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306B1 - 면역응집반응용 마이크로칩 - Google Patents

면역응집반응용 마이크로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306B1
KR101423306B1 KR1020120140304A KR20120140304A KR101423306B1 KR 101423306 B1 KR101423306 B1 KR 101423306B1 KR 1020120140304 A KR1020120140304 A KR 1020120140304A KR 20120140304 A KR20120140304 A KR 20120140304A KR 101423306 B1 KR101423306 B1 KR 101423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hip
sample
reaction
pathogen
anti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2985A (ko
Inventor
송재영
최은진
이창희
이진용
이은정
고희영
정광면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140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306B1/ko
Publication of KR20140072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01N33/54346Nano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mmunological test proced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시료 및 상기 시료 내 분석대상과 결합친화도를 갖는 항체가 포함된 프로브가 투입되는 주입구; (b) 상기 주입구에 투입된 상기 시료 및 프로브가 이동하면서 상기 시료 내 분석대상과 상기 항체 사이의 면역응집반응이 발생하는 반응채널; 및 (c) 상기 (b)의 면역응집반응으로부터 발생된 반응결과물에 대한 광 산란(light scattering) 정도가 측정되는 광 산란 측정부를 포함하는 면역응집반응용 마이크로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칩은 시료의 반응 및 이동을 돕는 별도의 장치 및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칩을 이용하면, 소량의 시료를 이용하여 10분 이내로 신속하게 병원체의 존재 및 감염 여부를 측정할 수 있어 빠른 진단을 요하는 질병에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면역응집반응용 마이크로칩{A Microchip for Immune Agglutination}
본 발명은 면역응집반응용 마이크로칩에 관한 것이다.
유전자나 단백질 및 세포 등 나노단위의 생체분자의 움직임 및 반응을 직접적으로 확인하고 조작할 수 있는 나노기술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나노-바이오 기술은 질병을 진단, 분석하고 신약 개발을 위한 임상 검사를 빠르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나노바이오칩으로 제작되고 있다. 나노바이오칩은 나노 단위의 생체 시료의 분석을 통해 DNA, 단백질 및 세포 등의 반응 메커니즘을 직접 분석할 수 있으며, 소량의 시료로 빠르고 정확하게 미세 생체분자의 현상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노스케일의 생체분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생체분자 자체에 대한 안정성의 확보가 필요하다. 즉,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의한 비특이적인 반응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고 특정 자극에 대해서만 반응 할 수 있도록 안정된 조건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비특이적인 반응은 물질의 특성 변화를 일으키게 되고, 결국 왜곡된 정보(noise)를 제공하게 되므로 나노스케일에서 생체분자의 분석 및 진단에 있어 많은 제약을 가져온다. 또한, 생체분자를 원하는 곳에 고정하고, 특정한 외부자극을 통해 반응하는 나노 스케일의 생체물질로부터 기계적 혹은 광학적 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정량 혹은 정성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반 환경이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반응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병원체의 진단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칩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항원 및 항체 사이의 면역응집반응으로부터 발생된 반응결과물에 대한 광 산란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소량의 시료로 단시간 내에 병원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마이크로칩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의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면역응집반응용 마이크로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응집반응용 마이크로칩을 제공한다:
(a) 시료 및 상기 시료 내 분석대상과 결합친화도를 갖는 항체가 포함된 프로브가 투입되는 주입구(11);
(b) 상기 주입구에 투입된 상기 시료 및 프로브가 이동하면서 상기 시료 내 분석대상과 상기 항체 사이의 면역응집반응이 발생하는 반응채널(12); 및
(c) 상기 (b)의 면역응집반응으로부터 발생된 반응결과물에 대한 광 산란(light scattering) 정도가 측정되는 광 산란 측정부(13).
본 발명자들은 반응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병원체의 진단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칩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항원 및 항체 사이의 면역응집반응으로부터 발생된 반응결과물에 대한 광 산란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시료 내 병원체 여부를 분석할 수 있는 마이크로칩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주입구에 투입된 시료 및 프로브가 반응채널을 이동하도록 하는데 있어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채널의 내부 표면이 친수성을 갖도록 개질화하여 모세관 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료 투입부터 결과 측정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켰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칩은 병원체의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가 포함된 프로브를 주입구에 넣은 후, 시료를 투입하고 시료와의 반응을 유도하는 과정을 거쳐 면역응집반응이 발생하면, 반응결과물에 대한 광 산란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질병 진단 및 생물학적 검사를 수행한다. 즉, 시료 및 프로브의 투입 및 반응, 반응결과물의 측정, 반응결과물의 배출 등 일련의 과정들이 하나의 마이크로칩에 구현된 마이크로 스케일의 볼륨을 갖는 멤브레인 또는 채널 내에서 수행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면역응집반응용 마이크로칩의 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면역응집반응용 마이크로칩(1)은 필수적으로 시료 및 상기 시료 내 분석대상과 결합친화도를 갖는 항체가 포함된 프로브가 투입되는 주입구(11), 상기 주입구에 투입된 상기 시료 및 프로브가 이동하면서 상기 시료 내 분석대상과 상기 항체 사이의 면역응집반응이 발생하는 반응채널(12) 및 상기 (b)의 면역응집반응으로부터 발생된 반응결과물에 대한 광 산란 정도가 측정되는 광 산란 측정부(13)로 구성되며, 광 산란 측정부에 모세관력 증대 채널(14) 및 배출구(15)가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a-d는 본 발명의 면역응집반응용 마이크로칩의 다른 구체예로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칩(1) 주입구(11)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 m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10 mm,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7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5 mm의 지름을 갖는다.
