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512B1 -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512B1
KR101423512B1 KR1020120154627A KR20120154627A KR101423512B1 KR 101423512 B1 KR101423512 B1 KR 101423512B1 KR 1020120154627 A KR1020120154627 A KR 1020120154627A KR 20120154627 A KR20120154627 A KR 20120154627A KR 101423512 B1 KR101423512 B1 KR 101423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solvent
tar
pitch
reactor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5718A (ko
Inventor
안정철
이성영
홍익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포스코신기술연구조합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포스코켐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포스코신기술연구조합,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포스코켐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54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512B1/ko
Publication of KR20140085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C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TAR; PYROLIGNEOUS ACID
    • C10C1/00Working-up tar
    • C10C1/18Working-up tar by extraction with selective sol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C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TAR; PYROLIGNEOUS ACID
    • C10C1/00Working-up tar
    • C10C1/04Working-up tar by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C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TAR; PYROLIGNEOUS ACID
    • C10C3/00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 C10C3/002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by thermal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C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TAR; PYROLIGNEOUS ACID
    • C10C3/00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 C10C3/06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by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C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TAR; PYROLIGNEOUS ACID
    • C10C3/00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 C10C3/08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by selective extr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르 또는 피치와 유기 용매를 15 내지 350℃의 온도 및 1 bar 내지 100 bar의 압력에서 반응시켜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유기 용매에 용해된 불순물을 포함하는 하층과 유기 용매에 용해된 타르 또는 핏치를 포함하는 상층을 비중의 차이에 의해 분리하는 단계; 및 상층으로부터 유기 용매를 분리하는 증류 단계를 포함하는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방법 및 이에 사용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탄소 소재용 타르 또는 핏치에 함유된 퀴놀린 불용분 등의 불순물의 함량을 0.2% 이하로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방법 및 장치{Method for purifying impurities from Tar or Pitch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르 또는 핏치와 유기 용매를 고온 및 고압에서 반응시키고, 후속적인 분리 과정을 거쳐 고순도의 타르 또는 핏치를 획득할 수 있는 정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탄소 소재용 석유계 또는 석탄계 타르 및 핏치 중에는 예를 들어 애쉬(ash), 퀴놀린 불용분 등과 같은 불순물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야금용 코크스 제조 공정에서 원료탄을 종래의 코크스 오븐에서 건류하는 경우,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에서는 고상의 코크스가 얻어지는 반면, 부산물로서 액상의 콜타르와 기상의 코크스 오븐 가스(Coke Oven Gas:COG)가 얻어진다. 콜타르는, 코크스 제조용 원료탄의 조성과 코크스 제조의 조건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으나, 통상 벤젠환이 2∼3개 이상인 방향족 탄소화합물이 수백에서 수천 종 혼합된 물질이다.
또한, 콜타르 중에는 원료탄을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에 장입하고 건류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열분해 탄소, 분코크스, 미분탄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액상의 콜타르에 필수 불가결하게 함유되는 불순물이라고 할 수 있으며, 퀴놀린 용매를 이용하여 콜타르를 용매 추출하면 고상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퀴놀린 불용분(Quinoline Insoluble : QI, 이하 QI로 칭함)으로 칭하고 있다.
콜타르 중 QI 함량은 콜타르의 품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며, 콜타르중의 QI 함량이 콜타르 품질을 반영하는 중요 지표로 설정되는 이유는 콜타르를 증류하여 얻어지는 콜타르 핏치의 용도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콜타르의 증류 잔사로 얻어지는 콜타르 핏치는, 알루미늄 제련용 프리베이크 탄소 전극(Prebaked carbon electrode), 제강용 전기로의 인조 흑연 전극 등의 탄소 성형체 제조에 있어 바인더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탄소 성형체들의 제조 공정은 적정 입도로 분쇄된 코크스를 콜타르 핏치 바인더로 혼합 및 성형하고 1000℃ 이상의 고온에서 소성 또는 흑연화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코크스 분말을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 바인더의 특성은 성형된 제품의 기계적 강도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바인더로 사용된 콜타르 핏치가 고온의 열처리 과정에서 휘발되지 않고 코크스 입자들을 강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바인더 핏치가 코크스로 전환되는 수율이 높을수록 성형체의 밀도 및 기계적 강도가 상승되기 때문이다.
