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772B1 -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 - Google Patents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772B1
KR101426772B1 KR1020120107788A KR20120107788A KR101426772B1 KR 101426772 B1 KR101426772 B1 KR 101426772B1 KR 1020120107788 A KR1020120107788 A KR 1020120107788A KR 20120107788 A KR20120107788 A KR 20120107788A KR 101426772 B1 KR101426772 B1 KR 101426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jaw
mobile phone
kit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2043A (ko
Inventor
최동일
Original Assignee
최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일 filed Critical 최동일
Priority to KR1020120107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772B1/ko
Publication of KR20140042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4Frames
    • A45C13/06Frame clos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아이폰, 아이 패드 또는 각종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에워싸서 보호하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 스크린 둘레를 에워싸고, 중앙에는 휴대폰 스크린이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구를 형성하며, 세방향 측면 모서리로부터 돌출하여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연결판들을 구비한 커버; 상기 커버의 후방측에서 상기 커버와 나란하게 위치되는 판형 구조의 배면 부재; 및 상기 커버의 연결판들이 탈부착가능한 리무버 점착제를 상기 배면 부재의 후면에 구비한 점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연결판들을 배면 부재의 후면 점착부에 탈부착하여 상기 커버와 배면 부재의 사이에서 휴대폰 삽입부를 형성하고, 휴대폰을 보관하도록 구성된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MOBILE PHONE CASE IN KIT FORM}
본 발명은 휴대폰, 아이폰, 아이 패드 또는 각종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에워싸서 보호하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복잡한 제작 조립과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배면 부재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에 퍼즐(puzzle)을 맞추듯이 커버의 후면을 끼워 맞춰서 고정시키는 키트형 조립방식을 채용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캐릭터 등의 문양을 케이스 후면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개인의 기호에 맞춰서 케이스의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하고, 아름답게 꾸밀 수 있도록 된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케이스는 가죽이나 연질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휴대폰, 아이폰, 아이 패드 또는 각종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이하, 간략히 휴대폰이라 함)의 둘레면을 에워싸서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 유행은 다이어리형 타입의 휴대폰 케이스가 대세이며, 이와 같은 타입의 휴대폰 케이스(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은 플립(flip)으로서 커버(10)처럼 형성하고, 우측은 휴대폰 삽입부(20)의 형상으로 만들어서 휴대폰 삽입부(20)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휴대폰(30)을 삽입하고, 휴대폰(30)의 둘레면을 감싸서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다이어리형 타입의 휴대폰 케이스(1)는 커버(20)의 내측에 카드 수납부(12)를 형성하여 명함이나 카드와 같은 얇은 시트형체의 물건을 넣어 보관하는 것으로서, 휴대폰 케이스와 카드 지갑을 통합하여 휴대폰(30)과 함께 각종 명함이나 신용 카드를 보관하도록 개발된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다이어리형 휴대폰 케이스(1)는 그 사용상의 편리성이 우수하지만, 제작상 다단계의 복잡한 공정과, 제작 작업에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하여 제작 비용이 고가(高價)인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즉, 종래의 다이어리형 휴대폰 케이스(1)는 그 제작 공정이 아래와 같다. 먼저, 휴대폰 삽입부(20)는 그 전면이 휴대폰(30)의 스크린(32)을 둘러싸도록 철심(42)을 배치하고, 철심(42)을 감싸도록 가죽 질감의 겉감(45)을 덧대어서 형성한 반제품의 형태로 공급된다.
그리고, 휴대폰 삽입부(20)의 후면은 부드러운 재질의 안감(62), 얇은 플라스틱 재료(pet)의 제1 및 제2 보강재(64,66) 및 겉감(68)으로 이루어진 4겹의 재료들을 접착재(미 도시)로 적층하여 부착하고, 휴대폰의 형태와 같은 몰드(미 도시)에 반제품 형태의 휴대폰 삽입부(20) 전면을 고정한 다음, 숙련된 기술자가 접착제를 이용하여 후면을 일체로 부착시킨다.