반응채널(12)은 굴절된 형상을 가지며, 굴절 횟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반응채널(12)의 총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20-10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30-80 m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70 mm,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0-60 mm이다. 반응채널(12)부터 광 산란 측정부(13)까지는 직선 또는 굴절된 형상을 갖는 채널로 연결된다. 상기 채널의 총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5-4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 m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20 mm,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20 mm이다.
광 산란 측정부(13)는 상기 면역응집반응으로부터 발생된 반응결과물에 대한 광 산란 정도가 측정되는 부위로 상기 광 산란 정도 측정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광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광 산란 측정부(13)의 형상 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m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8 mm,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5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3 mm의 지름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광 산란 측정부(13)에 모세관력 증대 채널(14) 및 배출구(15)가 추가적으로 연결된다. 모세관력 증대 채널(14)은 굴절된 형상을 가지며, 굴절 횟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모세관력 증대 채널(14)의 총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10-5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 m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30 mm,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0-30 mm이다. 배출구(15)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 m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15 mm,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10 mm의 지름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마이크로칩은 실리콘 웨이퍼(silicon wafer) 층 및 상기 실리콘 웨이퍼 층 상부 및 하부에 유리(glass) 층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칩은 미세 가공을 위해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마이크로칩은 실리콘 웨이퍼 층의 상부 및 하부에 광 투과성이 높은 유리 층이 결합시킨다. 실리콘 웨이퍼 층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400-800 μ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700 μm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50-650 μm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600 μm이다. 상부 유리층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1.0-2.0 m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1.8 mm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4-1.6 mm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mm이다. 한편, 하부 유리층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300-700 μ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600 μm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50-550 μm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00 μm이다.
본 발명에서 실리콘 웨이퍼 층은 상술한 주입구(11), 반응채널(12), 광 산란 측정부(13), 모세관력 증대 채널(14) 및 배출구(15)가 식각된 형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실리콘 웨이퍼 층은 상부에 결합된 유리층은 상술한 주입구(11) 및 배출구(15)가 식각된 형태를 구비한다.
실리콘 웨이퍼 층 및 실리콘 웨이퍼 층 상부 및 하부에 유리(glass) 층이 결합되어 내부에 반응공간을 제공한다. 실리콘 웨이퍼 층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유리 층은 상기 실리콘 웨이퍼 층에 결합되어 있는 면이 산소 플라즈마로 표면이 개질되어 친수성을 나타냄으로써 증가된 표면 장력을 갖는다. 이로 인해, 주입구(11)로부터 투입된 시료는 별도의 외부 동력없이 모세관 력에 의해 반응채널(12)로부터 배출구(15)까지 이동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시료”란 생물학적 시료로서 조직, 세포, 오줌, 타액, 전혈, 혈청, 혈장, 조직 부검 시료(뇌, 피부, 림프절, 척수 등), 세포 배양 상등액, 파열된 진핵세포 및 세균 발현계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들 시료를 조작하거나 조작하지 않은 상태로 본 발명의 바이오 프로브와 반응시켜서 병원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브는 (a) 나노물질, (b) 상기 나노물질의 표면과 공유결합으로 연결된(covalently linked to) 병원체의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및 (c) 상기 항체가 결합된 상기 나노물질로 표면이 개질된 고체 기질로서의 유리 섬유(glass fiber)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브를 언급하면서 사용된 병원체는 다양한 종류에서 유래된 병원체로 바람직하게는 박테리아 병원체, 진균 병원체, 바이러스 병원체, 자가 유래 병원체, 또는 알러젠(allergen)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바이러스 병원체 또는 박테리아 병원체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바이러스 병원체이며,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신종 인플루엔자 H1N1 병원체이다.
본 발명에서 병원체로서 박테리아 병원체는 포유동물에 감염되어 여러가지 질병을 일으키는 박테리아 군으로부터 선택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 살모넬라 엠반다카(Salmonella mbandaka), 살모넬라 엔테라이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Streptococcus pneumoniae), 스타필로코쿠스 오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타플릴로코쿠스 에피더미디스(Staphlylococcus epidermidis),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Neisseria meningitidis), 네이세리아 고노르헤에(Neisseria gonorrheae),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제(Haemophilus influenzae), 대장균(Esherichia coli), 클레브시엘라 뉴모니아 (Klebsiella pneumoniae), 리스테리아 모노시토겐스(Listeria monocytogenes), 비브리오 콜레레(Vibrio cholerae),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늄(Clostridium botulinum), 수도모나스 에라션스(Pseudomonas aerations), 보렐리아 부르그도르테리(Borrelia burgdorferi), 시겔라 플렉스네리(Shigella flexneri), 시겔라 보이디(Shigella boydii), 시겔라 디센트리게(Shigella dysentriae), 알로이오코쿠스 오티티디스(Alloiococcus otitidis) 및 그룹 B 스트렙토코시(streptococci)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 살모넬라 엠반다카(Salmonella mbandaka) 및 살모넬라 엔테라이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병원체로서 진균 병원체는 포유동물에 감염되어 여러 가지 질병을 일으키는 진균에서 유래하는 물질로, 예컨대 포유동물의 피부, 구강에 표재성 진균증(superficial mycosis)을 일으키고, 내장, 뇌 등에 전신성 진균증을 일으키는 진균에서 유래한 물질이다. 