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681B1 -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681B1
KR101422681B1 KR1020130032781A KR20130032781A KR101422681B1 KR 101422681 B1 KR101422681 B1 KR 101422681B1 KR 1020130032781 A KR1020130032781 A KR 1020130032781A KR 20130032781 A KR20130032781 A KR 20130032781A KR 101422681 B1 KR101422681 B1 KR 101422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lever
pipe
fixing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훈
Original Assignee
유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훈 filed Critical 유승훈
Priority to KR1020130032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 A45B25/08Devices for fastening or lock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0Umbrella crown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쉽게 펼치고 접을 수 있는 우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관 하단에 레버를 포함한 슬라이더를 두어 어린이나 노약자가 우산을 작은 힘으로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우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산{umbrella}
본 발명은 손쉽게 펼치고 접을 수 있는 우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관 하단에 레버를 포함한 슬라이더를 두어 어린이나 노약자 등이 우산을 작은 힘으로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우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우산(미도시)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대(2)의 하부에는 손잡이(3)를 구비하고, 우산대(2)의 상단에는 우산살 결합홈(10a)이 형성된 지지부(10)를 형성하여 우산살(11) 일측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방사형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각 우산살(11)의 외부에는 우산천(미도시)이 씌워진 상태에서 고정되게 구성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우산대(2)는 승강관(30)이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우산(미도시)을 방사형으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승강관(30)의 상측에 받침살 결합부(32)를 형성하여 각각의 우산살(11)과 일측이 힌지 결합 되어 있는 받침살(12)의 타측이 각각 힌지 결합 될 수 있도록 하여 받침살(12)이 펼쳐지게 되면, 이에 대응하게 힌지 결합 된 각 우산살(11)들이 방사형으로 펼쳐지게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관(30)은 승강 작동관(40)에 의해 작동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승강 작동관(40)에 의해 승강관(30)이 상하로 승강 작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승강 작동관(40) 내로 관통되게 구비된 승강관(30)과 승강 작동관(40) 사이에 일정한 유격이 발생 되게 구성하되, 상기 승강 작동관(40) 내부 상측에 형성된 걸림턱(41)이 승강관(30) 상부에 형성된 고정턱(34)에 걸려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승강관(30)의 하부에 압지부재(35)를 형성하되, 상기 압지부재(35)는 우산대(2)와 일정 유격이 발생 되게 구성하고, 하단에 돌출편(36)을 형성하여 승강 작동관(40)에 형성된 누름턱(42)의 하강 작동에 의해 상기 돌출편(36)의 저면이 우산대(2)를 압지하면서 우산(미도시)의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 작동관(40)의 하단에 누름턱(42)을 형성하되, 상기 누름턱(42)은 테이퍼지게 형성하여 승강 작동관(40)의 하강 작동시 압지부재(35)의 돌출편(36)에 걸려져 승강관(30)을 용이하게 하강시키도록 하고, 우산(미도시)이 접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승강 작동관(40)을 아래로 하강시켜 누름턱(42)이 압지부재(35)의 돌출편(36)을 눌러주어 우산대(2)를 압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사용자가 우산(미도시)을 펼칠 경우, 승강 작동관(40)을 상승시켜 승강관(30)을 들어올리게 되면, 우산대(2)를 따라 상승시킴에 따라 우산살(11)과 받침살 결합부(32)에 각각 그 양단이 힌지 결합 된 받침살(12)이 우산살(11)을 밀어 올리게 되고, 사용자가 승강 작동관(40)을 계속 상승시켜서 승강관(30)이 평형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우산살(11)이 받침살(12)에 힘을 가하기 시작하고, 반대로 받침살(12) 또한 우산살(11)에 힘을 가하여 양자 상호 간 힘의 평형상태 형성하게 된다.
