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731B1 -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 - Google Patents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731B1
KR101688731B1 KR1020150072878A KR20150072878A KR101688731B1 KR 101688731 B1 KR101688731 B1 KR 101688731B1 KR 1020150072878 A KR1020150072878 A KR 1020150072878A KR 20150072878 A KR20150072878 A KR 20150072878A KR 101688731 B1 KR101688731 B1 KR 101688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ctuator
support
ascen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2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9090A (ko
Inventor
오연호
김경훈
이강희
Original Assignee
(주)한림의료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림의료기 filed Critical (주)한림의료기
Priority to KR1020150072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731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63Safety means
    • A61G7/1065Safety means with electronic monitoring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간병인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기능 전동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는, 하면에 바퀴(11)가 설치되어 이동성을 제공하는 하부 프레임(10);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내측면에 설치된 슬라이딩 레일;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서브 프레임(20); 상기 서브 프레임(20)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하여 선단이 소정의 길이로 인장 또는 수축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20)에 설치되는 승하강 액추에이터; 상기 승하강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 제어모듈; 일단은 상기 승하강 액추에이터의 선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상기 슬라이딩 레일과 연결된 프레임 지지대;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30); 및 상면에 매트리스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30)의 상면에 결합되어 사용자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40);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 프레임(40)은, 상기 지지 프레임(40)의 전면을 이루고, 후방의 제 1 측면이 상기 지지 프레임(4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등받이판(41); 일측이 상기 제 1 측면과 연결되는 연결판(42); 상기 연결판(42)의 타측과 연결된 전방의 제 2 측면이 상기 지지 프레임(4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착석판(43); 전방 측면이 상기 착석판(43)의 후방 측면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다리판(44); 및 상기 다리판(44)의 후방 측면에 설치된 발판 패널(4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따라 상기 프레임 지지대의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슬라이딩에 대응하여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승하강이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MULTIFUNCTIONAL ELECTRIC BED FOR MEDICAL}
본 발명은 의료용 다기능 전동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간병인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기능 전동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그 형태 및 높이 등이 고정되어 있는 고정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형 침대라 하더라도 병원 등에 사용하는 침대는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머리, 다리, 허리 등 신체의 일부분을 상하로 경사지게 하는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고령자에게 사용되는 침대는 사용자의 등받이부가 상향으로 각도 조절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그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사용자의 다리부에 위치하는 매트리스는 수동조작 또는 전기적인 구동력에 의해 상향으로 각도 조절되게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는 매트리스의 일측을 상승시켜 TV를 시청하거나 독서 및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매트리스의 각도 조절구조는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한 나사축의 승강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며, 사용자 스스로 구동모터의 작동시간을 제어하여 목적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환자용 침대의 하부 일측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동모터에 의한 각도 조절은 물론 수동 조작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근자에 들어서는 사용자 스스로 각도 조절을 할 수 없는 수동조작에 의한 불편함으로 대부분 자동 각도조절구조를 갖는 침대를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 병원의 입원실이나 진료실에서 흔히 사용되어 온 환자용 침대는 사용자가 스스로 자세를 변환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사용자 본인은 물론 사용자를 간병하는 간병인이나 보호자에게도 불편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환자용 침대는 일반인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침대를 간단하게 변형한 것에 불과하여 거동이 자유롭지 못한 환자나 고령자에게 최적화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움직임이 불편한 사용자의 이동량을 줄이면서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침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종래의 전동침대는 침대를 작동하는 모터가 3개로 작동되어, Trendelenburg 동작 또는 Reverse Trendelenburg 동작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는바, 4모터로 동작되어 상기 Trendelenburg 동작 및 Reverse Trendelenburg 동작이 가능한 침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3648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86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772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간병인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기능 전동 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4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동작을 조정하는 전동 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침대의 발판을 환자의 키에 맞게 조절함으로써 환자의 편의를 증대하는 전동 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중앙집중브레이크가 구비되어 하나의 페달 조작을 통해 침대를 운전할 수 있는 전동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중앙집중브레이크의 구조물이 파이프 프레임 내부에 위치되어 파손 및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전동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등판 및 다리판의 하강시 프레임에 이물질의 존재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전동 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환자의 무게를 측정하고, 환자가 침대에서 낙상하는 경우 경보음이 발생되는 전동 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는, 하면에 바퀴(11)가 설치되어 이동성을 제공하는 하부 프레임(10);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내측면에 설치된 슬라이딩 레일;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서브 프레임(20); 상기 서브 프레임(20)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하여 선단이 소정의 길이로 인장 또는 수축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20)에 설치되는 승하강 액추에이터; 상기 승하강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 제어모듈; 일단은 상기 승하강 액추에이터의 선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상기 슬라이딩 레일과 연결된 프레임 지지대;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30); 및 상면에 매트리스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30)의 상면에 결합되어 사용자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40);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 프레임(40)은, 상기 지지 프레임(40)의 전면을 이루고, 후방의 제 1 측면이 상기 지지 프레임(4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등받이판(41); 일측이 상기 제 1 측면과 연결되는 연결판(42); 상기 연결판(42)의 타측과 연결된 전방의 제 2 측면이 상기 지지 프레임(4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착석판(43); 전방 측면이 상기 착석판(43)의 후방 측면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다리판(44); 및 상기 다리판(44)의 후방 측면에 설치된 발판 패널(4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따라 상기 프레임 지지대의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슬라이딩에 대응하여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승하강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전방부에 설치된 제 1 슬라이딩 레일(13); 및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후방부에 설치된 제 2 슬라이딩 레일(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지지대는, 타단이 상기 제 1 슬라이딩 레일(13)과 연결된 제 1 프레임 지지대(15); 및 타단이 상기 제 2 슬라이딩 레일(14)과 연결된 제 2 프레임 지지대(1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 및 상기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프레임(20)은,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전방부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 1 연결부재(23); 상기 한 쌍의 제 1 연결부재(23)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연결축(25);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후방부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 2 연결부재(24); 및 상기 한 쌍의 제 2 연결부재(24)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연결축(2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축(25)은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연결축(26)은 상기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는,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일단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선단과 결합되는 제 1 결합부재(17); 및 상기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일단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선단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재(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프레임(20)은, 전면에는 상기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후단부가 설치되고, 후면에는 상기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후단부가 설치되는 액추에이터 고정판(27);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액추에이터 고정판(27)에 설치된 상기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선단은 전방을 향하고, 상기 액추에이터 고정판(27)에 설치된 상기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선단은 후방을 향한다.
