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629B1 - 환자용 기구 - Google Patents

환자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629B1
KR101816629B1 KR1020150165028A KR20150165028A KR101816629B1 KR 101816629 B1 KR101816629 B1 KR 101816629B1 KR 1020150165028 A KR1020150165028 A KR 1020150165028A KR 20150165028 A KR20150165028 A KR 20150165028A KR 101816629 B1 KR101816629 B1 KR 101816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main body
lift
control pane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505A (ko
Inventor
여태영
여동훈
김철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디자인
Priority to KR1020150165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629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환자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 하측에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에서 기 결정된 높이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한 상부 리프트; 상기 메인바디 하부에서 기 결정된 높이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한 하부 리프트; 및 상기 상부 리프트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바디의 전면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 구조체;를 포함하는 환자용 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환자용 기구{EQUIPMENT FOR PATIENT}
본 발명은 환자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기 침상 환자의 운동 및 이송을 위한 환자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환자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기 침상 환자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환자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장기간 침상에 누워있는 환자나 노약자는 건강증진을 위해 하지 혈류 개선, 욕창 방지 등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의료용 침대는, 침대 자체에 의료용 장비들이 결합되어 있었다. 예를 들면, 침대 프레임에 세우거나 눕힐 수 있는 상체 운동 프레임과 관절부를 중심으로 굽혀지거나 펴질 수 있는 운동용 프레임들이 환자용 침대에 설치되어 있었다.
이러한 운동용 장비들이 결합 되어 있는 일체형 침상은, 장기 침상 환자가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하는 침대를 편안하게 사용하기 힘들었으며, 장비를 환자 스스로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침상위에 놓여진 장비가 환자들이 수면을 취하거나 휴식을 취하는데 방해요소로 작용했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에어 쿠션 류의 방석 및 침대를 이용하였으나, 이러한 에어 쿠션은 에어 쿠션과 맞닿는 피부 압박 부위에 혈액 공급을 방해할 수도 있는 응전력이 발생할 확률이 있었다. 그리고, 침대 자체가 움직이게 되면서 이불이 뭉쳐지거나 하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했다.
또한, 종래에는 침대 자체의 형태를 변경하여 환자의 체위를 변환시키는 장치들이 마련되어 있었는데, 이러한 침대는 바닥이 같이 변형되므로 압력경감이 많지 않으며, 환자의 체형과 침대 내에서의 환자 위치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환자의 체위 등을 변경하기에 곤란하였다.
따라서, 장기간 침상에 누워있는 환자나 노약자 같은 스스로 움직이기 힘든 환자를 위한 기구가 필요하다. 환자의 치료 및 건강을 위하여 환자용 기구를 통해 자동으로 운동을 시켜줄 수 있고, 환자의 체형과 침대 내에서의 위치에 따른 최적화 된 프로그램을 가진 환자용 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9910호 (2006. 12. 14)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기 침상 생활 환자들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환자용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스스로 움직이기 힘든 환자를 위한 기구로서, 기구에 의해 자연스럽게 환자의 근육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환자의 재활 또는 기초체력을 증진 시키는 환자용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스로 움직이기 힘든 환자를 위해,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이송을 도울 수 있는 환자용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퀴부를 포함하여 환자용 기구의 이동이 편리하도록 하고, 환자의 팔, 다리 등의 여러 신체 부위에 맞는 각도에 설치 가능한 환자용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리프트를 포함하여 환자용 기구를 환자 침상에 밀착 고정 가능한 환자용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장기 침상 환자들을 위한 멀티미디어 시설을 설치하여, 문화와 엔터테인먼트를 통해 건강증진을 시킬 수 있는 환자용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용 기구에 있어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 하측에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에서 기 결정된 높이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한 상부 리프트; 상기 메인바디 하부에서 기 결정된 높이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한 하부 리프트; 및 상기 상부 리프트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바디의 전면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 구조체;를 포함하는 환자용 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상부 리프트와 상기 하부 리프트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리프트는 상기 지지부에 안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부 리프트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패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조체는, 내측에서 회전 가능한 상부 회전부; 및 상기 상부 회전부의 외측에 고정 형성되는 상부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부에는 고정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회전부에는 환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한 상태로 이동 가능한 슬링부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바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퀴부는 바퀴 고정장치에 의해 위치 고정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를 바닥에 밀착 고정시키는 바닥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리프트는 침상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는 환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는 이동을 보조하는 견인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조체는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는 콘트롤 판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 판넬은 상기 상부 리프트의 상하 이동을 조정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 판넬은 상기 슬링부의 시간 설정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 판넬은 상기 슬링부의 속도 설정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 판넬은 상기 환자용 기구를 작동할 수 있는 리모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환자용 기구를 통해, 장기 침상 생활 환자들의 편의성 증대를 도울 수 있다.