상기 힘의 평형위치를 승강관(30)이 통과한 후에는 우산살(11)이 받침살(12)에 가하는 힘만 존재하게 되면서 더 이상 사용자가 승강 작동관(40)을 밀어올리지 않아도 승강관(30)이 스토퍼(20)와 접촉하여 고정되는 위치까지 우산살(11)이 받침살(12)에 가하는 힘에 의해 상기 승강관(30)이 상승하게 되고, 상기 우산살(11)은 받침살(12)에 계속 힘을 가하게 되어 받침살(12)과 힌지 결합 된 받침살 결합부(32)에 의해 승강관(30)이 스토퍼(20)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우산(미도시)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승강관(30)의 상부 요입부(33)로 스토퍼의 하측에 형성된 결착부재(21)가 끼워지는데, 상기 결착부재(21)의 결착턱(22)이 승강관(30)의 상부 요입부(33) 내경에 맞닿아 끼워지게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승강관(30) 내부에 걸림구(31)가 형성된 경우 상기 결착부재(21)의 결착턱(22)이 걸림구(31)에 걸려지는 구성으로 결착되어 우산(미도시)의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우산(미도시)을 접을 경우에는 승강 작동관(40)을 하강시켜 승강관(30)이 아래로 이동하게 되면, 스토퍼(20)의 하측에 형성된 결착부재(21)에 끼워져 결착된 상태 또는 상기 결착 부재(21)의 결착턱(22)과 승강관(30)의 걸림구(31)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승강관(30)이 평형위치 이하로 끌어내림에 따라 우산살(11)이 받침살(12)에 가하는 힘에 의해 승강 작동관(40)이 하강하면서 우산(미도시)을 접히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 작동관(40)의 누름턱(42)이 승강관(30)의 하단에 형성된 돌출편(36)에 걸려져 승강관(30)이 용이하게 하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승강관(30)의 하강 작동이 종료되어 우산(미도시)이 접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승강 작동관(40)에 힘을 가하여 아래로 하강시켜 상기 승강 작동관(40)의 누름턱(42)이 승강관(30)의 돌출편(36)을 눌러주게 되어 우산대(2)를 강하게 압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산(미도시)의 접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우산(미도시)의 접힌 상태에서 펼치기 위해서는 승강 작동관(40)에 힘을 가하여 상승시켜 상기 승강 작동관(40)의 누름턱(42)에 의해 승강관(30)의 하단에 형성된 압지부재(35)의 돌출편(36)이 우산대(2)에 압지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후, 승강 작동관(40)을 상승시켜 승강관(30)을 들어올릴 수 있다.
특히, 상기 우산(미도시)이 버튼(4)의 작동에 의해 펼쳐지는 자동우산의 경우, 사용자가 상기 버튼(4)을 누르면, 상기 접힘 걸림부(5)가 우산대(2) 안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접힘 걸림부(5)는 승강관(30)을 손잡이 상단에 고정시켜 우산(미도시)의 접힘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접힘 걸림부(5)가 노출된 면적이 줄어들게 되면서, 상기 승강관(30)을 고정하던 힘이 감소하게 되어, 상기 승강관(30)이 우산대(2)의 상단을 향해 운동하게 된다.
상기 승강관(30)의 운동은 우산대(2) 상단에 형성된 스토퍼(20)와의 충돌로 인해 정지하게 되는데, 상기 충돌로 인해 반발력이 발생하고, 사용자에게 충격이 그대로 전달된다.
상기 우산천(미도시)에 물기가 있는 경우, 상기 반발력에 의해 주변으로 물기가 튀겨 나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산(미도시)를 접는 과정에서도 사용자가 상기 승강 작동관(40)에 힘을 가하여 손잡이(3) 방향으로 잡아당겨야 한다.
이때, 상기 우산(미도시)은 상호 부품들 간의 결속으로 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데, 상기 우산(미도시)이 펴진 상태를 유지한 시간이 길수록 상기 결속력을 해제하는데 큰 힘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는 많은 힘을 낭비하게 되고, 특히, 상대적으로 연약한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 상기 우산(미도시)을 사용하는데 더 큰 불편함이 있다.
더불어, 상기 접힘 걸림부(5)는 일반적으로 버튼(4) 상단에 위치하는데, 상기 버튼(4)의 크기가 작아 사용자가 상기 버튼(4)의 작동시키고자할 때, 상기 접힘 걸림부(5)를 잘못 작동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가 작은 버튼(4)을 찾아야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하며, 상기 접힘 걸림부(5)는 날카로운 형상을 하고 있어,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 손을 다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공개실용신안 제 20-2011-000224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작은 힘으로도 쉽게 조작할 수 있는 레버를 형성하되, 상기 레버를 포함하는 슬라이더를 구성하여 상기 우산을 펼치고 접는 것이 간편하고 안전한 우산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우산은, 접힘 고정 홈과 펼침 고정 홈을 포함하는 우산대; 상기 우산대가 관통하는 고정용 집게와, 상기 고정용 집게의 양측 외부를 각각 감싸고 있는 좌우 레버와, 상기 좌우 레버를 연결하는 레버 스프링과, 상기 고정용 집게, 상기 레버, 상기 레버 스프링을 외부에서 감싸는 커버로 구성된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용 집게는 접힘 고정 홈에 결합 되어 접힘 상태를 유지하거나, 펼침 고정 홈에 결합 되어 펼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이다.