또한, 상기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선단이 인장되는 경우, 상기 인장된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선단이 상기 제 1 결합부재(17)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제 1 연결축(25)이 일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 1 연결축(25)을 따라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가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타단이 상기 제 1 슬라이딩 레일(13)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고, 상기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선단이 수축되는 경우, 상기 수축된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선단이 상기 제 1 결합부재(17)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제 1 연결축(25)이 타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타방향으로 회동되는 제 1 연결축(25)을 따라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가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타단이 상기 제 1 슬라이딩 레일(13)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고, 상기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선단이 인장되는 경우, 상기 인장된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선단이 상기 제 2 결합부재(18)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제 2 연결축(26)이 타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타방향으로 회동되는 제 2 연결축(26)을 따라 상기 제 2 프레임 지지대(16)가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타단이 상기 제 2 슬라이딩 레일(14)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고, 상기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선단이 수축되는 경우, 상기 수축된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선단이 상기 제 2 결합부재(18)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제 2 연결축(26)이 일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 2 연결축(26)을 따라 상기 제 2 프레임 지지대(16)가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타단이 상기 제 2 슬라이딩 레일(14)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타단이 상기 제 1 슬라이딩 레일(13)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전방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타단이 상기 제 1 슬라이딩 레일(13)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전방이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타단이 상기 제 2 슬라이딩 레일(14)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후방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타단이 상기 제 2 슬라이딩 레일(14)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후방이 하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하여 인가되는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 로드셀 제어모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기 설정된 음향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포함하는 이탈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로드셀은,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로드셀(1);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전방 타측에 설치되는 제 2 로드셀(2);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 3 로드셀(3); 및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후방 타측에 설치되는 제 4 로드셀(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셀 제어모듈은 상기 제 1 로드셀(1), 상기 제 2 로드셀(2), 상기 제 3 로드셀(3) 및 상기 제 4 로드셀(4) 각각에 의하여 감지된 무게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체중을 계측하고, 상기 계측된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계측된 사용자의 체중이 소정의 임계무게 값보다 낮아지는 경우, 상기 로드셀 제어모듈은 상기 알람부가 상기 이탈경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선단이 소정의 길이로 인장 또는 수축되도록 동작함으로써 상기 지지 프레임(40)이 구동을 조절하는 구동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는, 선단이 상기 등받이판(41)의 전방부 저면에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30)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판(41)의 회동을 지원하는 등받이판 액추에이터(5); 선단이 상기 착석판(43)의 후방부 저면에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30)에 설치되어 상기 착석판(43)의 회동을 지원하는 착석판 액추에이터(6); 선단이 상기 다리판(44)의 후방부 저면에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30)에 설치되어 상기 다리판(44)의 회동을 지원하는 다리판 액추에이터(7); 및 선단이 상기 발판 패널(45)에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30)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 패널(45)을 후방으로 연장시키거나 전방으로 단축시키는 발판 액추에이터(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소요되는 힘을 감지하는 구동 액추에이터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 센서에서 감지된 힘이 기 설정된 임계힘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액추에이터 제어모듈은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의 동작이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3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수동으로 상기 등받이판(41)의 회동을 조절하는 긴급 레버(33);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긴급 레버(33)가 작동되는 경우, 상기 등받이판(41)을 회동되어 상기 등받이판(41)이 상기 상부 프레임(30)과 수평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에 착탈되는 이동식 소변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식 소변기구는, 전면과 양 측면은 막혀 있고, 후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지지를 위하여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면에 바퀴(112)가 장착되어 이동성을 제공하는 소변기구 하부 프레임(120);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소변기구 상부 프레임(122); 상기 소변기구 하부 프레임(120)과 상기 소변기구 상부 프레임(122)을 연결하여 상기 소변기구 상부 프레임(122)을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124); 상기 수직 프레임(124)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부(128);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이 수용될 수 있는 소변기(114); 및 상기 소변기구 상부 프레임(122) 또는 상기 수직 프레임(124)에 설치되고, 링거액이 수용된 링거용기의 거치가 가능한 링거 걸이대(60);를 포함하되, 상기 링거 걸이대(60)는, 상기 소변기구 상부 프레임(122) 또는 상기 수직 프레임(124)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지주대(62); 상기 지주대(62)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결합되고, 각각의 단부에는 상기 링거용기의 거치를 위한 링거 고리(66)가 형성된 복수의 링거 거치부(64); 및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보호단(68);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단(68)은 상기 복수의 링거 거치부(64)의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복수의 링거 거치부(64)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을 차단하고, 상기 보호단(68)에 의한 차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링거 거치부(64) 중 적어도 일부에 소정의 객체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간병인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기능 전동 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4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동작을 조정하는 전동 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침대의 발판을 환자의 키에 맞게 조절함으로써 환자의 편의를 증대하는 전동 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앙집중브레이크가 구비되어 하나의 페달 조작을 통해 침대를 운전할 수 있는 전동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앙집중브레이크의 구조물이 파이프 프레임 내부에 위치되어 파손 및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전동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등판 및 다리판의 하강시 프레임에 이물질의 존재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전동 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무게를 측정하고, 환자가 침대에서 낙상하는 경우 경보음이 발생되는 전동 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의 일 실시례와 관련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하부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상부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하부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의 승하강 동작에 대한 실시례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의 Trendelenburg 동작 및 Reverse Trendelenburg 동작에 대한 실시례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구동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의 자세 변환 동작에 대한 실시례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링거 걸이대의 일 실시례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이동식 소변기구의 일 실시례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의 기본 구성>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의 일 실시례와 관련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100)는 하부 프레임(10), 상부 프레임(30), 지지 프레임(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 상기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가 구현될 수도 있다.
