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185B1 -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로부터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제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로부터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제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185B1
KR101426185B1 KR1020127026011A KR20127026011A KR101426185B1 KR 101426185 B1 KR101426185 B1 KR 101426185B1 KR 1020127026011 A KR1020127026011 A KR 1020127026011A KR 20127026011 A KR20127026011 A KR 20127026011A KR 101426185 B1 KR101426185 B1 KR 101426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liquid
gas stream
fatty acid
aque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8803A (ko
Inventor
라이마르 엥가르트
디트마르 카샤
프란크 샤렌바흐
Original Assignee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오하이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37136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2618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오하이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오하이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138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1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9/00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 C09D9/04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with surface-active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71Paint detackifiers or coagulants, e.g. for the treatment of oversprays in paint spraying install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6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wash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 B05B14/462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wash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and separating the excess material from the washing liquid, e.g. for recove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14Paint was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수성 분리 액체 및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로부터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i) 가스 스트림을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에 통과시키는 단계; ii) 상기 페인트 부스를 통해 유동하는 상기 가스 스트림과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접촉시켜, 페인트 입자 또는 액적이 분산된 페인트-담지된 가스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 iii) 상기 가스 스트림의 유동 경로 내에 위치된 표면 상에 상기 수성 분리 액체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유동성 액체 막을 형성하는 단계; iv) 상기 가스 스트림을 수성 분리 액체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유동성 액체 막과 접촉하도록 상기 페인트-담지된 가스 스트림을 상기 표면으로 보내어 상기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페인트 입자 또는 액적을 분리 액체로 전달하여 제 1 페인트-담지된 분리 액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v) 상기 제 1 페인트-담지된 분리 액체 및 감소된 페인트 담지량을 갖는 가스 스트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로부터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제거하는 방법{PROCESS FOR REMOVING PAINT OVERSPRAY FROM A PAINT SPRAY BOOTH}
본 발명은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로부터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제거하는 방법,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로부터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한 기판 페인팅 방법, 및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로부터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제거하는 방법에 적합한 수성 분리 액체에 관한 것이다.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로부터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제거하는 70여 개의 방법이 공지되었으며, 여기서 페인트는 배플 구조체 상에서 연속 유동하는 액체 스트림 내에 수집된다. US 3,932,151는 작업 또는 스프레이 페인팅 영역, 배출 챔버(exhaust chamber) 및 배출 스택(이들은 함께, 작업 또는 스프레이 페인팅 영역에서 주입구를 갖고 스택에서 배출구를 갖는 공기 통로(air passage)를 한정한다)을 갖는 스프레이 부스 구조체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페인트 작업부(paint operation)의 근처에서 공기로부터 과량의 분무화된(atomized) 페인트를 제거하기 위한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를 개시하며, 상기 공기 통로 내부에는 주입구 및 배출구를 통해 공기를 고속으로 흡인하기 위해 팬(fan)이 설치된다. 상기 스택으로부터 배출되기 전에 공기로부터 오버스프레이 또는 과량의 분무화된 페인트를 제거할 목적으로 스프레이 페인팅 영역과 배출 챔버 사이의 통로에 복수의 일반적으로 수직형인 배플이 배치된다. 공기 스트림 내의 페인트 고체를 비말동반하기 위해 상기 배플의 전방 표면 위로 미네랄 오일이 연속적으로 유동되고, 상기 오일은 상기 페인트 고체가 침전되는 저장소 또는 보유 탱크 내에 수용되고, 이로부터 상기 오일은 배플에 대해 하향류로 재순환된다. US 3,932,151의 교시에 따르면, 상기 공정의 수행에 미네랄 오일이 필수적인데, 이는 페인트가 상기 오일에 의해 화학적으로 개질되지 않으므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상기 미네랄 오일이 상기 배플로부터 상기 오일의 스트리핑 없이 고속 기류를 허용하기 때문이다. 예상치 못하게, US 3,932,151에 기재된 시스템은 화재 위험성 또는 폭발 위험성을 겪지 않았으며, 이는 페인트 성분이 비-연소성 미네랄 오일에 혼입되기 때문이다.
유사한 기술이 GB-A 2 001 258에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또한 오일의 사용이 추천되는데, 이는 오일이 페인트 고체를 완전히 습윤화시킬 수 있어서 오일이 추출된 후에 페인트를 회수하고 재가공할 수 있는 적합한 담체가 되기 때문이다. 페인트-담지된 가스 스트림이 볼록형 트로트(throat)를 통과하여 가스 매질 및 세척액이 비-난류성(non-turbulent) 일방향 유동에 의해 가속화되는 GB-A 2 001 258에 개시된 특정 배열에서, 세척 매질은 또한 물 및 수혼화성 오일의 혼합물이어서, 오일 단독 사용 시의 부수 비용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오일의 장점에 기인한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GB-A 2 001 258의 교시에 따르면 오일을 여전히 함유하는 수성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상당히 많은 양의 세척액이 볼록형 트로트에서 가스 스트림과 함께 가속화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GB-A 2 001 258의 교시에 따르면, 페인트-담지된 가스 스트림은, 물을 함유할 수 있는 상당히 큰 벌크 부피의 세척액과 접촉되지만, 또한 볼록형 트로트에서 상기 가스 스트림과 함께 가속되어야 한다. 이와는 반대로, US 3,932,151의 교시에 따르면 예컨대 배플 표면 상의 박막의 경우 미네랄 오일이 필수적이다.
DE-A-25 51 251에는 스프레이 부스로부터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제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스프레이 부스의 하부에서 2개의 경사(inclined) 플레이트가 V형으로 배열되어 양 플레이트가, 슬롯이 이들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정도로 중첩된다. 상기 플레이스 상에 세척액의 유동 막이 적용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중첩에 의해 세척액은 하나의 플레이트로부터 다른 플레이트로 유동하여, 페인트-담지된 가스 스트림이 세척액의 커튼을 통해 유동하도록 양 플레이트 사이의 갭을 커버하는 세척액의 커튼을 생성한다. DE-A-25 51 251은 세척액을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단지, 페인트가 유기 용매, 예컨대 자일렌 및 톨루엔을 함유하거나 용매로서 지방족 탄화수소를 갖는 비-수성 페인트가 사용되는 경우, 염기성 화합물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알킬모노에터를 포함하는 변성제가 사용됨을 언급할 뿐이다.
