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430B1 - 공급공기와 연소가스 통로를 순차 전환하는 밸브를 구비한 마일드 연소방법 및 그에 의한 마일드 연소기 - Google Patents

공급공기와 연소가스 통로를 순차 전환하는 밸브를 구비한 마일드 연소방법 및 그에 의한 마일드 연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430B1
KR101423430B1 KR1020130089919A KR20130089919A KR101423430B1 KR 101423430 B1 KR101423430 B1 KR 101423430B1 KR 1020130089919 A KR1020130089919 A KR 1020130089919A KR 20130089919 A KR20130089919 A KR 20130089919A KR 101423430 B1 KR101423430 B1 KR 101423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combustion
air
nozzle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
오창보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89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430B1/ko
Priority to PCT/KR2013/011764 priority patent/WO201501643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0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6Preheating the combustion air or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8Treating the combustion air or gas, e.g. by filtering, or moi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5/00Heating of air supplied for combustion
    • F23L15/02Arrangements of re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with a time programme acting through electrical means, e.g. using time-delay re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mbustion apparatu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ir; Combustion processes therefor
    • F23C2900/99001Cold flame combustion or flameless oxidation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Supply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공기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이 적게 배출되면서 연소효율이 높은 MILD (Moderate or Intense Low Oxygen Dilution) 연소기에 공급되는 공기와 연소후 배출되는 연소가스 통로를 순차적,교번적으로 전환함으로써 화염안정성을 확보하는 방법에 관한 MILD 연소기이다.

Description

공급공기와 연소가스 통로를 순차 전환하는 밸브를 구비한 마일드 연소방법 및 그에 의한 마일드 연소기{MILD combustor and opera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고온공기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이 적게 배출되면서 연소효율이 높은 MILD (Moderate or Intense Low Oxygen Dilution) 연소기에 공급되는 공기와 연소후 배출되는 연소가스 통로를 순차적으로 전환함으로써 화염안정성을 확보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분야에 속한다.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오염물질은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및 이산화탄소 등이 있다. 이러한 물질 중에서 일산화탄소 및 질소산화물을 연소과정에서 그 생성량을 줄일 수 있으며, 연소효율을 높임으로써 연료의 사용량을 줄여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질소산화물의 배출저감 방법 중 생성된 질소산화물을 다시 환원시키는 후처리 방법은 후처리설비 설치, 유지에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화석연료의 고갈에 따라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가연성폐기물, RDF, RPF, 바이오매스, 하폐수 슬러지, 저급석탄류 등의 연소과정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 저감도 매우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고체 연료는 대부분 고온에서 연소되며 원료 자체에 질소의 함량이 높아서 가스연료에 비해서 연소과정에서 생성되는 질소산화물 농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으므로 후처리 비용이 또한 크게 높아진다. 따라서 연소, 소각 과정에서 질소산화물의 생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연소과정에서 화염의 고온부에서 공기 중 질소성분이 산소와 반응하여 질소산화물을 생성하게 되므로 MILD 연소와 같은 새로운 연소방식을 적용한다면 연소실내의 고온부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질소산화물의 저감에 유리하게 된다.
MILD 연소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기가스로 버려지는 열의 많은 부분을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로 재순환시킴으로써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열의 재순환에 의해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높이면서 산소 농도를 낮추어 연소하므로 연소실 내부의 연소 온도는 높지 않고 균일한 온도 분포를 보이게 되어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줄어든다.
MILD 연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산화제인 공기류에 고온의 연소가스를 혼합하고, 배기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공기와 연소가스의 혼합기 온도를 연료의 점화온도 이상으로 예열하여 연소실로 공급하여야 하나, 일반적인 열교환기로는 이러한 열교환이 구현되기 힘들고 복잡한 형태의 고온용 축열식 열재생 장치가 필요하다.