진균 유래 물질은 다양한 진균 군으로부터 선택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칸디다(Candida),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크립토코커스(Cryptococcus), 무코르 (Mucor), 리조푸스 (Rhizopus), 압시디아(Absidia), 노카르디아(Nocardia), 히스토플라스마(Histoplasma), 블라스토마이세스(Blastomyces), 콕시디오이데스 (Coccidioides), 트리코피톤(Trichophyton), 미크로스포륨(Microsporum), 에피더모피톤(Epidermophyton), 스포로트릭스(Sporothrix), 흑색진균(Dematiaceous fungi), 말라세치아(Malassezia), 뉴모사이스티스(Pneumocystis), 페니실륨(Penicillium), 알타나리아(Alternaria), 클라도스포륨(Cladosporium), 보트리티스(Botrytis), 어에로바시듐(Aureobasidium), 프자륨(Fusarium), 트리코데르마(Trichoderma), 헬민쏘스포륨(Helminthosporium), 뉴로스포라(Neurospora), 월레미아(Wallemia) 및 로도토룰라(Rhodotorula)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병원체로서 바이러스 병원체는 포유동물에 감염되어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군으로부터 선택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아데노바이러스, 알파바이러스, 칼리시 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CMV, 디스템퍼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EBV, 플라비바이러스(예컨대, Hep C) 헤파드나바이러스(예컨대, Hep B, 간염 델타 물질, Hep E 또는 F바이러스), A형 간염 바이러스(예컨대, VP1), GBV-C, 허피스바이러스(예컨대, 허피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단백질[예컨대, 타입 I 당단백질 G, gpD, CP27,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당단백질(예컨대, IE62, gp1 또는 외피 단백질)], 면역결핍 바이러스, 예컨대, HIV(예컨대, 외피 또는 단백질분해효소), 감염성 복막염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예컨대, 인플루엔자 A 헤마글루티닌, 뉴라미니다제 또는 핵단백질), LCMV, 백혈병 바이러스, 마버그 바이러스, 오르토믹소바이러스, 파필로마 바이러스[예컨대, HPV(예컨대, HPV 캡시드 단백질),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예컨대, 헤마글루티닌/뉴라미니다제)], 파라믹소바이러스[예컨대, RSV(예컨대, F 또는 G 단백질)], 파보바이러스, 페스티바이러스, 피코나바이러스[예컨대, 폴리오바이러스 캡시드 폴리펩티드(예컨대, VP1, VP2 또는 VP3, 또는 Hep A 항원)], 폭스 바이러스(예컨대, 백시니아 바이러스 폴리펩티드, 예컨대, 외피 단백질), 공수병 바이러스(예컨대, 공수병 바이러스 당단백질 G), 레오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예컨대, 인간 리노바이러스 캡시드), 루벨라 바이러스(예컨대, 캡시드 단백질) 및 로타바이러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병원체로서 자가 유래 병원체는 생체의 정상 구성 성분[예컨대, 단백질(사이토카인, 호르몬, 인터루킨 또는 이들의 혼합물), 핵산,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조각]에 있어서 동일 개체에 다양한 신호전달 반응을 일으키어 자가면역반응을 야기하여 자가 항체를 형성하도록 자극함으로써 자가면역질환을 일으키는 물질이다. 자가면역반응을 일으키는 자가 유래 물질은 자연발생적인 자가 유래 물질의 구성과는 상이한 구성으로 배열되어 있다. 자가면역반응을 일으키는 자가 유래 물질로, 바람직하게는 인슐린, 미예린 염기성 단백질, rh 인자, 아세틸콜린 수용체, 갑상성 세포 수용체(기초막 단백질, 갑상선 단백질 PM-1 또는 글루탐산 디카복실라제(64K)) 및 카복시펩티다제 H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자가 유래 물질이 야기하는 자가면역질환은 바람직하게는, 류머티스성 관절염 (RA), 다발성 경화증 (MS), 전신 홍반 루푸스(SLE), 루푸스 신장염, 피부 홍반 루푸스 (CLE), 자가면역성 간염, 연소성 류머티스성 관절염, 전염성 간염, 원발성 담즙성 간경화, 건선,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전신성 피부경화증, 전신성 경화증,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호흡 곤란 증후군, 성인성 호흡 곤란 증후군, ARDS, 수막염, 뇌염, 포도막염, 사구체신염, 천포창, 대식세포 활성화 증후군, 습진, 천식, 죽상동맥경화증, 백혈구 부착 결핍증, 진성 당뇨병, 제I형 진성 당뇨병, 인슐린 의존성 진성 당뇨병, 알러지성 비염, 장기 이식과 관련된 자가면역 반응, 레이노 증후군,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하시모토 갑상선염, 알러지성 뇌척수염, 쇼그렌 증후군, 유년 발병형 당뇨병, 사이토카인 및 T-림프구에 의해 매개되는 급성 및 지연형 과민증과 관련되는 면역 응답, 결핵, 사르코이드증, 다발근육염, 육아종증, 혈관염, 악성 빈혈(애디슨병), 백혈구 누출을 수반하는 질환, 중추 신경계(CNS) 염증성 장애, 다발성 장기 손상 증후군, 용혈 빈혈, 한랭글로빈혈증, 쿰즈(Coombs) 양성 빈혈, 중증 근육무력증, 항원-항체 복합체 매개 질환, 항-사구체 기저막 질환, 항-인지질 증후군, 알러지성 신경염, 그레이브스병, 램버트-이튼 근무력 증후군, 수포성 유사천포창, 천포창, 자가면역성 다중내분비병증, 라이터 질환, 근육강직 증후군, 베쳇병, 거대세포성 동맥염, 면역 복합체 신장염, IgA 신장병증, IgM 다발신경병증, 면역성 혈소판감소성 자반 (ITP) 및 자가면역성 혈소판감소증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병원체로서 알러젠(allergen)은 당업계에 공지된 알레르기, 즉, 개체에 반복적으로 노출시 IgE 매개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모든 자연 발생적 물질 또는 이들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자연 발생적 알레르기 유발 물질로, 바람직하게는 꽃가루 알레르기 유발 물질(예컨대, 수목, 잡초, 초본 또는 잔디의 꽃가루 알레르기 유발 물질), 진드기 알레르기 유발 물질(예컨대, 집 먼지진드기 또는 저장 진드기 유래 물질), 곤충 알레르기 유발 물질(예컨대, 흡입성, 타액 및 독액 유래 알레르기 유발 물질), 개, 고양이, 랫트 및 마우스의 타액, 털 및 비듬에서 유래하는 동물 알레르기 유발 물질, 진균 알레르기 유발 물질 및 음식물 알레르기 유발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알러젠의 형태로는 알러젠 추출물, 정제된 알러젠, 변형된 알러젠, 재조합 알러젠, 재조합 변이체 알러젠, 30 아미노산 이상의 알러젠 단편 또는 이들의 조합 형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항체를 표현하면서 사용하는 용어 “항원(antigen)”은 상술한 병원체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면역계를 자극하여 생체에 특이적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물질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용어 “면역원(immunogen)”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항원물질의 종류는 대단히 다양하며 그 개체에 대해 이물질이라면 원칙적으로 모두가 항원으로 인식한다. 단백질, 다당질, 핵산, 지질 및 이들의 복합체등을 천연항원이라 한다. 또한 화학적으로 합성된 물질이라도 단백질(담체)등과 결합하면 면역계를 자극시킬 수 있다. 이들을 합텐(부착제) 또는 인공항원이라 한다.
