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092B1 -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 및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 - Google Patents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 및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092B1
KR101424092B1 KR1020120088603A KR20120088603A KR101424092B1 KR 101424092 B1 KR101424092 B1 KR 101424092B1 KR 1020120088603 A KR1020120088603 A KR 1020120088603A KR 20120088603 A KR20120088603 A KR 20120088603A KR 101424092 B1 KR101424092 B1 KR 101424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ath
dust
supplied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2246A (ko
Inventor
김종현
심양보
주재우
안기호
Original Assignee
(주)케스지기술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스지기술환경 filed Critical (주)케스지기술환경
Priority to KR1020120088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092B1/ko
Publication of KR20140022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58Other waste gases from painting equipments or paint dry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챔버로 공급되는 기체가 이동하기 위한 제1경로를 형성하는 제1급기부, 상기 제1경로를 따라 도장챔버로 이동하는 기체로부터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1급기부에 N(N은 0보다 큰 정수)개가 설치되는 제1필터, 도장챔버로 공급되는 기체가 이동하기 위한 제2경로를 형성하는 제2급기부, 상기 제2경로를 따라 도장챔버로 이동하는 기체로부터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2급기부에 M(M은 N보다 큰 정수)개가 설치되는 제2필터, 및 기체가 상기 제1급기부 또는 제2급기부를 거쳐 도장챔버로 공급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경로조절부를 포함하는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 및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장챔버로 공급되는 기체가 분진량에 대응되는 개수의 필터를 통과하여 분진이 제거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함으로써, 도장공정이 완료된 피도장체에 대한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분진량에 비해 더 많은 개수의 필터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 및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Dust of Painting System}
본 발명은 도장설비로 공급되는 기체로부터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 및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 핸드폰 케이스,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Tablet)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 이러한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부품들(이하, '피도장체'라 함)은 도장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예컨대, 핸드폰 케이스는 부식 방지, 외부 환경에 대한 내구성 향상 및 미려한 색채를 구현하기 위해 도장설비에서 표면에 대한 도장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와 같은 도장설비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3934호(2006. 09. 07)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도장설비는 피도장체에 도장재료를 분사하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도장챔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피도장체에 도장재료를 분사하는 과정에서, 도장챔버 내부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Volatile Organic Compound) 등의 유해물질이 발생한다. 이러한 유해물질은 도장챔버로부터 누설되면, 도장챔버 외부에 있는 작업자에게 질병을 야기하는 등 근로환경을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 따른 도장설비는 유해물질이 혼합된 기체를 도장챔버로부터 배출시키고, 외부에 있는 새로운 기체를 도장챔버에 공급함으로써, 도장챔버로부터 유해물질을 제거하였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도장설비는 피도장체에 분진(Dust)이 부착된 상태로 도장재료를 분사하는 공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피도장체에 도장재료를 분사하는 공정이 수행되기 전에 피도장체로부터 분진을 제거하는 공정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도장설비는 도장챔버에 분진이 혼합된 기체가 공급됨에 따라 피도장체에 도장재료를 분사하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피도장체에 분진이 부착됨으로써, 도장공정이 완료된 피도장체에 대한 불량률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077947호(2007.3.29.)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255365호(2007.10.0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1654호(2007.10.2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5660호(2009.07.0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4244호(2007.04.27.)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도장챔버에 공급되는 기체로부터 분진을 제거함으로써, 도장공정이 완료된 피도장체에 대한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 및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는 도장챔버에 연결되고, 도장챔버로 공급되는 기체가 이동하기 위한 제1경로를 형성하는 제1급기부; 상기 제1경로를 따라 도장챔버로 이동하는 기체로부터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1급기부에 N(N은 0보다 큰 정수)개가 설치되는 제1필터; 도장챔버에 연결되고, 도장챔버로 공급되는 기체가 이동하기 위한 제2경로를 형성하는 제2급기부; 상기 제2경로를 따라 도장챔버로 이동하는 기체로부터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2급기부에 M(M은 N보다 큰 정수)개가 설치되는 제2필터; 및 상기 제1급기부의 입구와 상기 제2급기부의 입구 각각에 연결되게 설치되고, 기체가 상기 제1급기부 또는 제2급기부를 거쳐 도장챔버로 공급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경로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는 도장챔버에 연결되고, 도장챔버로 공급되는 기체가 이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경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급기부; 상기 급기부들 각각에 서로 다른 개수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필터; 및 상기 급기부들의 입구 각각에 연결되게 설치되고, 기체가 상기 급기부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거쳐 도장챔버로 공급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경로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장챔버로 공급되는 기체가 분진량에 대응되는 개수의 필터를 통과하여 분진이 제거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함으로써, 도장공정이 완료된 피도장체에 대한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분진량에 비해 더 많은 개수의 필터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장챔버로 공급되는 기체가 분진을 제거하는 성능이 서로 다른 급기부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분진이 제거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함으로써, 기체에 혼합된 분진량 변화, 도장챔버의 내부 환경 