또한 카드 수납부(12)가 형성되는 전방 커버(10)도 안감(72), 얇은 플라스틱 재료(pet)의 제1 및 제2 보강재(74,76) 및 겉감(78)으로 이루어진 4겹의 재료들을 접착재로 적층하여 일체화하고, 이를 휴대폰 삽입부(20)의 측면에 일체로 부착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다이어리형 휴대폰 케이스(1)는 그 제작 공정이 복잡하여 적어도 10단계 이상이 필요하고, 하나의 다이어리형 휴대폰 케이스(1)의 제작에 하나의 몰드는 반드시 필요하며, 결과적으로 10인의 숙련된 기술자가 10세트의 다이어리형 휴대폰 케이스(1)를 동시에 제작하고자 한다면, 10세트의 몰드가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이 제작된 종래의 다이어리형 휴대폰 케이스(1)는 상대적으로 고가(高價)의 제작비용으로 인하여 소비자가 쉽게 구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다이어리형 휴대폰 케이스(1)는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자는 휴대폰 케이스(1)의 외관을 개인의 취향에 맞춰서 다양하게 꾸미고가 하는 욕구가 있는데,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1)는 소비자의 취향을 반영할만한 선택의 여지가 없다.
단지 휴대폰 케이스(1)의 외면에 각종 캐릭터 또는 기호품의 스키터 정도를 부착하여 외관을 꾸미는 정도만이 가능하여서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을 특징적으로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작 과정에서 몰드 및 고도 기술의 숙련자가 필요하지 않아서 복잡한 제작 조립과정을 매우 쉽게 단순화할 수 있고, 직접 퍼즐(puzzle)을 맞추듯이 커버의 후면을 배면 부재에 끼워 맞춰서 고정시키는 키트형 조립방식을 채용하여 조립할 수 있음으로써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캐릭터 등의 문양을 케이스 후면에 형성할 수 있어서 개인의 기호 및 취향에 맞춰서 케이스의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하고, 아름답게 꾸밀 수 있으며, 필요시에는 각각 부품별로 선택적으로 구입이 가능하여 부품의 개별적인 호환이 가능한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폰을 에워싸서 내부에 보관하기 위한 케이스에 있어서,
휴대폰 스크린 둘레를 에워싸고, 중앙에는 휴대폰 스크린이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구를 형성하며, 세방향 측면 모서리로부터 돌출하여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연결판들을 구비한 커버;
상기 커버의 후방측에서 상기 커버와 나란하게 위치되는 판형 구조의 배면 부재; 및
상기 커버의 연결판들이 탈부착가능한 리무버 점착제를 상기 배면 부재의 후면에 구비한 점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연결판들을 배면 부재의 후면 점착부에 탈부착하여 상기 커버와 배면 부재의 사이에서 휴대폰 삽입부를 형성하고, 휴대폰을 보관하도록 구성된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면 부재는 그 후면에 상기 커버의 연결판들이 부착되는 위치를 표시하는 기준턱들이 연결판의 테두리를 따라서 돌출형성된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면 부재는 그 후면에 다양한 캐릭터들이 표시된 장식턱들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연결판에는 상기 장식턱의 형상에 일치하는 타공 구멍들이 형성되며, 상기 배면 부재에 상기 커버의 연결판이 부착되면, 상기 장식턱들이 타공 구멍에 위치하여 커버의 후방으로 노출됨으로써 장식효과를 갖도록 구성된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턱은 배면 부재의 상단 모서리를 가로지는 제1 턱과, 상기 제1 턱으로부터 직각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2 턱 및 상기 제2 턱의 끝단으로부터 배면 부재의 하단 모서리 양측으로 향해 호형으로 연장하는 제3 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의 연결판들은 제1 턱, 제2 턱 및 제3 턱의 측면에 각각 그 테두리가 밀착하도록 배면 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장식턱들은 상기 제1 턱, 제2 턱 및 제3 턱들을 제외한 배면 부재 상에 돌출형성된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식턱들은 상기 제1 턱, 제2 턱 및 제3 턱들 중의 어느 하나에서 배면 부재 상에 돌출형성된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면 부재는 그 전면에 안감이 부착되어 휴대폰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안감의 테두리에는 배면 부재로부터 돌출된 밀림 방지턱이 형성되어 장기간의 사용 중에 상기 배면 부재상에서 안감이 밀려서 위치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감의 두께는 배면 부재의 밀림 방지턱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휴대폰의 배면에 안감이 밀착되고 밀림 방지턱의 밀착은 회피되는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폰을 에워싸서 내부에 보관하기 위한 케이스에 있어서,
휴대폰 스크린 둘레를 에워싸고, 중앙에는 휴대폰 스크린이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구를 형성하며, 세방향 측면 모서리로부터 돌출하여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연결판들을 구비한 커버;