본 발명에서 항원은 박테리아 유래 항원, 진균 유래 항원, 바이러스 유래 항원, 자가 유래 항원 또는 알러젠(allergen)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바이러스 유래 항원 또는 박테리아 유래 항원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바이러스 유래 항원이며,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신종 인플루엔자 H1N1 유래 항원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신종 인플루엔자 H1N1의 HA1 항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체(antibody)”는 병원체의 항원에 대한 특이 항체로서, 병원체의 항원 단백질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며, 완전한 항체 형태뿐만 아니라 항체 분자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한다.
완전한 항체는 2개의 전체 길이의 경쇄 및 2개의 전체 길이의 중쇄를 가지는 구조이며 각각의 경쇄는 중쇄와 다이설파이드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중쇄 불변 영역은 감마(γ), 뮤(μ), 알파(α), 델타(δ) 및 엡실론(ε) 타입을 가지고 서브클래스로 감마1(γ1), 감마2(γ2), 감마3(γ3), 감마4(γ4), 알파1(α1) 및 알파2(α2)를 가진다. 경쇄의 불변영역은 카파(κ) 및 람다(λ) 타입을 가진다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Wonsiewicz, M. J., Ed., Chapter 45, pp. 41-50, W. B. Saunders Co. Philadelphia, PA(1991); Nisonoff, A., Introduction to Molecular Immunology, 2nd Ed., Chapter 4,pp. 45-65, sinauer Associates, Inc., Sunderland, MA (1984)).
항체 분자의 항원 결합 단편이란 항원 결합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단편을 의미하며, Fab, F(ab'), F(ab')2 및 Fv 등을 포함한다. 항체 단편 중 Fab는 경쇄 및 중쇄의 가변영역과 경쇄의 불변 영역 및 중쇄의 첫 번째 불변 영역(CH1)을 가지는 구조로 1개의 항원 결합 부위를 가진다. Fab'는 중쇄 CH1 도메인의 C-말단에 하나 이상의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하는 힌지 영역(hinge region)을 가진다는 점에서 Fab와 차이가 있다. F(ab')2 항체는 Fab'의 힌지 영역의 시스테인 잔기가 디설파이드 결합을 이루면서 생성된다. Fv는 중쇄 가변부위 및 경쇄 가변부위만을 가지고 있는 최소의 항체조각으로 Fv 단편을 생성하는 재조합 기술은 PCT 국제 공개특허출원 WO 88/10649, WO 88/106630, WO 88/07085, WO 88/07086 및 WO 88/09344에 개시되어 있다. 이중쇄 Fv(two-chain Fv)는 비공유 결합으로 중쇄 가변부위와 경쇄 가변부위가 연결되어 있고 단쇄 Fv(single-chain Fv)는 일반적으로 펩타이드 링커를 통하여 중쇄의 가변 영역과 단쇄의 가변 영역이 공유 결합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C-말단에서 바로 연결되어 있어서 이중쇄 Fv와 같이 다이머와 같은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항체 단편은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이용해서 얻을 수 있고(예를 들어, 전체 항체를 파파인으로 제한 절단하면 Fab를 얻을 수 있고 펩신으로 절단하면 F(ab')2 단편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하여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체는 바람직하게는 Fab 형태이거나 완전한 항체 형태이다. 또한, 중쇄 불변 영역은 감마(γ), 뮤(μ), 알파(α), 델타(δ) 또는 엡실론(ε) 중의 어느 한 이소타입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중쇄”는 항원에 특이성을 부여하기 위한 충분한 가변 영역 서열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가변 영역 도메인 VH 및 3 개의 불변 영역 도메인 CH1, CH2 및 CH3를 포함하는 전체길이 중쇄 및 이의 단편을 모두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경쇄”는 항원에 특이성을 부여하기 위한 충분한 가변영역 서열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가변 영역 도메인 VL 및 불변 영역 도메인 CL을 포함하는 전체길이 경쇄 및 이의 단편을 모두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항원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아미노산 서열의 변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체의 결합 친화도 및/또는 기타 생물학적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예를 들어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 잔기의 결실, 삽입 및/또는 치환을 포함한다.