변화 등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급기부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대한 필터 교체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기체가 다른 급기부와 해당 급기부에 설치된 필터를 통해 분진이 제거된 후 도장챔버로 공급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함으로써, 도장공정에 대한 작업시간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장설비에 대한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제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제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제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제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제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제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피도장체(미도시)에 도장재료를 분사하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도장챔버(100)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는 기체로부터 분진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도장챔버(100) 내부를 피도장체에 분진이 부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환경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도장공정이 완료된 피도장체에 대한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도장공정이 완료된 피도장체에 대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는 기체가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급기부(11), 및 상기 급기부(11)에 설치되는 필터(12)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12)는 상기 급기부(11)를 따라 이동하는 기체로부터 분진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줄이거나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는 기체로부터 분진을 없앨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피도장체에 분진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장공정이 완료된 피도장체에 대한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계절 변화, 도장설비가 설치된 주위 환경에 대한 변화 등과 같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상기 급기부(11)에 공급되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이 변동된다. 예컨대, 황사현상이 발생하는 계절, 꽃가루 양이 증가하는 계절, 공사지역 발생 등과 같은 요인에 의해 상기 급기부(11)에 공급되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이 증가하더라도, 상기 필터(12)가 기체로부터 분진을 제거하는 성능은 동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도장챔버(100)에 상당한 양의 분진이 포함된 기체가 공급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상기 급기부(11) 및 상기 필터(12)를 각각 복수개 포함한다. 상기 급기부(11)들에는 상기 필터(12)가 서로 다른 개수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급기부(11)들은 상기 필터(12)가 설치된 개수에 따라 기체로부터 분진을 제거하는 성능이 서로 상이하게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상기 급기부(11)들 각각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경로조절부(13)를 포함한다. 상기 경로조절부(13)는 기체가 상기 급기부(11)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거쳐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이 증가하는 경우, 기체가 더 많은 개수의 필터(12)가 설치된 급기부(11)를 통과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기체로부터 분진을 제거하는 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이 증가하더라도, 피도장체에 분진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장공정이 완료된 피도장체에 대한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이 감소하는 경우, 기체가 더 적은 개수의 필터(12)가 설치된 급기부(11)를 통과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분진의 양에 비해 많은 개수의 필터(12)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필터(12)에 대한 교체 주기를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기체가 분진의 양에 비해 많은 개수의 필터(12)를 통과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기체가 상기 도장챔버(100)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에 따라 기체로부터 분진을 제거하는 성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계절 변화, 도장설비가 설치된 주위 환경 변화 등에 따른 분진량 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상기 도장챔버(100)에 하나의 급기부(11)와 필터(12)가 설치된 경우, 기체는 상기 필터(12)에 대한 교체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상기 도장챔버(100)에서 피도장체에 도장재료를 분사하는 공정이 정지되는 등 도장공정에 대한 작업시간이 손실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상기 급기부(11)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설치된 필터(12)를 교체하는 동안, 기체가 다른 급기부(11)와 해당 급기부(11)에 설치된 필터(12)를 통해 분진이 제거된 후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도장공정에 대한 작업시간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장설비에 대한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급기부(11), 상기 필터(12) 및 상기 경로조절부(13)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급기부(11)는 상기 도장챔버(100)에 연결된다. 상기 급기부(11)는 기체가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한다. 기체는 상기 급기부(11)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도장챔버(100)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급기부(11)로 공급되는 기체는, 상기 도장챔버(100) 또는 도장설비 외부에 존재하는 공기일 수 있다. 상기 도장챔버(100) 또는 도장설비 외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팬(20)에 의해 흡입된 후 상기 급기부(11)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팬(20)은 임펠러(Impeller)를 회전시킴으로써, 기체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 및 기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송풍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급기부(11)는 입구 측이 상기 팬(20) 쪽을 향하게 설치되고, 출구 측이 상기 도장챔버(100) 쪽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는 상기 급기부(11)를 복수개 포함한다. 상기 급기부(11)들은 기체가 이동하기 위한 서로 다른 경로들을 형성한다. 상기 급기부(11)들은 각각 입구가 상기 경로조절부(13)에 연결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경로조절부(13)로부터 기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급기부(11)들은 각각 출구가 급기덕트(110)에 연결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도장챔버(100)로 기체를 공급할 수 있다. 기체는 상기 경로조절부(13)에 의해 상기 급기부(11)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과한 후, 상기 급기덕트(110) 내부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가 3개의 급기부(11)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는 2개 또는 4개 이상의 급기부(11)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필터(12)는 상기 급기부(11)에 설치된다. 