또한, 상기 고정용 집게는, 집게 머리와 집게 다리로 구성되되, 상기 집게 머리는 상기 우산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으며, 좌우에 형성된 상기 집게 다리 또한 우산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형성하여, 상기 집게 다리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는, 상기 집게 다리의 등선 부분이 상기 레버의 홈에 체결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우산대에 접힘 고정 홈과 펼침 고정 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우산의 접힘 상태 혹은 펼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승강관 하단에 우산대가 관통하는 고정용 집게와, 상기 고정용 집게의 양측 외부를 각각 감싸고 있는 좌우 레버와, 상기 좌우 레버를 연결하는 레버 스프링과, 상기 고정용 집게, 상기 레버, 상기 레버 스프링을 외부에서 감싸는 커버로 구성된 슬라이더를 형성하여, 어린이나 노약자 등이 상기 승강관을 조작하는데 편의성을 제공하며, 상기 우산이 작동할 때, 우산천에 물기가 있더라도, 물기가 튀는 것을 방지하여, 주위 환경을 청결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용 집게는 집게 머리와 집게 다리로 구성되는데, 상기 집게 머리와 상기 집게 다리는 상기 우산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으며, 좌우에 형성된 상기 집게 다리는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므로, 어린이나 노약자 등이 작은 힘을 가하더라도 쉽게 조작하여 상기 우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에 홈을 형성하여, 상기 집게 다리의 등선 부분이 상기 레버의 홈에 체결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레버에 가한 힘이 상기 고정용 집게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레버가 상기 고정용 집게의 손잡이 역할을 하게 함으로써, 어린이나 노약자 등이 작은 힘을 가하더라도, 상기 우산을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적용되는 우산의 일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적용되는 우산의 펼친 상태의 일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적용되는 우산의 접힌 상태의 일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의 분리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슬라이더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a 및 도 7b는 접힘 고정 홈과 펼침 고정 홈이 적용된 우산의 일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따르면, 상기 승강관(100)은 다수의 받침살(12)과 힌지 결합 되는 받침살 결합부(110)와 상기 승강관(100)을 작동시키는 슬라이더(1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살 결합부(110)는 다수의 받침살 결합홈(115)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받침살 결합홈(115)에 상기 받침살(12)이 일대일로 대응되어 힌지 결합한다.
도 5에 따르면, 상기 받침살 결합부(110)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슬라이더(120)는, 상기 우산대(2)가 통과하는 고정용 집게(130)와, 상기 고정용 집게(130)의 양측 외부를 감싸고 있는 좌우 레버(150)와, 상기 좌우 레버(150)를 연결하는 레버 스프링(160)과, 상기 고정용 집게(130), 상기 레버(150), 상기 레버 스프링(160)을 외부에서 감싸는 커버(17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용 집게(130)는 빨래집게 혹은 가위 손잡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집게 머리(131), 집게 다리(135), 연결부(140), 집게 스프링(145) 및 스프링 거치대(146)를 포함한다.
상기 집게 머리(131)는 상기 우산대(2)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우산대(2)에 상기 집게 머리(131)가 접촉하고 있을 때, 상기 고정용 집게(130)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집게 머리(131)는 빨래판과 같은 형상의 주름(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게 다리(135) 또한, 상기 우산대(2)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는데, 상기 집게 다리(135) 두 개는 상기 집게 다리(135)에 부착되어 상기 우산대(2)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형성한 연결부(14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140)는 상기 집게 다리(135) 끝단에 연결되는 연결부재(141)와, 상기 연결부재(141)의 홀(142)을 통과하는 연결핀(143) 및 상기 연결핀(143)이 상기 홀(142)에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핀지지대(144)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41) 각각의 아래에는 'ㄴ'자 형상의 스프링 거치대(146)가 형성되는데, 좌우의 상기 스프링 거치대(146) 사이에는 집게 스프링(145)을 끼울 수 있다.
상기 고정용 집게(130)의 양측 외부에는 레버(150)가 형성되는데, 상기 레버(150)는 상기 집게 다리(135)의 외측부를 감싸도록 좌우에 각각 구성한다.