도 1에서는 4방 밸브(4 way valve)를 이용한 교번식 열재생 방법을 채택한 종래의 MILD 연소기를 보이고 있다. 즉 열재생기에서는 고온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면서 직접 접촉했던 열교환부를 유입되는 공기가 접촉하면서 열을 전달받는 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교번식 열재생 방법에서는 배기가스가 지나갔던 통로를 연소용 공기가 통과하기 때문에 밸브에서 배기가스 통로와 유입 공기 통로를 전환하는 순간 배기가스와 유입공기의 유동이 충돌되어 순간적으로 연소실 내부의 화염 불안정성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재생기를 통과하는 유입공기와 배기가스 유동의 충돌을 완하시키기 위하여 연소용 공기와 배기가스 통로를 순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화염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MILD 연소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MILD 연소기에서 연소실에 인입되는 공기통로와 연소후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통로를 수개의 쌍으로 구성하여 각각 한쌍씩 순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다수개의 4방 밸브를 구비하고, 각각의 밸브를 순차적, 교번적으로 회전 및 복귀시킴으로써 화염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MILD 연소기의 구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100);
상기 연소실 내부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연료공급용 노즐수단(3-1, 3-2, 3-3, 3-4, 3-5, 3-6)을 포함한 연료공급장치;
연소실 내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다수의 공기공급용 노즐;
연소후 배기가스를 연소실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공기공급용 노즐에 대응하여, 공기공급용 노즐과 동일개수로 형성되어, 공기공급용 노즐 각각과 짝을 이루는 배기가스용 노즐;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전달받아서 축열하는 축열재를 내부에 구비한 다수의열재생기(300, 310, 320, 330, 340, 350);
한쌍씩 짝을 이루는 공급공기용 노즐과 배기가스용 노즐 쪽으로 통하는 통로를 전환하기 위한 다수의 4방 밸브들(400, 410, 420);
상기 4방 밸브의 회전과 복귀를 제어하되, 상기 다수의 4방밸브들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각각 순차적으로 회전시킨 후, 모든 밸브의 회전이 종료된 다음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다시 상기 밸브들을 순차적으로 복귀시키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밸브제어수단; 을 포함하되,
공기공급용 노즐과 배기가스용 노즐들은 연소기 일측에 교번적으로 이웃하게 형성되고, 각 공기공급용노즐은 다수의 관(a,b,c, d,e,f)들 중 어느 하나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관(a,b,c,d,e,f)들은 각각 대응되는 열재생기에 연결되어, 4방 밸브(400, 410, 420)에 의하여 연소용 공기와 배기가스가 교번적으로 통과되도록 제어하는 마일드(MILD) 연소기가 제시된다
밸브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4방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에 의하여, 상기 4방 밸브의 회전과 복귀를 제어하되, 밸브제어방법은, 다수의 4방밸브들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각 한쌍씩 짝을 이루고 있는 공기공급 통로와 배기가스배출통로를 상호 전환시키는 제어단계(S100); 다수의 4방밸브들 중 나머지 밸브들을 각각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대응되는 4방밸브를 회전시키는 제어단계(S200); 모든 4방 밸브가 회전되고,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4방밸드들이 차례대로 각각 복귀되도록 하는 제어단계(S300) 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드(MILD) 연소방법이다.
본 발명의 MILD 연소기는 연소실에 인입되는 공기통로와 연소후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통로를 수개의 쌍으로 구성하여 각각 한쌍씩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다수개의 4방 밸브를 구비하고, 각각의 밸브를 순차적, 교번적으로 회전 및 복귀함으로써 화염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MILD 연소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4방 밸브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밸브의 회전 복귀 장면을 표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순차적 절환이 가능한 4방 밸브 시스템을 장착한 MILD 연소기 사진이다.
도 8은 재생기 내의 축열재 비드의 촬영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순차적 전환이 가능한 4방 밸브 시스템을 장착하지 않은, 기존의 동시전환 방식의 MILD 연소기 내부의 화염 촬영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순차적 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연소실 내부의 안정화된 화염 촬영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아니하고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수준의 발명 범위로 파악되어야 한다.