상기 필터(12)는 상기 급기부(11)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급기부(11) 내부를 이동하는 기체로부터 분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필터(12)는 소정 크기 미만의 분진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복수개의 통과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과공들은 각각 피도장체에 부착되더라도 품질 기준을 만족시키는 분진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필터(12)는 30 ㎛ 미만의 크기를 갖는 분진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통과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12)는 30 ㎛ 이상의 크기를 갖는 분진을 통과시키지 않음으로써, 기체로부터 30 ㎛ 이상의 크기를 갖는 분진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12)는 30 ㎛ 이상의 크기를 갖는 분진이 피도장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는 상기 필터(12)를 복수개 포함한다. 상기 급기부(11)들 각각에는 상기 필터(12)가 서로 다른 개수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급기부(11)들은 상기 필터(12)가 설치된 개수에 따라 기체로부터 분진을 제거하는 성능이 서로 상이하게 구현된다. 상기 필터(12)가 설치된 개수가 많을수록 기체로부터 더 많은 분진이 제거되므로, 상기 급기부(11)들은 상기 필터(12)가 많은 개수로 설치된 것일수록 기체로부터 분진을 제거하는 성능이 강화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가 1개의 필터(12)가 설치된 급기부(11), 2개의 필터(12)가 설치된 급기부(11) 및 3개의 필터(12)가 설치된 급기부(11)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는 4개 이상의 필터(12)가 설치된 급기부(1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급기구(11)에 복수개의 필터(12)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필터(12)들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경로조절부(13)는 상기 급기부(11)들의 입구 각각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상기 경로조절부(13)는 기체가 상기 급기부(11)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거쳐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기체가 서로 다른 성능을 갖는 급기부(11)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함으로써, 기체에 혼합된 분진량 변화, 상기 도장챔버(100)의 내부 환경 변화 등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경로조절부(13)로 공급되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이 증가하면, 상기 경로조절부(13)는 해당 기체가 더 많은 개수의 필터(12)가 설치된 급기부(11)로 공급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경로조절부(13)는 기체가 더 많은 양의 분진이 제거된 후에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도장공정이 완료된 피도장체에 대한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경로조절부(13)로 공급되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이 감소하면, 상기 경로조절부(13)는 해당 기체가 더 적은 개수의 필터(12)가 설치된 급기부(11)로 공급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경로조절부(13)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에 비해 더 많은 개수의 필터(12)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장챔버(100) 내부에 위치한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이 증가하면, 상기 경로조절부(13)는 기체가 더 많은 개수의 필터(12)가 설치된 급기부(11)로 공급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경로조절부(13)는 기체가 더 많은 양의 분진이 제거된 후에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도장공정이 완료된 피도장체에 대한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도장챔버(100) 내부에 위치한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이 감소하면, 상기 경로조절부(13)는 해당 기체가 더 적은 개수의 필터(12)가 설치된 급기부(11)로 공급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경로조절부(13)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에 비해 더 많은 개수의 필터(12)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경로조절부(13)는 상기 급기부(11)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대한 필터(12) 교체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기체가 다른 급기부(11)와 해당 급기부(11)에 설치된 필터(12)를 통해 분진이 제거된 후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도장공정에 대한 작업시간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장설비에 대한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경로조절부(13)는 상기 급기부(11)들의 입구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고, 나머지 입구들을 폐쇄시킴으로써,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경로조절부(13)는 절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로조절부(13)는 상기 급기부(11)들의 개수와 대략 일치하는 개수의 방향으로 기체의 이동 경로를 변환할 수 있는 다방향 절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로조절부(13)는 상기 급기부(11)들의 개수와 대략 일치하는 개수의 2방향 절환밸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2방향 절환밸브들은 서로 다른 급기부(11)들의 입구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경로조절부(13)는 2방향 절환밸브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2방향 절환밸브만을 개방시키고, 나머지 2방향 절환밸브들을 폐쇄시킴으로써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경로조절부(13)는 상기 팬(20)으로부터 기체를 공급받는다. 이를 위해, 상기 경로조절부(13)는 공급관(30)을 통해 상기 팬(20)과 연결될 수 있다. 기체는 상기 팬(20)에 의해 흡입된 후, 상기 공급관(3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경로조절부(13)로 공급된다. 상기 경로조절부(13)로 공급된 기체는, 상기 경로조절부(13)에 의해 상기 급기부(11)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거쳐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된다. 상기 경로조절부(13)는 상기 급기부(11)들과 상기 팬(20)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2개의 급기부(11, 도 1에 도시됨) 및 2개의 급기부(11, 도 1에 도시됨)들 각각에 설치된 복수개의 필터(12, 도 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제1급기부(111), 제2급기부(112), 제1필터(121) 및 제2필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급기부(111)는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는 기체가 이동하기 위한 제1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제1급기부(111)는 입구가 상기 경로조절부(13)에 연결된다. 상기 제1급기부(111)는 출구가 상기 급기덕트(110)에 연결된다. 상기 경로조절부(13)에 의해 기체의 이동 경로가 상기 제1경로로 결정된 경우, 기체는 상기 제1급기부(11)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급기덕트(110)에 공급된 후, 상기 급기덕트(110)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된다.