콜타르 핏치의 QI 함량이 높을수록 탄화 과정에서 코크스로 전환되어 성형체 내에 잔존하는 함량이 상승하기 때문에, 바인더의 물성을 나타내는 중요 지표로서 QI 함량이 관리되고 있다. 또한, 콜타르로부터 얻어지는 콜타르 핏치의 수율은 50% 정도이며, 콜타르 중의 QI 성분은 증류 잔사인 콜타르 핏치에 그대로 농축되어 존재하기 때문에 콜타르의 QI 함량이 콜타르 핏치의 QI 함량 결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애쉬(ash), 퀴놀린 불용분 등의 불순물 제어를 위해, 예를 들어 특정 용매에 녹여 불용분을 걸러내는 용매 추출 방법 및 필터법이 있으나, 이와 같은 기술의 경우 용매의 용해력이 충분하지 않아 과량의 용매가 첨가되어야 하고, 후속적으로 용매 회수를 위해 복잡한 추가의 공정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한편, 고속 원심분리를 통한 비중차 분리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기술의 경우 비중의 차이가 크지 않은 불순물에 대한 분리 효율이 낮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하의 불순물 정제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나아가, 또 다른 방법으로 특정한 공극 크기를 지닌 다공성 필터를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공정 시간이 길고, 필터에 걸리는 압력이 커서 결과적으로 공정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정제 방법이 제공되는 경우 관련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발명의 한 측면은 타르 또는 핏치의 효율적인 불순물 정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타르 또는 핏치의 효율적인 불순물 정제 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타르 또는 피치와 유기 용매를 15 내지 350℃의 온도 및 1 bar 내지 100 bar의 압력에서 반응시켜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유기 용매에 용해된 불순물을 포함하는 하층과 유기 용매에 용해된 타르 또는 핏치를 포함하는 상층을 비중의 차이에 의해 분리하는 단계; 및 상층으로부터 유기 용매를 분리하는 증류 단계를 포함하는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유기 용매는 헥산, 비페닐, 언데칸, 도데칸, 트리데칸, 테트라데칸, 안트라센유, 흡수유 및 등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상기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순물은 퀴놀린 불용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타르 또는 피치를 저장하는 원료 저장부; 유기 용매를 저장하는 유기 용매 저장부; 15 내지 350℃의 온도 및 1 bar 내지 100 bar의 압력을 유지하며 상기 타르 또는 핏치와 유기 용매를 반응시켜 혼합물을 형성하는 반응기; 혼합물의 균일한 혼합을 위해 상기 반응기에 구비된 교반기; 상기 반응기에 연결되며, 비중의 차이에 의해 분리된 유기 용매에 용해된 타르 또 핏치를 포함하는 상층을 회수하는 상층 회수부; 및 상기 회수된 상층으로부터 유기 용매를 분리하기 위한 증류 장치를 포함하는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반응기는 상기 온도 및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가열부 및 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용매는 헥산, 비페닐, 언데칸, 도데칸, 트리데칸, 테트라데칸, 안트라센유, 흡수유 및 등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상기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순물은 퀴놀린 불용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기는 비중의 차이에 의해 분리된 유기 용매에 용해된 불순물을 포함하는 하층을 회수하는 하층 회수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탄소 소재용 타르 또는 핏치에 함유된 퀴놀린 불용분 등의 불순물의 함량을 0.2% 이하로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순도의 타르 또는 핏치를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정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방법은 타르 또는 피치와 유기 용매를 15 내지 350℃의 온도 및 1 bar 내지 100 bar의 압력에서 반응시켜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유기 용매에 용해된 불순물을 포함하는 하층과 유기 용매에 용해된 타르 또는 핏치를 포함하는 상층을 비중의 차이에 의해 분리하는 단계; 및 상층으로부터 유기 용매를 분리하는 증류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먼저 타르 또는 피치에 대한 용해력이 우수한 유기 용매를 타르 또는 피치와 혼합 및 반응시켜 혼합물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반응은 상온 내지 350℃의 온도 및 상압 내지 100bar의 압력, 즉 15 내지 350℃의 온도 및 1 bar 내지 100 bar의 압력에서 수행된다.