상기 커버의 후방측에서 상기 커버와 나란하게 위치되는 판형 구조의 배면 부재; 및
상기 커버의 연결판들을 일체로 고정시키는 접착제를 상기 배면 부재의 후면에 구비한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연결판들을 배면 부재의 후면 접착부에 일체로 부착하여 상기 커버와 배면 부재의 사이에서 휴대폰 삽입부를 형성하고, 휴대폰을 보관하도록 구성된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부의 접착제는 본드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인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의 연결판들은 배면 부재의 후면에서 그 모서리들이 서로 인접하여 일체로 부착된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에 의하면, 커버의 연결판들을 배면 부재의 후면 점착부에 탈부착하여 사용자가 직접 퍼즐(puzzle)을 맞추듯이 커버의 후면을 배면 부재에 끼워 맞춰서 고정시키는 키트형 조립방식을 채용하여 조립하고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그 제작 과정에서 종래와 같이 몰드 및 고도 기술의 숙련자가 필요하지 않아서 복잡한 제작 조립과정을 매우 쉽게 단순화할 수 있고, 커버의 연결판들도 종래의 4겹 판과는 다른 홑겹으로 제작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배면 부재의 그 후면에 기준턱들과 장식턱들이 돌출 형성되고, 장식턱들이 타공 구멍에 위치하여 커버의 후방으로 노출되며, 상기 장식턱에는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캐릭터의 문양, 좋아하는 연예인의 사진, 또는 각종 기호, 숫자 등을 형성하여 케이스 후면에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하여 사용자는 개인의 기호 및 취향에 맞춰서 케이스의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하고, 아름답게 꾸밀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의 연결판과 배면 부재는 언제라도 탈착이 손쉽고, 재부착이 가능한 리무버 점착제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커버가 사용으로 인하여 마모 또는 파손되는 경우, 배면 부재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새로운 커버로 교체할 수 있고, 사용 중에 배면 부재의 색상을 달리하거나, 또는 원하는 캐릭터의 문양, 좋아하는 연예인의 사진, 또는 각종 기호, 숫자 등을 바꾸고자 하는 경우, 커버는 그대로 두고 새로운 색상 또는 캐릭터로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한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다이어리형 휴대폰 케이스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의 전방 분해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의 후방 분해조립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의 후면이 기준턱과 장식턱들에 의해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춰서 다양하게 꾸며진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의 결합 측단면도로서, 각 구성부의 확대도를 상세히 도시한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의 변형 예를 도시한 분해 조립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의 변형 예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100)는 휴대폰(110)을 에워싸서 내부에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0)와 배면 부재(140)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120)와 배면 부재(140)를 연결시키는 점착부(160)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120)는 휴대폰 스크린(112) 둘레를 에워싸고, 중앙에는 휴대폰 스크린(112)이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구(122)를 형성하며, 세방향 측면 모서리로부터 돌출하여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연결판(130)들을 구비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연결판(130)들이 형성되지 않는 커버(120)의 모서리는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휴대폰(110)을 보관하는 휴대폰 삽입부의 입구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커버(120)는 휴대폰 스크린(112)를 노출시키는 개방구(122)를 따라서 종래와 같이 철심(42)이 내장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철심(42) 없이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개방구(122)를 중심으로 그 세방향 측면 모서리로부터 돌출하여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연결판(130)들은, 바람직하게는 종래의 겉감과 같은 가죽 재료 질감의 1겹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2중겹 이상으로 형성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100)는 상기 커버(120)의 후방측에서 상기 커버(120)와 나란하게 위치되는 판형 구조의 배면 부재(140)를 갖는다.
