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7892A - 자기 상관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송수신기 - Google Patents

자기 상관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송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7892A
KR20120127892A KR1020110045667A KR20110045667A KR20120127892A KR 20120127892 A KR20120127892 A KR 20120127892A KR 1020110045667 A KR1020110045667 A KR 1020110045667A KR 20110045667 A KR20110045667 A KR 20110045667A KR 20120127892 A KR20120127892 A KR 20120127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eiver
autocorrelation
mixer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1741B1 (ko
Inventor
김은희
고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칩스
Priority to KR1020110045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741B1/ko
Priority to US13/220,161 priority patent/US8897735B2/en
Publication of KR20120127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04B1/525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with means for reducing leakage of transmitter signal in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04B1/48Transmit/receive switching in circuits for connecting transmitter and receiver to a common transmission path, e.g. by energy of transmi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기 상관 수신기는 송신부와 수신부가 안테나를 공유하는 송수신기의 자기상관 수신기로서, 수신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수신 신호의 크기를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하여 클램핑 신호를 출력하는 클램퍼; 상기 수신 신호와 상기 클램핑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수신 신호와 상기 클램핑 신호 사이의 차이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출력하는 혼합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기 상관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송수신기 {SELF-CORRELATION RECEIVER AND TRANSCEIV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송신부와 수신부가 안테나를 공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기 상관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송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송신부와 수신부가 안테나를 공유하는 시스템에서는 송신부로부터의 신호가 수신부로 입력되어 수신부를 포화시키거나 고장을 야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의 예로서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송수신기를 들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100), 송신부(200) 및 안테나(300) 사이에 아이솔레이터(400:isolator) 또는 서큘레이터(circulator)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아이솔레이터(400) 또는 서큘레이터 등은 단일칩 시스템(SoC: System on a chip)으로 집적하기가 어려워 외부 부품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폼팩터(form factor)의 증가 및 전체 시스템 면적의 증가로 인하여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더욱이, 아이솔레이터(400)를 사용하더라도 이의 불완전한 성능으로 인해 송신부(200)의 신호가 여전히 동일 송수신기의 수신부(100)로 누설될 수 있다. 이는 도1에서 누설신호1로 표시된다. 또한, 안테나(300)의 반사 특성으로 인하여 안테나로 전달된 송신부(200) 신호의 일부가 수신부(10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는 도1에서 누설신호2로 표시된다.
이때, 수신부(100)로 유입되는 누설신호1 및 누설신호2의 크기는 수신부(100)가 안테나(300)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수신해야 하는 외부 신호보다 매우 크다. 이로 인해 수신부(100)에서 큰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가 요구된다.
송신부(200)로부터 수신부(100)로의 누설신호1 및 2는 수신부(100)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증가시키는 것 이외에 수신부(100)의 수신 신호에서 잡음을 야기하는 단점이 있다. 이때, 상기 잡음은 상기 아이솔레이터(400) 등의 성능 이외에도 국부 발진기(LO: Local Oscillator)의 위상 잡음의 영향을 받는다.
송신부(200)의 출력 신호가 발생하는 시점의 송신부(200) 국부 발진신호의 위상 잡음 특성을 ФN(t)라고 정의한다. 이때, 송신부(200) 출력 신호가 수신부(100)에 유입되어 혼합기(110: mixer)에 입력되는 수신부(100) 국부 발진 신호와 결합하는 시점에서, 수신부(100) 국부 발진 신호의 위상 잡음 특성은 ФN'(t) (=ФN(t-τ))로 나타난다. τ는 대략 송신부(200) 누설 신호가 수신부 혼합기(110)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이는 도2에 도시된다. 따라서, 송수신 시스템에서 송신부(200)와 수신부(100)가 공통의 국부 발진기(500)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송신부(200) 누설 신호와 수신부(100) 국부 발진 신호의 위상 잡음 특성에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 이러한 잡음을 PN-유도 잡음(PN-induced noise)으로 지칭한다. τ가 커짐에 따라 ФN'(t)와 ФN 사이의 차이가 커진다. 따라서, τ가 커지면 PN-유도 잡음 및 수신부 잡음이 커지게 된다.