상기 제2급기부(112)는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는 기체가 이동하기 위한 제2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제2경로는 상기 제1경로와 다른 경로이다. 상기 제2급기부(112)는 입구가 상기 경로조절부(13)에 연결된다. 상기 제2급기부(112)는 출구가 상기 급기덕트(110)에 연결된다. 상기 제2급기부(112)의 출구와 상기 제1급기부(111)의 출구는 서로 이격되게 상기 급기덕트(1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경로조절부(13)에 의해 기체의 이동 경로가 상기 제2경로로 결정된 경우, 기체는 상기 제2급기부(12)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급기덕트(110)에 공급된 후, 상기 급기덕트(110)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된다. 도 2에는 상기 제2급기부(112)가 'ㄷ'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급기부(111)가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급기부(112)와 상기 제1급기부(111)는 상기 제2경로와 상기 제1경로가 서로 구별될 수 있으면 곡선 형태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2급기부(112)와 상기 제1급기부(111)는 모두 'ㄷ'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필터(121)는 상기 제1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기체로부터 분진을 제거한다. 상기 제1필터(121)는 상기 제1급기부(111)에 N개(N은 0보다 큰 정수)가 설치된다. 도 2에는 상기 제1급기부(111)에 1개의 제1필터(121)가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급기부(111)에는 2개 이상의 제1필터(121)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필터(121)는 상기 경로조절부(13)와 상기 급기덕트(110)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제1급기부(11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122)는 상기 제2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기체로부터 분진을 제거한다. 상기 제2필터(122)는 상기 제2급기부(112)에 M개(M은 N보다 큰 정수)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제2급기부(112)에는 상기 제1급기부(111)보다 더 많은 개수의 필터(12, 도 1에 도시됨)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분진이 혼합된 기체는 상기 제1급기부(111)를 따라 이동하는 것에 비해, 상기 제2급기부(112)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제2필터(122)들에 의해 더 많은 양의 분진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122)들은 기체가 상기 제2급기부(112)를 따라 이동하는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는 상기 제2급기부(112)에 설치된 제2필터(122)들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분진이 제거된 후에,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제2급기부(112)에 2개의 제2필터(122)가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급기부(112)에는 3개 이상의 제2필터(122)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필터(122)는 상기 경로조절부(13)와 상기 급기덕트(110)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제2급기부(112)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경로조절부(13)는 상기 제1급기부(111)의 입구 및 상기 제2급기부(112)의 입구 각각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상기 경로조절부(13)는 기체가 상기 제1급기부(111) 또는 상기 제2급기부(112)를 거쳐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한다. 상기 경로조절부(13)는 상기 제1급기부(111)의 입구를 개방시키면 상기 제2급기부(112)의 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제2급기부(112)의 입구를 개방시키면 상기 제1급기부(111)의 입구를 폐쇄함으로써,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기체가 상기 제1급기부(111)를 통해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경로조절부(13)로 공급되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 또는 상기 도장챔버(100) 내부에 위치한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이 증가하면, 상기 경로조절부(13)는 상기 제1급기부(111)의 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제2급기부(112)의 입구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는 상기 제2급기부(112)에 설치된 제2필터(122)들을 통과하면서 더 많은 양의 분진이 제거된 후에 상기 도장챔버(110)로 공급된다.
예컨대, 기체가 상기 제2급기부(112)를 통해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경로조절부(13)로 공급되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 또는 상기 도장챔버(100) 내부에 위치한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이 감소하면, 상기 경로조절부(13)는 상기 제2급기부(112)의 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제1급기부(111)의 입구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경로조절부(13)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에 비해 더 많은 개수로 설치된 제2필터(122)들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기체가 상기 제1급기부(111)를 통해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필터(121)에 대한 교체가 필요한 경우, 상기 경로조절부(13)는 상기 제1급기부(111)의 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제2급기부(112)의 입구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경로조절부(13)는 상기 제1필터(121)에 대한 교체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제2급기부(112)와 상기 제2필터(122)를 통해 상기 도장챔버(100)에 계속하여 기체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도장공정에 대한 작업시간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장설비에 대한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상기 경로조절부(1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 도 2에 도시됨)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경로조절부(13)를 제어함으로써,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한다. 상기 제어부(14)는 기체가 상기 급기부(11, 도 1에 도시됨)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과하여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도록 상기 경로조절부(13)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가 상기 제1급기부(111, 도 2에 도시됨)와 상기 제2급기부(112,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4)는 기체가 상기 제1급기부(111) 또는 상기 제2급기부(112)를 통과하여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도록 상기 경로조절부(13)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는 유선통신과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조절부(13)에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경로조절부(13)로 공급되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 상기 도장챔버(100) 내부에 위치한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 및 상기 필터(12, 도 1에 도시됨)에 대한 교체 작업이 필요한지 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기체의 이동 경로가 조절되도록 상기 경로조절부(13)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기체가 상기 제1급기부(111)를 통해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경로조절부(13)로 공급되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이 증가하면, 상기 제어부(14)는 기체의 이동 경로가 변경되도록 상기 경로조절부(13)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는 이동 경로가 변경되어 상기 제2급기부(112)를 통해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될 수 있다. 