이와 같은 배면 부재(140)는 평판형 플라스틱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휴대폰(110)의 배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크기이면 무방하다.
이러한 배면 부재(140)는 그 후면에 상기 커버(120)의 연결판(130)들이 부착되는 위치를 표시하는 기준턱(142)들이 연결판(130)의 테두리를 따라서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은 기준턱(142)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부재(140)의 상단 모서리를 가로질러서 돌출된 제1 턱(144a)과, 상기 제1 턱(144a)의 중앙으로부터 직각으로 하향 연장되어 돌출되는 제2 턱(144b) 및 상기 제2 턱(144b)의 끝단으로부터 배면 부재(140)의 하단 모서리 양측으로 향해 호형으로 돌출하여 연장하는 제3 턱(144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다르게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부재(140)의 상단 모서리를 가로질러서 돌출된 제1 턱(144a)과, 상기 제1 턱(144a)의 중앙으로부터 벗어나서 일측으로 치우쳐서 직각으로 하향 연장되어 돌출되는 제2 턱(144b) 및 상기 제2 턱(144b)의 끝단으로부터 배면 부재(140)의 하단 모서리 양측으로 향해 비대칭의 호형으로 돌출하여 연장하는 제3 턱(144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배면 부재(140)의 기준턱(142)은 커버(120)의 연결판(130)들이 부착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기준턱(142)들을 이용하여 쉽게 연결판(130)의 테두리를 위치시키고, 제1 턱(144a), 제2 턱(144b) 및 제3 턱(144c)의 측면에 각각 연결판(130)의 테두리가 밀착하도록 부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배면 부재(140)는 그 후면에 상기 기준턱(142)과는 다르게, 다양한 캐릭터들이 표시된 장식턱(150)들이 돌출 형성되는데, 이러한 장식턱(150)은 상기 커버(120)의 연결판(130)에는 형성된 타공 구멍(135)들에 그 형상이 일치하며, 그에 따라서 상기 배면 부재(140)에 상기 커버(120)의 연결판(130)이 부착되면, 장식턱(150)들이 각각의 타공 구멍(135)에 위치하여 커버(120)의 후방으로 노출됨으로써 케이스의 후면을 장식효과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장식턱(150)들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턱(144a), 제2 턱(144b) 및 제3 턱(144c)들을 제외한 배면 부재(140) 상에 돌출형성된다.
또한, 이와 같은 장식턱(150)들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턱(144a), 제2 턱(144b) 및 제3 턱(144c)들 중의 어느 하나, 예를 들면 제2 턱(144b)상에서 배면 부재(140) 상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식턱(150)에는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캐릭터의 문양, 좋아하는 연예인의 사진, 또는 각종 기호, 숫자 등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면 부재(140)의 전면에 안감(154)이 부착되어 휴대폰(110)의 배면에 밀착되는데, 이러한 안감(154)의 테두리에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부재(140)로부터 돌출된 밀림 방지턱(15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밀림 방지턱(156)은 장기간의 사용 중에 상기 배면 부재(140) 상에서 안감(154)이 밀려서 위치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안감(154)의 두께(t)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부재(140)의 밀림 방지턱(156)의 높이(h)보다 크게 형성되어, 휴대폰(110)의 배면에는 안감(154) 만이 밀착되고 밀림 방지턱(156)은 밀착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100)는 상기 커버(120)의 연결판(130)들이 탈부착가능한 리무버 점착제를 구비한 점착부(160)를 갖는다.