도2에서 VN은 수신부(100)의 기저대역 잡음을 나타내며 아래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1
여기서, 코사인(cosine)으로 표시된 전단부는 DC 오프셋(DC offset)을 나타낸다. 사인(sine)으로 표시된 후단부는 PN-유도 잡음을 나타낸다. θ는 τ와 관련된 값으로, 송신부의 신호 발생으로부터 누설 신호1 또는 누설 신호2가 수신부 혼합기(110)에 입력될 때까지의 위상 지연을 나타낸다. 이때, DC 오프셋 및 PN-유도 잡음은 각각 사인과 코사인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이 둘을 동시에 최소화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아이솔레이터(400)와 같은 외부 소자를 사용하여 누설 신호의 크기 자체, 즉 α를 줄일 수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소자의 사용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외부 소자를 사용함이 없이 수신부의 잡음을 줄이면서 성능이 향상된 송수신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요구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외부 소자 없이 송신부 누설 신호로 인한 수신부의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기 상관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상 천이기를 이용함으로써 쿼드러쳐(quadrature)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쿼드러쳐 송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 상관 수신기는 송신부와 수신부가 안테나를 공유하는 송수신기의 자기상관 수신기로서, 수신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수신 신호의 크기를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하여 클램핑 신호를 출력하는 클램퍼; 상기 수신 신호와 상기 클램핑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수신 신호와 상기 클램핑 신호 사이의 차이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출력하는 혼합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기는 자기 상관 수신기를 포함하는 송신부와 수신부가 안테나를 공유하는 송수신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부와 수신부가 안테나를 공유하는 쿼드러쳐 송수신기는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천이시키는 위상 천이기, 제1 자기 상관 수신기 및 제2 자기 상관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자기 상관 수신기 및 상기 제2 자기 상관 수신기 각각은: 수신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수신 신호의 크기를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하여 클램핑 신호를 출력하는 클램퍼; 및 상기 수신 신호와 상기 클램핑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수신 신호와 상기 클램핑 신호 사이의 차이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출력하는 혼합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부와 수신부가 안테나를 공유하는 송수신기에서 아이솔레이터 등의 외부 소자를 사용함이 없이 송신부 누설 신호로 인한 수신부의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부에 입력되는 수신 신호를 국부 발진 신호로 이용함으로써 PN-유도 잡음을 제거하게 되어 수신부의 잡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부(100)에서 DC 차단 캐패시터를 이용함으로써 수신부(100)의 기저 대역 다이나믹 레인지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부와 수신부가 안테나를 공유하는 송수신기에서 45° 위상 천이기를 활용하여 수신 신호의 I/Q 검출(I/Q detection)을 구현함으로써 거리에 따른 널 포인트(Null point) 없이 수신부의 수신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송수신기를 나타낸다.
도2는 종래의 송수신기에서 PN-유도 잡음의 생성 과정을 나타낸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기의 자기 상관 수신기를 나타낸다.
도4a 및 도4b는 도3에 따른 자기 상관 수신기에서 수신 신호 및 기저 대역 출력 신호를 예시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상관 수신기의 차동 회로도를 예시한다.
도6a 및 도6b는 도5에 따른 회로도의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를 예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를 구비하는 쿼드러쳐 송수신기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들 중 인용부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인용부호들로 표시됨을 유의해야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송신부와 수신부가 안테나를 공유하는 송수신기에서 수신부로 입력되는 수신 신호를 수신부의 국부 발진 신호로 사용함으로써 수신부의 PN-유도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시스템은 수신단에 입력되는 송신 신호를 활용하는 구성이므로, 송신부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외부 소자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상관 수신기가 수신부의 전단부에 위치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상관 수신기를 포함하는 송수신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기는 송신부(200), 안테나(300) 및 수신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100)는 자기 상관 수신기(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상관 수신기(600)는 클램퍼(610: clamper)와 혼합기(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클램퍼(610)는 수신부(100)로의 수신 신호를 입력받아 수신 신호의 크기를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하여 클램핑 신호를 출력한다. 도3에서 상기 클램핑 신호는 VLO로 표시된다. 이는 상기 클램핑 신호가 수신부(100)의 국부 발진 신호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혼합기(620)는 수신 신호와 클램핑 신호(VLO)를 입력받아 상기 수신 신호와 상기 클램핑 신호 사이의 차이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상관 수신기(600)는 수신부(100)의 전단부(front end)를 구성한다. 수신부(100)의 수신 신호, 즉 자기 상관 수신기(600)에 입력되는 수신 신호는 동일 송수신기의 송신부(200)로부터의 송신 신호(VTX)와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신호(VTAG)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외부 신호(VTAG)로서 ASK(Amplitude Shift Keying) 변조된 신호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때, 수신부(100)에서 관심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는 상기 외부 신호(VTAG)이고 상기 송신 신호(VTX)는 수신부(100)에서는 관심이 없는 잡음에 해당한다.
