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497B1 -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497B1
KR101524497B1 KR1020130121888A KR20130121888A KR101524497B1 KR 101524497 B1 KR101524497 B1 KR 101524497B1 KR 1020130121888 A KR1020130121888 A KR 1020130121888A KR 20130121888 A KR20130121888 A KR 20130121888A KR 101524497 B1 KR101524497 B1 KR 101524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mergency notification
data
data path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7561A (ko
Inventor
이길수
최도연
최재우
Original Assignee
(주)티아이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아이스퀘어 filed Critical (주)티아이스퀘어
Publication of KR20140047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경로 서버와 연결되며, 통신망을 통해 제2 단말과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1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데이터 경로 서버로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데이터 경로 서버와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는 데이터 경로 관리부; 및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긴급 알림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긴급 알림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긴급 알림 요청 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경우 긴급 알림 데이터를 데이터 경로 서버를 통해 제2 단말로 전송하는 긴급 알림 서비스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긴급 알림 데이터를 수신한 제2 단말은, 상기 수신한 긴급 알림 데이터에 기초하여 긴급 알림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S DURING CALL SERVICES}
본 발명은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통신 단말에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이 발달함에 따라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도 다양해지고 있다. 즉,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는 기본적인 서비스인 음성, 영상 통화 기능 외에도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신 단말기가 다른 가입자와 통화 중인 경우에 발신 단말기로부터 통화를 위한 호가 요청되면 이동통신 시스템은 착신 단말기로의 발신 요청이 있었음을 문자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등을 이용하여 알려주는 서비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통화 중인 상태에서도 발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종래의 방법은 상대방이 통화 중인 경우에는 SMS(Short Message Service) 혹은 VMS(Voice Mailing System)와 같은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대방의 통화 중에 문자 메시지 등을 확인할 수는 있었으나 이동통신 시스템과는 별도의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는 없었다. 또한 기존 서비스는 이동통신사의 통신망 시스템에 종속적인 방식으로 인하여 서비스 가능 단말에 제약이 있었고 타 통신사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새로운 부가 서비스를 추가하는 것에 대하여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사용자가 통화서비스를 수행하면서 이동통신 시스템과는 별도의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2370호(2008.05.15.공개)를 참조하면, 통화 중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확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에 개시된 발명은 이동통신사의 통신망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통화 중 메시지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통화서비스를 수행하면서 이동통신 시스템과는 별도의 긴급 알림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는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2370호(2008.05.15.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한계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통신 단말에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와 관련된 통신 신호를 자체적으로 감지하여 통화 서비스 이벤트에 상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통신망과는 별도의 네트워크를 통해 긴급 알림 서비스를 통신 단말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경로 서버와 연결되며, 통신망을 통해 제2 단말과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1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데이터 경로 서버로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데이터 경로 서버와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는 데이터 경로 관리부; 및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긴급 알림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긴급 알림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긴급 알림 요청 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경우 긴급 알림 데이터를 데이터 경로 서버를 통해 제2 단말로 전송하는 긴급 알림 서비스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긴급 알림 데이터를 수신한 제2 단말은, 상기 수신한 긴급 알림 데이터에 기초하여 긴급 알림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경로 관리부에서 전송되는 경로 연결 요청 신호는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상대방 단말인 제2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구동되어, 메뉴 선택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는 메뉴 인터페이스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긴급 알림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메뉴 선택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긴급 알림 서비스 선택 입력 신호가 입력된 경우 긴급 알림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 선택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부의 통화 서비스 수행을 위해 제공되는 통화 서비스 인터페이스 위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 선택 인터페이스는, 통화 서비스 인터페이스의 일부 영역에 부분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긴급 알림 데이터는 긴급 알림 신호, 긴급 음성 메모 및 긴급 문자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경로 서버는 제2 단말의 데이터 경로 관리부로부터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에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긴급 알림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긴급 알림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경로 및 데이터 경로 서버를 해 제2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경로 서버는, 제2 단말이 긴급 알림 데이터 수신 불능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푸시 알림 서버를 통해 긴급 알림 데이터가 존재함을 알리는 푸시 데이터를 제2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푸시 알림 서버를 통해 긴급 알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경로 서버와 연결되며, 통신망을 통해 제2 단말과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1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데이터 경로 서버로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데이터 경로 서버와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는 제1 단계; 긴급 알림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고 긴급 알림 서비스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긴급 알림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긴급 알림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긴급 알림 요청 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경우 긴급 알림 데이터를 데이터 경로 서버를 통해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긴급 알림 데이터를 수신한 제2 단말은, 상기 수신한 긴급 알림 데이터에 기초하여 긴급 알림 이벤트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경로 서버는 제2 단말의 데이터 경로 관리부로부터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에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긴급 알림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경로 및 데이터 경로 서버를 통해 제2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데이터 경로 서버에서 제2 단말이 긴급 알림 데이터 수신 불능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데이터 경로 서버는 푸시 알림 서버를 통해 긴급 알림 데이터가 존재함을 알리는 푸시 데이터를 제2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푸시 알림 서버를 통해 긴급 알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단말에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와 관련된 통신 신호를 자체적으로 감지하여 통화 서비스 이벤트에 상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통신망과는 별도의 네트워크를 통해 긴급 알림 서비스를 통신 단말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긴급 알림 서비스 수행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과 데이터 경로 서버 및 푸시 알림 서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데이터 경로 서버(100)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통신 단말(200,300)에 포함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에서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알림 신호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통신 단말(200,300)에 포함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에서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알림 신호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해 긴급 알림 신호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통신 단말(200,300)에 포함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에서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음성 메모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통신 단말(200,300)에 포함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에서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음성 메모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해 긴급 음성 메모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통신 단말(200,300)에 포함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에서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문자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통신 단말(200,300)에 포함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에서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문자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해 긴급 문자 메시지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이다.