상기 온도가 15℃ 미만인 경우 원료 타르 또는 피치 및 첨가 용매 혼합물의 점도가 높아지므로 원활한 혼합이 어려운 문제가 있고, 3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료 타르 또는 피치의 중합 반응 등에 의한 변성의 문제가 있으며, 상기 단계의 압력이 1 bar 미만인 경우 첨가 용매의 비점이 상압에 비해 낮아져서 원료 타르 또는 피치와의 액상 혼합이 어려운 문제가 있고, 100bar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응 장치의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고압 반응을 진행하는데 문제가 있다.
이때, 상기 혼합물을 가압한 상태에서 가열하여 유기 용매를 구성하고 있는 성분 중 다수 성분의 비등 및 증발을 억제하여 액체(유기 용매)-액체(타르 또는 핏치) 상태에서의 균일하고 효과적인 혼합 및 접촉을 유도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첨가제로 사용된 유기 용매의 타르 및 핏치에 대한 용해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 후 유기 용매에 용해된 불순물을 포함하는 하층과 유기 용매에 용해된 타르 또는 핏치를 포함하는 상층을 비중의 차이에 의해 분리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타르 및 핏치를 포함하는 상층은 분리 및 회수하고, 유기 용매에 대해 용해성이 낮은 퀴놀린 불용분 등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하층은 하부 스트림(down stream)으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후 비중의 차이에 의해 분리된 상기 상층으로부터 유기 용매를 분리하는 증류 단계를 거쳐 타르 또는 핏치에 혼합된 유기 용매를 증류에 의해 회수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유기 용매는 헥산, 비페닐, 언데칸, 도데칸, 트리데칸, 테트라데칸, 안트라센유, 흡수유 및 등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며, 등유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용매는 타르 또는 피치와 유기 용매를 혼합한 상기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0 중량%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5 내지 30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가 혼합한 상기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용매의 불순물 제거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으며,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매와 원료 타르 또는 핏치의 혼합물의 점도가 너무 낮아 분리된 불순물이 다시 정제된 원료 타르 또는 핏치와 섞여 분리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타르 또는 핏치로부터 제거되는 불순물은 퀴놀린 불용분, 애쉬(ash) 등을 포함하나, 특히 본 발명은 퀴놀린 불용분의 정제에 보다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장치는 타르 또는 피치를 저장하는 원료 저장부; 유기 용매를 저장하는 유기 용매 저장부; 15 내지 350℃의 온도 및 1 bar 내지 100 bar의 압력을 유지하며 상기 타르 또는 핏치와 유기 용매를 반응시켜 혼합물을 형성하는 반응기; 혼합물의 균일한 혼합을 위해 상기 반응기에 구비된 교반기; 상기 반응기에 연결되며, 비중의 차이에 의해 분리된 유기 용매에 용해된 타르 또는 핏치를 포함하는 상층을 회수하는 상층 회수부; 및 상기 회수된 상층으로부터 유기 용매를 분리하기 위한 증류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반응기는 상기 온도 및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가열부 및 가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타르 또는 핏치와 유기 용매 혼합물이 공급된 반응기를 가압부를 통해 가압한 상태에서 가열부를 이용하여 가열하며 혼합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는 가압을 위한 기체를 공급하는 형태의 장치일 수 있으며, 이 때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기체는 질소 등과 같은 불활성 기체이다. 다만, 이러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반응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부는 전기저항식 또는 실리콘 오일 등과 같은 열매(heating medium)를 이용한 가열부일 수 있으나 특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열을 가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원료 저장부 및 용매 저장부는 이들을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정량 펌프가 구비된 연결 라인에 의해 반응기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장치는 타르 또는 피치를 저장하는 저장 용기인 원료 저장부 및 유기 용매를 저장하는 유기 용매 저장부를 포함하며, 이들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타르 또는 핏치와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반응기를 포함한다.