송신 신호(VTX)와 외부 신호(VTAG)를 포함하는 수신 신호(VRX)가 수신부(100)로 입력된다. 상기 수신 신호(VRX)는 수신부(100)의 전단부인 자기 상관 수신기(600)에 가장 먼저 입력된다. 상기 수신 신호(VRX)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즉, 고주파수의 송신 신호(VTX)에 외부 신호(VTAG)의 정보가 실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송신 신호(VTX)는 외부 신호(VTAG)에 비해 매우 큰 값을 갖는다.
이러한 수신 신호(VRX)가 자기 상관 수신기(600)의 클램퍼(610)에 입력된다. 상기 클램퍼(610)는 수신 신호(VRX)의 크기를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4a에 도시된 수신 신호(VRX)를 예로 설명하면, 상기 소정 범위는 수신 신호(VRX)의 포락선의 최저 크기 이내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램퍼(610)로부터의 클램핑 신호는 송신 신호(VTX)와 거의 같아지게 된다. 바람직한 경우 상기 클램퍼(610)로부터의 클램핑 신호(VLO)는 송신 신호(VTX)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클램퍼(610)로부터의 클램핑 신호(VLO) 및 수신 신호(VRX)가 혼합기(620)에 입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혼합기(620)는 주파수 하향 변환 혼합기로서 두 개의 입력되는 신호들의 차이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출력한다. 즉, 클램핑 신호(VLO)와 수신 신호(VRX)의 차이 주파수를 갖는 신호가 출력된다. 수신 신호(VRX)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신호(VTX)와 외부 신호(VTAG)가 합해진 신호이다. 클램핑 신호(VLO)는 송신 신호(VTX)와 동일한 신호이다. 따라서, 수신 신호(VRX)와 클램핑 신호(VLO)가 혼합기(620)에 입력되면 도4a에 도시된 신호에서 송신 신호가 제거된 저주파의 포락선 신호가 혼합기(620)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620)는 송신부(200)의 출력 파워로 인해 포화되지 않을 정도의 높은 선형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상관 수신기(600)은 입력되는 수신 신호(VRX)에서 원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신호(VTAG)의 포락선만을 출력하는 포락선 검출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송수신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상관 수신기(600)를 이용하는 경우, 수신부(100)에 입력된 송신 신호(VTX)가 그 자체로서 수신부(100)에서의 국부 발진 신호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송신부의 누설 신호와 수신부의 국부 발진 신호 사이의 위상 잡음 특성 차이로 인한 PN-유도 잡음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상관 수신기(600)는 혼합기(620)의 출력단에 DC 오프셋(DC offset)을 제거할 수 있는 DC 차단 캐패시터(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DC 차단 캐패시터(630)를 이용함으로써 기저 대역 영역의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가 커져야 하는 문제점도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 차단 캐패시터(630)를 포함하는 자기 상관 수신기(600)의 최종 출력 신호는 기저 대역 신호(VBB)로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최종 출력되는 신호(VBB)는 외부 신호(VTAG)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저 대역 신호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상관 수신기(600)를 구현하는 차동 회로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퍼(610) 및 혼합기(620)는 양파 정류기(positive wave rectifier)와 부파 정류기(negative wave rectifie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양파 정류기는 서로 게이트 단이 연결된 두 개의 PMOS 트랜지스터(M1, M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파 정류기는 서로 게이트 단이 연결된 두 개의 NMOS 트랜지스터(M3, M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파 정류기 및 부파 정류기를 상보적으로 함께 사용하여 전파 정류기(full wave rectifier)를 구성함으로써 회로의 변환 이득(conversion gain)을 2배 증가시키고 입력 신호를 차동 시그널링(differential signaling)할 수 있다. 즉, 입력 신호로서 VIN +와 VIN - 신호가 입력되고 출력 신호로서 VOUT +와 VOUT -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도6a 및 도6b에는 도5에 따른 회로도에 입력되는 차동 입력 신호(VIN +, VIN -)와 차동 출력 신호(VOUT +, VOUT -)를 예시한다.