이러한 아미노산 변이는 아미노산 곁사슬 치환체의 상대적 유사성, 예컨대, 소수성, 친수성, 전하, 크기 등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아미노산 곁사슬 치환체의 크기, 모양 및 종류에 대한 분석에 의하여, 아르기닌, 라이신과 히스티딘은 모두 양전하를 띤 잔기이고; 알라닌, 글라이신과 세린은 유사한 크기를 갖으며; 페닐알라닌, 트립토판과 타이로신은 유사한 모양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려 사항에 기초하여, 아르기닌, 라이신과 히스티딘; 알라닌, 글라이신과 세린; 그리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과 타이로신은 생물학적으로 기능 균등물이라 할 수 있다.
변이를 도입하는 데 있어서, 아미노산의 소수성 인덱스 (hydropathic idex)가 고려될 수 있다. 각각의 아미노산은 소수성과 전하에 따라 소수성 인덱스가 부여되어 있다: 아이소루이신 (+4.5); 발린 (+4.2); 루이신 (+3.8); 페닐알라닌(+2.8); 시스테인/시스타인 (+2.5); 메티오닌 (+1.9); 알라닌 (+1.8); 글라이신 (-0.4); 쓰레오닌 (-0.7); 세린 (-0.8); 트립토판 (-0.9); 타이로신 (-1.3); 프롤린 (-1.6); 히스티딘 (-3.2); 글루타메이트 (-3.5); 글루타민 (-3.5); 아스파르테이트 (-3.5); 아스파라긴 (-3.5); 라이신 (-3.9); 및 아르기닌 (-4.5).
단백질의 상호적인 생물학적 기능(interactive biological function)을 부여하는 데 있어서 소수성 아미노산 인덱스는 매우 중요하다. 유사한 소수성 인덱스를 가지는 아미노산으로 치환하여야 유사한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할 수 있다는 것은 공지된 사실이다. 소수성 인덱스를 참조하여 변이를 도입시키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 2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 1 이내,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 0.5 이내의 소수성 인덱스 차이를 나타내는 아미노산 사이에 치환을 한다.
한편, 유사한 친수성 값(hydrophilicity value)을 가지는 아미노산 사이의 치환이 균등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초래한다는 것도 잘 알려져 있다. 미국 특허 제4,554,10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음의 친수성 값이 각각의 아미노산 잔기에 부여되어 있다: 아르기닌 (+3.0); 라이신 (+3.0); 아스팔테이트(+3.0± 1); 글루타메이트 (+3.0± 1); 세린 (+0.3); 아스파라긴 (+0.2); 글루타민 (+0.2); 글라이신 (0); 쓰레오닌 (-0.4); 프롤린 (-0.5 ± 1); 알라닌 (-0.5); 히스티딘 (-0.5); 시스테인 (-1.0); 메티오닌 (-1.3); 발린 (-1.5); 루이신 (-1.8); 아이소루이신 (-1.8); 타이로신 (-2.3); 페닐알라닌 (-2.5); 트립토판 (-3.4).
친수성 값을 참조하여 변이를 도입시키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 2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 1 이내,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 0.5 이내의 친수성 값 차이를 나타내는 아미노산 사이에 치환을 한다.
분자의 활성을 전체적으로 변경시키지 않는 단백질에서의 아미노산 교환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H. Neurath, R.L.Hill, The Proteins, Academic Press, New York, 1979). 가장 통상적으로 일어나는 교환은 아미노산 잔기 Ala/Ser, Val/Ile, Asp/Glu, Thr/Ser, Ala/Gly, Ala/Thr, Ser/Asn, Ala/Val, Ser/Gly, Thy/Phe, Ala/Pro, Lys/Arg, Asp/Asn, Leu/Ile, Leu/Val, Ala/Glu, Asp/Gly 간의 교환이다.
본 발명의 항체는 단일클론 항체, 다특이적 항체, 인간 항체, 인간화 항체, 키메라 항체, 단쇄 Fvs(scFV), 단쇄 항체, Fab 단편, F(ab')단편, 다이설파이드-결합 Fvs(sdFV) 및 항-이디오타입(항-Id) 항체, 그리고 상기 항체들의 에피토프-결합 단편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마이크로칩은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d의 형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면역응집반응용 마이크로칩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마이크로칩은 시료의 반응 및 이동을 돕는 별도의 장치 및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c) 본 발명의 마이크로칩을 이용하면, 소량의 시료를 이용하여 10분 이내로 신속하게 병원체의 존재 및 감염 여부를 측정할 수 있어 빠른 진단을 요하는 질병에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칩(1)에 대한 개략도이다. 주입구(11), 반응채널(12) 및 광 산란 측정부(13)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모세관력 증대 채널(14) 및 배출구(15)가 연결된다.
도 2a-d는 마이크로칩의 다른 구체예로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a-c의 평면도를 기초로 제조한 마이크로칩의 투시도이다.
도 4는 마이크로칩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5a-d는 마이크로칩의 세부 제작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6은 광 산란 측정 장치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7은 실리콘 웨이퍼 층과 결합되는 상하부 층의 재료를 변화시켜 제조한 마이크로칩의 투시도(a) 및 재료 변화에 따른 광 민감도 측정 결과(b)이다.
도 8은 시료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9는 산소 플라즈마 처리에 따른 실리콘 웨이퍼 층 표면의 차이를 AFM 및 SEM으로 촬영한 결과이다.
