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377B1 - 전기 자전거 - Google Patents

전기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377B1
KR101426377B1 KR1020120104084A KR20120104084A KR101426377B1 KR 101426377 B1 KR101426377 B1 KR 101426377B1 KR 1020120104084 A KR1020120104084 A KR 1020120104084A KR 20120104084 A KR20120104084 A KR 20120104084A KR 101426377 B1 KR101426377 B1 KR 101426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rame
longitudinal direction
bm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8025A (ko
Inventor
김정래
고창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20104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377B1/ko
Publication of KR20140038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62K11/10Frame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being over or beside driven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62M6/90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4/00Adaptations for driving cycles by electric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프레임에 내장되는 배터리의 고정을 위한 배터리 고정장치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배터리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간단하게 구성된 전기 자전거가 개시된다.
이러한 전기 자전거는 배터리의 고정구조가 간소화되면서도 배터리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배터리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배터리 주변의 전장부품이 배터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기 자전거{ELECTRIC BICYCLE}
본 발명은 전기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프레임에 내장되는 배터리의 고정구조가 개선된 전기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사용편리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체력소모를 줄이고자 모터를 구동력으로 주행하는 전기 자전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 자전거는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장착되는 바퀴, 페달, 손잡이 등을 구비하여 일반 자전거와 유사한 외형을 갖는다.
구동력 제공을 위한 모터는 전륜이나 후륜에 설치되며, 모터는 통상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한편, 최근의 전기 자전거의 경우 외관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장 부품이 프레임에 내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다른 전장부품에 비해 부피가 크고 무거운 배터리의 경우 프레임 내부에서 유동될 경우 자체적으로도 손상이 생기기 쉬울 뿐만 아니라 주변의 전장부품들까지 파손시킬 우려가 크기 때문에, 종래 전기 자전거에서는 프레임 내부 배터리를 복수의 체결부재를 통해 프레임 내면에 고정시키는 형태의 고정구조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고정시키고 있다.
따라서 종래 전기 자전거에서는 배터리 고정구조가 복잡해지면서 배터리의 설치 및 분리 작업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터리모듈을 프레임 내부에 내장되는 배터리의 고정구조를 간소화시킴과 동시에 배터리 및 배터리 주변의 전장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전기 자전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기 자전거는 바퀴의 구동을 위한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에 내장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배터리의 양단을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배터리 고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고정장치는 상기 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상기 배터리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배터리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와 상기 배터리의 양단 사이에 각각 압축되도록 개재된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에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완충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는 덮개를 통해 개폐되도록 출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배터리 고정장치는 상기 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상기 배터리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출입구 반대 쪽 상기 프레임에 마련된 제1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배터리의 타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덮개에 마련된 제2지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와 상기 배터리의 양단 사이에 각각 압축되도록 개재된 완충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에는 상기 배터리의 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비엠에스(BMS, Battery Management System)가 접속케이블을 통해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연결되고, 상기 비엠에스(BMS, Battery Management System)는 상기 프레임 내벽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된 비엠에스 서포터를 통해 상기 배터리 쪽으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내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하니스(harness)가 프레임의 일측 내벽을 따라 일렬로 배선되고, 상기 배터리는 폭방향 일측이 상기 하니스(harness)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내벽에 밀착되며, 상기 비엠에스 서포터에는 상기 하니스(harness)를 상기 프레임 내벽 쪽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하니스(harness)와 상기 비엠에스(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비엠에스 서포터는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 양쪽 내벽에 지지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프레임 지지부와, 상기 비엠에스(BMS, Battery Management System)를 상기 배터리 쪽으로 걸어 밀착시키도록 마련된 걸이부와, 상기 비엠에스(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표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지지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지지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프레임 지지부와 구획부와 걸이부는 상기 지지판부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는 프레임에 내장되는 배터리의 고정을 위한 배터리 고정장치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배터리의 양단을 지지하는 간단한 구조로 마련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기 자전거는 배터리의 고정구조가 간소화되면서도 배터리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배터리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배터리 주변의 전장부품이 배터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가 접힌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에 있어서 리어 프레임의 요부 사시도로, 출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에 있어서 리어 프레임의 요부 사시도로, 배터리 및 비엠에스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에 있어서 리어 프레임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를 절취선 A-A를 따라 절취한 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만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접혀진 상태에 있는 전기 자전거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는 프레임(100,200,300)을 통해 뼈대를 이루며, 프레임(100,200,300)은 전륜(10) 및 핸들부(20)가 마련되는 프론트 프레임(100)과, 후륜(50)이 마련되는 리어 프레임(300)과, 페달(30) 및 안장(40)이 마련되도록 프론트 프레임(100)과 리어 프레임(300) 사이에 위치되는 센터 프레임(200)을 포함한다.
