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028B1 -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 - Google Patents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028B1
KR101426028B1 KR1020130045997A KR20130045997A KR101426028B1 KR 101426028 B1 KR101426028 B1 KR 101426028B1 KR 1020130045997 A KR1020130045997 A KR 1020130045997A KR 20130045997 A KR20130045997 A KR 20130045997A KR 101426028 B1 KR101426028 B1 KR 101426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ntainer
container body
lid
pressur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정희
Original Assignee
현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정희 filed Critical 현정희
Priority to KR1020130045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83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밥이나 국 등과 같은 뜨거운 내용물을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온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뜨거운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는 용기 상단의 모서리부에 압력을 배출하는 압력배출홈을 형성 구비하여, 해당 내용물의 더운 열온에 의해 용기 내부압력이 상승하게 되어도 뚜껑을 개방할 때 내부용기의 상단 모서리부에 형성된 압력배출구를 통해 내부 압력이 서서히 방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뚜껑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급격한 개방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a heat insulation container}
본 발명은 가열된 물이나 국 등과 같은 뜨거운 액상의 내용물을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온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뜨거운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는 용기 상단의 모서리부에 압력을 배출하는 압력배출홈을 형성 구비하여, 해당 내용물의 더운 열온에 의해 용기 내부압력이 상승하게 되어도 뚜껑을 개방할 때 내부용기의 상단 모서리부에 형성된 압력배출구를 통해 내부 압력이 서서히 방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뚜껑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고압용기의 급격한 개방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보온용기는 가열시킨 물이나 국 등과 같은 고온의 액상으로 된 내용물을 수납 저장하여 일정한 시간이 경과 한 후에도 해당 내용물이 식지 않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보온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온용기는 크게 원통형상으로 되어 내부에 국 등과 같은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는 도시락용기와 물 등을 담아 보관하는 물병용기(일명 보온병이라 함)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보온용기는 내용물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단열 보온기능을 갖는 보온용기 본체와, 본체의 입구를 밀폐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면서 내용물의 출입을 통제하는 뚜껑(마개)과, 상기 뚜껑의 상부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되는 캡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시락 용기와 같이 캡이 없고 본체와 뚜껑만 있는 구조로 된 것도 있다.
특히 근래에 이르러, 도시락용기에 매우 뜨거운 국물 등을 수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보온용기(보온병)의 본체는 통상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상부에 구비되는 뚜껑에는 그 외주연에 나사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실링고무가 구비되어 있으며, 보온용기 본체의 외측으로는 합성수지재로 된 손잡이가 구비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보온용기는 그 내부에 수납되는 내용물이 매우 뜨거워 일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밀폐된 뚜껑이 상승되는 압력으로 인하여 개방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등록실용신안 제20-0292173호의 '보온병용 마개'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보온병은 보온병몸체(2)에 밀폐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측에 패킹(4)이 결합되고 상부 내측으로 경사면(3a)이 형성된 마개본체(3)의 내측에는 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6)에 형성된 안내홈(6a)을 따라 승강하도록 승강구(7)와 버튼(8)이 결합된 하우징(9)을 결합하고, 승강구(7)에는 차단판(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승강봉(11)을 결합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8)을 눌림에 따라 차단판(10)이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한 보온병용 마개(1)가 구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온병에 구비되는 보온병용 마개는 본체를 밀봉하는 마개본체에 스프링과 차단판을 설치하고 이를 작동시키는 버튼을 구비하여, 상기 버튼을 눌러줌에 따라 차단판이 승강 또는 하강되면서 압력을 차단 또는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보온을 유지한 상태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보온용기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41943호의 '보온도시락 겸용 보온병'과 등록실용신안 제20-0140807호의 '보온도시락의 밥통 체결장치' 등이 공지되어 있다.