또한, 스스로 움직이기 힘든 환자를 위한 기구로서, 기구에 의해 자연스럽게 환자의 근육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환자의 재활 또는 기초체력을 증진 시킬 수 있다.
또한, 스스로 움직이기 힘든 환자를 위해,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이송을 도울 수 있다.
또한, 바퀴부를 포함하여 환자용 기구의 이동이 편리하도록 하고, 환자의 팔, 다리 등의 여러 신체 부위에 맞는 각도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리프트를 포함하여 환자용 기구를 환자 침상에 밀착 고정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장기 침상 환자들을 위한 멀티미디어 시설을 설치하여, 문화와 엔터테인먼트를 통해 건강증진을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기구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기구의 콘트롤 판넬을 나타낸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기구의 리프트가 이동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기구의 상부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기구가 침상의 뒷면에 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기구가 침상의 측면에 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기구(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환자용 기구(100)는 메인바디(1), 메인바디(1)를 지지하는 지지부(2), 메인바디(1)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리프트(3), 메인바디(1)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리프트(4)와 상부 구조체(5), 및 하부 리프트(3)와 상부 리프트(4)가 메인바디(1) 상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11)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바디(1)는 수직으로 형성되고, 메인바디(1)를 지지하는 지지부(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바디(1)의 하부에는 하부 리프트(3)가 형성될 수 있고, 상부에는 상부 리프트(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리프트(3)와 상부 리프트(4)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11)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메인바디(1)의 측면에는 안전손잡이(12)가 배치될 수 있다. 안전손잡이(12)는 환자가 이송될 경우, 환자가 안전을 위해 잡을 수 있는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를 이송하기 위해 하부 리프트(3)에 환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도록 하고, 환자의 손은 안전손잡이(12)를 잡을 수 있다. 또한, 환자를 더욱 안전하게 이송하기 위해 벨트로 환자의 허리 위를 감싸고 메인바디(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메인바디(1)의 하부 리프트(3)와 안전손잡이(12)를 이용하여 환자를 이송 할 때 더욱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메인바디(1)의 후면에는 견인손잡이(13)가 포함될 수 있다. 견인손잡이(13)는 환자의 보호자 또는 간호사 등의 환자의 간호인이 환자를 이송할 경우, 견인손잡이(13)를 이용하여 환자용 기구(100)를 밀거나 당겨서 환자를 쉽게 이송시킬 수 있다. 또는, 환자용 기구(100)의 위치 이동이 필요할 경우, 견인손잡이(13)를 이용하여 쉽게 환자용 기구(100)를 밀거나 당겨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바디(1)의 후면에는 콘트롤 판넬(14)이 배치될 수 있다. 콘트롤 판넬(14)에는 속도 설정 스위치(141), 시간 설정 스위치(142). 상부 리프트 상승 버튼(143) 및 상부 리프트 하강 버튼(144)를 포함할 수 있다.
속도 설정 스위치(141)는 환자의 운동 속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시간 설정 스위치(142)는 환자의 운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스위치일 수 있다.
또한, 콘트롤 판넬(14)에는 가이드 레일(11) 상에서의 상부 리프트(4)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리프트(4)를 상승 시키기 위해 상부 리프트 상승버튼(143)을 누르거나, 상부 리프트(4)를 하강 시키기 위해서는 상부 리프트 하강버튼(144)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콘트롤 판넬(14)은 환자용 기구(100)를 리모콘으로 작동할 수 있는 리모콘 제어부(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콘트롤 팥넬(14)의 스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편의에 의해 스위치를 변경 또는 추가할 수 있다.
메인바디(1)에는 디스플레이부(15)와 스피커(16)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와 스피커(16)를 통해 의료 및 재활 운동 동영상, 문화 및 오락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환자가 보고 따라 할 수 있는 운동 동영상이나, 환자에게 유익한 의료 정보 동영상 등의 시청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환자의 휴식을 위한 문화 및 오락 동영상 등의 시청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5)와 스피커(16)를 통해, 여가 활동을 즐길 수 있어 엔터테인먼트를 통하여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통해 건강증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는 블루투스 및 인터넷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는 메인바디(1)의 가장 하부에서 메인바디(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지부(2)에는 하부 리프트(3)의 패달(21), 바퀴부(22) 및 바닥 고정부(23)가 배치될 수 있다.
