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580B1 - 도킹 유닛을 갖는 이송 대차 - Google Patents

도킹 유닛을 갖는 이송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580B1
KR101426580B1 KR20100122271A KR20100122271A KR101426580B1 KR 101426580 B1 KR101426580 B1 KR 101426580B1 KR 20100122271 A KR20100122271 A KR 20100122271A KR 20100122271 A KR20100122271 A KR 20100122271A KR 101426580 B1 KR101426580 B1 KR 101426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driven
docking
docking member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22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0658A (ko
Inventor
김길영
허태욱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122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580B1/ko
Publication of KR20120060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58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킹 유닛을 갖는 이송 대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궤도 이동형 이송 대차를 일렬로 연결하기 위해, 각 이송 대차의 전방과 후방에 구비된 도킹 수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동일 궤도상을 이동하는 복수의 이송 대차가 앞뒤로 상호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각 이송 대차의 선단에 피동 도킹부재가, 그 후단에 능동 도킹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 대차의 피동 도킹부재가, 전진 방향으로 선행하는 타 이송 대차의 능동 도킹부재에 맞닿아, 상기 능동 도킹부재가 피동 도킹부재를 구속 연결하는 작동을 함으로써, 이동 대차 간의 연결 또는 분리를 위한 별도의 수단을 필요치 않고, 궤도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도킹 유닛을 갖는 이송 대차{CARRIER HAVING DOCKING UNIT}
본 발명은 도킹 유닛을 갖는 이송 대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궤도 이동형 이송 대차를 일렬로 연결하기 위해, 각 이송 대차의 전방과 후방에 구비된 도킹 수단에 관한 것이다.
공산품의 제조 라인은 컨베이어식 이송방식이 주류를 이루는데, 이송 대상물이 크고 조립할 부품이 많은 분담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천정에 궤도를 설치하고, 이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 대차에 이송 대상물을 현가하여 이동시키는 방식이 채용된다.
이송 대상물이 승용차 차체이고, 상기 이송 대차의 행거에 차체를 현가하여 이송하는 경우, 현가된 차체를, 예를 들어, 도장 라인으로 운반한 뒤, 도료 정착을 위한 베이킹 라인으로 운반하고, 이어서 패널 및 하네스 조립 라인으로 이송하게 된다.
그런데, 다품종 소량생산라인이나 주문 생산방식의 라인에서는, 예컨대, 도장 공정에 차체를 투입하기 앞서, 동일한 색상끼리 한꺼번에 묶은 다음 해당 공정에 투입하는 것이 가동율의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그리고, 동일한 색상으로 도색된 차체라도 전장(電裝)조립시에는 주문자 선택 옵션에 따라 다시 라인이 달라지므로, 제조공정상에서 이송 대차 간의 이합집산은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이러한 제조 라인에서 동일한 공정에 투입되는 복수의 이송 대차를 상호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해, 연결 및 분리수단이 구비된 특정 영역으로 일단 옮긴 다음 연결 또는 분리를 행하였다.