또한, DE-A 43 38 003은 공기 통기구(vent)로부터 유기 성분들을 분리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A 43 38 003의 교시에 따르면, 유기 성분을 포함하는 공기 통기 스트림은, 제 1 흡수 스테이지에서 합성 오일, 예컨대 실리콘 오일을 가스 세척액으로서 사용하고, 제 2 흡수 스테이지에서는 덜 비싼 오일, 예컨대 식물성 오일을 사용하는 2개의 흡수 스테이지를 통해 보내어진다. 제 1 흡수 스테이지에서 사용되는 합성 오일의 구체적 예는 실리콘 오일, 프탈산 다이알킬에스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다이알킬에터이다. 그러나, 수성 세척액의 종류에 대한 개시는 되어 있지 않다.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의 최신 코팅 라인은 수득된 오버스프레이의 습식 침착을 이용한 스프레이 부스를 사용한다. 물이 스프레이 분무되어 스프레이 부스 내에 미세 수 연무(water mist)를 생성하고, 이는 오버스프레이의 페인트 구성성분을 흡수하고 부스로부터 배출된다. 그 후 다운스트림 물 분리기가 페인트 구성성분이 담지된 물을 수집한다. 현행 법으로 인해, 스프레이 부스 물은 순환되어야 한다. 이런 요건은, 페인트 구성성분 및 다른 오염물을 순환수로부터 제거하는 순환수용 처리 유닛의 통합을 필요로 한다. 현재 사용되는 순환수용 처리 시스템의 개요는 WO 99/10284에 기재되어 있다. 여기에는 특히, 습식-세척 스프레이 부스로부터 순환수를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순환수는 역삼투 상태를 통과한다. 이 공정을 이용하면 습식-세척 스프레이 부스용 순환수를 처리할 때의 에너지 소비가 상당히 감소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습식-세척 스프레이 부스를 사용할 때 산업용 코팅 라인에서 순환되는 방대한 양의 물 때문에 이런 라인의 에너지 소비 및 투자 비용은 여전히 매우 높다.
WO 2008/067880은 물체의 페인팅으로부터 생성되는 오버스프레이로부터 고체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오버스프레이는 공기스트림에 흡인되고, 작업 온도에서 낮은 증기압, 바람직하게는 30 mbar 미만을 갖는 물-비함유 액체가 유동하는 분리 표면(여기에 상기 오버스프레이로부터의 고체가 흡인되긴 하지만 용해되지는 않는다)로 이송된다. 물-비함유 액체의 추가 요건은 페인트 성분과 반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 후 페인트 고체는 상기 액체에 의해 스프레이 부스로부터 제거되고, 침강에 의해 상기 액체로부터 분리된다. WO 2008/067880에서는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수집하기 위해 상기 액체에서 물을 피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으로 고려된다. 적합한 액체는 식용유 및 글리콜 에터이다.
웹 사이트[http://www.eisenmann.de/include/presse/Presseinformation ESCRUB.pdf]에서 입수가능한 아이젠만 안라겐 바우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가(EISENMANN ANLAGEN BAU GMBH & CO KG)에서의 보도 자료에, 스프레이 부스에서 오버스프레이를 가공하기 위한 신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WO 2008/067880에 개시된 시스템의 개량 시스템이다. E-스크럽(Scrub) 공정에 따라 하방-유동 모드로 페인팅되는 차체의 이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공기 스트림이 유동됨으로써 스프레이 공정 동안 차체 상에 침착되지 않은 오버스프레이를 취한다. 담지된 공기 스트림은 스프레이 부스 수위 아래에서, 분리제로 습윤화된 경사 플러드 시트(inclined flood sheet)와 접촉한다. 플러스 시트 또는 배플 플레이트는 중첩 없이 V형 방식으로 배열된다. 페인트-담지된 공기 스트림과 배플 플레이트를 하향 유동하는 분리제가 접촉할 때에 페인트 성분의 대부분은 공기 스트림으로부터 분리제로 전달된다. 상기 분리제는 팬에서 수집되어 시스템으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분리제는 페인트 성분으로부터 적어도 부분 분리된 후에 순환된다. 페인트 입자가 여전히 담지된 공기 스트림은 이후, 분리제로 또한 습윤화된 양전하-대전된 분리 플레이트가 구비된 정전 스크러버 유닛으로 보내어진다. 정전 스크러버 내부에 고 전압 와이어가 장착된다. 상기 공기 스트림 중의 페인트 입자는 음전하-대전되고, 분리 플레이트에 이끌린다. 페인트 입자는 분리제에 의해 취해져 상기 정전 스크러버 시스템으로부터 하향-유동하는 분리제에 의해 제거되고 동일한 팬에서 분리제의 주 스트림으로서 수집된다. 상기 보도 자료는 분리제가 페인트 입자의 응집을 촉진한다는 것 이외에는 분리제의 조성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보도 자료에서 E-스크럽 시스템은 통상의 습식-세척 스프레이 부스 기법에 비해 에너지 소비면에서 약 78%의 감소를 가능케 한다고 발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공정 안정성과 함께 연장된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공정에서 사용되는 모든 캐리어 스트림의 높은 재순환 비와 낮은 에너지 소비를 갖는,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로부터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제거하기 위한 효율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로부터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제거하는 방법에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수집하기에 적합한 액체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런 목적은,
a) 수성 분리 액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9.95 중량% 이상의 물;
b)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c) 수성 분리 액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50 중량%의, 분자 중에 3개 이상의 하이드록실 기를 갖는 단량체 폴리올,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스터 폴리올, 아크릴계 폴리올 및 폴리우레탄 폴리올로부터 선택된 중합체 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수용성 막-지지(film-supporting) 성분
을 포함하는,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수집하기 위한 수성 분리 액체에 의해 달성되었으며,
이때, 성분 b) 및 c)는 상이하고,
상기 수성 분리 액체는 23℃에서 4 mm 유동 컵을 사용하여 DIN 53 211에 따라 측정 시 11초 내지 25초, 바람직하게는 11초 내지 20초, 바람직하게는 11초 내지 15초 범위의 유출(outflow) 시간의 점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i) 가스 스트림을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에 통과시키는 단계;
