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887B1 - 통신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 도중 url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 도중 url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887B1
KR101435887B1 KR1020120137327A KR20120137327A KR101435887B1 KR 101435887 B1 KR101435887 B1 KR 101435887B1 KR 1020120137327 A KR1020120137327 A KR 1020120137327A KR 20120137327 A KR20120137327 A KR 20120137327A KR 101435887 B1 KR101435887 B1 KR 101435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url
call
server
web brow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5892A (ko
Inventor
이길수
최도연
박인영
Original Assignee
(주)티아이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아이스퀘어 filed Critical (주)티아이스퀘어
Publication of KR20140055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66URL specific, e.g. using aliases, detecting broken or misspelled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 도중 URL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경로 서버와 연결되며, 통신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통신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시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경로 서버로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경로 관리부-여기서, 상기 경로 서버는 통화 서비스의 상대방 단말의 데이터 경로 관리부로부터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단말들 사이에 데이터 경로를 형성함-; 및 통화 서비스 수행시 디스플레이부에 웹 브라우저 실행을 위한 웹 브라우저 서비스 선택부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웹 브라우저 서비스 선택부를 선택한 경우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키고, 상기 웹 브라우저가 접속하는 웹 서버의 웹 페이지의 URL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경로 서버로 전송하는 URL 공유 서비스 수행부-여기서, 상기 경로 서버는 상기 수신한 URL 정보를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고, 상대방 단말은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키고 상기 수신한 URL 정보에 상응하는 웹 서버의 웹 페이지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함-를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수행시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통신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 도중 URL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RL INFORMATION SHARING SERVICES DURING CALL SERVICES INCLUDED IN TELE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통신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 도중 URL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이와 함께 웹 서버의 웹 페이지의 URL 정보를 통신 단말을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른바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단순히 통화 위주로 하는 종래의 이동통신 서비스 환경이 데이터 통신 서비스 위주로 전환되고 있으며, 데이터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제안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를 열람하거나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이동 통신 단말기 즉,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어디서나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환경으로 변하고 있다.
그러나, 통신 단말의 통화 서비스와 관련되어서는 종래의 방식과 크게 차별화 되는 점이 없다. 즉,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주소록에서 연락처를 선택하여 전화를 발신하고 착신 단말에서 전화를 수신하면 통화를 수행하는 기존의 통화 서비스는 기본적인 방식 및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환경의 면에서 종래의 방식과 달라진 점이 없다.
특히,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도중에 웹 서버에 접속하여 웹 페이지를 열람하고 열람하는 웹 페이지를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상대방 단말 사용자와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통화 상대방에게 자신이 보고 있는 웹 페이지의 URL을 전달하려면, 통화 과정 중 웹 브라우저를 실행시키고, 자신이 원하는 페이지를 조회한 후,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 등에서 그 페이지의 URL을 복사하고 이를 SMS나 별도의 모바일 메신저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하여야 한다. URL을 전달 받은 상대방은 그 URL을 클릭함으로써 웹 브라우저가 구동되어 해당 페이지를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사용자가 통화서비스를 수행하는 것과 별개의 절차로 통신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URL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6087호(2010.05.06, 공개)를 참조하면,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의 웹 페이지의 내용을 메시징하는 이동단말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웹 페이지의 URL을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징 방법을 개시하고 있지만, 이는 통신 망 시스템 내 전화 교환기와 같은 통신 신호 처리부와 부가 서비스 장치 간에 밀접한 연동을 통해 통신 신호 기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제한된 통신 신호에 기반하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의 메시징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URL을 선택하여 문자 메시지 형태로 전송해야 하는 제한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6087호(2010.05.06.