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610B1 - 자돈의 면역력 개선효과를 갖는 자돈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함유하는 자돈용 사료 - Google Patents

자돈의 면역력 개선효과를 갖는 자돈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함유하는 자돈용 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610B1
KR101427610B1 KR1020120126752A KR20120126752A KR101427610B1 KR 101427610 B1 KR101427610 B1 KR 101427610B1 KR 1020120126752 A KR1020120126752 A KR 1020120126752A KR 20120126752 A KR20120126752 A KR 20120126752A KR 101427610 B1 KR101427610 B1 KR 101427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piglets
pigs
feed additive
immun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0416A (ko
Inventor
김진태
최홍림
강혜진
이병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생명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생명과학
Priority to KR1020120126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610B1/ko
Publication of KR20140060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6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6Heterocyclic compounds
    • A23K20/121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as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6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wean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돈의 면역력 개선효과를 갖는 자돈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함유하는 자돈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돈용 사료첨가제는 뽕잎에서 분리되어 항산화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와 항균활성을 갖는 알칼로이드를 1.0 ~ 3.0 : 0.1 중량비로 포함하여, 자돈의 사료효율 및 면역력이 개선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가축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되어왔던 뽕잎에서 추출한 유효성분들을 이용하여 자돈의 사료효율 및 면역력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자돈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자돈용 사료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돈의 면역력 개선효과를 갖는 자돈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함유하는 자돈용 사료{PIGLET FEED ADDITIVE COMPOSITION HAVING INCREASING IMMUNITY EFFECT AND FEED OF PIGLET CONTAINING THEREOF}
본 발명은 자돈의 면역력 개선효과를 갖는 자돈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함유하는 자돈용 사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생제 대체물질로 천연물질인 뽕잎에서 분리한 플라보노이드와 알칼로이드를 이용하여 자돈의 사료효율 및 면역력 개선효과를 갖는 자돈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함유하는 자돈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가축 사료 내에 성장촉진용 항생제의 사용은 가축의 생산성 극대화, 고밀도 사육 및 열악한 사육 환경으로 인한 질병 발생 예방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항생제의 사용은 효과가 좋은 반면에 문제점도 따른다. 이는 바로 항생제 내성(耐性)을 통해 유발되는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근래에는 세계적으로 사료첨가제로서 사용가능한 항생제의 수는 대폭 줄었다. 그리고 향후에도 사용 가능한 항생제의 목록은 계속 줄어들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항생제 사용의 전면금지와 같은 상황도 배제할 수 없는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축산물 내 항생제 잔류문제 및 내성균 출현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수입 축산물에 대한 경쟁력 제고 및 소비자의 안전 축산물에 대한 요구가 커짐에 따라 무항생제 축산물에 대한 관심이 무엇보다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무항생제 사육시 가축의 생산성이 저하되고 질병발생율이 높아져 폐사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유럽의 경우(특히 덴마크) 지난 몇 해 동안 성장촉진제로서 항생제사용을 제한해 왔다. 그 결과 사료첨가 목적으로는 크게 줄었지만, 오히려 질병치료용 항생제 사용량은 현격히 증가했다고 한다. 다시 말해 무항생제 사육은 가축 생산성저하 및 질병 발생 증가의 문제를 안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축산농가에서는 사료에 한약재나 항균제 등 다양한 첨가물을 투입하여 육질개선 및 건강식 육류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특히, 잠사업에서 누에의 먹이로 이용되는 뽕나무에는 다양한 종류의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먹이로 이용되고 남은 뽕잎은 제대로 활용되지 못한 채 폐기되고 있다.