또한, 양파 정류기의 PMOS 트랜지스터(M1, M2)의 게이트단에 DC 바이어스(DC bias)로서 GND(ground) 신호를 인가하고, 부파 정류기의 NMOS 트랜지스터(M3, M4)의 게이트단에 DC 바이어스로서 VDD 신호를 인가한 것이 도5에 도시된다. 양파 정류기의 처리 가능한 최대 신호의 크기는 VDD-Vbias이다. 따라서, 이 경우 양파 정류기의 처리 가능한 최대 신호의 크기는 VDD-GND로서 VDD의 크기를 갖는다. 부파 정류기의 처리 가능한 최대 신호의 크기는 Vbias-GND이다. 따라서, 이 경우 부파 정류기의 처리 가능한 최대 신호의 크기는 VDD-GND로서 VDD의 크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DC 바이어스를 양파 정류기와 부파 정류기에 인가함으로써 처리할 수 있는 수신 신호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기 상관 수신기에 입력되는 차동 수신 신호(VIN +, VIN -)의 최대 크기는 VDD의 2배에 해당한다.
또한, 도5의 회로도의 출력단에는 각각 DC 차단 캐패시터가 구비되어 차동 출력 신호 각각의 DC 오프셋을 제거함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를 구비하는 쿼드러쳐 송수신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기는 제1 자기 상관 수신기(600A) 및 제2 자기 상관 수신기(6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자기 상관 수신기(600A) 및 제2자기 상관 수신기(600B)는 각각 클램퍼(610A, 610B) 및 혼합기(620A, 620B)를 포함한다. 또한, 제1자기 상관 수신기(600A) 및 제2자기 상관 수신기(600B)는 각각 혼합기(620A, 620B)의 출력 신호로부터 DC 오프셋을 제거하는 DC 차단 캐패시터(630A, 63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자기 상관 수신기(600A) 및 제2자기 상관 수신기(600B)는 도3과 관련하여 설명된 자기 상관 수신기(600)와 그 기능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1자기 상관 수신기(600A)의 수신 신호(VRXA)로는 안테나(300)를 통한 외부 신호(VTAG)와 위상 천이기(700)를 통과한 송신 신호(VTX∠45°)가 입력된다. 제2자기 상관 수신기(600B)의 수신 신호(VRXB)로는 위상 천이기(700)를 통과한 외부 신호(VTAG∠45°)와 송신부(200)로부터의 송신 신호(VTX)가 입력된다. 이때, 위상 천이기(700)는 45° 위상 천이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자기 상관 수신기(600A, 600B)를 구비하고 각각의 자기 상관 수신기에 수신 신호로서 VTX∠45° 및 VTAG 신호 쌍, 그리고 VTX 및 VTAG∠45° 신호 쌍을 입력함으로써 VTAG의 외부 신호를 전송하는 외부 송신기와 수신기의 거리에 관계없이 수신부(100)의 수신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위상 천이된 송신 신호(VTX)와 외부 신호(VTAG)가 90°의 위상 차이가 나는 경우에, I-phase 경로의 수신 신호 쌍(VTX∠45° 및 VTAG)으로 외부 신호(VTAG)를 정확히 검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Q-phase 경로의 다른 수신 신호 쌍(VTX 및 VTAG∠45°)을 이용하는 경우 외부 신호가 송신 신호와 정렬되어 외부 신호(VTAG)가 검출될 수 있다.
제1자기 상관 수신기(600A)의 최종 출력 신호는 정위상의 기저 대역 신호(VI , OUT)일 수 있다. 제2자기 상관 수신기(600B)의 최종 출력 신호는 직각위상의 기저 대역 신호(VQ , OUT)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상 천이기(700)를 이용하여 두 가지의 수신 신호 쌍을 제1자기 상관 수신기(600A) 및 제2자기 상관 수신기(600B)에 입력함으로써 송신 신호(VTX)와 외부 신호(VTAG) 사이의 위상 차이에 무관하게 외부 신호(VTAG)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수신부 200 : 송신부
300: 안테나 400: 아이솔레이터
500: 국부 발진기 600: 자기 상관 수신기
610: 클램퍼, 620: 혼합기, 630: DC 차단 캐패시터
700: 위상 천이기

Claims (15)

  1. 송신부와 수신부가 안테나를 공유하는 송수신기의 자기상관 수신기로서,
    수신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수신 신호의 크기를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하여 클램핑 신호를 출력하는 클램퍼;
    상기 수신 신호와 상기 클램핑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수신 신호와 상기 클램핑 신호 사이의 차이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출력하는 혼합기를 포함하는 자기 상관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의 출력 신호에서 DC 신호를 제거하는 DC 차단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상관 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는 상기 송신부로부터의 제1신호와 상기 안테나를 통한 제2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상관 수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신호는 상기 제1신호와 동일하고, 상기 혼합기의 출력 신호는 상기 수신 신호의 포락선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상관 수신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는 ASK 변조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상관 수신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 및 상기 혼합기는 서로 게이트단이 연결된 두 개의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양파 정류기 및 서로 게이트단이 연결된 두 개의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부파 정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상관 수신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기 상관 수신기를 포함하는 송신부와 수신부가 안테나를 공유하는 송수신기.