ii) 상기 페인트 부스를 통해 유동하는 상기 가스 스트림과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접촉시켜, 페인트 입자 또는 액적이 분산된 페인트-담지된 가스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
iii) 상기 가스 스트림의 유동 경로 내에 위치된 표면 상에 상기 수성 분리 액체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유동성 액체 막을 형성하는 단계;
iv) 상기 가스 스트림을 수성 분리 액체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유동성 액체 막과 접촉하도록 상기 페인트-담지된 가스 스트림을 상기 표면으로 보내어 상기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페인트 입자 또는 액적을 분리 액체로 전달하여 제 1 페인트-담지된 분리 액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v) 상기 제 1 페인트-담지된 분리 액체 및 감소된 페인트 담지량을 갖는 가스 스트림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로부터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vi) 제 1 분리 액체로부터 페인트 성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하여 제 1 정제된 분리 액체를 수득하고/하거나,
vii) 상기 제거된 가스 스트림을 정제하여 정제된 가스 스트림을 수득하는 단계; 및
viii) 임의적으로, 제 1 정제된 분리 액체를 단계 iii)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재순환시키고/시키거나 상기 정제된 가스 스트림을 단계 i)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재순환시키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에서 기판에 페인트를 분무함으로써 페인팅된 기판 및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방법으로 상기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판을 페인팅하는 방법이다.
상기 정의된 하나의 목적은, 공정으로 재순환하기 이전에 정제되어야 하는 소량의 캐리어 액체에 의해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로부터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가스 스트림은 스프레이 부스에서 기판에 분무할 때에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취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가스 스트림은 고속으로 페인팅되는 기판 주변에 하향-유동 모드로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를 통해 보내어진다. 그러므로,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는 상기 가스 스트림에 비말동반되어 페인트 부스의 벽의 파울링(fouling) 및 오염을 방지하고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로부터의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신속하게 제거하는 것을 보증한다. 후자는, 다수의 기판들이 상이한 색상으로 분무되는 자동화된 고 용량 라인에서 후속 기판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특히 중요하다.
가스 스트림용 캐리어 가스로서 바람직하게는 공기가 사용되는데, 이는 저 비용으로 이용가능하기 때문이다. 공기 스트림의 온도 및 습기 함량은 스프레이 부스의 안전한 작동을 성취하고 목적하는 페인트 품질을 수득하도록 조정된다. 따라서, 에너지 효율적 분무 공정을 위한 중요한 포인트는 상기 가스 스트림을 재순환시켜 특정 온도 및 습기 함량 범위로 조정된 높은 부피의 최적 가스 스트림을 사용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당연히, 상기 가스 캐리어 스트림을 재순환시키는 것의 추가 장점은 페인트 라인의 전체 오염을 감소시켜,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6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75% 이상, 8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95% 이상, 97% 이상 또는 99% 이상의 높은 가스 스트림 재순환 비를 성취하는 것이다.
더욱이, 특히 가스 스트림에 비말동반된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목적하는 높은 가스 캐리어 재순환 비율을 수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의 스프레이 영역을 떠나는 페인트-담지된 가스 스트림이 접촉 표면과 접촉된다. 페인트 부스를 통한 캐리어 가스 스트림의 하류식 모드를 갖는 전술된 실시양태에서 이런 접촉 표면은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 내의 스프레이 영역 아래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성 분리 액체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유동성 액체 막은 이런 접촉 표면 상에 형성된다. 이런 접촉 표면은 분무 수위 아래에 있는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의 전체 폭을 함께 커버하는 2개의 대향하는 배플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런 배플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펀넬(funnel) 유형의 배열을 제공하도록 경사져서, 중력에 의해 배플 플레이트 상의 분리 액체의 연속 필름의 유동을 가능케 한다. 페인트-담지된 가스 스트림은 습윤화된 표면과 접촉되고, 펀넬을 형성하는 대향 플레이트 사이로 유동한다. 이로 의해, 상기 가스 스트림은 채널화되고, 가스 스트림과 분리 액체의 유동 막 사이에 강한 접촉이 보증된다.
전술된 종래 기술의 교시와는 달리, 펀넬을 형성하는 대향 플레이트는 중첩되지 않아서 하나의 플레이트로부터 다른 플레이트로 유동하는 분리 유체의 커튼이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가스 스트림에 의해 관통되어야 하는 커튼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이런 배열은, 특히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한 매우 적은 막 두께에서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유동성 막을 제공하는 요건과는 반대로 불안정성을 야기하는 경향이 있다.
페인트-담지된 가스 스트림과 분리 액체의 연속적인 막의 유동간의 접촉 시에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분리 액체로 페인트 성분이 취해진다.