도 10은 한 장의 실리콘 웨이퍼에서 제조되는 마이크로칩의 갯수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1: 면역응집반응용 마이크로칩 11: 주입구
12: 반응채널 13: 광 산란 측정부
14: 모세관력 증대 채널 15: 배출구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재료 및 방법
진단칩 제작
개발한 칩은 정확하고 미세한 세공이 가능한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실리콘 채널 부분을 가공하고, 투과성이 좋은 유리를 이용하여 칩의 위와 아래를 덮었다. 채널 부분의 높이는 600 μm이고 상부 유리 두께는 1.5 mm, 하부 유리 두께는 0.5 mm를 사용했다. 시료와 샘플의 함께 들어가는 주입구는 지름 0.5 mm이고, 측정 부위의 지름은 검출 장치를 고려하여 0.3 mm으로 만들었다. 주입구 보다 큰 배출구를 만들어 샘플이 역류 하지 않도록 디자인하여 제작했다(도 5a-d).
칩 제작에 대한 상세 과정은 아래와 같다
a) Furnace 장비를 이용한 Wet Oxidation 5000Å 절연막을 실리콘 웨이퍼(600 μm)(LG 실트론)에 생성시켜 산화막을 전체적으로 입힌 다음, 가공하고자 하는 면의 산화막을 제거한다.
b) 산화막을 제거한 부분에 다시 PR(photoresist)을 코팅하고 디자인한 채널의 모양대로 패턴이 그려져 있는 마스크를 올려 화학 처리를 통해 회로 높이의 반(300 μm)을 식각한다.
c) 식각된 채널부분 외에 남은 부분에 PR 코팅을 제거한 후, 아래 커버인 0.5 mm의 유리(Schott, 독일)에 산소 플라즈마(Oxigen plasma)를 처리하여 접합시킨다.
d) 아래 커버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반대편 칩 부분의 산화막을 제거한 후, 산화막을 제거한 부분에 다시 PR 코팅하고 b와 같이 채널 모양대로 패턴이 그려져 있는 마스크를 올린 다음, 화학 처리를 통해 300 μm를 식각하고, 식각된 채널부분 외에 남은 부분에 PR 코팅을 제거한다.
e) 식각이 완료된 웨이퍼에 주입구와 배출구 부분이 뚫려 있는 위 커버인 1.5 mm의 유리를 산소 플라즈마 처리한 다음, 접합시킨다. 이때, 한 장의 웨이퍼 에서 29개의 칩이 제작되는데, 접합을 완료한 후 이들을 각각 자른다.
바이오 프로브 제조
바이오 프로브는 항체와 나노 입자(latex bead) 간의 결합복합체를 뜻하며 복합체 제조를 위해 공유결합 원리를 이용하여 다음의 단계를 통해 제조하였다.
a) 항체 준비: 선별된 항체 38 μg과 PBS 1 mL을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b) 나노 입자 준비: 0.05% 제조 기준으로 입자 원액(120 nm 카르복실 폴리스티렌 비드, bangs laboratories) 5 μL 및 PBS 0.995 mL을 혼합한 후, 12,000rpm 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MES 버퍼를 이용하여 2회 세척하였다. 다시 MES 버퍼로 현탁하고 EDC 10 mg을 넣고 1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동일한 조건으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버리고 PBS로 2회 세척하고 다시 PBS로 현탁하였다.
c) 복합체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용액을 2)의 결과물에 섞고 상온에서 로테이터를 이용하여 3시간 반응시켰다.
d) 블로킹 및 세척: 제조된 복합체 이외에 반응하지 못한 항체를 제거하고 화학물들을 불활성화 시키기 위하여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버리고 하이드록실라민을 1 mL 첨가하여 30분간 반응시킨 후 12,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제거한 다음 다시 995 μL의 PBS를 첨가하였다. 완성된 바이오 프로브는 4℃에서 보관하였다.
바이오 프로브 안정성 유지를 위한 건조
바이오 프로브 용액은 시간이 지날수록 활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 단점을 극복하고,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유리 섬유 패드(glass fiber pad)에 40% 수크로오스, 50% 트레할로스, 0.01% 트윈, 0.01% 트리톤을 각각 2.5 μl씩 넣고, 바이오 프로브 용액을 10 μl 넣어 지름 5 mm 유리 섬유 패드에 55℃에서 30분간 건조하였다.
시료를 적용하여 응집반응 측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칩의 개략도는 도 1과 같으며, 주입구(1), 반응채널(2), 광 산란 측정부(3), 모세관력 증대 채널(4) 및 배출구(5)를 포함한다.
항원-항체 응집반응에 따른 빛의 산란 정도는 다음의 단계를 통해 측정하였다.
a) 항체를 커플링 시키지 않은 바이오 프로브가 결합된 건조 유리 섬유 패드를 칩 주입구에 끼워 넣는다.
b) 검출하고자 하는 시료 50 μl를 주입구(1)에 로딩하고 반응채널(2)을 지나 광 산란 측정부(3)까지 시료가 다 채워지면(약 3-5초 소요), 광 산란(light scattering) 장치에 넣고 광 산란 측정부(3)의 빛의 산란 정도를 380 nm 파장대에서 총 4회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한다. 시료를 50 μl 용량으로 주입구에 흘리면 반응채널을 지나 광산란 측정 부분을 지나 배출구 부분 바로 전(모세관력 증대 채널)까지만 채워진다. 외부에서 펌프나 실린지 등으로 밀거나 당기지 않으면 용액은 계속 광산란 측정 부분에 채워져 있다. 광 산란 측정부를 거친 시료는 모세관력 증대 채널(4)을 지나 배출구(5)로 배출된다.
c) 항체가 커플링된 바이오 프로브를 결합시킨 건조 유리 섬유 패드를 칩 주입구에 끼워 넣는다.
d) 상기 단계 c)에서 사용한 동일한 시료 50 μl를 주입구에 로딩하고 반응 채널을 지나 광 산란 측정부까지 시료가 다 채워지면, 광 산란 장치[Ocean Optics 사에서 광원(380nm UV 광원), 분광기(USB 4000모델), 프로그램(USB 4000분광기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넣고 광 산란 측정부의 빛의 산란 정도를 380 nm 파장대에서 총 4회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한다. 광 산란 장치의 모식도는 도 6과 같다.
e) 상기 단계 d)에서 측정한 값에서 상기 단계 b)의 측정값을 빼서 최종 측정값을 산출한다. 최종 측정값이 100 이상이면 양성, 100 미만이면 음성으로 판정한다.
