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949Y1 - 다리미판 - Google Patents

다리미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949Y1
KR200396949Y1 KR20-2005-0019141U KR20050019141U KR200396949Y1 KR 200396949 Y1 KR200396949 Y1 KR 200396949Y1 KR 20050019141 U KR20050019141 U KR 20050019141U KR 200396949 Y1 KR200396949 Y1 KR 2003969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iron
ironing board
iron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1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영
Original Assignee
이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영 filed Critical 이관영
Priority to KR20-2005-00191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9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9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9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1/00Ironing boards 
    • D06F81/02Ironing boards  with collapsible under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r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리미판을 용이하게 휴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다림질 시 다리미판에 다리미를 편리하게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리미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받침판(11)과 패드(12) 및 커버(13)로 이루어지는 받침부재(10), 받침부재(10)의 하부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리부재(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1)의 일측 하부에 연결구(31)로 연결되는 지지판(30); 상기 지지판(30)의 상면 양측과 중앙에 리벳(R)으로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제1브래킷(40) 및 제2브래킷(50); 상기 한쌍의 제1브래킷(40)에 출몰가능하게 끼워져 다리미를 받쳐주는 거치대(60); 상기 거치대(60)에 연결되어 손가락이 끼워지는 파지공(71)을 구비하는 손잡이(70); 상기 제2브래킷(50)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핀공(81)을 구비하는 스토퍼(80); 상기 손잡이(70)의 하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스프링(S)으로 탄설되어 핀공(81)에 끼워지는 단속핀(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다리미판{iron board}
본 고안은 다리미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다리미판을 용이하게 휴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다림질 시 다리미판에 다리미를 편리하게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리미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구겨진 옷을 다림질할 때에는 방바닥에 얇은 담요 등을 펼쳐놓은 상태에서 그 위에 옷감을 올려놓고 잘 펼친 상태에서 다리미로 주름을 잡거나 잔주름을 폈으나, 이와 같이 가정에서 방바닥에 직접 담요 등을 깔고 다림질을 할 경우에는 높이가 낮고 허리를 구부려야 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가정에서 주부들이 다림질을 좀 더 편리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로 제작된 다리미판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다리미판은 옷감을 올려놓고 다리기 위해 적당한 크기로 형성된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하부에 절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다림질 시 적정높이를 유지하는 다리부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다리미판은 얇은 판재 형태로 이루어져 옷감을 다릴 때 매우 유용하고 보관이 간편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다리미판의 파지가 불편하고 또한 다리가 임의로 펼쳐지기 때문에 휴대 및 운반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다리미판에 다리미를 올려놓을 수 없어 다림질 시 사용자가 다리미를 방바닥에 그대로 세워 놓았기 때문에, 특히 부주의로 인하여 다리미에 의해 화상을 입거나 또는 다리미가 넘어져 방바닥이 눌러 붙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다리미판을 용이하게 휴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한 다리미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리미를 올려놓는 거치대를 설치하여 다림질 시 다리미를 편리하게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다리미에 의해 화상을 입거나 방바닥이 눌러 붙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다리미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받침부재의 일측 하부에 지지판을 부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판의 상면 양측과 중앙에 한쌍의 제1브래킷 및 제2브래킷을 리벳으로 각각 고정시키며, 상기 한쌍의 제1브래킷에 다리미를 받쳐주는 거치대를 출몰가능하게 끼워서 조립하고, 상기 거치대에 파지공이 구비된 손잡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2브래킷에 핀공이 구비된 스토퍼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서 조립하고,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스프링의 탄력을 받으면서 핀공이 끼워지는 단속핀을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장착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다리미판은 도 1 내지 도 7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받침판(11)과 패드(12) 및 커버(13)로 이루어지는 받침부재(10), 받침부재(10)의 하부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리부재(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1)의 일측 하부에 연결구(31)로 연결되는 지지판(30); 상기 지지판(30)의 상면 양측과 중앙에 리벳(R)으로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제1브래킷(40) 및 제2브래킷(50); 상기 한쌍의 제1브래킷(40)에 출몰가능하게 끼워져 다리미를 받쳐주는 거치대(60); 상기 거치대(60)에 연결되어 손가락이 끼워지는 파지공(71)을 구비하는 손잡이(70); 상기 제2브래킷(5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핀공(81)을 구비하는 스토퍼(80); 상기 손잡이(70)의 하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스프링(S)으로 탄설되어 핀공(81)에 끼워지는 단속핀(9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재(10)는 다리미판을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받침부재(10)는 도 1에서와 같이 공기나 스팀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망체로 이루어지는 받침판(11)과, 부직포나 스펀지로 이루어져 받침판(10)의 상부에 적층되는 패드(12)와, 직물지로 이루어져 패드(12)를 감싸는 커버(13)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판(10)의 하부 양측에는 도 5c에서와 같이 받침대(14)가 길이방향으로 부착되고, 상기 받침대(14)의 타측 하부에는 2개의 경사홈(14a)(14b)이 형성된다.