보관이나 운반시 전기 자전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각각의 프레임(100,200,300)은 힌지결합부(400)를 중심으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프론트 프레임(100)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바 형태로 마련되어 일단에는 핸들튜브(110)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센터 프레임(2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핸들튜브(110)는 중공 형태로 마련되어 핸들스템(2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핸들스템(21)은 핸들튜브(110) 하측으로 전륜고정프레임(22)을 구비하고, 상측으로 핸들고정프레임(23)을 구비한다. 전륜고정프레임(22)은 전륜(10)과 후륜(50)이 동일선(도 2의 A 참조)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핸들스템(21)을 중심으로부터 측면으로 일부 밴딩하여 마련된다. 핸들고정프레임(23)은 바 형태의 핸들(24) 중심을 지지하며, 핸들(24)의 양 끝단에는 그립(25)과, 전륜(10) 및 후륜(50)의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 레버(26)가 각각 마련된다. 핸들(24)의 일측에는 전기 자전거의 변속, 배터리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27)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에는 모터의 온/오프와 변속을 위한 레버(28)가 설치된다.
센터 프레임(200)은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바 형태로 마련된다. 센터 프레임 상단 양측에는 프론트 프레임(100)의 후단과 리어 프레임(300)의 선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프론트 프레임(100)과 리어 프레임(300)은 센터프레임(200)의 좌우 양측으로 위치되도록 접힐 수 있게 된다.
센터 프레임(200)의 하단에는 발전기(210)가 설치되며, 발전기(210) 양측으로는 한 쌍의 페달(30)이 연결 된다. 발전기(210)는 페달(30)의 회전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고, 이러한 전기에너지는 배터리(60)로 공급되어 축전된다. 그리고 발전기(210) 상부 쪽으로 센터 프레임에는 전기 자전거의 전반적인 제어를 위한 전자제어유닛(70)이 마련된다.
또한, 센터 프레임(200)은 안장(4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새들 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새들 프레임(220)은 안장(40)을 설치할 수 있는 안장튜브(42)를 후방에 구비하며, 안장튜브(42)에는 안장(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새들봉(52)이 결합된다.
리어 프레임(300)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바 형태로 마련되어 일단에는 후륜(5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에는 센터 프레임(2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리어 프레임(300) 안정감을 높이기 위해 후방 쪽으로 다소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어 프레임(30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배터리(60)와, 비엠에스(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80) 등이 마련된다. 비엠에스(80)는 배터리(60)의 전반적인 관리를 위한 것으로, 배터리(60)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조건에서 배터리(6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 관리하고, 배터리(60)의 교체시기를 예측하여 배터리(60) 관련 문제를 사전에 발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후륜(50)에는 모터(52)가 설치된다. 모터(52)는 배터리(6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후륜(50)을 회전시킴으로써 전기 자전거에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 전륜(10) 및 후륜(50)에는 상기 브레이크레버(26)의 동작 시 회전력이 제한을 위한 제동부재로서 디스크(14,54) 및 마찰 패드가 장착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자전거는 사용자가 레버(28)를 조작하여 모터(52)를 구동시킴에 따라 후륜(50)이 회전하면서 주행이 가능하게 상태가 된다. 이때 발로 페달(30)을 회전시키면, 페달(30)의 회전력은 발전기(210)에서 전기에너지로 변환되고, 변환된 전기에너지는 배터리(60)에 축전되어 배터리(60)의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배터리(60)는 발전기(210)를 통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충전기를 통해 충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프레임(100,200,300)의 접철동작을 위해 상기 힌지결합부(400)는 프론트 프레임(100)의 단부에 마련되는 프론트 힌지결합부(410)와, 리어 프레임(300)의 단부에 마련되는 리어 힌지결합부(430)와, 센터 프레임(200)의 단부에 마련되는 센터 힌지결합부(420)를 포함한다. 프론트 힌지결합부(410)와 리어 힌지결합부(430)는 센터 힌지결합부(420)의 좌우 측면에 결합된다.