패달(21)은 하부 리프트(3)의 상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하부 리프트(3)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용 기구(100)를 환자 침상(200)에 고정시키거나, 환자 이송을 위한 환자의 의자 및 탁자로써의 사용 등 하부 리프트(3)를 상승 시켜야 하는 경우, 패달(21)을 이용해서 필요한 높이만큼 상승 시킬 수 있다. 반대로, 환자용 기구(100)의 위치 이동 등 하부 리프트(3)를 상승 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 패달(21)을 이용해서 하강 시킬 수 있다.
패달(21)의 작동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패달(21)의 밟음에 의해 하부 리프트(3)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달(21)의 앞측을 밟게 되면 상승, 패달(21)의 뒷측을 밟게 되면 하강 가능하다.
다만, 하부 리프트(3)를 상승 시키는 수단이 패달(21)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 리프트(3)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킬 수 있는 다른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퀴부(22)는 적어도 4개 이상 배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6개의 바퀴부(22)가 배치될 수 있다. 환자용 기구(100)의 하중을 받칠 수 있으면서, 이동이 편리한 만큼의 바퀴부(22)가 배치될 수 있다.
바퀴부(22)에 의해 환자용 기구(100)는 편리하게 이동이 가능하다. 환자를 이송할 경우, 또는 환자용 기구(100)의 위치 이동이 필요한 경우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간호인이 견인손잡이(13)를 잡고, 밀거나 당기면 바퀴부(22)에 의해 쉽게 이동될 수 있다.
바퀴부(22)는 바퀴 고정장치(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바퀴 고정장치에 의해 환자용 기구(100)를 고정 및 고정 해제가 가능하다.
환자가 환자용 기구(100)를 이용하여 운동할 경우, 환자용 기구(100)가 움직이게 되면 불편하고 위험 하므로, 바퀴 고정장치를 이용해서 환자용 기구(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또는, 환자용 기구(100)의 위치 이동이 필요한 경우, 바퀴 고정장치를 고정 해제 하여 환자용 기구(100)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퀴 고정장치는 레버를 이용할 수 있다. 레버를 당기면, 바퀴의 양측에서 고정할 수 있는 부재가 바퀴 방향으로 돌출되어, 바퀴부(22)를 양측에서 압력을 가해서 고정할 수 있다. 반대로, 레버를 풀면 바퀴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있던 고정부재가 풀리면서 바퀴부(22)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바퀴를 고정 및 고정 해제하여 이용 가능하다.
바퀴 고정장치는 레버 수단을 마련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밖의 바퀴를 고정 및 고정 해제 할 수 있는 다른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 고정부(23)는 지지부(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닥 고정부(23)의 상측은 지지부(2)의 윗면에 위치하며, 손잡이부(미도시됨)가 형성될 수 있고, 바닥 고정부(23)의 바닥과 맞닿는 부분에는 고정부재(미도시됨)가 형성될 수 있다.
바닥 고정부(23)는 나사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 고정부(23)의 손잡이부를 돌리면, 나사선을 따라 바닥 고정부(23)가 회전하여 하강하게 되어, 바닥과 밀착 고정 될 수 있다.
또한, 바닥 고정부(23)의 손잡이부를 반대로 돌리면, 나사선을 따라 바닥 고정부가(23)가 회전하여 상승하게 되어, 바닥과의 밀착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바닥 고정부(23)는 나사선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 밖의 다른 고정 형태의 수단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리프트(3)는 메인바디(1)의 하부에 배치되어 기 결정된 높이 사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기 결정된 높이는 장기 침상 환자의 신체 조건과 운동 반경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하부 리프트(3)는 'ㄴ' 형상일 수 있으며, 지지부(2)에 안착될 수 있다. 하부 리프트(3)는 지지부(2)에 형성되어 있는 패달(21)을 이용하여 상하 이동 조절이 가능하다.
하부 리프트(3)는 환자의 필요에 따라 상하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환자의 신체 조건 또는 침상(200)의 높이에 맞춰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리프트(3)를 침상(200)의 높이에 맞게 상승시켜, 환자용 기구(100)를 침상(200)의 밑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하부 리프트(3)를 이용하여 환자용 기구(100)를 침상(200)의 옆면 또는 후면에 배치하여 밀착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리프트(3)를 상승시켜 의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환자를 이송할 경우, 간호인은 환자의 엉덩이를 하부 리프트(3)에 안착시키고, 안전손잡이(12)를 잡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화장실 또는 다른 곳으로 이동할 경우, 매달린 상태가 아닌 의자에 앉은 형태로 이동가능 하다. 하부 리프트(3)를 침상(200)의 높이와 일치시켜 환자를 침상(200)에서 하부 리프트(3)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리프트(3)를 침상(200)보다 높이 상승시켜, 환자가 탁자로 이용할 수 있다.