상기 논의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경사 접촉 표면에 의해 형성된 펀넬의 바닥부에서 페인트-담지된 분리 액체가 수집되고, 시스템으로부터 제거된다. 분리 액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 액체로부터 페인트 성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분리 액체가 시스템으로 재순환될 수 있도록 추가로 가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분리 액체로부터의 페인트 성분의 분리는 부유 또는 침강에 의해 성취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분리 액체는 시스템의 바닥부에서 바람직하게는 배수구(drain)에서 수집될 수 있다. 그 후 분리 액체는, 선택된 분리 방법에 대한 필요한 체류 시간이 성취될 수 있게 하는 구조체로 보내어진다. 배수구 자체가 부유 또는 침강 공정 동안 필요한 체류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재순환 전에 분리 액체는 상기 분리 액체에 용해성인 원치 않는 생성물의 축적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 정제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일부 사이드 스트림에서 수행되어 일정한 수준으로 이러한 성분들을 유지시킴으로써 에너지 소비 및 비용이 많이 드는 분리 액체의 전체 처리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가스 스트림에 비말동반된 오버스프레이의 대부분은 분리 액체로 전달된다. 가스 스트림에 비말동반된 오버스프레이의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55% 이상, 60% 이상, 65% 이상, 70% 이상, 7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 분리 액체로 전달된다. 가스 스트림 내에 남아 있는 페인트 오버스프레이의 양 및 의도하는 용도에 따라 가스 스트림의 추가 정제(특히 가스 스트림이 공정으로 재순환되는 경우)가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분리 액체와 접촉 후에 가스 스트림은 대전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정전 스크러버를 통해 보내어진다. 가스 스트림에 분산된 입자 또는 액적은 대전된 플레이트의 전하와 반대로 대전되고 전기장에 의해 대전된 플레이트로 보내어지고,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제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전술된 바와 같이 동일한 수성 분리 액체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유동성 막이 대전된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다. 정전 스크러버에서 대전된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식으로 배향되어, 그 결과 상기 분리 액체가 대전된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흘러 내린다. 전기장에 의해 반대로 대전된 플레이트로 보내어진 페인트 입자 및 액적은 이후 분리 액체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막의 유동 상에 수집될 것이고, 따라서 정전 스크러버로부터 제거될 것이다. 연속 막의 유동에 의해 항상 신선한 분리 액체 표면이 페인트 성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이용가능하다. 대전된 플레이트의 수직 배열에 의해 연속 막은 중력에 의해 유동하고, 예컨대 전술된 바와 같은 접촉 표면을 습윤화시키는 분리 액체에서와 동일한 배수구일 수 있는 배수구에서 정전 스크러버 아래에서 용이하게 수집될 수 있다. 정전 스크러버를 떠나는 페인트 입자로 담지된 분리 액체는 접촉 표면을 습윤화시키기 위한 분리 액체와 동일한 방식으로 추가 가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2개의 분리 액체 스트림은 전술된 바와 같이 페인트 입자의 분리를 위해 함께 조합 및 처리된다. 이와 같이 정제된 수성 분리 액체는 접촉 표면 및/또는 정전 스크러버의 대전된 플레이트로 재순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자들은 전술된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로부터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제거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분리 액체는 어느 정도의 상충하는 요건들을 만족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적은 에너지 소비에 의한 비용 효율적 방식으로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를 작동시키기 위해 공정 스트림은 재순환되어야 하고 부피가 감소되어야 한다. 이는 이미 상기 가스 스트림에 대한 부분에서 논의되었다.
그러나, 동일 사항은 분리 액체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특히 바람직한 정전 스크러버와 연계하여 사용되는 경우, 무엇보다도 비용 이유 및 안전성 이유로 분리 액체는 수계이어야 하고, 방출 관점 및 안전성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저 휘발성 유기물을 최소량으로 함유하거나 가능하게는 전혀 함유하지 않는데, 이는 이러한 성분이 특히 고 전압 정전 스크러버와 함께 연소성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전술된 바와 같이, 가공되는 분리 액체의 총량은 가능한 한 적어야 하는데, 이는 시스템의 에너지 소비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분리 액체는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효과적으로 수집하기 위해 상이한 공급원, 예컨대 수계 코팅 조성물 또는 용매계 코팅 조성물로부터 효과적으로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수집하여 상당히 상이한 페인트 시스템의 습윤화를 성취하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또한, 상기 논의된 공정에 적용 시에 상당히 경사진, 심지어 수직인 표면 상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유동성 막이 형성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런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액체 막의 유동은, 유동하는 연속 막과 충돌하는 심지어 고체 입자를 함유하는 고속 가스 스트림과 접촉하는 경우에도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정전 스크러버 시스템에서 분리 액체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액체는 특정 전기 전도성을 가져야 하고, 당연히,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유동성 막은 높은 균일성을 가질 필요가 있는데, 이는 불안정 또는 왜곡(distortion)에 의한 필름의 두께에서의 임의의 변화가 전기장에 막대한 영향을 줄 수 있고, 따라서 정전 스크러빙 공정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분리 액체는 상기 분리 액체로부터 페인트 성분의 용이한 분리를 가능케 하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예컨대, 고속의 분리 액체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유동성 막의 생성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목적하는 막 균일성을 수득하기는 어렵고 통상의 비용 효과적 분리 방법, 예컨대 부유 또는 침강에서는 수행하기 어렵다.
이제 본 발명자들은 하기의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전술된 방법에 최적인 분리 액체가 수득됨을 확인하였다. 유출 시간의 점도는 23℃에서 4 mm 유동 컵을 사용하여 DIN 53 211에 따라 측정 시 11초 내지 25초 범위이어야 한다. DIN 53 211는, 측정 표준은 20초 이상의 유출 시간을 보이는 액체의 점도를 측정하기에 적합하다고 개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분리 액체의 유출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DIN 53 211 표준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대등한 결과를 수득하기 위해 페인트 산업에서 점도 측정에서의 우세한 표준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10초 내지 20초의 범위에서도 여전히 매우 높은 재현성이 성취될 수 있다는 것을 실현하였고, 이는 DIN 53 211에서의 추천과는 달리 10초 내지 20초의 유출 시간을 갖는 액체도 또한 4 mm 유동 컵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다.