각 힌지결합부(410,420,430)는 전륜(10)과 후륜(50)이 형성하는 직선(A)에 대해 약 6도 정도의 경사각(θ)을 갖는다. 이는 자전거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전륜(10)과 후륜(50)이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하며, 접철된 상태에서는 전륜(10)과 후륜(50)이 나란하게 병렬로 위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프레임(100,200,300) 사이가 접힌 상태에서 프론트 프레임(100)과 리어 프레임(300)은 센터 프레임(200)의 좌우 양측으로 위치된다. 펼쳐진 상태에서 프레임(100,200,300)의 접철 동작을 차단 또는 허용하도록 힌지결합부(400) 일측으로는 작동레버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힌지결합부(400)를 중심으로 프론트 프레임(100)과 리어 프레임(300)을 센터 프레임(200) 양측에 위치되도록 프레임(100,200,300)을 접을 수 있게 되어 이동이나 보관시 전기 자전거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모터(52)로 전력을 인가하는 상기 배터리(60)는 배터리 고정장치(500)를 통해 리어 프레임(300)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고정되는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고정장치(500)는 리어 프레임(300)의 길이방향으로 배터리(60)의 양단을 지지하는 단순한 형태로 마련되어 배터리(60)가 리어 프레임(300) 내에서 리어 프레임(300)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면서도 배터리(60) 고정구조를 간소화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배터리(60)는 리어 프레임(300)에 내장되어 모터(52)와의 접속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고 있으나, 모터(52)와의 인접효과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배터리(60)는 프론트 프레임(100)이나 센터 프레임(200)에도 내장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배터리 고정장치(500) 및 배터리(60) 고정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리어 프레임(300) 일측면에는 배터리(60) 등 리어 프레임(300) 내부 전장품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310)가 형성되고, 출입구(310)는 덮개(320)를 통해 개폐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리어 프레임(300) 내부에는 상기 배터리(60)와 함께 상기 비엠에스(80) 및 릴레이유닛(700)이 함께 내장되도록 된다. 배터리(60)의 경우 리어 프레임(300) 내부 출입구(310) 일측으로 수용되고, 비엠에스(80) 및 릴레이유닛(700)은 출입구(310) 쪽으로 수용된다.
덮개(320) 외곽과 출입구(310) 둘레의 리어 프레임(300)에는 덮개(320)의 고정을 위해 체결부재(330)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341,342)이 마련되며, 이에 따라 배터리(60) 및 비엠에스(80)와 릴레이유닛(700)이 차례로 출입구(310)를 통해 리어 프레임(30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덮개(320)는 체결부재(330)를 통해 출입구(310)를 덮도록 고정된다.
배터리 고정장치(500)는 리어 프레임(300)의 길이방향으로 배터리(60)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출입구(310) 반대 쪽 리어 프레임(300)에 마련된 제1지지부(510)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배터리의 타단을 지지하도록 덮개(320)에 마련된 제2지지부(520)와, 제1 및 제2지지부(510,520)와 배터리(60)의 양단 사이에 각각 압축되도록 개재된 한 쌍의 완충부재(5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지지부(510,520)와 상기 완충부재(530)의 지지가 용이하도록 배터리(60) 양단에는 대각방향으로 지지턱(61,62)이 단차지게 마련된다. 제1지지부(510)는 리어 프레임(300) 내벽을 안쪽으로 돌출시켜 형성되며, 제2지지부(520)는 덮개(320)의 선단 내면에 고정되어 덮개(320)가 출입구(3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완충부재(530)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530)는 실리콘과 같이 신축이 용이한 재질을 통해 육면체 형태로 구성되며, 이러한 완충부재(530)에는 신축작용의 증대를 위해 리어 프레임(3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완충홀(531)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덮개(320)가 출입구(3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완충부재(530)는 제1 및 제2지지부(510,520)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배터리(60)의 양단을 지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배터리(60)는 제1 및 제2지지부(510,520)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리어 프레임(300)의 길이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됨은 물론 외부로부터 가해진 충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배터리(60)에는 상기 비엠에스(80)가 접속케이블(80a)을 통해 리어 프레임(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이어 연결된 상태로 접속되며, 이와 같은 비엠에스(80)는 끼움방식으로 리어 프레임(300) 내벽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비엠에스 서포터(600)를 통해 배터리(60) 쪽으로 밀착되어 고정된다.