상부 리프트(4)는 메인바디(1)의 상부에 배치되어 기 결정된 높이 사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기 결정된 높이는 장기 침상 환자의 신체 조건과 운동 반경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부 리프트(4)는 상부 구조체(5)와 연결될 수 있다.
상부 구조체(5)는 상부 리프트(4)와 연결되고, 메인바디(1)의 전면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기구(100)의 상부 구조체(5)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구조체(5)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내측에는 회전 가능한 상부 회전부(52)와 상부 회전부(52)의 외측에 고정 형성되는 상부 고정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고정부(51)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고정 고리부(511)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고리부(511)에는 탄성력 있는 탄성부재의 줄 등이 설치되어, 환자가 잡고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환자가 운동시에 고정 고리부(511)에 고정된 탄성부재를 잡고 상체를 일으키거나, 잡고 지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환자 이송시에 고정 고리부(511)에 이송할 수 있는 벨트 등의 부재를 연결하여, 환자를 지탱하고 이송할 수 있다.
상부 회전부(52)에도 고리부(미도시됨)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슬링부 홀(5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회전부(52) 내부에는 요동기가 구비되어, 슬링부(522)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슬링부(522)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환자의 신체가 움직여질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움직이기 힘든 신체를 움직여 근육 운동을 시켜줄 수 있다.
상기 슬링부 홀(521)은 상부 회전부(52) 내부의 요동기(미도시됨)와 연결되어 있는 슬링부(522)가 외부로 연결되는 구멍이다.
슬링부(522)는 환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받치고, 지지할 수 있다. 환자가 운동하고 싶은 신체 부위를 슬링부(522)에 끼우고, 슬링부(522)의 움직임에 의해 환자가 끼운 신체 부위가 슬링부(522)의 움직임에 따라 근육 운동이 가능하다.
상부 구조체(5)에는 조명(17)이 설치될 수 있다. 조명(17)을 이용하여 밤에도 환자가 편리하게 환자용 기구(100)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거동이 힘든 환자가 밤에 불빛이 필요할 경우, 멀리 가지 않고도 환자용 기구(100)의 조명(17)을 이용해 불빛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기구(100)의 하부 리프트(3)와 상부 리프트(4)가 각각 상하 이동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 리프트(3)는 지지부(2)와 분리되어, 메인바디(1)의 하부에서 기 결정된 길이만큼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부 리프트(4)는 메인바디(1)의 상부에서 기 결정된 길이만큼 상하 이동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가 슬링부(522)에 팔 또는 다리 등 환자의 신체 부위를 끼우기 위해, 환자 신체의 길이에 맞게 상부 리프트(4)를 상하 이동 시킬 수 있다.
도 6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기구(100)를 침상(200)에 밀착 고정 시킨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하부 리프트(3)는 상승 시켜 침대 밑면과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침대 뒷면에 고정하여 환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슬링부(522)에 신체를 고정하고 운동할 수 있다.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5)를 통해 의료 및 재활 운동 등의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리프트(3)를 상승 시켜 침대 밑면과 고정할 수 있다. 침대 옆면에 고정하여, 환자의 시력과 적합한 거리에 디스플레이부(15)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다른 환자용 기구(100)는 장기간 침상(200)에 누워있는 환자의 욕창을 예방할 수 있으며, 하지 혈류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움직임이 힘든 환자들의 재활 및 운동을 도와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메인바디
11 : 가이드 레일
12 : 안전 손잡이
13 : 견인 손잡이
14 : 콘트롤 판넬
141 : 속도 설정 스위치
142 : 시간 설정 스위치
143 : 상부 리프트 상승 버튼
144 : 상부 리프트 하강 버튼
15 : 디스플레이부
16 : 스피커
17 : 조명
2 : 지지부
21 : 패달
22 : 바퀴부
23 : 바닥 고정부
3 : 하부 리프트
4 : 상부 리프트
5 : 상부 구조체
51 : 상부 고정부
511 : 고정 고리부
52 : 상부 회전부
521 : 슬링부 홀
522 : 슬링부
100 : 환자용 기구
200 : 침상

Claims (20)

  1.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 하측에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에서 기 결정된 높이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한 상부 리프트;
    상기 메인바디 하부에서 기 결정된 높이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한 하부 리프트; 및
    상기 상부 리프트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바디의 전면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구조체는, 내측에서 회전 가능한 상부 회전부; 및
    상기 상부 회전부의 외측에 고정 형성되는 상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환자용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상부 리프트와 상기 하부 리프트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환자용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리프트는 상기 지지부에 안착 가능한 환자용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부 리프트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패달을 포함하는 환자용 기구.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부에는 고정 고리부를 포함하는 환자용 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부에는 환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한 상태로 이동 가능한 슬링부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환자용 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바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퀴부는 바퀴 고정장치에 의해 위치 고정 가능한 환자용 기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를 바닥에 밀착 고정시키는 바닥 고정부를 포함하는 환자용 기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리프트는 침상에 밀착 고정되는 환자용 기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환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손잡이를 포함하는 환자용 기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이동을 보조하는 견인손잡이를 포함하는 환자용 기구.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환자용 기구.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체는 조명을 포함하는 환자용 기구.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환자용 기구.