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한계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통신 망 시스템 내 통신 신호 처리부의 변경 없이 통신 단말에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와 관련된 통신 신호를 자체적으로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통화 서비스 수행시 통신망과는 별도의 네트워크를 통해 URL 공유 서비스를 통신 단말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단말을 사용하여 통화를 시도하는 순간부터 통화를 종료하는 시점까지의 통화 과정 중간에 웹 브라우저를 실행시켜 웹 페이지 조회 중 통화 중인 상대방에게 자신이 보고 있는 웹 페이지의 URL을 전송하여 같은 페이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런 기능을 이용하여 웹 상에 존재하는 임의의 정보를 통화 상대방과 공유하기 원하는 경우에 적용이 가능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화 과정 중 URL 공유 기능을 가진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키고 원하는 페이지를 조회한 후 URL 공유를 선택하면 해당 웹 페이지의 URL이 통화 상대방 단말로 전달되고 URL을 전달 받은 상대방 단말에서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어 URL에 따라 해당 웹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경로 서버와 연결되며, 통신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통신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시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경로 서버로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경로 관리부-여기서, 상기 경로 서버는 통화 서비스의 상대방 단말의 데이터 경로 관리부로부터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단말들 사이에 데이터 경로를 형성함-; 및 통화 서비스 수행시 디스플레이부에 웹 브라우저 실행을 위한 웹 브라우저 서비스 선택부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웹 브라우저 서비스 선택부를 선택한 경우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키고, 상기 웹 브라우저가 접속하는 웹 서버의 웹 페이지의 URL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경로 서버로 전송하는 URL 공유 서비스 수행부-여기서, 상기 경로 서버는 상기 수신한 URL 정보를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고, 상대방 단말은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키고 상기 수신한 URL 정보에 상응하는 웹 서버의 웹 페이지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함-를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수행시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통화 서비스 이벤트는,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상태인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상태인 통화 응답 요청 이벤트, 통화 연결 중인 상태인 통화 연결중 이벤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경로 관리부에서 전송되는 경로 연결 요청 신호는 통화 서비스 이벤트의 상대방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RL 공유 서비스 수행부는, 상기 웹 브라우저가 구동될 때 웹 브라우저의 화면에 URL 공유부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URL 공유부를 선택한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가 접속하는 웹 서버의 웹 페이지의 URL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대방 단말의 URL 공유 서비스 수행부는, 상기 전송된 URL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의 통화 서비스 수행을 위해 제공되는 통화 서비스 인터페이스 위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RL 정보는 통화 서비스 인터페이스의 일부 영역에 부분적으로 표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URL 공유 서비스 수행부는, 상기 URL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에 의해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RL 공유 서비스 수행부는, 상기 URL 정보를 상기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종료될 때까지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RL 공유 서비스 수행부는, 상기 URL 정보를 미리 설정해 둔 시간 동안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경로 서버와 연결되며, 통신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통신 단말에 포함되는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통화 서비스 수행시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경로 서버로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단계-여기서, 경로 서버는 통화 서비스의 상대방 단말로부터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단말들 사이에 데이터 경로를 형성함-; 통화 서비스 수행시 디스플레이부에 웹 브라우저 실행을 위한 웹 브라우저 서비스 선택부를 표시하는 제2 단계; 사용자에 의해 상기 웹 브라우저 서비스 선택부가 선택된 경우,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키고, 상기 웹 브라우저가 접속하는 웹 서버의 웹 페이지의 URL 정보를 획득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웹 페이지의 URL 정보를 상기 경로 서버로 전송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서버는 상기 수신한 URL 정보를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고, 상대방 단말은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키고 상기 수신한 URL 정보에 상응하는 웹 서버의 웹 페이지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수행시 URL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웹 브라우저가 구동될 때 웹 브라우저 화면에 URL 공유부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URL 공유부를 선택한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가 접속하는 웹 서버의 웹 페이지의 URL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망 시스템 내 통신 신호 처리부의 변경 없이 통신 단말에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와 관련된 통신 신호를 자체적으로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통화 서비스 수행시 통신망과는 별도의 네트워크를 통해 URL 공유 서비스를 통신 단말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을 사용하여 통화를 시도하는 순간부터 통화를 종료하는 시점까지의 통화 과정 중간에 웹 브라우저를 실행시켜 웹 페이지 조회 중 통화 중인 상대방에게 자신이 보고 있는 웹 페이지의 URL을 전송하여 같은 페이지를 불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이런 기능을 이용하여 웹 상에 존재하는 임의의 정보를 통화 상대방과 공유하기 원하는 경우에 적용이 가능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화 과정 중 URL 공유 기능을 가진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키고 원하는 페이지를 조회한 후 URL 공유를 선택하면 해당 웹 페이지의 URL이 통화 상대방 단말로 전달되고 URL을 전달 받은 상대방 단말에서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어 URL에 따라 해당 