도 18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단말(200,300)에 포함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의 구성을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한 경우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의 내부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500, 도 3 참조)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과 데이터 경로 서버 및 푸시(Push) 알림 서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 도 3 참조, 이하,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라 한다)는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통신 단말(제1 단말(200), 제2 단말(300))에 포함된다. 통신 단말(200,300)은 통신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며,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경로 서버(100)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도 1의 통신망은 공중 전화망(PSTN), 이동 통신망 및 인터넷망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종래의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실제 통신망은 교환기 및 HLR 등의 통신망의 자원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망을 통해 제1 단말(200)과 제2 단말(300)은 종래의 기술에 의해 알려진 바와 같은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한편 도 1에서 네트워크(network)라 함은, 공지의 유/무선 인터넷, 이동 통신망 또는 이들의 결합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통신망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데이터 송수신만을 수행하는 데이터 패킷망을 의미한다.
통신 단말인 제1 단말 및 제2 단말(200,300)은 통신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종래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공지의 수단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유선 통신 단말기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의 통신 단말(200,300)은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으며 인터넷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이른바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지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200,300)은 터치 스크린 형태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200,300)은 그 내부에 단말의 전체적인 운영을 관리하는 운영 시스템(operation system, OS)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 단말(200,300)은 본 발명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점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단말(200)과 제2 단말(300)은 통신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통화 연결 전, 통화 연결 중 또는 통화 종료 후 등과 같은 통화 서비스 이벤트 발생시 해당 통화 서비스 이벤트에 상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데이터 경로 서버(100) 및 푸시(Push) 알림 서버(400)를 통해 통신 단말(200,300) 사이에서 긴급 알림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긴급 알림 서비스를 통신 단말(200,300)로 제공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데이터 경로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단말(200,300)과 연결되며, 통신 단말(200,300) 사이에서 통화 서비스 수행 도중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고, 통신 단말(200,300)로부터 데이터 경로를 통해 긴급 알림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상대방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긴급 알림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데이터 경로 서버(100)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경로 서버(100)는 경로 관리부(110) 및 데이터 전송부(120)를 포함한다.
경로 관리부(110)는 통신 단말(200,300) 사이에서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1 단말(200)로부터 제1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제2 단말(300)로부터 제2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후, 이들 제1 및 제2 경로 연결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단말(200)과 제2 단말(300) 간의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형성된 데이터 경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긴급 알림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로(path)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1 경로 연결 요청 신호는, 제1 단말(200)에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발생할 때 제1 단말(200)로부터 데이터 경로 서버(100)로 전송된다. 또한, 제2 경로 연결 요청 신호는, 제2 단말(300)에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발생할 때 제2 단말(300)로부터 데이터 경로 서버(100)로 전송된다.
여기에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라 함은, 예컨대 제1 단말(200)이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발신 단말이고 제2 단말(300)이 통화 연결을 요청받는 착신 단말인 경우, 제1 단말(200)에서의 통화 서비스 이벤트는 제1 단말(200)에서 제2 단말(300)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상태인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 및 제2 단말(300)과 통화 연결 중인 상태인 통화 연결 중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통화 서비스 이벤트는 통신 단말(200,300)에 탑재되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OS)에 포함되는 이벤트 검출부에서 검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단말(200)이 제2 단말(300)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 제1 단말(200)에서는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제1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데이터 경로 서버(1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제1 단말(200)로부터 통화 연결을 요청받는 제2 단말(300)에서는 통화 응답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제2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데이터 경로 서버(100)로 전송하게 된다.
