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154B1 -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154B1
KR101422154B1 KR1020120114934A KR20120114934A KR101422154B1 KR 101422154 B1 KR101422154 B1 KR 101422154B1 KR 1020120114934 A KR1020120114934 A KR 1020120114934A KR 20120114934 A KR20120114934 A KR 20120114934A KR 101422154 B1 KR101422154 B1 KR 101422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servic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providing
provid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8685A (ko
Inventor
이길수
최도연
박인영
Original Assignee
(주)티아이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아이스퀘어 filed Critical (주)티아이스퀘어
Priority to KR1020120114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154B1/ko
Publication of KR20140048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통화 연결 요청 신호의 발생을 검출하는 통화 요청 검출부;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와 이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의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 상기 통화 요청 검출부에서 검출된 통화 연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착신 전화 번호가 미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인지의 여부를 상기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판단하는 전화 번호 관리부; 및 상기 전화 번호 관리부에서 미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실행부를 포함하는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BEING ABLE TO PROVIDE SUPPLEMENTARY SERVICES BASED ON TELEPHONE NUMBER AND METHOD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S BASED ON TELEPHONE NUMBER}
본 발명은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연결 요청 신호시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른바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단순히 통화를 위주로 하는 종래의 이동 통신 서비스 환경이 데이터 통신 서비스 위주로 전환되고 있으며 데이터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제안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를 열람하거나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이동 통신 단말기 즉,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어디서나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환경으로 변하고 있다.
한편,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숫자를 기반으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도 많다. 예컨대, 증권 종목에 대해 숫자로 구성되는 증권 종목 코드를 부여해 두고 해당 코드를 조회하면 해당 증권 종목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또한, 버스 노선 정보나 정류장 정보 등을 숫자로 구성하여 미리 지정해 두고 이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나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즐겨찾기 등의 형태로 구성하여 간편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해당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별도의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의 식별 번호(숫자로 구성되는 증권 종목 번호, 노선 번호, 정류장 번호 등)를 입력하여야 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숫자에 기반한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통화 연결 요청시 사용자로부터 전화 번호의 입력 동작만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번호에 기반하여 대응되는 부가 서비스를 미리 설정하여 두고 해당 번호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연결 요청 신호의 발생과 함께 검출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해당 번호에 상응하는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원하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통화 연결 요청 신호의 발생을 검출하는 통화 요청 검출부;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와 이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의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 상기 통화 요청 검출부에서 검출된 통화 연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착신 전화 번호가 미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인지의 여부를 상기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판단하는 전화 번호 관리부; 및 상기 전화 번호 관리부에서 미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실행부를 포함하는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통화 요청 검출부는, 전화 번호 입력 인터페이스에 의한 사용자의 전화 번호 입력 신호와 통화 요청 인터페이스에 의한 통화 연결 요청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화 요청 검출부는, 주소록 인터페이스에 의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통화 연결 요청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는 번호 정보 서버를 통해 업데이트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부가 서비스 실행부는, 상기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 서비스 실행부는, 상기 전화 번호 관리부에서 미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가 2 이상의 복수인 경우 해당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에 상응하는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들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부가 서비스에 상응하는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 이외의 특수 전화 번호의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 서비스 실행부는, 상기 전화 번호 관리부에서 미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로 판단된 전화 번호가 특수 전화 번호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특수 전화 번호와 동일한 경우 해당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에 상응하는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와 특수 전화 번호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편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번호 정보에 기반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 연결 요청 신호의 발생을 검출하는 제1 단계; 상기 검출된 통화 연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착신 전화 번호가 미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2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가 2 이상의 복수인 경우 해당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에 상응하는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들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부가 서비스에 상응하는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2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로 판단된 전화 번호가 특수 전화 번호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특수 전화 번호와 동일한 경우 해당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에 상응하는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와 특수 전화 번호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숫자에 기반한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통화 연결 요청시 사용자로부터 전화 번호의 입력 동작만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번호에 기반하여 대응되는 부가 서비스를 미리 설정하여 두고 해당 번호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연결 요청 신호의 발생과 함께 검출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해당 번호에 상응하는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원하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단순히 전화 번호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력하고 통화 연결 요청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해당 전화 번호에 상응하는 다양한 형태의 부가 서비스를 즉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이와 결합하는 번호 정보 서버와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하여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의 동작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하나의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에 대하여 2 이상의 부가 서비스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입력되는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와 동일한 특수 전화 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번호 정보에 기반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을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한 경우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의 내부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이와 결합하는 번호 정보 서버와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번호 정보 서버(200)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네트워크(network)라 함은 공지의 유/무선 인터넷, 이동 통신망 또는 이들의 결합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종래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공지의 수단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으며 인터넷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이른바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 형태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내부에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체적인 운영을 관리하는 운영 시스템(operation system, OS)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점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입력 인터페이스나 주소록 인터페이스에 의한 통화 연결 요청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검출하여 통화 연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전화 번호에 기반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것을 핵심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통화 요청 검출부(110),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 전화 번호 관리부(130) 및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를 포함한다. 한편, 도 2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 중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구성만을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구성은 생략하였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통화 요청 검출부(11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통화 연결 요청 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주지된 바와 같이 전화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전화 번호 입력 인터페이스(키패드, 터치 스크린 등)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전화 번호를 입력하고 상기 전화 번호 입력 인터페이스에 함께 제공되는 예컨대 "통화" 버튼을 선택하면 입력된 전화 번호로 통화를 연결하기 위한 통화 연결 요청 신호가 내부적으로 발생되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 내부에서의 자체적인 통화 연결에 필요한 처리 과정을 거친 후 이동 통신망을 통해 입력된 전화 번호(착신 전화 번호)에 상응하는 단말기로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통화 요청 검출부(110)는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통화 연결 요청 신호의 발생을 검출하게 된다.