칩 재료에 따른 민감도 비교
광 투과율에 따른 측정 민감도 비교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 커버의 재료를 달리하여 칩을 제조하였다(도 7a). 규소 웨이퍼 상부 커버는 PDMS로, 하부 커버는 플라스틱으로 하여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칩을 제조하고, 신종 인플루엔자 H1N1에 대해 검출 민감도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칩 재료에 따른 민감도 비교
규소 웨이퍼 상부 커버를 PDMS로, 하부 커버를 플라스틱으로 제작한 칩 및 본원발명의 칩을 이용하여 신종 인플루엔자 H1N1에 대해 검출 민감도를 측정한 결과, 본원발명의 칩은 검출 한계가 0.01 TCID50/ml 인데 반해 PDMS 칩은 10 TCID50/ml로 본원발명의 칩이 1,000배 가량 민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7b).
측정 소요 시간
시료 주입 후 자연흐름을 통해 시료가 광 산란 측정부 부분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약 5초로, 시료를 로딩하고 측정, 진단하는데 까지 총 3분 정도가 소요되어 빠른 시간 내에 질병의 진단이 가능하다(도 8a-b).
stock’s 입자의 침강속도 공식에 따르면 Vs = {g(ρs -ρι)/18μ}D2(g = 중력가속도(m/sec2), ρs = 입자의 밀도(g/cm3), ρι = 액체의 밀도(g/cm3), D = 입자경(m), μ = 액체의 점도(g/cm sec), Vs = 입자의 침강속도(m/sec))이다. 액의 밀도를 희석용액인 PBS 기준으로 1(g/cm3)로 놓고, 입자의 밀도를 제조사에서 제공한 값을 기준으로 1.05(g/cm3)로 계산하면 채널 높이인 600 μm를 침강하는데 걸리는 시간은(sec) = 약 1.5 X 108초가 걸린다. 위에 공식은 단일 입자의 경우이긴 하지만, 이 진단칩의 반응물은 계속 흐르고 있으므로, 항원-항체의 응집반응에 의한 침강은 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칩 및 바이오 프로브가 결합된 건조 유리 섬유 패드를 이용하여 항원-항체 반응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침전 문제는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모세관 력 확인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칩에서 시료가 이동하는 칩 내부는 산소 플라즈마(oxygen plasma)(미코 MST)로 개질되어 있다. 산소 플라즈마 처리 전, 후의 칩 표면을 AFM 및 SEM으로 촬영하였다(도 9a-b). 산소 플라즈마에 의해 개질된 표면은 용액을 자연적으로 흐르는 것을 도와준다.
칩 재현성 확인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칩은 도 10과 같이 한 장의 웨이퍼당 29개의 칩이 만들어진다. 칩의 재현성 확인을 위해 3장의 웨이퍼(W1, W2, W3)를 사용하여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각 웨이퍼에 표시한 1, 2번의 칩을 골라 총 6장의 칩 재현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채널 높이 재현성 확인
웨이퍼 No. W1 W2 W3 Mean STDEV CV(%)
칩 No. 1-1 1-2 2-1 2-2 3-1 3-2
채널높이
(㎛)
609 617.5 610 614.3 609 618.6 613.1 3.96 0.65
매 회 제작되는 칩에 같은 물질을(PBS) 넣고 광세기를 측정하였다(표 2).
광 투과율 재현성 확인
웨이퍼 No. W1 W2 W3 Mean STDEV CV(%)
칩 No. 1-1 1-2 2-1 2-2 3-1 3-2
광세기
(Intensity)
2767 2543 2452 2134 2899 2726 2587 249.8 9.7
칩의 유속 재현성 확인
웨이퍼 No. W1 W2 W3 Mean STDEV CV(%)
칩 No. 1-1 1-2 2-1 2-2 3-1 3-2
시간
(sec)
3.2 3.5 3.1 3 3 3.2 3.17 0.17 5.4
신종 인플루엔자 H1N1 검출 한계 측정
본 발명의 칩 및 바이오 프로브가 결합된 건조 유리 섬유 패드를 이용하여 신종 인플루엔자 H1N1 검출 한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신종 인플루엔자 H1N1에 대한 검출 한계는 0.0128 HA 타이터였다(표 4).