도 2 내지 도 5는 연소실(100)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4방 밸브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연소장치는 크게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100), 상기 연소실 내부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연료공급계통(3-1, 3-2, 3-3, 3-4, 3-5, 3-6), 연소실 내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계통(1-1, 1-2, 1-3), 연소후 배기가스를 연소실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가스공급계통(2-1, 2-2, 2-3) 및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전달받아서 축열하는 축열재를 내부에 구비한 열재생기(300, 310, 320, 330, 340, 350), 공급공기와 배기가스의 통로를 순차적으로 바꾸기 위한 다수의 4방 밸브들(400, 410, 42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연소실(100) 일측에는 다수의 노즐부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노즐부의 일부는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기 위한 노즐들, 연소된 후의 가스를 배출하는 노즐들 그리고 연소실 내부로 연료가 주입되기 위한 노즐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들은 원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형태로 너무 가깝지 않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크기와 위치는 특정한 수치로 국한되지 아니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연소실(100) 내부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연료노즐은 6개(3-1, 3-2, 3-3, 3-4, 3-5, 3-6)로 구성되어 연소실 내부로 연료를 주입하게 되며 연소실의 크기와 형태는 단순화하여 표현한 것으로서 다양한 크기, 형상 변화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연료노즐들에 이웃하여, 공기공급과 배기가스 배출을 위한 복수개의 노즐들이 교번적으로 위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노즐들은 각각 다수의 관(a,b,c,d,e,f)들에 연결된다.
다수의 관(a,b,c,d,e,f)들은 각각 공기 공급용과 배기가스 배기용 노즐들이 한쌍씩 짝을 이루어 모두 세쌍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들어, 제1노즐(1-1)과 제4노즐(2-1)은 각각 a관, b관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관들은 제1, 2재생기(300, 310)로 각각 연결되어 있다.
MILD 연소를 위해서는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연료의 점화온도 범위까지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 재생기에서 배기가스의 폐열을 회수, 축적하여 공기의 온도를 높이게 된다. 배기가스로부터 재생기 내의 비드로 축적된 열은 새로이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가열하는데 사용된다.
열재생기(300, 310, 320, 330, 340, 350) 내부에는 축열재 비드(250)와 배기가스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도 8과 같이 축열재 재료로서는 제오라이트, 세라믹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재생기에는 연소용 공기 혹은 연소실에서 생성된 배기가스가 통과하게 되며, 이들은 4방 밸브(400, 410, 420)에 의하여 연소용 공기와 배기가스가 교번적으로 통과되도록 제어된다.
즉 도 2와 같은 상태에서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공급관(200)을 통해서, 공기가 m관으로 유입되고 4방 밸브를 통과한 후 공기는 g관을 통과한 뒤, 제1재생기(300) 및 a관을 지나 제1노즐(1-1)을 통해 연소실 내부로 인입된다.
이때 공기는 제1재생기(300)의 축열재로부터 충분한 열을 공급받아 가열되어 MILD 연소에 이용된다.
그와 동시에, 연소실에서 생성된 배기가스는 제4노즐(2-1) 및 b관을 통과한 후, 제2재생기(310)를 통과하면서, 그 내부의 축열재로 열 에너지를 전달한 뒤, h관, 4방 밸브(400), n관을 거친 뒤 배기가스배출관(500)을 통하여 외기로 유출되어진다.
제1, 제4노즐(1-1, 2-1)이 한쌍을 이루어 연소실로 공기공급 및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2, 제5노즐(1-2, 2-2)이 한쌍을 이루어 연소실로 공기공급 및 배기가스배출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3, 제6노즐(1-3, 2-3)이 한쌍을 이루어 연소실로 공기공급 및 배기가스배출이 이루어진다.
도 3에서는 세개의 밸브 중 제1밸브(400)가 먼저 스위칭되어 공기공급 통로와 배기가스 통로가 서로 전환된 것을 표현하고 있다.(도 6참조) 편의상 연소기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제1밸브(400)가 스위칭되면 공기공급관(200)을 통과한 공기는 제1밸브(400)에서 g관이 아닌 h관으로 인입되고 제2재생기(310)를 통과하면서 이미 축열이된 축열재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뒤, b관, 제4노즐을 통하여 연소기로 인입되어 연소에 사용되어진다.