상기 다리부재(20)는 받침부재(10)의 하부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다림질 시 적정높이를 유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다리부재(20)는 2개의 다리가 'X'형으로 절첩되도록 서로 연결되고, 일측 다리의 상부에는 도 5c에서와 같이 받침대(14)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 축핀(21)이 부착되고, 타측 다리의 상부에는 경사홈(14a)(14b)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고정핀(22)이 부착된다. 이때, 도 5a에서와 같이 다리부재(20)를 접었을 때 고정핀(22)은 경사홈(14b)에 끼워지고, 도 5c에서와 같이 다리부재(20)를 펼쳤을 때 고정핀(22)은 경사홈(14a)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지지판(30)은 거치대(60)와 스토퍼(80)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판(30)의 상부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연결구(31)가 부착되고, 상기 연결구(31)는 받침판(11)의 일측 하부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30)은 장방형의 판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구(31)는 철봉으로 이루어져 도 3에서와 같은 형상으로 절곡형성된다.
상기 한쌍의 제1브래킷(40)은 도 3에서와 같이 거치대(60)를 출몰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한쌍의 제1브래킷(40)은 지지판(30)의 상면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리벳(R)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브래킷(40)은 양측이 리벳(R)으로 지지판(30)에 각각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2브래킷(50)은 도 3에서와 같이 스토퍼(80)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2브래킷(50)은 지지판(30)의 상면 중앙에 리벳(R)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브래킷(50)은 양측이 리벳(R)으로 지지판(30)에 각각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거치대(60)는 다림질 시 다리미를 받쳐주는 것으로, 이러한 거치대(60)는 도 3에서와 같이 한쌍의 제1브래킷(40)에 출몰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되고, 거치대(60)의 끝단에는 출몰 시 제1브래킷(40)에서 완전히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61)가 외측으로 절곡형성된다. 이때, 상기 거치대(60)는 철봉으로 절곡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대(60)는 도 5a에서와 같이 인입 시 접혀진 다리부재(20)의 하부로 끼워지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거치대(60)가 다리부재(20)의 하부로 끼워지도록 한 이유는 다리미판의 휴대 및 운반 시 다리부재(20)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손잡이(70)는 다리미판의 휴대 및 운반 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것으로, 이러한 손잡이(70)는 도 3에서와 같이 거치대(60)의 일측에 연결되고, 손잡이(70)의 중앙부에는 손가락이 끼워지는 파지공(71)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70)를 잡고 다리미판을 용이하게 휴대 및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80)는 거치대(60)의 출몰을 단속하는 것으로, 이러한 스토퍼(80)는 도 3에서와 같이 제2브래킷(5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되고, 스토퍼(80)의 일측에는 핀공(81)이 천공되며, 스토퍼(80)의 양측에는 이동 시 제2브래킷(50)에서 완전히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82)와 이탈방지편(83)이 형성된다.
상기 단속핀(90)은 스토퍼(80)의 이동을 단속하는 것으로, 이러한 단속핀(90)은 도 7a,7b,7c에서와 같이 손잡이(70)의 하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스프링(S)으로 탄설되고, 단속핀(90)은 스토퍼(80)의 핀공(81)으로 끼워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a,6a,7a에서와 같이 다리부재(20)를 완전히 접은 상태에서 거치대(60)를 받침부재(10)의 내측으로 완전히 밀어 인입시키고, 이 상태에서 스토퍼(80)를 외측으로 당겨 단속핀(90)을 핀공(81)에 끼워 로킹시키면 다리미판은 완전히 접힌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다리미판을 접으면 용이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휴대 및 보관을 위해 도 5a,6a,7a에서와 같이 다리미판을 완전히 접은 상태에서는 단속핀(90)이 핀공(81)에 끼워져 로킹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치대(60)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거치대(60)가 다리부재(20)의 하부로 끼워지기 때문에 휴대 및 보관 시 다리부재(20)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다림질을 하기 위해 도 6b,7b에서와 같이 스토퍼(80)의 핀공(81)에 끼워진 단속핀(90)을 상부로 밀어 올리면 단속핀(90)이 스토퍼(80)의 핀공(81)에서 빠져나오기 때문에 로킹이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도 5b에서와 같이 손잡이(70)를 외측으로 당기면 다리부재(20)의 하부에 끼워진 거치대(60)가 외부로 인출되기 때문에, 이와 같이 거치대(60)를 인출시킨 상태에서 도 5c,6c에서와 같이 다리부재(20)를 펼치면 다림질을 할 수 있도록 다리미판이 완전히 펴지게 된다.
다림질을 하기 위해 도 5c,6c,7c에서와 같이 다리미판을 완전히 펼친 상태에서는 거치대(60)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거치대(60)에 다리미를 올려놓을 수 있으며, 한편 다림질이 끝난 후 다시 다리미판을 접으면 용이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거치대(60)의 일측으로 파지공(71)이 구비된 손잡이(80)가 설치되어 다리미판을 용이하기 잡을 수 있고, 또한 다리미판을 접은 상태에서는 거치대(60)가 다리부재(20)의 하부로 끼워져 다리부재(20)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특히 사용자가 손잡이(70)를 잡고 다리미판을 용이하게 휴대 및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받침부재(10)의 일측으로 다리미를 올려놓을 수 있는 거치대(60)가 출몰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다림질 시 거치대(60)에 다리미를 편리하게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다림질 시 사용자가 다리미를 거치대(60)에 올려놓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다리미에 의해 화상을 입거나 방바닥이 눌러 붙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리미판을 용이하게 휴대 및 운반할 수 있으며, 다리미를 올려놓는 거치대가 설치되기 때문에 다림질 시 다리미를 편리하게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다리미에 의해 화상을 입거나 방바닥이 눌러 붙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a,5b,5c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a,6b,6c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a,7b,7c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하여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받침부재 11 : 받침판
12 : 패드 13 : 커버
20 : 다리부재 30 : 지지판
31 : 연결구 40 : 제1브래킷
50 : 제2브래킷 60 : 거치대
70 : 손잡이 71 : 파지공
80 : 스토퍼 81 : 핀공
90 : 단속핀 R : 리벳
S : 스프링