경로 관리부(110)는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제1 단말(200) 및 제2 단말(300)로부터 각각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제1 단말(200)과 제2 단말(300) 사이에서 긴급 알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데이터 전송부(120)는 통신 단말(200,300) 사이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데이터 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긴급 알림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로 관리부(110)에 의해 제1 단말(200)과 제2 단말(300) 사이에 데이터 경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제1 단말(200)이 긴급 알림 데이터를 데이터 경로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는데, 데이터 경로 서버(100)의 데이터 전송부(120)는 이를 수신하여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 전송부(120)는 제1 단말(200)에서 긴급 음성 메모를 생성하여 데이터 경로 서버(100)로 전송한 경우 제2 단말(300)에서 긴급 음성 메모를 조회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상기 긴급 음성 메모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푸시 알림 서버(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푸시 알림 서버(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단말(200,300)과 연결되며, 제2 단말(300)로 푸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경로 서버(100)는 제2 단말(300)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 등으로 긴급 알림 데이터의 수신이 불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푸시 알림 서버(400)로 푸시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한다. 푸시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받은 푸시 알림 서버(400)는 제2 단말(300)의 데이터 수신 가능 여부를 탐지하고, 제2 단말(300)이 데이터 수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긴급 알림 데이터의 존재를 알리는 푸시 데이터 또는 긴급 알림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푸시 데이터를 제2 단말(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푸시 알림 서버(400)는 제2 단말(300)에서 긴급 알림 데이터가 수신되어 제2 단말(300)의 사용자가 긴급 알림 데이터를 확인하였음을 제1 단말(200)로 통지하기 위한 수신 확인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신 확인부는 푸시 알림 서버(400) 내부에 존재할 수 있고, 푸시 알림 서버(400)와 별도의 서버 일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통신 단말(200,300)에 포함되는데, 예컨대 통신 단말(200,300)의 운영 시스템(OS)의 일부로서 포함되거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의 형태로 설치되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200,300) 내부에 하드웨어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에서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통신 단말(200, 300)에 공통으로 구비된다. 도 3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통신 단말(200,300)의 구성으로서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만을 나타내었으며 통신 단말(200,300)의 기타 일반적인 구성은 생략하였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데이터 경로 관리부(510), 긴급 알림 서비스 관리부(520) 및 메뉴 인터페이스 관리부(530)를 포함한다.
우선, 데이터 경로 관리부(510)는, 데이터 경로 서버(100)와의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통신 단말(200,300)에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데이터 경로 서버(100)로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데이터 경로 서버(100)를 통해 통화 서비스의 상대방 단말과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고 형성된 데이터 경로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컨대 제1 단말(200)이 발신 단말이고 제2 단말(300)이 착신 단말이라 할 때, 제1 단말(200)에서 제2 단말(300)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1 단말(200)은 이벤트 검출부(미도시)에서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검출하고 제1 단말(200)의 데이터 경로 관리부(510)는 이에 따라 경로 연결 요청 신호(제1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데이터 경로 서버(100)로 전송한다. 한편, 이 때 데이터 경로 서버(100)는 통화 서비스의 상대방 단말 즉, 통화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착신 단말인 제2 단말(300)로부터 또 다른 경로 연결 요청 신호(제2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경로 서버(100)는 통신 단말(200,300)들 사이에서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데이터 경로 관리부(510)에서 전송되는 경로 연결 요청 신호는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상대방 단말인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로 연결 요청 신호는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단말(200,300) 자신의 식별자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식별자는 예컨대 전화 번호 또는 ID 등과 같은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식별자는 데이터 경로 서버(100)에서 수신되는 경로 연결 요청 신호들에 의해 데이터 경로를 형성해야 할 단말들을 구분하는데 사용된다.
긴급 알림 서비스 관리부(520)는 통신 단말(200,300)에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긴급 알림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1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고, 긴급 알림 서비스 화면을 구성하여 긴급 알림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1 단말(200)의 사용자가 상기 긴급 알림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긴급 알림 요청 신호를 입력한 경우 데이터 경로 서버(100)의 데이터 전송부(120)로 제1 단말(200)에서 생성된 긴급 알림 데이터의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데이터 경로 서버(100)의 데이터 전송부(120)가 제1 단말(200)에서 생성된 긴급 알림 데이터를 제2 단말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긴급 알림 서비스 인터페이스라 함은, 긴급 알림 서비스를 통신 단말(200,300)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종래 기술에 의해 알려진 바와 같이, 예컨대, 긴급 알림 신호나 긴급 알림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긴급 메시지 작성부, 긴급 음성 메모를 저장하기 위한 음성저장부, 긴급 알림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옵션이나 메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부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종래 기술에 의해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메뉴 인터페이스 관리부(5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메뉴 인터페이스 관리부(530)는,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구동되어 메뉴 선택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발생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경로 관리부(510)에 의해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면서, 이와 함께 메뉴 인터페이스 관리부(530)에 의해 메뉴 선택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긴급 알림 서비스를 수행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이를 선택한 경우 긴급 알림 서비스 관리부(520)가 긴급 알림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뉴 선택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부의 통화 서비스 수행을 위해 제공되는 통화 서비스 인터페이스 위에 예컨대 겹치도록(overlay)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메뉴 선택 인터페이스는, 통화 서비스 인터페이스의 일부 영역에 부분적으로 표시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통신 단말(200,300)에 포함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에서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의 실시예는 긴급 알림 서비스로서 긴급 알림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며 통화 서비스 이벤트로서 제1 단말(200)에서 제2 단말(300)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 4에서 제1 단말(200)은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발신 단말이고, 제2 단말(300)은 제1 단말(200)로부터 통화 연결을 요청받는 착신 단말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제1 단말(200)에서 제2 단말(300)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게 되면, 제1 단말(200)에서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고, 제1 단말(200)의 이벤트 검출부(미도시)에서는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검출하고(S100),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에 의하여 통화 연결 요청 신호가 발생하고 통화 연결 요청 신호는 통신망의 교환기 등의 자원을 통해 제2 단말(300)로 전달된다(S110).
제1 단말(200)에서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단말(200)의 데이터 경로 관리부(510)는 제1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데이터 경로 서버(100)로 전송한다(S120). 이 때, 도면에는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제1 단말(200)은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통화 서비스 상태 신호를 데이터 경로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2 단말(300)에서는 통화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예컨대 전화 벨이 울리면서 통화 응답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고(S130), 이에 따라 제2 단말(300)의 데이터 경로 관리부(510)는 제2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데이터 경로 서버(100)로 전송한다(S140).