하부 프레임(10) 부분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하부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하부 프레임(10)은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100)의 밑면을 이루는 구성이다. 하부 프레임(10)의 하면에는 바퀴(11)가 설치되어 있으며, 바퀴(11)의 회동에 의하여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100)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바퀴(11)는 고정레버(12)에 의하여 회동되지 않도록 조작될 수 있으며, 다기능 전동 침대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레버(12)를 조작하여 바퀴(11)의 회동을 막을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퀴(11)는 4개 설치되고, 각 바퀴(11)마다 고정레버(12)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레버(12) 하나는 4개의 바퀴(11) 모두의 회동을 조절한다. 즉, 4개의 고정레버(12) 중 하나를 조작하는 경우, 4개의 바퀴(11) 모두의 회동이 정지된다.
하부 프레임(10)의 상부에는 서브 프레임(20)이 위치되어 있다. 프레임 지지대(15, 16)는 하부 프레임(10)과 서브 프레임(20)의 사이에 위치하며, 서브 프레임(20)을 일정 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 지지대(15, 16)는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100)와 상기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서브 프레임(20)에는 승하강 액추에이터(21, 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승하강 액추에이터(21, 22)는 선단이 소정의 길이로 인장 또는 수축되도록 동작한다. 승하강 액추에이터(21, 22)의 후단부는 서브 프레임(20)을 가로지르는 액추에이터 고정판(27)에 설치된다.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와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액추에이터 고정판(27)의 전면에는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후단부가 설치되고, 액추에이터 고정판(27)의 후면에는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후단부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선단은 전방을 향하고,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선단은 후방을 향하게 된다.
하부 프레임(10)의 전방부 내측면에는 제 1 슬라이딩 레일(13)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타단은 제 1 슬라이딩 레일(13)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0)의 후방부 내측면에는 제 2 슬라이딩 레일(14)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타단은 제 2 슬라이딩 레일(14)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일단 상측에는 제 1 결합부재(17)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결합부재(17)는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선단과 결합된다.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일단 상측에는 제 2 결합부재(18)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결합부재(18)는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선단과 결합된다.
서브 프레임(20)의 하면에는 제 1 연결부재(23)와 제 2 연결부재(24)가 각각 한 쌍씩 형성되어 있다. 제 1 연결부재(23)는 서브 프레임(20)의 전방부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 2 연결부재(24)는 서브 프레임(20)의 후방부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 1 연결부재(23) 사이에는 제 1 연결축(25)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한 쌍의 제 2 연결부재(24) 사이에는 제 2 연결축(26)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 1 연결축(25)은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일단에 결합되며, 제 2 연결축(26)은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결축(25, 26)이 회동하면 프레임 지지대(15, 16)도 함께 회전한다.
서브 프레임(20)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로드셀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로드셀(1)은 서브 프레임(2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고, 제 2 로드셀(2)은 서브 프레임(20)의 전방 타측에 설치되며, 제 3 로드셀(3)은 서브 프레임(20)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고, 제 4 로드셀(4)은 서브 프레임(20)의 후방 타측에 설치된다. 로드셀 제어모듈은 상기 제 1 로드셀(1), 상기 제 2 로드셀(2), 상기 제 3 로드셀(3) 및 상기 제 4 로드셀(4) 각각에 의하여 감지된 무게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체중을 계측하며, 이렇게 계측된 사용자의 체중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이탈하는 경우, 알람부에서 이탈신호를 출력한다. 즉, 계측된 사용자의 체중이 소정의 임계무게 값보다 낮아지는 경우, 로드셀 제어모듈은 알람부가 이탈경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이탈경보는 음향신호, 비디오 신호(예를 들어, 광신호의 점멸), 진동 신호 등을 포함한다.
한편, 상부 프레임(30)과 지지 프레임(40) 부분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상부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지지 프레임(40)은 상부 프레임(23)에 결합되어 환자를 지지하며, 지지 프레임(40)의 상면에는 환자가 누울 수 있는 매트리스가 배치된다. 지지 프레임(40)은 등받이판(41), 연결판(42), 착석판(43), 다리판(44), 발판 패널(45)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판(41), 착석판(43), 다리판(44)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지지 프레임(40)에 의하여 지지되는 환자의 자세 변환을 유도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30)에는 등받이판 지지대(51), 연결판 지지대(52), 착석판 지지대(53), 다리판 지지대(5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성은 지지 프레임(40)의 상면에 배치되는 매트리스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등받이판 지지대(51), 연결판 지지대(52), 착석판 지지대(53), 다리판 지지대(54) 각각의 사이는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등받이판(41), 착석판(43), 다리판(44)의 회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접철되도록 구성된다.
상부 프레임(30)의 모서리 부분에는 버켓(34)이 설치되며, 버켓(34)에는 개구된 버켓홀(35)이 형성되어 있다. 버켓홀(35)에는 링거 걸이대(60)의 지주대(62)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 가능하다.