KR 20-0292173 (등록번호) 2002.10.02. KR 20-0140807 (등록번호) 1998.12.24. KR 20-0341943 (등록번호) 2004.02.03.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온병은 본체를 밀봉하는 마개본체에 스프링과 차단판 등과 같은 다수의 구성품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이 어려워 위생적이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용기는 뜨거운 내용물에 의해 발생되는 내압을 제거하기 위해 공기빼기 수단으로 스프링과 차단판 등을 구비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고 생산비용이 상당히 많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뜨거운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는 용기몸체 상단의 모서리부에 압력을 배출하는 압력배출홈을 형성 구비하여, 해당 내용물의 더운 열온에 의해 용기 내부압력이 상승하게 되어도 뚜껑을 개방할 때 내부용기의 상단 모서리부에 형성된 압력배출구를 통해 내부 압력이 서서히 방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뚜껑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어 고압으로 인한 급격한 개방 등으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온의 내용물을 그 내부에 수납하여 저장하는 보온용기에 있어서,
국 또는 물을 고온으로 하여 내부에 수납 저장하는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이를 개폐하여 그 내부에 저장된 고온의 내용물을 인출 또는 밀봉될 수 있도록 하는 뚜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용기몸체에는 그 상부측으로 상기 뚜껑수단을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나선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단부 모서리에 상기 용기몸체의 내부 압력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배출홈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수단에는 상기 용기몸체의 상단 모서리부와 상기 압력배출홈을 가압하여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되는 동시에,내측 벽면으로 상기 나선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나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는 용기몸체 내부압력이 뜨거운 내용물에 의해 상승하게 되어도 뚜껑을 회전하면서 개방할 때 내부용기의 상단 모서리부에 형성된 압력배출구를 통해 내부 압력이 서서히 방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 뚜껑을 편리하게 개방할 수 있음은 물론 고압으로 인한 급격한 개방 등으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는 내부용기의 상단 모서리부에 압력배출구를 간단하게 형성함으로써 제작 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되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의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의 분리 사시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에 구비된 압력배출홈의 세부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에 구비된 압력배출홈이 다른 형태로 형성된 상태도이고,
도 5는 종래의 보온병과 이에 구비되는 마개의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국 또는 물 등과 같이 고온의 액상으로 된 내용물을 그 내부에 수납하여 저장하는 용기몸체(110)와,
상기 용기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이를 개폐하여 그 내부에 저장된 고온의 내용물을 인출 또는 밀봉될 수 있도록 하는 뚜껑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용기몸체(110)에는 상부측에 상기 뚜껑수단(120)을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나선부(111)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단부 모서리에 상기 용기몸체(110)의 내부 압력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배출홈(112)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수단(120)에는 상기 용기몸체(110)의 상단 모서리부와 상기 압력배출홈(112)을 가압하여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실링부재(121)가 구비되는 동시에,내측 벽면으로 상기 나선부(111)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나선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몸체(11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100)는 상기 용기몸체(110)의 내부에 뜨거운 물이나 국 등과 같이 고온의 내용물을 수납 저장하고, 상기 뚜껑수단(120)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몸체(110)의 상부를 체결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뚜껑수단(120)에 구비된 상기 실링부재(121)는 상기 용기몸체(110)의 상단 모서리부를 가압하면서 눌려져 그 형상이 요홈으로 되면서 상기 압력배출홈(112)을 내외부에서 감싸 밀봉하면서 막아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121)는 상기 용기몸체(110)의 상단 모서리부에 눌려질 수 있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100)는 상기 용기몸체(110)의 상단 모서리부와 상기 압력배출홈(112)이 상기 뚜껑수단(120)을 체결하면서 외부와 완벽하게 밀폐되어 내부의 압력이 새어나갈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뜨거운 내용물이 수납된 상기 용기몸체(110)가 상기 뚜껑수단(120)에 의해 밀폐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내부에 수납된 뜨거운 내용물로부터 고온의 열이 계속적으로 방출되어 용기 내부의 압력이 점점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력배출홈(112)은 도 3a와 같이 상기 실링부재(121)에 의해 눌려져 완전히 외부와 밀폐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몸체(1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뚜껑수단(120)을 개방할 때 그 내부의 상승된 고압에 의해 내용물이 외부로 방출되는 위험이 있으나, 상기 뚜껑수단(120)을 서서히 돌려 주게되면 일차적으로 도 3b와 같이 상기 압력배출홈(112)이 그 하단부에서 부터 점진적으로 외부와 노출되어 용기 내부의 압력이 서서히 새어나가게 된다.(점선 화살표a)