한편, 통화 요청 신호는 주지된 바와 같이 직접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방법 대신 주소록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제공되는 주소록을 실행시키면 주소록에 포함되어 있는 연락처의 리스트를 확인하고 원하는 통화 상대방의 연락처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연락처에 대한 통화 연결 요청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통화 요청 검출부(110)는 이러한 경우에 발생하는 통화 연결 요청 신호의 발생도 검출한다. 이러한 통화 요청 검출부(11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 내부에 구비되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별도이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는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와 이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의 주소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에서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라 함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전화 번호를 의미하며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는 해당 부가 서비스의 내용을 설명하는 식별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의 주소 정보는 예컨대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의 IP 어드레스를 의미한다.
도 3은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는 각각의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에 대응하여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와 부가서비스 제공 서버의 주소 정보가 저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의 첫번째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는 "1234"이고 여기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는 "증권 종목 정보"이며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의 주소 정보는 "www.stock.com/1234"임을 알 수 있다. 이는 해당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1234"에 해당하는 증권 종목 정보를 부가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것이고 해당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접속해야 할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주소 정보가 "www.stock.com/1234"로 설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도 3의 두번째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는 "9401"인데 여기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는 "노선 정보"이며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주소 정보는 "www.bus.com/9401"로 설정되어 있다. 이는 해당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인 "9401"이 입력되는 경우 이에 상응하는 버스 노선 정보를 부가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것이며 해당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접속해야 할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주소 정보가 "www.bus.com/9401"임을 의미한다.
도 3의 세번째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는 "12345"인데 여기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가 "증권 종목 정보"와 "정류장 정보"의 2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경우에 대해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주소 정보가 각각 "www.stock.com/12345" 및 "www.bus.com/12345"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 부가 서비스의 종류로서 "증권 종목 정보"와 "정류장 정보"와 "노선 정보"의 3가지를 예로 들었는데 이들은 각각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화 번호에 의해 구별되고 이 때 전화 번호가 동일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12345"의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증권 종목 정보와 정류장 정보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3과 같이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를 구현하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에서 해당 부가 서비스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전화 번호 관리부(130) 및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화 번호 관리부(130)는, 통화 요청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통화 연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착신 전화 번호가 미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인지의 여부를 상기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를 조회하여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에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와 이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의 주소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통화 요청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통화 연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착신 전화 번호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전화 번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입력되는 전화 번호가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는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화 번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일반적인 통화 연결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입력되는 전화 번호가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전화 번호에 상응하는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와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주소 정보를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로 전송한다.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는 전화 번호 관리부(130)에서 미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여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화 번호 관리부(130)는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를 조회하여 통화 연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전화 번호가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경우 대응되어 저장된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와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주소 정보를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로 전송한다.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는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와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주소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주소 정보(예컨대 IP 어드레스)에 상응하는 서버로 접속하게 된다.