도 3에서와 같이 제1밸브(400)가 먼저 스위칭되어 공기와 배기가스의 이동경로가 상호 전환되도록 하는 것은 연소실 내의 화염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즉, 제1 내지 제3밸브가 동시에 스위칭 될 경우에는 인입되는 연소용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유동이 일시적으로 충돌하는 순간이 존재하여 유입공기와 배기가스가 자연스럽게 교체되지 않아서 연소실 내의 화염이 순간적으로 약한 폭발성 화염을 보이는 등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도 9참고), 본 발명에서와 같이 다수의 밸브들을 소정의 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경우 도 10에서의 실험 결과와 같이 매우 안정적인 화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2초 간격으로 각 밸브를 전환함에 따른 연소실 내의 화염 상태를 촬영한 것인데, 제1 내지 제3밸브를 동시에 스위칭한 도 9의 불안정한 화염상태와는 달리 화염의 상태는 큰 변동없이 매우 일정하고 안정적임을 알 수 있다.
도 4에는 제2 밸브(410)가 전환된 상태이고, 도 5에서는 제3밸브(420)가 전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공기와 배기가스의 이동경로 전환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5에서와 같이 모든 밸브가 전환(혹은 회전)된 다음 복귀될 경우에는 제1밸브(400)가 복귀(도 6참조) 된다. (미도시) 그 다음에는 제2, 제3 밸브가 순차적으로 복귀되어진다. 밸브 전환은 밸브 스위칭의 의미와 동일하게 사용한다.
각 밸브의 전환하는 간격(시간)은 연소기의 용량, 공기공급량 등에 따라서 가변적일 수 있으며, 밸브의 개수는 유입공기 노즐과 배기가스 배출노즐의 개수에따라 2개 혹은 4개 이상으로 가감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100);
상기 연소실 내부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연료공급용 노즐수단(3-1, 3-2, 3-3, 3-4, 3-5, 3-6)을 포함한 연료공급장치;
연소실 내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다수의 공기공급용 노즐;
연소후 배기가스를 연소실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공기공급용 노즐에 대응하여, 공기공급용 노즐과 동일개수로 형성되어, 공기공급용 노즐 각각과 짝을 이루는 배기가스용 노즐;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전달받아서 축열하는 축열재를 내부에 구비한 다수의열재생기(300, 310, 320, 330, 340, 350);
한쌍씩 짝을 이루는 공급공기용 노즐과 배기가스용 노즐 쪽으로 통하는 통로를 전환하기 위한 다수의 4방 밸브들(400, 410, 420);
상기 4방 밸브의 회전과 복귀를 제어하되, 상기 다수의 4방밸브들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각각 순차적으로 회전시킨 후, 모든 밸브의 회전이 종료된 다음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다시 상기 밸브들을 순차적으로 복귀시키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밸브제어수단; 을 포함하되,
공기공급용 노즐과 배기가스용 노즐들은 연소기 일측에 교번적으로 이웃하게 형성되고, 각 공기공급용노즐은 다수의 관(a,b,c, d,e,f)들 중 어느 하나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관(a,b,c,d,e,f)들은 각각 대응되는 열재생기에 연결되어, 4방 밸브(400, 410, 420)에 의하여 연소용 공기와 배기가스가 교번적으로 통과되도록 제어하는 마일드(MILD) 연소기가 제시된다
밸브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4방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에 의하여, 상기 4방 밸브의 회전과 복귀를 제어하되, 밸브제어방법은, 다수의 4방밸브들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각 한쌍씩 짝을 이루고 있는 공기공급 통로와 배기가스배출통로를 상호 전환시키는 제어단계(S100); 다수의 4방밸브들 중 나머지 밸브들을 각각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대응되는 4방밸브를 회전시키는 제어단계(S200); 모든 4방 밸브가 회전되고,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4방밸드들이 차례대로 각각 복귀되도록 하는 제어단계(S300) 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드(MILD) 연소방법이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MILD 연소에 있어서, 다수의 4방 밸브를 구비하여 이들 밸브를 한개씩 순차적으로 전환한 다음, 다시 한개씩 순차적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연소실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와 연소 후 배기가스 배출의 전환이 일부씩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구조를 가진 연소방법이라는 데 있다.