한편, 데이터 경로 관리부(510)에서 전송되는 경로 연결 요청 신호는 통화 서비스 이벤트의 상대방 단말의 식별자, 예컨대 상대방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경로 서버(100)는 상대방 단말의 식별자를 수신하여 데이터 경로를 형성할 상대방 단말을 인식하고 인식된 상대방 단말로부터 경로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경로 연결 요청 신호는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자신의 식별자, 예컨대 전화 번호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경로 서버(100)는 제1 및 제2 경로 연결 신호를 각각 수신하면 양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 즉, 후술하는 위치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경로를 네트워크를 통해 형성한다(S150). 데이터 경로 서버(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200,300)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서로 연결된 데이터 경로를 식별하고 단말(200,300)간의 데이터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의 네트워크는 통신망과는 별도의 데이터 패킷망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메뉴 인터페이스 관리부(530)에 의해 메뉴 선택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S160). 이 메뉴 선택 인터페이스에는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의한 긴급 알림 서비스로서 긴급 알림 신호를 제2 단말(300)로 전송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가 제공되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면, 제1 단말(200)의 긴급 알림 서비스 관리부(520)는 긴급 알림 신호를 생성한다(S170).
여기에서 긴급 알림 신호라 함은, 제2 단말(300)에서 예컨대 사이렌 효과음이나 진동을 발생시키는 등과 같은 긴급 알림 이벤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를 의미한다.
긴급 알림 신호가 생성되면 긴급 알림 서비스 관리부(520)는 데이터 경로 서버(100)로 긴급 알림 신호를 전송한다(S180).
긴급 알림 신호를 수신한 데이터 경로 서버(100)는 제2 단말(300)로 긴급 알림 신호를 전송한다(S190).
제2 단말(300)은 데이터 경로 서버(100)로부터 긴급 알림 신호가 전송되었음을 감지하고(S200), 수신된 긴급 알림 신호에 상응하는 긴급 알림 이벤트를 수행한다(S210). 여기에서 긴급 알림 이벤트라 함은 예컨대 제2 단말(300)이 사이렌 효과음을 내면서 진동하도록 하는 경우와 같이 긴급 알림 신호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이벤트를 의미한다.
긴급 알림 이벤트를 수행한 제2 단말(300)은 푸시 알림 서버(400)로 긴급 알림 신호를 수신하였음을 확인하는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S220), 푸시 알림 서버(400)는 제1 단말(200)로 수신된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S230).
제1 단말(200)은 푸시 알림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에 의해 제2 단말(300)에서 긴급 알림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확인한다(S240).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서 제2 단말(300)이 수신 불능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서 단계(S100) 내지 단계(S180)은 도 4와 동일하다. 다만, 도 5의 경우에는 제2 단말(300)이 전원이 꺼진 경우이거나 음영 지역에 존재하는 경우 등과 같이 데이터 경로 서버(100)와 데이터 경로를 형성할 수 없어서 긴급 알림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수신 불능 상태이므로 도 4의 단계(S130, S140)이 생략된다는 점과 단계(S150)에서의 데이터 경로가 제1 단말(200)과 데이터 경로 서버(100) 사이에서만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데이터 경로 서버(100)는 제1 단말(200)의 긴급 알림 서비스 관리부(520)로부터 긴급 알림 신호를 수신하고(S180), 제2 단말(300)의 전원이 꺼진 경우와 같이 수신 불능 상태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S250), 데이터 경로 서버(100)는 푸시 알림 서버(400)로 긴급 알림 신호를 전송하고, 제2 단말(300)로 푸시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한다(S260).
푸시 알림 서버(400)는 제2 단말(300)의 전원이 다시 켜진 경우와 같이 수신 가능 상태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2 단말(300)로 긴급 알림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푸시 데이터를 전송한다(S270). 한편 상기 단계(S270)에서 긴급 알림 신호가 존재한다는 푸시 데이터를 제2 단말(300)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2 단말(300)은 푸시 알림 서버(400)에 접속하여 긴급 알림 신호를 수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계(S200) 내지 단계(S240)를 수행한다.