이에, 이를 이용하여 사료첨가제로써의 활용성을 입증한 여러 기술들이 하기와 같이 공개되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공개특허 제10-2010-0056064호(공개일: 2010년 05월 27일, 명칭: 뽕잎을 함유하는 기능성 사료 및 그의 제조방법)과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106275호(공개일: 2010년 10월 01일, 명칭: 기능성 식물을 첨가한 복합 사료의 제조방법)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 뽕잎자체를 사료첨가제로써 사용을 할 뿐 뽕잎에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 없으며, 단지, 뽕잎의 유효성분으로 1-데옥시노이지리마이신(deoxynojirimycin), t-아미노뷰티르산(aminobutyric acid), 루틴(rutin) 등이 존재한다고 보고되어 있을 뿐 이들을 실제 축산 농가에서 적용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그 여부는 아직 밝혀진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가축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되어왔던 뽕잎에서 유효성분들을 추출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자돈의 사료효율 및 면역력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자돈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자돈용 사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돈용 사료첨가제는 뽕잎에서 분리되어 항산화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와 항균활성을 갖는 알칼로이드를 1.0 ~ 3.0 : 0.1 중량비로 포함하여, 자돈의 사료효율 및 면역력이 개선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자돈용 사료는 상기의 자돈용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특히 자돈용 사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자돈용 사료첨가제 0.0001~2.0 중량%가 함유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0.1~1.2 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면역력이 개선된 자돈을 사육하는 방법으로는 뽕잎에서 분리되어 항산화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와 항균활성을 갖는 알칼로이드를 1~3 : 0.1 중량비로 포함된 자돈용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자돈용 사료를 이유자돈 시기에 급여하여 사육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먹이로만 사용되고 하벌로 폐기되던 뽕잎을 유휴자원으로 활용함으로써 잠사 농가의 소득증대 효과를 갖게 되며, 또한, 본 발명의 자돈용 사료 첨가제를 통해 새로운 천연물 첨가제로 활용이 가능하여 자돈의 사료효율 및 면역성 개선효과 및 항생제 남용 방지로 국민 건강 증진효과를 갖게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 기술 등은 특별한 한정이 없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부터 뽕잎은 뽕나무과 식물로써, 정장 작용이나 변비의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식물이다. 뽕잎은 섬유질이 높아 변비를 치료하며 혈압을 내려주는 가바성분, 뇌혈관을 튼튼하게 해주는 루틴성분 등은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최근 가축의 사료첨가제로써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생리활성을 갖고 있다고 하여 단순히 사료첨가제로 사용될 뿐, 면역력이 약한 자돈(새끼돼지)에 대해서도 항생제 대체제로서의 적용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여부는 예측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뽕잎의 유효성분들을 추출한 후, 자돈의 면역력에 영향을 주는 성분들을 알아내었으며, 이들의 최적함유량을 통해 자돈의 사료효율을 개선시켜줌과 동시에 자돈의 면역개선효과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자돈의 면역력을 개선시켜주는데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으로는 뽕잎 유래인 플라보노이드와 알칼로이드 성분이다.
일반적으로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는 C6-C3-C6의 탄소 골격을 갖는 식물 색소를 통틀어 이르는 것으로, 주로 식물에서만 생산되는 화합물로서 강력한 항산화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칼로이드(alkaloid)는 질소를 함유하는 염기성 유기화합물로써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동물에 대해서 강한 생리작용 및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니코틴, 모르핀, 카페인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유효성분들은 뽕잎에서 손쉽게 다량의 함량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상기 뽕잎 유래 플라보노이드와 알칼로이드를 1.0 ~ 3.0 : 0.1 중량비로 포함된 사료첨가제를 자돈에 급여할 경우, 자돈의 면역력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는, 상대적으로 상기 플라보노이드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알칼로이드의 함량이 상기 중량비를 벗어날 경우 목적하는 자돈의 면역력은 오히려 떨어지게 되며, 알칼로이드가 갖고 있는 유해물질로 인해 자돈의 생체 증체율에 오히려 악영향을 미치게 되며, 상기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상기 알칼로이드 함량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초과할 경우 오히려 항균활성능이 떨어져 돼지 설사병 유래 세균 감염을 초래할 수 있어 오히려 자돈의 사료로써의 그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자돈용 사료첨가제는 통상적인 자돈용 사료에 첨가하여 사용하되, 자돈용 사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자돈용 사료첨가제 0.0001~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돈용 사료첨가제 0.1~1.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자돈용 사료 첨가제가 0.0001 중량% 미만 함유될 경우 상기의 본 발명이 목적하는 자돈의 면역력 증강효과가 미흡하게 나타나, 사료첨가제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며, 2.0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에는 오히려 추가되는 다른 재료들과의 융합하는데 적절하지 못하며, 경제적으로도 적합하지 않다.