웹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과 경로 서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경로 서버(100)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400)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하여 통화 서비스 수행 도중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URL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해 URL 정보가 통신 단말에 제공되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단말에 포함되는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한 경우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의 내부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과 경로 서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서비스 수행시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는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통신 단말(발신 단말(200), 착신 단말(300))에 포함된다. 통신 단말(200,300)은 통신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며,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경로 서버(100)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도 1의 통신망은 공중 전화망(PSTN), 이동 통신망 및 인터넷망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종래의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실제 통신망은 교환기 및 HLR 등의 통신망의 자원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망을 통해 발신 단말(200)과 착신 단말(300)은 종래의 기술에 의해 알려진 바와 같은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한편 도 1에서 네트워크(network)라 함은, 공지의 유/무선 인터넷, 이동 통신망 또는 이들의 결합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통신망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데이터 송수신만을 수행하는 데이터 패킷망을 의미한다.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200,300)은 통신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종래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공지의 수단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유선 통신 단말기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의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200,300)은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으며 인터넷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이른바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200,300)은 터치 스크린 형태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200,300)은 그 내부에 단말의 전체적인 운영을 관리하는 운영 시스템(operation system, OS)을 포함한다.
이러한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200,300)은 본 발명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점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즉, 발신 단말(200)과 착신 단말(300)은 통신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통화 연결전 또는 통화 연결 중에 통화 서비스와 병행하여 경로 서버(100)를 통해 URL 공유 서비스를 통신 단말(200,3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로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단말(200,300)과 연결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통신 단말(200,300)로부터 URL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상대방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경로 서버(100)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경로 서버(100)는 경로 관리부(110)와 URL 공유 서비스 제공부(120)를 포함한다.
경로 관리부(110)는 발신 단말(200)과 착신 단말(300) 사이에서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발신 단말(200)로부터 제1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착신 단말(300)로부터 제2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후, 이들 제1 및 제2 경로 연결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발신 단말(200)과 착신 단말(300) 간의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형성된 데이터 경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URL 정보가 전송되는 경로(path)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1 경로 연결 요청 신호는, 발신 단말(200)에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발생할 때 발신 단말(200)로부터 경로 서버(100)로 전송된다. 통화 서비스 이벤트라 함은,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발신 단말(200)인 경우 착신 단말(300)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상태인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 및 착신 단말(300)과 통화 연결 중인 상태인 통화 연결 중 이벤트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이러한 통화 서비스 이벤트는 발신 단말(200)에 탑재되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OS)에 포함되는 이벤트 검출부에서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경로 연결 요청 신호는, 착신 단말(300)에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발생할 때 착신 단말(300)로부터 경로 서버(100)로 전송된다. 착신 단말(300)에서의 통화 서비스 이벤트는, 발신 단말(200)로부터의 통화 연결을 요청받고 있는 상태인 통화 응답 요청 이벤트 및 발신 단말(200)과 통화 연결 중인 상태인 통화 연결중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컨대, 발신 단말(200)이 착신 단말(300)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 발신 단말(200)에서는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제1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경로 서버(100)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발신 단말(200)로부터 통화 연결을 요청 받는 착신 단말(300)에서는 통화 응답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제2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경로 서버(100)로 전송하게 된다.