본 발명의 MILD 연소기는 연소실에 인입되는 공기통로와 연소후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통로 수개의 쌍을 각각 한쌍씩 제어하는 다수개의 4방 밸브를 구비하고, 각각의 밸브를 교번적으로 회전 및 복귀함으로써 화염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1: 제1노즐 1-2:제2노즐
1-3:제3노즐 2-1:제4노즐
2-2:제5노즐 2-3:제6노즐
100:연소실 200:공기공급관
250:비드
300,310,320:제1내지제6 재생기
400,410,420:제1내지제3 밸브
500:배기가스배출관

Claims (6)

  1.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100);
    상기 연소실 내부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연료공급용 노즐수단(3-1, 3-2, 3-3, 3-4, 3-5, 3-6)을 포함한 연료공급장치;
    연소실 내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다수의 공기공급용 노즐;
    연소후 배기가스를 연소실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공기공급용 노즐에 대응하여, 공기공급용 노즐과 동일개수로 형성되어, 공기공급용 노즐 각각과 짝을 이루는 배기가스용 노즐;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전달받아서 축열하는 축열재를 내부에 구비한 다수의열재생기(300, 310, 320, 330, 340, 350);
    한쌍씩 짝을 이루는 공급공기용 노즐과 배기가스용 노즐 쪽으로 통하는 통로를 전환하기 위한 다수의 4방 밸브들(400, 410, 420);
    상기 4방 밸브의 회전과 복귀를 제어하되, 상기 다수의 4방밸브들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각각 순차적으로 회전시킨 후, 모든 밸브의 회전이 종료된 다음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다시 상기 밸브들을 순차적으로 복귀시키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밸브제어수단; 을 포함하되,
    공기공급용 노즐과 배기가스용 노즐들은 연소기 일측에 교번적으로 이웃하게 형성되고, 각 공기공급용노즐은 다수의 관(a,b,c, d,e,f)들 중 어느 하나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관(a,b,c,d,e,f)들은 각각 대응되는 열재생기에 연결되어, 4방 밸브(400, 410, 420)에 의하여 연소용 공기와 배기가스가 교번적으로 통과되도록 제어하는 마일드(MILD) 연소기.
  2.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100);
    상기 연소실 내부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연료공급용 노즐수단(3-1, 3-2, 3-3, 3-4, 3-5, 3-6)을 포함한 연료공급장치;
    연소실 내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다수의 공기공급용 노즐;
    연소후 배기가스를 연소실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공기공급용 노즐에 대응하여, 공기공급용 노즐과 동일개수로 형성되어, 공기공급용 노즐 각각과 짝을 이루는 배기가스용 노즐;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전달받아서 축열하는 축열재를 내부에 구비한 다수의열재생기(300, 310, 320, 330, 340, 350);
    한쌍씩 짝을 이루는 공급공기용 노즐과 배기가스용 노즐 쪽으로 통하는 통로를 전환하기 위한 다수의 4방 밸브들(400, 410, 420);
    상기 4방 밸브의 회전과 복귀를 제어하되, 상기 다수의 4방밸브들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각각 순차적으로 회전시킨 후, 모든 밸브의 회전이 종료된 다음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다시 상기 밸브들을 순차적으로 복귀시키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밸브제어수단; 을 포함하되,
    공기공급용 노즐과 배기가스용 노즐들은 연소기 일측에 교번적으로 이웃하게 형성되고, 각 공기공급용노즐은 다수의 관(a,b,c, d,e,f)들 중 어느 하나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관(a,b,c,d,e,f)들은 각각 대응되는 열재생기에 연결되어, 4방 밸브(400, 410, 420)에 의하여 연소용 공기와 배기가스가 교번적으로 통과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축열재 재료로서는 제오라이트, 세라믹 중 어느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드(MILD) 연소기