기체가 상기 제2급기부(112)를 통해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경로조절부(13)로 공급되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이 감소하면, 상기 제어부(14)는 기체의 이동 경로가 변경되도록 상기 경로조절부(13)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는 이동 경로가 변경되어 상기 제1급기부(111)를 통해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공급관(30, 도 2에 도시됨)에 설치된 분진센서로부터 상기 경로조절부(13)로 공급되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량의 증감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공급관(30)에 설치된 분진센서는 분진량을 측정한 후에, 측정값을 유선통신과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기체가 상기 제1급기부(111)를 통해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장챔버(100) 내부에 위치한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이 증가하면, 상기 제어부(14)는 기체의 이동 경로가 변경되도록 상기 경로조절부(13)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는 이동 경로가 변경되어 상기 제2급기부(112)를 통해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될 수 있다. 기체가 상기 제2급기부(112)를 통해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장챔버(100) 내부에 위치한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이 감소하면, 상기 제어부(14)는 기체의 이동 경로가 변경되도록 상기 경로조절부(13)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는 이동 경로가 변경되어 상기 제1급기부(111)를 통해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도장챔버(100)에 설치된 분진센서로부터 상기 도장챔버(100) 내부에 위치한 기체에 혼합된 분진량의 증감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도장챔버(100)에 설치된 분진센서는 분진량을 측정한 후에, 측정값을 유선통신과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기체가 상기 제1급기부(111)를 통해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필터(121)에 대한 교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제어부(14)는 기체의 이동 경로가 변경되도록 상기 경로조절부(13)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는 이동 경로가 변경되어 상기 제2급기부(112)를 통해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공급관(30)에 설치된 압력센서 및 상기 급기덕트(110)에 설치된 압력센서 각각으로부터 압력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압력값들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필터(12, 도 1에 도시됨)에 대한 교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들은 기체의 압력값을 측정한 후에, 측정값을 유선통신과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1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측정부(15)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분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분진센서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센서 및 상기 발광센서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15)는 발광센서로부터 방출된 광이 분진에 의해 산란, 굴절 또는 흡수된 후에 상기 수광센서에 수광되는 광으로부터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측정부(15)는 라만분광법(Raman Spectroscopy), SERS(Surface Enhanced Raman Spectroscopy),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CRDS(Cavity Ring-Down Spectroscopy) 등을 이용하여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하는 분진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측정부(15)는 측정한 분진량을 유선통신과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측정부(15)로부터 제공된 분진량에 따라 기체의 이동 경로가 조절되도록 상기 경로조절부(13)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부(15)는 상기 경로조절부(13)로 공급되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15)는 상기 공급관(30)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공급관(30) 내부를 이동하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경로조절부(13)로 공급되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에 따라 기체의 이동 경로가 변경되도록 상기 경로조절부(13)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부(15)는 상기 도장챔버(100) 내부에 위치한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 측정부(15)는 상기 도장챔버(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도장챔버(100) 내부에 위치한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에 따라 기체의 이동 경로가 변경되도록 상기 경로조절부(13)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는 상기 경로조절부(13)로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제1압력센서(161) 및 상기 급기덕트(110)를 따라 이동하는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제2압력센서(16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압력센서(161)는 상기 공급관(30)에 설치된다. 상기 제1압력센서(161)는 상기 공급관(30)을 따라 이동하는 기체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경로조절부(13)로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압력센서(161)는 측정한 압력값을 유선통신과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압력센서(162)는 상기 급기덕트(110)에 설치된다. 상기 제2압력센서(162)는 상기 급기덕트(110)를 따라 이동하는 기체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급기부(11, 도 1에 도시됨)들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배출되는 기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압력센서(162)는 측정한 압력값을 유선통신과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제1압력센서(161)가 측정한 압력값 및 상기 제2압력센서(152)가 측정한 압력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필터(12, 도 1에 도시됨)에 대한 교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는 압력값들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필터(12, 도 1에 도시됨)에 대한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기체의 이동 경로가 변경되도록 상기 경로조절부(13)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값은 상기 필터(12, 도 1에 도시됨)의 사양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는 압력값들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필터(12, 도 1에 도시됨)에 대한 교체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기체의 이동 경로가 유지되도록 상기 경로조절부(13)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은 상기 도장챔버(100)에 공급되는 기체로부터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10)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우선, 외부로부터 기체를 흡입한다(S10). 