경로 관리부(110)는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발신 단말(200) 및 착신 단말(300)로부터 각각 수신 받고 이에 기초하여 발신 단말(200)과 착신 단말(300) 사이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URL 정보가 송수신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URL 공유 서비스 제공부(120)는 발신 단말(200)과 착신 단말(300) 사이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데이터 경로를 통해 URL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로 관리부(110)에 의해 발신 단말(200)과 착신 단말(300) 사이에 데이터 경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발신 단말(200)과 착신 단말(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말이 URL 정보를 경로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는데, 경로 서버(100)의 URL 공유 서비스 제공부(120)는 이를 수신하여 상대방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400)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URL 서비스 제공 장치(400)는 통신 단말(발신 단말(200) 및 착신 단말(300))에 포함되는데, 예컨대 발신 단말(200) 및 착신 단말(300)의 운영 시스템(OS)의 일부로서 포함되거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의 형태로 설치되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200) 및 착신 단말(300) 내부에 하드웨어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에서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400)는 발신 단말(200) 및 착신 단말(300)에 공통으로 구비된다. 도 3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통신 단말(200,300)의 구성으로서 URL 서비스 제공 장치(400)만을 나타내었으며 통신 단말(200,300)의 기타 일반적인 구성은 생략하였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우선 데이터 경로 관리부(410)는, 경로 서버(100)와의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통신 단말(200,300)에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경로 서버(100)로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화 서비스 이벤트로서 예컨대 통신 단말이 발신 단말(200)인 경우 발신 단말(200)에서 착신 단말(300)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발신 단말(200)은 이벤트 검출부(미도시)에서 이를 검출하고 데이터 경로 관리부(410)는 이에 따라 경로 연결 요청 신호(제1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경로 서버(100)로 전송한다. 한편, 이 때 경로 서버(100)는 통화 서비스의 상대방 단말 즉, 통화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착신 단말(300)로부터 또 다른 경로 연결 요청 신호(제2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경로 서버(100)는 양 통신 단말들 사이에서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URL 공유 서비스 수행부(420)는,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URL 공유 서비스 수행부(420)는, 통신 단말(200, 300)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웹 브라우저 실행을 위한 웹 브라우저 서비스 선택부(미도시)를 표시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기 웹 브라우저 서비스 선택부를 선택한 경우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키고, 상기 웹 브라우저가 접속하는 웹 서버의 웹 페이지의 URL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경로 서버(100)로 전송한다.
경로 서버(100)는 수신한 URL 정보를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고, 상대방 단말은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키고 상기 수신한 URL 정보에 상응하는 웹 서버의 웹 페이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게 된다.
한편, 여기에서 통화 서비스는 URL 공유 서비스와 병행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통화 서비스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화망을 통해 이루어지고 URL 공유 서비스는 데이터 패킷망인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통화 서비스와 URL 공유 서비스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의 통신 단말(200,300)은 URL 공유 서비스 수행부(420)를 디스플레이부의 통화 서비스 수행을 위해 제공되는 통화 인터페이스 위에 예컨대 겹치도록(overlay) 제공할 수 있다. 또한, URL 정보는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 부분적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URL 공유 서비스 수행부(420)는, 경로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URL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에 의한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표시하거나, 미리 설정해 둔 시간 동안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착신 단말(300)에 URL 정보가 제공되도록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경우라면 착신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되던 발신 단말(200)의 URL 정보의 표시는 미리 설정해둔 시간이 경과함과 동시에 종료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하여 통화 서비스 수행 도중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통신 단말(200,300)과 경로 서버(100)를 통해 이루어지는 URL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4의 실시예는, 통화 서비스 이벤트로서 발신 단말(200)에서 착신 단말(300)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발신 단말(200)에서 착신 단말(300)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 통화 연결 요청 신호가 발생하면 발신 단말(200)의 이벤트 검출부(미도시)에서는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함을 검출하고(S100), 통화 연결 요청 신호는 통신망의 교환기 등의 자원을 통해 착신 단말(300)로 전달되게 된다(S110).
발신 단말(200)에서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데이터 경로 관리부(410)는 제1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경로 서버(100)로 전송한다(S120). 이 때, 도면에는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발신 단말(200)은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통화 서비스 상태 신호를 경로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착신 단말(300)에서는 통화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예컨대 전화 벨이 울리면서 통화 응답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고(S130), 이에 따라 착신 단말(300)의 데이터 경로 관리부(410)는 제2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경로 서버(100)로 전송한다(S140).
한편, 데이터 경로 관리부(410)에서 전송되는 경로 연결 요청 신호는 통화 서비스 이벤트의 상대방 단말의 식별자, 예컨대 상대방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경로 서버(100)는 상대방 단말의 식별자를 수신하여 데이터 경로를 형성할 상대방 단말을 인식하고 인식된 상대방 단말로부터 경로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경로 서버(100)는 제1 및 제2 경로 연결 신호를 각각 수신하면 양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 즉, 후술하는 URL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경로를 네트워크를 통해 형성한다(S15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의 네트워크는 통신망과는 별도의 데이터 패킷망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발신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웹 브라우저 실행을 위한 웹 브라우저 서비스 선택부가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해 웹 브라우저 서비스 선택부가 선택되면(S160), 웹 브라우저가 구동된다(S170).
