 의자부(400)를 포함하는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의자부(400)는, 사용자가 앉기 위한 의자부재(410); 및 상기 의자부재(4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의자부재(410)를 상기 지지부(200)의 하부에 장착 설치하기 위한 장착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장착부재(420)는, 상기 의자부재(410)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200)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홀수단(421); 및 상기 관통홀수단(421)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00)에 체결되어 상기 의자부재(410)를 조여 상기 지지부(200)의 하부에 장착 설치하기 위한 조임수단(4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조임수단(422)이 상하 방향으로 체결하기 위한 나사산(20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관통홀수단(421)은, 전후 방향의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의자부재(41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장착부재(420)는, 상기 관통홀수단(421)의 앞뒤에 각각 장착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200)를 앞뒤로 눌러 지탱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지탱수단(4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탱수단(423)은, 상기 지지부(200)를 눌러 주기 위한 본체(4231); 상기 본체(4231)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4232); 상기 가이드돌기(4232)에 대응하는 상기 관통홀수단(421)의 양측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4232)를 삽입하여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홈(4233); 및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4231)와 상기 관통홀수단(421) 사이에 탄성력을 형성하기 위한 스프링(423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200)에 체결되어 상기 의자부(4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높이조절부(500)는, 상기 지지부(200)에 체결되어 상기 의자부(4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두 개의 본체부재(510); 상기 본체부재(510)가 서로 대응하는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재(510)를 회동시켜 주기 위한 회동부재(520); 상기 본체부재(51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재(510)의 다른 일측을 서로 체결해 주기 위한 체결부재(530); 및 상기 본체부재(5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200)에 체결되기 위한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체결돌기부재(5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체결돌기부재(540)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부재(540)를 삽입하여 체결하기 위한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체결홈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의료 기관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링거 걸이용 폴 스탠드(pole stand)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를 결합하도록 구현한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를 제공함으로써, 이동이 원활하지 않은 환자를 위한 의자를 구비하여 환자들이 주사 수액과 각종 치료용 팩 등을 부착하여 다니거나 밀어 이동하면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일반 성인 환자뿐만 아니라 영유아에 맞춤식 의자를 제공함으로써, 영유아의 신체 사이즈에 맞추어 의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의자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지탱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10)는, 이동부(100), 지지부(200), 링거 걸이부(300) 및 의자부(400)를 포함한다.
이동부(100)는, 상부에 지지부(200)가 창작 설치되며, 하부에 다수 개의 바퀴를 형성하여 이동한다.
지지부(200)는, 하부에 의자부(400)가 장착 설치되고, 상부에 링거 걸이부(300)가 형성되며, 이동부(100)의 상부에 장착 설치된다.
링거 걸이부(300)는, 지지부(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링거를 건다.
일 실시 예에서, 링거 걸이부(300)는, 링거뿐만 아니라, 각종 주사 수액, 각종 치료용 팩 또는 수혈을 위해 혈액이 들어 있는 주머니 등을 걸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200) 및 링거 걸이부(300)는, 부식이나 손상에 강한 재질인 스테인리스로 형성함으로써, 이물질(예를 들어, 환자들이 흘린 피 또는 수분 등)이 묻어 부식이 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의자부(400)는, 지지부(200)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사용자가 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의자부(400)는, 다양한 색상(예를 들어, 아이보리 색상, 핑크 색상, 진청 색상 등)으로 제작하여 사용자들에게 심미감을 주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연령대의 기호에 맞는 색상을 고르도록 선택의 폭을 넓힘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10)는, 의료기관(예를 들어, 병원, 보건소 또는 실버타운 등)에 항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의 이동을 도와주거나, 짐을 나르는 데 도움을 주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10)는, 병원 특히 유아의 치료 등을 담당하는 소아병동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아동의 재활 및 이동에 도움을 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10)는, 의료 기관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링거 걸이용 폴 스탠드(pole stand)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를 결합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이동이 원활하지 않은 환자를 위한 의자부(400)를 구비하여 환자들이 주사 수액과 각종 치료용 팩 등을 부착하여 다니거나 밀어 이동하면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10)는, 일반 성인 환자뿐만 아니라 영유아에 맞춤식 의자를 제공함으로써, 영유아의 신체 사이즈에 맞추어 의자부(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의자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의자부(400)는, 의자부재(410) 및 장착부재(420)를 포함한다.
의자부재(410)는, 일측에 장착부재(420)가 형성되며, 상부에 사용자가 앉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의자부재(410)는, 다양한 색상(예를 들어, 아이보리 색상, 핑크 색상, 진청 색상 등)으로 제작하여 사용자들에게 심미감을 주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연령대의 기호에 맞는 색상을 고르도록 선택의 폭을 넓힘이 바람직하다.
장착부재(420)는, 의자부재(4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의자부재(410)를 지지부(200)의 하부에 장착 설치한다.
일 실시 예에서, 장착부재(420)는, 관통홀수단(421) 및 조임수단(422)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수단(421)은, 의자부재(410)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지지부(200)를 삽입한다.