도 3의 첫번째 전화 번호인 "1234"의 경우의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는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주소 정보로서 "www.stock.com/1234"를 전화 번호 관리부(130)로부터 수신하고 이에 상응하는 위치로 접속하여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수신한다. 이 때의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증권 종목 "1234"와 관련된 각종 정보, 예컨대 시세 정보, 시가 총액 정보, 거래량 정보, PER 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에는 이러한 각종 정보 이외에 다른 웹 페이지로의 링크 기능이나 동영상 재생 등과 같은 선택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는 해당 선택 동작을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하여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의 동작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는 사용자가 전화 번호 입력 인터페이스(키패드 화면)에서 "9401"이라는 전화 번호를 입력하고 통화 버튼(좌측 하단의 전화기 표시)을 선택하여 통화 연결 요청 신호를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통화 요청 검출부(110)는 통화 연결 요청 신호를 검출하고 전화 번호 관리부(130)는 입력된 "9401"이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를 조회하여 확인한다.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에 "9401"이 노선 정보로서 저장되어 있으면 상응하여 저장된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주소 정보가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로 전달되고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는 해당 주소 정보의 위치로 접속하여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도 4의 (b)와 같은 화면으로 구성된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 버스의 노선 운행 구간 정보 보기"를 선택하면 도 4의 (c)와 같은 화면을 통해 노선의 상세 노선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지도" 버튼을 선택하면 도 4의 (d)와 같이 노선이 표시된 지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에 대하여 2 이상의 부가 서비스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도 3 참조)에는 해당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에 상응하는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들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부가 서비스에 상응하는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5는 하나의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에 대하여 2 이상의 부가 서비스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사용자가 전화 번호 입력 인터페이스(키패드 화면)에서 "12341"이라는 전화 번호를 입력하고 통화 버튼(좌측 하단의 전화기 표시)을 선택하여 통화 연결 요청 신호를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전화 번호 "12341"은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에 정류장 정보와 증권 종목 정보 2가지 모두에 대해서 각각 부가 서비스가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는 해당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를 도 5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결과에 따라 해당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접속하여 도 5의 (c) 또는 (d)와 같이 정류장 정보 또는 증권 종목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한편,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는, 상기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 이외의 특수 전화 번호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수 전화 번호라 함은, 예컨대 "112", "119", "114" 등과 같이 특수한 용도로 사용되는 전화 번호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에 특수 전화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는, 전화 번호 관리부(130)에서 미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로 판단된 전화 번호가 특수 전화 번호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특수 전화 번호와 동일한 경우 해당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에 상응하는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와 특수 전화 번호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6은 입력되는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와 동일한 특수 전화 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114"가 입력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는 입력되는 전화 번호인 "114"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가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114"에 대응하여 노선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서비스 실행부(140)는 특수 전화 번호임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버스 노선 정보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함께 도 6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 6의 (c) 또는 (d)와 같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번호 정보 서버(200)와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번호 정보 서버(200)는 도 3에서 설명한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와 마찬가지로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와 이에 대응하여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주소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를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가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의 업데이트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미리 설정해 둔 일정 주기마다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번호 정보 서버(200)에서 내용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push 서비스)하여 업데이트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기능이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번호 정보 서버(200)에 자동적으로 접속하도록 하여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의 버전(version)을 확인하고 상위 버전이 존재하는 경우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접속하는 경우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서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하나만을 나타내었으나 도 3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가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다수의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노선 정보 서버, 증권 종목 서버 등과 같은 서버들이 물리적으로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물리적으로 하나의 서버안에 노선 정보 서버, 증권 종목 서버 등이 기능적으로 포함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는 사용자가 자체적으로 설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와 대응하는 식별 정보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주소 정보를 편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번호 정보 서버(200)의 구성은 생략할 수 있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번호 정보에 기반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이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에 의한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 즉, 도 2에서 설명한 통화 요청 검출부(110),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 전화 번호 관리부(130) 및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를 포함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구동되면(S100), 해당 응용 프로그램은 번호 정보 서버(200)에 접속하여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의 버전 정보를 요청하고(S110), 번호 정보 서버(200)가 가지고 있는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의 버전 정보를 수신한다(S120).
수신된 버전 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의 버전 정보를 비교하여 수신된 버전 정보가 상위 버전인 경우 업데이트를 수행할 것으로 판단하고(S130), 번호 정보 서버(200)로 신규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를 요청하여 수신한후 이를 저장한다(S140, S150). 수신된 버전 정보가 저장된 버전 정보와 동일한 경우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는다. 이러한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전화 번호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주소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화 번호의 입력 및 통화 연결 요청 신호가 발생하면 통화 요청 검출부(110)는 이를 검출하고(S160), 전화 번호 관리부(130)는 통화 연결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입력되는 전화번호가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70).
전화 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후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일반적인 통화 연결 절차에 따라 해당 전화 번호로 전화를 발신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230).
전화 번호가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에 존재하는 경우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는 대응하여 저장된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주소 정보를 획득하고(S180), 해당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접속하여(S190),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한다(S200, S210).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소정의 동작, 예컨대 웹 페이지로의 링크 등의 동작을 선택하면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S220).