Claims (3)

  1. 받침판(11)과 패드(12) 및 커버(13)로 이루어지는 받침부재(10), 받침부재(10)의 하부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리부재(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1)의 일측 하부에 연결구(31)로 연결되는 지지판(30); 상기 지지판(30)의 상면 양측과 중앙에 리벳(R)으로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제1브래킷(40) 및 제2브래킷(50); 상기 한쌍의 제1브래킷(40)에 출몰가능하게 끼워져 다리미를 받쳐주는 거치대(60); 상기 거치대(60)에 연결되어 손가락이 끼워지는 파지공(71)을 구비하는 손잡이(70); 상기 제2브래킷(50)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핀공(81)을 구비하는 스토퍼(80); 상기 손잡이(70)의 하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스프링(S)으로 탄설되어 핀공(81)에 끼워지는 단속핀(90)을 포함하는 다리미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래킷(40)과 제2브래킷(50)은 양측이 리벳(R)으로 지지판(30)에 각각 견고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미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60)는 인입 시 접혀진 다리부재(20)의 하부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미판.
KR20-2005-0019141U 2005-07-01 2005-07-01 다리미판 KR2003969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141U KR200396949Y1 (ko) 2005-07-01 2005-07-01 다리미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141U KR200396949Y1 (ko) 2005-07-01 2005-07-01 다리미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949Y1 true KR200396949Y1 (ko) 2005-09-28

Family

ID=43698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141U KR200396949Y1 (ko) 2005-07-01 2005-07-01 다리미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9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1003B1 (en) Garment treatment device with foldable board
US5161316A (en) Sectional type ironing board, as well as ironing table and pressing apparatus using said ironing board
GB2461530A (en) Ironing board with attachments
KR200396949Y1 (ko) 다리미판
US5926984A (en) Easily selectively attachable and removable iron rest, forming an accessory for an ironing board, especially for a potentially hot flat iron
US2432932A (en) Ironing board and supporting means therefor
KR101705771B1 (ko) 다기능 가정용 다리미 판
CN109252343B (zh) 熨衣台
KR100423791B1 (ko) 다리미 보관케이스를 구비하는 개량된 다리미 받침대
JP4141912B2 (ja) アイロン台
US5730396A (en) Cord guide for appliance caddy
CN217104437U (zh) 一种悬挂式蒸气熨烫装置
KR100733778B1 (ko) 다리미판 커버
KR20130107771A (ko) 접이식 옷걸이
CN218978722U (zh) 一种可折叠浴桶
GB2461529A (en) Ironing board and platform
US2639522A (en) Clothes catcher for ironing boards
KR20230082443A (ko) 위로 펼치는 건조대
KR101422681B1 (ko) 우산
JP4320614B2 (ja) アイロン台
JP3210814U (ja) 足置き台
EP1783268A2 (en) Ironing Board
KR200375021Y1 (ko) 다리미안착부가 형성된 다리미판
US2702174A (en) Ironing board attachment
JP3136905B2 (ja) アイロ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