상부 프레임(30)의 일측면에는 수동으로 등받이판(41)의 회동을 조절하는 긴급 레버(33)가 설치된다. 긴급 레버(33)가 작동되는 경우, 등받이판(41)을 회동되어 등받이판(41)이 상부 프레임(30)과 수평 상태가 되며, 심폐소생술 등이 필요한 비상 시 환자에 대한 CPR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30)의 전방에는 헤드 보드(32)가 설치되고, 상부 프레임(30)의 양 측면에는 사이드 레일(31)이 구비된다. 사이드 레일(31)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다. 사이드 레일(31)이 상승하였을 때는 지지 프레임(40) 상면에 누워있는 사용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이드 레일(31)이 하강하였을 때는 환자나 고령자가 쉽게 침대에 오르내릴 수 있게 한다.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부 프레임(30)의 저면에는 지지 프레임(40)이 구동을 조절하는 구동 액추에이터가 설치된다. 등받이판 액추에이터(5)는 등받이판(41)의 회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선단은 등받이판(41)의 전방부 저면에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부 프레임(30)에 설치된다. 등받이판 액추에이터(5)의 측면에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가스 스프링(9)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착석판 액추에이터(6)는 착석판(43)의 회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선단은 착석판(43)의 후방부 저면에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부 프레임(30)에 설치된다. 다리판 액추에이터(7)는 다리판(44)의 회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선단은 다리판(44)의 후방부 저면에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부 프레임(30)에 설치된다. 발판 액추에이터(8)는 발판 패널(45)을 후방으로 연장시키거나 전방으로 단축시키기 위하여 선단은 발판 패널(45)에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부 프레임(30)에 설치된다.
상부 프레임(30)은 서브 프레임(20)의 상면에 설치되며, 서브 프레임(20)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로드셀(1, 2, 3, 4)는 상부 프레임(30) 저면에 대응되는 부분(1a, 2a, 3a, 4a)에 접하게 된다.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의 기본 동작>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의 기본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하부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의 동작을 나타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의 승하강 동작에 대한 실시례이다.
도 4a 및 도 4b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10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슬라이딩 레일(13, 14), 프레임 지지대(15, 16), 승하강 액추에이터(21, 22)가 결합된다. 승하강 액추에이터(21, 22)의 동작에 따라 프레임 지지대(15, 16)의 타단이 슬라이딩 레일(13, 14)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슬라이딩에 대응하여 서브 프레임(20)의 승하강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 및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선단이 인장되는 경우, 상기 인장된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선단이 제 1 결합부재(17)에 힘을 인가하여 제 1 연결축(25)이 일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 1 연결축(25)을 따라 제 1 프레임 지지대(15)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타단이 제 1 슬라이딩 레일(13)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또한,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선단이 인장되는 경우, 상기 인장된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선단이 제 2 결합부재(18)에 힘을 인가하여 제 2 연결축(26)이 타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타방향으로 회동되는 제 2 연결축(26)을 따라 제 2 프레임 지지대(16)가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타단이 상기 제 2 슬라이딩 레일(14)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선단이 수축되는 경우, 상기 수축된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선단이 제 1 결합부재(17)에 힘을 인가하여 제 1 연결축(25)이 타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타방향으로 회동되는 제 1 연결축(25)을 따라 제 1 프레임 지지대(15)가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타단이 제 1 슬라이딩 레일(13)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또한,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선단이 수축되는 경우, 상기 수축된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선단이 제 2 결합부재(18)에 힘을 인가하여 제 2 연결축(26)이 일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 2 연결축(26)을 따라 제 2 프레임 지지대(16)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타단이 상기 제 2 슬라이딩 레일(14)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또한,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의 Trendelenburg 동작 및 Reverse Trendelenburg 동작에 대한 실시례이다.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은 Trendelenburg 동작은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선단이 수축되고,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선단이 인장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선단이 수축되면, 상기 수축된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선단이 제 1 결합부재(17)에 힘을 인가하여 제 1 연결축(25)이 타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타방향으로 회동되는 제 1 연결축(25)을 따라 제 1 프레임 지지대(15)가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타단이 제 1 슬라이딩 레일(13)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또한,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선단이 인장되면, 상기 인장된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선단이 제 2 결합부재(18)에 힘을 인가하여 제 2 연결축(26)이 타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타방향으로 회동되는 제 2 연결축(26)을 따라 제 2 프레임 지지대(16)가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타단이 상기 제 2 슬라이딩 레일(14)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이에 따라,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일단이 제 2 프레임 지지대(16)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되며, 서브 프레임(20)과 상부 프레임(30) 등의 몸체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이루게 된다.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은 Reverse Trendelenburg 동작은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선단이 인장되고,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선단이 수축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선단이 인장되면, 상기 인장된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선단이 제 1 결합부재(17)에 힘을 인가하여 제 1 연결축(25)이 일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 1 연결축(25)을 따라 제 1 프레임 지지대(15)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타단이 제 1 슬라이딩 레일(13)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또한,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선단이 수축되면, 상기 수축된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선단이 제 2 결합부재(18)에 힘을 인가하여 제 2 연결축(26)이 일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 2 연결축(26)을 따라 제 2 프레임 지지대(16)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타단이 상기 제 2 슬라이딩 레일(14)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이에 따라,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일단이 제 2 프레임 지지대(16)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되며, 서브 프레임(20)과 상부 프레임(30) 등의 몸체가 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구동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100)의 지지 프레임(40)의 전방에는 등받이판(4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등받이판(41)은 등받이판 액추에이터(5)의 동작에 따라 후방의 측면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다. 이렇게 등받이판(41)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환자의 상체를 원하는 자세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100)의 지지 프레임(40)의 착석판(43)과 다리판(44)은 각각 착석판 액추에이터(6)와 다리판 액추에이터(7)의 동작에 따라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렇게 착석판(43)과 다리판(44)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진료에 편리한 자세로 움직이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100)의 지지 프레임(40)의 후방에는 발판 패널(4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판 패널(45)은 발판 액추에이터(8)의 동작에 따라 후방으로의 연장되거나 전방으로의 단축될 수 있다. 이렇게 발판 패널(45)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다리판(4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환자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다.
구동 액추에이터에는 구동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소요되는 힘을 감지하는 구동 액추에이터 센서가 부착된다. 구동 액추에이터 센서에서 감지된 힘이 기 설정된 임계힘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액추에이터 제어모듈이 구동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중단시킨다. 이에 따라, 등받이판(41)이나 착석판(43), 다리판(44)의 회동 부분이나 발판 패널(45)의 조절 부분에 물건이나 신체가 끼이게 되어 부상을 일으키게 되는 불상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의 자세 변환 동작에 대한 실시례이다.