이러한 공정(S10)은 상기 팬(20)이 외부로부터 기체를 흡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팬(20)은 임펠러를 회전시켜서 기체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 및 기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송풍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흡입력과 송풍력에 의해, 기체는 상기 공급관(30)에 공급된 후, 상기 경로조절부(13), 상기 급기부(11, 도 1에 도시됨)들 중에서 어느 하나, 및 상기 급기덕트(110)를 거쳐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기체를 흡입하는 공정(S10)은 상기 도장챔버(100) 또는 도장설비 외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흡입된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한다(S20). 이러한 공정(S20)은 상기 경로조절부(13)가 흡입된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로조절부(13)는 흡입된 기체가 서로 다른 개수의 필터(12, 도 1에 도시됨)가 설치된 급기부(11)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과하도록 흡입된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은 흡입된 기체가 분진을 제거하는 성능이 서로 다른 급기부(11)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함으로써, 기체에 혼합된 분진량 변화, 상기 도장챔버(100)의 내부 환경 변화 등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은 도장공정이 완료된 피도장체에 대한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기체에 혼합된 분진량에 비해 많은 개수의 필터(12)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은 상기 급기부(11)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대한 필터(12) 교체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기체가 다른 급기부(11)와 해당 급기부(11)에 설치된 필터(12)를 통해 분진이 제거된 후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은 도장공정에 대한 작업시간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장설비에 대한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흡입된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공정(S20)은, 상기 경로조절부(13)가 상기 급기부(11)들의 입구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고, 나머지 입구들을 폐쇄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는 상기 급기부(11)들 중에서 입구가 개방된 급기부(11)로 공급됨으로서, 이동 경로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흡입된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공정(S20)은, 상기 제어부(14)가 기체의 이동 경로가 조절되도록 상기 경로조절부(13)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 기체로부터 분진을 제거한다(S30). 이러한 공정(S30)은 흡입된 기체가 상기 급기부(11)들 중에서 어느 하나로 공급된 후에, 해당 급기부(11)에 설치된 필터(12)를 통과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12)는 기체로부터 분진을 포집함으로써, 기체로부터 분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필터(12)에 의해 분진이 제거된 기체는, 상기 급기덕트(110)를 거쳐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은,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하는 공정(S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하는 공정(S40)은, 상기 측정부(15)가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정부(15)는 측정한 분진량을 상기 경로조절부(13) 또는 상기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하는 공정(S40)은, 상기 경로조절부(13)로 공급되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로조절부(13)로 공급되는 기체는, 상기 기체를 흡입하는 공정(S10)에 의해 흡입된 기체이다. 이 경우, 상기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하는 공정(S40)은, 상기 공급관(30)에 설치된 측정부(15)가 상기 공급관(30)을 따라 이동하는 기체에 대한 분진량을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하는 공정(S40)은, 상기 도장챔버(100) 내부에 위치한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하는 공정(S40)은, 상기 도장챔버(100)에 설치된 측정부(15)가 상기 도장챔버(100)에 위치한 기체에 대한 분진량을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입된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공정(S20)은, 상기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하는 공정(S40)을 거쳐 측정된 분진량에 따라 흡입된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하는 공정(S40)이 상기 경로조절부(13)로 공급되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하는 경우, 상기 흡입된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공정(S20)은 상기 경로조절부(13)로 공급되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에 따라 흡입된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하는 공정(S40)이 상기 도장챔버(100)에 위치한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하는 경우, 상기 흡입된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공정(S20)은 상기 도장챔버(100)에 위치한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에 따라 흡입된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흡입된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공정(S20)은, 측정된 분진량이 변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1), 분진량이 유지된 경우 기체의 이동 경로를 유지하는 공정(S22)을 포함한다. 상기 측정된 분진량이 변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공정(S21)은, 상기 제어부(14)가 제1시점에 측정된 분진량과 상기 제1시점 이후인 제2시점에 측정된 분진량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측정된 분진량은 상기 경로조절부(13)로 공급되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량 또는 상기 도장챔버(100)에 위치한 기체에 혼합된 분진량일 수 있다. 상기 기체의 이동 경로를 유지하는 공정(S22)은, 상기 경로조절부(13)가 흡입된 기체가 상기 제1시점에 형성되어 있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유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체의 이동 경로를 유지하는 공정(S22)은, 상기 제어부(14)가 기체의 이동 경로가 유지되도록 상기 경로조절부(13)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4)는 분진에 대한 변화량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기체의 이동 경로가 유지되도록 상기 경로조절부(13)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흡입된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공정(S20)은, 측정된 분진량이 변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1), 측정된 분진량이 변화된 경우 기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공정(S23)을 포함한다. 