웹 브라우저가 구동되고 사용자에 의해 URL 주소를 직접 입력하거나 즐겨찾기에서원하는 웹 페이지 선택 등과 같은 방법을 통해 특정한 웹 서버의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웹 페이지를 조회한다(S180).
한편, 발신 단말(200)에서 웹 브라우저가 구동될 때 웹 브라우저의 일부분에 URL 공유부가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기 URL 공유부를 선택하면(S190), 경로 서버(100)로 조회하고 있는 웹 페이지에 상응하는 URL 정보를 경로 서버(100)로 전송하고(S200), 경로 서버(100)는 상기 전송된 URL 정보를 착신 단말(300)로 전송한다(S210).
다음으로, 경로 서버(100)에서 전송된 URL 정보를 수신한 착신 단말(300)은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상기 전송된 URL 정보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S220) 웹 페이지를 조회한다(S230).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URL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해 URL 정보가 통신 단말에 제공되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발신 단말(200) 사용자가 착신 단말(300)로 전화 걸기를 시도하면(도 5의 (a)), 발신 단말(200)에서는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고(도 4의 단계(S100) 참조), 발신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통화 연결 과정에서 통화 연결 전 메뉴화면이 표시된다((도 5의 (b)).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신 단말(200)에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로서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신 단말(200)의 나타낸 바와 같이 발신 단말(200)의 데이터 경로 관리부(410)는 제1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경로 서버(100)로 전송하고, 또한 착신 단말(300)에서는 통화 응답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므로 이에 따라 제2 경로 연결 요청 신호가 경로 서버(100)로 전송된다. 이에 의하여 발신 단말(200)과 착신 단말(300)은 경로 서버(100)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경로가 형성되게 된다(도 4의 단계(S110) 내지 단계(S150) 참조).
이후, 착신 단말(300)이 통화 연결 요청에 대해 응답을 하면 발신 단말(200)과 착신 단말(300) 사이에는 통신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발신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URL 공유 서비스 수행부(420)에 의하여 웹 브라우저 서비스 선택부가 표시된다((도 5의 (c), 도 4의 단계(S160)). 도 5의 (c)에는 웹 브라우저 서비스 선택부 이외에 기타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선택부도 함께 표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발신 단말(200)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 서비스 선택부를 선택하면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켜서 디스플레이부에 웹 브라우저 화면을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URL을 입력받거나 즐겨찾기에 의한 선택 등에 의해 사용자가 접속하고자 하는 웹 서버의 웹 페이지를 수신하여 해당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도 5의 (d),(e)).
이 때, 발신 단말(200)의 URL 공유 서비스 수행부(420)는 웹 브라우저 화면에 URL 공유 서비스 수행을 위한 URL 공유부를 표시하고(도 5의 (e)),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면 해당 웹 페이지의 URL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데이터 경로를 통해 경로 서버(100)로 전송한다(도 4의 단계(S200). 경로 서버(100)는 수신된 URL 정보를 데이터 경로를 통해 착신 단말(300)로 전송한다(도 4의 단계(S210)).
한편 착신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에도 통화 중에 URL 공유 서비스 선택을 위한웹 브라우저 서비스 선택부를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 메뉴가 표시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경로 서버(100)로부터 URL 정보가 수신되면 착신 단말(300) 사용자가 URL 공유 서비스를 위해 웹 브라우저 서비스 선택부를 선택하면(도 5의 (f)) 웹 브라우저가 구동되고 수신한 URL 정보에 상응하는 웹 서버의 웹 페이지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게 된다(도 5의 (g)).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400)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200,300)을 실제 구현하는 방식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통신 단말(200,300)에 포함되는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400)는 통신 단말(200,300)에 포함되는 운영 시스템에 통합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사후적으로 통신 단말(200,300)에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의 형태로 설치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예컨대 안드로이드(android)와 같은 운영 시스템은 단말기 제조사나 응용 프로그램 제조업체가 운영체제(OS)로부터 통화 서비스 이벤트를 수신하여 다양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개방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특히 적합하다. 예컨대, 안드로이드 운영 시스템에서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단말(200,300)의 운영 시스템의 이벤트 검출부에서 이를 검출한 후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된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400)를 동작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단말(200,300)에 포함되는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400)의 구성을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한 경우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통신 단말(200,300)은 운영 시스템(OS) 내에 이벤트 전송부(51)와 응용프로그램 관리부(52)를 구비한다. 도 6의 구성은 안드로이드 운영 시스템을 실제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다른 운영 시스템에서도 용어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기본적인 원리는 유사하다.