일 실시 예에서, 관통홀수단(421)은, 전후 방향의 기 설정된 길이(예를 들어, 10cm 내지 30cm 등)로 형성되어 의자부재(41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줄 수 있다.
조임수단(422)은, 관통홀수단(421)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지지부(200)(좀 더 자세하게는, 지지부(200)에 형성된 나사산(201))에 체결되어 의자부재(410)를 조여 지지부(200)의 하부에 장착 설치한다. 따라서, 조임수단(422)은, 나사산(201)에 체결되기 위내 내측면에 나사산(201)에 대응하는 형태의 나사산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임수단(422)은, 의자부재(410)에 대응하는 양 면에 의자부재(410)와의 마찰을 줄일 뿐만 아니라 탄성에 의해 의자부재(410)와의 조임을 단단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고무패킹(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도 2에서 전술한 지지부(200)는, 조임수단(422)이 상하 방향으로 체결하기 위한 나사산(20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장착부재(420)는, 두 개의 지탱수단(4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탱수단(423)은, 관통홀수단(421)의 앞뒤(즉, 관통홀수단(421)에 삽입된 지지부(200)의 앞과 뒤)에 각각 장착 설치되며, 지지부(200)를 앞뒤로 눌러 지탱시켜 준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지탱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탱수단(423)은, 본체(4231), 가이드돌기(4232), 가이드홈(4233) 및 스프링(4234)을 포함한다.
본체(4231)는, 양측에 가이드돌기(4232)가 형성되고, 관통홀수단(421) 사이에 스프링(4234)게 형성되며, 지지부(200)를 눌러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4231)는, 지지부(200)에 대응하는 양 면에 지지부(200)와의 마찰을 줄일 뿐만 아니라 탄성에 의해 지지부(200)와의 조임을 단단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고무패킹(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4231)는, 조임수단(422)이 의자부재(410)를 조이면서 함께 조여짐으로써, 지지부(200)를 눌러 준 상태가 쉽게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돌기(4232)는, 본체(4231)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가이드홈(4233)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가이드홈(4233)은, 가이드돌기(4232)에 대응하는 관통홀수단(421)의 양측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가이드돌기(4232)를 삽입하여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한다.
스프링(4234)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본체(4231)와 관통홀수단(421) 사이에 탄성력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10)는, 일반 성인 환자뿐만 아니라 영유아에 맞춤식 의자를 제공함으로써, 영유아의 신체 사이즈에 맞추어 의자부(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20)는, 이동부(100), 지지부(200), 링거 걸이부(300), 의자부(400) 및 높이조절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부(100), 지지부(200), 링거 걸이부(300) 및 의자부(4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높이조절부(500)는, 지지부(200)에 체결되어 의자부(400)의 높이를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높이조절부(500)는, 두 개의 본체부재(510), 회동부재(520), 체결부재(530) 및 체결돌기부재(5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재(510)는, 일측에 회동부재(520)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체결부재(530)가 형성되며, 회동부재(520)를 축으로 회동하여 지지부(200)에 체결되어 의자부(400)의 높이를 조절한다.
회동부재(520)는, 본체부재(510)가 서로 대응하는 일측에 형성되어 본체부재(510)를 회동시켜 준다.
체결부재(530)는, 본체부재(51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본체부재(510)의 다른 일측을 서로 체결해 준다.
체결돌기부재(540)는, 본체부재(5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지지부(200)에 형성된 체결홈부재(210)에 삽입 체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돌기부재(540)는, 지지부(2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체결홈부재(210)는 본체부재(510)의 내측에 형성되어야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200)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체결홈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홈부재(210)는, 체결돌기부재(540)에 대응하는 지지부(200)에 형성되며, 체결돌기부재(540)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홈부재(210)는, 의자부(400)의 높이를 다수 단계로 조절하기 위해 상하의 다수 층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20)는, 일반 성인 환자뿐만 아니라 영유아에 맞춤식 의자를 제공함으로써, 영유아의 신체 사이즈에 맞추어 의자부(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이동부
200: 지지부
201: 나사산
300: 링거 걸이부
400: 의자부
410: 의자부재
420: 장착부재
421: 관통홀수단
422: 조임수단
423-1, 423-2: 지탱수단
4231: 본체
4232: 가이드돌기
4233: 가이드홈
4234: 스프링
500: 높이조절부
510: 본체부재
520: 회동부재
530: 체결부재
540: 체결돌기부재

Claims (10)

  1. 하부에 다수 개의 바퀴를 형성하여 이동하기 위한 이동부(100);
    상기 이동부(100)의 상부에 장착 설치되는 지지부(200);
    상기 지지부(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링거를 걸기 위한 링거 걸이부(300); 및