도 6은 도 4 및 도 5의 실시예가 실제 수행되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로서, 제1 단말(200)이 발신 단말이고 제2 단말(300)이 착신 단말인 경우 제1 단말(200)이 제2 단말(300)로 전화를 연결하는 중인 경우 제1 단말(200)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예는 긴급 알림 서비스로서 긴급 알림 신호 전송에 대한 것이며, 도 6에서 (a)~(d)는 제1 단말(200)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말(200)이 제2 단말(300)로 전화를 연결하는 중인 경우 제1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에 메뉴 선택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도 4의 단계(S160) 참조), 사용자가 해당 메뉴 선택 인터페이스로부터 "긴급 알림"을 선택한 경우, 긴급 알림 서비스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도 6의 (b)), 제1 단말(200)의 사용자가 긴급 알림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터치하는 등의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도 6의 (c)), 제2 단말(300)로 긴급 알림 신호가 전송되며 통화가 종료된다(도 6의 (d)).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긴급 알림 신호 제공 방법에 의해 긴급 알림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로서, 제1 단말(200)이 발신 단말이고 제2 단말(300)이 착신 단말인 경우 제2 단말(300)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예는 긴급 알림 서비스로서 긴급 알림 신호 수신에 대한 것이며, 도 7에서 (a)~(c)는 제2 단말(300)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긴급 알림 신호를 수신한 제2 단말(300)은 긴급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다. 이 때 제2 단말(300)의 긴급 알림 이벤트는 사이렌 효과음 및 진동이 동시에 재생되거나, 긴급 알림 신호의 확인이 가능하게 디스플레이부에 긴급 알림 신호의 확인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동작하는 것 또는 긴급 알림 신호가 존재하는 것을 알려주는 아이콘 등 제2 단말(300)이 긴급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것을 알릴 수 있는 어떠한 것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긴급 알림 이벤트에 의하여 긴급 알림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고(도 7의 (b)),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면 긴급 알림 신호를 전송한 제1 단말(200)의 사용자에게로의 전화 연결 등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도 7의 (c)).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에서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긴급 알림 서비스로서 긴급 음성 메모를 제2 단말(300)로 전송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 8의 S100 부터 S150 까지의 단계는 도 4와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메뉴 인터페이스 관리부(530)에 의해 메뉴 선택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S160). 이 메뉴 선택 인터페이스에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수행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가 제공되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면, 제1 단말(200)의 긴급 알림 서비스 관리부(520)는 제1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에 긴급 알림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긴급 음성 메모를 저장한다(S170). 이때 제1 단말(200)의 사용자는 긴급 음성 메모를 직접 저장할 수도 있고, 제1 단말(200)의 사용자가 미리 작성해 둔 긴급 음성 메모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긴급 음성 메모의 저장이 완료되면 긴급 알림 서비스 관리부(520)는 데이터 경로 서버(100)로 긴급 음성 메모의 업로드를 요청한다(S180).
긴급 음성 메모의 업로드를 요청받은 데이터 경로 서버(100)는 제1 단말(200)의 긴급 알림 서비스 관리부(520)로부터 긴급 음성 메모를 전송받아 데이터 경로 서버(100)의 데이터 전송부(120)에 저장한다(S190).
긴급 음성 메모의 저장을 완료한 데이터 경로 서버(100)는 긴급 음성 메모 조회 요청 신호를 제2 단말(300)로 전송한다(S200).
제2 단말(300)은 데이터 경로 서버(100)에 긴급 음성 메모가 저장되었음을 감지하고(S210), 데이터 경로 서버(100)에 긴급 음성 메모 다운로드를 요청한다(S220).
제2 단말(300)은 데이터 경로 서버(100)로부터 긴급 음성 메모를 다운로드 하고(S230), 긴급 음성 메모를 열람한다(S240).
긴급 음성 메모를 열람한 제2 단말(300)은 푸시 알림 서버(400)로 긴급 음성 메모의 열람 완료를 통지한다(S250).
제2 단말(300)로부터 긴급 음성 메모의 열람 완료를 통지받은 푸시 알림 서버(400)는 제1 단말(200)로 제2 단말(300)의 긴급 음성 메모의 열람 완료를 통지한다(S260).
제1 단말(200)은 푸시 알림 서버(400)로부터 제2 단말(300)의 긴급 음성 메모의 열람 완료를 통지받아 긴급 음성 메모의 열람 완료를 감지한다(S270).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서 제2 단말(300)이 수신 불능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되 제2 단말(300)이 수신 불능 상태이므로 단계(S130,S140,S150)이 없고 단계(S150)에서 데이터 경로가 제1 단말(200)과 데이터 경로 서버(100) 사이에서만 형성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즉 제2 단말(300)이 수신 불능 상태인 경우 데이터 경로 서버(100)는 푸시 알림 서버(400)와 연동하여 단계(S280) 내지 단계(S30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급 음성 메모 조회 요청 신호를 제2 단말(300)로 전송한다.
기타 과정은 도 8과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에 의한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로서, 제1 단말(200)이 발신 단말이고 제2 단말(300)이 착신 단말인 경우 제1 단말(200)이 제2 단말(300)로 전화를 연결하는 중인 경우 제1 단말(200)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예는 긴급 알림 서비스로서 긴급 음성 메모 전송에 대한 것이며, 도 10에서 (a)~(d)는 제1 단말(200)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말(200)이 제2 단말(300)로 전화를 연결하는 중인 경우 제1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에 메뉴 선택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도 8의 단계(S160) 참조), 사용자가 해당 메뉴 선택 인터페이스로부터 "음성 메모"를 선택한 경우, 긴급 음성 메모를 저장하기 위한 긴급 알림 서비스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도 10의 (b)), 제1 단말(200)의 사용자가 긴급 음성 메모의 저장을 완료하고 제2 단말(300)로 전송을 요청하면 긴급 음성 메모가 제2 단말(300)로 전송되고(도 10의 (c)), 제2 단말(300)로 긴급 음성 메모가 전송되면, 제1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에 제2 단말(300)로 긴급 음성 메모가 전송되었다는 메시지가 출력된다(도 10의 (d)).