상기 레버(150)는 상기 집게 다리(135) 바깥쪽 등선(137)이 상기 레버(150)에 형성된 홈(155)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레버(150)가 받는 힘을 상기 고정용 집게(130)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레버(150)는 상기 고정용 집게(130)의 손잡이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용 집게(130)를 기준으로 상기 레버(150) 내측의 상단 앞 부분(157a), 상단 뒷부분(157b), 하단 앞 부분(157c), 하단 뒷부분(157d)에 레버 스프링(160)이 각각 형성되어, 좌우 레버(150)를 연결한다.
도 6a 및 도 6b에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120)의 작용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6a는 상기 레버(150)에 아무런 힘도 작용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b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사용자가 상기 레버(150)에 힘을 가하면, 상기 레버 스프링(160)은 압축되고, 상기 집게 다리(135)가 연결핀(14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양측 집게 다리(135) 사이의 간격이 줄어든다.
또한, 상기 집게 머리(131)는 우산대(2)로부터 떨어져,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핀(143)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부재(141)가 회전하게 되고, 좌우 상기 스프링 거치대(146)의 폭이 좁아져, 상기 집게 스프링(145)은 압축된다.
상기 슬라이더(120)가 도 6b의 상태가 되었을 때, 사용자는 상기 승강관(100)을 원하는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레버(150)에 가한 압력을 제거하면, 상기 레버 스프링(160)의 탄성력은 상기 레버(150)를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게 하고, 상기 집게 스프링(145)의 탄성력은 고정용 집게(130)를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게 한다.
즉, 양측 집게 머리(131)의 사이가 좁아져, 상기 우산대(2)와 다시 접촉하게 됨으로써, 도 6a의 상태가 된다.
상기 고정용 집게(130)와 상기 레버(150) 및 상기 레버 스프링(16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커버(170)가 형성되되, 상기 커버(170)는 받침살 결합부(110) 하면에 부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170)는 원통형이고, 상기 고정용 집게(130)와 상기 레버 스프링(160)을 감싸도록 형성하여 외부에서는 상기 고정용 집게(130)와 상기 스프링(160)이 보이지 않도록 하되, 상기 레버(160)의 외곽 테두리와 간격을 두고 상기 레버(150)가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슬로트(175)을 포함한다.
상기 레버(150)을 슬로트에 장착할 때, 상기 레버(150)와 슬로트(175)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레버(150)를 조작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였다.
도 7a 및 도 7b에 상기 우산이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일 때의 상기 승강관(100)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7a에 의하면, 상기 우산이 접힘 상태일 경우, 상기 승강관(100)이 상기 우산의 손잡이(3) 상단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집게 머리(131)가 접힘 고정 홈(180)에 체결되어, 상기 우산의 접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의하면, 상기 우산이 펼침 상태일 경우, 상기 승강관(100)이 상기 우산대(2)의 끝단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집게 머리(131)가 펼침 고정 홈(190)에 체결되어 있어, 상기 우산의 펼침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우산은 종래 기술의 접힘 걸림부(5) 및 버튼(3)과 스토퍼(20)가 별도로 장착될 필요가 없다.
상기 우산이 접힘 상태일 경우, 상기 접힘 고정 홈(180)이 종래 우산에서의 접힘 걸림부(5)의 역할을 대신함으로써, 상기 우산은 접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날카로운 접힘 걸림부(5)를 형성하지 않아, 사용자가 안전하게 상기 우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120)는 버튼의 역할(5)을 대신하는데, 상기 레버(150)를 작은 힘으로도 손쉽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나 노약자 등도 간편하게 상기 우산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우산이 펼침 상태일 경우, 상기 펼침 고정 홈(190)이 종래 우산에서의 스토퍼(20) 역할을 대신함으로써, 상기 우산은 펼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승강관(100)은 상기 우산대(2)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고, 사용자가 상기 레버(150)에 가하는 힘은 상기 우산대(2)의 중심을 향하여, 사용자가 상기 레버(150)에 과한 힘을 가하더라도, 상기 승강관(100)이 상기 우산대(2)를 따라 움직이는 것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우산에는 종래의 우산이 펼쳐질 때 발생하는 반발력이 없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우산천에 물기가 있는 경우, 종래의 자동 우산과는 달리 스프링이 없어, 상기 우산을 펼칠 때 반발력이 없으므로, 물기가 주변이나 사용자에게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2 : 우산대 3 : 손잡이
