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113B1 -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113B1
KR101426113B1 KR1020100018928A KR20100018928A KR101426113B1 KR 101426113 B1 KR101426113 B1 KR 101426113B1 KR 1020100018928 A KR1020100018928 A KR 1020100018928A KR 20100018928 A KR20100018928 A KR 20100018928A KR 101426113 B1 KR101426113 B1 KR 101426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ector
region
leakage signal
transmission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9911A (ko
Inventor
최헌수
최창수
전형준
김영찬
Original Assignee
(주) 네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네톰 filed Critical (주) 네톰
Priority to KR1020100018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113B1/ko
Priority to EP11156421A priority patent/EP2365642A1/en
Priority to US13/039,229 priority patent/US8537881B2/en
Priority to JP2011044909A priority patent/JP5069362B2/ja
Priority to CN2011100527162A priority patent/CN102195721B/zh
Publication of KR20110099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04B1/525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with means for reducing leakage of transmitter signal in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누설신호를 상쇄하기 위한 상쇄신호를 탐색하기 위한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신호의 송신 및 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무선 송수신기에서의 송신누설신호의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송신누설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I/Q 벡터 위상면 상에 상기 송신누설신호가 존재하는 최대 및 최소범위를 설정하여 탐색하고자 하는 상쇄벡터의 탐색영역을 결정한다.

Description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ANCELLATION SIGNAL OF TRANSMISSION LEAKAGE SIGNAL FOR RF TRANSMIT/RECEIVE DEVICE}
본 발명은 송신누설전류 탐색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송수신기에서 수신하는 수신신호에 혼입되어 있는 송신 누설신호를 상쇄하기 위한 상쇄신호를 탐색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RF:Radio Frequency) 송수신기에서는 RF 송신 및 RF 수신이 동시에 일어나므로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를 격리하기 격리장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무선인식기술(RFID) 리더는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를 격리하기 위하여 써큘레이터나 방향성 결합기를 사용한다.
이는 무선 송수신기에서 안테나를 통해 송신신호의 송출 및 수신신호의 수신이 이루어지는 와중에 송신신호 중 일부가 누설되어 수신신호에 혼입되기 때문에 이러한 송신누설신호를 상쇄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무선 송수신기는 이러한 송신누설신호를 상쇄하기 위해 송신누설신호와 크기는 동일하고 위상이 반대인 상쇄신호를 수신신호와 결합시켜 수신신호에 포함된 송신누설신호를 상쇄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송신누설신호에 대응하여 크기는 동일하고 위상은 반대인 상쇄신호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종래에는 송신누설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정밀하게 검출 및 추적하기가 어려우므로 통상적으로 I/Q 벡터 위상면의 전 영역을 순차적으로 스캔하는 방식으로 최적의 상쇄벡터를 탐색하였다.
하지만, I/Q 벡터 위상면의 전 영역을 스캔하여 상쇄벡터를 탐색하는데 분해능에 따라 탐색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정확한 탐색을 위하여 상쇄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분해능을 높여야 하는데 이는 탐색시간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선 송수신기에서 송신누설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신호를 빠르고 정확하게 탐색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방법은 무선신호의 송신 및 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무선 송수신기에서의 송신누설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송신누설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I/Q 벡터 위상면 상에 상기 송신누설신호가 존재하는 최대 및 최소범위를 설정하여 탐색하고자 하는 상쇄벡터의 탐색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탐색영역은 중점을 기준으로 하여 4사분면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쇄벡터의 탐색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송신누설신호의 크기에 대한 음의 측정오차를 고려하여 상기 송신누설신호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1원을 최소범위로 설정하고, 양의 측정오차를 고려하여 상기 송신누설신호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는 제2원을 최대범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쇄벡터의 탐색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한 