이때, 상기 뚜껑수단(120)은 그 내부에 형성된 상기 체결나선부(미도시)와 상기 용기몸체(1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나선부(111)가 완전히 풀려지지 않고 일부가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되지 않고 내부 압력만 외부와 노출되는 상기 압력배출홈(112)을 통해 서서히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고압이 서서히 줄어들게 되어 상기 뚜껑수단(120)은 급격한 고압에 노출되지 않게되어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압력배출홈(112)은 상기 용기몸체(110)의 상단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력배출홈(112)의 형상은 U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V형상으로 하여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압력배출홈(112)의 형상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측으로 가면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압력배출용 경사홈(112a)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는 뜨거운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는 용기몸체 상단의 모서리부에 압력을 배출하는 압력배출홈을 형성 구비하여, 해당 내용물의 더운 열온에 의해 용기 내부압력이 상승하게 되어도 뚜껑을 개방할 때 내부용기의 상단 모서리부에 형성된 압력배출구를 통해 내부 압력이 서서히 방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뚜껑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어 고압으로 인한 급격한 개방 등으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100: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
110:용기몸체 111:나선부 112:압력배출홈
120:뚜껑수단 121:실링부재

Claims (5)

  1. 고온의 내용물을 그 내부에 수납하여 저장하는 보온용기에 있어서,
    국 또는 물을 고온으로 하여 내부에 수납 저장하는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이를 개폐하여 그 내부에 저장된 고온의 내용물을 인출 또는 밀봉될 수 있도록 하는 뚜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용기몸체에는 그 상부측으로 상기 뚜껑수단을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나선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단부 모서리에 상기 용기몸체의 내부 압력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배출홈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수단에는 상기 용기몸체의 상단 모서리부와 상기 압력배출홈을 가압하여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되는 동시에,내측 벽면으로 상기 나선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나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배출홈은 상기 용기몸체의 상단부에 다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배출홈은 U형상 또는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V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배출홈의 형상은 하부측으로 가면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압력배출용 경사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11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
KR1020130045997A 2013-04-25 2013-04-25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 KR101426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997A KR101426028B1 (ko) 2013-04-25 2013-04-25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997A KR101426028B1 (ko) 2013-04-25 2013-04-25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028B1 true KR101426028B1 (ko) 2014-08-13

Family

ID=51749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997A KR101426028B1 (ko) 2013-04-25 2013-04-25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0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7631A (ko) 2016-05-12 2017-11-22 김학래 보온용기세트
WO2021153804A1 (ko) * 2020-01-31 2021-08-05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이종 화장품 믹싱 용기
KR200496034Y1 (ko) * 2021-08-12 2022-10-17 이건화 찜질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524A (ko) * 1999-01-11 2000-08-05 김세경 보온용기의 마개구조
KR20100002282U (ko) * 2008-08-25 2010-03-05 조성진 휴지케이스
KR20120002755U (ko) * 2010-10-13 2012-04-23 동아정밀공업(주)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524A (ko) * 1999-01-11 2000-08-05 김세경 보온용기의 마개구조
KR20100002282U (ko) * 2008-08-25 2010-03-05 조성진 휴지케이스
KR20120002755U (ko) * 2010-10-13 2012-04-23 동아정밀공업(주)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7631A (ko) 2016-05-12 2017-11-22 김학래 보온용기세트
WO2021153804A1 (ko) * 2020-01-31 2021-08-05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이종 화장품 믹싱 용기
KR200496034Y1 (ko) * 2021-08-12 2022-10-17 이건화 찜질 장치
KR20230000383U (ko) * 2021-08-12 2023-02-21 이도휘 가열 가능한 지퍼 팩
KR200497284Y1 (ko) 2021-08-12 2023-09-21 이도휘 가열 가능한 지퍼 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5608C2 (ru) Узел вакуумной колбы
JP2021090777A5 (ko)
KR101426028B1 (ko)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
ES2695453T1 (es) Conjunto de bol
MX2019000122A (es) Montaje dispensador de bebidas y recipiente de bebidas.
CL2019003316A1 (es) Conjunto dispensador de bebidas y contenedor de bebidas.
RU2016119346A (ru) Прибор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ферментированных молочных продуктов, в частности жидких продуктов
KR100812659B1 (ko) 조리 용기용 스팀 벤트 밸브
KR100682554B1 (ko) 생수 안전배출장치
KR20170039330A (ko) 조리용기용 뚜껑
JP5073405B2 (ja) ヒンジキャップ
TWI619455B (zh) Electric pot
KR102360677B1 (ko) 스텐레스로 제작된 전자렌지용 용기
CN203252438U (zh) 用于容装食物的密封容器和隔水炖锅
CN204016883U (zh) 一种防漏水防摔奶瓶
KR101973837B1 (ko) 보온용기세트
EP3697276A1 (fr) Appareil électrique de cuisson comportant un support de vidange avec couvercle
KR20100106848A (ko) 보온용기
KR101379394B1 (ko) 소형 식품저장용기
KR200359348Y1 (ko) 급수용 단열박스
KR102003260B1 (ko) 전자렌지용 밀폐용기 뚜껑의 마개
KR101487419B1 (ko) 휴대용 압력조리용기세트
CN205441410U (zh) 一种化学保温型容器瓶
KR101481121B1 (ko) 물을 활용한 음식물 보관장치
CN203877187U (zh) 自加热或自制冷饮料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