지지 프레임(40)의 전면 부분에는 등받이판(41)이 배치되어 있으며, 등받이판(41)은 환자의 등, 허리 부분을 받쳐줄 수 있다. 등받이판(41)의 전방 측면은 상부 프레임 전방의 헤드 보드(22)에 접하여 있으며, 등받이판(41)의 후방 측면은 지지 프레임(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등받이판(41)은 상기 후방 측면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어 환자의 상체를 일정 각도로 세우거나 눕힐 수 있다.
등받이판(41)은 후방 측면에는 연결판(42)이 결합되어 있으며, 연결판(42)의 후방에는 착석판(43)이 결합되어 있다.
착석판(43)은 환자의 둔부를 받쳐줄 수 있는 위치에 결합되어 있으며, 착석판(43)의 전방 측면은 지지 프레임(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착석판(43)은 상기 전방 측면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어 환자의 둔부를 일정 각도로 세우거나 눕힐 수 있다.
착석판(43)의 후방 측면에는 다리판(44)이 결합되어 있으며, 다리판(44)은 환자의 다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위치한다. 착석판(43)의 후방 측면과 다리판(44)의 전방 측면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착석판(43)과 다리판(44)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가 무릎을 구부리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다리판(44)의 후방 측면에는 발판 패널(4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등받이판(41), 착석판(43), 다리판(44)에는 상술한 구동 액추에이터(5, 6, 7, 8)가 장착되어 있으며, 장착된 각각의 구동 액추에이터(5, 6, 7, 8)의 선단을 인장 또는 수축되도록 조절함으로써 등받이판(41), 착석판(43), 다리판(44)이 회동하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의 변형례 >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의 변형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링거 걸이대의 일 실시례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링거 걸이대(60)는 지주대(62), 링거 거치부(64), 보호단(68)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주대(62)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나 진료 및 치료에 이용되는 다수의 관이 관통될 수 있도록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부식이 잘 되지 않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주대(62)의 하부는 상부 프레임(30)에 형성된 버켓홀(35)에 체결됨으로써 지주대(62)가 흔들림 없이 상부 프레임(30)에 고정된다.
지주대(62)는 상부 지주대(62b)와 하부 지주대(62a)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지주대(62b)는 하부 지주대(62a)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 지주대(62b)는 하부 지주대(62a)와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 가능하다. 상부 지주대(62b)는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사용자는 상부 지주대(62b)를 승하강시킴으로써 링거 걸이대(60)를 적절한 높이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지주대(62b)가 갑작스럽게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락 방지 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추락 방지 장치는 상부 지주대(62b)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지주대(62b)의 하단부가 완만한 곡선으로 돌출된 마찰부 및 마찰부 내측에 장착된 탄성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링이 마찰부를 외측으로 밀착시킴으로써 상부 지주대(62b)의 하단부가 하부 지주대(62a)의 내측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추락 방지 장치를 이용하여 링거용기 등의 무게로 인하여 상부 지주대(62b)가 갑자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주대(62)의 상부에는 복수의 링거 거치부(64)가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있다. 복수의 링거 거치부(64) 각각은 지주대(62)와 수직이 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의 링거 거치부(64)는 서로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주대(62)의 상부에 설치되는 링거 거치부(64)는 4개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4개의 링거 거치부(64)는 서로 90도 간격을 이루게 된다.
링거 거치부(64)의 단부에는 링거용기가 거치될 수 있는 링거 고리(66)가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링거 고리(66)는 하부로 구부러진 "U"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U자 형의 링거 고리(66)는 병실에 있는 커튼 상부의 메시 소재에 링거 고리(66)가 쉽게 걸리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링거 고리(66)의 첨단은 링거 거치부(64)와 이격되도록 구부러져 있어야 한다. 링거 고리(66)의 첨단이 링거 거치부(64)에 맞닿도록 구부러져 있는 경우에는 링거 고리(66)에 링거용기의 거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링거 고리(66)의 구부러진 형상은 보호단(68)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거 고리(66)가 보호단(68)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상부 지주대(62b)가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링거 고리(66)의 돌출부분이 외부 물체에 부딪히거나 걸리게 되는 위험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링거 거치부(64)의 하부에는 고정부재(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지주대(62)에 연결되어 있으며, 링거 거치부(64)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링거용기와 연결되어 상기 링거액을 외부로 공급하는 주입관을 고정시킬 수 있다.
링거 거치부(64)가 4개인 경우, 고정부재도 4개가 상기 링거 거치부(64) 각각의 하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고정부재는 링거 걸이대(60)가 움직이거나 회전하는 경우에도 주입관이 엉키거나 빠지지 않도록 하여 안전한 사용을 보장해줄 수 있다.
또한, 링거 거치부(64)의 단부의 상면에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링으로 형성되는 보호단(68)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보호단(68)은 복수의 링거 거치부(64)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을 차단하게 되며, 이에 따라 링거 거치부(64)에 다른 물체, 특히 커튼의 메시 소재가 걸리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주대(62)에는 수납부(70)가 설치되어 있다. 수납부(70)에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 수납공간에 필요한 물품이나 약 등을 넣고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70)는 지주대(62)를 따라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에 적당한 위치에 수납부(70)를 이동시킨 후 수납부를 상기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수납부(70)에는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설계된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를 잡고 힘을 인가함으로써 링거 걸이대(60)를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수납부(70)는 상기 지주대(62)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수납공간에 넣어 둔 물건을 다른 공간으로 편리하게 이동시키며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링거 걸이대(60)에는 전원공급부(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링거 고리(64)에 전원에 의하여 동작되는 치료기구가 거치되는 경우 또는 수납부(70)의 수납공간에 전원에 의하여 동작되는 치료기구가 수납되는 경우, 전원공급부는 상기 치료기구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링거 고리(66)에 거치된 치료기구 또는 수납공간에 수납된 치료기구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치료기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은 지주대(62)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정리가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이동식 소변기구의 일 실시례이다. 환자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100)에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동식 소변기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이동식 소변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이동식 소변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이동식 소변기구는, 몸체(110), 소변기구 하부 프레임(120), 소변기구 상부 프레임(122), 수직 프레임(124), 보조 프레임(126), 링거 걸이대(6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소변기구 하부 프레임(120)은 이동식 소변기구의 밑면을 이루는 구성이다. 하부 프레임(120)의 하면에는 바퀴(112)가 설치되어 있으며, 바퀴(112)의 회동에 의하여 이동식 소변기구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바퀴(112)는 브레이크에 의하여 회동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이동식 소변기구를 고정된 장소에 세워두고자 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는 브레이크 레버를 조작하여 바퀴(112)의 회동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레버는 환자가 조작하기 쉽도록 손잡이부(128)나 몸체(110), 소변기구 상부 프레임(122), 수직 프레임(124)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20)은 양단이 후방을 향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측부와 우측부가 후방으로 구부러진 "ㄷ"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소변기구 하부 프레임(120)의 형상은 몸체(110)의 하부의 형상에 대응되므로, 소변기구 하부 프레임(120)을 몸체(110)의 하부에 설치할 수 있다.