이런 점도는 표준 기법, 예컨대 부유 또는 침강을 이용하여 페인트 성분의 용이한 분리를 가능케 하도록 충분히 낮다. 저 점도의 분리 액체는 보다 높은 점성의 물질에 비해 높은 유속을 제공할 것이다. 당연히, 높은 유속은 동일한 연속 막 두께에서 증가된 양의 가공될 분리 액체를 제공하며,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분리 유체의 연속 막과 접촉하는 가스 유동에 의해 불안정화되지 않는 균일한 두께의 안정한 연속 막을 형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저 점도 물질의 부정적 효과에 대응하기 위해 막 두께는, 보다 높은 유속에서 여전히 낮은 양의 분리 유체를 갖기 위해 감소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50 μm 미만, 45 μm 미만, 40 μm 미만, 35 μm 미만, 30 μm 미만, 25 μm 미만, 23 μm 미만, 21 μm 미만, 20 μm 미만, 18 μm 미만, 17 μm 미만, 16 μm 미만, 15 μm 미만의 막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소 막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μm 이상, 6 μm 이상, 7 μm 이상, 8 μm 이상, 9 μm 이상, 또는 10 μm 이상이다.
분리 액체의 적은 막 두께는 정전 스크러버가 전기장 상에 분리 액체의 연속 막의 효과를 최소화시키는 데에 특히 중요하다.
그러나, 적은 두께의 저 점성 액체의 막을 갖는 것은 고속 가스 스트림과 접촉하는 경우에서도 필수적으로 균일한, 안정한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유동성 막의 성취를 보다 어렵게 한다. 특히, 예컨대 스프레이 부스의 스프레이 영역 아래의 접촉 표면이 더 이상 습윤화되지 않는 정도로 적은 두께의 저 점성 막에서의 임의의 불안정은 페인트-담지된 가스 스트림이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상황을 제공할 수 있어서, 접촉 표면의 파울링을 초래할 수 있고, 따라서 이런 파울링은 접촉 표면 상에 연속 막을 유지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런 치명적 효과는 정전 스크러버 유닛에서 더욱 심각한데, 이는 임의의 파울링이 스크러버의 전기장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이기 때문이다.
이제 본 발명자들은, 접촉되는 표면의 양호한 습윤능이 성취되고 분리 액체가 무기 수용성 막 지지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 전술된 적은 막 두께에서도 저 점도 액체가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놀랍게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다른 수성 분리 액체의 필요한 습윤능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사용에 의해 성취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습윤능을 성취하기 위한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분리 액체의 다른 성분 또는 페인트 오버스프레이의 성분과 상호작용하지 않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특히 분리 액체가 재순환되는 경우 이온성 계면활성제, 즉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연장된 시간 전체에 걸쳐 필요한 습윤능이 유지되기 어려운 정도로 페인트 성분과 상호작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분리 액체는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 알콜 에터, 알킬페놀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터, 지방산 모노 글리세리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지방산 에스터, 지방산 모노 알칸올 아마이드, 지방산 다이알칸올 아마이드, 에톡실화된 지방산 모노 알칸올 아마이드, 에톡실화된 지방산 다이알칸올 아마이드, 펜타에리트리톨의 지방산 부분 에스터, 에톡실화된 펜타에리트리톨의 지방산 부분 에스터, 소비탄 지방산 에스터, 에톡실화된 소비탄 지방산 에스터, 알킬 아미노 옥사이드, 에톡실화된 알킬 아미노 옥사이드, 플루오로-함유 텐사이드, 폴리실록산계 텐사이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 알콜 에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터, 플루오로-함유 텐사이드 및 폴리실록산계 텐사이드이고,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 알콜 에터가 특히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 및 유형은 필요한 습윤능을 수득하기 위해 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분리 액체에 존재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상기 액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1.5%, 또는 0.1 내지 1.3%, 또는 0.5 내지 1.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정전 스크러버의 대전된 플레이트를 습윤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때에 분리 액체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경우 유리하다는 것을 놀랍게도 발견하였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존재는 분리 액체에서의 페인트 입자의 응집을 개선함으로써 분리 액체로부터 페인트 슬러지의 분리를 개선함을 확인하였다. 이론에 구속됨이 없이, 페인트 입자는 정전 스크러버 내에서 음성으로 대전되고,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존재는 페인트 입자의 응집을 돕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정전 스크러버의 대전된 플레이트에 적용하기 이전에 분리 액체에 첨가될 수 있거나, 정전 스크러버를 떠난 후에 분리 액체에 응집 보조제로서 첨가될 수 있다. 페인트 입자의 분리 후에 정제된 분리 액체를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 및/또는 정전 스크러버로 재순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분리 액체의 경우 정제된 분리 액체가 오직 스크러버로 재순환되거나, 분리 액체가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로 재순환되기 이전에 전하 중성화를 위해 공지의 측정값을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는 경우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로 재순환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적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지방 알콜 설페이트, 알칸 설포네이트,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설포석시네이트, 예컨대 나트륨 다이알킬 설포석시네이트, 에톡실화된 지방 알콜 설페이트, 지방 알콜 에터 포스페이트, 에톡실화된 지방 알콜 에터 포스페이트, 및 모노-글리세리드 설페이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특히 설포석시네이트가 적합하고, 특히 다이(에틸헥실) 설포석신산의 나트륨 염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분리 액체에 존재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상기 액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2.5 중량%, 또는 0.1 내지 2.0 중량%, 또는 0.5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유기 수용성 막 지지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20℃에서 1 Pas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Pas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Pas 미만의 증기압을 갖는 유기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액체의 유기 수용성 막 지지 성분은 분자 중에 3개 이상의 하이드록실 기를 갖는 단량체 폴리올,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스터 폴리올, 아크릴계 폴리올 및 폴리우레탄 폴리올로부터 선택된 중합체 폴리올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 수용성 막 지지 성분은 글리세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혼합된 폴리((에틸렌)(프로필렌) 글리콜)의 모노알킬에터가 덜 효과적임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상기 수성 분리 액체는 바람직하게는 이런 모노알킬에터 종결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혼합된 폴리((에틸렌)(프로필렌) 글리콜)을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액체에서 유기 수용성 막 지지 성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중합체 폴리올은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0, 또는 200 내지 2,000, 또는 300 내지 1,500, 또는 300 내지 1,000 범위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분리 액체 중의 유기 수용성 막 지지 성분의 양은 선택된 구체적 화합물 및 분리 액체의 다른 성분에 좌우되며, 따라서 상기 액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50 중량%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다. 유기 수용성 막 지지 성분의 바람직한 양은 상기 액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7 내지 40 중량%, 또는 10 내지 35 중량%, 또는 12 내지 30 중량%, 또는 15 내지 25 중량%이다.