비엠에스 서포터(600)는 비엠에스(80) 표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지지판부(610)와, 리어 프레임(300)의 폭방향 양쪽 내벽에 지지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프레임 지지부(620)와, 비엠에스(80)를 배터리(60) 쪽으로 걸어 밀착시키도록 마련된 걸이부(630)를 구비하며, 프레임 지지부(620)와 걸이부(630)는 지지판부(610)의 외곽에 지지판부(610)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비엠에스 서포터(600)는 프레임 지지부(620)가 리어 프레임(300)의 폭방향 내벽에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판부(610)를 통해 출입구(310) 쪽을 향하는 비엠에스(80)의 표면을 덮게 되고 동시에 상기 걸이부(630)를 이용하여 배터리(60) 반대 쪽 비엠에스(80) 단부를 걸어 배터리(60) 쪽으로 안전하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걸이부(630)는 배터리(60) 반대 쪽 비엠에스(80) 단부에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지지턱(81)에 걸리도록 마련된다.
참고로 비엠에스 서포터(600) 프레임 지지부(620)가 리어 프레임(300)의 길이방향으로도 걸릴 수 있도록 리어 프레임(300)의 폭방향 양쪽 내벽은 요철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배터리 고정장치(500)를 통해 고정된 배터리(60)에 접속케이블(80a)을 통해 연결된 비엠에스(80)는 단순한 끼움방식의 비엠에스 서포터(600)만을 통해서도 배터리(60) 쪽으로 밀착된 상태로 간단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터리(60)와 비엠에스(80)가 리어 프레임(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이어 연결된 구조에서는 배터리(60) 및 비엠에스(80)의 설치구조를 이용하여 리어 프레임(300)에 배선되는 하니스(harness) (90)를 정렬시키는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60)는 폭방향 일측이 하니스(90)가 개재된 상태에서 리어 프레임(300) 내벽에 밀착되고, 비엠에스 서포터(600)에는 하니스(90)와 비엠에스(80) 사이를 구획하도록 구획부(640)가 더 마련된다. 구획부(640)는 프레임 지지부(620) 사이의 지지판부(610)로부터 프레임 지지부(620) 및 걸이부(630)와 동일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된다.
따라서 리어 프레임(300) 내부에 배선된 하니스(90)는 배터리(60) 쪽이 배터리(60)와 리어 프레임(300) 내벽 사이를 통해 고정되고, 비엠에스(80) 쪽이 구획부(640) 및 구획부(640)에 인접한 프레임 지지부(620) 사이를 통해 안내되면서 리어 프레임(300) 일측 내벽을 따라 일렬로 정렬될 수 있게 된다.