이와 같은 점착부(160)는 커버(120)의 연결판(130) 또는 배면 부재(140)의 뒷면에 사전에 도포되어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커버(120) 또는 배면 부재(140)를 개별적으로 구입하여 호환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예를 들면, 상기 점착부(160)는 커버(120)의 연결판(130)과 배면 부재(140)의 탈착이 손쉽고, 재부착이 언제라도 가능한 리무버 점착제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커버(120)가 사용으로 인하여 마모 또는 파손되는 경우, 배면 부재(140)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새로운 커버(120)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르게는 사용 중에 커버(120)는 그대로 사용하고 배면 부재(140)의 색상을 달리하거나, 또는 원하는 캐릭터의 문양, 좋아하는 연예인의 사진, 또는 각종 기호, 숫자 등을 바꾸고자 하는 경우, 새로운 색상 또는 캐릭터로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100)는 커버(120)와 배면 부재(140)가 따로 따로 분리된 상태로 포장 및 판매되고, 사용자가 구입하여 이를 조립하고 사용할 수 있다.
즉, 커버(120)는 휴대폰(110)의 스크린(112)을 에워싸는 크기의 개방구(122)를 중앙에 형성하고, 개방구(122)의 세방향 측면 모서리로부터 연결판(130)들이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결판(130)은 다수의 타공 구멍(135)을 형성한 반제품의 상태로 판매되고, 배면 부재(140)는 전면에 안감(154)이 부착되고, 후면에는 기준턱(142)과 장식턱(150)이 형성된 상태로 판매된다.
그리고 점착부(160)는 이와 같은 커버(120)와 배면 부재(140)의 어느 쪽에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며, 바람직하게는 커버(120)의 연결판(130) 안쪽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버(120)와 배면 부재(140)를 구입한 후에, 도 4a 내지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20)의 연결판(130)들을 배면 부재(140)의 후면 점착부(160)에 부착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배면 부재(140)의 후면에 형성된 기준턱(142)과 장식턱(150)들을 이용하여 커버(120)의 연결판(130) 부착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고, 마치 퍼즐(puzzle) 블록을 끼워 맞추듯이 커버(120)의 연결판(130)을 배면 부재(140)의 후면에 끼워 맞춰서 점착부(160)를 이용하여 일체로 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버(120)의 연결판(130)이 배면 부재(140)에 부착되면, 기준턱(142)과 장식턱(150)들은 커버(120)의 연결판(130)들이 시용 중에 밀리거나 하여 위치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서로 부착된 커버(120)의 연결판(130)과 배면 부재(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20)와 배면 부재(140)의 사이에서 휴대폰 삽입부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휴대폰(110)을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휴대폰 삽입부의 내부로 휴대폰(110)을 삽입하거나 꺼내는 입구는 커버(120)에서 3개의 연결판(130)들이 부착되지 않은 빈 모서리이며, 상기 3개의 연결판(130)들은 커버(120)와 배면 부재(140)의 3방향 측면을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판(130)의 후면에는 연결판(130)의 타공 구멍(135)을 통하여 장식턱(150)들이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본인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캐릭터의 문양, 좋아하는 연예인의 사진, 또는 각종 기호, 숫자 등을 형성하여 케이스 후면에 노출시키고, 케이스의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하여 아름답게 꾸밀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200)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200)는 탈부착이 자유로운 리무버 접착제의 점착부(160) 대신에, 일반 접착제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212)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접착시킨 구조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200)는 휴대폰 스크린(112) 둘레를 에워싸고, 중앙에는 휴대폰 스크린(112)이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구(122)를 형성하며, 세방향 측면 모서리로부터 돌출하여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연결판(130)들을 구비한 커버(1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120)의 후방측에서 상기 커버(120)와 나란하게 위치되는 판형 구조의 배면 부재(14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커버(120)는 연결판(130)에 아무런 타공 구멍(135)이 형성되지도 않고, 상기 배면 부재(140)의 후면에는 기준턱(142) 또는 장식턱(150)이 형성되지 않은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20)의 