다음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번호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실제 구현하는 방식에 대해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들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포함되는 운영 시스템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사후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의 형태로 추가되어 상기와 같은 구성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예컨대 안드로이드(android)와 같은 운영 시스템은 단말기 제조사나 응용 프로그램 제조업체가 운영체제(OS)로부터 통화 상태 관련 이벤트(본 발명에서의 통화 검출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다양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개방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특히 적합하다. 예컨대, 안드로이드 운영 시스템에서 통화 요청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화 요청 검출부에서 이를 검출하고 다음 단계 즉, 일반적인 통화 연결 과정을 중지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동작시키도록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을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한 경우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운영 시스템(OS) 내에 이벤트 전송부(51)와 응용프로그램 관리부(52)를 구비한다. 도 8의 구성은 안드로이드 운영 시스템을 실제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다른 운영 시스템에서도 용어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기본적인 원리는 유사하다.
이벤트 전송부(51)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하드웨어 또는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하는 여러 가지 이벤트를 수신하여 수신된 이벤트를 전송할 응용 프로그램을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에서 확인하고 확인된 응용 프로그램으로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해당 이벤트를 수신할 응용 프로그램들의 목록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의 목록은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에 등록된다.
도 9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의 내부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이벤트의 종류(521) 및 해당 이벤트를 수신할 응용 프로그램의 목록(522)을 구비하고 있다. 도 9에서는 이벤트의 종류로서 "통화 연결 요청", "통화 종료" 이벤트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는 전화를 발신하기 위하 이벤트로서 키패드에서의 전화 번호 입력, 주소록에서 연락처의 선택, 응용 프로그램에서 전화 발신 요청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전송부(51)는 해당 이벤트에 대해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목록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 목록(522)에서 확인한다. 도 9에서 등록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 목록은 응용 프로그램 #1, 응용 프로그램 #2의 2가지가 등록되어 있다.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에 대해 응용 프로그램 #1, 응용 프로그램 #2이 등록되어 있음을 이벤트 전송부(51)로 알리고 이벤트 전송부(51)는 응용 프로그램 #1, 응용 프로그램 #2로 "통화 연결 요청"이벤트가 발생하였다는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이벤트 전송부(51)는 이벤트를 응용 프로그램 #1, #2로 전송할 때 응용 프로그램 목록에 있는 응용 프로그램 전부에 대해 동시에 이벤트를 알릴 수도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우선 이벤트를 알리고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이 완료되거나 실행이 중지된 경우 다음 응용 프로그램으로 이벤트를 알리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 내부에 어떠한 방식으로 이벤트를 알릴 것인가를 설정해 두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예컨대, "전화발신" 이벤트의 경우 응용 프로그램 #1으로 먼저 이벤트를 알리도록 하고 응용 프로그램 #1의 실행이 종료된 경우 응용 프로그램 #2로 이벤트를 알리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이벤트 전송부(51)로부터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응용 프로그램 #1의 정보를 먼저 알려주게 된다. 이벤트 전송부(51)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로부터 해당 이벤트에 대한 확인 응답 신호로서 응용 프로그램 #1의 정보를 수신하면 응용 프로그램 #1으로 이벤트를 전송하게 되고 응용 프로그램 #1은 이벤트의 수신에 따라 운영 시스템으로 로드되어 실행되게 된다.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원리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는데, 도 2의 통화 요청 검출부(110)는 도 8의 이벤트 전송부(51)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 전화 번호 관리부(130) 및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는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이벤트 전송부(51)에서 이벤트 중의 하나로서 통화 요청 신호가 검출되면, 이벤트 전송부(5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로 통화 요청 신호가 검출되었다는 이벤트에 대해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정보를 요청하고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해당 이벤트에 대해 등록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 #1의 정보를 이벤트 전송부(51)로 알려주고 이벤트 전송부(51)는 응용 프로그램 #1으로 이벤트를 전송하고 응용 프로그램 #1을 실행하게 된다. 이 때 응용 프로그램 #1은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 전화 번호 관리부(130) 및 부가 서비스 실행부(140)의 구성을 포함하고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통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면서 원래의 전화 연결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2는 실행이 중지된 상태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전화 번호가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12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응용 프로그램 #1은 실행을 종료하고 이를 이벤트 전송부(51)로 알리고 이벤트 전송부(51)는 응용 프로그램 #2(전화 발신을 수행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서 전화 통화를 연결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방식은 예시적인 것이며, 운영 시스템의 종류나 운영 시스템의 내부 구성에 따라 다른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100...이동 통신 단말기,
200...번호 정보 서버,
300...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

Claims (12)

  1.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통화 연결 요청 신호의 발생을 검출하는 통화 요청 검출부;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와 이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의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
    상기 통화 요청 검출부에서 검출된 통화 연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착신 전화 번호가 미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인지의 여부를 상기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판단하는 전화 번호 관리부; 및
    상기 전화 번호 관리부에서 미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실행부
    를 포함하고,
    상기 부가 서비스 실행부는,