도 11은 제1 단말(200)이 제2 단말(300)과 통화 중인 경우 본 발명에 의한 긴급 음성 메모 제공 방법에 의해 긴급 알림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로서, 제1 단말(200)이 발신 단말이고 제2 단말(300)이 착신 단말인 경우 제2 단말(300)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예는 제1 단말(200)이 제2 단말(300)과 통화 중인 경우 긴급 알림 서비스로서 긴급 음성 메모 수신에 대한 것이며, 도 11은 제2 단말(300)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말(200)이 제2 단말(300)과 통화 중인 경우 제1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긴급 음성 메모를 수신한 제2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에 긴급 음성 메모가 도착하였다는 것을 알리는 긴급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다.
도 12는 제1 단말(200)과 제2 단말(300)의 통화가 완료된 경우 본 발명에 의한 긴급 음성 메모 제공 방법에 의해 긴급 알림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로서, 제1 단말(200)이 발신 단말이고 제2 단말(300)이 착신 단말인 경우 제2 단말(300)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12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단말(300)의 사용자가 통화가 완료된 제2 단말(300)의 사용자가 긴급 음성 메모를 확인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제2 단말(300)의 사용자가 긴급 음성 메모를 다운로드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동작하고, 제2 단말(300)의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면(도 12의 (b)), 제2 단말(300)로 긴급 음성 메모가 다운로드 되어 제2 단말(300)에서 긴급 음성 메모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도 12의 (c)).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통신 단말(200,300)에 포함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에서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문자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 및 도 14의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문자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은 긴급 알림 데이터가 긴급 문자 메시지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 4 및 도 5에서 설명된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알림 신호를 제공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긴급 문자 메시지라 함은 제1 단말(200)과 제2 단말(300)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제1 단말(200)에서 제2 단말(300)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긴급 문자 메시지 제공 방법에 의해 긴급 알림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로서, 제1 단말(200)이 발신 단말이고 제2 단말(300)이 착신 단말인 경우 제1 단말(200)이 제2 단말(300)로 전화를 연결하는 중인 경우 제1 단말(200)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의 예는 긴급 알림 서비스로서 긴급 알림 메시지 전송에 대한 것이며, 도 15에서 (a)~(d)는 제1 단말(200)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1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말(200)이 제2 단말(300)로 전화를 연결하는 중인 경우 제1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에 메뉴 선택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도 13의 단계(S160) 참조), 사용자가 해당 메뉴 선택 인터페이스로부터 "긴급 문자 메시지"를 선택한 경우, 긴급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긴급 알림 서비스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제1 단말(200)의 사용자가 긴급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고 제2 단말(300)로 전송을 선택하면(도 15의 (b)), 제2 단말(300)로 긴급 문자 메시지가 전송되고(도 15의 (c)), 제2 단말(300)로 긴급 문자 메시지가 전송되면, 제1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에 제2 단말(300)로 긴급 문자 메시지가 전송되었다는 메시지가 출력된다(도 15의 (d)).
도 16은 제1 단말(200)이 제2 단말(300)과 통화 중인 경우 본 발명에 의한 긴급 문자 메시지 제공 방법에 의해 긴급 알림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로서, 제1 단말(200)이 발신 단말이고 제2 단말(300)이 착신 단말인 경우 제2 단말(300)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의 예는 제1 단말(200)이 제2 단말(300)과 통화 중인 경우 긴급 알림 서비스로서 긴급 문자 메시지 수신에 대한 것이며, 도 16에서 (a),(b)는 제2 단말(300)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말(200)이 제2 단말(300)과 통화 중인 경우, 제1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긴급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 제2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에 긴급 문자 메시지가 도착하였다는 것을 알리는 긴급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다(도 16 의 (b)).
도 17은 제1 단말(200)과 제2 단말(300)의 통화가 완료된 경우 본 발명에 의한 긴급 문자 메시지 제공 방법에 의해 긴급 알림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화면의 실제 예로서, 제1 단말(200)이 발신 단말이고 제2 단말(300)이 착신 단말인 경우 제2 단말(300)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17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단말(300)의 사용자가 통화가 완료된 제2 단말(300)의 사용자가 긴급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제2 단말(300)의 사용자가 긴급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동작하고, 제2 단말(300)의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면(도 17의 (b)), 제2 단말(300)에서 긴급 문자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도 17의 (c)).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200,300)을 실제 구현하는 방식에 대해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통신 단말(200,300)에 포함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통신 단말(200,300)에 포함되는 운영 시스템에 통합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사후적으로 통신 단말(200,300)에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의 형태로 설치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예컨대 안드로이드(android)와 같은 운영 시스템은 단말기 제조사나 응용 프로그램 제조업체가 운영체제(OS)로부터 통화 서비스 이벤트를 수신하여 다양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개방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특히 적합하다. 예컨대, 안드로이드 운영 시스템에서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단말(200,300)의 운영 시스템의 이벤트 검출부에서 이를 검출한 후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된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를 동작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단말(200,300)에 포함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의 구성을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한 경우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통신 단말(200,300)은 운영 시스템(OS) 내에 이벤트 전송부(51)와 응용프로그램 관리부(52)를 구비한다. 도 18의 구성은 안드로이드 운영 시스템을 실제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다른 운영 시스템에서도 용어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기본적인 원리는 유사하다.