필요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분리 액체의 점도는 유동성 개질제를 첨가함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성분 b)(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c)(유기 수용성 막 지지 성분)과는 상이한 적합한 유동성 개질제는 셀룰로즈 유도체, 폴리사카라이드, 전분 및 전분 유도체,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런 유동성 개질제는, 분리 액체의 점도가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페인트 성분과 적은(가능한 경우 무시할 수 있는) 상호작용을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폴리비닐 알콜 및 특히 셀룰로즈 유도체가 가장 바람직하다.
스프레이 부스에서 분무되는 페인트 시스템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분리 액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민, 폴리아마이드 아민, 실리케이트, 알루미늄 화합물,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페인트 탈착제 및/또는 응집화제를 추가로 함유한다. 적합한 음이온성 응집화제는 폴리카복실레이트이다. 특히 적합한 음이온성 응집화제는 폴리아스파트산의 나트륨 염이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상기 본 발명의 발명에 사용되는 수성 분리 액체는 임의의 종류의 물질을 분무하는 고도로 자동화된 연속식 또는 반연속식 공정에 적합하여,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제거하기 위한 캐리어 성분, 특히 가스 스트림뿐만 아니라 수성 분리 액체가 효과적으로 재순환될 수 있고, 소량의 수성 분리 액체가 단지 스프레이 부스로부터 페인트 오버스프레이의 필요한 제거를 성취하는 데에 필수적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공정, 상기 방법 및 상기 수성 분리 액체는 특히 고 용량 코팅 라인,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되는 것들에 특히 적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뿐만 아니라 수성 분리 액체는 또한 다른 기판을 페인팅하는 방법, 예컨대 가구 또는 가정용품 산업에서, 또는 다른 산업용 페인팅 작업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하기 수성 분리 액체를 표 1에 따른 성분들을 조합하여 제조하였다. 표 1에 기재된 양은 100% 고체로서 제공된다.
성분 실시예 1
(중량%)
비교예 1
(중량%)
비교예 2
(중량%)
유동성 개질제 타일로즈1
0.375
타일로즈1
0.375
타일로즈1
0.375
막 지지 성분 글리세롤
12.5
글리세롤
4.0
PPG 4252
4.0
탈착제 폴리아민
5
폴리아민
5
폴리아민
5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프로페탈 1053
0.2
프로페탈 1053
0.2
프로페탈 1053
0.2
81,925 90.425 81.925
점도@ 23℃
DIN 53211
4 mm 유동 컵
14초 13초 15초
1 SE 타일로즈(Tylose GmbH & Co. KG)로부터 입수가능한 셀룰로즈 에터
2 425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3 츠쉼머 운트 슈바르츠(Zschimmer & Schwarz GmbH & Co. KG)로부터 입수가능한 계면활성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및 2에 따른 수성 분리 액체를, 경사진 스테인레스 스틸 플레이트에 적용 시의 막 형성 및 막 품질에 대해 평가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2는 상기 스틸 플레이트 상에서 가시적 왜곡 없이 안정한 자유-유동성의 부드러운 균일 막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1의 액체는 홈 및 액적 형성 등의 가시적 왜곡을 보이는 자유-유동성 막을 형성하였다.
제 2 실험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및 2에다른 분리 액체를 상업용 2K 투명 코팅 조성물(PPG로부터 입수가능함)과 혼합하고, 분리 액체를 페인트 분리에 대해 평가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분리 액체에서, 페인트는 응집하고, 부유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반면, 비교예 2의 분리 액체에서 페인트는 용해성이었다.

Claims (15)

  1. a) 수성 분리 액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9.95 중량% 이상의 물;
    b)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c) 수성 분리 액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50 중량%의, 분자 중에 3개 이상의 하이드록실 기를 갖는 단량체 폴리올,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스터 폴리올, 아크릴계 폴리올 및 폴리우레탄 폴리올로부터 선택된 중합체 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수용성 막-지지(film-supporting) 성분
    을 포함하는,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수집하기 위한 수성 분리 액체로서, 이때,
    성분 b) 및 c)는 상이하고,
    상기 수성 분리 액체는, 23℃에서 4 mm 유동 컵을 사용하여 DIN 53 211에 따라 측정 시 11초 내지 25초 범위의 유출(outflow) 시간의 점도를 갖는, 수성 분리 액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액체가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성 분리 액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 알콜 에터, 알킬페놀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터, 지방산 모노 글리세리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지방산 에스터, 지방산 모노 알칸올 아마이드, 지방산 다이알칸올 아마이드, 에톡실화된 지방산 모노 알칸올 아마이드, 에톡실화된 지방산 다이알칸올 아마이드, 펜타에리트리톨의 지방산 부분 에스터, 에톡실화된 펜타에리트리톨의 지방산 부분 에스터, 소비탄 지방산 에스터, 에톡실화된 소비탄 지방산 에스터, 알킬 아미노 옥사이드, 에톡실화된 알킬 아미노 옥사이드, 플루오로-함유 텐사이드(tenside), 폴리실록산계 텐사이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성 분리 액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수성 분리 액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수성 분리 액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수용성 막 지지 성분이, 분자 중에 3개 이상의 하이드록실 기를 갖는 단량체 폴리올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수성 분리 액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폴리올이 200 내지 3,000 범위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수성 분리 액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수용성 막 지지 성분이 수성 분리 액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7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수성 분리 액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분리 액체가 추가로
    d) 셀룰로즈 유도체, 폴리사카라이드, 전분 및 전분 유도체,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으로부터 선택되며 성분 b) 및 c)와는 상이한 유동성 개질제를 포함하는, 수성 분리 액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분리 액체가 추가로
    e) 폴리아민, 폴리아마이드 아민, 실리케이트, 알루미늄 화합물,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폴리아스파트산의 나트륨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페인트 탈착제(detackifier) 및/또는 응집화제
    를 포함하는, 수성 분리 액체.