이후에 상기 탐색영역을 중점을 기준으로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각 영역별로 각각 하나의 샘플지점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영역별로 순차적으로 각 샘플지점에 대한 벡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각 영역의 샘플지점에 대한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상쇄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영역의 샘플지점에 대한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상쇄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한 이후에 상기 결정된 영역에 대하여 상기 구분된 각 영역별로 각각 하나의 샘플지점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영역별로 순차적으로 각 샘플지점에 대한 벡터를 검출하는 단계를 적어도 한번 이상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 반복하는 단계 이후에 검출된 벡터를 이용하여 상쇄벡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영역의 샘플지점은 상기 영역의 중간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쇄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각 영역의 샘플지점에 대한 벡터에 해당하는 크기 및 위상을 갖는 신호를 상기 송신누설신호가 혼입된 수신신호와 각각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결합 후 상쇄도가 가장 큰 신호의 크기 및 위상에 해당하는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장치는 수신신호에 혼입되어 있는 송신누설신호를 검출하는 누설신호 검출부와, 상기 누설신호 검출부가 검출한 송신누설신호로 상쇄벡터를 결정하여 상기 송신누설신호를 상쇄시킬 상쇄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상쇄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쇄신호를 출력하여 수신신호에 혼입되어 있는 송신누설신호를 상쇄시키게 하는 누설신호 상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누설신호의 크기를 측정하고, 측정한 송신누설신호의 크기에 따라 I/Q 벡터 위상면 상에 상기 송신누설신호가 존재하는 최대 및 최소범위를 설정하여 탐색하고자 하는 상쇄벡터의 탐색영역을 결정하며, 결정한 탐색영역을 중점을 기준으로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각 영역별로 각각 하나의 샘플지점을 결정한 후 상기 영역별로 순차적으로 각 샘플지점에 대한 벡터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한 각 영역의 샘플지점에 대한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상쇄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을 결정하며, 결정한 상쇄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에서 해당 영역의 벡터를 이용하여 상쇄벡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한 탐색영역을 중점을 기준으로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각 영역별로 각각 하나의 샘플지점을 결정한 후 상기 영역별로 순차적으로 각 샘플지점에 대한 벡터를 검출하는 동작을 적어도 한번 이상 반복한 후 상기 결정한 상쇄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에서 해당 영역의 벡터를 이용하여 상쇄벡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쇄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의 결정은 상기 검출된 각 영역의 샘플지점에 대한 벡터에 해당하는 크기 및 위상을 갖는 신호를 상기 송신누설신호가 혼입된 수신신호와 각각 결합하고, 상기 결합 후 상쇄도가 가장 큰 신호의 크기 및 위상에 해당하는 벡터를 결정하며, 상기 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을 상기 상쇄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송수신기에서의 수신신호에 혼입된 송신신호의 누설신호를 정확하게 상쇄시킴으로써 수신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송수신기에서 송신누설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신호를 빠르게 탐색함으로써 수신신호에 포함된 송신누설신호를 빠르게 상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장치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블록도, 및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에서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방법 및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I/Q 벡터 위상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장치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에서 제어부(CPU)(110)에서 발생된 송신신호(S1)는 송신앰프(120)에서 증폭된 후 써큘레이터(130)를 거쳐 안테나(140)를 통해 송출된다. 또한 안테나(140)를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S2)는 써큘레이터(130)를 거쳐 수신앰프(150)에서 증폭된 후 제어부(CPU)(110)로 입력된다.
이때, 도면에서와 같이 송신신호(S1)가 써큘레이터(130)를 거쳐 안테나(140)로 송출될 때 송신단과 수신단 간 격리도의 제한으로 송신신호(S1)의 일부가 수신단으로 누설되어 수신신호(S2)에 송신누설신호(S3)가 혼입된다.
이러한 송신누설신호(S3)를 수신신호(S2)에서 상쇄하기 위해 송신신호(S1)의 일부를 분기하여 누설신호 상쇄부(160)로 전달한다. 이어, 누설신호 상쇄부(160)는 분기된 신호를 이용하여 송신누설신호와 크기는 동일하고 위상이 반대인 상쇄신호를 탐색하여 혼합기(170)로 전송한다.
혼합기(170)에서는 송신누설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신호를 송신누설신호(S3)가 혼입된 수신신호(S2)와 혼합함으로써 송신누설신호(S3)를 상쇄시켜 순수한 수신신호(S2)만을 수신앰프(150)로 전달하도록 한다.