이렇게 조성된 본 발명의 자돈용 사료는 전체 중 일부 사육기간에만 급여하는 것도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이유자돈(태어난지 3주이상 6주이내의 새끼 돼지)일 때 상기 본 발명의 자돈용 사료를 급이할 시 최적의 면역력 개선효과를 얻어 폐사율을 낮출 수 있게 되어 사료로써의 효율이 증대된다.
특히, 상기 본 발명의 자돈용 사료를 이유자돈을 대상으로 태어난지 3주때부터 매일 7주간 무제한 급이한 결과, 면역력이 개선된 자돈이 사육되어 폐사율은 낮아지고 오히려 자돈의 생체 증체율을 나타냄과 동시에 돼지 설사병 예방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먹이로만 사용되고 하벌로 폐기되던 뽕잎을 유휴자원으로 활용함으로써 잠사 농가의 소득증대 효과를 갖게 되며, 또한, 본 발명의 자돈용 사료 첨가제를 통해 새로운 천연물 사료첨가제로 활용이 가능하여 자돈의 사료효율 및 면역성 개선효과 및 항생제 남용 방지로 국민 건강 증진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예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는 아니함을 유의해야 한다.
<실시예 1과 2> 본 발명의 자돈용 사료 제조
1) 플라보노이드 추출
뽕잎 1kg에 8090% 에탄올 20L를 가하여 초음파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여 걸러져 나온 조추출액을 획득하였다.
상기 조추출액 획득 후 남겨진 뽕잎을 다시 모아 80~90%의 에탄올 20ℓ를 가한 후 초음파 추출기로 추출한 다음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는 과정을 총 2회 반복하여 추출액을 모았다.
이렇게 모아진 추출액을 상기 획득해둔 조추출액과 혼합한 후 이를 회전진공농축기를 이용하여 0.02%의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된 추출물 0.2g을 수득하였다.
2) 알칼로이드 추출
뽕잎 1kg을 50% 에탄올에 3회 추출하고 셀라이트(Celite)로 여과하여 알칼로이드가 함유된 조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이 조추출액을 이온교환수지(Amberlyst 15(H+, ρ7.0×76cm) 수지)에 적용하여 접착시켰다. 이 알칼로이드 물질이 접착된 수지를 50% 에탄올로 10회 세척하여 칼럼에 넣었다. 여기에 0.5N NH4OH을 넣어 알칼로이드 조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여기서 수득된 알칼로이드 조추출물을 회전진공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이를 다시 소량의 증류수에 녹여 이온교환수지(Dowex 1X2(OH-, ρ4.0×48cm) 수지)에 적용한 후에 물로 유출하고 농축하여 0.08%의 알칼로이드가 함유된 추출물 0.8g을 수득하였다.
3) 자돈용 사료첨가제 제조
상기 수득된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된 추출물과 알칼로이드가 함유된 추출물을 1.0:0.1 중량비로 혼합하여 자돈용 사료첨가제를 제조하였다.
4) 자돈용 사료 제조
시중에서 구입한 통상의 자돈용 사료로 사용되는 부형제(옥수수, 소맥, 대두박, 유장, 유당, 유지 등 자돈용 사료로써 흔히 사용되는 재료)를 준비하였다.
상기 제조된 자돈용 사료첨가제와 상지 준비한 부형제를 혼합하여 자돈용 사료를 형성하되, 상기 제조된 본 발명의 자돈용 사료첨가제가 0.5 중량%(실시예 1) 또는 1 중량%(실시예 2)가 함유된 자돈용 사료로 형성되도록 상기 자돈용 사료첨가제를 첨가하여 각각 1kg의 자돈용 사료를 제조하였다.