상기 반응기는 15 내지 350℃의 온도 및 1 bar 내지 100 bar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가열부 및 가압부를 구비하며, 도 1에서는 가압부로서 가압 질소 탱크를 구비하고, 반응기 측면에 가열부를 구비하는 반응기를 예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반응기는 반응기 내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압력계를 또한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반응기는 반응기에 공급된 혼합물의 균일한 혼합을 위해 교반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회전 수의 조절이 가능한 블레이드 교반기(blade stirrer)가 사용될 수 있으나, 교반기의 종류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로, 상기 반응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교반 정도 및 온도를 원하는 범위 내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반응기는, 상기 반응기에 연결되며, 비중의 차이에 의해 분리된 유기 용매에 용해된 불순물을 포함하는 하층으로부터 유기 용매에 용해된 타르 또는 핏치를 포함하는 상층을 회수하는 상층 회수부를 구비한다.
나아가, 상기 반응기는 비중의 차이에 의해 분리된 유기 용매에 용해된 불순물을 포함하는 하층을 회수하는 하층 회수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반응기에서 반응이 완료되면 비중의 차이에 의해 상술한 상층과 하층이 구분되므로 상기 상층 회수부에 의해 유기 용매에 용해된 타르 또는 핏치를 포함하는 상층을 회수하여 후속적인 단계로 공급하게 되며, 유기 용매에 용해된 불순물을 포함하는 하층은 반응기에 두거나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 하층 회수부에 의해 회수할 수 있다. 하층 회수부는 상기 반응기의 하부에 밸브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으나, 그 형태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정제된 상층으로부터 유기 용매를 분리하기 위한 증류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증류 장치는 1단 혹은 다단의 증류 장치일 수 있으며, 특정한 종류에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사용되는 어떠한 증류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 및 불순물의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방법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의한 반응기를 이용한 타르 중 퀴놀린 불용분 정제
제철소 제선 공정에서 부생된 콜타르(퀴놀린 불용분 2.8%, ASTM D2318로 측정) 350g를 투입하고 질소를 공급하여 압력을 20bar로 조정하였다. 이후 교반기를 작동시킨 후 반응기를 가열하여 온도를 섭씨 350도로 유지하였다. 정량 펌프를 이용하여 총 150g의 등유를 30시간에 걸쳐 반응기에 첨가한 후 약 30분을 유지한 뒤 반응기에 도입된 질소 가스 벤트(vent)를 통해 압력을 상압으로 조정하고 온도를 섭씨 100도로 낮추었다.
이 후 반응 용기 상부에 설치된 회수 장치를 통해 첨가한 등유 및 정제된 콜타르를 80% 이상 회수하고 용해도 분석법(ASTM D2318)으로 콜타르 시료 중 퀴놀린 불용분을 환산 및 정량한 결과, 타르 중 퀴놀린 불용분은 0.15 중량%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비교예 1: 원심분리 장치를 이용한 타르 중 퀴놀린 불용분 정제
제철소 제선 공정에서 부생된 콜타르(퀴놀린 불용분 2.8%, ASTM D2318로 측정) 350g에 150g의 등유를 첨가하고 섭씨 60도로 가열하며 기계적 교반기(mechanical stirrer)로 30분간 교반을 실시하였다.