누설신호 검출부(180)는 수신신호(S2)에 누설되는 송신누설신호(S3)를 검출하여 제어부(CPU)(110)로 전송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누설신호 검출부(180)는 초기에 누설신호 상쇄부(160)가 동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신신호(S2)에 포함된 송신누설신호(S3)의 크기를 검출한다. 이러한 송신누설신호(S3)의 크기정보를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송신누설신호(S3)의 크기정보를 참고로 하여 누설신호 상쇄부(160)에서 분기된 신호로부터 상쇄신호를 탐색하여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본 발명은 누설신호 상쇄부(160)에서 송신누설신호와 크기는 동일하고 위상이 반대인 상쇄신호를 빠르고 정확하게 탐색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송신누설신호에 대한 상쇄효과가 가장 큰 상쇄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탐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에서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방법 및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에서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I/Q 벡터 위상면이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신호의 송신 및 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무선 송수신기의 누설신호 상쇄부(160)에서 송신누설신호와 크기는 같고 위상이 반대인 상쇄신호를 찾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먼저, 누설신호 검출부(180)는 누설신호 상쇄부(160)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수신신호(S2)에 누설되는 송신누설신호(S3)의 크기를 측정한다. 이때, 측정되는 송신누설신호의 크기는 절대크기이다. 이러한 송신누설신호의 크기는 시스템 구성시 측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PIN 다이오드 등의 RF 검출기를 통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어 누설신호 상쇄부(160)는 송신신호에서 일부 분기되어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검출된 송신누설신호(S3)의 크기를 참고로 하여 상쇄신호를 탐색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송신누설신호는 그 절대크기를 알 수 있으나 위상은 알 수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송신누설신호(210)를 I/Q 벡터 위상면에 표시하면, 도 2a와 같이 I/Q 벡터 위상면 상에 그 절대크기에 대응하는 원주(200) 상의 한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송신누설신호(210)와 크기는 같고 위상이 반대인 상쇄신호는 이와 같이 형성된 원주(200) 상의 한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쇄신호의 탐색영역은 원주(200)가 된다.
그러나, 도 2b와 같이 송신누설신호(210)의 크기를 측정함에 있어 양/음의 측정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탐색영역은 최대범위와 최소범위를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송신누설신호(210)의 크기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음의 측정오차를 고려하여 송신누설신호(21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1원(220)을 최소범위로 설정한다. 또한, 송신누설신호(210)의 크기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양의 측정오차를 고려하여 송신누설신호(210)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는 제2원(230)을 최대범위로 설정한다. 이때, 이러한 제1원(220) 및 제2원(230)은 중심점을 이루는 중점을 기준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원(220)과 제2원(230) 사이가 상쇄신호의 탐색영역(240)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원(220)과 제2원(230) 사이가 상쇄신호의 탐색영역(240)이 되므로, 전 영역을 탐색하는 기존 방법에 비해 탐색시간이 현저히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어, 도 2c에서와 같이 상쇄신호의 탐색영역(240)을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일례로서 4사분면으로 구분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어서, 각각 구분된 영역별로 하나의 샘플지점(A,B,C,D)을 각각 결정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각 영역마다 중간점을 샘플지점으로 결정함이 바람직하다.
이들 각 영역별로 순차적으로 각 샘플지점에 대한 벡터를 검출한다. 이때, 벡터는 중점을 기준으로 각 샘플지점까지의 벡터를 의미한다. 도 2c에는 일례로 제1사분면이 제1탐색영역이 되어 제1사분면부터 순차적으로 각각의 샘플지점의 벡터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검출되는 샘플지점의 벡터를 이용하여 상쇄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을 결정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와 같이 검출된 각 영역의 샘플지점에 대한 벡터에 해당하는 크기 및 위상을 갖는 신호를 무선 송수신기에서 송신누설신호(210)가 혼입된 수신신호와 각각 결합하여 상쇄도가 가장 큰 신호의 크기 및 위상에 해당하는 벡터를 결정하고, 그 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을 결정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일례와 같이, 만약 송신누설신호(210)가 제3사분면에 존재한다면 A 샘플지점에서 검출한 벡터의 상쇄도가 다른 샘플지점(B~D)의 벡터보다 클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상쇄벡터가 제1사분면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쇄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제1사분면)이 결정되면, 도 2d와 같이 그 영역(제1사분면)을 다시 다수의 서브영역으로 구분한다. 도 2d에는 일 실시 예로 제1사분면을 2개의 서브영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서는 그 이상의 서브영역으로도 구분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분된 서브영역에서도 위와 마찬가지로 각 서브영역별로 하나의 샘플지점(A1,A2)을 결정하고, 각 샘플지점(A1,A2)에서의 벡터를 검출한다. 이러한 벡터를 이용하여 상쇄도가 큰 벡터를 구하고, 그 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을 2차 탐색구간으로 설정한다.