소변기구 상부 프레임(122)은 수직 프레임(124)에 의하여 지지되며, 소변기구 하부 프레임(120) 위의 소정의 높이에 위치된다.
상기 소변기구 상부 프레임(122)도 상기 소변기구 하부 프레임(120)과 마찬가지로 양단이 후방을 향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측부와 우측부가 후방으로 구부러진 "ㄷ"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소변기구 상부 프레임(122)의 형상은 몸체(110)의 상부의 형상에 대응되므로, 소변기구 상부 프레임(122)을 몸체(110)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다.
몸체(110)는 상기 소변기구 하부 프레임(120)과 소변기구 상부 프레임(122) 사이에 위치하며, 아크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110)는 전방과 양 측면은 막혀있고, 후방은 개방되어 있으며, 본 발명을 이용하는 환자는 상기 개방된 후방에 위치하여 이동식 소변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124)은 소변기구 하부 프레임(120)과 소변기구 상부 프레임(122)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소변기구 상부 프레임(122)을 소변기구 하부 프레임(120) 위의 소정의 높이로 지지한다.
수직 프레임(124)은 도 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변기구 하부 프레임(120)의 일측 단부와 소변기구 상부 프레임(122)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제 1 수직 프레임과 소변기구 하부 프레임(120)의 타측 단부와 소변기구 상부 프레임(122)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는 제 2 수직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수직 프레임은 몸체(110)의 좌측면 단부에 설치되고, 제 2 수직 프레임은 몸체(110)의 우측면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 수직 프레임 또는 제 2 수직 프레임의 상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에는 링거 걸이대(60)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지주대 레버(131)가 구비되어 있어 링거 걸이대(60)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제 1 수직 프레임과 제 2 수직 프레임 각각에는 손잡이부(128)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128)는 수직 프레임(124)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환자의 파지가 가능하다. 환자는 손잡이부(128)를 파지하고 힘을 인가하여 이동식 소변기구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보조 프레임(126)은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소변기구 상부 프레임(122)의 상면에 설치되어 몸체(110)의 구부러진 좌측면과 우측면을 가로지른다. 또한, 보조 프레임(126)의 하부로 중앙축(118)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중앙축(118)의 일단은 보조 프레임(126)과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소변기(114)가 거치될 수 있는 소변기 홀더(116)가 장착된다. 소변기(114)는 중앙축(118)에 의하여 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소변기(114)의 개방된 입구가 환자를 향하고 있어 환자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이 소변기(114)의 입구로 유입되며, 유입된 소변은 소변기(114) 내부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식 소변기구에는 메모리에 기 저장된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는 에티켓 벨이 설치되어 있으며, 환자는 소변을 볼 때 에티켓 벨을 이용하여 음향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환자는 소변을 볼 때 발생되는 소리가 외부에 들리게 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중앙축(118)에는 중앙축 레버(119)가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축 레버(119)를 이용하여 중앙축(118)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환자는 중앙축 레버(119)를 이용하여 중앙축(118)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고, 환자의 체형에 맞게 소변기(114)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중앙축(118) 타단에는 각도 조절부(117)가 설치되어 있다. 각도 조절부(117)는 소변기 홀더(116)가 중앙축(118) 타단에 장착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환자는 상기 각도 조절부(117)를 이용하여 소변기 홀더(116)를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환자의 체형에 맞게 소변기(114)의 개방된 입구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이동식 소변기구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 모듈, 알람부, 햅틱 모듈, 메모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OMA-BCAST,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이동식 소변기구에 설치되어 소정의 시각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식 소변기구가 사용 중인 경우 그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정보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2D 및 3D 표시 모드를 지원한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이동식 소변기구를 어두운 장소에서 사용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조명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이러한 조명장치는 어두운 장소에서 빛을 조사하여 환자의 안전한 보행을 보장해줄 수 있다.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이동식 소변기구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이동식 소변기구의 사용 여부, 에티켓 벨에 의하여 발생되는 음향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는 이동식 소변기구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식 소변기구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이동식 소변기구의 사용 상태, 소변기(114)의 사용, 소변기(114)의 수용량 알림 등이 있다. 알람부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나 음성 출력 모듈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음성 출력 모듈은 알람부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은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례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례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례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 제 1 로드셀
2: 제 2 로드셀
3: 제 3 로드셀
4: 제 4 로드셀
5: 등받이판 액추에이터
6: 착석판 액추에이터
7: 다리판 액추에이터
8: 발판 액추에이터
9: 가스 스프링
10: 하부 프레임
11: 바퀴
12: 고정레버
13: 제 1 슬라이딩 레일
14: 제 2 슬라이딩 레일
15: 제 1 프레임 지지대
16: 제 2 프레임 지지대
17: 제 1 결합부재
18: 제 2 결합부재
20: 서브 프레임
21: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
22: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
23: 제 1 연결부재
24: 제 2 연결부재
25: 제 1 연결축
26: 제 2 연결축
27: 액추에이터 고정판
30: 상부 프레임
31: 사이드 레일
32: 헤드보드
33: 긴급 레버
34: 버켓
35: 버켓홀
40: 지지 프레임
41: 등받이판
42: 연결판
43: 착석판
44: 다리판
45: 발판 패널
51: 등받이판 지지대
52: 연결판 지지대
53: 착석판 지지대
54: 다리판 지지대
100: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

Claims (11)

  1. 하면에 바퀴(11)가 설치되어 이동성을 제공하는 하부 프레임(10);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내측면에 설치된 슬라이딩 레일;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서브 프레임(20);
    상기 서브 프레임(20)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하여 선단이 소정의 길이로 인장 또는 수축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20)에 설치되는 승하강 액추에이터;
    상기 승하강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 제어모듈;
    일단은 상기 승하강 액추에이터의 선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상기 슬라이딩 레일과 연결된 프레임 지지대;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30); 및