4 : 버튼 5 : 접힘 걸림부
12 : 받침살 100 : 승강관
110 : 받침살 결합부 115 : 받침살 결합홈
120 : 슬라이더 130 : 고정용 집게
131 : 집게 머리 133 : 주름
135 : 집게 다리 137 : 등선
140 : 연결부 141 : 연결부재
142 : 홀 143 : 연결핀
144 : 핀지지대 145 : 집게 스프링
146 : 스프링 거치대 150 : 레버
155 : 홈 157a : 상단 앞 부분
157b : 상단 뒷부분 157c : 하단 앞 부분
157d : 하단 뒷부분 160 : 레버 스프링
170 : 커버 175 : 슬로트
180 : 접힘 고정 홈 190 : 펼침 고정 홈

Claims (3)

  1. 접힘 고정 홈과 펼침 고정 홈을 포함하는 우산대;
    상기 우산대가 관통하는 고정용 집게와, 상기 고정용 집게의 양측 외부를 각각 감싸고 있는 좌우 레버와, 상기 좌우 레버를 연결하는 레버 스프링과, 상기 고정용 집게, 상기 레버, 상기 레버 스프링을 외부에서 감싸는 커버로 구성된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용 집게는 상기 접힘 고정 홈에 결합 되어 접힘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펼침 고정 홈에 결합 되어 펼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집게는, 집게 머리와 집게 다리로 구성되되, 상기 집게 머리는 상기 우산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으며, 좌우에 형성된 상기 집게 다리 또한 우산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형성하여, 상기 집게 다리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우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집게 다리의 등선 부분이 상기 레버의 홈에 체결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우산.
KR1020130032781A 2013-03-27 2013-03-27 우산 KR101422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781A KR101422681B1 (ko) 2013-03-27 2013-03-27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781A KR101422681B1 (ko) 2013-03-27 2013-03-27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681B1 true KR101422681B1 (ko) 2014-08-01

Family

ID=51748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781A KR101422681B1 (ko) 2013-03-27 2013-03-27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6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2621A (ja) * 1995-06-02 1996-12-10 Zoei Go ハジキを用いない洋傘
JP2004049865A (ja) 2002-07-22 2004-02-19 Futai Umbrella Factory Co Ltd 安全ロクロおよび強度強化中棒を有する傘
KR200415943Y1 (ko) 2006-02-03 2006-05-10 이병걸 회전형 걸림수단이 구비된 우산 살대의 지지 구조
JP2007222591A (ja) 2006-01-30 2007-09-06 Shibuya Ryutsu Kk 折畳式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2621A (ja) * 1995-06-02 1996-12-10 Zoei Go ハジキを用いない洋傘
JP2004049865A (ja) 2002-07-22 2004-02-19 Futai Umbrella Factory Co Ltd 安全ロクロおよび強度強化中棒を有する傘
JP2007222591A (ja) 2006-01-30 2007-09-06 Shibuya Ryutsu Kk 折畳式傘
KR200415943Y1 (ko) 2006-02-03 2006-05-10 이병걸 회전형 걸림수단이 구비된 우산 살대의 지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37948A1 (en) Frame folding apparatus of a baby stroller
KR101267451B1 (ko) 여행용 가방
JP5730898B2 (ja) 傘骨アセンブリー及び折り畳み式傘
KR101573440B1 (ko) 자동으로 펼쳐지는 지지체
KR101422681B1 (ko) 우산
ES2151256T3 (es) Asiento abatible con liberacion por palanca lateral desplazable.
KR101715473B1 (ko) 접이식 선반받침대
CN2374120Y (zh) 碗碟抓提器
KR20150115984A (ko) 도어 스토퍼
KR20160122344A (ko) 다목적 기능성 행거
KR101255844B1 (ko) 우산
TWI471191B (zh) 用於支撐工具機之支撐架
CN200984073Y (zh) 一种防风晒衣架
KR101635953B1 (ko) 빨래 건조대의 건조봉에서 위치 고정이 가능한 세탁물 고정집게
CN104042417B (zh) 一种折叠轮椅座椅机架
KR100650553B1 (ko) 집게를 갖는 다리미판
KR101604091B1 (ko) 빨래걸이 및 이를 포함하는 빨래걸이 건조장치
KR101643950B1 (ko) 휴대용 효자손
CN203885741U (zh) 一种折叠轮椅座椅机架
KR200396949Y1 (ko) 다리미판
JP3114477U (ja) 物干し具
KR101758019B1 (ko) 다림판
JP2954581B1 (ja) 布類の挟持装置
JP4141912B2 (ja) アイロン台
CN220655339U (zh) 双臂展开幅度可调式衣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