이후 원심분리장치용 용기에 옮겨 고속 원심분리장치에서 4,000 xG의 원심력 조건으로 5분 동안 원심 분리를 실시한 후, 전 시료 중 상부 부분 80%를 채취하여 용해도 분석법(ASTM D2318)으로 콜타르 시료 중 퀴놀린 불용분을 환산 및 정량한 결과, 타르 중 퀴놀린 불용분은 0.8 중량%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비교예 2: 필터를 이용한 타르 중 퀴놀린 불용분 정제
제철소 제선 공정에서 부생된 콜타르(퀴놀린 불용분 2.8%, ASTM D2318로 측정) 350g에 150g의 등유를 첨가하고 섭씨 60도로 가열하며 기계적 교반기(mechanical stirrer)로 30분간 교반을 실시하였다.
이후 캔들 필터 형태의 장치(평균 공극 = 10 마이크로미터)에 주입하고 섭씨 80도의 온도에서 필터링을 실시하였다. 필터링 시 불순물에 의한 필터 공극 막힘 및 압력 상승으로 연속적인 작업이 불가능하였으며, 초기 토출된 정제 시료에 대해 용해도 분석법(ASTM D2318)으로 콜타르 시료 중 퀴놀린 불용분을 환산 및 정량한 결과, 타르 중 퀴놀린 불용분은 0.3 중량%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0)

  1. 타르 또는 피치와 유기 용매를 15 내지 350℃의 온도 및 1 bar 내지 100 bar의 압력에서 반응시켜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유기 용매에 용해된 불순물을 포함하는 하층과 유기 용매에 용해된 타르 또는 핏치를 포함하는 상층을 비중의 차이에 의해 분리하는 단계; 및
    상층으로부터 유기 용매를 분리하는 증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불순물은 퀴놀린 불용분인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헥산, 비페닐, 언데칸, 도데칸, 트리데칸, 테트라데칸, 안트라센유, 흡수유 및 등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상기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0 중량%인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방법.
  4. 삭제
  5. 타르 또는 피치를 저장하는 원료 저장부;
    유기 용매를 저장하는 유기 용매 저장부;
    15 내지 350℃의 온도 및 1 bar 내지 100 bar의 압력을 유지하며 상기 타르 또는 핏치와 유기 용매를 반응시켜 혼합물을 형성하는 반응기;
    혼합물의 균일한 혼합을 위해 상기 반응기에 구비된 교반기;
    상기 반응기에 연결되며, 유기 용매에 용해된 불순물을 포함하는 하층과의 비중차이에 의해 분리된 유기 용매에 용해된 타르 또는 핏치를 포함하는 상층을 회수하는 상층 회수부; 및
    상기 회수된 상층으로부터 유기 용매를 분리하기 위한 증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불순물은 퀴놀린 불용분인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상기 온도 및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가열부 및 가압부를 구비하는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헥산, 비페닐, 언데칸, 도데칸, 트리데칸, 테트라데칸, 안트라센유, 흡수유 및 등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상기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0 중량%인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장치.
  9. 삭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비중의 차이에 의해 분리된 유기 용매에 용해된 불순물을 포함하는 하층을 회수하는 하층 회수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장치.
KR1020120154627A 2012-12-27 2012-12-27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방법 및 장치 KR101423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627A KR101423512B1 (ko) 2012-12-27 2012-12-27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627A KR101423512B1 (ko) 2012-12-27 2012-12-27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718A KR20140085718A (ko) 2014-07-08
KR101423512B1 true KR101423512B1 (ko) 2014-07-29

Family

ID=51735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627A KR101423512B1 (ko) 2012-12-27 2012-12-27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5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239A (ko) 2019-12-13 2021-06-24 오메가에너지환경기술 주식회사 O/w/o 에멀젼에 의한 콜타르 흡수유 유분 중에 함유된 인돌의 고선택적 분리 방법
KR20210076240A (ko) 2019-12-13 2021-06-24 오메가에너지환경기술 주식회사 콜타르 흡수유 중에 함유된 인돌의 고선택적 조분리 방법.