상술한 과정을 계속해서 반복 수행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최적의 상쇄벡터를 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침으로써 1차적으로 제1원(220)과 제2원(230) 사이로 탐색영역을 좁히고, 2차적으로 탐색영역을 서브영역으로 좁히게 되고, 이를 적어도 한번 이상 반복함으로써 상쇄신호의 탐색영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상쇄신호를 탐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최근 RFID, NFC 등과 같은 무선통신 기술이 많은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 기술에서는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이 동시에 일어나므로 송신신호의 일부가 누설되어 수신신호에 포함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위하여 송신단과 수신단의 격리도를 높이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본 발명은 무선 송수신기에서 송신신호에서 누설되어 수신신호에 포함된 송신누설신호를 상쇄시키기 위한 상쇄신호를 빠르고 정확하게 탐색하기 때문에 무선통신에서 수신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최적의 상쇄신호 탐색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무선통신 기술 및 무선 송수신장치 등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쇄도의 벡터값에 의한 최적 상쇄벡터의 방향 검출 등에 의한 최적치 수렴시간의 추가 단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제어부(CPU) 120 : 송신앰프
130 : 써큘레이터 140 : 안테나
150 : 수신앰프 160 : 누설신호 상쇄부
170 : 혼합기 180 : 누설신호 검출부

Claims (10)

  1. 무선신호의 송신 및 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무선 송수신기에서의 송신신호의 일부가 누설되어 수신신호에 혼입된 송신누설신호의 크기를 누설신호 검출부가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송신누설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I/Q 벡터 위상면 상에 상기 송신누설신호가 존재하는 최대 및 최소범위를 설정하여 상기 송신누설신호를 상쇄하기 위하여 탐색하고자 하는 상쇄벡터의 탐색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쇄벡터의 탐색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송신누설신호의 크기에 대한 음의 측정오차를 고려하여 상기 송신누설신호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1원을 최소범위로 설정하고, 양의 측정오차를 고려하여 상기 송신누설신호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는 제2원을 최대범위로 설정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탐색영역은;
    중점을 기준으로 하여 4사분면으로 구분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쇄벡터의 탐색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한 이후에;
    상기 탐색영역을 중점을 기준으로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각 영역별로 각각 하나의 샘플지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영역별로 순차적으로 각 샘플지점에 대한 벡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영역의 샘플지점에 대한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상쇄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각 영역의 샘플지점에 대한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상쇄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한 이후에;
    상기 결정된 영역에 대하여 상기 구분된 각 영역별로 각각 하나의 샘플지점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영역별로 순차적으로 각 샘플지점에 대한 벡터를 검출하는 단계를 적어도 한번 이상 반복하는 단계; 및
    상기 반복하는 단계 이후에 검출된 벡터를 이용하여 상쇄벡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각 영역의 샘플지점은;
    상기 영역의 중간지점에 위치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쇄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각 영역의 샘플지점에 대한 벡터에 해당하는 크기 및 위상을 갖는 신호를 상기 송신누설신호가 혼입된 수신신호와 각각 결합하는 단계;
    상기 결합 후 상쇄도가 가장 큰 신호의 크기 및 위상에 해당하는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방법.