연결판(130)들을 일체로 고정시키는 접착제를 상기 배면 부재(140)의 후면에 구비한 접착부(21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접착부(210)의 접착제는 본드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212)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변형 예는 상기 커버(120)의 연결판(130)들을 배면 부재(140)의 후면 접착부(210)에 일체로 부착하여 상기 커버(120)와 배면 부재(140)의 사이에서 휴대폰 삽입부를 형성하고, 휴대폰(110)을 보관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0)의 연결판(130)들을 배면 부재(140)의 후면에 접착부(210)의 양면 접착 테이프(212)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면, 연결판(130)의 모서리들은 서로 인접하여 일체로 부착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20)와 배면 부재(140)의 사이에서 휴대폰 삽입부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휴대폰(110)을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100)에 의하면, 커버(120)의 연결판(130)들을 배면 부재(140)의 후면 점착부(160) 또는 접착부(210)를 이용하여 부착하고, 사용자가 직접 퍼즐(puzzle)을 맞추듯이 커버(120)의 후면을 배면 부재(140)에 끼워 맞춰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그 제작 과정에서 종래와 같이 몰드 및 고도 기술의 숙련자가 필요하지 않아서 복잡한 제작 조립과정을 매우 쉽게 단순화할 수 있고, 커버(120)의 연결판(130)들도 종래의 4겹 판과는 다른 홑겹으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장식턱(150) 뿐만 아니라, 기준턱(142)에도 각종 색상을 도입하여 치장할 수 있고, 배면 부재(140)의 색상을 각각 다르게 형성하거나, 플라스틱 박판재료가 아닌 다른 재료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1: 다이어리형 휴대폰 케이스 10: 커버
20: 휴대폰 삽입부 30: 휴대폰
32: 스크린 42: 철심
45: 겉감 62,72: 안감
64,66,74,76: 제1 및 제2 보강재 68,78: 겉감
100,200: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 110: 휴대폰
112: 휴대폰 스크린 120: 커버
122:개방구 130: 연결판
135: 타공 구멍 140: 배면 부재
142: 기준턱 144a: 제1 턱
144b: 제2 턱 144c: 제3 턱
150: 장식턱 154: 안감
156: 밀림 방지턱 160: 점착부
210: 접착부 212: 양면 접착 테이프
h: 높이 t: 두께

Claims (10)

  1. 휴대폰을 에워싸서 내부에 보관하기 위한 케이스에 있어서,
    휴대폰 스크린 둘레를 에워싸고, 중앙에는 휴대폰 스크린이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구를 형성하며, 측면 모서리로부터 돌출하여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연결판들을 구비한 커버;
    상기 커버의 후방측에서 상기 커버와 나란하게 위치되는 판형 구조의 배면 부재; 및
    상기 커버의 연결판들이 탈부착가능한 리무버 점착제를 상기 배면 부재의 후면에 구비한 점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연결판들을 배면 부재의 후면 점착부에 탈부착하여 상기 커버와 배면 부재의 사이에서 휴대폰 삽입부를 형성하고, 휴대폰을 보관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부재는 그 후면에 상기 커버의 연결판들이 부착되는 위치를 표시하는 기준턱들이 연결판의 테두리를 따라서 돌출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부재는 그 후면에 다양한 캐릭터들이 표시된 장식턱들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연결판에는 상기 장식턱의 형상에 일치하는 타공 구멍들이 형성되며, 상기 배면 부재에 상기 커버의 연결판이 부착되면, 상기 장식턱들이 타공 구멍에 위치하여 커버의 후방으로 노출됨으로써 장식효과를 갖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턱은 배면 부재의 상단 모서리를 가로지는 제1 턱과, 상기 제1 턱으로부터 직각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2 턱 및 상기 제2 턱의 끝단으로부터 배면 부재의 하단 모서리 양측으로 향해 호형으로 연장하는 제3 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의 연결판들은 제1 턱, 제2 턱 및 제3 턱의 측면에 각각 그 테두리가 밀착하도록 배면 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장식턱들은 상기 제1 턱, 제2 턱 및 제3 턱들을 제외한 배면 부재 상에 돌출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턱들은 상기 제1 턱, 제2 턱 및 제3 턱들 중의 어느 하나에서 배면 부재 상에 돌출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부재는 그 전면에 안감이 부착되어 휴대폰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안감의 테두리에는 배면 부재로부터 돌출된 밀림 방지턱이 형성되어 장기간의 사용 중에 상기 배면 부재상에서 안감이 밀려서 위치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감의 두께는 배면 부재의 밀림 방지턱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휴대폰의 배면에 안감이 밀착되고 밀림 방지턱의 밀착은 회피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