따라서, 연결 및 분리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곳에서 필요에 따라 이송 대차 간의 연결 또는 분리를 행하고자 할 때는, 연결된 이송 대차 모두를 다시 연결 및 분리 수단이 구비된 특정 영역으로 가져가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그리고, 개별 이송 대차를 연결 및 분리 수단이 구비된 특정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이송 대차 자체에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여 이송 대차의 하중이나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송 대차를 연결 및 분리 수단이 구비된 특정 영역으로 일일이 이동하지 않고, 궤도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한 도킹 유닛을 갖춘 이송 대차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동일 궤도상을 이동하는 복수의 이송 대차가 앞뒤로 상호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각 이송 대차의 선단에 피동 도킹부재가, 그 후단에 능동 도킹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 대차의 피동 도킹부재가, 전진 방향으로 선행하는 타 이송 대차의 능동 도킹부재에 맞닿아, 상기 능동 도킹부재가 피동 도킹부재를 구속 연결하는 작동을 함으로써, 궤도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도킹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피동 도킹부재는 상기 궤도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뻗는 피동 몸체와, 상기 피동 몸체의 단부에 궤도의 연장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롤러체와, 상기 롤러체와 상기 피동 몸체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피동 고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능동 도킹부재는 상기 궤도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뻗는 능동 몸체와, 그 단부에서 하향으로 구부러지는 능동 고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능동 도킹부재는 상기 이동 대차의 후방을 향해 수평방향과 상방 간을 선회가능하며, 상기 피동 도킹부재가 상기 능동 도킹부재에 도킹시, 상기 피동 도킹부재의 전방 단부가, 상기 능동 도킹부재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에 맞닿은 후 전방으로 더 진행하면, 상기 능동 도킹부재는 상방으로 밀려 선회하여, 상기 능동 고리부가 상기 피동 고리부에 걸림으로써, 전 후방의 이송 대차 간의 도킹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궤도에 지지되어, 상기 궤도와 이웃해서 나란히 뻗는 긴 판 형상을 갖고, 상기 이송 대차의 전진방향을 따라 상승하는 경사면과, 이 경사면에 연속되는 수평면을 갖는 도킹 해제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능동 고리부는 그 후방 단부에서 측방으로 뻗는 릴리스 바아(release bar)가 더 구비되며, 상기 릴리스 바아가, 상기 도킹 해제 플레이트의 상기 경사면 및 수평면을 따라 움직이고, 이와 연동하는 상기 능동 고리부가 상기 피동 고리부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상기 도킹 해제 플레이트를 전후하여 이송 대차의 도킹 해제가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피동 몸체를 하방으로 절곡가능하게 형성하고 탄성적으로 수평방향으로 복귀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피동 몸체의 전방 단부에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이 당겨지는 작용에 의해, 상기 궤도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이송 대차 간의 도킹 해제가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롤러체는 그 내부에 포함된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tch)에 의해 회전제어되며, 도킹 해제시 상기 능동 고리부로부터 상기 롤러체가 벗어날 때 상기 능동 고리부와의 마찰에 의해 상기 롤러체의 회전작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적용된 물류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이송 대차의 연결 및 분리를 위해 특정 장소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고, 궤도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물류 비용의 절감과, 제조 단가 저감, 운용의 편이성, 그리고 이송 대차의 하중 및 제조비용의 절감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제1 실시예에 의한 이송 대차 시스템의 개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도킹 과정을 설명하는 개략 측면도로서, (a)는 도킹 전을,(b)는 도킹 중을, (c)는 도킹 완료를 나타낸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도킹 해제 과정을 설명하는 사시도로서, (a)는 도킹 해제 전을, (b) 및 (c)는 도킹 해제 중을, (d)는 도킹 해제 완료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제2 실시예에서 피동 도킹부재에 의해 도킹 해제되는 것을 설명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의한 피동 도킹부재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제1 실시예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제1 실시예에 의한 이송 대차 시스템의 개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는, 예를 들어, 자동차 조립라인에서 차체를 파지하여, 천장에 식설된 궤도(101)를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 대차(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송 대차(100)는 차체를 착탈 가능하게 파지하는 행거(hanger)부(102)와, 상기 행거부(102)를 상기 궤도(101)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현가 지지하는 궤도 이동체(103)와, 상기 궤도 이동체(103)의 전방과 후방에 구비되어, 앞뒤 이송 대차 간을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도킹 유닛(1)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송 대차(100) 간의 연결수단을 '도킹 유닛'이라 한 것은, 궤도상에서 개별 이송 대차(100)끼리를 연결함에 있어, 별도의 외부 연결수단(예로, 종래의 안내판(guide plate)) 없이 자체에 구비된 수단에 의해, 정지상태에 있는 하나의 이송 대차(100) 쪽으로 다른 하나의 이송 대차가 이동 및 접근하여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전진 방향'이라 함은 이송 대차(100)의 전진 방향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송 대차 간의 원활한 결합과 분리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궤도 이동체(103)의 선단에는 피동 도킹부재(10)를, 후단에는 능동 도킹부재(20)를 구비하였으며, (이송방향의) 전방에 위치한 타 이송 대차의 능동 도킹부재(20)에, 선단의 피동 도킹부재(10)가 접근하여 맞닿아, 타 이송 대차의 능동 도킹부재(20) 자체가 작동 또는 활성화하여 피동 도킹부재(10)를 구속함으로써 전후방의 이송 대차(100)가 연결된다. 더욱이 이러한 도킹 작동은 궤도(101)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행할 수 있다는 것이, 종래와는 다른, 제1 실시예의 특징이다.