  3.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100);
    상기 연소실 내부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연료공급용 노즐수단(3-1, 3-2, 3-3, 3-4, 3-5, 3-6)을 포함한 연료공급장치;
    연소실 내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다수의 공기공급용 노즐;
    연소후 배기가스를 연소실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공기공급용 노즐에 대응하여, 공기공급용 노즐과 동일개수로 형성되어, 공기공급용 노즐 각각과 짝을 이루는 배기가스용 노즐;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전달받아서 축열하는 축열재를 내부에 구비한 다수의열재생기(300, 310, 320, 330, 340, 350);
    한쌍씩 짝을 이루는 공급공기용 노즐과 배기가스용 노즐 쪽으로 통하는 통로를 전환하기 위한 다수의 4방 밸브들(400, 410, 420);
    상기 4방 밸브의 회전과 복귀를 제어하되, 상기 다수의 4방밸브들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각각 순차적으로 회전시킨 후, 모든 밸브의 회전이 종료된 다음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다시 상기 밸브들을 순차적으로 복귀시키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밸브제어수단; 을 포함하되,
    공기공급용 노즐과 배기가스용 노즐들은 연소기 일측에 교번적으로 이웃하게 형성되고, 각 공기공급용노즐은 다수의 관(a,b,c, d,e,f)들 중 어느 하나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관(a,b,c,d,e,f)들은 각각 대응되는 열재생기에 연결되어, 4방 밸브(400, 410, 420)에 의하여 연소용 공기와 배기가스가 교번적으로 통과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축열재는 구형의 비드로 형성되는 마일드(MILD) 연소기.
  4. 청구항 1 에서, 상기 공기공급용 노즐과 배기가스용노즐은 연소기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형태로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특징으로 하는
    마일드(MILD) 연소기.
  5.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100)과, 상기 연소실 내부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연료공급용 노즐(3-1, 3-2, 3-3, 3-4, 3-5, 3-6)을 포함한 연료공급장치와 연소실 내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다수의 공기공급용 노즐과, 연소후 배기가스를 연소실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공기공급용 노즐에 대응하여, 공기공급용 노즐과 동일개수로 형성되어, 공기공급용 노즐 각각과 짝을 이루는 배기가스용 노즐과,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전달받아서 축열하는 축열재를 내부에 구비한 다수의 열재생기(300, 310, 320, 330, 340, 350)와, 한쌍씩 짝을 이루는 공급공기용 노즐과 배기가스용 노즐 쪽으로 통하는 통로를 전환하기 위한 다수의 4방 밸브들(400, 410, 420)를 이용한 마일드(MILD) 연소방법에 있어서,
    4방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에 의하여, 상기 4방 밸브의 회전과 복귀를 제어하되, 밸브제어방법은,
    다수의 4방밸브들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각 한쌍씩 짝을 이루고 있는 공기공급 통로와 배기가스배출통로를 상호 전환시키는 제어단계(S100);
    다수의 4방밸브들 중 나머지 밸브들을 각각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대응되는 4방밸브를 회전시키는 제어단계(S200);
    모든 4방 밸브가 회전되고,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4방밸드들이 차례대로 각각 복귀되도록 하는 제어단계(S300)
    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드(MILD) 연소방법.
  6. 청구항 5에서,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연료의 점화온도 범위까지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드(MILD) 연소방법.