  8. 송신부와 수신부가 안테나를 공유하는 쿼드러쳐 송수신기로서: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천이시키는 위상 천이기, 제1 자기 상관 수신기 및 제2 자기 상관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자기 상관 수신기 및 상기 제2 자기 상관 수신기 각각은:
    수신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수신 신호의 크기를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하여 클램핑 신호를 출력하는 클램퍼; 및
    상기 수신 신호와 상기 클램핑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수신 신호와 상기 클램핑 신호 사이의 차이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출력하는 혼합기를 포함하는 쿼드러쳐 송수신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 상관 수신기에는 상기 송신부로부터의 제1신호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한 제2신호가 제1 수신 신호로서 입력되고,
    상기 제2 자기 상관 수신기에는 상기 송신부로부터의 제3신호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한 제4신호가 제2 수신 신호로서 입력되며,
    상기 제1신호 및 상기 제4신호는 상기 위상 천이기를 통과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드러쳐 송수신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천이기는 상기 송수신기에 통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드러쳐 송수신기.
  11. 상기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천이기는 45° 위상 천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드러쳐 송수신기.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 상관 수신기 및 상기 제2상관 수신기는 각각 상기 혼합기의 출력 신호에서 DC 신호를 제거하는 DC 차단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드러쳐 송수신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 상관 수신기에서, 상기 클램핑 신호는 상기 제1신호와 동일하고 상기 혼합기의 출력 신호는 상기 제1 수신 신호의 포락선 신호이며,
    상기 제2 자기 상관 수신기에서, 상기 클램핑 신호는 상기 제3신호와 동일하고 상기 혼합기의 출력 신호는 상기 제2 수신 신호의 포락선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드러쳐 송수신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 및 상기 제4신호 ASK 변조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드러쳐 송수신기.
  15.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 및 상기 혼합기는 서로 게이트단이 연결된 두 개의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양파 정류기 및 서로 게이트단이 연결된 두 개의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부파 정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드러쳐 송수신기.
KR1020110045667A 2011-05-16 2011-05-16 자기 상관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송수신기 KR101241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667A KR101241741B1 (ko) 2011-05-16 2011-05-16 자기 상관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송수신기
US13/220,161 US8897735B2 (en) 2011-05-16 2011-08-29 Self-correlation receiver and transceive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667A KR101241741B1 (ko) 2011-05-16 2011-05-16 자기 상관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송수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892A true KR20120127892A (ko) 2012-11-26
KR101241741B1 KR101241741B1 (ko) 2013-03-11

Family

ID=47174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667A KR101241741B1 (ko) 2011-05-16 2011-05-16 자기 상관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송수신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97735B2 (ko)
KR (1) KR1012417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56597B (zh) * 2011-03-31 2016-11-01 Panasonic Corp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025646B2 (en) * 2013-03-14 2015-05-05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leakage cancellation
US9781612B2 (en) * 2014-03-31 2017-10-03 Intel IP Corporation Correlation-based self-interference suppression
US9673847B1 (en) * 2015-11-25 2017-06-06 Analog Device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transceiver calibration
US9979408B2 (en) 2016-05-05 2018-05-22 Analog Device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phase synchronization of phase-locked loops
FR3052311B1 (fr) * 2016-06-06 2019-08-02 Airbus Ds Slc Dispositif et procede pour le traitement d'un signal recu par un recepteur perturbe par un emetteur
US10439851B2 (en) * 2016-09-20 2019-10-08 Ohio State Innovation Foundation Frequency-independent receiver and beamforming technique
US11082051B2 (en) 2018-05-11 2021-08-03 Analog Devices Global Unlimited Company Apparatus and methods for timing offset compensation in frequency synthesizers
KR20200086512A (ko) * 2019-01-09 2020-07-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패턴 기반 복조 방식의 백스캐터 통신 방법 및 장치
TWI819181B (zh) * 2020-01-06 2023-10-2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傳收器和傳收器校正方法