이벤트 전송부(51)는 통신 단말(200,300)의 하드웨어 또는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하는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여 수신된 이벤트를 전송할 응용 프로그램을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에서 확인하고 확인된 응용 프로그램으로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서 해당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해당 이벤트를 수신할 응용 프로그램들의 목록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의 목록은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에 등록된다.
도 7은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의 내부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이벤트의 종류(521) 및 해당 이벤트를 수신할 응용 프로그램의 목록(522)을 구비하고 있다. 도 7에서는 이벤트의 종류로서 "통화 연결 요청", "통화 종료" 이벤트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는 전화를 발신하기 위한 이벤트로서 키패드에서의 전화 번호 입력, 주소록에서 연락처의 선택, 응용 프로그램에서 전화 발신 요청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검출부(미도시)가 이를 검출하여 이벤트 전송부(51)로 알리게 되고, 이벤트 전송부(51)는 해당 이벤트에 대해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목록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 목록(522)에서 확인하여 확인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한다.
도 7에서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에 대해 등록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 목록은 응용 프로그램 #1, 응용 프로그램 #2의 2가지가 등록되어 있다.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에 대해 응용 프로그램 #1, 응용 프로그램 #2이 등록되어 있음을 이벤트 전송부(51)로 알리고 이벤트 전송부(51)는 응용 프로그램 #1, 응용 프로그램 #2로 "통화 연결 요청"이벤트가 발생하였다는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이벤트 전송부(51)는 이벤트를 응용 프로그램 #1, #2로 전송할 때 응용 프로그램 목록에 있는 응용 프로그램 전부에 대해 동시에 이벤트를 알릴 수도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우선 이벤트를 알리고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이 완료되거나 실행이 중지된 경우 다음 응용 프로그램으로 이벤트를 알리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 내부에 어떠한 방식으로 이벤트를 알릴 것인가를 설정해 두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예컨대,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의 경우 응용 프로그램 #1으로 먼저 이벤트를 알리도록 하고 응용 프로그램 #1의 실행이 종료된 경우 응용 프로그램 #2로 이벤트를 알리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이벤트 전송부(51)로부터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응용 프로그램 #1의 정보를 먼저 알려주게 된다. 이벤트 전송부(51)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로부터 해당 이벤트에 대한 확인 응답 신호로서 응용 프로그램 #1의 정보를 수신하면 응용 프로그램 #1으로 이벤트를 전송하게 되고 응용 프로그램 #1은 이벤트의 수신에 따라 운영 시스템으로 로드되어 실행되게 된다.
한편,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의 경우 응용 프로그램 #1과 응용 프로그램 #2로 동시에 이벤트를 알리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이벤트 전송부(51)로부터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응용 프로그램 #1 및 응용 프로그램 #2의 정보를 모두 알려주게 된다. 이벤트 전송부(51)는 응용 프로그램 #1 및 #2의 정보를 수신하고 응용 프로그램 #1 및 #2로 동시에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고 응용 프로그램 #1 및 #2가 병행하여 함께 실행되게 된다.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원리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는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데이터 경로 관리부(410) 및 URL 공유 서비스 수행부(420)를 구비하는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400)를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통화 연결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실행되는 통신 단말(200,300)에서의 일반적인 응용 프로그램을 예컨대 콜 매니저(call manager)라고 하면, 일반적인 경우에는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러한 콜 매니저만이 도 6 및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응용 프로그램 목록에서 응용 프로그램 #1으로 등록되어 실행되어 통화 연결 과정을 수행할 것이다.