다시 말해, 상기 본 발명의 자돈용 사료첨가제가 사료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함유될 경우에는 플라보노이드 10mg과 알칼로이드 물질 4mg이 포함되어 있으며, 1.0 중량% 함유될 경우 플라보노이드 20mg과 알칼로이드 물질 8mg이 포함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비교예 1> 자돈용 사료1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사용한 상기 통상의 자돈용 사료용 부형제(옥수수, 소맥, 대두박, 유장, 유당, 유지 등 자돈용 사료로써 흔히 사용되는 재료)만으로 구성된 자돈용 사료1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2> 자돈용 사료2
상기 비교예 1에서 자돈용으로 통상적으로 쓰이고 있는 항생제(엠피실린)을 더 첨가하여 항생제 1%가 함유된 자돈용 사료2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일평균 증체량 및 사료효율 확인
1) 실험방법
시험 자돈방은 총 두 개로 1번 자돈방의 전체크기는 5.7m(W)×8.4m(L)로서, 중앙복도는 0.9m이며, 복도를 중심으로 좌우로 4개의 각 돈방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 돈방은 2.4m(W)×2.1m(L)로 9두를 사육한 A, B 실험구의 두당 사육면적은 0.56 ㎡으로 나타났다. 2번 자돈방의 크기는 4.3m(W)×8.4m(L)이며, 0.9m의 중앙통로를 중심으로 좌우로 각 돈방 4개씩 배열되어 있으며, 각 돈방은 1.7m(W)×2.1m(L)크기로 6두를 사육한 C, D구간의 단위사육면적은 0.595㎡로 두당 사육면적을 같게 하였으며, 우리나라 가축사육시설 단위면적당 적정 가축사육기준보다는 2배 이상 넓게 배치하였다.
평균 몸무게 7.05kg인 3주령 삼원 교잡종 (Landrace-Yorkshire-Duroc) 자돈 120두씩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2, 비교예 1과 2의 자돈용 사료를 각각 급여하였고, 체중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전체 시험돈을 체중별로 분류하고 1번 돈방 A 섹션에는 평균 5.86kg, B 섹션에는 평균 6.74kg을 배치시켰고, 2번 돈방 C 섹션에는 7.39kg, D 섹션에는 8.21kg의 자돈들을 난괴법(Randomized Block Design)으로 배치시켰다.
실험 자돈사 입실 시 자돈들의 몸무게는 5.05~9kg 범위이었으며, 21일 동안 실험을 거친 후 몸무게는 8.4~22.4kg 범위이었다.
사료는 매일 아침 8시 무제한 자유 급여하였으며, 익일 아침 8시에 잔량을 계량하여 일급여량을 결정하였다.
일급여량을 두수로 나누어 하기 식(1)과 같이 개체 당일 평균 일취식량(ADFI : Average Daily Feed Intake, kg/두/일)을 계산하였다.
몸무게는 일주일에 한번 아침 10시 돈형기(이동식 돼지 체중 전용 저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하기 식(2)와 같이 일증체량(ADG : Average Daily Gain, kg/두/일)을 구하였다.
1kg의 증체에 필요한 사료량(kg)을 뜻하는 사료효율(FE : Feed Efficiency)을 구하기 위해 하기 식(3)과 같이 일증체량을 일취식량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주별 그리고 전기간 동안의 일취식량, 일증체량 및 사료효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1) 일취식량(ADFI %)= (급이사료, kg- 남은사료, kg)/일/두[kg/일/두]
(2) 일증체량(ADG, %)= 총증체량/기간/두수, kg/일/두/[kg/일/두]
(3) 사료효율(FE, %)= 일증체량(kg/일/두)/일취식량(kg/일/두)
2) 실험 결과
그 결과, 하기 표 1과 같이 나타났다.