비엠에스 서포터(600)는 출입구(310)에 결합되는 덮개(320) 내면을 통해 지지판부(610)가 가압됨에 따라 비엠에스(80)를 보다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배터리(60) 및 비엠에스(80) 고정구조에서는 덮개(320)를 통해 출입구(310)를 개방시키고, 비엠에스 서포터(600)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배터리(60) 및 비엠에스(80)가 바로 출입구(310)를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되므로, 배터리(60) 및 비엠에스(80)의 분리 작업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60: 배터리 80: 비엠에스
300: 리어 프레임 310: 출입구
320: 덮개 500; 배터리 고정장치
510: 제1지지부 520: 제2지지부
530: 완충부재 531: 완충홀
600: 비엠에스 서포터 610: 지지판부
620: 프레임 지지부 630: 걸이부
640: 구획부

Claims (7)

  1. 바퀴의 구동을 위한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에 내장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배터리의 양단을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배터리 고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에는 상기 배터리의 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비엠에스(BMS, Battery Management System)가 접속케이블을 통해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연결되고,
    상기 비엠에스(BMS, Battery Management System)는 상기 프레임 내벽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된 비엠에스 서포터를 통해 상기 배터리 쪽으로 밀착되며,
    상기 프레임 내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하니스(harness)가 프레임의 일측 내벽을 따라 일렬로 배선되고,
    상기 배터리는 폭방향 일측이 상기 하니스(harness)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내벽에 밀착되며,
    상기 비엠에스 서포터에는 상기 하니스(harness)를 상기 프레임 내벽 쪽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하니스(harness)와 상기 비엠에스(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부가 마련되고,
    상기 비엠에스 서포터는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 양쪽 내벽에 지지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프레임 지지부와, 상기 비엠에스(BMS, Battery Management System)를 상기 배터리 쪽으로 걸어 밀착시키도록 마련된 걸이부와, 상기 비엠에스(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표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지지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지지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프레임 지지부와 구획부와 걸이부는 상기 지지판부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전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고정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배터리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배터리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와 상기 배터리의 양단 사이에 각각 압축되도록 개재된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전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에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완충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전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덮개를 통해 개폐되도록 출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배터리 고정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배터리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출입구 반대 쪽 상기 프레임에 마련된 제1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배터리의 타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덮개에 마련된 제2지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와 상기 배터리의 양단 사이에 각각 압축되도록 개재된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전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104084A 2012-09-19 2012-09-19 전기 자전거 KR101426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084A KR101426377B1 (ko) 2012-09-19 2012-09-19 전기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084A KR101426377B1 (ko) 2012-09-19 2012-09-19 전기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025A KR20140038025A (ko) 2014-03-28
KR101426377B1 true KR101426377B1 (ko) 2014-08-05

Family

ID=50646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084A KR101426377B1 (ko) 2012-09-19 2012-09-19 전기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3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7877A (ja) * 1994-12-07 1996-08-13 Honda Motor Co Ltd 電動2輪車のバッテリケース取付構造
JPH08207874A (ja) * 1995-02-01 1996-08-13 Yamaha Motor Co Ltd 電動自転車
JPH11105758A (ja) * 1997-09-30 1999-04-20 Honda Motor Co Ltd 電動補助自転車のバッテリ収納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7877A (ja) * 1994-12-07 1996-08-13 Honda Motor Co Ltd 電動2輪車のバッテリケース取付構造
JPH08207874A (ja) * 1995-02-01 1996-08-13 Yamaha Motor Co Ltd 電動自転車
JPH11105758A (ja) * 1997-09-30 1999-04-20 Honda Motor Co Ltd 電動補助自転車のバッテリ収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025A (ko) 201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4970B2 (en) Bicycle frame with battery mount
TWI507321B (zh) 電動車輛
US20220306240A1 (en) Bicycle frame with battery mount
US20170210443A1 (en) Bicycle frame with reinforced motor mount
US9580141B2 (en) Bicycle frame with improved battery mount
US20110240391A1 (en) Electric Two-Wheeler
EP2623404B1 (e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TWI477025B (zh) 充電器
TW201400346A (zh) 電動式跨騎型車輛
KR20140038024A (ko) 전기 자전거
US20180072380A1 (en) Ebike battery with integral control panel
JP5254164B2 (ja) 電動二輪車
JP6679459B2 (ja) 自転車用電力供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自転車用電動装置
KR101426377B1 (ko) 전기 자전거
TW201917058A (zh) 電動車輛的電池收納裝置
JP6121391B2 (ja) 鞍乗り型電動車両
TW201919944A (zh) 跨騎型車輛之電池裝卸構造
JP2011152900A (ja) 電動式自動二輪車の運転シート構造
JP5493918B2 (ja) 電動式自動二輪車のバッテリ着脱構造
JP3945678B2 (ja) 電動補助自転車用バッテリ収納装置および電動補助自転車
JP4572046B2 (ja) 自転車用キャリア
JP4940379B1 (ja) ペット搬送具
JP4181294B2 (ja) 電動補助自転車
JP5712091B2 (ja) 自動二輪車
KR101765565B1 (ko) 전기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