상기 피동 도킹부재(10)에 대해 설명하면, 그 구성은, 상기 궤도 이동체(103)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궤도(101)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수평방향으로 뻗는 형상을 갖는 피동 몸체(11)와, 이 피동 몸체(11)의 전방 선단에 전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롤러체(13)와 상기 피동 몸체(11)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구멍에, 후술하는 능동 고리부(22)가 걸리는 피동 고리부(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능동 도킹부재(20)에 대해 설명하면, 그 구성은, 상기 궤도 이동체(103)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궤도(101)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수평방향으로 뻗는 형상을 갖는 능동 몸체(21)와, 이 능동 몸체의 길이방향 연장선상에, 하향으로 구부러지는 형상으로 일체로 구비되는 능동 고리부(22)와, 이 능동 고리부(22)와는 반대측인 능동 몸체(21) 상에 상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스톱퍼(23)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능동 몸체(21)는 상기 궤도 이동체(103)의 후단에서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선회구간은 수평방향과 연직 상방 사이로 규정된다.
그리고, 상기 능동 고리부(22)의 외향 선단에는 경사면(24)이 형성되는데, 이 경사면(24)은 전방 하향 후방 상향 형상, 다시 말해, 전진하면서 하강하는 형태를 갖는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도킹 과정을 설명하는 개략 측면도로서, (a)는 도킹 전을,(b)는 도킹 중을, (c)는 도킹 완료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경사면(24)에 후방으로부터 상기 피동 도킹부재(10)의 선단이 닿은 후, 전진 방향으로 더 진행하면, 상기 능동 고리부(22)는 경사면(24)을 타고 밀려올라가 상방으로 선회하게 되며, 경사면(24)의 끝단을 지나 상기 피동 도킹부재(10)가 더 전진하면 상기 능동 고리부(22)는 그 자중에 의해 떨어져서 상기 피동 고리부(12) 후방에 걸리게 되고 이로써, 앞뒤 이송 대차(100) 간의 도킹이 완료된다.
한편, 궤도(101)상에서 앞뒤로 도킹 연결된 이송 대차(100)가 동일한 공정을 거치고 나서, 다음 단계로 서로 다른 공정으로 보내지기 위해 분리되어야 할 경우, 제1 실시예는, 도킹 해제 플레이트(30)라는 보조적인 외부 기구를 이용한다.
이 도킹 해제 플레이트(30)는, 궤도(101)상에서의 분리 또는 분기지점 전에 설치되며, 통상 해당 지점의 천정에 설치되거나, 궤도(101)의 지지로 설치되기도 하는데, 상기한 어느 형태로 설치되든지, 궤도(101)와 이웃해서 일정 길이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도킹 해제 플레이트(30)의 몸체는, 전체적으로 상기 궤도(101)와 이웃해서 나란히 뻗는 판 형상을 가지며, 이 몸체는 다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 대차의 전진방향으로 가면서 상승하는 형상의 경사면(31)과, 이 경사면(31)으로부터 전진 방향으로 연속되는 수평면(32)으로 나누어진다.