음성대조군 시험군 결과
바이러스 농도
(HA 타이터)
1차 2차 바이러스 농도
(HA 타이터)
1차 2차 1차 2차 평균 S/N 비율 STDEV CV%
128 1335.04 1363.13 128 2471.61 2385.47 1136.57 1022.34 1079.455 61.647 57.115 5.291096
12.8 516.79 593.56 12.8 801.4 733.99 284.61 140.43 212.52 12.137 72.09 33.92151
1.28 530.12 525.43 1.28 546.75 694.67 16.63 169.24 92.935 5.3075 76.305 82.10577
0.128 277.12 323.93 0.128 370.74 370.74 93.62 46.81 70.215 4.0099 23.405 33.33333
0.0128 344.53 327.59 0.0128 415.68 361.38 71.15 33.79 52.47 2.9965 18.68 35.6013
0.00128 151.67 228.44 0.00128 161.03 259.61 9.36 31.17 20.265 1.1573 10.905 53.81199
0.000128 176.01 132.94 0.000128 188.44 151.67 12.43 18.73 15.58 0.8897 3.15 20.21823
PBS 138.56 155.97 PBS 155.41 174.14 16.85 18.17 17.51 1 0.66 3.769275
검출 한계 : 0.0128 HA 타이터(S/N 비율 2 이상)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a) 시료 및 상기 시료 내 분석대상과 결합친화도를 갖는 항체가 포함된 프로브가 투입되는 주입구;
    (b) 상기 주입구에 투입된 상기 시료 및 프로브가 이동하면서 상기 시료 내 분석대상과 상기 항체 사이의 면역응집반응이 발생하는 반응채널; 및
    (c) 상기 (b)의 면역응집반응으로부터 발생된 반응결과물에 대한 광 산란(light scattering) 정도가 측정되는 광 산란 측정부를 포함하는 면역응집반응용 마이크로칩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칩은 실리콘 웨이퍼(silicon wafer) 층 및 상기 실리콘 웨이퍼 층 상부 및 하부에 유리(glass) 층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응집반응용 마이크로칩.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웨이퍼 층은 식각된(etched) 부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웨이퍼 층 상부에 결합된 유리 층은 식각된(etched) 부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웨이퍼 층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유리 층은 상기 실리콘 웨이퍼 층에 결합되어 있는 면이 산소 플라즈마로 표면이 개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채널은 굴절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칩.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칩은 상기 광 산란 측정부에 모세관력 증대 채널 및 배출구가 추가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칩.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력 증대 채널은 굴절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칩.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는 2-10 mm의 지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칩.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조직, 세포, 오줌, 타액, 전혈, 혈청, 혈장, 조직 부검 시료, 세포 배양 상등액 또는 파열된 진핵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칩.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a) 나노물질; (b) 상기 나노물질의 표면과 공유결합으로 연결된(covalently linked to) 병원체의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및 (c) 상기 항체가 결합된 상기 나노물질로 표면이 개질된 고체 기질로서의 유리 섬유(glass fibe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칩.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체는 박테리아 병원체, 진균 병원체, 바이러스 병원체, 자가 유래 병원체 또는 알러젠(allerge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칩.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체는 바이러스 병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칩.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칩은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d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칩.
  15.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의 마이크로칩을 포함하는 병원체 진단 키트.
KR1020120140304A 2012-12-05 2012-12-05 면역응집반응용 마이크로칩 KR101423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304A KR101423306B1 (ko) 2012-12-05 2012-12-05 면역응집반응용 마이크로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304A KR101423306B1 (ko) 2012-12-05 2012-12-05 면역응집반응용 마이크로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985A KR20140072985A (ko) 2014-06-16
KR101423306B1 true KR101423306B1 (ko) 2014-07-29

Family

ID=51126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304A KR101423306B1 (ko) 2012-12-05 2012-12-05 면역응집반응용 마이크로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3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7563A1 (ko) * 2018-07-31 2020-02-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체액 분석용 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69701A1 (en) * 2007-05-04 2012-10-25 Opko Diagnostics, Llc Fluidic connectors and microfluidic 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69701A1 (en) * 2007-05-04 2012-10-25 Opko Diagnostics, Llc Fluidic connectors and microfluidic system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einze, B. C. et al. Sensors and Actuators B Chemical. 2009; 138(2): 491-496 *
Preechakasedkit, P. et al.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2012; 31(1): 562-56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985A (ko) 201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6086B2 (en) Graphene oxide-based nanolab and methods of detecting of exosomes
US10209249B2 (en) Labelled silica nanoparticles for immunochromatographic reagent, 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 using the same, and immunochromomatographic fluorescence-detecting system or radiation-detecting system
Harwanegg et al. Protein microarrays for the diagnosis of allergic diseases: state-of-the-art and future development
US8043821B2 (en) Antibody pair screening methods
Cretich et al. Allergen microarrays on high-sensitivity silicon slides
Won et al. Signal enhancement of a micro-arrayed polydiacetylene (PDA) biosensor using gold nanoparticles
JP2016191658A (ja) 生体分子の検出又は定量方法、及び生体分子の検出又は定量用標識試薬粒子
JP5824596B2 (ja) EpCAMに結合するペプチド・アプタマーとホスホリルコリンポリマー共重合体を含む複合体
JP5050058B2 (ja) 血液型の判定
Cretich et al. Detection of allergen specific immunoglobulins by microarrays coupled to microfluidics
JPH04350559A (ja) 特異抗体の測定法
KR101423306B1 (ko) 면역응집반응용 마이크로칩
EP2732288B1 (en) Biological microchip for the estimation of immunoglobulin e and g levels in human blood, method of assay thereof, and reagent kit comprising same
WO2018194152A1 (ja) アルドステロン及びレニンの検出方法
Yamazoe Antibody immobilization technique using protein film for high stability and orientation control of the immobilized antibody
Roh et al. Phosphorylcholine-based encoded hydrogel microparticles with enhanced fouling resistance for multiplex immunoassays
KR20140080779A (ko)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 검출용 바이오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 진단 방법
JP6966197B2 (ja) 赤血球検出
Ngu et al. Development of a gold nanoparticle-labeled sandwich format lateral flow immunoassay kit for the detection of tropical house dust mite Suidasia pontifica
JPH0325366A (ja) 特異抗体の測定法
JP3312204B2 (ja) 血小板減少症の診断用キット
US20230062669A1 (en) Method for capturing and identifying cellular agglutinates for detecting multiplex anti-erythrocyte antibodies
JP2001133460A (ja) B型肝炎ウイルス表面抗原の高感度免疫測定試薬
TWI809588B (zh) 免疫層析檢測裝置
JP7416485B2 (ja) スイッチング結合剤、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薬学組成物、検査キット及び抗原と抗体との分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