  10. i) 가스 스트림을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에 통과시키는 단계;
    ii) 상기 페인트 부스를 통해 유동하는 상기 가스 스트림과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접촉시켜, 페인트 입자 또는 액적(droplet)이 분산된 페인트-담지된 가스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
    iii) 상기 가스 스트림의 유동 경로 내에 위치된 표면 상에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성 분리 액체의 연속적인 유동성 액체 막을 형성하는 단계;
    iv) 상기 가스 스트림이 수성 분리 액체의 연속적인 유동성 액체 막과 접촉하도록 상기 페인트-담지된 가스 스트림을 상기 표면으로 보내어 상기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페인트 입자 또는 액적을 분리 액체로 전달하여 제 1 페인트-담지된 분리 액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v) 상기 제 1 페인트-담지된 분리 액체 및 감소된 페인트 담지량을 갖는 가스 스트림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로부터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제거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vi) 제 1 분리 액체로부터 페인트 성분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분리하여 제 1 정제된 분리 액체를 수득하고/하거나,
    vii) 상기 제거된 가스 스트림을 정제하여 정제된 가스 스트림을 수득하는 단계; 및
    viii) 임의적으로, 제 1 정제된 분리 액체를 단계 iii)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재순환시키고/시키거나 상기 정제된 가스 스트림을 단계 i)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재순환시키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단계 vi)에서, 상기 분리 액체를 부유(flotation) 또는 침강(sedimentation) 처리하여, 추가 가공 또는 폐기를 위해 제거되는 페인트 슬러지를 수득하고,
    단계 vii)에서, 상기 제거된 가스 스트림을, 대전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정전 스크러버로 보내어, 상기 수성 분리 액체의 연속적인 유동성 액체 막을 상기 정전 스크러버의 대전된 플레이트 상에 형성하고, 상기 가스 스트림에 분산된 입자 및/또는 액적을 대전된 플레이트와 반대 전하로 대전시킴으로써 전기장에 의해 상기 대전된 플레이트로 보내어 상기 분리 액체에 수집하여 제 2 페인트-담지된 분리 액체 및 정제된 가스 스트림을 형성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 2 페인트-담지된 분리 액체를 부유 및 침강으로부터 선택되는 분리 단계로 처리하여 페인트 슬러지를 제거함으로써,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단계 iii) 및/또는 단계 vii)으로 재순환되는 제 2 정제된 분리 액체를 수득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단계 iii) 및/또는 단계 vii)에서, 상기 연속적인 유동성 액체 막의 두께가 5 내지 50 μm 범위인, 방법.
  15.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에서 기판에 페인트를 분무함으로써 페인팅된 기판 및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 10 항의 방법으로 상기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판을 페인팅하는 방법.
KR1020127026011A 2010-03-10 2011-03-02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로부터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제거하는 방법 KR101426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002493.4 2010-03-10
EP10002493.4A EP2365037B1 (en) 2010-03-10 2010-03-10 Process for removing paint overspray from a paint spray booth
PCT/EP2011/001009 WO2011110302A1 (en) 2010-03-10 2011-03-02 Process for removing paint overspray from a paint spray boo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803A KR20120138803A (ko) 2012-12-26
KR101426185B1 true KR101426185B1 (ko) 2014-07-31

Family

ID=42371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011A KR101426185B1 (ko) 2010-03-10 2011-03-02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로부터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제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169404B2 (ko)
EP (1) EP2365037B1 (ko)
KR (1) KR101426185B1 (ko)
CN (1) CN102858889B (ko)
CA (1) CA2792444C (ko)
ES (1) ES2423797T3 (ko)
HK (1) HK1179292A1 (ko)
MX (1) MX2012010438A (ko)
PL (1) PL2365037T3 (ko)
RU (1) RU2529230C2 (ko)
WO (1) WO20111103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3562B2 (en) 2009-06-24 2018-10-09 Ecolab Usa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and recovery of purge solvent
DE102011113708B4 (de) * 2011-09-17 2015-07-23 Eisenmann Ag Verfahren zum Abscheiden von Overspray
EP3447096B1 (en) 2014-09-10 2020-11-04 PPG Industries Ohio, Inc. Aqueous separation liquid and process for removing paint overspray from a paint spray booth
CN106147354A (zh) * 2015-04-23 2016-11-23 埃科莱布美国股份有限公司 一种涂料防粘剂组合物及其应用
US9675979B2 (en) 2015-06-08 2017-06-13 Saudi Arabian Oil Company Controlling flow of black powder in hydrocarbon pipelines
EP3165577A1 (de) * 2015-11-06 2017-05-10 Henkel AG & Co. KGaA Trägermedium zur abtrennung von lack-overspray
CN109415579B (zh) * 2016-07-01 2022-03-25 埃科莱布美国股份有限公司 低氯化物涂料脱粘剂
US10112207B2 (en) 2016-10-31 2018-10-3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ist generating apparatus
CN107261737B (zh) * 2017-07-09 2019-06-28 湖南金裕环保科技有限公司 喷雾型漆雾凝聚剂、制备方法及其使用方法
US10954399B2 (en) 2018-06-14 2021-03-23 Ecolab Usa Inc. Addition of caustic soda for improving detackifier stability
WO2020007598A1 (de) 2018-07-03 2020-01-09 Henkel Ag & Co. Kgaa Verwendung von polyurethanen in wasser-basierten trägermedien zur abtrennung von lack-overspray
WO2020007602A1 (de) 2018-07-03 2020-01-09 Henkel Ag & Co. Kgaa Verwendung von polyvinylakoholen in wasser-basierten trägermedien zur abtrennung von lack-overspray
CN116390895A (zh) 2020-10-30 2023-07-04 Ppg工业俄亥俄公司 用于处理废料的包括环糊精的组合物