FR3109851B1 (fr) * 2020-05-04 2022-04-0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Méthode de réception d’un signal modulé en amplitude et récepteur associé
TWI737529B (zh) * 2020-10-30 2021-08-21 精拓科技股份有限公司 數位隔離器
KR102421478B1 (ko) * 2021-01-20 2022-07-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변조 방법, 복조 방법 및 이들을 이용하는 변조 장치 및 복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0955B2 (ja) * 1999-07-19 2003-01-27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Cdma基地局装置
US6792289B1 (en) * 1999-11-08 2004-09-14 Qualcomm Incorporated Non-bandlimiting antenna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base stations
US7953174B2 (en) * 2002-03-20 2011-05-3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Radio transmission frequency digital signal generation
US7313163B2 (en) * 2003-06-17 2007-12-25 Motorola, Inc. Fast synchronization for half duplex digital communications
KR100596456B1 (ko) * 2004-06-22 2006-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나의 전압 제어 발진기를 사용하는 다중 대역통신시스템의 국부 발진방법 및 국부 발진기
US7821273B2 (en) * 2004-09-14 2010-10-26 Epcos Ag Circuit for detecting the impedance of a load
US7877073B2 (en) * 2005-08-11 2011-01-25 Digi International Inc. Superheterodyne receiver having at least one downconversion stage empolying a single image reject filter stage and both low-side injection and high-side injection of a local oscillator signal
US7512395B2 (en) * 2006-01-31 2009-03-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ceiver and integrated AM-FM/IQ demodulators for gigabit-rate data detection
WO2007131187A2 (en) * 2006-05-05 2007-11-15 Viasat, Inc. Rf power sensor with chopping amplifier
US7890075B2 (en) * 2006-12-29 2011-02-15 Silicon Laboratories, Inc. Mechanism for controlling amplifier gain in a radio receiver
US7786720B2 (en) * 2008-06-26 2010-08-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ssive mixer power detector method and apparatus
JP5672683B2 (ja) * 2009-09-29 2015-02-18 ソニー株式会社 無線伝送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97735B2 (en) 2014-11-25
KR101241741B1 (ko) 2013-03-11
US20120294337A1 (en) 201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741B1 (ko) 자기 상관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송수신기
US8120464B2 (en) RFID reader and method for removing a transmission carrier leakage signal
US8723720B2 (en) Wireless location detection and/or track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US7071869B2 (en) Radar system using quadrature signal
US20090215423A1 (en) Multi-port correlator and receiver having the same
EP2688262A1 (en) Quadrature demodulator
US9590745B2 (en) Scheme for performing beamforming calibration by measuring joint signal path mismatch
JP4516029B2 (ja) リーダライタ装置
US9065390B2 (en) Radio frequency front-end circuit for receiver and low noise amplifier thereof
JP4537248B2 (ja) キャリアセンス方法及び送受信装置
JP2009265031A (ja) レーダ装置および無線伝送特性測定方法
KR20130079868A (ko) 밸런스 구조의 fmcw 레이더 장치
AU2019201578A1 (en) Method and system for health monitoring using amplitude modulated continuous wave microwave signal
KR20100008282A (ko) Rfid 리더 시스템 및 rfid 리더의 송신누설신호제거 방법
CN114646956B (zh) 使用无线网络信号的生命征象雷达感测器
Carman et al. Null/Optimum Point Optimization for Indoor Passive Radar Motion Sensing
US9397870B2 (en) Signal receiving device for measuring characteristic of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and method of measuring characteristic of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CN104467904A (zh) 一种基于收发双源本振的毫米波收发前端
Li et al. A 3-Gb/s radar signal processor using an IF-correlation technique in 90-nm CMOS
KR101140587B1 (ko) Rfid 리더기 수신감도 향상을 위해 국부 발진 신호와 송신단 누설신호 간의 상관관계를 높이기 위한 구조
Shibata et al. Long range wireless SAW passive tag system for vibration monitoring
US9473275B2 (en) Gain asymmetry characterizing circuit and method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gain asymmetry possessed by transmitter
KR100737133B1 (ko) Rfid 송수신기
US20040166806A1 (en) Circuit arrangemen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signals simultaneously
US20240104315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based detection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