일자 구분
(%)
비교예 1
(무항생제)
비교예 2
(항생제)
실시예 1
(0.5% 사료첨가제)
실시예 2
(1% 사료첨가제)
0일~24일 ADFI(일취식량) 0.648 0.688 0.659 0.620
ADG(일증체량) 0.361 0.413 0.385 0.340
FE(사료효율) 0.557 0.600 0.584 0.548
25일~49일 ADFI 1.115 1.152 1.095 1.104
ADG 0.667 0.666 0.670 0.668
FE 0.598 0.578 0.612 0.605
0일~49일 ADFI 0.887 0.924 0.882 0.867
ADG 0.518 0.545 0.527 0.507
FE 0.584 0.590 0.597 0.585
상기에서 표 1에 나타나 있듯이, 25일~49일간의 사료효율(FE)를 보시면, 실시예 1를 급여한 군과 실시예 2를 급여한 군에서 사료효율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이유자돈들이 사료에 익숙해지고 충분히 소화, 흡수시킴으로서 항생제와 비슷한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전체 실험기간인 49일동안의 일취식량(ADFI), 일증체량(ADG) 및 사료효율(FE)를 보시면, 일증체량(ADG)와 일취식량(ADFI)은 비교예 2(항생제 함유)를 급여한 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사료효율(FE)에서는 실시예 1을 급여한 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항생제와 비교 했을때 비교적 적은 사료를 섭취하나 더 높은 생산성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실험예 2> 혈액분석
(1) 실험방법
혈액 검사는 뽕잎 사료의 이유자돈 급여시 이유자돈의 면역력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것으로서, 분석항목은 CBC Test, 면역세포(CD4, CD8, MHC Class Ⅱ) 분포, IgG, IgA 항체 검사이다.
혈액은 실험 종료 후 각 실험 군에서 6두씩 24두를 대상으로 채혈한 후, EDTA 튜브에 넣어 즉시 4℃에 보관하고, CBC 테스트를 위한 전혈은 바로 녹십자로 보내 분석하였으며, 항원 항체 반응을 위한 혈청분리는 3000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 분리 즉시 70℃에 냉동 후 녹십자에 의뢰하였다
CBC 테스트는 적혈구(red blood cell; RBC), 백혈구(white blood cell; WBC), 헤모글로빈(hemoglobin; Hb), 림프구(lymphocyte), 단핵세포(monocyte), 혈소판(platelet) 등의 임상병리적 수치를 나타내는 검사이며, 채혈된 전혈을 녹십자에 의뢰하여 자동혈액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하기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항목
(㎍/㎖)
주기
(일)
비교예1
(무항생제)
비교예2
(항생제)
실시예1
(0.5% 사료첨가제)
실시예2
(1% 사료첨가제)
IgG 0 13174 12707 12722 12868
49 17248 16654 15410 18406
IgA 0 393.1 354.0 396.9 381.3
49 698.4 594.7 693.4 721.2
RBC(B) 0 6.358 5.720 5.975 6.352
49 6.144 5.734 6.446 6.424
Hb 0 36.740 35.940 36.580 37.360
49 39.525 38.729 41.943 40.050
MCV 0 10.300 10.480 10.207 10.180
49 11.063 10.386 11.457 11.513
Monocyte 0 50.260 69.700 49.400 44.880
49 48.050 48.543 55.571 53.888
항체는 우리말로 면역글로불린이라고도 하며 생체의 면역계에서 혈액이나 림프 안에서 순환하면서 이물질인 항원 침입에 반응하는 방어물질로써, 항체는 B림프구 또는 세포에 의해 림프 조직에서 형성되는 글로불린계 단백질이다.
IgG는 가장 보편적인 항체로 대부분 혈액이나 체액에 전체 Ig(면역글로불린)의 75%를 차지한다. 항체는 항원과 결합하여 이것을 응집시키거나 그 활성을 상실하게 하고 항원을 보체의 도움을 받아 용해시키기도 하여 체내에서 제거한다.
항체는 혈청(血淸)속에 가장 많고, 어떤 특정한 항체를 포함하는 혈청을 항혈청 또는 면역혈청이라고 한다.