CN115213014B (zh) * 2022-07-20 2024-03-15 浙江菲达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涂层阴极线及其静电喷涂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01258A (en) * 1977-07-21 1979-01-31 Binks Mfg Co Removing contaminants from gaseous media
US6334255B1 (en) * 2000-04-26 2002-01-01 Chih-Min Chang Shears capable of cutting simultaneously a plurality of objects of different dimensions and profile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2151A (en) 1973-02-12 1976-01-13 Binks Manufacturing Company Spray booth
FR2290938A1 (fr) 1974-11-18 1976-06-11 Air Ind Procede et installation de traitement continu d'un liquide de lavage d'un gaz
SU1316712A1 (ru) * 1985-06-24 1987-06-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7113 Окрасочна камера
US4748049A (en) * 1986-03-27 1988-05-31 Chemfil Corporation Clear paint booth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US5201946A (en) * 1989-11-17 1993-04-13 Marsek Patrick W Liquid spray mask and method
US5334255A (en) * 1989-12-04 1994-08-02 Basf Corporation Method for removing and reclaiming excess paint from a paint spray booth
US5098450A (en) * 1991-04-30 1992-03-24 Nalco Chemical Company Surfactant additive for hec emulsion
US5308647A (en) * 1992-10-13 1994-05-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iquid spray masking composition and method
CA2088866C (en) * 1993-02-05 2004-07-20 Daniel W. Wuerch Non-spotting overspray masking composition
DE4338003A1 (de) 1993-11-07 1995-05-11 Dynamit Nobel Ag Verfahren zur Abtrennung von organischen Komponenten aus Abluft
RU2128088C1 (ru) 1995-03-07 1999-03-27 Блинов Александр Вячеславович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краски автомобиля
EP0901988A1 (de) 1997-08-27 1999-03-17 PPG Industries Lacke GmbH Verfahren zur Aufbereitung des Umlaufwassers aus Spritzkabinen mit Nassauswaschung
EP1051360B1 (de) * 1998-01-28 2002-08-07 Aware Chemicals L.L.C Verfahren zum aufbereiten von umlaufwasser aus einer lackieranlage
US5985154A (en) * 1998-01-29 1999-11-16 Betz Dearborn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paint spray booth water
RU2161074C1 (ru) * 1999-04-05 2000-12-27 Научно-технический центр по разработке технологий и оборудования Окрасочная камера
US6491746B2 (en) * 2000-06-14 2002-12-10 Gage Products Company Protective coating
US6464823B1 (en) * 2000-08-30 2002-10-15 Peter Russell Vantyle Peelable rub-on temporary masking coatings
JP2004298747A (ja) * 2003-03-31 2004-10-28 Nippon Paint Co Ltd 過剰噴霧された水性塗料の再使用方法
DE102006057697A1 (de) 2006-12-07 2008-06-19 Eisenmann Anlagenbau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Feststoffen aus beim Lackieren von Gegenständen entstehendem Overspray
DE102008046409C5 (de) * 2008-09-04 2013-08-22 Eisenmann Ag Verfahren zum Entfernen von Feststoffen aus beim Lackieren von Gegenständen entstehendem Overspray
DE102009039626A1 (de) * 2009-09-01 2011-03-03 KLüBER LUBRICATION MüNCHEN KG Schmierstoffe auf Wasserbasis
US20120177818A1 (en) * 2009-09-03 2012-07-12 Rhodia Operations Protective biodegradable coatings and methods for u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01258A (en) * 1977-07-21 1979-01-31 Binks Mfg Co Removing contaminants from gaseous media
US6334255B1 (en) * 2000-04-26 2002-01-01 Chih-Min Chang Shears capable of cutting simultaneously a plurality of objects of different dimensions and profi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58889B (zh) 2014-12-17
PL2365037T3 (pl) 2013-10-31
CA2792444C (en) 2014-09-02
US9169404B2 (en) 2015-10-27
EP2365037B1 (en) 2013-05-29
EP2365037A1 (en) 2011-09-14
CN102858889A (zh) 2013-01-02
RU2529230C2 (ru) 2014-09-27
CA2792444A1 (en) 2011-09-15
MX2012010438A (es) 2012-11-23
US20130064983A1 (en) 2013-03-14
KR20120138803A (ko) 2012-12-26
RU2012143202A (ru) 2014-04-20
ES2423797T3 (es) 2013-09-24
HK1179292A1 (en) 2013-09-27
WO2011110302A1 (en)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185B1 (ko)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로부터 페인트 오버스프레이를 제거하는 방법
EP2024095B1 (en)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NZ213838A (en) Pumpable slurry for detackification of paint spray booth wastes
CN107073380B (zh) 含水分离液体和从喷漆室除去过量喷漆的方法
EP3173383B1 (en) Treatment method for circulating water of wet type coating booth
AU737712B2 (en) Method for treating circulating water from an enamelling line
JP2006231236A (ja) 水性塗料捕集方法および装置
CN102482624A (zh) 含有非离子表面活性剂的voc减少和温和碱性的水洗液及其浓缩物
EP1372869A1 (en) Scrubber for paint spraying booths
AU640431B2 (en) Process to reclaim paint from paint booth flood sheet system
JP2007007613A (ja) 湿式塗装ブース循環水の消泡剤
JP2007014845A (ja) 湿式塗装ブース循環水の処理方法
WO2008032401A1 (fr) Appareil de nettoyage d'un objet de type feuille, procédé de nettoyage d'un objet de type feuille à l'aide de celui-ci et processus pour fabriquer un polymère de type pla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