한편, 상기 능동 도킹부재(20)가 상기 피동 도킹부재(10)로부터 벗어날 때, 상기 도킹 해제 플레이트(30)의 상기 경사면(31)에 직접 닿지 않고, 전진하면서 간접적으로 경사면(31)을 따라 상승하도록, 상기 능동 도킹부재(20)의 단부에는 측방으로 수평하게 뻗는 릴리스 바아(release bar, 25)가 구비되는데, 이 릴리스 바아(25)는 전진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기도 하고 시간차를 두기 위해 직각보다 큰 각도 또는 직각보다 작은 각도로 설정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릴리스 바아(25)의 단부에는 선택적으로 롤러부재(26)를 구비하여 상기 경사면(31)과의 마찰이 줄어들게 할 수 있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도킹 해제 과정을 설명하는 사시도로서, (a)는 도킹 해제 전을, (b) 및 (c)는 도킹 해제 중을, (d)는 도킹 해제 완료를 나타낸다.
상기 릴리스 바아(25)가 전진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경사면(31)을 타고 상승하면, 이와 수평하게 설치된 상기 능동 고리부(22)도 상승하며, 상기 경사면(31)이 끝나 수평면(32)으로 옮겨가기 직전에 이미 상기 능동 고리부(22)는 피동 고리부(12)로부터 벗어나 있으며, 상기 수평면(32)을 타고 릴리스 바아(25)가 더 진전하고, 이어서 릴리스 바아(25)가 다른 경사면(33)을 타고 하강하기 직전에 이미 상기 능동 고리부(22)는 상기 피동 고리부(12)로부터 완전히 벗어나 있다.
그리고, 상기 릴리스 바아(25)가 상기 다른 경사면(33)으로부터 멀어지기 시작하면, 상기 능동 몸체(21)는 수평 상태로 복귀되어 다음의 도킹을 위한 대기상태로 된다.
위에서는 이송 대차(100) 간의 도킹시, 전방의 정지된 이송 대차에 후방의 전진 이동하는 이송 대차가 도킹하는 것만 설명되었으나, 이와 반대로 전방의 이송 대차가 후진하여 후방의 이송 대차에 도킹하는 경우도 가능함은 제1 실시예의 구성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제1 실시예가 적용되면, 궤도(101) 상의 특정 도킹 위치에서만 도킹이 가능하여 이 특정 도킹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개별 이송 대차(100) 각각에 원동수단이 구비되었던 종래와는 달리, 궤도(101)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이송 대차(100)간의 도킹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별 도킹으로 길게 연결된 일련의 이송 대차(100)군을 하나의 이동용 원동기로 이송시킬 수 있어, 이송 대차(100)의 하중 및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도킹 해제시에는 전방의 이송 대차가 견인하고, 후방의 이송 대차가 견인되는 상태에서는 도킹 해제 플레이트(30)가 설치된 영역을 통과하는 것이 원활한 도킹 해제를 위해 유리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제2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예는, 이송 대차(100) 간의 도킹은 임의의 위치에서 가능하고, 도킹의 해제는 도킹 해제 플레이트(30)가 설치된 구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요지로 하고, 제2 실시예는 도킹 및 해제가 궤도(101)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모두 행해질 수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제2 실시예에서 피동 도킹부재(10)에 의해 도킹 해제되는 것을 설명하는 개략 측면도이고, 도 5는 제2 실시예에 의한 피동 도킹부재(1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도킹 해제 플레이트(30) 없이 도킹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 상기 피동 도킹부재(10)에 구비된다.
상기 피동 도킹부재(10)는 수평한 피동 몸체(11) 중 상기 피동 고리부(12)의 근방 부분을 대략 90°의 각도로 하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하고, 하향으로 접히게 하는 힘은 작업자에 의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며, 이 하향으로 접히게 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피동 몸체(11)는 탄성적으로 수평 자세로 복귀한다.
이와 같은 작용을 가능케 하기 위해, 상기 피동 도킹부재(10)의 피동 몸체(11)에는, 상기 피동 고리부(12) 근방에서 90°로 하향으로 꺾어지는 관절부가 포함된다.