이에 상기 표 2에서 나타나듯이 이유자돈 실험 종료시 혈청 내 IgG 농도는 실시예 2에서 18406 ㎍/㎖로서, 비교예 1(무항생제)의 IgG 농도 17248 ㎍/㎖, 비교예 2(항생제 첨가)의 IgG 농도 16654 ㎍/㎖보다 각각 6.7%, 10.5% 정도 더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는 뽕잎 유래 유효성분들을 함유한 사료를 급여한 자돈이 경우 면역력이 무항제나 항생제군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IgA는 소장점막(小腸粘膜), 기도점막조직(氣道粘膜組織)에서 주로 생산되어, 감염방어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상기 표 2에서 나타나 있듯이, 이유자돈 실험 종료시의 혈청 내 IgA 함량은 실시예 2는 721.2 ㎍/㎖로서, 비교예 1의 IgA농도 698.4 ㎍/㎖, 비교예 2의 IgA 농도 594.7 ㎍/㎖보다 각각 3.2%, 21.3% 정도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1의 IgA농도는 693.4 ㎍/㎖로 비교예 2의 IgA농도보다 17.2%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혈청 내 IgA 함량을 보아도 이는 뽕잎 유래 유효성분들을 함유한 사료를 급여한 이유자돈의 면역력이 무항생제군과 항생제군보다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BC(Red Blood Cell, 적혈구)는 혈액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세포이며, 상기 표 2에 나타나 있듯이, 실시예 1의 RBC 농도는 6.446㎍/㎖이며, 실시예 2의 RBC 농도는 6.424㎍/㎖로써 비교예 1의 RBC농도 6.114㎍/㎖ 및 비교예 2의 RBC농도 5.734㎍/㎖보다 더 높은 수치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Hb(헤모글로빈)은 적혈구에 들어있는 산소를 운반하는 색소이다. 실험종료 후 혈액 내 헤모글로빈 함량은 실시예 1이 41.943 ㎍/㎖로 비교예 1의 39.525 ㎍/㎖보다 6.1%, 비교예 2의 38.729 ㎍/㎖보다는 8.3% 높게 나타났다. 이는, 혈액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세포인 적혈구의 산소를 운반하는 색소가 증가함으로 혈액내 산소 운반이 활발해지므로 뽕잎 유래 유효성분들이 첨가된 사료를 급여한 이유자돈의 체내 활성도가 증가되어 면역력이 증가될 것으로 사료된다.
MCV는 Mean Corpuscular volume (평균 적혈구 용적)의 약자로, 측정한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릿 치를 이용하여 계산한 수치로 빈혈증의 분류에 이용된다.
MCV는
Figure 112012092293888-pat00001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것으로서, 실험 시작때 보다 실험종료 시 MCV값이 전체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보아 이유자돈의 적혈구당 평균 용적이 늘어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상기 표 2에 나타나 있듯이, 비교예 1, 2보다 실시예 1, 2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뽕잎 유래 우효성분을 함유한 사료를 급여함으로써 평균 적혈구의 용적을 늘리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onocyte(단핵구)는 사람의 백혈구 중 4~8%를 차지하며 단핵세포로 골수나 비장의 조혈간세포로부터 발생하는 무과립 백혈구의 일종. 지름 13~21μm(평균 16.7μm)로 혈구 중 최대이다. 세균이나 진균 감염에 대한 방어 기능을 하며, 중요한 항원제시세포의 일종이다. 상기 표 2에 나타나 있듯이, 실시예 1의 단핵구 함량은 55.571 ㎍/㎖로 비교예 1의 48.050 ㎍/㎖보다 15.7%, 비교예 2의 48.543 ㎍/㎖보다는 14.5% 각각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돈용 사료를 급여한 군(실시예 1,2)에서 사료효율 및 면역력 개선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항생제 대체제로써 사용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시험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뽕잎을 80~90부피%의 에탄올로 추출한 후 여과한 다음 농축하여 항산화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된 추출물을 얻는 단계;
    뽕잎을 50부피%의 에탄올로 추출한 후, 여과하여 알칼로이드가 함유된 조추출액을 제조한 다음, 이를 이온교환수지에 접착시킨 후 50부피%의 에탄올로 세척한 다음 컬럼처리 후, 증류수에 녹여 다시 이온교환수지에 접착시킨 다음 물로 추출한 후 농축하여 항균활성을 갖는 알칼로이드가 함유된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항산화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와 항균활성을 갖는 알칼로이드를 1.0 ~ 3.0 : 0.1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유자돈의 사료효율 및 면역력이 개선되는 효과를 갖는 이유자돈용 사료첨가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한 이유자돈용 사료첨가제를 자돈용 사료의 총 중량대비 0.1~1.2 중량%로 포함되도록 하여 이유자돈용 사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유자돈용 사료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20126752A 2012-11-09 2012-11-09 자돈의 면역력 개선효과를 갖는 자돈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함유하는 자돈용 사료 KR101427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752A KR101427610B1 (ko) 2012-11-09 2012-11-09 자돈의 면역력 개선효과를 갖는 자돈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함유하는 자돈용 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752A KR101427610B1 (ko) 2012-11-09 2012-11-09 자돈의 면역력 개선효과를 갖는 자돈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함유하는 자돈용 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416A KR20140060416A (ko) 2014-05-20
KR101427610B1 true KR101427610B1 (ko) 2014-08-08