한편, 데이터 경로 관리부(410) 및 URL 공유 서비스 수행부(420)를 구비하는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400)를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통신 단말(200,300)에 설치하면서 도 7의 응용 프로그램 목록(522)에서 응용 프로그램 #2로 등록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응용 프로그램 목록에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순서를 동시에 실행하는 것으로 설정해 둔다.
즉,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의 경우 본 발명에 의한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400)를 구현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응용 프로그램 #2로 등록되도록 하고 응용 프로그램 #1과 동시에 실행되도록 설정하면,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응용 프로그램 #1과 응용 프로그램 #2가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이벤트 중의 하나로서 통화 요청 신호(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전송부(51)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로 통화 요청 신호가 검출되었다는 이벤트에 대해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정보를 요청하고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해당 이벤트에 대해 등록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 #1(기존 콜 매니저)과 본 발명에 의한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400)가 구현된 응용 프로그램 #2의 정보를 동시에 이벤트 전송부(51)로 알려주고 이벤트 전송부(51)는 응용 프로그램 #1(콜 매니저)과 응용 프로그램 #2(본 발명에 의한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400))를 동시에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데이터 경로 관리부(410) 및 URL 공유 서비스 수행부(420)를 포함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응용 프로그램 #2로서 실행되므로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단말(200,300)에서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400)가 실행되어 경로 서버(100)와 함께 통신 단말(200,300)로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방식은 예시적인 것이며, 운영 시스템의 종류나 운영 시스템의 내부 구성에 따라 다른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200,300)은 이동 통신 단말기인 스마트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동 통신 단말기는 아니면서 유선 전화 단말기이거나 mVo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로서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없는 유선 단말인 경우에도 단말 내부의 운영 시스템에 통합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으로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200,300)에서 URL 정보를 획득하고 경로 서버(100)를 통해 상대방 단말로 URL 정보를 전송하여 상대방 단말에서 해당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URL 정보를 경로 서버(100)로 전송하기 이전 단계에서 통신 단말(200,300) 사이에서 URL 공유 서비스를 수행할 것을 확인하는 과정을 먼저 거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통신 단말(200,300) 중 URL 공유 서비스를 수행하고자 하는 단말에서 URL 공유 서비스 요청 신호를 경로 서버(100)로 전송하고 경로 서버(100)가 이를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고 상대방 단말에서 URL 공유 서비스를 수행할 것을 허락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다시 URL 공유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 단말로 전송한 이후에 URL 공유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 단말로부터 URL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100...경로 서버
200...발신 단말
300... 착신 단말

Claims (11)

  1. 네트워크를 통해 경로 서버와 연결되며, 통신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통신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시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경로 서버로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경로 관리부-여기서, 상기 경로 서버는 통화 서비스의 상대방 단말의 데이터 경로 관리부로부터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단말들 사이에 데이터 경로를 형성함-; 및
    통화 서비스 수행시 디스플레이부에 웹 브라우저 실행을 위한 웹 브라우저 서비스 선택부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웹 브라우저 서비스 선택부를 선택한 경우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키고, 상기 웹 브라우저가 접속하는 웹 서버의 웹 페이지의 URL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경로 서버로 전송하는 URL 공유 서비스 수행부-여기서, 상기 경로 서버는 상기 URL 공유 서비스 수행부로부터 전송받은 URL 정보를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고, 상대방 단말은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키고 상기 경로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URL 정보에 상응하는 웹 서버의 웹 페이지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함-
    를 포함하며,
    상기 상대방 단말의 URL 공유 서비스 수행부는, 상기 경로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URL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의 통화 서비스 수행을 위해 제공되는 통화 서비스 인터페이스 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수행시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서비스 이벤트는,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상태인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상태인 통화 응답 요청 이벤트, 통화 연결 중인 상태인 통화 연결중 이벤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수행시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경로 관리부에서 전송되는 경로 연결 요청 신호는 통화 서비스 이벤트의 상대방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수행시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RL 공유 서비스 수행부는, 상기 웹 브라우저가 구동될 때 웹 브라우저의 화면에 URL 공유부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URL 공유부를 선택한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가 접속하는 웹 서버의 웹 페이지의 URL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수행시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RL 정보는 통화 서비스 인터페이스의 일부 영역에 부분적으로 표시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수행시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RL 공유 서비스 수행부는, 상기 URL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에 의해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수행시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RL 공유 서비스 수행부는, 상기 URL 정보를 상기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종료될 때까지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수행시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RL 공유 서비스 수행부는, 상기 URL 정보를 미리 설정해 둔 시간 동안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수행시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10. 네트워크를 통해 경로 서버와 연결되며, 통신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통신 단말에 포함되는 URL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통화 서비스 수행시 URL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경로 서버로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단계-여기서, 경로 서버는 통화 서비스의 상대방 단말로부터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단말들 사이에 데이터 경로를 형성함-;