    상면에 매트리스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30)의 상면에 결합되어 사용자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40);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 프레임(40)은,
    상기 지지 프레임(40)의 전면을 이루고, 후방의 제 1 측면이 상기 지지 프레임(4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등받이판(41);
    일측이 상기 제 1 측면과 연결되는 연결판(42);
    상기 연결판(42)의 타측과 연결된 전방의 제 2 측면이 상기 지지 프레임(4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착석판(43);
    전방 측면이 상기 착석판(43)의 후방 측면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다리판(44); 및
    상기 다리판(44)의 후방 측면에 설치된 발판 패널(4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따라 상기 프레임 지지대의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슬라이딩에 대응하여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승하강이 조절되고,
    선단이 소정의 길이로 인장 또는 수축되도록 동작함으로써 상기 지지 프레임(40)이 구동을 조절하는 구동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는,
    선단이 상기 등받이판(41)의 전방부 저면에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30)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판(41)의 회동을 지원하는 등받이판 액추에이터(5);
    선단이 상기 착석판(43)의 후방부 저면에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30)에 설치되어 상기 착석판(43)의 회동을 지원하는 착석판 액추에이터(6);
    선단이 상기 다리판(44)의 후방부 저면에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30)에 설치되어 상기 다리판(44)의 회동을 지원하는 다리판 액추에이터(7); 및
    선단이 상기 발판 패널(45)에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30)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 패널(45)을 후방으로 연장시키거나 전방으로 단축시키는 발판 액추에이터(8);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소요되는 힘을 감지하는 구동 액추에이터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 센서에서 감지된 힘이 기 설정된 임계힘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액추에이터 제어모듈은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의 동작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전방부에 설치된 제 1 슬라이딩 레일(13); 및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후방부에 설치된 제 2 슬라이딩 레일(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지지대는,
    타단이 상기 제 1 슬라이딩 레일(13)과 연결된 제 1 프레임 지지대(15); 및
    타단이 상기 제 2 슬라이딩 레일(14)과 연결된 제 2 프레임 지지대(1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 및
    상기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20)은,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전방부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 1 연결부재(23);
    상기 한 쌍의 제 1 연결부재(23)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연결축(25);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후방부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 2 연결부재(24); 및
    상기 한 쌍의 제 2 연결부재(24)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연결축(2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축(25)은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연결축(26)은 상기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는,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일단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선단과 결합되는 제 1 결합부재(17); 및
    상기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일단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선단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재(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20)은,
    전면에는 상기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후단부가 설치되고, 후면에는 상기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후단부가 설치되는 액추에이터 고정판(27);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액추에이터 고정판(27)에 설치된 상기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선단은 전방을 향하고,
    상기 액추에이터 고정판(27)에 설치된 상기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선단은 후방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선단이 인장되는 경우, 상기 인장된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선단이 상기 제 1 결합부재(17)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제 1 연결축(25)이 일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 1 연결축(25)을 따라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가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타단이 상기 제 1 슬라이딩 레일(13)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고,
    상기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선단이 수축되는 경우, 상기 수축된 제 1 승하강 액추에이터(21)의 선단이 상기 제 1 결합부재(17)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제 1 연결축(25)이 타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타방향으로 회동되는 제 1 연결축(25)을 따라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가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타단이 상기 제 1 슬라이딩 레일(13)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고,
    상기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선단이 인장되는 경우, 상기 인장된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선단이 상기 제 2 결합부재(18)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제 2 연결축(26)이 타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타방향으로 회동되는 제 2 연결축(26)을 따라 상기 제 2 프레임 지지대(16)가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타단이 상기 제 2 슬라이딩 레일(14)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고,
    상기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선단이 수축되는 경우, 상기 수축된 제 2 승하강 액추에이터(22)의 선단이 상기 제 2 결합부재(18)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제 2 연결축(26)이 일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 2 연결축(26)을 따라 상기 제 2 프레임 지지대(16)가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타단이 상기 제 2 슬라이딩 레일(14)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타단이 상기 제 1 슬라이딩 레일(13)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전방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타단이 상기 제 1 슬라이딩 레일(13)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제 1 프레임 지지대(15)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전방이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타단이 상기 제 2 슬라이딩 레일(14)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후방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타단이 상기 제 2 슬라이딩 레일(14)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제 2 프레임 지지대(16)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후방이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하여 인가되는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