상기 기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공정(S23)은, 상기 경로조절부(13)가 흡입된 기체가 상기 제1시점에 형성되어 있던 이동 경로에 대해 다른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입된 기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공정(S23)은, 상기 제어부(14)가 기체의 이동 경로가 변경되도록 상기 경로조절부(13)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4)는 분진에 대한 변화량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기체의 이동 경로가 변경되도록 상기 경로조절부(13)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기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공정(S23)은, 측정된 분진량이 증가된 경우 흡입된 기체가 통과하는 필터(12, 도 1에 도시됨)의 개수가 증가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공정(S2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S231)은, 상기 경로조절부(13)가 분진량이 측정된 시점에 입구가 개방되어 있던 급기부(11, 도 1에 도시됨)의 입구를 폐쇄하고, 해당 급기부(11)보다 더 많은 개수의 필터(12)가 설치된 급기부(11)의 입구를 개방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기체가 상기 제1급기부(111, 도 2에 도시됨)를 통해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측정된 분진량이 증가된 경우, 상기 경로조절부(13)는 상기 제1급기부(111)의 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제2급기부(112, 도 2에 도시됨)의 입구를 개방시킴으로써, 기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경로조절부(13)는 상기 제어부(14)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기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기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공정(S23)은, 측정된 분진량이 감소된 경우 흡입된 기체가 통과하는 필터(12, 도 1에 도시됨)의 개수가 감소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공정(S2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S232)은, 상기 경로조절부(13)가 분진량이 측정된 시점에 입구가 개방되어 있던 급기부(11, 도 1에 도시됨)의 입구를 폐쇄하고, 해당 급기부(11)보다 더 적은 개수의 필터(12)가 설치된 급기부(11)의 입구를 개방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기체가 상기 제2급기부(112, 도 2에 도시됨)를 통해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측정된 분진량이 감소된 경우, 상기 경로조절부(13)는 상기 제2급기부(112)의 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제1급기부(111, 도 2에 도시됨)의 입구를 개방시킴으로써, 기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경로조절부(13)는 상기 제어부(14)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기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은, 압력을 측정하는 공정(S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을 측정하는 공정(S50)은, 상기 급기부(11, 도 1에 도시됨)들 중에서 어느 하나로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 및 기체가 공급된 급기부(11)로부터 배출되는 기체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급기부(11)들 중에서 어느 하나로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은, 상기 제1압력센서(161, 도 3에 도시됨)가 상기 경로조절부(13)로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제1압력센서(161)는 측정한 압력값을 상기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기체가 공급된 급기부(11)로부터 배출되는 기체의 압력은, 상기 제2압력센서(162, 도 3에 도시됨)가 상기 급기덕트(110)를 따라 이동하는 기체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제2압력센서(162)는 측정된 압력값을 상기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흡입된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공정(S20)은, 측정된 압력값 간의 차이에 따라 흡입된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입된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공정(S20)은, 측정된 압력값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4), 측정된 압력값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하이면 기체의 이동 경로를 유지하는 공정(S22)을 포함한다.
상기 측정된 압력값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공정(S24)은, 상기 제어부(14)가 상기 제1압력센서(161, 도 3에 도시됨)로부터 제공된 압력값 및 상기 제2압력센서(162, 도 3에 도시됨)로부터 제공된 압력값을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측정된 압력값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필터(12, 도 1에 도시됨)에 대한 교체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체의 이동 경로를 유지하는 공정(22)은, 흡입된 기체가 상기 압력값이 측정된 시점에 형성되어 있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유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기체가 상기 제1급기부(111, 도 2에 도시됨)를 통해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측정된 압력값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기체의 이동 경로를 유지하는 공정(22)은 상기 경로조절부(13)가 상기 제1급기부(111)의 입구를 계속하여 개방시키고 상기 제2급기부(112, 도 2에 도시됨)의 입구를 계속하여 폐쇄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로조절부(13)는 상기 제어부(14)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기체의 이동 경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흡입된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공정(S20)은, 측정된 압력값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4), 측정된 압력값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기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공정(S23)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측정된 압력값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필터(12, 도 1에 도시됨)에 대한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공정(23)은, 흡입된 기체가 상기 압력값이 측정된 시점에 형성되어 있던 이동 경로에 대해 다른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기체가 상기 제1급기부(111, 도 2에 도시됨)를 통해 상기 도장챔버(100)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측정된 압력값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기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공정(23)은 상기 경로조절부(13)가 상기 제1급기부(111)의 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제2급기부(112, 도 2에 도시됨)의 입구를 개방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로조절부(13)는 상기 제어부(14)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기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 11 : 급기부 12 : 필터
13 : 경로조절부 14 : 제어부 15 : 측정부 20 : 팬 30 : 공급관
100 : 도장챔버 110 : 급기덕트 111 : 제1급기부 112 : 제2급기부
121 : 제1필터 122 : 제2필터 161 : 제1압력센서 162 : 제2압력센서

Claims (10)

  1. 도장챔버에 연결되고, 도장챔버로 공급되는 기체가 이동하기 위한 제1경로를 형성하는 제1급기부;
    상기 제1경로를 따라 도장챔버로 이동하는 기체로부터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1급기부에 N(N은 0보다 큰 정수)개가 설치되는 제1필터;
    도장챔버에 연결되고, 도장챔버로 공급되는 기체가 이동하기 위한 제2경로를 형성하는 제2급기부;
    상기 제2경로를 따라 도장챔버로 이동하는 기체로부터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2급기부에 M(M은 N보다 큰 정수)개가 설치되는 제2필터; 및
    상기 제1급기부의 입구와 상기 제2급기부의 입구 각각에 연결되게 설치되고, 기체가 상기 제1급기부 또는 제2급기부를 거쳐 도장챔버로 공급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경로조절부를 포함하는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급기부의 출구와 상기 제2급기부의 출구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이 도장챔버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급기덕트;
    상기 경로조절부로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제1압력센서;
    상기 급기덕트를 따라 이동하는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제2압력센서; 및
    상기 제1압력센서가 측정한 압력값 및 상기 제2압력센서가 측정한 압력값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기체의 이동 경로가 변경되도록 상기 경로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