이벤트 전송부(51)는 통신 단말(200,300)의 하드웨어 또는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하는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여 수신된 이벤트를 전송할 응용 프로그램을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에서 확인하고 확인된 응용 프로그램으로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서 해당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해당 이벤트를 수신할 응용 프로그램들의 목록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의 목록은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에 등록된다.
도 19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의 내부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이벤트의 종류(521) 및 해당 이벤트를 수신할 응용 프로그램의 목록(522)을 구비하고 있다. 도 19에서는 이벤트의 종류로서 "통화 연결 요청", "통화 종료" 이벤트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는 전화를 발신하기 위한 이벤트로서 키패드에서의 전화 번호 입력, 주소록에서 연락처의 선택, 응용 프로그램에서 전화 발신 요청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검출부(미도시)가 이를 검출하여 이벤트 전송부(51)로 알리게 되고, 이벤트 전송부(51)는 해당 이벤트에 대해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목록을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 목록(522)에서 확인하여 확인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한다.
도 19에서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에 대해 등록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 목록은 응용 프로그램 #1, 응용 프로그램 #2의 2가지가 등록되어 있다.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에 대해 응용 프로그램 #1, 응용 프로그램 #2이 등록되어 있음을 이벤트 전송부(51)로 알리고 이벤트 전송부(51)는 응용 프로그램 #1, 응용 프로그램 #2로 "통화 연결 요청"이벤트가 발생하였다는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이벤트 전송부(51)는 이벤트를 응용 프로그램 #1, #2로 전송할 때 응용 프로그램 목록에 있는 응용 프로그램 전부에 대해 동시에 이벤트를 알릴 수도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우선 이벤트를 알리고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이 완료되거나 실행이 중지된 경우 다음 응용 프로그램으로 이벤트를 알리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 내부에 어떠한 방식으로 이벤트를 알릴 것인가를 설정해 두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예컨대,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의 경우 응용 프로그램 #1으로 먼저 이벤트를 알리도록 하고 응용 프로그램 #1의 실행이 종료된 경우 응용 프로그램 #2로 이벤트를 알리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이벤트 전송부(51)로부터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응용 프로그램 #1의 정보를 먼저 알려주게 된다. 이벤트 전송부(51)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로부터 해당 이벤트에 대한 확인 응답 신호로서 응용 프로그램 #1의 정보를 수신하면 응용 프로그램 #1으로 이벤트를 전송하게 되고 응용 프로그램 #1은 이벤트의 수신에 따라 운영 시스템으로 로드되어 실행되게 된다.
한편,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의 경우 응용 프로그램 #1과 응용 프로그램 #2로 동시에 이벤트를 알리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이벤트 전송부(51)로부터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응용 프로그램 #1 및 응용 프로그램 #2의 정보를 모두 알려주게 된다. 이벤트 전송부(51)는 응용 프로그램 #1 및 #2의 정보를 수신하고 응용 프로그램 #1 및 #2로 동시에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고 응용 프로그램 #1 및 #2가 병행하여 함께 실행되게 된다.
도 1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 18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원리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는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데이터 경로 관리부(510), 긴급 알림 서비스 관리부(520) 및 메뉴 인터페이스 관리부(530)를 구비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를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통화 연결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실행되는 통신 단말(200,300)에서의 일반적인 응용 프로그램을 예컨대 콜 매니저(call manager)라고 하면, 일반적인 경우에는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러한 콜 매니저만이 도 18 및 도 1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응용 프로그램 목록에서 응용 프로그램 #1으로 등록되어 실행되어 통화 연결 과정을 수행할 것이다.
한편, 데이터 경로 관리부(510), 긴급 알림 서비스 관리부(520) 및 메뉴 인터페이스 관리부(530)를 구비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를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통신 단말(200,300)에 설치하면서 도 19의 응용 프로그램 목록(522)에서 응용 프로그램 #2로 등록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응용 프로그램 목록에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순서를 동시에 실행하는 것으로 설정해 둔다.