  8. 수신신호에 혼입되어 있는 송신누설신호를 검출하는 누설신호 검출부;
    상기 누설신호 검출부가 검출한 송신누설신호로 상쇄벡터를 결정하여 상기 송신누설신호를 상쇄시킬 상쇄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상쇄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쇄신호를 출력하여 수신신호에 혼입되어 있는 송신누설신호를 상쇄시키게 하는 누설신호 상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누설신호의 크기를 측정하고, 측정한 송신누설신호의 크기에 따라 I/Q 벡터 위상면 상에 상기 송신누설신호가 존재하는 범위의 양의 측정오차 및 음의 측정오차를 고려하여 상기 송신누설신호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는 제1원과 상기 송신누설신호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2원을 각각 최대 및 최소범위로 설정하여 상기 송신누설신호를 상쇄하기 위하여 탐색하고자 하는 상쇄벡터의 탐색영역을 결정하며, 결정한 탐색영역을 중점을 기준으로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각 영역별로 각각 하나의 샘플지점을 결정한 후 상기 영역별로 순차적으로 각 샘플지점에 대한 벡터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한 각 영역의 샘플지점에 대한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상쇄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을 결정하며, 결정한 상쇄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에서 해당 영역의 벡터를 이용하여 상쇄벡터를 결정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한 탐색영역을 중점을 기준으로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각 영역별로 각각 하나의 샘플지점을 결정한 후 상기 영역별로 순차적으로 각 샘플지점에 대한 벡터를 검출하는 동작을 적어도 한번 이상 반복한 후 상기 결정한 상쇄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에서 해당 영역의 벡터를 이용하여 상쇄벡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쇄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의 결정은;
    상기 검출된 각 영역의 샘플지점에 대한 벡터에 해당하는 크기 및 위상을 갖는 신호를 상기 송신누설신호가 혼입된 수신신호와 각각 결합하고, 상기 결합 후 상쇄도가 가장 큰 신호의 크기 및 위상에 해당하는 벡터를 결정하며, 상기 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을 상기 상쇄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장치.
KR1020100018928A 2010-03-03 2010-03-03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방법 및 장치 KR101426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928A KR101426113B1 (ko) 2010-03-03 2010-03-03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방법 및 장치
EP11156421A EP2365642A1 (en) 2010-03-03 2011-03-01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ancellation signal of transmission leakage signal in RF transceiver
US13/039,229 US8537881B2 (en) 2010-03-03 2011-03-02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ffset signal of transmission leakage signal in RF transceiver
JP2011044909A JP5069362B2 (ja) 2010-03-03 2011-03-02 無線送受信機における送信漏れ信号の相殺信号探索方法及び装置
CN2011100527162A CN102195721B (zh) 2010-03-03 2011-03-03 在rf收发机中检测发射泄漏信号的偏置信号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928A KR101426113B1 (ko) 2010-03-03 2010-03-03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911A KR20110099911A (ko) 2011-09-09
KR101426113B1 true KR101426113B1 (ko) 2014-08-06

Family

ID=4398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928A KR101426113B1 (ko) 2010-03-03 2010-03-03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37881B2 (ko)
EP (1) EP2365642A1 (ko)
JP (1) JP5069362B2 (ko)
KR (1) KR101426113B1 (ko)
CN (1) CN1021957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9392B2 (en) 2012-07-30 2022-12-27 Photonic Systems, Inc. Same-aperture any-frequency simultaneous transmit and receive communication system
US9209840B2 (en) 2012-07-30 2015-12-08 Photonic Systems, Inc. Same-aperture any-frequency simultaneous transmit and receive communication system
US10374656B2 (en) 2012-07-30 2019-08-06 Photonic Systems, Inc. Same-aperture any-frequency simultaneous transmit and receive communication system
US9935680B2 (en) * 2012-07-30 2018-04-03 Photonic Systems, Inc. Same-aperture any-frequency simultaneous transmit and receive communication system
US9252831B2 (en) * 2013-03-01 2016-02-02 Qualcomm Incorporated Multi-tap adaptive filter for transmit signal leakage cancellation
US9112567B2 (en) * 2013-11-19 2015-08-18 Symbol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on of AM noise in RFID devices through modulation of a received signal
JP2016115952A (ja) * 2014-12-10 2016-06-23 富士通株式会社 歪補償装置及び歪補償方法
WO2016108447A1 (ko) * 2014-12-30 2016-07-07 주식회사 쏠리드 시분할듀플렉스 방식의 분산 안테나 시스템
KR102388545B1 (ko) * 2016-02-02 2022-04-19 안범주 동시적 nfc 송수신 시스템
US11777704B1 (en) * 2022-03-11 2023-10-03 Qorvo Us, Inc. Concurrent multistandard detection receiver with prepacket transmission det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766A (ko) * 2003-06-06 2006-04-03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캐리어 누설을 억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46747B1 (ko) 2006-02-06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Rfid 리더