상기 관절부는, 상기 피동 몸체(11)를 전후방향으로 나누어 구성하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대차측의 후방 관절체(14)와, 피동 고리부 측의 전방 관절체(15)가 그것인데, 상기 후방 관절체(14)의 외측 상부에는 전진 방향으로 뾰족한 위 경사면(141)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해서 상기 전방 관절체(15)의 외측 상부에는 후방으로 뾰족한 아래 경사면(15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방 관절체(14)와 상기 전방 관절체(15)는, 위에서 내려다 볼 때 계단 형상 단부끼리 치합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후방 관절체(14)와 상기 전방 관절체(15)는, 상호 겹쳐진 측면 중앙 부근에 내장된 관절축(16)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 관절축(16)은, 상기 전방 관절체(15)측에 형성된 중공축(152)이, 상기 후방 관절체(14)측의 중공(142)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성되며, 여기에 상기 중공축(152) 내에 판 스프링(17)이 삽입되는데, 상기 판 스프링(17)의 일단은 상기 중공축(152) 내에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중공(142)에 고정된다.
상기 판 스프링(1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피동 고리부(12)를 하방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은, 상기 후방 관절체(14)와 상기 전방 관절체(15)는 수평으로 이어지는 수평 자세를 유지하고, 상기 피동 몸체(11)가 절곡되었다가 상기 전방 관절체(15) 및 피동 고리부(12)를 하방으로 당기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판 스프링(17)의 탄성적인 원상복귀력에 의해 상기 전방 관절체(15) 및 피동 고리부(12)가 상기 관절축(16)을 중심으로 선회하고, 상기 전방 관절체(15)의 아래 경사면(151)과 상기 후방 관절체의 위 경사면(141)이 대면하여 접촉함으로써, 복귀동작은 완료된다.
상기 피동 고리부(12) 및 상기 전방 관절체(15)를 하방으로 당기는 외력은, 상기 피동 고리부(12)의 끝단에 연결된 케이블(18)을 통해 전달되며, 상기 케이블(18)을 하방의 레버(도시 생략)에 연결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작동시키거나, 전자적 수단으로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동 고리부(12)는, 그 선단의 안쪽 측면에 고정되고, 전진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 지지하는 회전축(131)과, 이 회전축에 끼워지는 롤러체(13)로 구성되며, 여기에 추가하여, 상기 롤러체(13) 내에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하는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tch, 132)를 내장한다.
상기 원웨이 클러치(132)는, 도 4 상에서는 시계방향으로만 회전 가능, 즉 도킹 해제시 롤러체(13)가 상기 도킹부재의 능동 고리부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며, 따라서, 상기 케이블(18)를 당겨서 상기 능동 도킹부재(20)로부터 도킹 해제할 때, 보다 적은 힘으로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10: 피동 도킹부재
11: 피동 몸체
12: 피동 고리부
13: 롤러체
131: 회전축
132: 원웨이 클러치
14: 후방 관절체
141: 위 경사면
142: 중공
15: 전방 관절체
151: 아래 경사면
152: 중공축
16: 관절축
17: 판 스프링
18: 케이블
20: 능동 도킹부재
21: 능동 몸체
22: 능동 고리부
23: 스톱퍼
24: 경사면
25: 릴리스 바아
26: 롤러 부재
30: 도킹 해제 플레이트
31, 33: 경사면
32: 수평면
100: 이송 대차
101: 궤도
102: 행거부
103: 궤도 이동체

Claims (5)

  1. 동일 궤도상을 이동하는 복수의 이송 대차가 앞뒤로 상호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각 이송 대차의 선단에 피동 도킹부재가, 그 후단에 능동 도킹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 대차의 피동 도킹부재가, 전진 방향으로 선행하는 타 이송 대차의 능동 도킹부재에 맞닿아, 상기 능동 도킹부재가 피동 도킹부재를 구속 연결하는 작동을 함으로써, 궤도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도킹이 가능하고,
    상기 피동 도킹부재는 상기 궤도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뻗는 피동 몸체와, 상기 피동 몸체의 단부에 궤도의 연장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롤러체와, 상기 롤러체와 상기 피동 몸체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피동 고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능동 도킹부재는 상기 궤도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뻗는 능동 몸체와, 상기 능동 몸체의 단부에서 하향으로 구부러지는 능동 고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능동 도킹부재는 상기 이송 대차의 후방을 향해 수평방향과 상방 간을 선회가능하며,