    상기 전화 번호 관리부에서 미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가 2 이상의 복수인 경우 해당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에 상응하는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들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부가 서비스에 상응하는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요청 검출부는, 전화 번호 입력 인터페이스에 의한 사용자의 전화 번호 입력 신호와 통화 요청 인터페이스에 의한 통화 연결 요청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요청 검출부는, 주소록 인터페이스에 의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통화 연결 요청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는 번호 정보 서버를 통해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실행부는, 상기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 이외의 특수 전화 번호의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 서비스 실행부는, 상기 전화 번호 관리부에서 미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로 판단된 전화 번호가 특수 전화 번호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특수 전화 번호와 동일한 경우 해당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에 상응하는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와 특수 전화 번호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편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9.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번호 정보에 기반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 연결 요청 신호의 발생을 검출하는 제1 단계;
    상기 검출된 통화 연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착신 전화 번호가 미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2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가 2 이상의 복수인 경우 해당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에 상응하는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들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부가 서비스에 상응하는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부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2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로 판단된 전화 번호가 특수 전화 번호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특수 전화 번호와 동일한 경우 해당 부가 서비스 전화 번호에 상응하는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와 특수 전화 번호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20114934A 2012-10-16 2012-10-16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22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934A KR101422154B1 (ko) 2012-10-16 2012-10-16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934A KR101422154B1 (ko) 2012-10-16 2012-10-16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685A KR20140048685A (ko) 2014-04-24
KR101422154B1 true KR101422154B1 (ko) 2014-07-28

Family

ID=50654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934A KR101422154B1 (ko) 2012-10-16 2012-10-16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1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4005A (ko) * 2005-03-29 2006-10-09 박홍철 전화번호를 활용한 휴대폰내장형 모바일익스플로러software 와 그 시스템
JP2007052722A (ja) * 2005-08-19 2007-03-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プリケーション起動方法及びeラーニングシステム
KR100797373B1 (ko) 2007-03-15 2008-01-2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화상 통화에서의 영상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장치
KR20120078937A (ko) * 2011-01-03 2012-07-11 리얼네트웍스아시아퍼시픽 주식회사 스마트 자동응답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자동응답시스템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4005A (ko) * 2005-03-29 2006-10-09 박홍철 전화번호를 활용한 휴대폰내장형 모바일익스플로러software 와 그 시스템
JP2007052722A (ja) * 2005-08-19 2007-03-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プリケーション起動方法及びeラーニングシステム
KR100797373B1 (ko) 2007-03-15 2008-01-2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화상 통화에서의 영상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장치
KR20120078937A (ko) * 2011-01-03 2012-07-11 리얼네트웍스아시아퍼시픽 주식회사 스마트 자동응답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자동응답시스템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685A (ko) 201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377B1 (ko) 통화 시도시 이동 통신 단말기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9560506B2 (en) Emergency contacts information system
KR102331592B1 (ko) 보이는 ars 제공 시스템 및 방법
RU2011152513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частия в услуге или действ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одноранговой ячеистой сети
CN101523832A (zh) 消息收发系统
CN104426939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2984391A (zh) 移动终端和移动终端中的信息内容回复处理方法
KR101469160B1 (ko) 통화 서비스 수행시 콜센터 메뉴에 연동하여 콜센터 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콜센터 메뉴 정보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콜센터 메뉴 정보 제공 방법
CN108605207B (zh) 通话记录的同步方法、云平台和终端
KR101466818B1 (ko) 통화 서비스 수행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75323B1 (ko)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되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실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22154B1 (ko)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35887B1 (ko) 통신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 도중 url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71156B1 (ko)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6042555A2 (en)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availability signaling
KR101465517B1 (ko) 통신 단말에 포함되어 메시지 서비스 수행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부가 정보 제공 장치 및 부가 정보 제공 방법
KR101455750B1 (ko) 통화 서비스 수행 중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화 서비스 수행 도중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0802118B1 (ko) 위치 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524497B1 (ko)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6310984A (ja) 電話帳管理システム及び電話帳管理方法
KR101480883B1 (ko) 국제 전화 사업자 선택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국제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140032679A (ko) 위치기반 통신 이력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2244473A (ja) 通信装置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KR20160047254A (ko) 주소록 미등록 전화 번호의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095599B1 (ko) 이동통신단말기로의 사용자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