JP2009081719A (ja) * 2007-09-26 2009-04-16 Denso Corp ノイズキャンセル方法及びノイズキャンセラ
KR20100008282A (ko) * 2008-07-15 2010-01-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Rfid 리더 시스템 및 rfid 리더의 송신누설신호제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6429A (en) * 1971-05-24 1972-10-03 Cutler Hammer Inc Signal cancellation system
JPH05102867A (ja) * 1991-09-17 1993-04-23 Shiyoudenriyoku Kosoku Tsushin Kenkyusho:Kk 干渉波低減受信方式
JPH07115370A (ja) * 1993-10-18 1995-05-02 Nippondenso Co Ltd 高速ベクトル量子化器および高速ベクトル量子化方法
US5675286A (en) * 1996-02-12 1997-10-0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linear transmitter
JP3356979B2 (ja) * 1997-11-25 2002-12-16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中継ブースタ
JP3349112B2 (ja) 1998-08-13 2002-11-20 日本電気株式会社 オフセット調整方法およびオフセット調整装置
EP1059735A1 (en) * 1999-06-07 2000-12-13 Semiconductor Ideas to The Market (ItoM) BV Communication device
US7369813B2 (en) * 2003-05-14 2008-05-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Fast calibra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JP4341418B2 (ja) 2004-01-30 2009-10-07 日本電気株式会社 直交変調器の調整装置及び調整方法並びに通信装置とプログラム
GB0508205D0 (en) * 2005-04-22 2005-06-01 Ttp Communications Ltd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radio devices
US8410905B2 (en) 2007-07-10 2013-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FID reader cancelling leakage signal
JP5145160B2 (ja) * 2008-08-07 2013-02-13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766A (ko) * 2003-06-06 2006-04-03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캐리어 누설을 억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46747B1 (ko) 2006-02-06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Rfid 리더
JP2009081719A (ja) * 2007-09-26 2009-04-16 Denso Corp ノイズキャンセル方法及びノイズキャンセラ
KR20100008282A (ko) * 2008-07-15 2010-01-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Rfid 리더 시스템 및 rfid 리더의 송신누설신호제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95721B (zh) 2013-11-27
US20110216815A1 (en) 2011-09-08
EP2365642A1 (en) 2011-09-14
JP2011182400A (ja) 2011-09-15
CN102195721A (zh) 2011-09-21
KR20110099911A (ko) 2011-09-09
US8537881B2 (en) 2013-09-17
JP5069362B2 (ja)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113B1 (ko)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누설신호의 상쇄신호 탐색방법 및 장치
US8723720B2 (en) Wireless location detection and/or track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Omer et al. Indoor distance estimation for passive UHF RFID tag based on RSSI and RCS
KR100778309B1 (ko) 수신 신호 세기 및 다중 주파수를 이용한 무선 발신기위치 계산 장치 및 방법
US200803161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er Locating Using a Single Receiver
US20070167171A1 (e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Device Having Two Communications Connections
EP2101518A1 (en) Finding the position of a mobile terminal
EP3531161A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the relative location of two narrowband devices
KR20120127892A (ko) 자기 상관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송수신기
CN102830395A (zh) 一种高精度相位式微波测距装置及方法
JP5140168B2 (ja) 送信漏れ信号の相殺信号探索方法
JP2010091331A (ja) レーダ装置
CN110208737B (zh) 一种超短波双通道宽带测向系统及门限判定测向方法
US92441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received signals in a radio signal positioning system
Görtschacher et al. SDR based RFID reader for passive tag localization using phase difference of arrival techniques
WO20070838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er locating using a single receiver
US20210006324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communication path of millimeter wave signal, measurememt device and measurement controller using the same
JPH09236651A (ja) 位置標定装置
CN102692617A (zh) 一种位置移动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KR102315024B1 (ko) 단말 이동시 빔 트래킹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
US20230288520A1 (en) Navigational beaconing via doppler null scanning (dns)
US118037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FID positioning
Wang et al. Arpap: A novel antenna-radiation-pattern-aware power-based positioning in rf system
Yang et al. Wirelessly retrieving phase and RSSI of UHF RFID using commodity SDR sniffer
EP4283323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