    상기 피동 도킹부재가 상기 능동 도킹부재에 도킹시, 상기 피동 도킹부재의 전방 단부가, 상기 능동 도킹부재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에 맞닿은 후 전방으로 더 진행하면, 상기 능동 도킹부재는 상방으로 밀려 선회하여, 상기 능동 고리부가 상기 피동 고리부에 걸림으로써, 전 후방의 이송 대차 간의 도킹이 이루어지며,
    상기 피동 몸체를 하방으로 절곡가능하게 형성하고 탄성적으로 수평방향으로 복귀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피동 몸체의 전방 단부에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이 당겨지는 작용에 의해, 상기 궤도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이송 대차 간의 도킹 해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유닛을 구비하는 이송 대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체는 그 내부에 포함된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tch)에 의해 회전제어되며,
    도킹 해제시 상기 능동 고리부로부터 상기 롤러체가 벗어날 때 상기 능동 고리부와의 마찰에 의해 상기 롤러체의 회전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유닛을 구비하는 이송 대차.


KR20100122271A 2010-12-02 2010-12-02 도킹 유닛을 갖는 이송 대차 KR101426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2271A KR101426580B1 (ko) 2010-12-02 2010-12-02 도킹 유닛을 갖는 이송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2271A KR101426580B1 (ko) 2010-12-02 2010-12-02 도킹 유닛을 갖는 이송 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658A KR20120060658A (ko) 2012-06-12
KR101426580B1 true KR101426580B1 (ko) 2014-08-07

Family

ID=46611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22271A KR101426580B1 (ko) 2010-12-02 2010-12-02 도킹 유닛을 갖는 이송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5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5107B (zh) * 2019-05-10 2021-04-30 西安天智数字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悬挂输送系统的物料平衡装置及其使用方法
CN114179939A (zh) * 2021-12-13 2022-03-15 大连大学 一种不同尺寸汽车的组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3733A (ko) * 2008-10-21 2010-04-29 현대로템 주식회사 대차 반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3733A (ko) * 2008-10-21 2010-04-29 현대로템 주식회사 대차 반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658A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3409B2 (ja) トレーラ
US20110038698A1 (en) Motor driven ladder rack system
JP5793407B2 (ja) 無人搬送車による台車の自動搬送システム
CN104321161A (zh) 车身用部件安装系统
CN103848176A (zh) 搬运系统
KR101426580B1 (ko) 도킹 유닛을 갖는 이송 대차
CN106114090A (zh) 牵引连接器组件和牵引系统
CN104908794A (zh) 儿童车架
JP2018034718A (ja) 箱交換装置
CN108357586A (zh) 自动感应定位料车运输机器人
JP2017024576A (ja) 搬送用走行体利用の搬送装置
JP5578837B2 (ja) 自動車組立設備
CN208344276U (zh) 物流车
NL1043962B1 (en) Combination cargo slide and motorcycle loader
JP2009102105A (ja) 台車コンベア
KR101743465B1 (ko) 이송대차 시스템 및 이송대차 시스템의 고장차량 견인방법
CN110667713B (zh) 自驱物流移动平台
CN108068852B (zh) 可固定卡匣的台车装置
CN215042340U (zh) 一种用于物流车的自动上货装置
CN106428178A (zh) 婴儿载具的收合固定机构
CN215710249U (zh) 一种手动辅助卸货装置
JP4862305B2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供給システム並びに部品供給方法
JPH09142307A (ja) 運搬用台車
CN109664828A (zh) 一种分体式物流车及工作方法
CN111356811B (zh) 泊车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