KR20220046816A (ko) * 2020-10-08 2022-04-1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석탄계 원료의 정제방법
KR102630831B1 (ko) * 2023-06-22 2024-01-29 주)씨에스캠 중유의 탄화물질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7750B (zh) * 2020-10-30 2024-03-15 宝武碳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超纯净煤焦油沥青的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8579A (en) * 1974-11-25 1975-12-23 Warner Lambert Co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coal tar
US4110194A (en) * 1976-04-16 1978-08-29 Intermountain Oil Research,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bituminous oil from tar sands
US4229281A (en) * 1978-08-14 1980-10-21 Phillips Petroleum Company Process for extracting bitumen from tar sands
JPS61238885A (ja) * 1985-04-16 1986-10-24 Maruzen Sekiyu Kagaku Kk 炭素製品製造用素原料の精製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8579A (en) * 1974-11-25 1975-12-23 Warner Lambert Co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coal tar
US4110194A (en) * 1976-04-16 1978-08-29 Intermountain Oil Research,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bituminous oil from tar sands
US4229281A (en) * 1978-08-14 1980-10-21 Phillips Petroleum Company Process for extracting bitumen from tar sands
JPS61238885A (ja) * 1985-04-16 1986-10-24 Maruzen Sekiyu Kagaku Kk 炭素製品製造用素原料の精製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239A (ko) 2019-12-13 2021-06-24 오메가에너지환경기술 주식회사 O/w/o 에멀젼에 의한 콜타르 흡수유 유분 중에 함유된 인돌의 고선택적 분리 방법
KR20210076240A (ko) 2019-12-13 2021-06-24 오메가에너지환경기술 주식회사 콜타르 흡수유 중에 함유된 인돌의 고선택적 조분리 방법.
KR20220046816A (ko) * 2020-10-08 2022-04-1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석탄계 원료의 정제방법
KR102455988B1 (ko) 2020-10-08 2022-10-1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석탄계 원료의 정제방법
KR102630831B1 (ko) * 2023-06-22 2024-01-29 주)씨에스캠 중유의 탄화물질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718A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511B1 (ko)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방법 및 장치
KR101423512B1 (ko) 타르 또는 핏치의 불순물 정제 방법 및 장치
KR101129061B1 (ko) 코크스의 제조 방법 및 선철의 제조 방법
TW502061B (en) Process for producing solvated mesophase pitch and carbon artifacts therefrom
CN101787299B (zh) 一种用混合溶剂萃取生产净化沥青的方法
JP4660608B2 (ja) 炭素材料の製造方法
CA2794857A1 (en) Methods of preparing carbonaceous material
JP5314299B2 (ja) 無灰炭の製造方法
US3035308A (en) Production of graphitizable pitch coke and graphite products
JPS6149355B2 (ko)
CN110041951B (zh) 一种针状焦及其制备方法
JP5128351B2 (ja) 炭素材料の製造方法
JP5552857B2 (ja) ニードルコークス製造用石炭系原料油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ニードルコークスの製造方法
EP1130077A2 (en) Highly aromatic petroleum pitches, their preparation and use in the manufacture of electrodes
JP6193191B2 (ja) 炭素材料の製造方法
JPS58156023A (ja) 炭素繊維の製造方法
JPH0662285B2 (ja) 弾性黒鉛体の製造方法
KR20200056736A (ko) 카본슬러지 불순물 정제 방법 및 장치
JPH0149316B2 (ko)
JPS5910717B2 (ja) 高級炭素材原料用重質油の製造法
JPH0458519B2 (ko)
JPH05271665A (ja) 精錬コークス原料用ピ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JP3551958B2 (ja) 廃プラスチックの分解処理方法および装置と燃料
KR101547126B1 (ko) 지방족 화합물을 이용한 타르 또는 핏치의 고온·고압 정제 방법
JP6518626B2 (ja) バインダーピッ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