    로드셀 제어모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기 설정된 음향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포함하는 이탈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로드셀은,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로드셀(1);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전방 타측에 설치되는 제 2 로드셀(2);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 3 로드셀(3); 및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후방 타측에 설치되는 제 4 로드셀(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셀 제어모듈은 상기 제 1 로드셀(1), 상기 제 2 로드셀(2), 상기 제 3 로드셀(3) 및 상기 제 4 로드셀(4) 각각에 의하여 감지된 무게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체중을 계측하고, 상기 계측된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계측된 사용자의 체중이 소정의 임계무게 값보다 낮아지는 경우, 상기 로드셀 제어모듈은 상기 알람부가 이탈경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3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수동으로 상기 등받이판(41)의 회동을 조절하는 긴급 레버(33);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긴급 레버(33)가 작동되는 경우, 상기 등받이판(41)을 회동되어 상기 등받이판(41)이 상기 상부 프레임(30)과 수평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에 착탈되는 이동식 소변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식 소변기구는,
    전면과 양 측면은 막혀 있고, 후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지지를 위하여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면에 바퀴(112)가 장착되어 이동성을 제공하는 소변기구 하부 프레임(120);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소변기구 상부 프레임(122);
    상기 소변기구 하부 프레임(120)과 상기 소변기구 상부 프레임(122)을 연결하여 상기 소변기구 상부 프레임(122)을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124);
    상기 수직 프레임(124)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부(128);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이 수용될 수 있는 소변기(114); 및
    상기 소변기구 상부 프레임(122) 또는 상기 수직 프레임(124)에 설치되고, 링거액이 수용된 링거용기의 거치가 가능한 링거 걸이대(60);를 포함하되,
    상기 링거 걸이대(60)는,
    상기 소변기구 상부 프레임(122) 또는 상기 수직 프레임(124)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지주대(62);
    상기 지주대(62)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결합되고, 각각의 단부에는 상기 링거용기의 거치를 위한 링거 고리(66)가 형성된 복수의 링거 거치부(64); 및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보호단(68);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단(68)은 상기 복수의 링거 거치부(64)의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복수의 링거 거치부(64)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을 차단하고, 상기 보호단(68)에 의한 차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링거 거치부(64) 중 적어도 일부에 소정의 객체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
KR1020150072878A 2015-05-26 2015-05-26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 KR101688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878A KR101688731B1 (ko) 2015-05-26 2015-05-26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878A KR101688731B1 (ko) 2015-05-26 2015-05-26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090A KR20160139090A (ko) 2016-12-07
KR101688731B1 true KR101688731B1 (ko) 2016-12-23

Family

ID=57573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878A KR101688731B1 (ko) 2015-05-26 2015-05-26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7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271B1 (ko) * 2017-10-26 2018-07-11 주식회사 이모션 로드셀 기반의 가축 중량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축의 표준중량 추정방법
KR102127354B1 (ko) * 2019-04-22 2020-06-29 (주)피플앤에스 장애인용 신체 계측기
KR102123610B1 (ko) 2019-07-31 2020-06-26 주식회사 제이알메드 노약자용 기능성 전동 침대
CN113280904B (zh) * 2021-06-20 2022-03-18 河北医科大学第三医院 一种重症患者体重检查器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7445A1 (en) * 1999-12-29 2004-09-16 Osborne Eugene E. Hospital bed
KR101427721B1 (ko) * 2014-04-21 2014-08-13 (주)한림의료기 고령자 및 환자용 다기능 전동 침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661B1 (ko) 1999-10-08 2002-05-06 남해선 혈액 순환을 도와 주는 침대
KR200401864Y1 (ko) 2005-08-17 2005-11-22 주식회사 해피베드 환자용 목욕 전용 침대
JP4514717B2 (ja) * 2006-01-20 2010-07-28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離床予測・検知システムを備えた寝台装置
CA2786442C (en) * 2010-01-13 2016-08-09 Ferno-Washington, Inc. Powered roll-in co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7445A1 (en) * 1999-12-29 2004-09-16 Osborne Eugene E. Hospital bed
KR101427721B1 (ko) * 2014-04-21 2014-08-13 (주)한림의료기 고령자 및 환자용 다기능 전동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090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721B1 (ko) 고령자 및 환자용 다기능 전동 침대
KR101688731B1 (ko) 다기능 전동 의료용 침대
AU2006248558B2 (en) Multi-position support apparatus featuring a motorized foot support
US8683626B1 (en) Hospital bed with conveyor mattress
JP2016172031A (ja) ベッド仰臥者用薄型テレビ載置装置、及びベッド仰臥者用多機能載置装置、及びベッド仰臥者用薄型テレビ等多機能載置装置、及びベッド仰臥者仰臥姿勢リハビリ・ストレッチ視聴実施システム装置、及びベッド仰臥姿勢リハビリ活動・ストレッチ運動等視聴実施録画編集デジタル映像ソフト、及び被介護者用ベッド仰臥姿勢一日生活サイクル対応リハビリ視聴実施システム装置、及び被介護者用ベッド仰臥姿勢一日生活サイクル対応リハビリ視聴実施録画編集デジタル映像ソフト、及び被介護者用ベッド仰臥姿勢一日生活サイクル対応自動テレビ放映・録画再生リハビリ視聴実施システム装置
US20070169267A1 (en) Multi-position support apparatus featuring a movable foot support
EP2999394A1 (en) Posture monitor
CN109907901A (zh) 一种老年人多功能护理床
CN201710572U (zh) 多功能护理床
CN110115662B (zh) 一种瘫痪病人专用活动轮椅
CN205434239U (zh) 新型神经内科检查助起床
KR20090043400A (ko) 다용도 책상
CN201248767Y (zh) 医用下肢抬高装置
JP2022509148A (ja) 車椅子車輪の後方移動機構
AU2021107374A4 (en) Automated Adjustable Seating System
CN212392904U (zh) 一种可用于消毒的手机支架
CN210785072U (zh) 一种多功能病床
CN210185969U (zh) 一种头部手术支架
KR101378141B1 (ko) 헌혈용 의자 및 그 제어방법
CA2692616C (en) Activation means for position adjustment of a therapeutic table
JP2011041728A (ja) 介護用リフト装置
CN220833257U (zh) 一种儿童眼部保健矫形器
KR101816629B1 (ko) 환자용 기구
KR200480945Y1 (ko)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
CN213489939U (zh) 一种可调节多功能护理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