Family

ID=50889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752A KR101427610B1 (ko) 2012-11-09 2012-11-09 자돈의 면역력 개선효과를 갖는 자돈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함유하는 자돈용 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6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7387A (zh) * 2017-11-28 2018-04-20 广州广力莱生物科技有限公司 仔猪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仔猪饲料
CN112704161A (zh) * 2020-12-23 2021-04-27 奥格生物技术(六安)有限公司 一种仔猪饲料添加剂及其喂食方法
CN114287520A (zh) * 2021-12-23 2022-04-08 深圳市金新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饲料添加剂、制备方法以及应用、复合饲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192A (ko) * 2005-03-10 2006-09-19 (주)바이오뉴트리젠 항산화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체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가축사료첨가제조성물
KR20100056064A (ko) * 2008-11-19 2010-05-27 주식회사 바이오리쏘스 뽕잎을 함유하는 기능성 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192A (ko) * 2005-03-10 2006-09-19 (주)바이오뉴트리젠 항산화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체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가축사료첨가제조성물
KR20100056064A (ko) * 2008-11-19 2010-05-27 주식회사 바이오리쏘스 뽕잎을 함유하는 기능성 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416A (ko) 201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del‐Tawwab et al. Use of green tea, Camellia sinensis L., in practical diet for growth and protection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L.), against Aeromonas hydrophila infection
WO2018049243A1 (en) Feed additive comprising allicin
CN107602663B (zh) 一种苦荞麦活性肽及其应用
CN101843298B (zh) 一种饲料添加剂植物复合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2813064A (zh) 乳仔猪用植物提取物饲料添加剂
KR20100101742A (ko) 해산어류용 양식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해산어류 양식용 사료
Schneider, DJ*, Marasas, WFO**, Dale Kuys, June C.***, Kriek, NPJ & Van Schalkwyk A field outbreak of suspected stachybotryotoxicosis in sheep
KR101427610B1 (ko) 자돈의 면역력 개선효과를 갖는 자돈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함유하는 자돈용 사료
Agusetyaningsih et al. Effect of encapsulated leaf extract on the physiological conditions, immune competency, and antioxidative status of broilers at high stocking density
CN1224329C (zh) 中草药复方提纯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9007344A (zh) 一种抗奶牛热应激的复配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4543409A (zh) 一种饲料添加剂
KR101197682B1 (ko) 복합 사료첨가제 및 녹차발효생균제의 제조방법
Rivero et al. Biochemical parameters in sheep fed diet in presence of mixed Salix babylonica extract and exogenous enzyme as feed additives
KR101444402B1 (ko) 이유자돈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이유자돈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함유하는 이유자돈용 사료
Liepa et al. Effects of Hippophae rhamnoides L. leaf and Marc extract with reduced tannin concentration on the health and growth parameters of newborn calves
CN107019099A (zh) 一种绵羊单宁酸型饲料配方及其消化代谢测定方法
CN104137949B (zh) 博落回植株在饲料中的应用方法
Jiwuba et al. Haematology and serum biochemical profile of West African dwarf goats fed four phytogenic browse plant parts in their diets
WO1995001104A1 (fr) Additif alimentaire derive du the et aliments pour animaux le renfermant
Udoh et al. Growth performance and haematological response of Clarias gariepinus broodstock fed diets enriched with bitter leaf meal.
Zargar et al. Effect of Eugenia jambolana and Psidium guajava leaf meal mixture supplementation on antioxidant indices and immune responses in broiler chicks
Zuhra et al. Effects of probiotics and phytoextracts on growth and immunomodulating performances of broiler chickens.
KR20050123002A (ko) 가시오가피 추출물이 첨가된 어류양식용 사료
CN107455551A (zh) 麦胚发酵黄酮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在动物饲养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