  8. 휴대폰을 에워싸서 내부에 보관하기 위한 케이스에 있어서,
    휴대폰 스크린 둘레를 에워싸고, 중앙에는 휴대폰 스크린이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구를 형성하며, 측면 모서리로부터 돌출하여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연결판들을 구비한 커버;
    상기 커버의 후방측에서 상기 커버와 나란하게 위치되는 판형 구조의 배면 부재; 및
    상기 커버의 연결판들을 일체로 고정시키는 접착제를 상기 배면 부재의 후면에 구비한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연결판들을 배면 부재의 후면 접착부에 일체로 부착하여 상기 커버와 배면 부재의 사이에서 휴대폰 삽입부를 형성하고, 휴대폰을 보관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접착제는 본드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연결판들은 배면 부재의 후면에서 그 모서리들이 서로 인접하여 일체로 부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


KR1020120107788A 2012-09-27 2012-09-27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 KR101426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788A KR101426772B1 (ko) 2012-09-27 2012-09-27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788A KR101426772B1 (ko) 2012-09-27 2012-09-27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043A KR20140042043A (ko) 2014-04-07
KR101426772B1 true KR101426772B1 (ko) 2014-08-06

Family

ID=5065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788A KR101426772B1 (ko) 2012-09-27 2012-09-27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7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848Y1 (ko) * 2014-09-12 2015-07-28 (주)엠플러스 휴대단말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362B1 (ko) * 2017-12-04 2019-05-02 장민경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커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095U (ko) * 1996-11-29 1998-08-17 이순의 휴대폰 케이스와 접착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095U (ko) * 1996-11-29 1998-08-17 이순의 휴대폰 케이스와 접착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848Y1 (ko) * 2014-09-12 2015-07-28 (주)엠플러스 휴대단말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043A (ko) 201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116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izing consumer products
WO2005067596A2 (en) Customizable universal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640868B2 (en) Case assembly and method for covering and protecting a portable device
WO2013106375A1 (en)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60106192A1 (en) Hair Band With Interchangeable Designs
US20150014188A1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rims and a material
JP3159716U (ja) 携帯端末機用カバー
US8617683B2 (en) Decorative accessory
KR101426772B1 (ko) 키트형 조립식 케이스
KR101275371B1 (ko) 휴대용 단말기 커버와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용 금형
US20160270515A1 (en) Restickable vanity mirror
JP3162755U (ja) 携帯用情報機器保護ケース
KR100828475B1 (ko) 외장 테두리 교체형 휴대용 액세서리
JP3180750U (ja) 携帯型情報端末用ケース
KR101299676B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140004981U (ko)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JP2021141585A (ja) 補聴器用の装飾チップ
JP3182972U (ja) 三次元装飾パネル
KR102643989B1 (ko) 데코 글래스 시트를 포함하는 휴대폰용 보호 커버
JP2007027669A (ja) 電子装置のコンポーネント構造
KR20080063453A (ko) 휴대용 단말기 커버 및 그 제조방법
JP3216422U (ja) 携帯機器用の組立式カバー
WO2017073400A1 (ja) タブレットデバイスの背面および側面部分に柔軟な表皮材を貼り付けて外装被覆すること
JP3218152U (ja) スマートフォンケース
JP3184925U (ja) 携帯電子機器用保護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