KR1020130089919A 2013-07-30 2013-07-30 공급공기와 연소가스 통로를 순차 전환하는 밸브를 구비한 마일드 연소방법 및 그에 의한 마일드 연소기 KR101423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919A KR101423430B1 (ko) 2013-07-30 2013-07-30 공급공기와 연소가스 통로를 순차 전환하는 밸브를 구비한 마일드 연소방법 및 그에 의한 마일드 연소기
PCT/KR2013/011764 WO2015016439A1 (ko) 2013-07-30 2013-12-18 공급공기와 연소가스 통로를 순차 전환하는 밸브를 구비한 마일드 연소방법 및 그에 의한 마일드 연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919A KR101423430B1 (ko) 2013-07-30 2013-07-30 공급공기와 연소가스 통로를 순차 전환하는 밸브를 구비한 마일드 연소방법 및 그에 의한 마일드 연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3430B1 true KR101423430B1 (ko) 2014-08-13

Family

ID=51748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919A KR101423430B1 (ko) 2013-07-30 2013-07-30 공급공기와 연소가스 통로를 순차 전환하는 밸브를 구비한 마일드 연소방법 및 그에 의한 마일드 연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23430B1 (ko)
WO (1) WO20150164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11390A (zh) * 2022-10-27 2023-02-24 华中科技大学 一种氨气的旋流mild燃烧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6422A (ja) * 1995-08-30 1997-05-16 Nkk Corp 蓄熱式燃焼バーナおよびその燃焼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2529B2 (ja) * 1995-12-26 2007-08-0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二重円筒型間接加熱炉及びその運転方法
KR100314342B1 (ko) * 1999-03-05 2001-11-22 임인권 축열 소각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소각로
KR100678335B1 (ko) * 2005-10-26 2007-02-05 홍영기 전환밸브가 없는 축열연소장치
JP5509785B2 (ja) * 2009-10-23 2014-06-04 株式会社Ihi 蓄熱式バーナーの燃焼設備及び燃焼方法
KR101074761B1 (ko) * 2011-03-17 2011-10-18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 자기축열식 버너 및 상기 버너에서의 연소용 공기와 배기가스의 유출입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6422A (ja) * 1995-08-30 1997-05-16 Nkk Corp 蓄熱式燃焼バーナおよびその燃焼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11390A (zh) * 2022-10-27 2023-02-24 华中科技大学 一种氨气的旋流mild燃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16439A1 (ko)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8076B1 (en) Heating apparatus and heating method for supply of gaseous fluid
US20160238240A1 (en) Duct burner including a perforated flame holder
CN111928237A (zh) 基于循环流化床锅炉掺烧化工废气的掺烧喷口及掺烧方法
WO2019007001A1 (zh) 一种蓄热燃烧式煤基竖炉及一种直接还原生产方法
TWI420062B (zh) 採用高溫空氣燃燒技術的反應器
CN101233377A (zh) 用于煅烧具有低NOx排放物的材料的方法
CN113513761A (zh) 一种硫磺回收装置尾气处理设备及控制方法
KR101423430B1 (ko) 공급공기와 연소가스 통로를 순차 전환하는 밸브를 구비한 마일드 연소방법 및 그에 의한 마일드 연소기
CN111479902B (zh) 炼焦炉设备、炼焦炉设备的运行方法以及控制装置和应用
KR101160055B1 (ko) 수평형연소기
CN101970823A (zh) 排气气体净化装置
CN103353113A (zh) 具有涡轮防回火预混喷嘴的加热炉
KR102436711B1 (ko) 퍼지 수단이 구비된 농축 2-베드 축열식 연소장치
JPH10246428A (ja) 給気流加熱装置及び給気流加熱方法
US11906160B2 (en) Combustion system including a mixing tube and a flame holder
US11519599B2 (en) Opposed-injection aluminum melting furnace uniform combustion system
KR100583819B1 (ko) 자기 축열식 단일 라디안트 튜브 버너
CN112161270A (zh) 一种蓄热式低氮烧嘴
JP3774288B2 (ja) 給気流予熱装置及び給気流予熱方法
CN219083119U (zh) 具有在线反烧功能的蓄热式焚烧系统
CN114427687B (zh) 高温低氧蓄热式弥散热氧化处理装置
JP3775761B2 (ja) 排ガス脱硝システム及び排ガス脱硝方法
CN220417339U (zh) 一种防蓄热体堵塞的rto蓄热焚烧装置
CN111701446B (zh) 一种工业炉烟气脱硝和热量回收的方法及装置
KR100583820B1 (ko) 트윈식 라디안트 튜브 축열 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