  3. 도장챔버에 연결되고, 도장챔버로 공급되는 기체가 이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경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급기부;
    상기 급기부들 각각에 서로 다른 개수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필터; 및
    상기 급기부들의 입구 각각에 연결되게 설치되고, 기체가 상기 급기부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거쳐 도장챔버로 공급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경로조절부를 포함하는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조절부로 공급되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분진의 양에 따라 기체의 이동 경로가 조절되도록 상기 경로조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도장챔버 내부에 위치한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분진의 양에 따라 기체의 이동 경로가 조절되도록 상기 경로조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조절부로 공급되는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 및 도장챔버 내부에 위치한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기체의 이동 경로가 조절되도록 상기 경로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
  7. 외부로부터 도장챔버에 공급할 기체를 흡입하는 단계;
    흡입된 기체가 서로 다른 개수의 필터가 설치된 급기부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과하도록 흡입된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단계; 및
    기체로부터 분진을 제거하여 도장챔버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부터 도장챔버에 공급할 기체를 흡입하는 단계가 수행된 후에, 상기 필터를 통과하기 이전의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된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단계는, 측정된 분진의 양이 증가된 경우 흡입된 기체가 통과하는 필터의 개수가 증가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단계, 및 측정된 분진의 양이 감소된 경우 흡입된 기체가 통과하는 필터의 개수가 감소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부터 도장챔버에 공급할 기체를 흡입하는 단계가 수행된 후에, 상기 도장챔버 내부에 위치한 기체에 혼합된 분진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된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단계는, 측정된 분진의 양이 증가된 경우 흡입된 기체가 통과하는 필터의 개수가 증가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단계, 및 측정된 분진의 양이 감소된 경우 흡입된 기체가 통과하는 필터의 개수가 감소하도록 기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부들 중에서 어느 하나로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 및 기체가 공급된 급기부로부터 배출되는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된 기체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단계는, 측정된 압력값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기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
KR1020120088603A 2012-08-13 2012-08-13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 및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 KR101424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603A KR101424092B1 (ko) 2012-08-13 2012-08-13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 및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603A KR101424092B1 (ko) 2012-08-13 2012-08-13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 및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246A KR20140022246A (ko) 2014-02-24
KR101424092B1 true KR101424092B1 (ko) 2014-07-28

Family

ID=50268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603A KR101424092B1 (ko) 2012-08-13 2012-08-13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 및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0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7947A (ja) 2005-09-16 2007-03-29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2007255365A (ja) 2006-03-24 2007-10-04 Nissan Diesel Motor Co Ltd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KR100771654B1 (ko) 2006-04-20 2007-10-30 주식회사 가온솔루션 집진제어시스템
KR20090075660A (ko) * 2006-10-16 2009-07-08 아코스 어드밴스드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공기 정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7947A (ja) 2005-09-16 2007-03-29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2007255365A (ja) 2006-03-24 2007-10-04 Nissan Diesel Motor Co Ltd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KR100771654B1 (ko) 2006-04-20 2007-10-30 주식회사 가온솔루션 집진제어시스템
KR20090075660A (ko) * 2006-10-16 2009-07-08 아코스 어드밴스드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공기 정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246A (ko) 201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544689A (ja) ボートなどの船体の塗装用装置および方法
US8961271B2 (en) Abrasive blasting apparatus for remotely activating and modulating flow of abrasive blasting material
RU2010110762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несения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WO2015182254A1 (ja) 塗装設備
US11273470B2 (en) In situ clean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CN205229016U (zh) 一种降雨强度可调式淋雨试验箱
EP1704925A3 (de)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Nasslack-Overspray
CN108097487A (zh) 一种粉末喷漆系统
ATE491523T1 (de) Druckluft-drosselvorrichtung und pulversprühbeschichtungsvorrichtung
WO2011063369A3 (en) Airflow controller
KR20180056293A (ko) 풍량 측정 및 풍량 자동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댐퍼 장치
KR101424092B1 (ko)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장치 및 도장설비용 분진 필터링방법
KR101462948B1 (ko) 임팩터 성능 평가 시스템
CN103616188B (zh) 一种用于烟草生产设备的测试设备
EA201490646A1 (ru) Регулирующий клапанный узел и способ подачи зернистого материала через такой регулирующий клапанный узел
US20200110001A1 (en) Dense phase pump diagnostics
US20210094058A1 (en) Painting system
JP7434532B2 (ja) 塗料装置の詰まりおよび詰まり特性を決定する方法、塗料装置、較正システムならびに産業ロボット
CN104084345A (zh) 一种汽车部件喷涂用喷漆室
JP2009106911A (ja) 塗着効率計測装置を有する自動塗装機
KR20090031137A (ko) 도료분사장치
KR102344401B1 (ko) 집진기 오염농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기 오염농도 측정방법
CN111987011B (zh) 气帘控制系统
KR100525515B1 (ko) 건축자재 유해물질 측정용 시험기
TWI733354B (zh) 乾燥室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