  16.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콘트롤 판넬을 포함하는 환자용 기구.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판넬은 상기 상부 리프트의 상하 이동을 조정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환자용 기구.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판넬은 상기 슬링부의 시간 설정 스위치를 포함하는 환자용 기구.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판넬은 상기 슬링부의 속도 설정 스위치를 포함하는 환자용 기구.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판넬은 상기 환자용 기구를 리모콘으로 작동할 수 있는 리모콘 제어부를 포함하는 환자용 기구.
KR1020150165028A 2015-11-24 2015-11-24 환자용 기구 KR101816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028A KR101816629B1 (ko) 2015-11-24 2015-11-24 환자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028A KR101816629B1 (ko) 2015-11-24 2015-11-24 환자용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505A KR20170060505A (ko) 2017-06-01
KR101816629B1 true KR101816629B1 (ko) 2018-01-09

Family

ID=59221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028A KR101816629B1 (ko) 2015-11-24 2015-11-24 환자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6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747B1 (ko) * 2018-03-30 2020-04-06 이병칠 의료 중계기용 지그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283B2 (ja) * 1999-03-29 2000-12-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緊急通報システム端末機器および緊急通報システム
JP2003135539A (ja) * 2001-11-02 2003-05-13 Tsuyama National College Of Technology 介護用ロボット装置
JP2003237303A (ja) * 2002-02-20 2003-08-27 Seahonence Inc 移動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283B2 (ja) * 1999-03-29 2000-12-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緊急通報システム端末機器および緊急通報システム
JP2003135539A (ja) * 2001-11-02 2003-05-13 Tsuyama National College Of Technology 介護用ロボット装置
JP2003237303A (ja) * 2002-02-20 2003-08-27 Seahonence Inc 移動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505A (ko)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36345T3 (es) Ayuda para el traslado y entrenamiento de un paciente
WO2012070260A1 (ja) 移動型点滴スタンド
US8613715B2 (en) Passive mobility exercise and range-of-motion bed apparatus
US10987266B2 (en) Rotational/translational transfer lift
EP1816994A1 (en) Mobilization handrail and bed equipped with this mobilization handrail
JPH09570A (ja) 姿勢変換装置および姿勢変換方法
CN110876662B (zh) 一种方便起身的轮椅及使用方法
CN113038915A (zh) 用于支持在其活动方面受限制的人的自行前进运动能力的装置
CN109009770A (zh) 一种具有桌板位置调节功能的乳腺科用护理床
JP2007202880A (ja) 歩行器
CN214967884U (zh) 一种医疗护理用轮椅
KR101816629B1 (ko) 환자용 기구
KR102054767B1 (ko) 운동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건강침대 시스템
KR20090055662A (ko) 체중 견인방식에 의한 척추 교정 기구
CN210020625U (zh) 一种一体式护理输液装置
US20230181410A1 (en) Lift transfer apparatus
CN113456375B (zh) 床具和使用该床具的病床
JP2008029676A (ja) 歩行補助装置
KR20190064366A (ko) 환자리프트
KR102263658B1 (ko) 침대형 재활운동장치
RU2771537C1 (ru)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стабилизации, мобилизации и фиксации пациента
CN113995585A (zh) 一种多功能护理装置及控制系统
US20160058635A1 (en) Mobility device
JP2001129032A (ja) 介護補助装置
KR20170060510A (ko) 환자용 기구의 하부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