    통화 서비스 수행시 디스플레이부에 웹 브라우저 실행을 위한 웹 브라우저 서비스 선택부를 표시하는 제2 단계;
    사용자에 의해 상기 웹 브라우저 서비스 선택부가 선택된 경우,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키고, 상기 웹 브라우저가 접속하는 웹 서버의 웹 페이지의 URL 정보를 획득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웹 페이지의 URL 정보를 상기 경로 서버로 전송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서버는 상기 제4 단계에서 전송받은 URL 정보를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고, 상대방 단말은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키고 상기 경로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URL 정보에 상응하는 웹 서버의 웹 페이지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은, 상기 경로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URL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의 통화 서비스 수행을 위해 제공되는 통화 서비스 인터페이스 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수행시 URL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웹 브라우저가 구동될 때 웹 브라우저 화면에 URL 공유부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URL 공유부를 선택한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가 접속하는 웹 서버의 웹 페이지의 URL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수행시 URL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20137327A 2012-10-29 2012-11-29 통신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 도중 url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35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0560 2012-10-29
KR1020120120560 2012-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892A KR20140055892A (ko) 2014-05-09
KR101435887B1 true KR101435887B1 (ko) 2014-09-01

Family

ID=50887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327A KR101435887B1 (ko) 2012-10-29 2012-11-29 통신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 도중 url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4653A (zh) * 2018-01-03 2018-06-29 马上消费金融股份有限公司 一种处理业务请求的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9260A (ko) * 2006-04-04 2007-10-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인터넷의 웹페이지 주소를 메시지 형태로 전달하는방법 및 시스템
KR20100088600A (ko) * 2010-07-23 2010-08-09 (주)티아이스퀘어 음성 통화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9260A (ko) * 2006-04-04 2007-10-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인터넷의 웹페이지 주소를 메시지 형태로 전달하는방법 및 시스템
KR20100088600A (ko) * 2010-07-23 2010-08-09 (주)티아이스퀘어 음성 통화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892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377B1 (ko) 통화 시도시 이동 통신 단말기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251439B1 (ko) 에이디비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성능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612109B1 (ko) 시각적 ars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628865B2 (ja) 発呼支援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KR101466818B1 (ko) 통화 서비스 수행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51336B1 (ko) 통화 서비스 수행시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75323B1 (ko)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되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실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69160B1 (ko) 통화 서비스 수행시 콜센터 메뉴에 연동하여 콜센터 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콜센터 메뉴 정보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콜센터 메뉴 정보 제공 방법
KR101435887B1 (ko) 통신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 도중 url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55750B1 (ko) 통화 서비스 수행 중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화 서비스 수행 도중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1465516B1 (ko) 통신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 도중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GB2478767A (en) Accessing services of a device
KR101465517B1 (ko) 통신 단말에 포함되어 메시지 서비스 수행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부가 정보 제공 장치 및 부가 정보 제공 방법
KR101422154B1 (ko)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24497B1 (ko)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85369B1 (ko)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485368B1 (ko) 통신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사이에서 통화 서비스 수행시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단말
KR101495254B1 (ko) 단말기 및 단말기의 신호 송신/수신 방법
KR100727096B1 (ko) 모바일 단말에서의 콜 발신/수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00132838A (ko) 위젯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0884B1 (ko) 통화 서비스 수행시 전자 칠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73486B1 (ko) 통화 중 메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01972B1 (ko)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KR20140130983A (ko) 통화 상대방의 통신사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WO2009107465A1 (ja) サービストリガ制御システム、サー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