즉,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의 경우 본 발명에 의한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를 구현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응용 프로그램 #2로 등록되도록 하고 응용 프로그램 #1과 동시에 실행되도록 설정하면,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응용 프로그램 #1과 응용 프로그램 #2가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이벤트 중의 하나로서 통화 요청 신호(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전송부(51)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로 통화 요청 신호가 검출되었다는 이벤트에 대해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정보를 요청하고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해당 이벤트에 대해 등록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 #1(기존 콜 매니저)과 본 발명에 의한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가 구현된 응용 프로그램 #2의 정보를 동시에 이벤트 전송부(51)로 알려주고 이벤트 전송부(51)는 응용 프로그램 #1(콜 매니저)과 응용 프로그램 #2(본 발명에 의한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를 동시에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데이터 경로 관리부(510), 긴급 알림 서비스 관리부(520) 및 메뉴 인터페이스 관리부(530)를 포함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응용 프로그램 #2로서 실행되므로 도 1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단말(200,300)에서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500)가 실행되어 도 1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도 18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방식은 예시적인 것이며, 운영 시스템의 종류나 운영 시스템의 내부 구성에 따라 다른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200,300)은 이동 통신 단말기인 스마트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동 통신 단말기는 아니면서 유선 전화 단말기이거나 mVo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로서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없는 유선 단말인 경우에도 단말 내부의 운영 시스템에 통합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으로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100...데이터 경로 서버
200...제1 단말
300...제2 단말
400...푸시 알림 서버

Claims (11)

  1. 통신망과 별도의 데이터 패킷망인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경로 서버와 연결되며, 통신망을 통해 제2 단말과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1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경로 서버로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데이터 경로 서버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는 데이터 경로 관리부; 및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긴급 알림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긴급 알림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긴급 알림 요청 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경우 긴급 알림 데이터를 데이터 경로 서버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2 단말로 전송하는 긴급 알림 서비스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경로 서버는, 제2 단말의 데이터 경로 관리부로부터 통신망과는 별도의 데이터 패킷망인 네트워크를 통해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에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긴급 알림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긴급 알림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형성된 상기 데이터 경로 및 데이터 경로 서버를 통해 제2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긴급 알림 데이터를 수신한 제2 단말은, 상기 수신한 긴급 알림 데이터에 기초하여 긴급 알림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경로 관리부에서 전송되는 경로 연결 요청 신호는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상대방 단말인 제2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구동되어, 메뉴 선택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는 메뉴 인터페이스 관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긴급 알림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메뉴 선택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긴급 알림 서비스 선택 입력 신호가 입력된 경우 긴급 알림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선택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부의 통화 서비스 수행을 위해 제공되는 통화 서비스 인터페이스 위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선택 인터페이스는, 통화 서비스 인터페이스의 일부 영역에 부분적으로 표시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알림 데이터는 긴급 알림 신호, 긴급 음성 메모 및 긴급 문자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경로 서버는, 제2 단말이 긴급 알림 데이터 수신 불능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푸시 알림 서버를 통해 긴급 알림 데이터가 존재함을 알리는 푸시 데이터를 제2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푸시 알림 서버를 통해 긴급 알림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9. 통신망과 별도의 데이터 패킷망인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경로 서버와 연결되며, 통신망을 통해 제2 단말과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1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경로 서버로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데이터 경로 서버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는 제1 단계;
    통화 서비스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긴급 알림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고 긴급 알림 서비스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긴급 알림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긴급 알림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긴급 알림 요청 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경우 긴급 알림 데이터를 데이터 경로 서버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 이후, 제2 단말로부터 통신망과는 별도의 데이터 패킷망인 네트워크를 통해 경로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에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긴급 알림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형성된 상기 데이터 경로 및 데이터 경로 서버를 통해 제2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긴급 알림 데이터를 수신한 제2 단말은, 상기 수신한 긴급 알림 데이터에 기초하여 긴급 알림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데이터 경로 서버에서 제2 단말이 긴급 알림 데이터 수신 불능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데이터 경로 서버는 푸시 알림 서버를 통해 긴급 알림 데이터가 존재함을 알리는 푸시 데이터를 제2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푸시 알림 서버를 통해 긴급 알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30121888A 2012-10-12 2013-10-14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24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3405 2012-10-12
KR1020120113405 2012-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561A KR20140047561A (ko) 2014-04-22
KR101524497B1 true KR101524497B1 (ko) 2015-06-01

Family

ID=50654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888A KR101524497B1 (ko) 2012-10-12 2013-10-14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4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151A (ko) * 2003-11-21 2005-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방법
KR20050072192A (ko) * 2004-01-06 2005-07-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긴급 알림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48939A (ko) * 2009-11-03 2011-05-12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위치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53749A (ko) * 2009-11-16 2011-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긴급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151A (ko) * 2003-11-21 2005-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방법
KR20050072192A (ko) * 2004-01-06 2005-07-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긴급 알림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48939A (ko) * 2009-11-03 2011-05-12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위치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53749A (ko) * 2009-11-16 2011-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긴급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561A (ko) 201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57138B (zh) 呼叫处理方法及通信终端
KR101251439B1 (ko) 에이디비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성능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410377B1 (ko) 통화 시도시 이동 통신 단말기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4580646A (zh) 一种语音留言的传输方法及终端
US115757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ulti-modal interaction via user equipment
CN104113620A (zh) 通讯录更新方法、更新装置及用户终端
KR101612109B1 (ko) 시각적 ars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P3269115B1 (en) Managing communication events
KR101466818B1 (ko) 통화 서비스 수행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N107426090B (zh) 信息处理方法、装置、介质、电子设备、服务器及系统
KR101451336B1 (ko) 통화 서비스 수행시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75323B1 (ko)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되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실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24497B1 (ko)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6082694A1 (zh) 一种操作提示方法及装置
KR101435887B1 (ko) 통신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 도중 url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55750B1 (ko) 통화 서비스 수행 중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화 서비스 수행 도중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1465516B1 (ko) 통신 단말에 포함되어 통화 서비스 수행 도중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465517B1 (ko) 통신 단말에 포함되어 메시지 서비스 수행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부가 정보 제공 장치 및 부가 정보 제공 방법
KR101485369B1 (ko)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422154B1 (ko)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JP5801991B2 (ja) 着信制御サーバ、及び、着信制御方法
KR101485368B1 (ko) 통신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사이에서 통화 서비스 수행시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단말
JP4805326B2 (ja) 移動通信端末、通信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2007515084A (ja) マルチメディアメッセージ送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送信方法
KR101369981B1 (ko)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제공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