    상기 지지부(200)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사용자가 앉기 위한 의자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의자부(400)는, 사용자가 앉기 위한 의자부재(410); 및 상기 의자부재(4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의자부재(410)를 상기 지지부(200)의 하부에 장착 설치하기 위한 장착부재(420)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재(420)는, 전후 방향의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의자부재(41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며 상기 의자부재(410)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200)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홀수단(421); 상기 의자부재(410)에 대응하는 양 면에 상기 의자부재(410)와의 마찰을 줄이고 탄성에 의해 상기 의자부재(410)와의 조임을 단단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고무패킹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홀수단(421)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00)에 체결되어 상기 의자부재(410)를 조여 상기 지지부(200)의 하부에 장착 설치하기 위한 조임수단(422); 및 상기 관통홀수단(421)의 앞뒤에 각각 장착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200)를 앞뒤로 눌러 지탱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지탱수단(423)을 포함하며,
    상기 지탱수단(423)은, 상기 지지부(200)를 눌러 주기 위한 본체(4231); 상기 본체(4231)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4232); 상기 가이드돌기(4232)에 대응하는 상기 관통홀수단(421)의 양측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4232)를 삽입하여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홈(4233); 및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4231)와 상기 관통홀수단(421) 사이에 탄성력을 형성하기 위한 스프링(4234)을 포함하는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조임수단(422)이 상하 방향으로 체결하기 위한 나사산(20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에 체결되어 상기 의자부(4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500)는,
    상기 지지부(200)에 체결되어 상기 의자부(4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두 개의 본체부재(510);
    상기 본체부재(510)가 서로 대응하는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재(510)를 회동시켜 주기 위한 회동부재(520);
    상기 본체부재(51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재(510)의 다른 일측을 서로 체결해 주기 위한 체결부재(530); 및
    상기 본체부재(5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200)에 체결되기 위한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체결돌기부재(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체결돌기부재(540)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부재(540)를 삽입하여 체결하기 위한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체결홈부재(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
KR2020150007772U 2015-11-27 2015-11-27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 KR2004809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772U KR200480945Y1 (ko) 2015-11-27 2015-11-27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772U KR200480945Y1 (ko) 2015-11-27 2015-11-27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945Y1 true KR200480945Y1 (ko) 2016-08-11

Family

ID=5671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772U KR200480945Y1 (ko) 2015-11-27 2015-11-27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9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957B1 (ko) 2021-04-22 2022-02-08 장길동 웨어러블 링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8981A (ja) * 2003-12-15 2005-06-30 Olympus Corp 交換用胃瘻カテーテル及びフィーディングチューブ
KR20070098777A (ko) 2007-09-15 2007-10-05 김득남 승하차가 용이한 휠체어
KR200439793Y1 (ko) * 2007-09-19 2008-05-06 백용기 이동 링겔대에 구비된 안전의자
KR20130118405A (ko) * 2012-04-20 2013-10-30 임상우 간편 설치 높이 조절 선반
KR20130006577U (ko) 2012-05-07 2013-11-15 이재희 책상이 있는 휠체어
KR20150054499A (ko) * 2013-11-12 2015-05-2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링거 걸이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8981A (ja) * 2003-12-15 2005-06-30 Olympus Corp 交換用胃瘻カテーテル及びフィーディングチューブ
KR20070098777A (ko) 2007-09-15 2007-10-05 김득남 승하차가 용이한 휠체어
KR200439793Y1 (ko) * 2007-09-19 2008-05-06 백용기 이동 링겔대에 구비된 안전의자
KR20130118405A (ko) * 2012-04-20 2013-10-30 임상우 간편 설치 높이 조절 선반
KR20130006577U (ko) 2012-05-07 2013-11-15 이재희 책상이 있는 휠체어
KR20150054499A (ko) * 2013-11-12 2015-05-2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링거 걸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957B1 (ko) 2021-04-22 2022-02-08 장길동 웨어러블 링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586175U (zh) 一种医用护理床
KR20170124398A (ko) 베드체어
KR200477365Y1 (ko) 의료용 휠체어
CN202982456U (zh) 一种电动翻身护理床
KR101419672B1 (ko) 다용도 의자
KR200480945Y1 (ko)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
CN203874036U (zh) 下肢支撑架
CN210355188U (zh) 一种防褥疮护理床
CN207979388U (zh) 新型儿童座椅
JP2022509148A (ja) 車椅子車輪の後方移動機構
CN213406625U (zh) 一种icu科室用于辅助下床侧面开启病椅
CN108969837A (zh) 心血管内科用多功能输液按摩椅
CN201701395U (zh) 骨科椅
CN203458558U (zh) 一种家用多功能护理床
CN209966824U (zh) 一种便于患者行动的胸外科护理设备
CN202069784U (zh) 一种供行动不便病人使用的洗澡轮椅
CN206044858U (zh) 一种安全型床边座椅
CN203483613U (zh) 一种检查床
KR20130037603A (ko) 환자용 좌변의자
CN215607031U (zh) 一种用于辅助病人坐立的装置
CN211355127U (zh) 老年人护理沐浴装置
KR200180448Y1 (ko) 목욕용 보조의자
CN210783622U (zh) 一种肝胆科用护理椅
CN217219729U (zh) 一种儿童用可移动输液架
CN213722977U (zh) 一种精神科患者护理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